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303A - Prefabricated bookshelf having study functio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ookshelf having study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3303A KR20180093303A KR1020170019191A KR20170019191A KR20180093303A KR 20180093303 A KR20180093303 A KR 20180093303A KR 1020170019191 A KR1020170019191 A KR 1020170019191A KR 20170019191 A KR20170019191 A KR 20170019191A KR 20180093303 A KR20180093303 A KR 201800933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grid
- learning
- book shelf
- memb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한글의 자모 또는 영어 알파벳등의 학습블럭을 임의로 맞추면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책꽂이 모양과 규격을 임의로 꾸밀 수 있도록 하고 책꽂이를 통해 흡음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손상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hild to arbitrarily adjust a learning block such as a Korean alphabet or an English alphabet while arbitrarily adjusting a shape and size of a book shelf while allowing a sound absorption effect to be obtained through a book shelf, To a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a learning fun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한글의 자모 또는 영어 알파벳등의 학습블럭을 임의로 맞추면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책꽂이 모양과 규격을 임의로 꾸밀 수 있도록 하고 책꽂이를 통해 흡음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손상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a learning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hild to arbitrarily adjust a learning block such as a Korean alphabet or an English alphab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a learning function that can achieve a sound absorbing effect and can easily replace only a damaged portion.
최근에는 거실이나 방의 벽면 전체에 책꽂이를 설치하여 방이나 거실을 서재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하게 구성되면서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책꽂이 들이 개발되어 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se a living room or a living room as a living room by installing a bookcase o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room. As a result, bookshelves are being developed that can provide various interior effects.
종래의 조립식 책꽂이로는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50183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7862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74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A conventional assembled book shelf is disclosed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50183, Registration No. 10-0978620, Publication No. 10-2015-0137431, and the like.
먼저, 등록특허공보 제10-0978620호는 상호 계속하여 연결하여 책꽂이를 조립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책꽂이는 뒷판이 존재하지 않아 벽면과 뒷부분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Patent Publication No. 10-0978620 discloses a method of continuously assembling a book shelf by mutually connecting the book shelf. However, such a book shelf has a problem in that the back wall is not exposed and the wall and the rear are exposed.
또한,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50183호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7431호는 배면판에 격자문양의 가로홈과 세로홈을 형성하여 가로판재와 세로판재를 결합하여 책꽂이를 조립하는 방식이지만, 격자모양의 형성된 가로홈과 세로홈이 손상될 경우 복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50183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37431 disclose a method of assembling a book shelf by forming a lateral groove and a vertical groove of a lattice pattern on the back plate and combining the later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cover if the lattice-shaped lateral grooves and the vertical grooves are damaged.
또한, 종래의 책꽂이들은 책 등을 꽂는 기능만 할뿐 빈공간의 책꽂이 통하여 어린이들이 학습할 수 있는 기능이 전무하였다.Also, conventional bookcases have only a function of plugging in books, and there is no function that children can learn through a bookcase of empty spa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어린이들이 책꽂이의 빈 공간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a learning function for allowing children to learn through an empty space of a book shel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면부재에 격자 문양으로 가로홈과 세로홈을 형성하는 격자부재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로판재와 세로판재에 의해 가로홈과 세로홈이 손상되었을 때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배면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의해 흡음효과도 얻을 수 있는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tice member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lattice member forming a transverse groove and a longitudinal groove on a backing member so that the transverse groove and the longitudinal groove are damaged by the transverse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a learning function capable of obtaining a sound absorbing effect by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back surface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는 내주연에 제1걸림턱이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이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배면부재와;The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the lear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back member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having a first engaging jaw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in a lattice form;
각각 상기 배면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가로홈과 세로홈을 형성하며, 상면에 도형 또는 문자가 돌출되어 학습블럭이 마련되고, 하면에 상기 제1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복수개의 제1걸림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러그가 구비된 복수의 격자부재와;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jections, which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on the lower surface,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lattice membe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ug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ups;
상기 격자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가로홈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가로판재와;A plurality of transverse plate members, one end of the transverse plate being fixed to the transverse grooves formed by the grid members;
상기 격자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세로홈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세로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 members, one end of which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formed by the grid member.
또한, 본 발명 책꽂이는 상기 격자부재의 상면에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d member,
상기 학습블럭에 상기 각 끼움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learning block.
또한, 본 발명 책꽂이는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홈과 상기 세로홈이 만나는 교차부분에 결합되는 열십자부재와; 상기 열십자부재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판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ok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ss member formed in a cross shape and coupled to a crossing portion where the cross groove meets the cross groove; A coupl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hermal cross member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An auxiliary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첫째, 격자부재(20)들이 가로판재(30)와 세로판재(40)들을 지지하여 책을 꽂을 수 있는 지지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책꽂이의 빈공간을 통하여 학습블럭(25)들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특히, 학습블럭(25)들을 격자부재(20)로부터 분리 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격자부재(20)들이 가로판재(30)와 세로판재(40)를 지지하여 책꽂이 가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학습블럭(25)들을 위치를 바꾸면서 격자블럭(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학습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Particularly, by allowing the
둘째, 격자부재의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배면부재의 상기 제1걸림턱에 체결됨으로써, 격자부재가 상기 배면부재에서 일탈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격자부재가 손상되었을 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of the grat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irst engaging jaw of the rear face member, the grating member is not deviated from the rear face member, and the grating member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grating member is damaged .
또한, 삽입공이 상기 배면부재 전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소리를 흡수하여 방음효과를 낼 수 있는 흡음력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back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ound absorption is achieved by absorbing the sound and providing the soundproof effect.
셋째, 열십자부재에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책꽂이뿐만 아니라 옷 등을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forming a loop on the cross member, it is possible to hang clothes as well as book shelves.
넷째, 열십자부재(60)와 결합부재(65) 및 보조판재(70)를 구성함으로써, 단순히 가로와 세로가 아닌 대각선으로도 책꽂이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에 채용되는 격자부재 및 학습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에서 격자부재 및 학습블럭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분리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에서 열십자부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에서 열십자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정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prefabricated book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member and a learning block employed in a prefabricated book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grating member and a learning block in a prefabricated book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5b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hermal cross member in the assembled book sh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 thermal cross member in a prefabricated book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실시예의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는 어린이들이 책꽂이의 빈 공간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책꽂이 모양과 규격을 임의로 꾸밀 수 있으면서 책꽂이를 통해 흡음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손상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the learning fun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hildren to learn through the empty space of the book shelf and allows the user to decorate the book shelf shape and the size freely and can obtain the sound absorption effect through the book shelf,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배면부재(10), 격자부재(20), 가로판재(30), 세로판재(40)를 포함한다.1 to 4, the prefabricated book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배면부재(1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판재이며, 벽면(미도시)에 고정설치하여서 상기 배면부재(10)에 책꽂이 또는 선반 등을 구성하여서 소위 '아트 월'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러한 상기 배면부재(10)에는 삽입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1)의 내주연에는 제1걸림턱(12)이 형성된다.An
상기 삽입공(11)은 상기 배면부재(10)의 배면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격자부재(20)의 러그(22)가 삽입되고 상기 제1걸림턱(12)에 상기 러그(22)의 제1걸림돌기(21)가 걸려지게 된다.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12)은 상기 삽입공(11)의 내주연 안쪽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쪽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격자부재(20)의 상기 제1걸림돌기(21)가 걸려 상기 삽입공(11)에서 상기 격자부재(2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3, the
또한, 이러한 삽입공(11)은 상기 배면부재(10) 전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소리를 흡수하여 방음효과를 낼 수 있는 흡음력을 가지게 된다.Further,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11)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자부재(20)에 의해 상기 삽입공(11)이 가려지도록 하였지만, 이와 달리 보이게 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 달리 더 촘촘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상기 격자부재(20)는 상기 배면부재(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서 인접하는 배면부재(10) 사이에 가로홈(X)과 세로홈(Y)의 격자문양을 형성한다.The
상기 가로홈(X)과 상기 세로홈(Y)에는 후술하는 상기 가로판재(30)와 상기 세로판재(40)가 결합된다.The lateral plate (30) and the vertical plate (40) are coupled to the lateral groove (X) and the vertical groove (Y).
이러한 상기 격자부재(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돌기(21)를 갖는 러그(22)들이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배면부재(10)의 삽입공(11)에 삽입된다.3 and 4,
이러한 상기 제1걸림돌기(21)가 상기 삽입공(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걸림턱(12)에 체결되면서 상기 격자부재(20)가 상기 배면부재(10)에 상기 가로홈(X)과 상기 세로홈(Y)이 격자문양으로 형성되게 결합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격자부재(20)의 상기 제1걸림돌기(21)가 상기 배면부재(10)의 상기 제1걸림턱(1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격자부재(20)가 상기 배면부재(10)에서 일탈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격자부재(20)가 손상되었을 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격자부재(20)의 측면에는 손잡이홈(24)이 형성되어서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Further, a handle groove (24)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d member (20) so that the grid member (20) can be easily replaced.
본 실시예에는 상기 격자부재(20)를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와 달리 가로 세로 길이가 다른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격자부재(20)의 상면에는 도형 또는 문자가 돌출되어 형성된 학습블럭(25)이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격자부재(20)의 상면에 복수의 끼움홈(23)을 형성하고, 상기 학습블럭(25)에는 상기 끼움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25a)가 형성되어서, 상기 격자부재(20)로부터 학습블럭(25)을 분리 및 결합할 수있도록 하였다.A plurality of
상기 가로판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가로홈(X)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진다.The
이러한 상기 가로판재(30)는 책꽂이에서 책 등을 올려져 지지하는 받침 역할을 한다.The
상기 세로판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세로홈(Y)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진다.The
이러한 상기 세로판재(40)는 책꽂이에서 분할과 상부의 상기 가로판재(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로홈(X)과 상기 세로홈(Y)이 만나는 교차부분에는 열십자부재(60)가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된다.5 and 6, a
상기 열십자부재(60)에는 고리(61) 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65)가 결합된다.A
상기 고리(61)는 옷과 같은 다양한 것을 걸 수 있도록 상기 열십자부재(6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열십자부재(60)에 고리(61)를 형성함으로써, 책꽂이뿐만 아니라 옷 등을 걸 수 있다.By forming the
상기 결합부재(65)는 결합홈(66)이 형성되어 상기 열십자부재(6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상기 결합홈(66)에는 보조판재(70)를 다양한 각도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The
상기 결합홈(6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보조판재(70)는 상기 결합부재(65)의 상기 결합홈(66)에 결합된다.The
즉, 상기 보조판재(70)는 상기 결합부재(65)의 상기 결합홈(66)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판재(30)와 상기 세로판재(40)와 달리 다양한 각도로 설치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상기 열십자부재(60)와 상기 결합부재(65) 및 상기 보조판재(70)를 구성함으로써, 단순히 가로와 세로가 아닌 대각선으로도 책꽂이를 형성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격자부재(20)들이 가로판재(30)와 세로판재(40)들을 지지하여 책을 꽂을 수 있는 지지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책꽂이의 빈공간을 통하여 학습블럭(25)들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학습블럭(25)들을 격자부재(20)로부터 분리 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격자부재(20)들이 가로판재(30)와 세로판재(40)를 지지하여 책꽂이 가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학습블럭(25)들을 위치를 바꾸면서 격자블럭(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단어 맞춤학습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Particularly, by allowing the learning blocks 25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본 발명의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book shelf having the lear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mbrac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배면부재 11: 삽입공 12: 제1걸림턱
20: 격자부재 21: 제1걸림돌기 25...학습블럭
30: 가로판재 40: 세로판재
60: 열십자부재
61: 고리 65: 결합부재 66: 결합홈
70: 보조판재 X: 가로홈 Y: 세로홈10: backing member 11: insertion hole 12: first stopping jaw
20: Grid member 21: First stopping
30: a side plate member 40: a vertical plate member 60: a cross member
61: collar 65: engaging member 66: engaging groove
70: Substrate X: Horizontal groove Y: Vertical groove
Claims (3)
각각 상기 배면부재(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가로홈(X)과 세로홈(Y)을 형성하며, 상면에 도형 또는 문자가 돌출되어 학습블럭(25)이 마련되고, 하면에 상기 제1걸림턱(12)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복수개의 제1걸림돌기(21)가 형성된 복수의 러그가 구비된 복수의 격자부재(20)와;
상기 격자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가로홈(X)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가로판재(30)와;
상기 격자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세로홈(Y)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세로판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10)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 in which a first latching jaw (12) is formed at an inner periphery thereof in a lattice shape;
A learning block 2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member 10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member 10, A plurality of lattice members 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ugs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atching protrusions 21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s 12;
A plurality of horizontal plate members 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ateral grooves X formed by the grid members 20;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s (40) fixed at one end to the vertical grooves (Y) formed by the grid members (2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helves have a learning function.
상기 학습블럭(25)에 상기 각 끼움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2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챗꽂이.[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23)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id member (20)
Wherein the learning block (25)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25a)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fitting grooves (23).
상기 열십자부재(6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홈(66)이 형성된 결합부재(65)와;
상기 결합부재(65)의 상기 결합홈(6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판재(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The thermal cross member (60)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ermal cross member (60)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is coupled to an intersection portion where the lateral groove (X) meets the vertical groove (Y);
A coupling member 65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hermal cross member 60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66 formed therein;
An auxiliary plate 70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66 of the engaging member 6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helves have a learning fun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191A KR20180093303A (en) | 2017-02-13 | 2017-02-13 | Prefabricated bookshelf having study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191A KR20180093303A (en) | 2017-02-13 | 2017-02-13 | Prefabricated bookshelf having study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303A true KR20180093303A (en) | 2018-08-22 |
Family
ID=634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9191A Abandoned KR20180093303A (en) | 2017-02-13 | 2017-02-13 | Prefabricated bookshelf having study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330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77159A (en) * | 2018-12-29 | 2019-04-26 | 胡文骏 | A kind of absorption type pull anti-dropout file |
CN112164279A (en) * | 2020-09-27 | 2021-01-01 | 西安翻译学院 | Teaching display device of angularly adjustable for preschool educ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8620B1 (en) | 2008-02-05 | 2010-08-30 | 주원산기 주식회사 | Prefab bookshelf |
KR200450183Y1 (en) | 2008-10-31 | 2010-09-08 | 김성우 | Prefabricated bookshelf with adjustable height and width |
KR20150137431A (en) | 2014-05-29 | 2015-12-09 | 김궁언 | Prefabricated book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7
- 2017-02-13 KR KR1020170019191A patent/KR20180093303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8620B1 (en) | 2008-02-05 | 2010-08-30 | 주원산기 주식회사 | Prefab bookshelf |
KR200450183Y1 (en) | 2008-10-31 | 2010-09-08 | 김성우 | Prefabricated bookshelf with adjustable height and width |
KR20150137431A (en) | 2014-05-29 | 2015-12-09 | 김궁언 | Prefabricated book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77159A (en) * | 2018-12-29 | 2019-04-26 | 胡文骏 | A kind of absorption type pull anti-dropout file |
CN112164279A (en) * | 2020-09-27 | 2021-01-01 | 西安翻译学院 | Teaching display device of angularly adjustable for preschool edu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55928B2 (en) | Joining connectors and a rack using joining connectors | |
KR101602807B1 (en) | Modular flooring system | |
US20170188703A1 (en) | Reusable Piece of a Furniture | |
KR20180093303A (en) | Prefabricated bookshelf having study function | |
KR101721437B1 (en) | Prefabricated book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8119212A (en) | Knockdown furniture | |
US20140314470A1 (en) | Connector for a modular rack | |
KR20230083426A (en) | A prefabricated drawer that can be transformed for various purposes | |
CN111109867B (en) | A combination cabinet with built-in fixing plate | |
KR101212315B1 (en) | Assembly furniture | |
KR200416201Y1 (en) | Fence of playroom with assembly structure | |
PT766585E (en) | BUILDING ELEMENT FOR TOYS | |
KR20180027097A (en) | Multifunctional furniture | |
JP2009125095A (en) | Furniture unit and free configuration type furniture using the same | |
KR101755404B1 (en) | Prefabricated book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69063B1 (en) | Frame structure assembly | |
KR101794156B1 (en) | Width-adjustable modular bookcase | |
KR200453099Y1 (en) | Prefab bed | |
KR102598229B1 (en) | A prefabricated bookshelf | |
KR20160000210U (en) | Assembly typer furniture and educational toys | |
JP6027959B2 (en) | Assembling desk | |
KR200324319Y1 (en) | A support frame of a sectional furniture | |
KR102562669B1 (en) | Lego type book shelf | |
KR200340568Y1 (en) | a pillar member used for furmiture | |
JP3192770U (en) | Assembly structure of assembly r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