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699A -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 크기별 분리를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 - Google Patents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 크기별 분리를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5699A KR20180085699A KR1020180007064A KR20180007064A KR20180085699A KR 20180085699 A KR20180085699 A KR 20180085699A KR 1020180007064 A KR1020180007064 A KR 1020180007064A KR 20180007064 A KR20180007064 A KR 20180007064A KR 20180085699 A KR20180085699 A KR 201800856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cell
- chondrocyte
- differentiation
- siz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5—Chondrocytes; Cartil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 C12N2509/10—Mechanical dissoc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크기별로 분리된 OG 세포에서 분화유도 마커의 확인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크기가 큰 OG 세포, 중간 크기 OG 세포 및 크기가 작은 OG 세포의 분리 후 및 부착배양시의 세포 형태를 관찰한 결과이고;
도 2c 내지 도 2는 크기가 큰 OG 세포, 중간 크기 OG 세포 및 크기가 작은 OG 세포에서 SOX9 및 COL10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며; 및
도 2f 및 도 2g는 크기가 큰 OG 세포, 중간 크기 OG 세포 및 크기가 작은 OG 세포에서 SOX9 및 COL10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OG 세포 유래의 연골세포체의 특징의 확인을 나타낸다:
도 3a는 크기별로 분리한 OG 세포를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한 연골세포체의 형태를 나타내며; 및
도 3b는 상기 연골세포체를 수득하여 조직학적 염색을 통해 연골세포체의 골형성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OG 세포 크기에 따른 연골세포체의 마커 발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IGF2 억제제인 크로메셉틴(chromeceptin)을 처리한 환경에서, 세포 크기가 큰 OG 세포를 배양한 후의 OG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크로메셉틴을 처리하여 세포 크기가 큰 OG 세포로부터 연골세포체로의 분화를 유도하였을 때, 이에 따른 연골분화 마커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IGF2 억제제 처리 배지에서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체의 연골세포 마커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 때 실험에 사용한 OG 세포는 원심분리로 분리된 세포 크기가 큰 세포이고, 정상 대조군으로는 크로메셉틴을 처리하지 않은 환경에서 연골세포체로의 분화를 유도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도 7a는 2 mM 크로메셉틴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한 연골세포체의 형태를 나타내며; 및
도 7b는 이에 따라 분화된 연골세포체에서 COL2A1 및 SOX9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Target Name | Direction | Primer Sequence | Size |
SOX5 | Forward | CAGCCAGAGTTAGCACAATAGG | 104 |
Reverse | CTGTTGTTCCCGTCGGAGTT | ||
SOX6 | Forward | GGATGCAATGACCCAGGATTT | 141 |
Reverse | TGAATGGTACTGACAAGTGTTGG | ||
SOX9 | Forward | GAACGCACATCAAGACGGAG | 631 |
Reverse | TCTCGTTGATTTCGCTGCTC | ||
COL2A1 | Forward | GGCAATAGCAGGTTCACGTACA | 79 |
Reverse | CGATAACAGTCTTGCCCCACTTA | ||
COL1A1 | Forward | TCTGCGACAACGGCAAGGTG | 146 |
Reverse | GACGCCGGTGGTTTCTTGGT | ||
COL10A1 | Forward | GTCTGCTTTTACTGTTATTCTCTCCAAA | 108 |
Reverse | TGCTGTTGCCTGTTATACAAAATTTT | ||
ACAN | Forward | AGCCTGCGCTCCAATGACT | 107 |
Reverse | TAATGGAACACGATGCCTTTCA | ||
CHAD | Forward | GATCCCCAAGGTGTCAGAGAAG | 66 |
Reverse | GCCAGCACCGGGAAGTT | ||
PRG4 | Forward | AAAGTCAGCACATCTCCCAA | 108 |
Reverse | GTGTCTCTTTAGCGGAAGTAGTC | ||
RUNX2 | Forward | TCTTAGAACAAATTCTGCCCTTT | 136 |
Reverse | TGCTTTGGTCTTGAAATCACA | ||
OPN | Forward | GGGAGTACGAATACACGGGC | 92 |
Reverse | TCGGTAATTGTCCCCACGAG | ||
BGLAP | Forward | ATGAGAGCCCTCACACTCCT | 117 |
Reverse | CTTGGACACAAAGGCTGCAC |
Claims (9)
- i) 역분화줄기세포(induced plurientent stem cells, iPSCs)를 배양하여 배아체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수득한 배아체를 부착배양하여 배아돌출세포(outgrowth cell, OG 세포)을 수득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수득한 배아돌출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크기별로 분리하고, 크기가 작은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iv) 상기 단계 iii)에서 선별된 크기가 작은 세포를 연골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단계; 및
v) 상기 단계 iv)에서 분화 유도된 연골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역분화 줄기세포는 제대혈단핵구세포(cord blood mononuclear cell)를 리프로그래밍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의 부착배양은 젤라틴 코팅 플레이트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의 원심분리 및 선별은 하기 a) 내지 c)의 단계를 거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a) 배아돌출세포를 포함하는 배지를, 300 rpm 내지 800 rpm에서 3 내지 10초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를 크기가 큰 세포(heavy cell)로 구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원심분리 후의 상층액을, 800 rpm 내지 1,200 rpm에서 3 내지 10 초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를 중간 크기 세포(medium cell)로 구분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원심분리 후의 상층액을, 1,200 rpm 내지 2,000 rpm에서 3 내지 10 초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를 크기가 작은 세포(light cell)로 구분하는 단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의 분화 유도는 인간 골형성 단백질 2(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형질전환생장인자 β3(human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에 IGF2 억제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연골세포.
- 제 7항의 연골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 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손상 질환은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절, 족저근막염, 상완골외과염, 석회화근염, 골절의 불유합, 또는 외상에 의한 관절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 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09019 | 2017-01-19 | ||
KR1020170009019 | 2017-01-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5699A true KR20180085699A (ko) | 2018-07-27 |
KR102014020B1 KR102014020B1 (ko) | 2019-08-23 |
Family
ID=6307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7064A Active KR102014020B1 (ko) | 2017-01-19 | 2018-01-19 |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 크기별 분리를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402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4893A1 (ko) * | 2018-06-25 | 2020-01-02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연골세포의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
WO2022031008A1 (ko) * | 2020-08-05 | 2022-02-10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쿠아포린 1 과발현을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골관절염 모델 제조방법 |
US12139722B2 (en) | 2018-12-19 | 2024-11-12 |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organoids and tissue therein |
-
2018
- 2018-01-19 KR KR1020180007064A patent/KR102014020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9)
Title |
---|
Barry F, Boynton RE, Liu B, Murphy JM: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from bone marrow: differentiation-dependent gene expression of matrix components. Exp Cell Res 2001, 268:189-200. |
J Tissue Eng Regen Med. 2(8):499-506 (2008.12.)* * |
Kim Y, Rim YA, Yi H, Park N, Park SH, Ju JH: The Generation of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Blood Cells: An Efficient Protocol Using Serial Plating of Reprogrammed Cells by Centrifugation. Stem Cells Int 2016, 2016:1329459. |
Mueller MB, Tuan RS: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hypertrophy in chondrogenesis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rthritis Rheum 2008, 58:1377-1388. |
Nam Y, Rim YA, Jung SM, Ju JH: Cord blood cell-derived iPSCs as a new candidate for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and cartilage regeneration. Stem Cell Res Ther 2017, 8:16. |
Shu B, Zhang M, Xie R, Wang M, Jin H, Hou W, Tang D, Harris SE, Mishina Y, O'Keefe RJ, et al: BMP2, but not BMP4, is crucial for chondrocyte proliferation and maturation during endochondral bone development. J Cell Sci 2011, 124:3428-3440. |
Stem Cell Res Ther. 7:31 (2016.02.17.)* * |
Tissue Eng Part A. 15(6):1311-20 (2009.06.)* * |
Tuli R, Tuli S, Nandi S, Huang X, Manner PA, Hozack WJ, Danielson KG, Hall DJ, Tuan R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mediated chondrogenesis of human mesenchymal progenitor cells involves N-cadherin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Wnt signaling cross-talk. J Biol Chem 2003, 278:41227-41236.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4893A1 (ko) * | 2018-06-25 | 2020-01-02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연골세포의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
US12163157B2 (en) | 2018-06-25 | 2024-12-10 | Yipcell Inc. | Method for preparing pellets of chondrocytes from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use thereof |
US12139722B2 (en) | 2018-12-19 | 2024-11-12 |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organoids and tissue therein |
WO2022031008A1 (ko) * | 2020-08-05 | 2022-02-10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쿠아포린 1 과발현을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골관절염 모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4020B1 (ko) | 2019-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36114B2 (ja) | 体細胞を製造する方法、体細胞、及び組成物 | |
US9867854B2 (en) | Therapeutic method using cardiac tissue-derived pluripotent stem cells | |
KR101669009B1 (ko) | 순수 영양막층으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 |
EP2554660A1 (en) | Intervertebral disc nucleus pulposus stem/progenitor cell, method for culturing same, and application | |
AU2011299327B2 (en) | Tissue-specific differentiation matrices and uses thereof | |
CN110300798B (zh) | 从干细胞分化诱导的软骨细胞的制备方法 | |
Moon et al. | A system for treating ischemic disease using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endothelial cells without direct incorporation | |
WO2021054449A9 (ja) | Lbm、cpc、opc、それらの調製方法及び品質管理方法、キット、移植材料並びに疾患モデル | |
AU2013237760A1 (en) | Differentiated progeny of clonal progenitor cell lines | |
US12018278B2 (en) | Methods for chemically induced lineage reprogramming | |
AU2019204103B2 (en) | Subpopulations of spore-like cells and uses thereof | |
CN107674859B (zh) | 一种利用小分子组合物诱导小鼠成纤维细胞成软骨的方法 | |
KR102014020B1 (ko) |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 크기별 분리를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 | |
JP2023052609A (ja) | 細胞培養物の製造方法 | |
EP2250254A1 (en) | Method of producing progenitor cells from differentiated cells | |
KR20110095218A (ko) | PI3K/AKT/GSK3 경로를 통해 성체줄기세포의 증식, 다분화능 및 재프로그래밍을 촉진하는 CD49f | |
Huang et al. | Adult human periodontal ligament-derived stem cells delay retinal degeneration and maintain retinal function in RCS rats | |
JP2005531298A (ja) | 軟骨の欠損を修復するための再分化細胞 | |
WO2016022472A1 (en) | Mammalian pluripotent stem cell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s thereof | |
WO2021227573A1 (zh) | 无异源培养基及使用其扩增间充质干细胞的方法 | |
JP2020516241A (ja) | 筋肉由来の前駆細胞分化した細胞を取得する方法 | |
KR20180092506A (ko) | 이종 동물 혈청이 첨가된 배지 없이 사람 하비갑개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 및 분화시키는 방법 | |
Kumazawa et al. | Osteogenic potential, multipotency, and cytogenetic safety of human bon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hBT-MSCs) after long-term cryopreservation | |
WO2021039882A1 (ja) | 培養基材を用いたTie2陽性幹/前駆細胞を含む細胞集団の培養方法およびその利用 | |
Lin | Engineering Articular Cartilage with Bone Morphogenetic Protei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