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81033A -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 Google Patents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033A
KR20180081033A KR1020180079005A KR20180079005A KR20180081033A KR 20180081033 A KR20180081033 A KR 20180081033A KR 1020180079005 A KR1020180079005 A KR 1020180079005A KR 20180079005 A KR20180079005 A KR 20180079005A KR 20180081033 A KR20180081033 A KR 20180081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rtical
bar
fastening means
crossb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8007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033A/en
Publication of KR2018008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03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에 관한 것으로, 중간에 투광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 상기 가로대(3,4)와 함께 중간에 상기 투광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대(3,4)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세로대(5); 및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되어, 상기 투광공간(S)에 배치되는 투광판(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내부로 삽입되어, 삽입측의 상기 어느 한 쪽과 수용측의 상기 다른 한 쪽의 결합이 상기 수용측 다른 한 쪽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1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예컨대 가로대가 다른 한 쪽 즉, 예컨대 세로대 내부로 깊숙이 삽입되고, 그에 따라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을 만들 수 없게 되더라도, 체결받이수단에 의해 세로대의 길이방향으로 체결수단을 박아 넣을 수 있게 되므로, 세로대의 폭을 최대한 좁게 유지하면서도, 체결수단이 문짝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door having a detachable fastener, which comprises an upper and a lower side arm (3) having upper and lower pairs so as to form a light transmission space (S) in the middle thereof and having fitting grooves (15) ,4); And a pair of vertical arms 5 and 6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oss bars 3 and 4 so as to form the transparent space S in the middle with the cross bars 3 and 4, ); And a translucent plate (7) inserted in the fitting groove (15) and arranged in the transparent space (S), wherein one of the cross bars (3,4) and the vertical bar (5) And a fastening means (17) inserted into one side and fas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ide is fas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ide Even if, for example, the cross bar is inserted deeply into the other side, that is, for example, inside the vertical bar,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form a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fastening bo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ing mean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ile maintaining the width of the vertical stand as narrow as possible.

Description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er,

본 발명은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의 투광판과 함께 문짝을 이루는 가로대와 세로대를 조립할 때, 가로대와 세로대 중 삽입측 어느 한 쪽이 끼워지는 수용측의 다른 한 쪽에 대해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길이방향으로 박아 가로대와 세로대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door having a detachable fast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low door having a removable fastener, And a detachable fastener for engaging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by inserting fastening means such as fastening bol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최근 들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중공문짝은 금속 박판재를 통상 직사각형 기둥 모양으로 압출에 의해 뽑아낸 중공블럭을 가로대와 세로대로 조립하여 제작되는 바, 가로대를 상하로 배치하고 세로대를 좌우로 배치할 때 중간에 발생하는 사각 공간에 유리판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투광판을 끼움으로써 일종의 창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hollow door, which is in increasing demand in recent years,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hollow block drawn by extrusion into a rectangular column, and then vertically arranging the cross bar vertically. When the vertical bar is arranged horizontally, It is common to form a window by inserting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ranslucent plate such as a glass plate.

이러한 중공문짝의 일 예로 도 1에 101으로 도시된 도어(등록특허 제10-1447217호)를 들 수 있다. 이 도어(101)는 도시된 것처럼,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이 압출에 의해 제작되어, 내부 구조가 길이방향으로만 연장되도록, 따라서 전장에 걸쳐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취하는 바,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을 조립할 때 체결볼트(15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120)의 체결홈(121)도 마찬가지로 수평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체결볼트(150)도 당연히 수평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된다. An example of such a hollow door is a door shown in Fig. 1 (101-1447217). As shown, this door 101 is constructed by extrus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extends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us take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ody, The fastening groove 121 of the horizontal frame 120 to which the fastening bolt 150 is fastened when the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are assembled is likewis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Of course,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따라서, 체결볼트(150)를 체결홈(121)에 박기 위해서는 수직프레임(110)에 체결볼트(150)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등의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하며, 따라서 종래의 문짝 조립 구조는 문짝(101)의 외관을 훼손하는 문제점을 가져왔다.Therefore, in order to insert the fastening bolt 150 into the fastening groove 121, an opening such as a hole for passing the fastening bolt 150 should b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110, Which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undermined.

또한, 위 과정에서 체결볼트(150)가 수직프레임(1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체결볼트(150)가 수직프레임(110) 내부에서 고정되어야 하는 바, 종래의 문짝 조립 구조는 위 개구부 등을 통해 수직프레임(110) 내부의 체결볼트(150)를 돌려 박거나 푸는 조작이 매우 불편하며, 따라서 시공 상의 불편이나 능률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e fastening bolt 1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frame 110 in the above process, the fastening bolt 150 must be fixed inside the vertical frame 110 as shown in FIG. 1, It is very inconvenient to turn or loosen the fastening bolt 150 inside the vertical frame 110 through the upper opening or the like, thus causing inconveniences on the construction or lowering the efficiency.

KR 10-1069636KR 10-106963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짝 조립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로대와 세로대를 결합하여 중공의 문짝을 조립함에 있어, 가로대와 세로대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한 쪽 내부로 깊숙이 삽입하는 배치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 쪽을 수용한 다른 한 쪽의 길이방향으로 박는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서도, 가로대와 세로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 conventional door assembly structure. In assembling a hollow door by combining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one of the bar and the vertical bar is deeply inserted into the o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to be mutually engaged even by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fastening bolt which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accommodating one of them.

또한, 위와 같이 가로대와 세로대 중 어느 한 쪽을 수용하는 다른 한 쪽이 수용되는 어느 한 쪽으로 인해 내부에 길이방향의 체결홈을 만들 수 없더라도,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여 다른 한 쪽 수용측의 길이방향으로 체결수단을 박아 가로대와 세로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longitudinal coupling groove can not be formed due to any one of the one accommodating the other of the crosspiece and the vertical pol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member may be add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ross member can be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아울러, 위 수용측이 세로대인 경우, 체결수단을 박도록 되어 있는 별도의 부재로 호차뭉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utilize a wagon bundle with a separate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when the upper receiving side is a vertical wag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간에 투광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 가로대; 상기 가로대와 함께 중간에 상기 투광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대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세로대; 및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투광공간에 배치되는 투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내부로 삽입되어, 삽입측의 상기 어느 한 쪽과 수용측의 상기 다른 한 쪽의 결합이 상기 수용측 다른 한 쪽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upper and lower side rails which are vertically paired to form a light transmitting space in an intermediate portion and in which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inner side surfaces; A vertical bar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oss bar so as to form the light transmission space in the middle with the cross bar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orner face; And a translucent plat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disposed in the light-transmitting space, wherein one of the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is inserted into the other of the crossbar, And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ide is fas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ide.

또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 중 상기 수용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 중 상기 삽입측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상기 수용측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용측과 상기 삽입측을 연결하는 체결받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a part of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main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side of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ceiving side And a fastening receiving means for connecting the receiving side and the insertion side.

또한, 상기 삽입측이 상기 상측 가로대이고, 상기 수용측이 상기 세로대일 때, 상기 세로대는 상기 체결받이수단을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대의 외판 측면 안쪽에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받이수단은, 상기 고정홈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세로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측 가로대의 내력판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돌출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insertion side is the upper side rail and the receiving side is the vertical side, the vertical base is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plate of the vertical base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the above- Wherein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comprises: an insertion piec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astening groove and detachably fixed to the vertical rod; And a projecting piece project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sertion piece and being superimposed on a force plate of the upper side bar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가로대가 하측 가로대이고, 호차뭉치를 구비할 때, 상기 세로대는 상기 체결받이수단을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대의 측판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받이수단은, 상기 고정홈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세로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호차뭉치의 외측변에 형성된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 대향측의 상기 호차뭉치 내측변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측 가로대의 내력판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돌출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ross bar is a lower cross bar and includes a lock bar bundle, the bar bar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ide plate of the bar bar so that the bar bar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comprises: an insertion piec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lock piece bundle, the lock piece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etachably fixed to the vertical rod; And a projecting piece projecting in a width direction from an inner side of the intervertebral disc bundle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iece and superimposed on a proof plate of the lower transverse bar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means.

상기 하측 가로대는 상기 호차뭉치를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내력판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호차홈을 구비하며, 상기 호차뭉치는 상기 호차홈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하측 가로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호차뭉치의 전후변에 돌출된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lower rail comprises a rak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force plate so as to insert and fix the rake bun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the rake piece being inserted in the rak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ck bar bundle so a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cross bar.

본 발명의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에 따르면, 중앙에 투광창이 끼워지는 중공의 문짝을 제작하기 위해 가로대와 세로대를 결합하여 중공의 문짝을 조립할 때, 어느 한 쪽 즉, 예컨대 가로대가 다른 한 쪽 즉, 예컨대 세로대 내부로 깊숙이 삽입되고, 그에 따라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을 만들 수 없게 되더라도, 별도의 체결받이수단을 세로대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호차뭉치에 적용함으로써, 세로대의 길이방향으로 즉, 문짝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체결수단을 박아 넣을 수 있게 되므로, 세로대의 폭을 최대한 좁게 유지하면서도, 체결수단이 문짝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hollow door with the detachabl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a hollow door by combining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to produce a hollow door in which a light projecting window is inserted in the center, That is, for example, deep inside the vertical column,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form a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fastening bolt, by further attaching another fastening receiving means to the vertical pole,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fastening mea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tand, that is,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door, so that the fastening mean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ile maintaining the width of the vertical stand as narrow as possible.

또한, 이에 따라 체결수단을 노출 염려 없이 즉, 외부로 노출되게 한 상태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체결작업, 더 나아가 전체 조립 공정의 편리성과 능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means can b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fear of exposure,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fastening operation and further the entire assembling process.

아울러, 체결받이수단의 조립에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뿐 아니라, 삽입편이나 고정홈과 같은 요철 구조도 활용되므로, 체결수단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문짝의 외관 훼손이나 조립공정의 능률저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cave and convex structures such as the insertion piece and the fixing groove are utilized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means such as the fastening bolt for assembling the fastening means, the use of the fastening means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deterioration.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 조립된 중공문짝의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세로대에 가로대가 삽입된 뒤, 고정홈에 끼워지는 체결받이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체결받이수단이 고정홈에 끼워진 뒤, 통공을 통해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B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을 뒤집어 문짝의 저면을 위로 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9는 호차뭉치에 구현된 체결받이수단이 세로대에 삽입된 뒤, 가로대에 끼워지는 호차뭉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호차뭉치가 가로대에 끼워진 뒤, 통공을 통해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체결받이수단이 구현된 호차뭉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체결수단이 체결받이수단을 통해 가로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
1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ollow door assembl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receiving means which is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after the cross bar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ar of Fig.
6 is a view showing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in the state of FIG. 5 to the fasten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after being fitted in the fastening groov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3;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turned upside down in Fig. 7;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bundle of runners inserted into a cross bar after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implemented in the turn bar bundle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ar;
FIG. 10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means in which, in the state of FIG. 9, the lock bar bundle is inserted into the cross bar and then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 bar assembly implemented with fastening means; FIG.
FIG. 1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crosspiece through the fastening means in the state of FIG. 10;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ollow door with a removable fast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중공문짝은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 세로대(5), 및 투광판(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ollow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largely upper and lower side rails 3 and 4, a vertical base 5, and a translucent plate 7,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1 in Figs. 2 and 3.

여기에서, 먼저 상기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는 문짝(1)의 상하부를 이루는 횡부재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의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유리창이나 합성수지판과 같은 투광판을 배치하기 위한 투광공간(S)이 중간에 형성된다. 또한,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는 각각 압출에 의해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만 연장되므로, 전장에 걸쳐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중공의 외체를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외판(11)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의 빈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판(11)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내력판(1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가로대(3,4)는 투광판(7)을 내측 모서리면 안쪽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단의 내력판(13)에 의해 횡단면 ㄷ자 형태의 끼움홈(15)이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upper and lower side rails 3, 4 are first and second sid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oor 1, as shown in Figs. 2 and 3, A transparent space S for disposing a translucent plate such as a bar, a window or a synthetic resin plate is formed in the middle. The upper and lower side girders 3 and 4 are formed by extrusion and exten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side girders 3 and 4 have a rectangular outer shell 11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ver the entire length and forming a hollow outer body, And one or more proof plates 1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hollow space to connect between the outer plates 11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crossbars 3, 4 has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by means of a proof plate 13 at its inner end so as to be able to insert the translucent plate 7 into the inside corner face, (15) is concave.

상기 세로대(5)는 문짝(1)의 좌우측부를 이루는 종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4)와 함께 중간에 상기 투광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대(3,4)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또한, 세로대(5)는 가로대(3,4)와 마찬가지로 압출에 의해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만 연장되므로, 전장에 걸쳐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중공의 외체를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외판(11)과, 내부의 빈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판(11)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내력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폭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ㄷ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도록 내력판이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세로대(5)는 투광판(7)을 내측 모서리면 안쪽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단에 ㄷ자 형태의 끼움홈(15)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다만, 도 2에서 세로대(5) 측벽(12)에 하단에 형성된 통공(20)은 호차높이조절 나사공이다. The vertical pole 5 is a longitudinal member constituting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door 1 and as shown in Figures 2 to 4, (3,4). The vertical pole 5 is formed by extrusion and extends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rossbones 3 and 4, and therefore has a rectangular outer shell 11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ver the entire length and forming a hollow outer body,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o minimize the width, it may be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section when the width is to be minimized, as shown in FIGS. The proof plate may be omitted. Therefore, in the vertical column 5, a fitting groove 15 of a C shape is formed concavely at the inner end so that the transparent plate 7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corner face. In FIG. 2, the through hole 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2 of the vertical column 5 has a height adjustment or a hole.

상기 투광판(7)은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되어, 상기 투광공간(S)에 배치되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사각 판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4)와 세로대(5)의 끼움홈(15)에 끼워져, 문짝(1) 중앙의 투광공간(S)에 배치된다.The translucent plate 7 is a rectangular plate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synthetic resin such as acrylic as mentioned abov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 and disposed in the transparent space S 3 are fitted in the fitting grooves 15 of the cross bars 3 and 4 and the vertical bar 5 and arranged in the light transmitting space S at the center of the door 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문짝(1)을 구성하는 상측 및 하측 가로대(4)와 세로대(5)는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어느 한 쪽을 가로대(3,4)라 하고, 이 가로대(3,4)를 수용하는 다른 한쪽을 세로대(5)라고 할 때, 가로대(3,4)와 세로대(5)의 결합이 수용측 다른 한 쪽 즉, 세로대(5)와 나란한 방향 즉, 세로대(5)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17)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압출에 의해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만 연장되므로, 전장에 걸쳐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가공을 더하지 않는 이상 폭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발생할 수 없는 중공의 가로대(3,4)와 세로대(5)를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수용측 즉, 예컨대 세로대(5) 내부로 삽입측 즉, 가로대(3,4)를 깊숙이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즉, 깊숙한 삽입으로 인해 길이방향 체결홈을 만들 수 없거나, 만들더라도 삽입측 즉, 예컨대 가로대(3,4)를 체결홈과 포갤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체결받이수단(21,31)이라는 별도의 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수용측 즉, 세로대(5)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을 통해 수용측 즉, 세로대(5)과 삽입측 즉, 가로대(3,4)를 나사 체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4 and the vertical base 5 constituting the door 1 are inserted and coupled to one an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3, 4), and the other one of the crosspieces (3, 4) accommodating the crosspieces (3, 4) Such as a fastening bolt or the like fastened i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ide, that i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base 5,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se 5. In other words, the hollow crossbars 3 and 4, which are formed by extrusion and exten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ver the entire length, 4 and the inside of the vertical base 5, that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ase 5, for example, the side of the crossbars 3, 4, Although the longitudinal coupling grooves can not be made due to the deep insertion, or even if they are made, the insertion side, i.e. the crossing pieces 3, 4, can not be clamped with the coupling grooves, That is, the vertical side 5 and the insertion side, that is, the receiving side, that is, the receiving side, that is, the insertion side, that is, So that the cross members 3 and 4 can be screwed.

이를 위해, 상기 체결받이수단(21,31)은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수용측에 해당하는 예컨대 세로대(5)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고, 나머지 일부분이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삽입측이 되는 예컨대 가로대(3,4)의 내부로 수용되는 바, 체결수단(17)을 수용측 즉, 세로대(5)와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하여 수용측과 삽입측 즉, 세로대(5)와 가로대(3,4)를 연결하게 된다.4 to 12, at least a part of the fastening means 21 and 31 is fastened to, for example, a vertical base 5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ide of the crossbars 3 and 4 and the vertical base 5 And the other part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rossbars 3 and 4, for example, the insertion side of the crossbars 3 and 4 and the vertical base 5, and the fastening means 17 is received on the receiving side, (5) to connect the receiving side and the insertion side, that is, the vertical base (5) and the crossbars (3, 4).

그러나, 이는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가로대(3,4)가 삽입측으로서 수용측인 세로대(5)로 결합되는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것이며, 반대로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세로대(5)가 삽입측으로서 가로대(3,4)를 수용측으로 하여 결합되는 실시 형태의 경우에, 체결받이수단(21,31)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측인 가로대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고,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측인 세로대의 내부로 수용될 것이다.However, this is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bars 3, 4 of the crossbars 3, 4 and the crossbars 5, as shown in Figs. 2 to 12, are coupled with the vertical base 5,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 bar 3 or 4 and the vertical bar 5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side with the cross bar 3 or 4 as the insertion side, Although not shown, at least a portion thereof will be recei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ar which is the receiving side, and the remaining part thereof will be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vertical bar which is the insertion side.

따라서,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경우에, 가로대(3,4)가 삽입측이 되고, 세로대(5)가 수용측이 되는 바, 세로대(5)는 도 4 및 도 5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받이수단(21,31)을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외판(11)의 측판(12) 안쪽에 앞뒤 한 쌍의 고정홈(22)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바, 이 고정홈(22)은 세로대(5)의 압출 속성 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대(5) 안쪽에 병목을 만들어 체결받이수단(21,31)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rossbars 3, 4 are the insertion side and the vertical base 5 becomes the receiving side. As shown in detail in Figs. 4 and 5, A pair of front and rear fixing grooves 22 are formed in parallel on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12 of the outside sheathing 11 so that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21 and 31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utside. The fixing grooves 22 exten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n the extruded property of the vertical bar 5 and can fix the bottleneck inside the vertical bar 5 by sandwiching the fastening means 21 and 31 therebetween.

이와 같이, 체결받이수단(21)은 가로대(3,4)와 세로대(5)를 매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한 바, 그 상측 가로대(3)에 적용되는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도 4 및 도 5 등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편(23)과 돌출편(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21 can be manufactured in any form as far as it is capable of interposing the crossbars 3, 4 and the vertical base 5,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n insert piece 23 and a protruding piece 25. Fig.

여기에서, 상기 삽입편(23)은 체결받이수단(21)의 세로대(5) 측 연결부위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5)의 고정홈(2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세로대(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돌출편(25)은 가로대(3) 측 연결부위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삽입편(23)의 내측면에서 세로대(5)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상측 가로대(3)의 내력판(13)에 포개짐으로써,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7)을 박아 체결받이수단(21)을, 또 체결받이수단(21)을 통해 세로대(5)를 상측 가로대(3,4)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돌출편(25)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통공(27)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통공(27)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초기 상태 즉, 체결 전 상태에서 내력판(13)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9)과 편심을 이루는 바, 이러한 구조는 체결수단(17)을 통공(27)을 통해 체결공(29)에 체결시킬 때, 통공(27)과 체결공(29)이 동심을 이루도록 체결수단(17)에 의해 돌출편(25)을 안쪽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삽입편(23)이 고정홈(22) 안쪽 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측 가로대(3)의 외측단 즉, 상단의 양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에 대해 문짝(1)을 미끄럼 안내하는 안내축(10)이 설치될 수 있다.4 and 5, the insertion piece 23 is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22 of the vertical base 5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is made of a thin plate material so a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vertical base 5. 4 and 5, the protruding piece 25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insertion piece 2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rtical base 5,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5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5 through the fastening means 21 And serves to connect to the upper side bar 3, 4. For this purpose, a through hole 27 is formed in the projecting piece 25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27 is eccentric with the bolt fastening hole 29 formed in the force plate 13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before the fastening state, as shown in FIG. 6, By pulling the projecting piece 25 inward by the fastening means 17 so that the through hole 27 and the fastening hole 29 are concentric with each other when the fastening hole 29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9 through the through hole 27, So that the piece (23)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2). 3 and 4, a guide shaft 10 for slidingly guiding the door 1 relative to the door frame may be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upper side bar 3,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한편, 체결받이수단(31)은 가로대(3,4)와 세로대(5)를 매개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호차뭉치(30)를 구비한 하측 가로대(4)에 적용되는 경우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편(33)과 돌출편(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31 is a further embodiment that can mediate the crossbars 3 and 4 and the vertical base 5. In the case of being applied to the lower crossbars 4 having the crossbars 30, As shown in Fig. 12 to Fig. 12, it can include the insertion piece 33 and the projecting piece 35. [

여기에서, 상기 삽입편(33)은 삽입편(23)과 마찬가지로 세로대(5) 고정홈(2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세로대(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뭉치(30)의 케이스 외측변에 앞뒤로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돌출편(33)도 돌출편(25)과 마찬가지로 삽입편(23) 대향한 호차뭉치(30) 케이스의 내측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호차뭉치(30)가 하측 가로대(4)의 외측단 즉, 하단에 끼워진 때, 하측 가로대(4)의 내력판(13)에 포개지도록 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수단(17)을 박기 위한 통공(37)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Here, the insertion piece 33 is detachably fixed to the vertical base 5 by fitting in the longitudinal groove 5 in the vertical groove 5 like the insertion piece 23,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ir of front and rear part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e of the lock tooth bundle 30. 10, the protruding piece 33 protrudes inward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case of the intervertebral disc bundle 30 opposite to the insertion piece 23 like the protruding piece 25. As shown in Fig. 10, 7 and 10 to 12, as shown in Figs. 7 and 10 to 12, the fastening means 17 (see Fig. 7 and Fig. 10 to Fig. 12) The through hole 37 is formed at the center.

한편, 위와 같은 체결받이수단(31)을 구비한 호차뭉치(30)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지므로, 위와 같이 내측 단에 체결되는 하나의 체결수단(17)에 의해서만 고정을 하는 경우 고정이 불안정해 진다. 따라서, 호차뭉치(30)는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로대(4)에 안정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호차뭉치(30)의 케이스 전후변 상단에 삽입돌기(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측 가로대(4)는 호차뭉치(30)를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할 때, 삽입돌기(39)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내력판(13)과 인접하여 한 쌍의 호차홈(41)이 형성되는 바, 이 호차홈(41)도 마찬가지로 하측 가로대(4)의 압출 속성에 따라, 내력판(13)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k bar bundle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receiving means 31 has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a certain length, the fixing is unstable when it is fixed only by one fastening means 17 fastened to the inside end Loses. Therefore, as shown in FIGS. 7, 8, and 11, the lock bar bundle 3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e of the lock bar bundle 30 so as to be stably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bar bar 4 An insertion protrusion 39 protrudes and is formed. The lower cross bar 4 is provided with a pair of cam grooves 41 adjacent to the force plate 13 so that the lower cross bar 4 can be fixed by fitting the insertion projections 39 when the cam follower 30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And this cam groove 41 likewis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force plate 13 in accordance with the extrusion properties of the lower cross bar 4.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1)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hollow do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중공문짝(1)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투광판(7)의 상하변에 도 3의 화살표(a) 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를 끼운다. 이때, 가로대(3,4) 내측단의 끼움홈(15)에 투광판(7)의 상하단 모서리가 삽입된다.In order to assemble the hollow do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ide arms 3 and 4 are fitt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lucent plate 7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ranslucent plate 7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 at the inner end of the crossbar 3, 4.

이렇게 해서, 투광판(7)과 가로대(3,4)의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는 투광판(7) 및 가로대(3,4) 조립체의 좌우 측변에 도 3의 화살표(b) 방향으로 세로대(5)를 끼운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세로대(5) 내측단의 끼움홈(15)에 투광판(7)과 가로대(3,4)의 좌우측단 모서리가 삽입된다. 이때, 도 3의 실시예의 경우에 세로대(5)는 내력판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도 5, 도 6,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투광판(7) 및 가로대(3,4) 조립체가 내부의 고정홈(22)까지 깊숙이 삽입된다. 따라서, 세로대(5)는 외판(11)의 폭만큼 투광판(7) 및 가로대(3,4)의 좌우 측변을 덮게 된다. 다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위와 반대로 세로대(5)를 먼저 투광판(7)에 끼우고, 그 상태로 투광판(7)과 함께 가로대(3,4)에 끼워 문짝(1)을 조립할 수도 있다.After the light-transmitting plate 7 and the cross bars 3 and 4 are assembled, the transversely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translucent plate 7 and the cross bar 3, ). At this time as well, the left and right end corners of the translucent plate 7 and the cross bars 3, 4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 at the inner end of the vertical bar 5.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3, the vertical pole 5 does not have a force plate, and therefore, as shown in Figs. 5, 6, 10 and 12, Is inserted deeply into the inner fixing groove 22. Therefore, the vertical pole 5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flector 7 and the crossbars 3, 4 by the width of the outer sheath 11.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fit the door 1 in such a manner that the vertical bar 5 is first fitted to the transparent plate 7, and the bar 1 is inserted into the bar 3 or 4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plate 7 in this state .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위와 같이 끼워져 배치된 가로대(3,4)와 세로대(5)를 체결하여 투광판(7)을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문짝(1)의 조립을 완성하는데, 이를 위해, 상측 가로대(3)가 조립되는 문짝(1)의 상단에서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대(5)에 체결받이수단(21)을 고정하도록, 고정홈(22)에 삽입편(23)을 길이방향으로 즉, 수직하게 끼워 넣는다. 이때, 체결받이수단(21)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편(25)이 상측 가로대(3) 상단의 내력판(13) 위에 포개진다. 5, the assembling of the door 1 is completed through the process of fixing the translucent plate 7 by fastening the crossbars 3, 4 and the vertical base 5 interposed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1 where the upper side bar 3 is assembled, firstly, as shown in Fig. 5, the front side of the door 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 so as to fix the fastening means 21 to the vertical base 5, I.e.,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21 is formed such that the projecting pieces 25 are superimposed on the force plate 13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bar 3.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받이수단(21)의 통공(27)에 체결볼트로 된 체결수단(17)을 통과시켜 위 내력판(13)의 체결공(29)에 체결수단(17)을 체결함으로써, 세로대(5)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을 통해 세로대(5)와 상측 가로대(3)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로 결합하게 된다.6, the fastening means 17 of the fastening bolt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7 of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21 and the fastening means 29 of the upper end plate 13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The vertical bar 5 and the upper bar 3 are joined together as shown in FIG. 2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7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5 by fastening the vertical bar 5 and the upper bar 3 to each other.

한편, 하측 가로대(4)가 조립되는 문짝(1)의 하단에서는 먼저, 투광판(7)과 하측 가로대(4)의 좌우 측변 모서리에 세로대(5)를 끼우기 전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대(5) 하단에 호차뭉치(30)를 삽입하는 동시에, 삽입편(33)을 화살표(c)로 표시된 길이방향으로 즉, 수직 상방으로 세로대(5) 하단의 고정홈(22)에 끼워 넣는다.8 and 9, before the vertical pole 5 is fit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translucent plate 7 and the lower cross bar 4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1 in which the lower cross bar 4 is assembled, The insertion piece 3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se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c, that is, vertically upward, while simultaneously inserting the interposition bolt 30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se 5, .

그리고 나서, 투광판(7)과 하측 가로대(4)의 좌우 측변 모서리에 세로대(5)를 끼울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뭉치(30)를 화살표(d) 방향으로 하측 가로대(4) 내부로 밀어 넣어 돌출편(35)이 하측 가로대(4)의 하단 내력판(13) 저면에 포개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삽입돌기(39)가 하측 가로대(4)의 호차홈(41)에 길이방향으로 즉,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바, 호차뭉치(30)는 외측단이 삽입돌기(39)를 통해 하단 내력판(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9, when the vertical pole 5 is fit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translucent plate 7 and the lower cross bar 4, the lock bar bundle 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4 so that the projecting pieces 35 are super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force plate 13 of the lower side bar 4. At the same time, the insertion protrusions 39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grooves 41 of the lower cross bar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s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urance plate 13.

끝으로,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로대(4)의 하단 내력판(13) 저면에 밀착된 체결받이수단(31)의 돌출편(35) 통공(37)으로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17)을 통과시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 내력판(13)의 체결공(43)에 체결수단(17)을 체결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세로대(5)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17)을 통해 세로대(5)와 하측 가로대(4)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로 결합하게 된다.10 and 12, the projecting piece 35 of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31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force plate 13 of the lower cross bar 4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bolt And the fastening means 17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43 of the lower end plate 13 as shown in Figs. 8 and 9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5 The vertical legs 5 and the lower legs 4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7 as shown in FIG.

이렇게 해서, 체결받이수단(21,31)을 통해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와 세로대(5)를 각각 결합함으로써, 투광공간(S)에 배치되는 투광판(7)과 함께 문짝(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Thus, by joining the upper and lower side girders 3, 4 and the vertical side 5 through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21, 31, the translucent plate 7 disposed in the translucent space S and the door 1 Is completed.

1 : 문짝 3, 4 : 상측 및 하측 가로대
5 : 세로대 7 : 투광판
11 : 외판 13 : 내력판
15 : 끼움홈 17 : 체결수단
21, 31 : 체결받이수단 22 : 고정홈
23 : 삽입편 25 : 돌출편
30 : 호차뭉치 33 : 삽입편
35 : 돌출편 39 : 삽입돌기
41 : 호차홈 S : 투광공간
1: Door 3, 4: Upper and lower side rail
5: Vertical stage 7: Transparent plate
11: Shell plate 13: Strength plate
15: fitting groove 17: fastening means
21, 31: fastening means 22: fastening groove
23: insertion piece 25:
30: Bundle 33: Insertion piece
35: projecting piece 39: insertion projection
41: car door groove S: floodlight space

Claims (1)

중간에 투광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 가로대(3,4);
상기 가로대(3,4)와 함께 중간에 상기 투광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대(3,4)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내측 모서리면에 끼움홈(15)이 형성된 세로대(5); 및
상기 끼움홈(15)에 삽입되어, 상기 투광공간(S)에 배치되는 투광판(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내부로 삽입되어, 삽입측의 상기 어느 한 쪽과 수용측의 상기 다른 한 쪽의 결합이 상기 수용측 다른 한 쪽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17)에 의해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상기 수용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가로대(3,4)와 세로대(5) 중 상기 삽입측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체결수단(17)을 상기 수용측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용측과 상기 삽입측을 연결하는 체결받이수단(21,31)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3,4)가 하측 가로대(4)이고, 호차뭉치(30)를 구비할 때,
상기 세로대(5)는 상기 체결받이수단(31)을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대(5)의 측판(12)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22)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받이수단(31)은,
상기 고정홈(2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세로대(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호차뭉치(30)의 외측변에 형성된 삽입편(23); 및
상기 삽입편(23) 대향측의 상기 호차뭉치(30) 내측변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측 가로대(4)의 내력판(13)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체결수단(17)이 결합되는 돌출편(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
Upper and lower side rails 3 and 4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form a light-transmitting space S in the middle, with fitting grooves 15 formed in the inner corner face;
And a pair of vertical arms 5 and 6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oss bars 3 and 4 so as to form the transparent space S in the middle with the cross bars 3 and 4, ); And
And a translucent plate (7) inserted in the fitting groove (15) and arranged in the light transmitting space (S)
One of the cross bars (3, 4) and the vertical bar (5)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side with the other side of the reception side is the other side And a fastening means (17) fas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ide of the crossbars (3, 4) and the vertical base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maining part is received inside the crossbars (3, 4) and the vertical base And fastening receiving means (21, 31) for connecting said receiving side and said insertion side by allowing said fastening means (17) to be fas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said receiving side,
When the crossbars (3, 4) are the lower crossbars (4) and have the runner bundle (30)
The vertical base 5 has a fixing groove 2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ide plate 12 of the vertical base 5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31 from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astening receiving means (31)
An insertion piece 23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lock bar bundle 3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 longitudinall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vertical bar 5; And
Is project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tervertebral disc bundle (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iece (23) and is superposed on the force plate (13) of the lower side bar (4) (25) having a detachable fastener.
KR1020180079005A 2018-07-06 2018-07-06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Withdrawn KR201800810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005A KR20180081033A (en) 2018-07-06 2018-07-06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005A KR20180081033A (en) 2018-07-06 2018-07-06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800A Division KR101878166B1 (en) 2016-01-14 2016-01-14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033A true KR20180081033A (en) 2018-07-13

Family

ID=6291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005A Withdrawn KR20180081033A (en) 2018-07-06 2018-07-06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03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51U (en) * 2022-03-02 2022-03-21 김희일 Door frame and lock pin guide for stable 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51U (en) * 2022-03-02 2022-03-21 김희일 Door frame and lock pin guide for stable coup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1644A (en) Frame structure especially for a cabinet, e.g. of the shelved type
KR100188361B1 (en) Frame member for space dividers, screens, similar panel structures
US4126364A (en) Connector for frame members
CA2417400C (en) Door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7887250B1 (en) Aluminum window structure
KR101878166B1 (en)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KR20180081033A (en) Hollow Door Provided With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KR101848083B1 (en) Hollow Door Provided With A Middle Frame
KR20030090759A (en) Sectional steel frame from profiled sections that are screwed together
KR101899715B1 (en) Screwless assembly shelf
KR102202734B1 (en) Connective structure of breadth frame and door plate of door
JP2007186892A (en) Door
KR20180071861A (en) 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Frame of Door and Glass Member
KR200261570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windows frame
KR20170001493U (en) Manufacture structure for ornament frame of door glass
JP5673410B2 (en) Lighting fixture
KR200377437Y1 (en) Frame structure of door
KR200387196Y1 (en) Prefabricated sash windows/doors
KR101848976B1 (en) Hollow Door Provided With A Complex Fixture For A Glass Plate And Its Assembling Method
JPH0224870Y2 (en)
KR20180134824A (en) 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Frame and Horizontal Frame of the Door
KR20170084983A (en) Door Provided With A Structural Type Translucent Plate
JPS60473Y2 (en) Assembly structure of fittings
KR101418544B1 (en) Assembly type receptacle
JP4704597B2 (en) Watermark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11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048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