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94673A -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673A
KR20180094673A KR1020170021116A KR20170021116A KR20180094673A KR 20180094673 A KR20180094673 A KR 20180094673A KR 1020170021116 A KR1020170021116 A KR 1020170021116A KR 20170021116 A KR20170021116 A KR 20170021116A KR 20180094673 A KR20180094673 A KR 2018009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late
mold
deck
sh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박중걸
강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2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4673A/ko
Publication of KR2018009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67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1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for dou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 플레이트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데크 플레이트; 및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매립되어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이격 공간으로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전단응력 및 수직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전단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Double plate wa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및 수평 전단성능 및 부착성능이 강화되며,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어 현장 타설 대비 빠른 시공이 가능한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 벽체는 구조물의 연직 하중을 전달하는 수직 부재이면서도 수평 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이 우수하여 초고층 빌딩의 전단벽이나 옹벽으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기둥과 보 없이 벽체와 슬래브만으로 구성되는 벽식구조는 층고를 줄이고 공사비 절감에 효과적이어서 아파트 공사에 많이 채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현장타설 RC(Reinforced concrete) 벽체는 철근배근 및 거푸집 설치/해체 등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공기단축에 대한 요구가 높다. 특히, 최근 벽체의 배치가 형상이 다양해지고, 인건비 상승 및 숙련공 부족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서 기존의 현장타설 RC 벽체는 시공성이나 경제성면에서 점점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한편, 공기 단축을 위해 PC(Precast concrete) 공법이 적용 가능한데, 기존의 PC 벽체는 고성능 양중 장비가 요구되고 요소 부재간 접합에 어려움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최근에는 전술한 RC 벽체 공법 및 PC 벽체 공법의 대안으로 이중벽체 공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중벽체 공법은 기존의 PC 공법과 현장타설 RC 공법의 장점을 절충한 것으로, 일종의 부분 PC(Half-PC) 공법이다. 이중의 PC 패널과 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로 구성된 중공 PC 벽체를 공장에서 선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중공부에 심부 콘크리트만 채우는 방식이다. 중공부로 인해 양중 무게가 크게 줄어들며, 현장타설 심부 콘크리트로 인해 접합부의 일체성이 확보되므로 내진성능 등 구조안전성 뿐 아니라, 방음, 방수, 단열 등의 사용성도 개성된다.
이와 같은 이중벽체 공법은 인건비가 높은 유럽 등지에서 활발히 연구 및 적용되고 있는데, 현지에서는 더블 월(Double wall) 또는 트윈 월(Twin wall)로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중의 PC 패널을 연결하는 보강재로는 래티스거더(Latteice girder) 또는 타이철근(Steel ties) 등이 사용되며, 제작방식에 따라 크게 회전성형식과 배터리성형식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57033호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전단성능 및 부착성능이 강화되며,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어 현장 타설 대비 빠른 시공이 가능한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 플레이트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데크 플레이트; 및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매립되어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이격 공간으로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전단응력 및 수직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전단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격 공간에 타설되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들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홈부와 상기 홈부 사이의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면의 길이가 상기 홈부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 플레이트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데크 플레이트; 상기 이격 공간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하는 단열 플레이트;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이격 공간으로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전단응력 및 수직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전단연결부재; 및 일측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타측은 상기 단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타측의 일부가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마감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타이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격 공간에 타설되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들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홈부와 상기 홈부 사이의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면의 길이가 상기 홈부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매립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단연결부재의 일부를 매립하여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몰드 블록들과 대응되는 홈부들이 형성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몰드 블록과 상기 몰드 블록 사이의 길이가 상기 몰드 블록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홈부와 전단키가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격 공간으로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부착력이 향상된다.
특히, 데크 플레이트는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경제적인 이중 플레이트 벽체를 제작하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홈부에 전단키를 형성함으로써 이격 공간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 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및 수평 전단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특히, 전단키의 형성으로 데크 플레이트와 마감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전단연결부재의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홈부에 형성된 전단키에 의해 수직 및 수평 전단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내진성능에 유리한 골조구조로 시공할 수 있으며, 거푸집 대용으로도 적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 중 데크 플레이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크 플레이트를 전면에서 본 전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플레이트 벽체 중 전단연결부재가 도시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데크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가 제조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가 제조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를 수평방향으로 연속 설치 시공하는 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29는 도 28에 따라 연속 설치 시공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와 이를 제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는 마감 플레이트(100), 데크 플레이트(200) 및 전단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는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평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므로, 단면이 다양한 형상의 평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400)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는 전면(미표기), 후면(미표기), 하면(210a), 상면(210b), 좌측면(210c) 및 우측면(210d)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의 몸체(210)를 포함하는데, 상기 몸체(21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기 몸체(210) 내부에는 상기 몸체(210)의 강도를 보강하며 상기 몸체(210)의 뼈대로 구성되는 와이어 메쉬(211, 213)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 메쉬(211, 213) 외에 프리텐션(강연선, 미도시)도 매립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리텐션(미도시)은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210)에는 상기 이격 공간(400)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미도시)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상기 몸체(21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상기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230)들이 상기 몸체(210)의 상면(210b)에 형성된다. 상기 홈부(230)들은 상기 몸체(210)의 상면(210b)에서 하면(210a)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230)의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상면(210b)에서 상기 하면(210a)을 향할수록 짧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는 3 개의 상기 홈부(230)들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상기 홈부(230)들 사이의 길이(E)는 등간격을 갖는다. 상기 홈부(230)들은 상기 몸체(210)의 폭 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230)를 기준으로 나머지 상기 홈부(230)들이 대칭을 이룬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이격 공간(400)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미도시)의 성상(性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웃하는 상기 홈부(230)와 상기 홈부(230) 사이의 상기 몸체(210) 상면의 길이(A)는 상기 홈부(230)의 상측 폭 방향의 길이(B)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몸체(210) 상면의 길이(A)에 대한 상기 홈부(130) 상측 폭 방향의 길이(B)의 상대비는 0 보다 크고 0.4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210) 상면의 길이(A)에 대한 상기 홈부(130) 상측 폭 방향의 길이(B)의 상대비가 0.2로써, 상기 몸체(110) 상면의 길이(A)가 500mm 이면 상기 홈부(130) 상측 폭 방향의 길이(B)는 100mm 이다.
또한, 상기 몸체(210)의 높이(C)에 대한 상기 홈부(230)의 깊이(D)의 상대비는 0 보다 크고 0.5 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210)의 높이(C)가 80mm 이며, 상기 홈부(230)의 깊이(D)는 30mm로써, 상기 몸체(210)의 높이(C)에 대한 상기 홈부(230)의 깊이(D)의 상대비가 0.375 이다.
즉, 단순히 이웃하는 상기 홈부(230)와 상기 홈부(230) 사이의 상기 몸체(210)의 상면의 길이(A)가 상기 홈부(230)의 상측 폭 방향 길이(B)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홈부(230) 깊이의 길이(D)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상대비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홈부(23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는 이러한 상대비에 따라 상기 몸체(210)에 상기 홈부(230)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210)에 상기 홈부(230)들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는 전체적으로 평면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홈부(230)는 상기 몸체(210)의 폭 방향과 나란한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 홈부(230)는 상기 상면(210b)의 선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제1 내측 경사면(231)과, 상기 제1 내측 경사면(231)과 상호 대칭인 제2 내측 경사면(233)을 포함한다. 이대, 상기 제1 내측 경사면(231)의 단부와 상기 제2 내측 경사면(233)의 단부가 서로 접한다.
상기 홈부(230)의 상기 제1 내측 경사면(231) 및 상기 제2 내측 경사면(233)에는 상기 몸체(210)로 가해지는 수직 및 수평 전단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홈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전단키(250)들이 형성된다.
상기 전단키(250)는 각각 제1 내측 경사면(231) 및 상기 제2 내측 경사면(233)의 상단 즉, 상기 몸체(210)의 상면(210b)으로부터 경사방향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 경사면(231) 및 상기 제2 내측 경사면(233)과 나란한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측 경사면(231) 및 상기 제2 내측 경사면(233)과 나란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홈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는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에 매립되고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 매립되어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연결하며,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에 가해지는 수평 전단응력 및 수직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는 트러스거더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는 상기 몸체(210)의 측면(210c, 210d)과 이웃하는 상기 홈부(230) 사이, 상기 홈부(230)와 상기 홈부(230) 사이의 상기 몸체(210)에 설치된다. 다만, 상기 홈부(230)와 상기 홈부(230) 사이의 상기 몸체(210)에는 트러스거더 형태의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아닌 후술되는 래티스 바(310)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하중을 많이 받는 상기 몸체(210)의 측면(210c, 210d)과 이웃하는 상기 홈부(230) 사이에는 트러스거더 형태의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설치되되, 하중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상기 홈부(230)와 상기 홈부(230) 사이의 상기 몸체(210)에는 상기 래티스 바(310)만 설치하여 철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를 살펴보면,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는 상부근(330), 하부근(320a, 320b) 및 래티스 바(310)를 포함하여 상기 트러스거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근(330)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철근이다. 상기 하부근(320a, 320b)은 상기 상부근(330)과 마찬가지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철근이며, 상기 상부근(330)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되 상기 상부근(330)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래티스 바(310)는 일측은 상기 상부근(330)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하부근(320a, 320b)에 접하여 상기 상부근(330)과 상기 하부근(320a, 320b)을 연결하면서 고정된다.
상기 래티스 바(310)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래티스 바(310)는 복수 개의 수직철근(311)들, 하나의 상기 수직철근(311)의 상측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철근(311)의 하측을 연결하는 경사근(312)들, 하나의 상기 수직철근(311)의 상측과 이웃하는 하나의 상기 경사근(312)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측 절곡부(313)들, 하나의 상기 경사근(312)의 하측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철근(311)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측 절곡부(314)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래티스 바(310)는 'N' 형상이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티스 바(310)의 상기 상측 절곡부(313)가 상기 상부근(330)과 접하고, 상기 하측 절곡부(314)가 상기 하부근(320a, 320b)에 접하면서 상기 래티스 바(310)가 상기 상부근(330)과 상기 하부근(320a, 320b)을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도 복수 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씩 구비되는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때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래티스 바(310)의 'N' 형상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종래에는 래티스 바가 'W'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종래 `W` 형상의 래티스 바는 자동 생산되는 기성품으로써, 전단 균열이 발생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 및 전단 균열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런데 전단 균열이 발생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과 같은 방향은 전단 저항에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에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 할 때 이격 간격을 200mm로 한정할 수밖에 없고, 이 때문에 전단 철근이 과(過) 보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래티스 바(310)를 `N`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 설치할 때 설치 간격을 200mm 이상으로 할 수 있어 철근량 절감, 가공비 절감 및 용접비 절감 등으로 구조적 성능 증대 뿐 아니라 경제적 절감 효과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데크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전단키(250`)에 대해서만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전단키(2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단키(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 사이의 상기 이격 공간(400)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전단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단키(250`)는 상기 제1 내측 경사면(231)과 상기 제2 내측 경사면(233)의 경사방향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몸체(210)의 상면(210b)까지 연장되는 제1 홈(251`)과, 상기 제1 홈(25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몸체(210)의 상면(210b)에 폭 방향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2 홈(253`)으로 형성된다. 이렇듯,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단키(250`)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단키(250)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격 공간(400)에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전단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에 보다 더 강하게 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200`)에 상기 홈부(2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격 공간(400)으로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홈부(230)에는 상기 전단키(250, 25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전단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에 저항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200`)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230)로 인해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중량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를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홈부(230)로 인해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만큼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가 도시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와 비교하여 보면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사이에 단열 플레이트(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는 예시적으로 압출법 단열재, 기포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를 건축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열 보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사이에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연결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연결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는 일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만 매립되어 설치된다.
한편,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와 마찬가지로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상에 돌출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상에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50)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에는 연결부재(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 양 측 중 적어도 일 측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일측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내부에 매립된다. 상기 연결부재(60)의 타측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 측면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가 수평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설치될 때,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를 수평 방향으로 연속 배치할 때에는 상기 연결부재(60)의 돌출된 타측이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를 향하며,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의 일부가 매립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몸체(210)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10)을 준비한다. 상기 거푸집(10)은 하면(11)과, 상기 하면(11)의 각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12), 후면(13), 측면(14, 15)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푸집(10)은 상면(미표기)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미표기)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 거푸집(10)이 준비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을 설치하기 전, 상기 거푸집(10)의 내부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뼈대를 형성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 메쉬(211, 213)들이 배근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 메쉬(211, 213)들과 함께 프리텐션(강연선)이 배근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210)의 강도 향상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프리텐션(강연선)을 배근한다.
상기 와이어 메쉬(211, 213)들은 상기 거푸집(10)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배근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메쉬(211, 213) 상에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푸집(10)에 상기 와이어 메쉬(211, 213)들과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이 설치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홈부(23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블록(30, 30`)들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홈부(230)가 형성될 때에는 상기 홈부(230)에 형성되는 상기 전단키(250)도 상기 홈부(230)와 동시에 형성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홈부(230)와 전단키(25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블록(3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몰드 블록(30)은 상면(31)과, 상기 상면(31)의 폭 방향 양 측에서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는 경사측면(32a, 32b)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측면(32a, 32b)들은 상호 대칭되어 상기 거푸집(10)의 전면과 나란한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몰드 블록(30)의 폭 방향 길이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짧게 형성된다. 상호 대칭되는 상기 경사측면(32a, 32b)들의 선단은 상호 접하여 상기 단면이 역삼각형의 형상인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몰드 블록(30)의 길이는 상기 거푸집(10)의 전면(12)에서 후면(13)까지의 길이와 대응된다.
상기 몰드 블록(30)의 경사측면(32a, 32b)에는 각각 상기 홈부(230)에 형성되는 상기 전단키(250)를 형성할 수 있는 돌기(35)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5)는 상기 몰드 블록(30)의 상면(31)으로부터 상기 경사측면(32a, 32b)의 경사 방향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경사측면(32a, 32b)으로부터 설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35)는 상기 양 측면(32a, 32b)에 나란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 돌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돌기(35)는 상기 경사측면(32a, 32b)에 상기 몰드 블록(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몰드 블록(30)을 상기 거푸집(10)에 설치한다. 상기 몰드 블록(30)들이 상기 거푸집(10)에 설치될 때에는, 이웃하는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과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 사이의 길이(A`)가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의 길이(B`)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예시적으로는 이웃하는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과 상기 몰드 블록 상며 사이의 길이(A`)에 대한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 길이(B`)의 상대비는 0 보다 크고 0.4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 길이(B`)가 100mm 이며,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과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 사이의 길이(A`)가 500mm 이다. 따라서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과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 사이의 길이(A`)에 대한 상기 몰드 블록(30) 상면 길이(B`)의 상대비는 0.2 이다.
또한, 상기 거푸집(10)의 높이(C`)에 대한 상기 몰드 블록(30)의 높이(D`)의 상대비는 0 보다 크고 0.5 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푸집(10)의 높이(C`)가 80mm 이며, 상기 몰드 블록(30)의 높이(D`)는 30mm로, 상기 거푸집(10)의 높이(C`)에 대한 상기 몰드 블록(30)의 높이(D`)의 상대비가 0.375 이다.
상기 몰드 블록(30)은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거푸집(10)에 설치된다. 상기 거푸집(10)의 전면(12)과 후면(13)에는 상기 체결부재(B)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12a, 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2a, 13a)은 상기 전면(!2)과 상기 후면(130)에 각각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210)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230)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몰드 블록(30)의 전면(32)과 후면(미표기)에도 상기 체결부재(B)가 체결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32a, 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몰드 블록(30)의 상기 체결홀(32a, 미도시)이 상기 거푸집(10)의 상기 홀(12a, 13a)과 동축으로 정렬되게 배치한 후, 상기 체결부재(B)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몰드 블록(30)이 상기 거푸집(10)에 고정되며 설치된다.
상기 몰드 블록(30)들이 상기 거푸집(10)에 설치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블록(30)의 상면(31)이 상기 거푸집(10)의 개방된 상면(미표기)과 동일면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0)에 상기 몰드 블록(30)들까지 설치된 후에는 상기 거푸집(1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의 일부가 매립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몸체를 형성하고, 이때 상기 몰드 블록(30)에 의해 상기 몸체(210)와 함께 상기 홈부(230) 및 상기 전단키(250)가 동시에 형성된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에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제작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상기 테크 플레이트(200)와 비교할 때 상기 홈부(230)에 형성되는 상기 전단키(250`)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홈부(230)와 상기 전단키(250`)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몰드 블록(30`)은 상면(미표기)과, 상기 상면(미표기)으로 폭 방향 양 측에서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는 경사측면(32)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측면(32)들은 상호 대칭된다. 따라서 상기 몰드 블록(30`)의 폭 방향 길이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짧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측면(32)들의 선단은 상호 접하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10)의 전면과 나란한 상기 몰드 블록(30`)의 단면은 역삼각형 이며, 상기 몰드 블록(30`)은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몰드 블록(30`)은 상기 상면(미표기) 상에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1`)는 폭 방향의 상기 상면(미표기)의 폭 방향보다 더 길게 연장되며, 평면의 플레이트이다.
한편, 상기 몰드 블록(30`)의 경사측면(32)들에는 상기 홈부(230)에 형성되는 상기 전단키(250`)를 형성할 수 있는 돌기(35`)들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35`)들은 상기 경사측면(32)의 경사방향 설정위치 즉, 경사방향 중앙에서 상기 상면(미표기)으로 연장되는 제1 돌기면(35`a)과, 상기 제1 돌기면(35`a)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몰드 블록(3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면(35`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돌기면(35`a)은 상기 경사측면(32)에 면접촉하고, 상기 제2 돌기면(35`b)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1`)에 면접촉하며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몰드 블록(30`)을 상기 거푸집에 설치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몰드 블록(30`)의 전면(32)과 후면(미표기)에도 상기 체결홀(미표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푸집(10)의 전면(12) 및 후면(13)에도 홀(12a, 1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홀(미표기)과 상기 홀(12a, 13a)이 동축으로 정렬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체결부재(B)를 이용하여 상기 몰드 블록(30`)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몰드 블록(30`)이 상기 거푸집에 설치된다.
상기 몰드 블록(30`)들이 상기 거푸집(10)에 설치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블록(30`)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31`) 하측면이 상기 거푸집(10)의 개방된 상면(미표기)과 동일면을 이룬다. 이와 같이 상기 몰드 블록(30`)들이 상기 거푸집에 설치된 후, 상기 거푸집(1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면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기 몸체(210)와, 상기 홈부(230) 및 상기 전단키(250`)가 동시에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20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를 제작할 거푸집(10a)을 준비한다.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를 제작하기 위한 상기 거푸집(10a)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200`)를 제작하기 위한 상기 거푸집(10)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를 제작하기 위한 상기 거푸집(10a)의 높이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200`)를 제작하기 위한 상기 거푸집(10)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10a)이 준비되면, 상기 거푸집(10a)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단, 상기 거푸집(10a)의 내부로 콘크리트(100a)를 타설하기 전, 상기 거푸집(10a)의 내부에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의 뼈대를 이루는 와이어 메쉬(111, 113)들을 배근한다.
상기 거푸집(10a)의 내부로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100a)가 양생되기 전, 선 제작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하를 반전시켜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이 상기 콘크리트(100a)를 향하게 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로부터 돌출된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의 일부를 상기 콘크리트(100a)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10a)으로 제작될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사이에 형성될 이격 공간(400)의 폭에 유의하여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를 상기 콘크리트(100a)에 삽입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100a)를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10a)을 제거하면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의 제작이 완료되면서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플레이트 벽체는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의 일부가 매립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단열 플레이트(500)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몸체(210)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10)을 준비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0)의 내부에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을 설치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을 설치하기 전에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뼈대를 형성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 메쉬(211, 213)들이 배근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300)들이 설치된 후에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결합되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와 상기 전단연결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된다.
도 23에는 상기 고정부재(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고정부재(5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제1 고정철근(51)들, 상기 제1 고정철근(51)들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고정철근(52), 상기 제1 고정철근(51)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고정철근(51)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2 고정철근(5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철근(53) 및 상기 제1 고정철근(51)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고정철근(51)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2 고정철근(5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고정철근(5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철근(51)들의 높이는 상기 전단연결부재(3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형성하면, 상기 제1 고정철근(51)의 일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결합되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거푸집(10) 내부에는 상기 연결보강부재(60)도 설치된다. 상기 연결보강부재(60)는 상기 거푸집(10)의 폭 방향 양 측 중 적어도 한 측에 상기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된다. 상기 연결보강부재(60)의 일측은 상기 거푸집(10)의 내부에 위치하되, 타측은 상기 거푸집(10)의 외부로 돌출된다. 특히, 상기 거푸집(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보강부재(60)의 타측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0)에 상기 전단연결부재(300), 상기 고정부재(50) 및 상기 연결보강부재(60)가 모두 설치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홈부(230)와 전단키(25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블록(30)이 설치된다. 상기 몰드 블록(3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를 제조할 때의 상기 몰드 블록(3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푸집(10)에 상기 몰드 블록(30)을 설치한 상태로 상기 거푸집(1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를 형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제1 고정철근(51)의 일부 및 상기 제2 고정철근(52)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보강부재(60)의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와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결합시킨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는 예시적으로 비드법 또는 압출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0)가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를 관통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 상에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가 결합된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까지 결합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를 제작하기 위한 상기 거푸집(10a)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10a)의 내부에 와이어 메쉬(111, 113)들을 배근하고, 상기 거푸집(10a)의 내부로 콘크리트(100a)를 타설한다.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100a)가 양생되기 전, 선 제작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상하를 반전시켜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가 상기 콘크리트(100a)를 향하게 한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5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50)가 상기 콘크리트(100a)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때,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제2 고정철근(52)이 상기 와이어 메쉬(111, 113)와 접하여 고정된다. 상기 콘크리트(100a)가 양생되어 상기 거푸집(10a)을 제거하면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의 제작이 완료되면서 상기 이주 플레이트 벽체(1000`)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는 수평방향으로도 연속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가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설치될 때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강부재(60)의 돌출된 일부가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이격 공간(400)으로 삽입된다.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가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설치될 때,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 사이에는 연결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보강부재(60)가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이격 공간(400)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70)가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위치로 배치되기가 쉬워진다.
또한,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이격 공간(400)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가 상기 연결보강부재(60)와 접합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들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70)가 구비된다. 도 29에는 상기 연결부재(7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71)들, 상기 제1 플레이트(71)들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72) 및 각각의 상기 제1 플레이트(71) 타단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72)와 나란한 방향이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플레이트(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71)들과 상기 제2 플레이트(72)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70)가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2 플레이트(72)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200)의 외측면 또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100)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3 플레이트(73)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의 상기 이격 공간(400)에 위치하면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와 결합된다. 이렇듯, 상기 연결부재(70)가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 사이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중 플레이트 벽체(1000`)와 동일면을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1000`: 이중 플레이트 벽체
100: 마감 플레이트 111, 113: 와이어 메쉬
200, 200`: 데크 플레이트 211, 213: 와이어 메쉬
230: 홈부 231: 제1 내측 경사면
233: 제2 내측 경사면 250, 250`: 전단키
251`: 제1 홈 253`: 제2 홈
300: 전단연결부재 310: 래티스 바
320a, 320b: 하부근 330: 상부근
10, 10a: 거푸집 30, 30`: 몰드 블록
32a, 32b: 경사측면 35, 35`: 돌기

Claims (14)

  1.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 플레이트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데크 플레이트; 및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일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매립되어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이격 공간으로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전단응력 및 수직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전단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격 공간에 타설되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들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홈부와 상기 홈부 사이의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면의 길이가 상기 홈부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
  2.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마감 플레이트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데크 플레이트;
    상기 이격 공간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하는 단열 플레이트;
    일부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이격 공간으로 타설된 토핑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전단응력 및 수직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전단연결부재; 및
    일측 일부는 데크 플레이트에 매립되고, 타측은 상기 단열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 매립되어 상기 단열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마감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격 공간에 타설되는 상기 토핑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들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홈부와 상기 홈부 사이의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면의 길이가 상기 홈부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며 상호 대칭되는 내측 경사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내측 경사면 각각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수직 전단응력 및 수평 전단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전단키들이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형성되되, 상기 내측 경사면과 나란한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홈 형태로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상기 내측 경사면의 경사방향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까지 상기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홈과, 제1 홈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홈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
  6.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매립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단연결부재의 일부를 매립하여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몰드 블록들과 대응되는 홈부들이 형성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몰드 블록과 상기 몰드 블록 사이의 길이가 상기 몰드 블록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7.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매립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단연결부재의 일부를 매립하여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단연결부재들 사이에 고정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의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단연결부재들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몰드 블록들과 대응되는 홈부들이 형성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 단열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몰드 블록과 상기 몰드 블록 사이의 길이가 상기 몰드 블록 상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몰드 블록은,
    상면과, 상기 상면의 폭 방향 양 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며 상호 대칭되는 경사측면들을 포함하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몰드 블록은 각각의 경사측면에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경사측면의 경사방향 설정위치까지 돌출되되, 상기 몰드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사측면과 접하는 상기 홈부의 내측 경사면에 상기 돌기들에 의하여 전단키가 동시에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몰드 블록은,
    상면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연장되는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이며, 상기 상면 상에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각각의 경사측면의 경사방향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폭 방향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연장되어 돌출되되, 상기 몰드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돌기들에 의하여 상기 경사측면과 접하는 상기 홈부의 내측 경사면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전단키가 동시에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몰드 블록은 상기 상면과 상기 경사측면들을 연결하는 전면과 후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에는 각각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의 전면과 후면에도 홀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 개의 몰드 블록들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체결홀이 상기 홀과 정렬되도록 상기 몰드 블록을 배치한 후, 체결부재로 상기 거푸집에 상기 몰드 블록을 고정시키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이 상기 거푸집을 향하도록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반전시키고,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연결부재들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열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상기 단열 플레이트를 관통하되,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더 돌출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열 플레이트가 상기 거푸집을 향하도록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반전시키고, 상기 단열 플레이트보다 더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메쉬와 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메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함께 매립되도록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마감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플레이트 벽체의 제조방법.
KR1020170021116A 2017-02-16 2017-02-16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eased KR20180094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16A KR20180094673A (ko) 2017-02-16 2017-02-16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16A KR20180094673A (ko) 2017-02-16 2017-02-16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73A true KR20180094673A (ko) 2018-08-24

Family

ID=6345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116A Ceased KR20180094673A (ko) 2017-02-16 2017-02-16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46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401A (zh) * 2019-07-09 2019-09-1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字型剪力墙模块及剪力墙
KR20200048596A (ko) * 2018-10-30 2020-05-08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CN111424848A (zh) * 2020-05-21 2020-07-17 张学勇 一种装配整体式复合保温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031215A (zh) * 2020-09-25 2020-12-04 沈阳建筑大学 保温外墙混凝土免拆t形模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596A (ko) * 2018-10-30 2020-05-08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CN110219401A (zh) * 2019-07-09 2019-09-1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字型剪力墙模块及剪力墙
CN111424848A (zh) * 2020-05-21 2020-07-17 张学勇 一种装配整体式复合保温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031215A (zh) * 2020-09-25 2020-12-04 沈阳建筑大学 保温外墙混凝土免拆t形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CN110469001B (zh) 叠合剪力墙及其建造方法
US5528874A (en) Building blocks and insulated composite walls having stackable half-bond symmetry and method of making such walls
KR101652664B1 (ko) 프리캐스트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20090013830A (ko) 구조요소 및 그 사용방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2308B1 (ko) 발코니를 일체로 형성하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429482B1 (ko)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RU60099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101425008B1 (ko) 건축용 슬래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20180094672A (ko) 부착 및 전단 성능이 강화된 구조물용 피씨 데크 플레이트
KR101220678B1 (ko) 단면 최적화 리브 피씨슬래브
KR101677233B1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RU119365U1 (ru) Крупноблочное здание
JP36438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