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85416A - Electronic actuator - Google Patents

Electronic actu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416A
KR20180085416A KR1020170008666A KR20170008666A KR20180085416A KR 20180085416 A KR20180085416 A KR 20180085416A KR 1020170008666 A KR1020170008666 A KR 1020170008666A KR 20170008666 A KR20170008666 A KR 20170008666A KR 20180085416 A KR20180085416 A KR 2018008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bobbin
groove
core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김동우
최봉기
심윤용
박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7000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416A/en
Publication of KR2018008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1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6Electron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connectors, casings or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켜 유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단 내부에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코어와, 상기 작동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 인가 시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이동을 하는 플런저와, 상기 안내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원 인가 시 상기 플런저에 의해 이동을 하는 로드와, 상기 보빈과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작동공간과 이격되는 제1저감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는 상기 안내공간과 이격되는 제2저감홈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ctuator capable of stably controlling a hydraulic pressure by reducing a width of a hystere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actuator having a case for forming an external shape of an electronic actuator,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 plunger coupled to the bobbin so as to penetrate the bobbin and having a guide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working space formed therein; a plunger movably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the plunger moving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coil when power is applied; A rod tha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space and moves by the plunger when power is applied, and a plate that surrounds the bobbin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At this time, a first abatement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orking space, and a second abatement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pace is formed in the rod.

Description

전자식 액추에이터{ELECTRONIC ACTUATOR}ELECTRONIC ACTUATOR

본 발명은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켜 유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ctu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actuator capable of stably controlling a hydraulic pressure by reducing a width of hysteresis.

자동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와, 토크 컨버터에 연결된 다단의 변속 메커니즘과,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 메커니즘의 기어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마찰요소를 포함한다. 이때, 마찰요소는 오일펌프에서 압송된 후 제어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절한 변속단을 구현한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includes a torque converter, a multi-stage shift mechanism connected to the torque converter, and a friction element that selects either of the gear stages of the shift mechanism depending o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friction element is pushed by the oil pump, and then opera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selectively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valve, thereby realizing an appropriate speed change stage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자동변속기는 오일펌프에서 마찰요소로 압송되는 오일의 압력과 이송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로, 오일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제어밸브, 변속단을 구현하는 컨트롤 밸브, 변속감 및 응답성을 조절하는 유압 컨트롤 밸브와, 토크 컨버터의 댐퍼 클러치 작동을 위한 댐퍼 클러치 컨트롤 밸브와, 각 마찰요소에 적절한 유압을 분배하는 유압 분배 밸브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valve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oil and the direction of transfer of the oil pumped to the friction element in the oil pump. For example, there are a pressure control valve that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oil pumped from the oil pump, a control valve that implements the gearbox, a hydraulic control valve that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sponsiveness, and a damper clutch control valve And a hydraulic pressure distributing valve for distributing an appropriate hydraulic pressure to each of the friction elements.

한편, 마찰요소는 유압제어장치를 이루는 다수의 밸브에 의해 유압의 흐름이 바뀌면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데, 매뉴얼 밸브는 운전자의 시프트 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포트 변환이 이루어져 오일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이 공급되고, 이 유압을 시프트 컨트롤 밸브로 공급하는 관로와 연결된다.Meanwhile, the friction element is selectively operated by changing the flow of the hydraulic pressure by a plurality of valves constituting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The manual valve is provided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il pump by performing the port convers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of the shift lever of the driver , And is connected to a line for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shift control valve.

유압 컨트롤 밸브는, 유압분배 밸브로 전달되는 유압이 적정한 압력을 가지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압력 컨트롤 밸브와, 압력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The hydraulic control valve includes a pressure control valv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delivered to the hydraulic pressure distribution valve has an appropriate pressure and a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control valve.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5566호(2012.11.21.)에는 유압 제어용 솔레노이드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5566 (November 21, 2012) discloses an example of a hydraulic control solenoid.

상기 솔레노이드는 요크 하우징과 캡 하우징 사이에 로드, 플런저 및 보빈이 설치된다. 로드의 상단에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보빈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이 감긴다. 코일에 전원이 입력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가 스프링의 장력을 이기고 캡 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로드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로드 및 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작동을 한다.The solenoid is provided with a rod, a plunger and a bobbin between the yoke housing and the cap housing. A spring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rod to provide restoring force, and a coil forming a magnetic field is wound on the bobbi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the electromagnetic force causes the plunger to overcome the spring tension and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ap housing, and the rod moves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is shut off, the rod and plunger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of the spring.

그런데 상술한 구조의 솔레노이드 모듈는 압력 변화에 대한 선형성이 떨어지고, 히스테리시스의 폭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olenoid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nearity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change is low and the hysteresis is wide.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5566호(2012.11.2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05566 (2012.11.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켜 유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actuator capable of stably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hysteres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단 내부에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코어와, 상기 작동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 인가 시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이동을 하는 플런저와, 상기 안내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원 인가 시 상기 플런저에 의해 이동을 하는 로드와, 상기 보빈과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ctuator comprising: a case defining an external shape of an electronic actuator;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 plunger movably installed in the operating space and moving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coil when power is applied; and a motor provided movably in the guide space, A rod moving by the plunger, and a plate surrounding the bobbin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작동공간과 이격되는 제1저감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는 상기 안내공간과 이격되는 제2저감홈이 형성된다.
A first abatement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orking space, and a second abatement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pace is formed in the ro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저감홈과 제2저감홈이 플런저의 외주면과 로드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코어와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플런저와 로드의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ON/OFF 시 플런저와 로드의 마찰저항에 의한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압을 안정적이고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duction groove and the second reduction groov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re,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plunger and the rod mov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of the hysteresis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plunger and the rod when the electronic actuator is turned on / off, and thereby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controlled stably and linear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낸 그래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hysteresis of an electronic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변속기 등의 유로가 형성된 밸브바디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오일의 흐름과 압력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이때,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밸브바디에 형성된 유로를 직접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 등과 같은 유압제어부가 제외된 구조를 갖는다.The electronic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alve body formed with a flow path of a transmission or the like and controls an oil flow and a pressure according to whether power is applied or not. At this time, the electronic actu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hydraulic control unit such as a valve is removed so as to directly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formed in the valve bod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120)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보빈(130)과, 보빈(12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140)과, 보빈(130)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코어(150)와, 코어(15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160)와, 코어(1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플런저(160)와 함께 이동을 하는 로드(170)와, 보빈(130) 및 코어(150)의 하단을 감싸는 플레이트(180)와, 하우징(120)의 일측에 마련된 커넥터(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n electronic actu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a housing 120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and a bobbin (not shown) A coil 150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20, a core 150 coupled to the bobbin 130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bobbin 130, a plunger 160 movably installed in the core 150, A rod 170 installed to penetrate the core 150 and moving with the plunger 160, a plate 180 surrounding the bobbin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150, And a connector 190 provided therein.

케이스(11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된 파이프(pipe) 형상이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12)에는 커넥터(190)를 제외한 구성요소들(120~180)이 설치된다.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결합홈(114)이 형성되고, 결합홈(114)에는 하우징(120)과 커넥터(190)의 연결부분이 삽입된다.The case 110 is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bo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 housing space 112 is formed in the case 110 and constituent elements 120 to 180 excluding the connector 190 are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112. [ A coupling groove 11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10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120 and the connector 19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4.

하우징(120)은 보빈(130)의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다. 하우징(120)은 케이스(110)와 보빈(1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결합홈(114)을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190)가 마련된다. 커넥터(190)는 코일(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코일(140)에 전달한다.The housing 120 is formed in a pipe shap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bbin 13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housing 1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o as to electrically disconnect the case 110 and the bobbin 130 from each other. A connector 19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a coupling groove 114. The connector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140 to transmit an externally applied power to the coil 140.

보빈(130)은 상단과 하단에 플랜지가 돌출된 중공의 스풀(spool) 형상이다. 보빈(130)의 외주면에는 전원 인가 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40)이 감긴다. 또한, 보빈(130)에는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어(150)가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보빈(130)은 코일(130)과 코어(1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제작된다.The bobbin 130 has a hollow spool shape with a flange protruding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30, a coil 140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is wound upon power application. The bobbin 130 is coupled to the core 150 to induce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140. The bobbin 1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o as to electrically isolate the coil 130 and the core 150 from each other.

코일(140)은, 전원이 인가될 경우 보빈(130)의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도선이며, 보빈(130)의 외주면에 촘촘하고 균일하게 감겨 원통 형상을 이룬다. 전원 인가 시 코일(14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코어(150)에 의해 유도되어 플런저(160)를 이동시킨다. 이때,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140)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보빈(130)에 감긴 코일(140)의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코일(140)에 강한 전류를 인가하거나 코일(140)을 많이 감을수록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플런저(160)의 이동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il 140 generates a magnetic field around the bobbin 130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The coil 140 is tightly and uniformly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30 to form a cylindrical shap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140 when the power is applied is induced by the core 150 to move the plunger 160.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is proportional to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il 140 and the number of the coils 140 wound on the bobbin 130. Therefore, a strong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s the coil 140 is strongly energized or the coil 140 is wound a lo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60 can be reliably controlled.

코어(150)는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유도하는 고정철심의 역할을 한다. 코어(150)는, 보빈(1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몸체(151)와, 보빈(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몸체(152)로 이루어진다. 제1몸체(151)의 내부에는 안내공간(153)이 형성되고, 안내공간(153)에는 로드(17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몸체(152)의 내부에는 작동공간(154)이 형성되며, 작동공간(154)에는 플런저(16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core 150 serves as a fixed core for induc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140. The core 150 includes a first body 151 that is seated on the bobbin 130 and a second body 152 that is inserted into the bobbin 130. A guide space 153 is formed in the first body 151 and a rod 17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153. A working space 154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152 and a plunger 16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154.

제2몸체(152)의 상단 외주면에는 자력집중홈(155)이 형성된다. 자력집중홈(155)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자속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유도된 자기장이 해당 부분에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자력집중홈(155)을 형성할 경우 플런저(160)를 흡인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기력을 확보할 수 있다.A magnetic force concentrating groove 155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52. The por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concentrating groove 155 is formed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other portion, so that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induced magnetic field concentrates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Therefore, when the magnetic force concentrating groove 155 is form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magnetic force to attract the plunger 160.

코어(150)의 안내공간(153)과 작동공간(154) 사이에는 멈춤홈(156)이 형성된다. 멈춤홈(156)은 전원 인가 시 로드(17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멈춤홈(156)은 안내공간(153)보다 큰 직경으로 갖되 작동공간(154)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스토퍼(174)가 삽입된다.A stop groove 156 is formed between the guide space 153 of the core 150 and the operating space 154. The detent groove 156 is for restric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d 170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stop groove 156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guide space 153 but smaller than the working space 154, and a stopper 174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플런저(160)는 코일(130)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이동을 하는 가동철심의 역할을 한다. 플런저(160)는 상하로 연장된 환봉의 형상이며, 그 하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곡면으로 형성된 가동철심(160)의 하면은 플레이트(180)의 바닥과 점접촉을 한다.The plunger 160 serves as a movable iron core that moves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130. The plunger 160 is in the shape of a round bar extending vertically, and its lower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iron core 160 formed in a curved surface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late 180.

이처럼 플런저(160)와 플레이트(160)가 점접촉을 할 경우 플레이트(160)의 바닥을 통해 플런저(160)로 직접 이어지던 자기장의 흐름을 차단하여 플런저(16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60)의 바닥이 다소 경사지더라도 플런저(160)의 기울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플런저(160)의 기울기에 따른 마찰저항을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plunger 160 and the plate 160 make point contact, the flow of the magnetic field directly coupled to the plunger 160 through the bottom of the plate 160 is blocked, and the plunger 160 can smoothly move. In addition, even if the bottom of the plate 160 is slightly inclined, it does not affect the inclination of the plunger 160, so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plunger 160 can be eliminated.

플런저(160)의 외주면에는 작동공간(154)의 내벽에서 이격되는 제1저감홈(162)이 형성된다. 즉, 플런저(160)의 상단과 하단은 작동공간(154)의 내벽에 밀착되어 플런저(160)의 이동을 안내한다. 반면, 플런저(160)의 중단은 제1저감홈(162)을 통해 작동공간(154)의 내벽에서 이격되어 코어(150)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플런저(160)의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킨다.A first abatement groove 16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16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working space 154. That i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nger 160 closel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working space 154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60. On the other hand, the interruption of the plunger 16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working space 154 through the first abatement groove 162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re 150. Therefor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plunger 160 moves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width of the hysteresis.

로드(170)는 안내공간(15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 인가 시 플런저(160)에 의해 이동하여 밸브 바디에 마련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개방량을 조절한다. 로드(17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이다. 로드(170)의 중단 외주면에는 제2저감홈(172)이 형성되고, 로드(170)의 하단에는 스토퍼(174)가 형성된다.The rod 17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153 and is moved by the plunger 160 when power is applied to open or close the flow path provided in the valve body or adjust the amount of opening. The rod 170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econd reduction groove 17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170 and a stopper 174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rod 170.

제2저감홈(172)은 로드(170)의 중단을 통해 안내공간(153)의 내벽에서 이격시켜 코어(150)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로드(170)의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킨다.The second abatement groove 172 separat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space 153 through the interruption of the rod 170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re 150. Accordingly,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rod 170 is moved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width of the hysteresis.

플레이트(18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다단의 원판 형상이다. 플레이트(180)의 내부에는 코어(150)의 하단이 삽입되는 장착홈(182)이 형성된다. 장착홈(182)에는 작동공간(154)의 내부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벤트홀(184)이 형성된다. 즉, 장착홈(182)의 바닥에는 작동공간(154)과 연결된 바닥홈(184a)이 형성되고, 장착홈(182)의 내벽에는 바닥홈(184a)과 연결된 측면홈(184b)이 형성된다. 이때, 측면홈(184)은 하우징(120)과 플레이트(180) 사이 간극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The plate 180 has a multi-step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side the plate 180, a mounting groove 182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re 150 is inserted is formed. The mounting groove 182 is formed with a vent hole 184 for reliev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perating space 154. That is, a bottom groove 184a connected to the operating space 154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182, and a side groove 184b connected to the bottom groove 184a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mounting groove 182. At this time, the side groove 184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ousing 120 and the plate 180.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공간(154)을 외부와 연결하는 벤트홀(184)은 플런저(160)의 이동 시 작동공간(154)에서 발생한 내부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플런저(160)의 이동저항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 hole 184 connecting the operating space 154 to the outside discharges the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operating space 154 when the plunger 160 is moved to move the moving resistance of the plunger 160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width of the hysteresis.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를 비교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comparing hysteresis of an electron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hysteresis of an electronic actu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60)에 제1저감홈(162)이 형성되고 로드(170)에 제2저감홈(164)이 형성되며 플레이트(180)에 벤트홀(184)이 형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히스테리시스의 폭이 대략 3N임을 알 수 있다.4A, a first abatement groove 162 is formed in the plunger 160, a second abatement groove 164 is formed in the rod 170, a vent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plate 180, 184 are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 of the hysteresis is approximately 3N.

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의 폭은 대략 5N으로, 본 실시예의 전자식 액추에이터보다 큰 폭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도 4의 (b) 참조).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hysteresis of the conventional electronic actuator is about 5N,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the electronic actuator of this embodiment (see FIG. 4B).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ON/OFF 시 플런저(160)와 로드(170)의 마찰저항에 의한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압을 안정적이고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electron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hysteresis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plunger 160 and the rod 170 during ON / OFF operation, and thus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controlled stably and linearly .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자식 액추에이터 110: 케이스
120: 하우징 130: 보빈
140: 코일 150: 코어
160: 플런저 170: 로드
180: 플레이트 190: 커넥터
100: Electronic actuator 110: Case
120: housing 130: bobbin
140: coil 150: core
160: plunger 170: rod
180: plate 190: connector

Claims (6)

변속기에 설치되어 유압을 제어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보빈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단 내부에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코어;
상기 작동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 인가 시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안내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원 인가 시 상기 플런저에 의해 이동을 하는 로드;
상기 보빈과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작동공간의 내벽에서 이격되는 제1저감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저감홈은 상기 코어와 상기 플런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An electronic actuator provided in a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a hydraulic pressure,
A case forming an external shape of the electronic actuator;
A bobbin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ore coupled to penetrate the bobbin, a guide space formed in an upper end thereof, and a working space formed in a lower end thereof;
A plunger movably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and moving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coil when power is applied;
A rod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space and moved by the plunger when power is applied;
And a plate surrounding the bobbin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Wherein the first reduction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working space and the first reduction groove minimiz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re and the plunger to reduce the width of the hysteresis.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공간의 내벽에서 이격되는 제2저감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저감홈은 상기 코어와 상기 로드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duction groov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sp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and the width of the hysteresis is reduced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re and the rod.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코어의 하단이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압력을 해소함으로써 히스테리시스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mounting recess is formed in the plate for inserting a lower end of the core and a vent hole is formed in the mounting recess to reduce a width of the hysteresis by eliminating internal pressure of the operating sp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상기 장착홈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과 연결된 바닥홈과, 상기 장착홈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홈과 연결된 측면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홈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ent hole includes a bottom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space, and a side groove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mounting groove and connected to the bottom groove,
And one end of the side groov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which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bobbin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as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KR1020170008666A 2017-01-18 2017-01-18 Electronic actuator Ceased KR201800854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666A KR20180085416A (en) 2017-01-18 2017-01-18 Electronic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666A KR20180085416A (en) 2017-01-18 2017-01-18 Electronic actu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16A true KR20180085416A (en) 2018-07-27

Family

ID=6307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666A Ceased KR20180085416A (en) 2017-01-18 2017-01-18 Electronic actu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41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66B1 (en) 2007-03-08 2012-11-27 주식회사 만도 Solenoid Having Integrated Type R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66B1 (en) 2007-03-08 2012-11-27 주식회사 만도 Solenoid Having Integrated Type R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423B1 (en) Hydraulic solenoid valve for auto transmission of car
EP1158230B1 (en) Solenoid operated pressure control valve
JP6093781B2 (en) Single bearing one piece core solenoid
EP3117131B1 (en) Dual/variable gain oil pump control valve
JP4285354B2 (en) Linear solenoid and solenoid valve
US6899313B2 (en) Magnetic actuator and method
KR20070116079A (en) Proportional-pressure regulating valve with pressure jump in its P / I-characteristic curve
US20070267077A1 (en)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8534639B1 (en) Solenoid valve with a digressively damped armature
KR20190065313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US20150377378A1 (en) A magnetic valve with an armature arranged inside a piston
JP3822667B2 (en) Pressure switching valve
EP31661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magnetic actuator
JP2015145725A (en) Latch solenoid regulator valve
JP2011236964A (en) Solenoid valve
JP5760936B2 (en) Spool control valve
KR101183038B1 (en) Solenoid valve
KR20180085416A (en) Electronic actuator
US20130277586A1 (en) Control valve with area independent pressure sensing
KR101114841B1 (en) Solenoid valve
JP4501789B2 (en) 3-way solenoid valve
EP3499102A1 (en) Anti-latching and damping shim for an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1432491B1 (en) Solenoid valve
KR20150043056A (en) Solenoid valve
KR101736103B1 (en) Linear actuator for vehicl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