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82727A -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27A
KR20180082727A KR1020170003946A KR20170003946A KR20180082727A KR 20180082727 A KR20180082727 A KR 20180082727A KR 1020170003946 A KR1020170003946 A KR 1020170003946A KR 20170003946 A KR20170003946 A KR 20170003946A KR 20180082727 A KR20180082727 A KR 2018008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solar cell
support frame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승엽
김응천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베스
Priority to KR102017000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727A/ko
Publication of KR2018008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2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1L31/0203
    • H01L31/04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5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의 하면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며, 좌측외면, 우측외면,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기밀돌기, 제1기밀홈, 제2기밀돌기 및 제2기밀홈을 포함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기밀돌기와 제1기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기밀돌기와 제2기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 어레이가 수납되는 수납프레임 및 상기 수납프레임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Assenmbly of solar cell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흡수된 태양광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전지이다.
복수의 태양전지들을 구성하는 태양전지패널은 에너지원이 청정하고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시 드는 비용이 적기 때문에 석유자원의 고갈 및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복수의 태양전지(Solar Cell)들(태양전지패널)은 전지용량 등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태양전지패널을 수용하는 태양전지패널 프레임 내에 배열된 형태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패널은 태양전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태양전지패널 프레임은 태양전지패널의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하고, 태양전지와 태양전지의 전면 및 후면에 적층되는 재료들을 강하게 접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태양전지패널 프레임은 기계적 강도 및 다른 구조물과의 연결을 위해 관통 홀을 포함하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들을 태양전지패널과 강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98931호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제1지지대를 지지하되, 상기 연결부가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홈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는 상측연결부재와, 상기 상측연결부재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설치홈과 연결되되, 상기 상측연결부의 설치각도 또는 설치 높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절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하측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지지구조물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태양전지패널들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의 기밀 유지가 불가능함에 따라,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로 습기가 난입됨으로써,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부식 및 산화가 유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98931호(2011.12.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사이 빈틈으로 습기가 난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전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부식 및 산화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의 하면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며, 좌측외면, 우측외면,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기밀돌기, 제1기밀홈, 제2기밀돌기 및 제2기밀홈을 포함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기밀돌기와 제1기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기밀돌기와 제2기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 어레이가 수납되는 수납프레임 및 상기 수납프레임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좌측내면, 우측내면, 전측내면 및 후측내면이 모두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 단면의 하단이 상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기밀돌기, 제1기밀홈, 제2기밀돌기 및 제2기밀홈이 모두 '<'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제1기밀홈과 제2기밀홈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제1기밀돌기의 둘레 및 제2기밀돌기의 둘레와,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를 각각 둘러싸는 다수의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는 태양전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사이 빈틈으로 습기가 난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전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부식 및 산화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수납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 어레이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지지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수납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 때 도 3의 A-A'는 좌우방향 단면을 나타내며, 도 3의 B-B'는 전후방향 단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단면도(이 때, 도 4(a)는 좌우방향 단면도, 도 4(b)는 전후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 어레이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단면도(이 때, 도 5(a)는 좌우방향 단면도, 도 5(b)는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1000)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100), 다수의 지지프레임(200), 수납프레임(300), 받침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패널(100)은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시키며,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태양전지패널(100)의 하면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며, 좌측외면, 우측외면,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기밀돌기(220), 제1기밀홈(210), 제2기밀돌기(230) 및 제2기밀홈(24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좌측외면 및 우측외면에 각각 상기 제1기밀홈(210)과 제1기밀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에 각각 상기 제2기밀홈(240)과 제2기밀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프레임(300)은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이 상기 제1기밀돌기(220)와 제1기밀홈(210)의 끼움 결합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기밀돌기(230)와 제2기밀홈(240)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200) 어레이가 수납된다. 즉, 상기 수납프레임(30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 어레이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도 6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0) 어레이가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다시 그 지지프레임(200) 어레이가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받침프레임(400)은 상기 수납프레임(30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주로서, 상기 수납프레임(300)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1000)는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이 상기 제1기밀돌기(220)와 제1기밀홈(210)의 끼움 결합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기밀돌기(230)와 제2기밀홈(240)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200) 어레이가 구성됨에 따라, 태양전지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0)의 사이 빈틈으로 습기가 난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전지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0)의 부식 및 산화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좌측내면, 우측내면, 전측내면 및 후측내면이 모두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 단면의 하단이 상단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패널과 지지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단면도(이 때, 도 7(a)는 좌우방향 단면도, 도 7(b)는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제1기밀돌기(220), 제1기밀홈(210), 제2기밀돌기(230) 및 제2기밀홈(240)이 모두 '<'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제1기밀돌기(220)과 다른 지지프레임(200)의 제1기밀홈(210) 간에 끼움 결합,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제2기밀돌기(230)와 다른 지지프레임(200)의 제2기밀홈(240) 간에 끼움 결합이 좀 더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1000)는 스페이서(500)와 오링(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00)의 제1기밀홈(210)과 제2기밀홈(240)에 삽입되어 기밀성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오링(60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00)의 제1기밀돌기(220)의 둘레 및 제2기밀돌기(230)의 둘레와, 상기 스페이서(500)의 둘레를 각각 둘러싸서 기밀성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밀돌기(220), 제2기밀돌기(230), 스페이서(500)는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외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100 : 태양전지패널
200 : 지지프레임
210 : 제1기밀홈
220 : 제1기밀돌기
230 : 제2기밀돌기
240 : 제2기밀홈
300 : 수납프레임
400 : 받침프레임
500 : 스페이서
600 : 오링

Claims (5)

  1.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의 하면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며, 좌측외면, 우측외면,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기밀돌기, 제1기밀홈, 제2기밀돌기 및 제2기밀홈을 포함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기밀돌기와 제1기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기밀돌기와 제2기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 어레이가 수납되는 수납프레임; 및
    상기 수납프레임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좌측내면, 우측내면, 전측내면 및 후측내면이 모두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ㄷ'자 형상 단면의 하단이 상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기밀돌기, 제1기밀홈, 제2기밀돌기 및 제2기밀홈이 모두 '<'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제1기밀홈과 제2기밀홈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제1기밀돌기의 둘레 및 제2기밀돌기의 둘레와,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를 각각 둘러싸는 다수의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KR1020170003946A 2017-01-11 2017-01-11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Ceased KR20180082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946A KR20180082727A (ko) 2017-01-11 2017-01-11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946A KR20180082727A (ko) 2017-01-11 2017-01-11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27A true KR20180082727A (ko) 2018-07-19

Family

ID=6305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946A Ceased KR20180082727A (ko) 2017-01-11 2017-01-11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7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6658A (zh) * 2018-11-30 2019-04-05 西藏学伦科技有限公司 基于滑入式轨道的光伏组件
KR102176717B1 (ko) * 2019-06-14 2020-11-09 정승희 태양광 패널 설치 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855A (ko) * 2009-06-23 2009-07-22 유동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KR100928950B1 (ko) * 2008-08-06 2009-11-30 한빛기전 주식회사 태양전지모듈
JP2010514165A (ja) * 2006-12-15 2010-04-30 エバーグリーン ソー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ラグでつなぐ光起電力性モジュール
KR101098931B1 (ko) 2011-03-30 2011-12-27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물
KR20130065496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101505186B1 (ko) * 2013-10-17 2015-03-23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태양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4165A (ja) * 2006-12-15 2010-04-30 エバーグリーン ソー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ラグでつなぐ光起電力性モジュール
KR100928950B1 (ko) * 2008-08-06 2009-11-30 한빛기전 주식회사 태양전지모듈
KR20090079855A (ko) * 2009-06-23 2009-07-22 유동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KR101098931B1 (ko) 2011-03-30 2011-12-27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물
KR20130065496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101505186B1 (ko) * 2013-10-17 2015-03-23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태양 전지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6658A (zh) * 2018-11-30 2019-04-05 西藏学伦科技有限公司 基于滑入式轨道的光伏组件
KR102176717B1 (ko) * 2019-06-14 2020-11-09 정승희 태양광 패널 설치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3094A (zh) 一种用于辐射成像的双阵列固体探测器模块结构
TWI534396B (zh) 太陽能模組
KR102009708B1 (ko) 경사굴곡 지형 설치용 태양광 어레이 시공 시스템
KR102164382B1 (ko) 단열 기능이 갖추어진 건물 설치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082727A (ko)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JP5294184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20096183A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JP2017073853A (ja) 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用函体及びそれを用いた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KR102258755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 구조물
KR101437903B1 (ko) 하부플레이트의 강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KR101437914B1 (ko) 강성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6511240B2 (ja) 壁面構造
KR101097363B1 (ko) 부유체 및 그것을 구비한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626357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WO2021053377A1 (en) A solar power generator
KR101557965B1 (ko) 태양광 모듈
KR101161009B1 (ko) 지붕 철골 구조물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구조물
KR100764099B1 (ko) 반사판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및 태양광 집광판 제조방법
US20150303866A1 (en) Concentrating solar cell module panel having stiffness and concentrating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same
JP465698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取付装置
JP2012188927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6877929B2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装着方法
KR20150092613A (ko) 태양전지 어셈블리
KR20160023464A (ko) 태양광 패널의 고정 방법
JP7141311B2 (ja) 太陽電池ユニット、建築物、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