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95322A -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322A
KR20180095322A KR1020170021655A KR20170021655A KR20180095322A KR 20180095322 A KR20180095322 A KR 20180095322A KR 1020170021655 A KR1020170021655 A KR 1020170021655A KR 20170021655 A KR20170021655 A KR 20170021655A KR 20180095322 A KR20180095322 A KR 2018009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ms
information
messag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5286B1 (ko
Inventor
정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2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52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5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MS 도메인에서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IMS 도메인의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은,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시간이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INTERWORKING WITH HOME SUBSCRIBER SERVER FOR SMS OVER IP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IMS 도메인에서의 SMS(Short Messaging Service)를 위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IMS 도메인에서 SMS over IP를 위한 HSS(Home Subscriber server)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이 보급되면서 3G 통신망을 통한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LTE 통신망을 통한 SMS 메시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LTE 통신망을 통한 SMS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해 IMS(IP Multimedia Subsystem) 도메인의 IP-SM-GW(Internet Protocol-Short Message-GateWay)가 이용된다. IP-SM-GW는 IMS 도메인의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연동하여 SMS의 발신 또는 착신 처리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이다.
이러한 IP-SM-GW, S-CSCF 및 HSS의 연동에 관해서는 3GPP 표준 24.341에 정의되어 있다. 이 표준에 따르면, IP-SM-GW는, S-CSCF로부터 SIP NOTIFY 메시지 수신시 사용자 단말(UE)의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될 때만 HSS에 사용자 단말(UE)의 SMS over IP 수신 가용 또는 불가 정보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표준에서, IP-SM-GW는 NOTIFY 메시지를 S-CSCF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받기 위해 S-CSCF로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는 IP-SM-GW 및 S-CSCF에 부하를 가중시킨다. 또한, NOTIFY 메시지를 이용할 경우, S-CSCF에서 IP-SM-GW로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NOTIFY 메시지가 유실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상태 변경에 따라 전송되는 NOTIFY 메시지가 유실될 경우, IP-SM-GW에서는 사용자 단말(UE)의 상태 변경을 인지하지 못하고, 따라서 HSS에도 사용자 단말의 SMS over IP 가용 또는 불가에 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못하여, SMS 발신 또는 착신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SMS over IP 가용 또는 불가 정보를 HSS에 연동하는데 있어서 IMS 도메인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횟수를 줄여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SMS over IP 가용 또는 불가 정보를 HSS에 연동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의 반영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IMS 도메인의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은,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시간이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메시지가 최초로 수신되고 유효 시간이 0 보다 큰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마지막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IMS 도메인의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은,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액티브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IMS 도메인에서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는, 호 세션 제어기 및 가입자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시간이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메시지가 최초로 수신되고 유효 시간이 0 보다 큰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마지막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IMS 도메인에서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는, 호 세션 제어기 및 가입자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액티브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한 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MS 도메인에서 SMS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을 하는데 있어서 IMS 도메인의 호 세션 제어기와의 메시지 송수신 횟수를 줄여 망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MS 도메인에서 SMS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누락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입자 관리 서버에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또는 불가 정보가 정확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SS와 IP-SM-GW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SS와 IP-SM-GW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HSS와 IP-SM-GW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eNodeB(110), MME(120), S-GW(130), P-GW(140), HSS(180), IMS(IP Multimedia Subsystem) 도메인을 포함한다. 이 이동 통신 시스템은 SIP/IP(세션 개시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SMS(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그너링을 제공한다.
eNodeB(110)는 MME(120)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S-GW(130)와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MME(120)는, 사용자 단말(170)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120)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120)는 수많은 eNodeB(110)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120)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W(Serving-GateWay)(130)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110)와 P-GW(140)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70)이 eNodeB(110)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130)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130)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130)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140)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GW(140)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non-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180)는 호/세션들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지원하기 위한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이다. 상기 HSS(180)는 MME(143)와 같은 PS(Packet Switched) 도메인 엔티티들을 지원한다. 또한 MSC(Mobile Switching Centre)와 같은 CS(Circuit Switched) 도메인 엔티티들을 지원할 수 있다. HSS(180)는, IMS 도메인의 IP-SM-GW(160)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가용 또는 불가 정보를 저장하고, SMS over IP 가용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70)이 배정된 SMS over IP 처리를 수행하는 IMS 도메인의 IP-SM-GW(16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SS(180)는 사용자 단말(170)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가 있을 때, 발신측 장비로부터 라우팅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SMS over IP 가용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70)이 배정된 IP-SM-GW(160)의 주소를 응답한다.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는 UTRAN 및 E-UTRAN을 통한 IP(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도메인이고 CSCF(150) 및 IP-SM-GW(160)를 포함한다.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50)는, 호 세션 제어기로서, P-CSCF 및 S-CSCF를 포함한다. P-CSCF는 IMS 도메인에 대한 엔트리 지점이고, S-CSCF는 시그널링 평면의 중앙 노드이고, IMS 도메인을 통해 세션들을 개시하는 단말(170)들에 대한 세션 제어를 수행한다.
IP-SM-GW(160)는 IMS 도메인에서 SMS over IP 처리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이다. IP-SM-GW(160)는 S-CSCF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단말(170)에 대한 서드 파티(third party) 등록(Register) 및/또는 S-CSCF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상태(Registration status)를 포함하는 알림(NOTIFY) 메시지에 기초하여 SMS의 발신 또는 착신 과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HSS(180)와 IP-SM-GW(160)의 연동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SS(180)와 IP-SM-GW(160)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UE)(170)은 LTE 통신망에 접속하여 3GPP TS 24.228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어태치(Attach) 과정을 수행하고 HSS(180)에 등록한다(UE Registration)(S201). 이 과정은 이후의 IMS 등록(Registration)과 구별되는 LTE 등록(Registration)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70)과 P-GW(140) 간에는 베어러 설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LTE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IMS 등록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 단말(UE)(170)은 SIP 등록(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베어러를 통해 IMS 도메인의 S-CSCF로 전송한다. SIP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한 S-CSCF는 사용자 단말(170)을 수용할 IP-SM-GW(160)를 선택한다(S202).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복수의 IP-SM-GW(160)가 구축되고,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전화번호의 국번별로 IP-SM-GW(160)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010-1111-1111, 010-2222-1111 중 국번이 '1111'인 사용자 단말(170)은 IP-SM-GW 1번에서 SMS 처리를 수행하고, 국번이 '2222'인 사용자 단말(170)은 IP-SM-GW 2번에서 SMS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사용자 단말(170)별로 IP-SM-GW(160)가 할당될 수 있다.
IP-SM-GW(160)를 선택한 후, S-CSCF는 그 선택한 IP-SM-GW(160)로 SIP REGISTER 메시지를 전송한다(S203). SIP REGISTER 메시지에는 IMS 도메인에서의 사용자 단말(170)의 주소, 유효 시간(Expires),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예, MSISDN) 등을 포함하고, 유효 시간은 0보다 큰 값을 갖는다. IP-SM-GW(160)는 SIP REGISTER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S-CSCF로 전송한다(S204).
IP-SM-GW(160)는, 상기 단계 S203에서 수신된 SIP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을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170)이 최초 등록하는 것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 시간은 0보다 크고 따라서 IP-SM-GW(160)는 사용자 단말(170)을 대신하여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HSS(180)에게 알리기 위해 MAP(Mobile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에 따른 ATM(AnyTimeModification) 메시지를 HSS(180)에 전송한다(S205). 이 ATM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식별정보(예컨대, MSISDN), IP-SM-GW(160)의 주소,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가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별도로 SMS over IP 가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IP-SM-GW(160)의 주소로 그 정보를 대체할 수 있다. ATM 메시지를 수신한 HSS(180)는 ATM 응답(response)를 IP-SM-GW(160)로 전송하고(S206), 가입자 정보에 사용자 단말(170)이 SMS over IP가 가능함을 기록하고 IP-SM-GW(160)의 주소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70)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에 대한 라우팅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IP-SM-GW(160)의 주소를 회신할 수 있다. .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70)의 IMS 등록이 완료되고 난 후, S-CSCF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SIP REGISTER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S207). 여기서 상태 정보는 유효 시간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70)이 IMS 등록 상태이면 유효 시간은 0보다 크고, IMS 등록 해제 상태이면 유효 시간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IP-SM-GW(160)는 S-CSCF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SIP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지 확인한다(S208). 유효 시간이 0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170)은 계속 IMS 등록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IP-SM-GW(160)는 HSS(180)와 연동하지 않는다. 반면, SIP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 경우, 사용자 단말(170)은 IMS 등록 해제 상태이므로, IP-SM-GW(160)는 사용자 단말(170)의 SMS 메시지 수신 불가를 알리기 위해 HSS(180)에게 MAP 프로토콜에 따른 ATM 메시지를 HSS(180)에 전송한다(S209). 이 ATM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식별정보(예컨대, MSISDN), IP-SM-GW(160)의 주소,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불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별도로 SMS over IP 불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IP-SM-GW(160)의 주소를 널(Null)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ATM 메시지를 수신한 HSS(180)는 가입자 정보에 사용자 단말(170)이 SMS over IP가 불가함을 기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70)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에 대한 라우팅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불가를 안내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S-CSCF와 IP-SM-GW(160)는 NOTIFY 메시지 대신에 SIP REGISTER 메시지를 이용하여 연동한다. 종래에 S-CSCF와 IP-SM-GW(160)는 3GPP 24.341에 따라 NOTIFY 메시지로 연동한다. NOTIFY 메시지로 연동하기 위해, IP-SM-GW(160)는 HSS(180)로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므로, S-CSCF와 IP-SM-GW(160) 간의 연동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S-CSCF와 IP-SM-GW(160)는 NOTIFY 메시지 대신에 SIP REGISTER 메시지를 이용하여 연동함으로써, SUBSCRIBE 메시지 및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연동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IP-SM-GW(160)는 단계 207에서 수신된 SIP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지 확인하고 유효 시간이 0인 경우에 HSS(180)에 SMS over IP 불가를 알린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IP-SM-GW(160)는 유효 시간이 0인 SIP REGISTER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이전에 수신되었던 SIP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도 HSS(180)에 SMS over IP 불가를 알릴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SIP REGISTER 메시지가 수신되어야 하는데, 중간에 유실되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전에 이미 수신되었던 SIP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던 유효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HSS(180)에 SMS over IP 불가를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SS(180)와 IP-SM-GW(160)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UE)(170)은 LTE 통신망에 접속하여 3GPP TS 24.228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어태치(Attach) 과정을 수행하고 HSS(180)에 등록한다(UE Registration)(S301). 이 과정은 이후의 IMS 등록(Registration)과 구별되는 LTE 등록(Registration)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70)과 P-GW(140) 간에는 베어러 설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LTE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IMS 등록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 단말(UE)(170)은 SIP 등록(REGISTER) 메시지를 상기 베어러를 통해 IMS 도메인의 S-CSCF로 전송한다. SIP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한 S-CSCF는 사용자 단말(170)을 수용할 IP-SM-GW(160)를 선택한다(S302).
IP-SM-GW(160)를 선택한 후, S-CSCF는 그 선택한 IP-SM-GW(160)로 SIP REGISTER 메시지를 전송한다(S303). SIP REGISTER 메시지에는 IMS 도메인에서의 사용자 단말(170)의 주소, 유효 시간(Expires), 사용자 단말(170)의 식별정보(예, MSISDN) 등을 포함하고, 유효 시간은 0보다 큰 값을 갖는다. IP-SM-GW(160)는 SIP REGISTER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S-CSCF로 전송한다(S204).
IP-SM-GW(160)는, 사용자 단말(170)에 대한 최초의 SIP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사용자 단말(170)의 등록 상태(registration status)를 주기적으로 통보받기 위해 HSS(180)로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한다(S305). SUBSCRIBE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로서 사용자 단말(170)의 IMS 도메인에서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HSS(180)는 SUBSCRIB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SUBSCRIBE 메시지를 수신한 HSS(18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170)의 등록 상태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06에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 후 HSS(180)는 처음으로 NOTIFY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 이때 NOTIFY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 정보로서 액티브(active)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IP-SM-GW(160)는 최초로 수신된 NOTIFY 메시지에 액티브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70)을 대신하여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HSS(180)에게 알리기 위해 MAP(Mobile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에 따른 ATM(AnyTimeModification) 메시지를 HSS(180)에 전송한다(S308). 이 ATM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식별정보(예컨대, MSISDN), IP-SM-GW(160)의 주소,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가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별도로 SMS over IP 가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IP-SM-GW(160)의 주소로 그 정보를 대체할 수 있다. ATM 메시지를 수신한 HSS(180)는 ATM 응답(response)를 IP-SM-GW(160)로 전송하고(S309), 가입자 정보에 사용자 단말(170)이 SMS over IP가 가능함을 기록하고 IP-SM-GW(160)의 주소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70)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IP-SM-GW(160)로 전송할 수 있다.
S-CSCF는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IP-SM-GW(160)로 전송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70)이 전원을 오프하는 등의 LTE 등록 해제(deregistration)를 할 수 있다(S310). LTE 등록 해제의 절차는 3GPP TS 24.288를 참조할 수 있다. LTE 등록 해제를 함에 따라 IMS 등록 해제 절차도 진행되고, 따라서 S-CSCF는 유효 시간이 0으로 설정된 REGISTER 메시지와 상태 변경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S-CSCF는 NOTIFY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를 그 이후에 전송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SCF는 사용자 단말(170)이 IMS 등록 해제되었으므로 상태 정보로서 terminated가 포함된 NOTIFY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S311). 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IP-SM-GW(160)는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가 등록 상태에서 등록 해제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하고, 따라서 사용자 단말(170)의 SMS 메시지 수신 불가를 알리기 위해 HSS(180)에게 MAP 프로토콜에 따른 ATM 메시지를 전송한다(S312). 이 ATM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식별정보(예컨대, MSISDN), IP-SM-GW(160)의 주소,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불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별도로 SMS over IP 불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IP-SM-GW(160)의 주소를 널(Null)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HSS(180)는 ATM 메시지에 대한 ATM 응답을 IP-SM-GW(160)로 전송한다(S313). ATM 메시지를 수신한 HSS(180)는 가입자 정보에 사용자 단말(170)이 SMS over IP가 불가함을 기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70)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에 대한 라우팅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불가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SCF는 NOTIFY 메시지와는 별도로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S314). IP-SM-GW(160)는 그 수신된 REGISTER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이므로 사용자 단말(170)이 IMS 등록 해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70)의 IMS 등록 해제시, S-CSCF가 IP-SM-GW(160)로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추가적으로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유는, NOTIFY 메시지가 유실되어 IP-SM-GW(160)가 사용자 단말(170)의 IMS 등록 해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GPP 표준에 따르면, IP-SM-GW(160)는, NOTIFY 메시지 수신시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될 때 HSS(180)와 연동을 한다. 이상의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IP-SM-GW(160)는 terminated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 수신 이후에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므로, terminated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의 수신 시점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므로 HSS(180)와 연동을 한다. 그러나,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를 먼저 수신한 후 terminated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 수신시, 그 NOTIFY 메시지의 수신 시점에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는 등록 해제 상태이므로, IP-SM-GW(160)는 HSS(180)와 연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HSS(180)에 사용자 단말(180)의 SMS over IP 불가 정보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IP-SM-GW(160)는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의 수신 시점과 무관하게, terminated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 수신시 무조건 HSS(180)와 연동을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HSS(180)와 IP-SM-GW(160)의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도 4의 실시예에서 도 3과 동일한 참조번호의 단계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70)이, LTE 등록 및 IMS 등록을 하여 HSS(180)에 SMS over IP 가용 상태가 등록된 후, LTE 등록 및 IMS 등록을 해제한다(deregistration)(S301 내지 S310). 따라서 S-CSCF는 유효 시간이 0으로 설정된 REGISTER 메시지와 상태 변경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S-CSCF는 유효 시간이 0으로 설정된 REGISTER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S401), 상태 변경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후에 전송한다(S402).
3GPP 표준에 따르면, NOTIFY 메시지 수신 시에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될 때, IP-SM-GW(160)는 HSS(180)와 연동을 한다. 따라서, 3GPP 표준에 따르면, IP-SM-GW(160)는, 상태 변경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이미 유효 시간이 0으로 설정된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가 등록 해제된 것을 알고 있으므로, 상태 변경에 따른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HSS(180)와 연동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IP-SM-GW(160)는, 사용자 단말(170)의 상태와 무관하게, terminated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 수신시 HSS(180)와 연동을 한다. 즉 terminated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IP-SM-GW(160)는, 사용자 단말(170)의 SMS 메시지 수신 불가를 알리기 위해 HSS(180)에게 MAP 프로토콜에 따른 ATM 메시지를 전송한다(S403). 이 ATM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70)의 식별정보(예컨대, MSISDN), IP-SM-GW(160)의 주소,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불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별도로 SMS over IP 불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IP-SM-GW(160)의 주소를 널(Null)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HSS(180)는 ATM 응답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한다(S404). ATM 메시지를 수신한 HSS(180)는 가입자 정보에 사용자 단말(170)이 SMS over IP가 불가함을 기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70)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에 대한 라우팅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불가를 안내할 수 있다.
이상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70)이 LTE 등록 해제 및 IMS 등록 해제가 될 때, S-CSCF는 상태 변경에 따른 NOTIFY 메시지뿐만 유효 시간이 0인 REGISTER 메시지를 IP-SM-GW(160)로 전송하여, IP-SM-GW(160)에서 사용자 단말(170)의 등록 해제 상태를 누락없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HSS(180)에도 사용자 단말(170)의 SMS over IP 불가 정보가 등록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장비는, HSS(180) 또는 IP-SM-GW(160)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용의 장비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통신 회로(5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SS(180) 또는 IP-SM-GW(16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HSS(180) 또는 IP-SM-GW(16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530)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530)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252)는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방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5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5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eNodeB
120 : MME
130 : S-GW
140 : P-GW
150 : CSCF
160 : IP-SM-GW
170 : 사용자 단말(UE)
180 : HSS

Claims (14)

  1. IMS(IP Multimedia Subsystem) 도메인의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시간이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메시지가 최초로 수신되고 유효 시간이 0 보다 큰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마지막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IMS 도메인의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액티브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IMS 도메인에서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호 세션 제어기 및 가입자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시간이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메시지가 최초로 수신되고 유효 시간이 0 보다 큰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0인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마지막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2. IMS 도메인에서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에 잇어서,
    호 세션 제어기 및 가입자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액티브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가용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로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MS 수신 불가 정보를 전송한 후에,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유효 기간이 0인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
KR1020170021655A 2017-02-17 2017-02-17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ctive KR10276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655A KR102765286B1 (ko) 2017-02-17 2017-02-17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655A KR102765286B1 (ko) 2017-02-17 2017-02-17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322A true KR20180095322A (ko) 2018-08-27
KR102765286B1 KR102765286B1 (ko) 2025-02-06

Family

ID=6345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655A Active KR102765286B1 (ko) 2017-02-17 2017-02-17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52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90B1 (ko) * 2002-05-07 2007-05-04 노키아 코포레이션 보안 연계 수명을 제어하는 방법 및 통신 시스템
EP1942685A1 (de) * 2007-01-08 2008-07-09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erfahren und Einrichtungen für die Übertragung einer Kurznachricht über ein IMS-Netzwe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90B1 (ko) * 2002-05-07 2007-05-04 노키아 코포레이션 보안 연계 수명을 제어하는 방법 및 통신 시스템
EP1942685A1 (de) * 2007-01-08 2008-07-09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erfahren und Einrichtungen für die Übertragung einer Kurznachricht über ein IMS-Netzwe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5286B1 (ko) 202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8043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gnalling information relating to network's capabilities
US10805355B2 (en) Network initiated CS services during IMS call
US20100302937A1 (en)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ircuit Domain Fallback
EP3257201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essaging gateways
CN101500212A (zh) 分组域用户处理电路域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CN113785552B (zh) 会话管理功能选择
WO2013004300A2 (en) Direct message delivery mechanism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over ip
US20130309993A1 (en) Mobile communications method and call session control node
US100917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35485B2 (en) Call routing
KR20160103092A (ko) 호출 제어 장치와 사용자 서비스 처리 방법
CN103096243A (zh) 终端的呼叫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5134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재등록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130272267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server
US9374761B2 (en) Routing terminating call to user equipment via control nodes
US20140324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KR2017009855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157429A1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US20150030019A1 (en) Mobile switching center acting as a short message service gateway
KR101511439B1 (ko) Ims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호제어 기능장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 ims 프로파일 동기화 방법
CN108540428B (zh) 业务处理方法、设备及系统
US2007013512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lls in a radiocommunication network
KR102765286B1 (ko)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951970B1 (en) Service control awareness for call routing between packet switched telephony domain and circuit switched telephony domain
US10045267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redirection of a media session to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7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