KR20180098319A - Disposable diapers - Google Patents
Disposable diap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8319A KR20180098319A KR1020187020947A KR20187020947A KR20180098319A KR 20180098319 A KR20180098319 A KR 20180098319A KR 1020187020947 A KR1020187020947 A KR 1020187020947A KR 20187020947 A KR20187020947 A KR 20187020947A KR 20180098319 A KR20180098319 A KR 20180098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width direction
- waist
- disposable diaper
- ext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2013/494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elas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뒤몸통 둘레 영역(30)과, 가랑이 영역(25)과,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와, 흡수 코어(40a)와,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허리 둘레 신축부에 중복되어 배치되는 시트재와, 허리 둘레 신축부와 시트재를 접합하는 접합부(87)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접합부열(87L)을 갖는다. 접합부열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일회용 기저귀는, 허리 둘레 신축부의 양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접합부열을 갖지 않는 제1 영역(R1)과, 허리 둘레 신축부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접합부열을 갖지 않는 제2 영역(R2)과, 제1 영역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2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접합부열을 갖는 제3 영역(R3)을 갖는다. 제1 영역은, 흡수 코어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The disposable diaper 10 includes a front waist region 20, a rear waist region 30, a crotch region 25, a pair of fastening tapes 90, an absorbent core 40a, A waist-surroundin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85 disposed at the rear edge of the diaper and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widthwise direction, a seat member disposed overlappingly with the waist-surrounding stretchable portion, and a joint portion 87 joining the waist- And a joining portion row 87L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joint rows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disposable diaper includes a first region (R1) extending from both outer edges of the waist elastic member and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no joint row, and a second region (R1)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waist elastic member And a third region (R3)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region and located behind the second region and having a row of junctions. The first region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co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iaper.
뒤몸통 둘레 영역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 엠보스열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엠보스열은,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고,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Disclosed is a disposable diaper having an embossed heat between fastening tapes of a rear waist region. The embossing row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plural in the width direction.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엠보스열이 마련된 영역의 강성은, 엠보스열이 마련되지 않은 영역의 강성보다 높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엠보스열에 의해 주름이 형성된다.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 주름에 의한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와 신체 사이에 요철에 의한 간극이 형성된다.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와 신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등쪽에서 배설물이 누설될 우려가 있다. In the disposable diap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rigidity of the region where the embossed heat is provided is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region where the embossed heat is not provided. Therefore, in the disposable diap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rinkles are formed by the embossed heat. The gap between the fastening tapes formed by the wrinkles is formed by the unevenness between the trailing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the body.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the body,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cretion leaks from the back of the weare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의 피트성을 높여, 착용자의 등쪽에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fit of the rear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to prevent leakage from the back of the wearer.
본 개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뒤몸통 둘레 영역(뒤몸통 둘레 영역(30))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25))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길이 방향(길이 방향(L))과,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폭방향(W))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되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패스닝 테이프(90))와,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 코어(흡수 코어(40a))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에 중복되어 배치되는 시트재와,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와 상기 시트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접합부(87))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접합부열(접합부열(87L))을 가지며, 상기 접합부열은,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의 양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접합부열을 갖지 않는 제1 영역(제1 영역(R1))과,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접합부열을 갖지 않는 제2 영역(제2 영역(R2))과, 상기 제1 영역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접합부열을 갖는 제3 영역(제3 영역(R3))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The disposable diaper (disposable di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front waist region (front waist region 20), a rear waist region (rear waist region 30) A crotch region (crotch region 25)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crotch region 25) positioned between the rear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 pair of fastening tapes (fastening tape 90)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fix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bsorbent core (40a)) extending toward the at least one of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over the crotch region, and an absorbent core (40b) disposed at the rear end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Waist circumference (Joint portion (87)) for joining the waist elastic stretchable portion and the sheet member to each other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elastic stretchable portion (The joining
본 개시에 의하면,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의 피트성을 높여, 착용자의 등쪽에서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t of the rear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is improved, and leakage from the back of the wearer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선을 따르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선을 따르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를 확대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를 확대한 전개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diaper taken along line F1-F1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diaper along the line F2-F2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rear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rear edge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so, the drawings may include mutually different portions or proportions of the dimensions.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1) Overall outline configuration of disposable diaper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선을 따르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선을 따르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를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전개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시트(50),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신축부(80)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lan view of the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영역(25)과, 뒤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부(배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몸통 둘레부(등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5)은,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뒤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The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레그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의 측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부분이다. A pair of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L)이라고 부르고,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W)이라고 부른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from the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체(40)를 갖는다. 흡수체(40)는, 흡수 코어(40a)와 코어랩(40b)을 갖는다. 흡수 코어(40a)는, 가랑이 영역(25)을 걸치고, 또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된다. The
흡수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며,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의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흡수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랩(40b)에 의해 싸여 있다. 코어랩(40b)은, 흡수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와 코어랩(40b)의 후단 가장자리는 대략 일치하고, 흡수 코어(40a)의 전단 가장자리와 코어랩(40b)의 전단 가장자리는 대략 일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와 코어랩(40b)의 후단 가장자리의 거리는 5 mm 이하이고, 흡수 코어(40a)의 전단 가장자리와 코어랩(40b)의 전단 가장자리의 거리는 5 mm 이하이다. The
흡수 코어(40a)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코어(40a)의 다른 부위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 중량이 낮은 저단위 중량 영역(110)이 형성되어 있다. 저단위 중량 영역(110)은,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한다. 폭방향(W)에서의 저단위 중량 영역(110)의 폭은,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로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단위 중량 영역(110)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시에 있어서 쐐기형이다. 후술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의해 폭방향으로 수축되었을 때에, 저단위 중량 영역(110)이 주위보다 수축되기 쉬워, 흡수 코어(40a)의 후단부가 착용자의 둔부를 따르는 컵형상이 된다. 4, a low-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대향면측)에는, 액투과성의 톱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대향면측)에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60a)가 구비된다. 백시트(60a)의 이면측에는 외장 시트(60)가 구비된다. 백시트의 전단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백시트의 후단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A liquid permeable
흡수체(40)의 외측 가장자리(폭방향에서의 외측단)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앞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몸통 둘레 영역(30)을 걸치고, 또한 흡수체(40)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매 중첩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은, 흡수 코어(40a)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흡수 코어(40a)보다 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사이드 플랩(70)에는, 레그 개구부(35)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좌우의 레그 개구부보다 폭방향 내측에 각각 배치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나 실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레그 신축부(75)는, 좌우 3개씩의 실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신축부(75)는, 레그 개구부(35)를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The
레그 신축부(75)의 폭방향의 위치는 변화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의 제품 폭방향(W)에서의 내측단의 간격은,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짐과 함께,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뒤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져도 좋다. 가랑이부에서 좁고, 앞뒤의 몸통 둘레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레그 신축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레그 신축부가 신체의 라인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지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적합하게 레그 신축부가 신장 배치되게 된다. The position of the leg stretchable and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폭방향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신축부(80)가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사이드 플랩(70)의 폭방향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81)를 가지며,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A pair of leg-stretchable and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의 흡수체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25)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적어도 길이 방향(L) 또는 폭방향(W)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가랑이 영역(25)의 흡수 코어(40a)에는, 제1 절결(115) 및 제2 절결(125)이 형성된다. 제1 절결(115) 및 제2 절결(125)은, 흡수 코어(40a)에 형성된 슬릿이다. 슬릿은 흡수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다. 제1 절결(115) 및 제2 절결(125)은, 각각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절결 형상이다. In the
패스닝 테이프(90)는, 한쌍이며, 뒤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폭방향(W)을 따라서 연장되고,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대향면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결합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후크 시트(92)를 구비한다. 후크 시트(92)는 결합 후크가 마련된 영역이다. The
타겟부(95)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외장 시트(60)의 비피부 대향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크와 루프의 결합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겟부(95)로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는, 타겟부를 갖지 않고, 패스닝 테이프(90)가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외장 시트(6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일회용 기저귀(10)는,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를 갖는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뒤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폭방향에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수축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단 가장자리는, 폭방향 중심이 후방을 향해 오목한 곡선 형상이다. 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예컨대, 신축 필름, 신축 부직포 및 우레탄을 이용할 수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 필름으로 이루어진 허리 둘레 신축부와 비교하여, 영유아의 허리 둘레의 통기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 허리 둘레 신축부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부분이며, 신축력이 발휘되지 않은 상태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개념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신축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가 아니라, 신축하는 부분의 외측 가장자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했다. 다만,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복수개의 실고무 등 다른 구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허리 둘레 신축부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에 대한 소정 배율로 늘려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백시트(60a)에 접착된다. 허리 둘레 신축부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ist-surroundin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is constituted by a stretchable sheet, and for example, a stretchable film, stretchable nonwoven fabric and urethane can be used. The waist-opening stretchable and
또한, 일회용 기저귀에는, 허리 둘레 신축부와 시트재를 접합하는 접합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접합부(87)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중복되는 시트재를 접합한다. 접합부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Further, the disposable diap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joint portions for joining the waist elastic portion and the sheet member. The joining portion 87 joins the waist-surrounding stretchable and
외장 시트의 뒤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는, 외장 시트의 앞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장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를 제외한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이다. 외장 시트의 뒤몸통 둘레 영역의 폭방향의 길이는, 외장 시트의 앞몸통 둘레 영역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를 앞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할 때, 뒤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착용자의 신체의 앞쪽으로 끌어당기기 쉬워진다. 뒤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착용자의 신체의 앞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가 신장되어,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를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 The outer edge of the rear waist region of the outer sheet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front waist region of the outer sheet. The outer edge of the outer sheet is the outer edge of the area of the disposable diaper excluding the fastening tape.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waist region of the outer sheet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ist region of the outer sheet. Therefore, when fixing the fastening tape to the front waist region, it is easy to pull the outer edge of the rear waist region toward the front of the wearer's body. By pulling the outer edge of the rear waist region toward the front of the wearer's body, the waist elastic stretchable portion can be stretched to fit the rear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to the wearer's body.
외장 시트의 폭방향의 길이는,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를 향해 길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된 영역에서의 외장 시트의 폭방향의 길이는, 흡수 코어의 저단위 중량 영역보다 전방의 영역에서의 외장 시트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된 영역은, 폭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허리 둘레 신축부에 의해 수축되더라도 패스닝 테이프가 흡수 코어보다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기 쉽다. 흡수 코어는, 장착시에 착용자가 실리는 영역이다. 흡수 코어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와 흡수 코어 사이에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스닝 테이프에 의한 피부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outer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s elongated from the crotch region toward the trailing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sheet in the region where the pair of fastening tapes are arranged is longer than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sheet in the region in front of the low unit weight region of the absorbent core. The region where the fastening tape is disposed is relatively long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tape is liable to be locat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even if it is contracted by the waist elastic stretching portion. The absorbent core is a region in which the wearer is put on the wearer. The fastening tape is disposed outside the absorbent cor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fastening tape from being disposed between the wearer's body and the absorbent core, and skin irritation by the fastening tape can be suppressed.
(2) 허리 둘레 신축부 및 접합부의 구성(2) Constitution of waist circumferential stretching part and joining part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의 양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 둘레 신축부는, 폭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가 폭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waist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후단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일치하고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앞쪽이자 코어랩(40b)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적어도 일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시에 있어서 흡수 코어(40a)에 중복된다.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 및 코어랩(40b)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 및 코어랩(40b)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앞쪽으로 연장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외측 가장자리는, 패스닝 테이프의 내측 가장자리(폭방향의 내측단)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패스닝 테이프(90)는 폭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패스닝 테이프(90)가 폭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가 신축 가능한 신장 여유분을 장착자가 파악하기 쉬워져, 패스닝 테이프를 조작하기 쉬워진다.The rear edge of the waist
허리 둘레 신축부는, 흡수 코어(40a)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는, 외장 시트(60)와 백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70)과, 백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는, 톱시트(50), 사이드 플랩(70) 및 백시트(60a)를 포함한다. 허리 둘레 신축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비피부면 시트는 외장 시트(60)를 포함한다. The waist-surroundin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is located closer to the skin-facing surface than the
허리 둘레 신축부가 배치된 영역에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는,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에 형성된다. 접합부(87)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중복되는 시트재를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또, 접합부는,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된 부분뿐만 아니라, 초음파 용착 등의 다른 용착 방법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부분이어도 좋다. In the region where the waist elastic stretching portion is disposed, a joining portion is formed. The abut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waist
시트재란, 구체적으로는, 톱시트(50), 사이드 플랩(70), 백시트(60a) 및 외장 시트(60)이다. 톱시트(50)와 허리 둘레 신축부가 중복되는 영역에서는, 접합부는, 톱시트(50), 허리 둘레 신축부, 백시트(60a) 및 외장 시트(60)를 접합한다. 사이드 플랩(70)과 허리 둘레 신축부가 중복되는 영역에서는, 접합부는, 사이드 플랩(70), 허리 둘레 신축부, 백시트(60a) 및 외장 시트(60)를 접합한다. The sheet material is specifically a
접합부(87)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시에서 점형이다. 히트 시일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는, 필름화하여 상기 부분의 통기성이 저하된다. 점형으로 접합부를 배치함으로써, 접합부 주위의 영역에서 통기성을 확보하여, 허리 둘레의 통기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접합부(87)는, 길이 방향(L)을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접합부는, 후술하는 제4 영역(R4)에 배치되는 중앙 접합부(871)와, 후술하는 제3 영역(R3)에 배치되는 사이드 접합부(872)를 갖는다. 중앙 접합부(871)는,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중앙 접합부(871)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위치가 틀어져 있다. 즉, 중앙 접합부(871)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접합부가 마련된 부분은,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축성이 저하된다. 중앙 접합부(871)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중앙 접합부(871)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폭방향의 응력이 저하를 억제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butting portion 87 is pointed in the plan view of the disposable diaper. The joint portion formed by the heat seal becomes a film,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portion is lowered. By arranging the joints in a point shape, the air permeability can be ensured in the region around the joint portion, and the decrease in the air permeability around the waist can be suppressed. The joining portions 87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s shown in Fig. The joining portion has a
사이드 접합부(872)는,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사이드 접합부(872)와 길이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중앙 접합부(871) 및 사이드 접합부(872)는,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중앙 접합부(871)의 길이 방향의 간격 D1은, 사이드 접합부(872)의 길이 방향의 간격 D2보다 크다. 중앙 접합부(871)의 폭방향의 간격 D3은, 사이드 접합부(872)의 폭방향의 간격 D4보다 크다. 중앙 접합부(871)의 길이 방향의 간격 D1은, 중앙 접합부의 폭방향의 간격 D3과 일치한다. 또한, 사이드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간격 D2는, 사이드 접합부의 폭방향의 간격 D4와 일치한다. The side
접합부열(87L)은,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의 열이다. 접합부열(87L)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접합부열(87L)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영역(R2)의 후단 가장자리에 일치한다. 접합부열(87L)의 후단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접합부열(87L)은, 중앙 접합부(871)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중앙 접합부열(871L)과, 사이드 접합부(872)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사이드 접합부열(872L)을 갖는다. 중앙 접합부열(871L)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되어 있다. 중앙 접합부열(871L)의 폭방향의 간격은, 사이드 접합부열(872L)의 폭방향의 간격보다 크다. The joining
일회용 기저귀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양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제1 영역(R1)과,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영역(R2)과, 제1 영역(R1)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2 영역(R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 영역(R3)과, 제3 영역(R3)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영역(R4)과, 제3 영역(R3)과 제4 영역(R4)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5 영역(R5)을 갖는다. 도 4에 있어서, 제1 영역(R1), 제2 영역(R2), 제3 영역(R3), 제4 영역(R4) 및 제5 영역(R5)의 각각에 상이한 사선을 그어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는, 적어도 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을 갖고 있으면 된다. The disposable diaper includes a pair of first regions R1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outer edges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제1 영역(R1)은,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외측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 전역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1 영역(R1)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2 영역(R2)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하고, 또한 제3 영역(R3)의 외측 가장자리(제3 영역(R3)이 복수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가장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영역(R3)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1 영역(R1)은,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1 영역(R1)은, 흡수 코어(40a)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영역(R1)에는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1 영역(R1)에는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영역(R1)의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성은 유지되어 있다. The first region R1 is disposed in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waist elastic
제1 영역(R1)의 적어도 일부는, 레그 신축부(7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레그 신축부(7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란, 3개의 실고무 중 폭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실고무로부터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연장선에 사이에 끼인 영역이다.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region R1 is arranged in a reg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eg stretchable and
제2 영역(R2)은, 한쌍의 제1 영역(R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영역(R2)은,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의 중심을 걸쳐 배치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영역(R2)의 후단 가장자리는, 제3 영역(R3)의 전단 가장자리와 일치하고, 제4 영역(R4)의 전단 가장자리와 일치하고, 또한 제5 영역(R5)의 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2 영역(R2)의 전단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2 영역(R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비교적 높은 영역(저단위 중량 영역 이외의 영역) 및 흡수 코어(40a)의 저단위 중량 영역(110)과 중복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후단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영역(R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40a)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2 영역(R2)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40a)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영역(R2)에는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 영역(R2)에는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영역(R2)의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성은 유지되어 있다. The second region R2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regions R1. The second region R2 is disposed over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The trailing edge of the second area R2 coincides with the front edge of the third area R3 and coincides with the front edge of the fourth area R4 and coincides with the front edge of the fifth area R5 .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region R2 coincides with the front edge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제3 영역(R3)은, 제1 영역(R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3 영역(R3)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5 영역(R5)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3 영역(R3)은,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를 폭방향에서 걸쳐 있다. 제3 영역(R3)의 후단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3 영역(R3)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영역(R2)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3 영역(R3)은, 흡수 코어(40a)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3 영역(R3)에는, 사이드 접합부열(872L)이 마련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사이드 접합부(872)를 통해 시트재와 접합되어 있고, 사이드 접합부(872)에 있어서 신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3 영역(R3)의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성은,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5 영역(R5))보다 낮다. The third region R3 extend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of the first region R1. The inner edge of the third region R3 coincides with the outer edge of the fifth region R5. The third region R3 extends across the outer edge of the
제4 영역(R4)은, 한쌍의 제5 영역(R5) 사이에 배치된다. 제4 영역(R4)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5 영역(R5)의 내측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4 영역(R4)의 후단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4 영역(R4)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영역(R2)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4 영역(R4)은, 흡수 코어(40a)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4 영역(R4)에는 중앙 접합부열(871L)이 마련되어 있다. 제4 영역(R4)의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성은,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5 영역(R5))보다 낮다. The fourth region R4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fth regions R5. The outer edge of the fourth region R4 coincides with the inner edge of the fifth region R5. The rear edge of the fourth region R4 coincides with the rear edge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중앙 접합부(871)의 면적은 사이드 접합부(872)의 면적보다 크다. 제3 영역(R3)에는 사이드 접합부(872)가 마련되어 있고, 제4 영역(R4)에는 중앙 접합부(871)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영역(R3)에서의 단위면적당 접합부의 면적은, 제4 영역(R4)에서의 단위면적당 접합부의 면적보다 높다. 즉, 제3 영역(R3)의 접합부의 면밀도는, 제4 영역(R4)의 접합부의 면밀도보다 높다. The area of the center joint 87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ide joint 872. [ The third region R3 is provided with a
제5 영역(R5)은, 한쌍의 제3 영역(R3) 사이에 배치된다. 제5 영역(R5)의 후단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5 영역(R5)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영역(R2)의 후단 가장자리와 일치한다. 제5 영역(R5)은 흡수 코어(40a)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4 영역(R4) 및 제5 영역(R5)은,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5 영역(R5)에는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5 영역(R5)에는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5 영역(R5)의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성은 유지되어 있다. The fifth region R5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ird regions R3. The rear edge of the fifth region R5 coincides with the rear edge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장률이 높은 영역과 신장률이 낮은 영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폭방향 중앙에 비교적 신장률이 높은 고신장 영역이 배치되고, 고신장 영역의 폭방향 외측에 비교적 신장률이 낮은 저신장 영역이 배치되고, 저신장 영역의 폭방향 외측에 고신장 영역이 배치된다. 폭방향 중앙의 고신장 영역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는, 제5 영역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이다. 즉, 제4 영역 및 제5 영역은 고신장 영역이다. 저신장 영역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는, 제3 영역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이다. 즉, 제3 영역은 저신장 영역이다. 또한, 제1 영역은 고신장 영역이다. Further, the waist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률의 차이, 및 접합부(87)의 유무에 따라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률이 변화한다. 제1 영역과 제5 영역은 고신장 영역이며,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장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률이 높다. 제4 영역은 고신장 영역이지만,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접합부에 의해 신축률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제1 영역 및 제5 영역보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률이 낮다. 또한, 제3 영역은 저신장 영역이며,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접합부에 의해 신축률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제4 영역보다 신축률이 낮다. The expansion / contraction ratio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
또한, 제2 영역은,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률의 차이에 의해서만 신축률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폭방향 중앙(제4 영역의 폭방향의 범위)은, 고신장 영역이며, 신축률이 높다. 한편, 폭방향 외측(제3 영역과 제5 영역의 폭방향의 범위)은, 저신장 영역이며, 신축률이 낮다. Further, the second region is not provided with the joining portion, and therefore the expansion / contraction ratio changes only by the difference in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waist elastic stretching portion. Specifically,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urth region) is a high elongation region, and the expansion / contraction ratio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rd region and the fifth region) is a short-length region, and the expansion / contraction ratio is low.
(3)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3) Manufacturing method of disposable diaper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구성 부품 형성 공정과, 구성 부품 재치 공정과, 접합부 형성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절단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Next,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r the method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isting method can be used. In addition, the production method described below is an example, and the production method can also be produced by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es at least a component forming step, a component part placing step, a joining part forming step, a leg-hole forming step, and a cutting step.
구성 부품 형성 공정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여 흡수체(40)를 성형하거나, 패스닝 테이프(90)를 형성하거나 한다. In the constituent part forming step, constituent parts constituting the absorbent article are formed. Concretely, for example, the
구성 부품 재치 공정에서는, 백시트를 구성하는 웨브 상에,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나, 톱시트를 구성하는 웨브 등의 다른 웨브, 샘방지 시트, 흡수체, 레그 신축부(75) 등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재치한다. 구성 부품 재치 공정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신축 시트를 배치한다. 구성 부품 재치 공정에 의해 구성 부품을 재치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체가 형성된다. In the constituent component placement process, on the web constituting the back sheet, a stretchable sheet constituting the waist
또,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장률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백시트(60a) 등에 접합하기 전에,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폭방향에서 기어에 의해 연신한다. 상기 기어에 의해 연신할 때에, 신장률을 낮게 하는 영역(예컨대 제2 영역)의 기어 연신을 약하게 한다. 신장률을 높게 하는 영역(예컨대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의 기어 연신을 강하게 한다. 기어 연신의 강약은, 기어의 볼록부의 깊이, 기어의 볼록부의 피치, 기어 연신의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강하게 연신된 영역의 신장률은 비교적 높아지고, 약하게 연신된 영역의 신장률은 비교적 낮아진다. As a method of changing the extension ratio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는,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부를 형성한다. In the joining portion forming step, a joining portion is formed by heat sealing.
다리 둘레 형성 공정은, 톱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시트(60a)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또, 다리 둘레 형성 공정의 후에, 접합부 형성 공정을 행해도 좋다. The leg circumference forming process cuts the
절단 공정에서는, 톱시트(50), 백시트(60a), 흡수체(40) 등이 배치된 연속체를 폭방향(W)을 따라서 하나의 제품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앞몸통 둘레 영역(20)에 앞허리 둘레 신축부가 배치됨과 함께, 뒤몸통 둘레 영역(30)에 허리 둘레 신축부가 배치되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In the cutting step, a continuous body in which the
(4) 작용ㆍ효과(4) Action and effect
제3 영역(R3)의 접합부열에 의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또한 접합부열이 배치된 영역이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의해 폭방향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기점이 형성되고,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가 부상하여 배설물의 누설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가 부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region having relatively high rigidity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joining portion row of the third region R3 and the region where the joining portion row is disposed is contract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굴곡 기점이 형성되고, 허리 둘레의 라운딩을 따라서 배치되기 쉽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의해 요철을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요철에 의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아, 착용자의 등쪽에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허리 둘레 신축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가 의도지 않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wrink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 plurality of bending fulcrum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t is easy to arrange them along the roundness around the waist. Further,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formed by the wrink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an be fitted to the body by the waist expandable and
흡수 코어(40a)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은, 착용자의 옆구리의 허리뼈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영역(R1)은, 접합부열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축력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부열이 마련된 제3 영역(R3)과 비교하여 신축력이 높다. 착용자의 옆구리의 허리뼈에 제1 영역(R1)에 의해 강하게 피트함으로써, 허리 둘레의 피트성을 높인다. 몸과 일회용 기저귀 사이의 빈틈을 적게 하여,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R1)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core (40a) is disposed at a position abutting against the waist bones of the wearer's side. The first region R1 is not provided with a joining portion row, and the stretching for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third region R3 provided with the joining portion row because the stretching force of the waist stretchable portion is maintained. The fit of the waist around the wearer's waist is strengthened by the first region R1. The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disposable diaper is reduced, and the leakage of the excretion can be suppressed.
제2 영역(R2)은, 접합부(87)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력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부열이 마련된 제3 영역(R3)과 비교하여 신축력이 높다. 제2 영역(R2)이 비교적 신축하기 쉬워, 흡수 코어(40a)측으로부터의 변형을 제2 영역(R2)에서 흡수하여, 흡수 코어(40a)의 변형이 제3 영역(R3)이나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의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R2 is not provided with the joining portion 87 and the stretching force of the waist stretchable and
접합부열(87L)의 후단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배치되어도 좋다.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도달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나 그 근방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기점이 형성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기점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ar end edge of the joining
제2 영역(R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40a)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영역(R2)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영역(R3)과 흡수체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 코어(40a)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은, 흡수체와 함께 변형되지 않아, 흡수체의 변형이 직접 전파되기 어렵다. 흡수 코어(40a)측으로부터의 변형을 제2 영역(R2)에 의해 흡수하여, 흡수 코어(40a)의 변형을 제3 영역(R3)으로 전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region R2 may be arranged behind the
접합부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와 접합되는 시트재는, 허리 둘레 신축부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톱시트(50), 사이드 플랩(70) 및 백시트(60a))와, 허리 둘레 신축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비피부면 시트(외장 시트(60))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피부면 시트, 허리 둘레 신축부 및 비피부면 시트는, 접합부를 통해 접합된다. 피부면 시트와 비피부면 시트의 양쪽에 접합부열에 의한 주름이 형성되고, 피부면 시트가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부상하거나, 비피부면 시트가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부상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부면 시트를 갖는 것에 의해, 영유아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heet material joined to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contracting portion by the abutment portion includes a skin surface sheet (the
제1 영역(R1)은, 레그 신축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할 때에 레그 신축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를 연속된 상태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키고,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를 웨브(백시트, 외장 시트 등)에 접합하여, 일회용 기저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연속체를 제조한 후에, 개개의 제품 길이마다 연속체를 제품 폭방향을 따라서 절단하는 것이 행해진다. 상기 제법에 의하면, 연속체를 절단함으로써, 신장 상태였던 탄성 부재는,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고, 다리 둘레 개구부 근방에 접합된 부분만 남는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레그 신축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는, 제조시에 레그 신축부가 배치되지만, 제품 상태에 있어서 레그 신축부가 배치되지 않고, 레그 신축부를 사이에 끼운 웨브끼리 접합되어 있지 않다. The first region R1 may be disposed in a reg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e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When the disposable diaper is manufactured, the elastic members constituting the le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a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duct in a continuous state, and the elastic members in the stretched state are joined to the web (back sheet, external sheet or the like) After the continuous continuum is produced, the continuum is cut along the product width direction for each individual product length.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by cutting the continuum, the elastic member in the elongated state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duct, leaving only the portion bonded in the vicinity of the leg-openings.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the leg stretching portion is arrang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in the reg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eg stretching and shrinking portion, but the leg stretching portion is not disposed in the product state and the webs sandwiching the leg stretching portion are not joined .
레그 신축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비교적 신축성이 높은 제1 영역(R1)(접합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면 시트와 비피부면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신체에 피트시켜, 상기 영역에서 누설되는 것이나 흡수 코어로부터 SAP가 넘쳐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region R1 (having no joining por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elasticity is disposed in the reg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e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the region where the skin surface sheet and the n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the SAP from the absorbent core due to leaking in the region.
제5 영역(R5) 및 제4 영역(R4)은,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내측을 향해, 접합부열을 갖지 않는 제1 영역(R1), 접합부열을 갖는 제3 영역(R3), 접합부열을 갖지 않는 제5 영역(R5) 및 접합부열을 갖는 제4 영역(R4)이 배치된다. 신축률이 높은 영역과 신축률이 낮은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를 지나치게 체결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The fifth region R5 and the fourth region R4 may be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시에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는,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로 일회용 기저귀의 뒤몸통 둘레 영역에 착용자의 신체를 싣는다. 이 때, 착용자의 신체는, 흡수 코어(40a)의 전폭을 덮도록 실린다. 장착자는, 착용자의 신체가 흡수 코어(40a)의 전폭에 실린 상태로, 패스닝 테이프를 인장하여 앞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하고자 한다. 이 때, 흡수 코어(40a)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이 폭방향의 외측으로 인장되어 신장된다. 한편, 제1 영역(R1)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4 영역(R4) 및 제5 영역(R5)은,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착용자의 체압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폭방향으로 거의 신장되지 않는다. 제3 영역(R3)은,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의 내측 부분이 신장되지 않고,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의 외측 부분이 신장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하고 착용자를 일으키기 전의 상태의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1 영역(R1) 및 제3 영역(R3)의 일부가 신장되고, 제3 영역(R3)의 다른 부분, 제4 영역(R4) 및 제5 영역(R5)이 거의 신장되지 않았다.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tting property at the time of disposing the disposable diaper. When the disposable diaper is mounted, the body of the wearer is put on the rear waist region of the disposable diape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diaper is deployed. At this time, the body of the wearer is wrapped so as to cover the full width of the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한 후에 착용자를 일으키면, 흡수 코어(40a)에 가해졌던 체압이 저감한다. 따라서, 제3 영역(R3)의 다른 부분, 제4 영역(R4) 및 제5 영역(R5)은, 착용자를 일으키기 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신축하기 쉬워진다. 이 때, 허리 둘레 신축부의 제1 영역(R1)이 이미 신장되고, 또한 제4 영역(R4)이 제5 영역(R5)보다 신장되기 쉽기 때문에, 제4 영역(R4)은 제5 영역(R5)으로 인장되어 신장된다. 그 결과, 착용자를 일으킨 상태의 허리 둘레 신축부의 제4 영역(R4)은, 약한 힘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3 영역(R3)도 약한 힘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된다. 비교적 신축률이 높은 영역과 비교적 신축률이 낮은 영역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를 지나치게 체결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wearer is caused to wear after wearing the disposable diaper, the body pressure applied to the
제2 영역(R2)은,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의 중심을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착용자의 등의 중심은, 등뼈가 배치되고, 좌우의 부위보다 배쪽으로 움푹 패여 있다. 상기 움푹 팬 부위(미카엘리스 능형)는 선골 부분의 움푹 팬 부분이며, 상기 움푹 팬 부위에 제2 영역(R2)이 배치된다. 착용자의 움푹 팬 부위에 제2 영역(R2)에 의해 수축된 부분이 배치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등의 중심과 일회용 기저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등쪽의 움푹 팬 부위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R2 may be disposed over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wearer is arranged with the backbone, and is recessed to the abdomen than the right and left parts. The recessed portion is a recessed portion of the neck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R2 is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A portion contracted by the second region R2 is disposed at the wearer's recessed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wearer and the disposable diaper, and more reliably prevent leakage from the back side of the back portion.
제3 영역(R3)의 접합부의 면밀도는 제4 영역(R4)의 접합부의 면밀도보다 높아도 좋다. 제3 영역(R3)에서의 단위면적당 접합부의 면적이 제4 영역(R4)에서의 단위면적당 접합부의 면적보다 높기 때문에, 제3 영역(R3)의 접합부는 제4 영역(R4)과 비교하여 조밀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제4 영역에서의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률은, 제3 영역의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률보다 높기 때문에, 제4 영역(R4)의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축률은 제3 영역(R3)의 허리 둘레 신축부의 신축률보다 높아진다. 착용자의 선골 부분에 움푹하게 제4 영역에 의해 수축된 부위가 배치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등의 중심과 일회용 기저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등쪽의 움푹 팬 부위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area density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third region R3 may be higher than the area density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fourth region R4. Since the area of the bonding area per unit area in the third area R3 is higher than the area of the bonding area per unit area in the fourth area R4, the bonding area of the third area R3 is dense compared to the fourth area R4 Respectively. However, since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waist circumferential stretchable portion of the fourth region R4 is higher than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waist circumferential stretchable portion of the third region R4,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waist- The stretching ratio of the stretching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retching portion. The portion contracted by the fourth region is disposed in the wearer's neck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wearer and the disposable diaper, and more reliably prevent leakage from the back side of the back portion.
(5) 변형예(5) Modifications
이어서, 도 5에 기초하여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A)의 후단 가장자리의 확대 평면도이다. 또,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A)는, 복수의 제3 영역(R3)과 복수의 제5 영역(R5)을 갖는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률이 비교적 낮은 제4 영역(R4), 신축률이 비교적 높은 제5 영역(R5), 신축률이 비교적 낮은 제3 영역(R3), 신축률이 비교적 높은 제5 영역(R5), 신축률이 비교적 낮은 제3 영역(R3) 및 신축률이 비교적 높은 제1 영역(R1)의 순으로 배치된다. Next,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rear end edge of the
상기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해서도,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형성하고,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가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여, 등쪽의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에 의해 요철을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요철에 의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아, 착용자의 등쪽에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는, 레그 사이드 신축부(80)의 탄성 부재(81)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 제5 영역(R5)이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8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에 접합부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시에 탄성 부재(81)가 접합부에 의해 고정되지 않아, 탄성 부재(81)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Also in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wrink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the rear end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so that the rear end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is prevented from rising, and the durability of the back can be maintained. Further, since the waist-surroundin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can fit the unevenness to the wearer's body, a gap due to the unevenness can not be formed, and leakage from the back of the wearer can be suppressed. In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the fifth region R5 is disposed on an extens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constituting a part of this disclosure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isclosure, various alternative embodiments, examples and operational technique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inventive particulars of the relevant patent claims from the above description.
또, 2015년 1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50041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Further,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250041 filed on December 22, 2015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의 피트성을 높여, 착용자의 등쪽에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osable diaper capable of increasing the fitting property of the trailing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suppressing leaking from the back of the wearer.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몸통 둘레 영역
25 : 가랑이 영역
30 : 뒤몸통 둘레 영역
40 : 흡수체
40a : 흡수 코어
40b : 코어랩
50 : 톱시트(시트재)
60 : 외장 시트(시트재)
60a : 백시트(시트재)
70 : 사이드 플랩(시트재)
85 : 허리 둘레 신축부
87 : 접합부
87L : 접합부열
871 : 중앙 접합부
871L : 중앙 접합부열
872 : 사이드 접합부
872L : 사이드 접합부열
90 : 패스닝 테이프
L : 길이 방향
W : 폭방향
R1 : 제1 영역
R2 : 제2 영역
R3 : 제3 영역10: Disposable diapers
20: front waist region
25: Crotch area
30: rear waist region
40: absorber
40a: absorbent core
40b: core wrap
50: Top sheet (sheet material)
60: outer sheet (sheet material)
60a: back sheet (sheet material)
70: Side flap (sheet material)
85: waist elastic stretching part
87:
87L: Junction column
871: Central joint
871L: central joining column
872: side joint
872L: side joining column
90: Fastening tape
L: longitudinal direction
W: width direction
R1: first region
R2: second region
R3: third region
Claims (7)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되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의 한쪽 또는 양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 코어와,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와,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에 중복되어 배치되는 시트재와,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와 상기 시트재를 접합하는 접합부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접합부열을 가지며,
상기 접합부열은,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의 양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접합부를 갖지 않는 제1 영역과,
상기 허리 둘레 신축부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접합부를 갖지 않는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보다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접합부열을 갖는 제3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회용 기저귀. A front waist region, a rear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waist region to the rear waist reg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fastening tape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fix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 absorbent core extending across the crotch region toward one or both of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 waist elastic stretching portion disposed at a rear end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and extending and contracted in the width direction,
A sheet member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waist elastic member,
And a joining portion joining the waist-opening stretchable portion and the sheet member to each other is disposed at an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rst region extending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outer edges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contracting portion,
A second reg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front edge of the waist elastic expanding and contracting portion and having no joint portion;
And a third reg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region and located behind the second region and having the junction row,
Wherein the first region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core.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레그 신축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일회용 기저귀.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leg stretchable portion disposed around the wearer's leg and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rt or all of the first region is disposed in a reg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eg stretching and shrinking portion.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합부를 갖지 않는 제5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5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일회용 기저귀.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fourth region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third region,
A fifth region located between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nd having no junction,
Wherein the fifth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50041A JP6420754B2 (en) | 2015-12-22 | 2015-12-22 | Disposable diapers |
JPJP-P-2015-250041 | 2015-12-22 | ||
PCT/JP2016/084417 WO2017110336A1 (en) | 2015-12-22 | 2016-11-21 | Disposable diap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8319A true KR20180098319A (en) | 2018-09-03 |
Family
ID=5909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0947A Pending KR20180098319A (en) | 2015-12-22 | 2016-11-21 | Disposable diaper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420754B2 (en) |
KR (1) | KR20180098319A (en) |
CN (1) | CN108472171B (en) |
TW (1) | TWI716504B (en) |
WO (1) | WO201711033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23777B2 (en) * | 2018-12-07 | 2022-08-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disposable diaper |
EP3975958A1 (en) | 2019-05-31 | 2022-04-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elastic parts under tension to an advancing carrier |
JP7377969B2 (en) | 2019-11-04 | 2023-11-10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 element |
JP7521984B2 (en) | 2020-09-16 | 2024-07-24 | 花王株式会社 | Stretchable sheet for absorbent articles |
CN113081501B (en) * | 2021-05-17 | 2023-03-21 | 广东玛喜儿卫生用品有限公司 | Pressure-reduction paper diaper capable of improving waist air permeabilit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0902A (en) | 2002-08-31 | 2004-03-25 | Wakatsu Yoneda | Carriage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broken motorcycle or the lik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6000A (en) * | 1991-06-13 | 1993-03-23 | The Procto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comprising an expansive tummy panel |
US5368584A (en) * | 1992-09-25 | 1994-11-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leg feature comprising elasticized thigh panels |
US6336922B1 (en) * | 1996-06-19 | 2002-01-0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having a fit panel |
US7855316B2 (en) * | 2002-12-20 | 2010-12-2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referentially stretchable laminates with perforated layers |
JP2006181024A (en) * | 2004-12-27 | 2006-07-13 | Uni Charm Corp | Disposable wear article |
JP4912902B2 (en) * | 2007-01-31 | 2012-04-11 | 大王製紙株式会社 | Disposable paper diapers |
KR20100106969A (en) * | 2007-11-15 | 2010-10-04 | 유니 참 코포레이션 | Disposable diapers |
JP4996508B2 (en) * | 2008-03-06 | 2012-08-08 | 王子ネピア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071435B2 (en) * | 2012-11-05 | 2017-02-01 | 花王株式会社 | Unfoldable disposable diapers |
-
2015
- 2015-12-22 JP JP2015250041A patent/JP642075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11-21 KR KR1020187020947A patent/KR20180098319A/en active Pending
- 2016-11-21 WO PCT/JP2016/084417 patent/WO201711033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21 CN CN201680074542.0A patent/CN108472171B/en active Active
- 2016-12-01 TW TW105139693A patent/TWI716504B/en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0902A (en) | 2002-08-31 | 2004-03-25 | Wakatsu Yoneda | Carriage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broken motorcycle or the li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10336A1 (en) | 2017-06-29 |
JP6420754B2 (en) | 2018-11-07 |
TW201733543A (en) | 2017-10-01 |
CN108472171B (en) | 2021-10-29 |
CN108472171A (en) | 2018-08-31 |
TWI716504B (en) | 2021-01-21 |
JP2017113153A (en) | 2017-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093579B (en) | Stretchable sheet and absorbent article | |
JP4950025B2 (en) | Disposable wearing items | |
JP5306689B2 (en) | Disposable diapers | |
AU2015235782B2 (en) | Absorbent article | |
US20110106039A1 (en) | Disposable diaper | |
JP5946517B1 (en) | Disposable diapers | |
JP6694793B2 (en)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
EP2186494A1 (en) | Disposable bodily fluid absorptive wearing article of pants type | |
EP3351222B1 (en) | Disposable worn article | |
KR20180098319A (en) | Disposable diapers | |
EP2417948B1 (en) | Disposable diaper | |
KR101911758B1 (en) | Disposable diaper | |
KR20150090098A (en) | Disposable diaper | |
TW201402092A (en) | Disposable diaper | |
JP2008113684A (en) | Structure of pad-shaped diaper | |
CN113164300B (en) | Disposable diaper having a disposable diaper | |
JP7109393B2 (en) | absorbent article | |
JP2017012462A (en) | Disposable clothing article | |
JP7129799B2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KR101735791B1 (en) | Disposable nappy | |
KR101688109B1 (en) | Disposable diaper | |
KR20180023950A (en) | Panty type disposable diapers | |
EP2813197B1 (en) | Disposable diaper | |
KR102469156B1 (en) | disposable diapers | |
AU2007342936A1 (en) | Method for Making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