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80201A -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 Google Patents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201A
KR20180080201A KR1020187011535A KR20187011535A KR20180080201A KR 20180080201 A KR20180080201 A KR 20180080201A KR 1020187011535 A KR1020187011535 A KR 1020187011535A KR 20187011535 A KR20187011535 A KR 20187011535A KR 20180080201 A KR20180080201 A KR 2018008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silica gel
dipyridin
pyrano
reaction 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키 구로카와
유 요시다
고교쿠 신
요시히사 고바야시
히로노리 후쿠모토
구니토시 다케다
요시아키 오하시
마코토 고타케
도모유키 시부구치
도루 와타나베
요이치 기타
신스케 히로타
다카시 후쿠야마
야스아키 가마다
Original Assignee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20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1/1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147Ortho-condensed systems the condensed system containing one ring with oxygen as ring hetero atom and two rings with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1/00Preparation of esters of nitric or nitrous acid or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52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six-memb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ddic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화학식 (I) 내지 (XX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Description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본 발명은 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이속사졸프로피온산(AMPA) 수용체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중추신경계의 흥분성 신호전달에는 시냅스 전 영역으로부터 방출된 글루탐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용은 글루탐산이 시냅스 후 영역에 존재하는 글루탐산염 수용체에 결합할 때 초래되며, 이러한 글루탐산염 수용체는 이온성 수용체 및 G-단백질 결합 수용체로 분류되는데, 전자는 추가적으로 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이속사졸프로피온산(AMPA) 수용체,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 수용체, 카이네이트 수용체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가운데, AMPA 수용체는 뇌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되는 수용체이며, 신속한 흥분성 시냅스 전달 및 시냅스 가소성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AMPA 수용체가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것의 기능 이상은 예를 들어, AMPA 수용체가 존재하는 뉴런의 비정상적인 흥분성을 유발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질병의 예로는 간질, 다양한 통증(말초 신경 통증, 중추 신경 통증 및 침해 수용성 통증(각각은 만성, 급성, 또는 간헐적 통증을 포함한다)), 다발경화증과 같은 다양한 탈수초질환,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측삭경화증(ALS), 헌팅턴 무도병 및 AIDS 신경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병, 불안, 우울, 양극성 기분장애, 의존성, 약물 남용 및 정신분열병과 같은 다양한 정신질환, 대뇌허혈, 두부외상, 뇌척수손상, 떨림, 근육긴장이상 및 운동이상증과 같은 운동 기능장애, 및 자폐증과 같은 발달장애가 포함된다. 따라서, AMPA 수용체의 억제제(AMPA 억제제)는 이들 질병의 치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간질 치료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비 특허문헌 1).
간질은 가장 흔한 중추신경질환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 이상의 간질 환자가 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간질은 "다양한 병인으로 인한 뇌의 만성적인 장애이며, 뇌 뉴런의 과도한 방전으로부터 유래된 반복성 발작(간질 발작)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발작은 상당히 다양한 임상 결과 및 검사 결과의 표출을 수반한다"고 정의된다.
공지된 간질 발작의 예에는 단순 부분 발작, 복합 부분 발작 및 2차성 전신발작과 같은 부분 발작, 실신발작, 간대성근경련발작, 경련발작, 강직발작, 간대성 강직성 발작, 무긴장발작, 결절성 경화증, 드라베 증후군, 진행성 근간대간질, 라포라병, 운베리히트-룬드보그병,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핵 위축증(dentatorubral-pallidoluysian atrophy), 취약 X 증후군, 웨스트 증후군 및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이 포함된다. 간질 치료는 항간질약을 이용한 약물요법을 기초로 한다. 간질 치료의 목표는 간질 발작의 소실 및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발생 방지이다. 항간질약을 이용한 치료는 원칙적으로 단일 약물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단일 약물 치료는 2종 또는 3종의 상이한 약물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것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 다중 약물 치료가 시도된다. 항간질약 치료를 통한 발작 개선은 새로 발병한 간질 환자의 약 70%에서 기대될 수 있다. 그러나 나머지 약 30%의 환자에서는 다중 약물 치료로도 간질 발작이 억제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간질 발작은 일부 뉴런의 비정상적인 흥분이 뉴런 집단 전체의 비정상적인 동기 발화(synchronization of firing)로 발전할 때 유발된다고 여겨지며, 간질 발작의 발생 및 전파에는 글루탐산 뉴런, 특히, AMPA 수용체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여러 보고가 있었다. 예를 들어, 랫트 비쿠쿨린 유도성 경련 모델(비 특허문헌 2와 비 특허문헌 3)에서 AMPA 억제제가 경련의 발생 및 전파를 억제한다고 보고된 바 있었다. 또한, 광범위한 경련 모델(비 특허문헌 4와 비 특허문헌 5)에서 AMPA 억제제가 강력한 항경련 작용을 나타냄이 잘 알려져 있다. 나아가, 극도로 심각하고 지속적인 발작을 경험하는 간질지속증 모델에서 AMPA 억제제가 발작 정지 작용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어서 AMPA 억제제가 간질지속증에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비 특허문헌 6).
마찬가지로 인간에서는 AMPA 수용체의 발현이 간질 환자로부터 채취된 간질 초점을 함유하는 해마 뉴런에서 증가되었음이 보고된 바 있다(비 특허문헌 7). 또한, AMPA 수용체 억제제가 인간에서 항경련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으므로, AMPA 수용체는 특히 간질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비 특허문헌 5).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AMPA 억제제는 간질을 비롯한 다양한 중추신경 질병의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나, AMPA 억제제는 주요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용량에서 진정 또는 운동 실조와 같은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비 특허문헌 8). 인간에서는, 이러한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이 용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 감소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비 특허문헌 9). 그러나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은 중간 내지 높은 용량에서 관찰되는데, 이것은 장기적인 투여를 필요로 하는 간질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용량 제한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되어버렸다.
AMPA 수용체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로서 다음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화학식 1]
Figure pct00001
(I)
화학식 1에서, A1, A2, 및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C6-14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기 또는 5원 내지 14원 방향족 헤테로고리 기일 수 있고;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일 수 있고; Q는 산소 원자일 수 있고; Z는 탄소 원자일 수 있고; R1 및 R2는 CR2-ZR1이 C=C로 표현되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결합될 수 있고; R3은 A3 상의 임의의 원자와 결합할 수 있고, 그러한 원자와 함께, 선택적으로 치환된 5원 내지 8원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은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삼환식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실시예 9로 개시하고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
WO02/22587
Daniela Catarzi et al. Medicinal Research Reviews, vol. 27, No. 2, pp. 239~278, 2007 Rogawski MA et al. Acta Neurol Scand Suppl. 2013; (197): 9~18 Alfonso Tortorella et al. JPET 280: 1401~1405, 1997 De Sarro et al. CurrTop Med Chem. 2005; 5 (1): 31~42 Russo E et al. Expert Opin Investig Drugs. 2012 Sep; 21(9): 1371~89. Brita Fritsch et al. Epilepsia, 51 (1): 108~117, 2010 Hosford DA et al. J Neurosci 1991; 11: 428~434 Shun-ichi Yamaguchi et al. Epilepsy Research, 15 (1993) 179~184 Hanada T. Expert Opin Drug Discov. 2014 Feb 24, 9(4): 449~458
본 발명의 목적은 AMPA 수용체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감소된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간질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용도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위에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AMPA 수용체 억제작용 및 감소된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신규한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발견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아래에 기재된 <1> 내지 <24>에 관한 것이다.
<1>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3]
Figure pct00003
2-플루오로-6-(7-(5-메톡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
Figure pct00004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5]
Figure pct00005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6]
Figure pct00006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7]
Figure pct00007
7-(피리딘-3-일)-9-(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8]
Figure pct00008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9]
Figure pct00009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라진-2-카보니트릴: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9-(2-플루오로페닐)-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2-(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3-(7-(2-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2-플루오로-6-(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2-플루오로-6-(10-플루오로-3-옥소-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2-일)벤조니트릴: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2-(7-(5-클로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6-플루오로벤조니트릴: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9-(3-플루오로-2-메틸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2-플루오로-6-(7-(5-메톡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7-(피리딘-3-일)-9-(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라진-2-카보니트릴:
[화학식 32]
Figure pct00032
9-(2-플루오로페닐)-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33]
Figure pct00033
2-(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34]
Figure pct00034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35]
Figure pct00035
3-(7-(2-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36]
Figure pct00036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37]
Figure pct00037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38]
Figure pct00038
2-플루오로-6-(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39]
Figure pct00039
2-플루오로-6-(10-플루오로-3-옥소-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2-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0]
Figure pct00040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41]
Figure pct00041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2]
Figure pct00042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3]
Figure pct00043
2-(7-(5-클로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6-플루오로벤조니트릴:
[화학식 44]
Figure pct00044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5]
Figure pct00045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46]
Figure pct0004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7]
Figure pct00047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화학식 48]
Figure pct00048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49]
Figure pct0004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50]
Figure pct00050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화학식 51]
Figure pct0005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52]
Figure pct0005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53]
Figure pct0005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54]
Figure pct0005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화학식 55]
Figure pct00055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4> <13>에 있어서, AMPA 수용체 억제제인 의약 조성물.
<15> <13>에 있어서, 간질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
<16> <15>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의약 조성물.
<17>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간질 치료제.
<18> <17>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치료제.
<19>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질의 치료방법.
<20> <19>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방법.
<21> 간질 치료에 사용되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2> <21>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화합물.
<23> 간질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
<24> <23>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 내지 화학식 (XXII)로 표시되는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이하 화합물 (I) 내지 (XXII)라 지칭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아래에 기술된 약리 시험예의 활성 데이터에 나타난 바와 같이 AMPA 수용체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경련 억제작용과 중추신경계 억제작용은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XXII)는 AMPA 수용체 억제작용을 나타내므로, 뇌에서의 글루탐산에 의해 유발된 비정상적인 흥분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데, 이는 간질 발작의 억제로 이어지고,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XXII)는 중추신경계 억제작용과 관련하여 안전역을 가지며, 따라서 간질 치료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실시예 6 내지 13의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에 대한 로터로드 수행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실시예 5 및 실시예 14 내지 22의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에 대한 로터로드 수행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서 구조식은 편의상 특정 이성질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은 편의상 도시된 화학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하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회전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 및 호변 이성질체와 같은 이러한 화합물의 구조적으로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러한 이성질체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이성질체를 주어진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경우 예를 들어, 광학적 이성질체와 라세미 혼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그것들 중 어떠한 것에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광학적 활성 물질 중 임의의 것, 또는 각각의 광학적 활성 물질을 주어진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결정 다형이 존재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그것들 중 어떠한 것에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형 중 임의의 것의 단일 형태,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고, 본 발명은 비정질 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특히, 수화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합물 (I) 내지 (XXII)의 동위원소 표지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도 포함한다. 이러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들이 자연계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원자들과 원자 질량 또는 질량 수가 상이한 원자로 교체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I) 내지 (XXII)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포함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불소, 인, 황, 요오드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2H, 3H, 11C, 14C, 15N, 18O, 18F, 및 35S가 포함된다.
위에 기술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3H 및/또는 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통합된 화합물은 의약 및/또는 기질의 조직 분포 분석에 유용하다. 3H와 14C는 용이하게 제조되고 검출되므로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동위원소 11C와 18F는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에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고, 이들 동위원소 전부는 뇌 영상화에 유용하다. 2H와 같은 더 무거운 동위원소로의 치환은 그것의 더 높은 대사 안정성 덕분에 생체 내 반감기의 증가 또는 요구되는 용량의 감소와 같은 일정한 치료상의 이점을 제공하며, 따라서 특정 상황에서는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위에 기술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동위원소로 표지되지 않은 시약 대신 용이하게 이용 가능한 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을 이용하여 아래 실시예에 개시된 절차를 수행하여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설명에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그것이 본 발명의 임의의 화합물과 형성된 염이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염, 유기산 염, 또는 산성 아미노산 염과 같은 산 부가염일 수 있다.
본 설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관련하여,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절한 비율로 염이 형성되기만 한다면 형성된 염에서 화합물 한 분자에 대한 산의 분자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화합물 한 분자에 대한 산의 분자 수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약 1, 또는 약 2 이다.
무기산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염산염, 브롬화 수소산염, 황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이 포함되고, 유기산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세트산염, 석신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락트산염, 스테아르산염, 벤조산염, 메탄설폰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및 벤젠설폰산염이 포함된다.
산성 아미노산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스파르트산염 및 글루탐산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내지 (XXII)가 유리 형태로 수득되는 경우, 그것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위에 기술된 화합물 (I) 내지 (XXII)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염 또는 이의 수화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내지 (XXII)가 화합물 (I) 내지 (XXII)의 염 또는 수화물로 수득되는 경우, 그것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위에 기술된 화합물 (I) 내지 (XXII)의 유리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대해 수득된 다양한 이성질체(예를 들어, 기하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회전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 및 호변 이성질체)는 일반적인 분리 수단, 예를 들어, 재결정화,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 형성법, 효소 분해법 및 다양한 유형의 크로마토그래피(예를 들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 및 단리할 수 있다.
[제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물을 화합물 (I) 내지 (XXII)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일본 약전 16판의 제제 총칙에 기술된 방법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환자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내지 (XXII) 각각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량은 병태의 중증도, 연령, 성별, 체중, 제형 또는 염의 종류, 질병의 구체적인 종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성인은 경구 투여의 경우 1일 용량이 약 30 μg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100 μg 내지 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μg 내지 1 g이고, 주사 투여의 경우 1일 용량이 약 30 μg 내지 1 g, 바람직하게는 100 μg 내지 5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μg 내지 300 mg이며, 각각은 단일 용량으로 또는 여러 회 분할된 용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리활성 저분자량 화합물의 표적 단백질을 포착하기 위한 화학적 프로브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J. Mass Spectrum. Soc. Jpn. Vol. 51, No. 5 2003, p 492~498 또는 WO 2007/139149에 기술된 기법을 이용하여 활성 발현에 필수적인 구조 부분과는 상이한 화합물의 부분에 표지 기, 링커 등을 도입함으로써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프로브, 광친화성 프로브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화학적 프로브로 사용되는 표지 기, 링커 등의 예에는 아래 (1) 내지 (5)로 구성된 군에 나타낸 기가 포함된다:
(1) 광친화성 표지 기(예를 들어, 벤조일 기, 벤조페논 기, 아지드 기, 카보닐아지드 기, 디아지리딘 기, 에논 기, 디아조 기 및 니트로 기) 및 화학 친화성 기(예를 들어, 알파 탄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케톤 기, 카바모일 기, 에스테르 기, 알킬티오 기, α, β-불포화 케톤, 에스테르, 또는 기타 미카엘 수용체 및 옥시란 기)와 같은 단백질 표지 기;
(2) -S-S-, -O-Si-O-, (글루코스 기 및 갈락토스 기와 같은) 단당류 또는 (락토스와 같은) 이당류와 같은 절단 가능한 링커 및 효소 작용에 의해 절단 가능한 올리고펩티드 링커;
(3) 비오틴 및 3-(4,4-디플루오로-5,7-디메틸-4H-3a,4a-디아자-4-보라-s-인다센-3-일)프로피오닐 기와 같은 피싱 태그(fishing tag);
(4) 예를 들어, 125I, 32P, 3H 및 14C와 같은 방사성 표지 기;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댄실, 엄벨리페론, 7-니트로푸라자닐 및 3-(4,4-디플루오로-5,7-디메틸-4H-3a,4a-디아자-4-보라-s-인다센-3-일)프로피오닐 기와 같은 형광 표지 기; 루시페린 및 루미놀과 같은 화학발광 기; 및 란탄족 금속 이온 및 라듐 이온과 같은 중금속 이온의 검출 가능한 마커; 또는
(5) 유리 비즈, 유리 베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아가로스 비즈, 아가로스 베드, 폴리스티렌 비즈, 폴리스티렌 베드, 나일론 비즈 및 나일론 베드와 같은 고체상 담체에 결합된 기.
위의 (1) 내지 (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표지 기 등을 위에 언급된 문헌 등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도입하여 제조한 프로브는 신규한 약물 표적 등을 탐색하는 데 유용한 표지 단백질 식별용 화학적 프로브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XXII)는 예를 들어 다음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의 효과는 다음의 시험예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어떠한 경우에도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문헌명 등이 언급된 화합물은 이러한 문헌 등에 따라 제조된 것이다.
본 설명에 사용된 약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약어이다. 본 설명에서 다음의 약어가 사용된다:
AIBN: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taphos)2PdCl2: 비스(디-t-부틸(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디클로로팔라듐(II)
DCM: 디클로메탄
DIAD: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iglyme(디글라임): 1-메톡시-2-(2-메톡시에톡시)에탄
DME: 1,2-디메톡시에탄
DMEAD: 디-2-메톡시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ED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
IPA: 이소프로필알코올
mCPBA: 3-클로로퍼벤조산
MTBE: 2-메톡시-2-메틸프로판
n-: 노말
NBS: N-브로모석신이미드
NMP: N-메틸-2-피롤리디논
Pd(PPh3)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Pd(dppf)Cl2: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t-: 3차(tertiary)
TBAF: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H-NMR: 양성자 핵자기 공명 분광분석법
MS: 질량 분광분석법
다음의 실시예, 참고예 및 제조예에서, "실온"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약 35℃를 지칭한다. "%"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량%를 지칭한다.
양성자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의 화학적 이동은 테트라메틸실란에 대한 δ 단위(ppm)로 기록되어 있고, 결합 상수는 헤르츠(Hz)로 기록되어 있다. 분열 패턴에 대한 약어는 다음과 같다:
s: 단일 선, d: 2중 선, t: 3중 선, q: 4중 선, m: 다중 선, br.s: 넓은 단일 선.
제조예, 참고예 및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반응기를 이용한 반응의 경우, 바이오티지 社(Biotage Corporation)의 이니시에이터(initiatorTM) 또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TM)을 이용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로 머크 社(Merck Corporation)의 실리카겔60(70~230 메쉬 ASTM) 또는 후지실리시아 화학 社(Fuji Silysia Chemical Ltd.)의 PSQ60B를 이용하였거나, 사전 충전된 컬럼{컬럼: 야마젠 社(Yamazen Corporation)의 하이-플래시(Hi-FlashTM) 컬럼(실리카겔), 크기: S(16 x 60 mm), M(20 x 75 mm), L(26 x 100 mm), 2L(26 x 150 mm) 및 3L(46 x 130 mm) 중 임의의 것; 또는 바이오티지 社의 바이오티지TM SNAP 울트라 실리카 카트리지, 크기: 10 g, 25 g 및 50 g 중 임의의 것}을 이용했다.
NH 실리카 겔로는 후지실리시아 화학 社의 CHROMATOREX NH-DM2035을 사용하였거나, 사전 충전된 컬럼{컬럼: 야마젠 社의 하이-플래시 컬럼(아미노), 크기: S(16 x 60 mm), M(20 x 75 mm), L(26 x 100 mm), 2L(26 x 150 mm) 및 3L(46 x 130 mm) 중 임의의 것; 또는 와코 퓨어케미컬 공업社(Wako PureChemical Industries, Ltd.)의 프리셉(PresepTM(루어락(Luer Lock)) NH2 (HC), 크기: M형(14 g /25 mL), L형(34 g/70 mL), 2L형(50 g/100 mL) 및 3L형((110 g/200 mL) 중 임의의 것}을 사용했다.
중성 알루미나로는 산화알루미늄 90 활성 중성, 70~230 메쉬, 머크, E6NXX를 사용했다.
아래 표시된 화합물의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약을 제외하고는 "E-노트북" 버전 12(퍼킨 엘머 社(PerkinElmer Co., Ltd.))에 표시된 명칭을 사용했다.
제조예 1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56]
Figure pct00056
(1) (3-브로모-6-메톡시피리딘-2-일)메틸 아세테이트의 합성
3-브로모-6-메톡시-2-메틸피리딘(CAS No. 126717-59-7)(4.87 kg, 24.1 mol, 1 당량)을 클로로포름(25 L)에 용해시키고 0~10℃까지 냉각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65% mCPBA(8.32 kg, 31.3 mol, 1.3 당량)를 첨가하고, 그에 따른 현탁액을 10시간 동안 40~5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까지 냉각시키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20 L)으로 세척했다. 한데 모은 여과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실온에서 무수 아세트산(12.2 L, 129 mol, 5.4 당량)을 그에 따른 여과액에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65~70℃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35 L)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했다. 이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n-헥산(40 L)과 물(30 L)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했다. 이것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n-헥산(15 L)으로 세척했다. 모든 여과액을 한데 모으고, 수성층을 분리했다. 유기층을 순차적으로 물(2 x 30 L)과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5 L)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4 kg)을 수득하였다.
(2) (6- 메톡시 -3-(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피리딘-2-일)메틸 아세테이트의 합성
(3-브로모-6-메톡시피리딘-2-일)메틸 아세테이트(1.0 kg, 3.85 mol, 1 당량), 비스(피나콜라토)디보란(1.47 kg, 5.79 mol, 1.5 당량) 및 DMSO(200 mL) 중 아세트산 칼륨(1.14 kg, 11.6 mol, 3 당량) 및 1,4-디옥산(10 L)의 혼합 용액을 20분 동안 아르곤으로 버블링했다. 이러한 용액에 Pd(dppf)Cl2(141 g, 193 mmol, 0.05 당량)를 첨가하고 이러한 용액에 다시 10분 동안 아르곤을 버블링했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과 n-헥산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TM)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의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n-헥산으로 다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80 kg)을 미정제 생성물로 수득했다. 이 미정제 생성물을 추가적인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했다.
(3) (3-(벤질옥시)-6'-메톡시-[2,3'-비피리딘]-2'-일)메탄올의 합성
3-(벤질옥시)-2-브로모피리딘(CAS No. 132330-98-4)(900 g, 3410 mmol), (6-메톡시-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일)메틸 아세테이트(1.80 kg), 탄산세슘(2.22 kg, 6.81 mol), DME (18 L) 및 물 (1.8 L)의 혼합물을 20분 동안 아르곤으로 버블링했다. 이러한 용액에 Pd(PPh3)4(80 g, 69.2 mmol)를 첨가하고 이러한 용액에 다시 10분 동안 아르곤을 버블링했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킨 후 60℃까지 냉각시키고, 물(5 L)과 6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 L)을 첨가했다. 이 용액을 2시간 동안 50~60℃에서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10 L)를 첨가하고,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2 M 염산(2 x 5 L)으로 추출했다. 이 수성층을 6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 L)으로 염기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5 L)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후,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본래 용액 부피의 약 절반까지 농축하였다. 이 용액에 활성탄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30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밤새 n-헥산 중 2% MTBE 용액에서 교반하고, 그에 따른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760 g)을 수득했다.
(4) 2'-(하이드록시메틸)-6'-메톡시-[2,3'-비피리딘]-3-올의 합성
질소 분위기 하에 에탄올(3.3 L) 중 탄소 상 10% 팔라듐(함수량 50%)(33.0 g)의 현탁액으로 5 L 스테인리스강 압력 반응기를 채웠다. 이러한 현탁액에 (3-(벤질옥시)-6'-메톡시-[2,3'-비피리딘]-2'-일)메탄올(330 g, 1020 mmol)을 서서히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에 20시간 동안 150 psi의 압력 하에 실온에서 수소 첨가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기를 질소 퍼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메탄올(2.5 L)로 세척했다. 합친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그에 따른 잔류물을 n-헥산에 현탁시키고, 결과물을 여과,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225 g)을 수득했다.
(5)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0~10℃에서 DCM(4.5 L) 중 2'-(하이드록시메틸)-6'-메톡시-[2,3'-비피리딘]-3-올(225 g, 969 mmol, 1 당량) 및 트리페닐포스핀(308 g, 1170 mmol, 1.2 당량)의 용액에 DIAD(230 mL, 1180 mmol, 1.2 당량)를 점적 첨가했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DCM과 물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했다. 수성층을 DCM으로 다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잔류물에 1,4-디옥산(2.25 L)과 진한 염산(1.13 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시킨 다음,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했다. 그에 따른 고체에 물(2.5 L)과 암모니아 수용액(250 mL)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했다. 그에 따른 고체를 30분 동안 실온에서 아세톤(1 L)에서 교반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했다. 그에 따른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160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DMSO-d6) δ (ppm): 5.15 (s, 2H), 6.35~6.55 (m, 1H), 7.12~7.18 (m, 1H), 7.25~7.32 (m, 1H), 8.03~8.13 (m, 1H), 8.13~8.21 (m, 1H), 11.82 (br. s, 1H).
제조예 2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57]
Figure pct00057
(1) 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 (7H)-온의 합성
산소 분위기 하의 65℃에서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 g, 20.0 mmol, 1 당량), 탄산은(6.61 g, 24.0 mmol, 1.2 당량), 요오드화 구리(I)(2.28 g, 12.0 mmol, 0.6 당량), 피리딘(9.7 mL, 120 mmol, 6 당량) 및 DMF(100 mL)의 혼합물에 DMF(100mL) 중의 피리딘-3-보론산 1,3-프로판디올 고리형 에스테르(CAS No.131534-65-1)(9.77g, 59.9mmol, 3 당량)의 현탁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NH 실리카겔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했다. 그에 따른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10% ~ 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 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10 m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5 (d, J = 15.4 Hz, 1H), 4.79 (d, J = 15.4 Hz, 1H), 6.74~6.81 (m, 1H), 7.06~7.18 (m, 2H), 7.49~7.59 (m, 1H), 7.64~7.74 (m, 1H), 8.21~8.30 (m, 1H), 8.32~8.38 (m, 1H), 8.51~8.56 (m, 1H), 8.75~8.82 (m, 1H).
(2)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300 mg, 1.08 mmol, 1 당량), NBS(231 mg, 1.30 mmol, 1.2 당량) 및 DMF(9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 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77 m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59~4.66 (m, 1H), 4.72~4.79 (m, 1H), 7.10~7.14 (m, 1H), 7.15~7.19 (m, 1H), 7.53~7.58 (m, 1H), 7.66~7.71 (m, 1H), 8.26 (dd, J = 4.6, 1.7 Hz, 1H), 8.52~8.55 (m, 1H), 8.78 (s, 1H), 8.80 (dd, J = 4.8, 1.7 Hz, 1H).
제조예 3
9-브로모-7-(티오펜-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58]
Figure pct00058
(1) 7-(티오펜-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 g, 5.00 mmol, 1 당량), 티오펜-3-보론산(CAS No.6165-69-1)(1.28 g , 9.99 mmol, 2 당량), 탄산은(1.65 g, 5.99 mmol, 1.2 당량), 요오드화 구리(I)(571 mg, 3.00 mmol, 0.6 당량), 피리딘(2.42 mL , 30.0 mmol, 6 당량) 및 DMF(40 mL)의 혼합물을 70℃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되돌아게 한 후, 실리카겔 패드(NH 실리카겔과 실리카겔)에 적용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10% ~ 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9 m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9 (br. s, 2H), 6.71~6.77 (m, 1H), 7.04~7.07 (m, 1H), 7.07~7.10 (m, 1H), 7.11~7.17 (m, 1H), 7.28~7.32 (m, 1H), 7.50~7.56 (m, 1H), 8.21~8.25 (m, 1H), 8.26~8.31 (m, 1H).
MS [M+H]+ = 283
(2) 9-브로모-7-(티오펜-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티오펜-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29 mg, 0.457 mmol, 1 당량), NBS(98 mg, 0.548 mmol, 1.2 당량) 및 DMF(3 mL)의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과 얼음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했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132 m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7 (br. s, 2H), 7.03~7.06 (m, 1H), 7.08~7.12 (m, 1H), 7.13~7.17 (m, 1H), 7.29~7.33 (m, 1H), 7.51~7.56 (m, 1H), 8.21~8.26 (m, 1H), 8.72 (s, 1H).
MS [M+Na]+ = 383
제조예 4
9-브로모-7-(4-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59]
Figure pct00059
(1) 9-브로모-7-(4-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 g, 25.0 mmol, 1 당량), 4-플루오로벤젠보론산(CAS No. 1765-93-1)(8.39 g, 59.9 mmol, 2.4 당량), 탄산은(8.26 g, 30.0 mmol, 1.2 당량), 요오드화 구리(I)(2.85 g, 15.0 mmol, 0.6 당량), 피리딘(12.1 mL, 150 mmol, 6 당량) 및 DMF (200 mL)의 혼합물을 산소 분위기 하의 70℃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패드 (NH 실리카겔)에 직접적으로 적용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NH 실리카겔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NH 실리카겔, 10% ~ 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화합물을 DMF(50mL)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NBS(4.01 g, 22.5 mmol, 0.9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얼음과 물을 첨가했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했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4.81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8 (s, 2H), 7.08~7.13 (m, 1H), 7.13~7.17 (m, 1H), 7.23~7.27 (m, 4H), 8.25 (dd, J = 4.7, 1.6 Hz, 1H), 8.75 (s, 1H).
MS [M+Na]+ = 395
제조예 5
트리부틸(2,6-디플루오로페닐)스탄난의 합성
[화학식 60]
Figure pct00060
(1) 트리부틸(2,6-디플루오로페닐)스탄난의 합성
-78℃에서 THF(100 mL) 중의 1-브로모-2,6-디플루오로벤젠(CAS No. 64248-56-2)(5.15 g, 26.7 mmol, 1 당량) 용액에 n-부틸리튬(n-헥산 중 2.65 M 용액, 11.6 mL, 30.7 mmol, 1.15 당량)을 첨가했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염화 트리-n-부틸틴(8.69 mL, 32.0 mmol, 1.2 당량)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승온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n-헵탄)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38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0.83~0.93 (m, 9H), 1.08~1.24 (m, 6H), 1.27~1.38 (m, 6H), 1.46~1.62 (m, 6H), 6.77~6.84 (m, 2H), 7.21~7.30 (m, 1H).
제조예 6
트리부틸(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스탄난의 합성
[화학식 61]
Figure pct00061
(1) 트리부틸(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스탄난의 합성
-78℃에서 THF(20 mL) 중 1-브로모-2,3,5,6-테트라플루오로벤젠(CAS No. 1559-88-2)(1 g, 4.37 mmol, 1 당량)의 용액에 n-부틸리튬(n-헥산 중 2.65 M 용액, 1.81 mL, 4.80 mmol, 1.1 당량)을 첨가했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염화 트리-n-부틸틴(1.42 mL, 5.24 mmol, 1.2 당량)을 첨가했다. 3시간에 걸쳐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승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9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0.84~0.93 (m, 9H), 1.17~1.39 (m, 12H), 1.46~1.63 (m, 6H), 6.92~7.02 (m, 1H).
제조예 7
3-(메톡시메톡시)-2-(트리부틸스탄닐)피리딘의 합성
[화학식 62]
Figure pct00062
(1) 2-요오드-3-(메톡시메톡시)피리딘의 합성
0℃에서 THF(200 mL) 중 2-요오드-3-하이드록시피리딘(CAS No. 40263-57-8)(9.67 g, 43.8 mmol, 1 당량)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60% 오일 분산, 1.93 g, 48.1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용액에 클로로메틸 메틸에테르(3.66 mL, 48.1 mmol, 1.1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0%~4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9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52 (s, 3H), 5.27 (s, 2H), 7.18 (dd, J = 8.2, 4.5 Hz, 1H), 7.28 (dd, J = 8.2, 1.6 Hz, 1H), 8.06 (dd, J = 4.5, 1.6 Hz, 1H).
MS [M+H]+ = 266
(2) 3-(메톡시메톡시)-2-(트리부틸스탄닐)피리딘의 합성
-78℃에서 THF(150 mL) 중의 n-부틸리튬(n-헥산 중 2.69 M 용액, 27.8 mL, 74.7 mmol, 2 당량) 용액에 THF(30 mL) 중 2-요오드-3-(메톡시메톡시)피리딘(9.9 g, 37.4 mmol, 1 당량)의 용액을 첨가했다. -78℃에서 20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했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염화 트리-n-부틸틴(11.2 mL, 41.1 mmol, 1.1 당량)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40분, 그리고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중성 알루미나(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0%~1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으로 다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4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0.84-0.91 (m, 9H), 1.04~1.22 (m, 6H), 1.26~1.38 (m, 6H), 1.46~1.64 (m, 6H), 3.47 (s, 3H), 5.16 (s, 2H), 7.05~7.11 (m, 1H), 7.23~7.26 (m, 1H), 8.40~8.44 (m, 1H).
MS [M+H]+ = 430
제조예 8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63]
Figure pct00063
(1) (3-브로모-6-메톡시피리딘-2-일)메탄올의 합성
0℃에서 클로로포름(100 mL) 중 3-브로모-6-메톡시-2-메틸피리딘(CAS No. 126717-59-7)(5.5 g, 27.2 mmol, 1 당량)의 용액에 65% mCPBA(10.8 g, 40.8 mmol, 1.5 당량)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승온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수용액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그에 따른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2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화합물을 무수 아세트산(20 mL) 중에서 1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20%~7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실온에서 메탄올(22 mL) 중 그에 따른 화합물에 탄산칼륨(1 M 수용액, 10.4 mL)을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75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97 (s, 3H), 4.03 (t, J = 4.7 Hz, 1H), 4.68 (dd, J = 4.7, 0.8 Hz, 2H), 6.57~6.64 (m, 1H), 7.69 (d, J = 8.6 Hz, 1H).
(2) 3-브로모-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피리딘의 합성
실온에서 DCM 중 (3-브로모-6-메톡시피리딘-2-일)메탄올(1.75 g, 8.03 mmol, 1 당량)의 용액에 t-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1.45 g, 9.63 mmol, 1.2 당량)과 이미다졸(0.656 g, 9.63 mmol, 1.2 당량)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2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6 g)을 수득했다.
MS [M+H]+ = 332
(3)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의 합성
실온에서 3-브로모-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피리딘(12 g, 36.1 mmol, 1 당량), DMSO(24 mL) 및 1,4-디옥산(144 mL)의 혼합물에 아세트산 칼륨(10.6 g, 108 mmol, 3 당량)과 비스(피나콜라토)디보란(16.1 g, 63.2 mmol, 1.75 당량)을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탈기 후, Pd(dppf)Cl2(1.32 g, 1.81 mmol, 0.05 당량)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80~8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8%~2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미정제 생성물(20 g)을 수득했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 12 g을 다음 반응에 사용했다. 실온에서 미정제 생성물(12 g), 아세트산 암모늄(12.2 g, 158 mmol), 아세톤(200 mL) 및 물(100 mL)의 혼합물에 과요오드산나트륨(33.8 g, 158 mmol)을 첨가하였다. 밤새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2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5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0.10 (s, 6H), 0.89 (s, 9H), 3.94 (s, 3H), 4.84 (s, 2H), 6.60~6.85 (m, 3H), 8.06~8.13 (m, 1H).
(4) (3-(벤질옥시)-6'-메톡시-[2,3'-비피리딘]-2'-일)메탄올의 합성
실온에서 1,4-디옥산 중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10.5 g, 35.4 mmol, 1.1 당량) 및 3-(벤질옥시)-2-브로모피리딘(CAS No. 132330-98-4)(8.5 g, 32.2 mmol, 1 당량)의 수용액에 탄산세슘(12.6 g, 38.6 mmol, 1.2 당량)과 Pd(PPh3)4(1.86 g, 1.61 mmol, 0.05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리고,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패드(NH 실리카겔)에 적용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실온에서 THF 중의 그에 따른 화합물 용액에 TBAF(THF 중 1 M 용액, 40.2 mL, 40.2 mmol, 1.25 당량)를 첨가했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67%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 g)을 수득했다.
(4-2) (3-(벤질옥시)-6'-메톡시-[2,3'-비피리딘]-2'-일)메탄올의 합성
실온에서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19.4 g, 65.2 mmol, 1.1 당량), 3-(벤질옥시)-2-브로모피리딘(CAS No. 132330-98-4)(15.7 g, 59.3 mmol, 1 당량), 1,4-디옥산(200 mL) 및 물(20 mL)의 혼합물에 탄산세슘(23.2 g, 71.1 mmol, 1.2 당량)과 Pd(PPh3)4(3.43 g, 2.96 mmol, 0.05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물을 첨가하여, 이러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패드(NH 실리카겔)에 적용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실온에서 THF(150 mL) 중의 그에 따른 화합물 용액에 TBAF(THF 중 1 M 용액, 71.1 mL, 71.1 mmol, 1.2 당량)를 첨가했다.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67%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3 g)을 수득했다.
(5) 2'-(하이드록시메틸)-6'-메톡시-[2,3'-비피리딘]-3-올의 합성
질소 분위기 하의 실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3-(벤질옥시)-6'-메톡시-[2,3'-비피리딘]-2'-일)메탄올(11 g, 34.1 mmol) 용액에 10% 탄소 상 팔라듐(함수량, 50%)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그에 따른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 g)을 수득하였다.
(6) 8-메톡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의 합성
0℃에서 THF 중의 2'-(하이드록시메틸)-6'-메톡시-[2,3'-비피리딘]-3-올(8 g, 34.4 mmol, 1 당량)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9.94 g, 37.9 mmol, 1.1 당량)과 DMEAD(8.87 g, 37.9 mmol, 1.1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67%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53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96 (s, 3H), 5.24 (s, 2H), 6.79 (d, J = 8.6 Hz, 1H), 7.10 (dd, J = 8.2, 4.7 Hz, 1H), 7.21 (dd, J = 8.2, 1.2 Hz, 1H), 8.23 (dd, J = 4.7, 1.2 Hz, 1H), 8.34 (d, J = 8.6 Hz, 1H).
(7)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8-메톡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5.4 g, 25.2 mmol, 1 당량)과 피리딘 염산염(29.1 g, 252 mmol, 10 당량)의 혼합물을 1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3.8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ppm): 5.15 (s, 2H), 6.35~6.55 (m, 1H), 7.12~7.18 (m, 1H), 7.25~7.32 (m, 1H), 8.03~8.13 (m, 1H), 8.13~8.21 (m, 1H), 11.90 (br. s, 1H).
제조예 9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4-메톡시-2-옥소부트-3-엔-1-일)카보네이트(E/Z 혼합물)의 합성
[화학식 64]
Figure pct00064
(1)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1-모르폴리노에타논의 합성
2,3,4,6,7,8-헥사하이드로-1H-피리미도[1,2-a]피리미딘(1.91 g, 13.7 mmol, 0.3 당량), 에틸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아세테이트(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1, 133(35), 14082~14089의 Supporting Information 페이지 27)(CAS No. 67226-78-2)(10 g, 45.8 mmol, 1 당량), 모르폴린(4.41 mL, 50.4 mmol, 1.1 당량) 및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50 mL)의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5% 염화암모늄 수용액과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이러한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0.4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0.11 (s, 6H), 0.90 (s, 9H), 3.54~3.74 (m, 8H), 4.29 (s, 2H).
MS [M+H]+ = 260
(2) 1-(3-(벤질옥시)피리딘-2-일)-3-하이드록시프로판-2-온의 합성
-78℃에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4 mL) 중의 3-(벤질옥시)-2-메틸피리딘(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8, 51(15), 4708~4714의 Supporting Information p.22)(CAS No. 177559-01-2)(4.4 g, 22.1 mmol, 1 당량)의 용액에 n-부틸리튬(n-헥산 중 2.65 M 용액, 10.0 mL, 26.5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3.2 mL) 중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1-모르폴리노에타논(6.87 g, 26.5 mmol, 1.2 당량)의 용액에 점적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5%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까지 승온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그에 따른 유기층을 5%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그에 따른 유기층에 2 N 염산(26.4 mL, 52.8 mmol, 2.39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그에 따른 수성층을 2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그에 따른 용액을 60℃의 감압 하에서 사용된 3-(벤질옥시)-2-메틸피리딘 부피의 대략 5배까지 농축하였다. 남아있는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혼합물에 n-헵탄(50 mL)을 첨가했다.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했다. 그에 따른 고체를 MTBE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3.53 g)을 수득했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48 (br. s, 1H), 4.03 (s, 2H), 4.28 (s, 2H), 5.08 (s, 2H), 7.12-7.25 (m, 2H), 7.30~7.55 (m, 5H), 8.16 (dd, J = 4.7, 1.6 Hz, 1H).
MS [M+H]+ = 258
(3)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2-옥소프로필)카보네이트의 합성
0℃에서 THF(210 mL) 중 1-(3-(벤질옥시)피리딘-2-일)-3-하이드록시프로판-2-온(21 g, 81.6 mmol, 1 당량)의 용액에 피리딘(8.58 mL, 106 mmol, 1.3 당량)과 1-카보벤즈옥시-3-메틸이미다졸륨 트리플레이트(CAS No. 163080-99-7)(35.9 g, 97.9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MTBE, 아세트산(8.5 mL) 및 물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33 g)을 미정제 생성물로 수득하였다. 이러한 미정제 생성물을 추가적인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H]+ = 392
(4)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4-메톡시-2-옥소부트-3-앤-1-일)카보네이트(E/Z 혼합물)의 합성
실온에서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2-옥소프로필)카보네이트(33 g)와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CAS No. 149-73-5)(66 mL, 603 mmol)의 혼합물에 무수 아세트산(132 mL, 1.40 mol)과 아세트산(66 mL, 1.15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5%~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9.2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84 (s, 0.85 x 3H), 3.94 (s, 0.15 x 3H), 4.74 (s, 0.85 x 2H), 5.04 (s, 0.15 x 2H), 5.10 (s, 0.85 x 2H), 5.11 (s, 0.15 x 2H), 5.17 (s, 0.85 x 2H), 5.19 (s, 0.15 x 2H), 7.10~7.43 (m, 0.85 x 12H 및 0.15 x 13H), 7.64 (s, 0.85 x 1H), 8.15 (dd, J = 4.0, 2.2 Hz, 0.15 x 1H), 8.27 (dd, J = 4.8, 1.5 Hz, 0.85 x 1H).
MS [M+H]+ = 434
실시예 1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65]
Figure pct00065
(1)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4.8 mg, 0.126 mmol, 1 당량), 2-클로로페닐보론산(CAS No. 3900-89-8)(49.2 mg, 0.314 mmol, 2.5 당량), Pd(PPh3)4(15 mg, 0.013 mmol, 0.1 당량), 탄산세슘(61.5 mg, 0.189 mmol, 1.5 당량) 및 1,4-디옥산(2 mL)의 혼합물을 11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리하고 추출하였다. 그에 따른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6.7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3 (d, J = 15.4 Hz, 1H), 4.87 (d, J = 15.4 Hz, 1H), 7.09~7.14 (m, 1H), 7.16~7.20 (m, 1H), 7.29~7.34 (m, 2H), 7.42~7.49 (m, 2H), 7.52~7.57 (m, 1H), 7.73~7.78 (m, 1H), 8.24 (dd, J = 4.7, 1.6 Hz, 1H), 8.43 (s, 1H), 8.58~8.61 (m, 1H), 8.78 (dd, J = 4.9, 1.6 Hz, 1H).
MS [M+H]+ = 388
실시예 2
2-플루오로-6-(7-(5-메톡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66]
Figure pct00066
(1) 7-(5-메톡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실온에서 DMF 중의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00 mg, 2.50 mmol, 1 당량)의 용액에 피리딘(1.21 mL, 15.0 mmol, 6 당량), 탄산은(758 mg, 2.75 mmol, 1.1 당량) 및 요오드화 구리(I)(476 mg, 2.50 mmol, 1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러한 용액을 25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 중의 5-메톡시피리딘-3-보론산(CAS No. 850991-69-4)(764 mg, 5.00 mmol, 2 당량)의 용액을 3시간에 걸쳐 85℃에서 점적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5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308
(2) 9-브로모-7-(5-메톡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실온에서 DMF 중의 7-(5-메톡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273 mg, 0.888 mmol, 1 당량)의 용액에 NBS(182 mg, 1.02 mmol, 1.15 당량)를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그에 따른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3 mg)을 수득했다.
MS [M+H]+ = 388
(3) 2-플루오로-6-(7-(5-메톡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실온에서 DME 중의 9-브로모-7-(5-메톡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5 mg, 0.117 mmol, 1 당량)의 용액에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43.2 mg, 0.175 mmol, 1.5 당량), 2 M 탄산나트륨 수용액(87 μL, 0.175 mmol, 1.5 당량) 및 (Ataphos)2PdCl2(4.13 mg, 5.83 μmol, 0.05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10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93 (s, 3H), 4.74 (d, J = 15.6 Hz, 1H), 4.92 (d, J = 15.6 Hz, 1H), 7.11~7.29 (m, 4H), 7.44~7.49 (m, 1H), 7.58~7.68 (m, 1H), 8.17 (d, J = 2.0 Hz, 1H), 8.25 (dd, J = 4.5, 1.4 Hz, 1H), 8.50 (d, J = 2.7 Hz, 1H), 8.56 (s, 1H).
MS [M+H]+ = 427.
실시예 3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67]
Figure pct00067
(1) 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실온에서 DMF 중의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 g, 5.00 mmol, 1 당량)의 용액에 피리딘(3.39 mL, 30.0 mmol, 6 당량), 탄산은(1.65 g, 5.99 mmol, 1.2 당량) 및 요오드화 구리(I)(571 mg, 3.00 mmol, 0.6 당량)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 중의 6-메틸피리딘-3-보론산(CAS No. 659742-21-9)(1.64 g, 12.0 mmol, 2.4 당량) 용액을 95℃에서 3시간에 걸쳐 점적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 1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0 mg)을 수득했다.
MS [M+H]+ = 292
(2) 9-브로모-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실온에서 DMF 중의 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600 mg, 2.06 mmol, 1 당량) 용액에 NBS(458 mg, 2.58 mmol, 1.25 당량)를 첨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그에 따른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372
(3)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실온에서 DME(4.5 mL) 중의 9-브로모-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0 mg, 0.135 mmol, 1 당량) 용액에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50.1 mg, 0.203 mmol, 1.5 당량), 2 M 탄산나트륨 수용액(101 μL, 0.203 mmol, 1.5 당량) 및 (Ataphos)2PdCl2(4.78 mg, 6.75 μmol, 0.05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105℃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7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68 (s, 3H), 4.74 (d, J = 15.6 Hz, 1H), 4.90 (d, J = 15.6 Hz, 1H), 7.08~7.14 (m, 1H), 7.16~7.25 (m, 2H), 7.36~7.49 (m, 2H), 7.57~7.69 (m, 2H), 8.25 (dd, J = 4.7, 1.6 Hz, 1H), 8.45 (d, J = 2.7 Hz, 1H), 8.55 (s, 1H).
MS [M+H]+ = 411
실시예 4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68]
Figure pct00068
(1)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실온에서 DME(4.5 mL) 중의 실시예 3-(2)에서 수득한 9-브로모-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0 mg, 0.135 mmol, 1 당량) 용액에 2-클로로-3-플루오로페닐보론산(CAS No. 871329-52-1)(35.3 mg, 0.203 mmol, 1.5 당량), 2 M 탄산나트륨 수용액(101 μL, 0.203 mmol, 1.5 당량) 및 Pd(PPh3)4(5.46 mg, 4.73 μmol, 0.035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105℃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표제 화합물의 미정제 생성물에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여 고체의 표제 화합물(21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67 (s, 3H), 4.74 (d, J = 15.6 Hz, 1H), 4.89 (d, J = 15.6 Hz, 1H), 7.08~7.13 (m, 1H), 7.13~7.20 (m, 2H), 7.22~7.31 (m, 2H), 7.36~7.40 (m, 1H), 7.59~7.64 (m, 1H), 8.22~8.25 (m, 1H), 8.42 (s, 1H), 8.43~8.45 (m, 1H).
MS [M+H]+ = 420
실시예 5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69]
Figure pct00069
(1) t-부틸 3-((2-메톡시피리미딘-5-일)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DCM(20 mL) 중 3-(t-부톡시)-3-옥소프로피온산(CAS No. 40052-13-9)(1.41 g, 8.79 mmol, 1.1 당량), 2-메톡시피리미딘-5-아민(CAS No. 56621-89-7)(1.00 g, 7.99 mmol, 1.0 당량), 트리에틸아민(1.34 mL, 9.59 mmol, 1.2 당량) 및 EDC(1.84 g, 9.59 mmol, 1.2 당량)의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2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52 (s, 9H), 3.42 (s, 2H), 4.01 (s, 3H), 8.76 (s, 2H), 9.52 (br. s, 1H).
(2)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1'-(2-메톡시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3-((2-메톡시피리미딘-5-일)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 (333 mg, 1.25 mmol, 1.2 당량), 브롬화리튬(180 mg, 2.08 mmol, 2.0 당량), 제조예 9에서 수득한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4-메톡시-2-옥소부트-3-엔-1-일)카보네이트(E/Z 혼합물)(450 mg, 1.04 mmol, 1.0 당량), 트리에틸아민(0.506 mL, 3.63 mmol, 3.5 당량) 및 프로피오니트릴(3.0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3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651
(3) t-부틸 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1'-(2-메톡시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수소 분위기 하의 실온에서 40분 동안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1'-(2-메톡시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430 mg, 0.661 mmol, 1.0 당량), 10% 탄소 상 팔라듐(함수량, 53.9%)(70.3 mg, 0.03 mmol, 0.046 당량), THF(2.00 mL) 및 메탄올(5.00 mL)의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그에 따른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2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8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427
(4) t-부틸 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카복실레이트의 합성
0℃에서 t-부틸 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1'-(2-메톡시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280 mg, 0.657 mmol, 1.0 당량), 트리페닐포스핀(241 mg, 0.919 mmol, 1.4 당량) 및 THF(3.00 mL)의 혼합물에 THF(1.00 mL) 중의 DMEAD(215 mg, 0.919 mmol, 1.4 당량) 용액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의 진행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본래 용액 부피의 약 절반까지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0 mg)을 수득하였다.
MSm/z = 410
(5) 7-(2-메톡시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t-부틸 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카복실레이트(210 mg, 0.514 mmol, 1.0 당량)에 TFA(3.00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에 DMSO(3.00 mL)와 리튬 아세테이트 2수화물(262 mg, 2.57 mmol, 5.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10%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2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309
(6) 9-브로모-7-(2-메톡시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2-메톡시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20.0 mg, 0.065 mmol, 1.0 당량), NBS(17.3 mg, 0.097 mmol, 1.5 당량) 및 DMF(2.00 mL)의 혼합물을 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수득했다.
MS [M+H]+ = 387
(7)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7-(2-메톡시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1.0 mg, 0.028 mmol, 1.0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10.5 mg, 0.043 mmol, 1.5 당량), (Ataphos)2PdCl2(2.01 mg, 2.84 μmol, 0.1 당량), 불화칼륨(4.95 mg, 0.085 mmol, 3.0 당량), 1,4-디옥산 (0.8 mL) 및 물(0.4 mL)의 혼합물을 14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8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했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50%~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다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12 (s, 3H), 4.88 (s, 2H), 7.11~7.17 (m, 1H), 7.17~7.26 (m, 2H), 7.44 (d, J = 7.0 Hz, 1H), 7.64 (td, J = 8.1, 5.7 Hz, 1H), 8.26 (dd, J = 4.4, 1.5 Hz, 1H), 8.54 (s, 2H), 8.57 (s, 1H).
MS [M+H]+ = 428
실시예 6
7-(피리딘-3-일)-9-(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70]
Figure pct00070
(1) 7-(피리딘-3-일)-9-(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0 mg, 0.112 mmol, 1 당량), 제조예 6에서 수득한 트리부틸(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스탄난(74.0 mg, 0.168 mmol, 1.5 당량), (Ataphos)2PdCl2(3.98 mg, 5.62 μmol, 0.05 당량), 요오드화 구리(I)(2.14 mg, 0.011 mmol, 0.1 당량) 및 1,4-디옥산(1.5 mL)의 혼합물을 15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5%~9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n-헵탄(1:5)의 혼합 용액으로 배산(trituration)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와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24.4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4 (d, J = 15.6 Hz, 1H), 4.88 (d, J = 15.6 Hz, 1H), 7.05~7.16 (m, 2H), 7.17~7.21 (m, 1H), 7.53~7.59 (m, 1H), 7.73~7.79 (m, 1H), 8.26 (dd, J = 4.6, 1.5 Hz, 1H), 8.52 (s, 1H), 8.61 (d, J = 2.4 Hz, 1H), 8.81 (dd, J = 4.8, 1.5 Hz, 1H).
MS [M+Na]+ = 448
실시예 7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1]
Figure pct00071
(1)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수득한 9-브로모-7-(티오펜-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0 mg, 0.111 mmol, 1 당량), 2-시아노피리딘-3-보론산 네오펜틸 글리콜 에스테르(CAS No. 868944-75-6)(35.9 mg, 0.166 mmol, 1.5 당량), (Ataphos)2PdCl2(3.92 mg, 5.54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19.3 mg, 0.332 mmol, 3 당량), 1,4-디옥산(1 mL) 및 물(0.3 mL)의 혼합물을 12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5%~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5%~9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다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4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88 (br. s, 2H), 7.09~7.15 (m, 2H), 7.16~7.20 (m, 1H), 7.37~7.40 (m, 1H), 7.52~7.59 (m, 2H), 8.05~8.10 (m, 1H), 8.23~8.27 (m, 1H), 8.62 (s, 1H), 8.67~8.72 (m, 1H).
MS [M+Na]+ = 407
실시예 8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라진-2-카보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2]
Figure pct00072
(1) 7-(티오펜-3-일)-9-(트리부틸스탄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수득한 9-브로모-7-(티오펜-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34.8 mg, 0.096 mmol, 1 당량), 헥사-n-부틸디틴(0.058ml, 0.116 mmol, 1.2 당량), Pd(PPh3)4(5.57 mg, 4.82 μmol, 0.05 당량) 및 1,4-디옥산(1 mL)의 혼합물을 14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0%~3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3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573
(2)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라진-2-카보니트릴의 합성
7-(티오펜-3-일)-9-(트리부틸스탄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38.3 mg, 0.067 mmol, 1 당량), 3-브로모피라진-2-카보니트릴(CAS No. 1250022-24-2)(18.5 mg, 0.101 mmol, 1.5 당량), 요오드화 구리(I)(1.28 mg, 6.70 μmol, 0.1 당량), Pd(PPh3)4(3.87 mg, 3.35 μmol, 0.05 당량) 및 1,4-디옥산(1 mL)의 혼합물을 15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5%~9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에탄올-n-헵탄의 혼합 용액(1:1)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14.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91 (br. s, 2H), 7.10~7.15 (m, 2H), 7.16~7.21 (m, 1H), 7.38~7.42 (m, 1H), 7.53~7.59 (m, 1H), 8.23~8.27 (m, 1H), 8.64~8.68 (m, 1H), 8.79 (s, 1H), 8.82~8.86 (m, 1H).
MS [M+Na]+ = 408
실시예 9
9-(2-플루오로페닐)-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73]
Figure pct00073
(1) 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 g, 25.0 mmol, 1 당량), 페닐보론산(CAS No. 98-80-6)(6.09 g, 50.0 mmol, 2 당량), 탄산은(8.26 g, 30.0 mmol, 1.2 당량), 요오드화 구리(I)(2.85 g, 15.0 mmol, 0.6 당량), 피리딘(12.1 mL, 150 mmol, 6 당량) 및 DMF(150 mL)의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에 28% 암모니아 수용액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에 실리카겔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27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0 (s, 2H), 6.74~6.79 (m, 1H), 7.05~7.10 (m, 1H), 7.10~7.14 (m, 1H), 7.24~7.28 (m, 2H), 7.52~7.60 (m, 3H), 8.22~8.25 (m, 1H), 8.29~8.34 (m, 1H).
MS [M+H]+ = 277
(2) 9-브로모-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3.27 g, 11.8 mmol, 1 당량), NBS(2.32 g, 13.0 mmol, 1.1 당량) 및 DMF(35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한 다음,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3.00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7 (s, 2H), 7.07~7.12 (m, 1H), 7.12~7.16 (m, 1H), 7.22~7.28 (m, 2H), 7.51~7.61 (m, 3H), 8.22~8.26 (m, 1H), 8.75 (s, 1H).
MS [M+H]+ = 355
(3) 9-(2-플루오로페닐)-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9-브로모-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0 mg, 0.113 mmol, 1 당량), 2-플루오로페닐보론산(CAS No. 1993-03-9)(23.6 mg, 0.169 mmol, 1.5 당량), 인산3칼륨 N-수화물(64.8 mg), Pd(PPh3)4(6.51 mg, 5.63 μmol, 0.05 당량), 1,4-디옥산(1 mL) 및 물(0.3 mL)의 혼합물을 13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7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7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1.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7 (s, 2H), 7.06~7.20 (m, 4H), 7.29~7.36 (m, 3H), 7.49~7.64 (m, 4H), 8.24 (dd, J = 4.7, 1.6 Hz, 1H), 8.49 (d, J = 1.2 Hz, 1H).
MS [M+H]+ = 371
실시예 10
2-(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4]
Figure pct00074
(1) 2-(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수득한 9-브로모-7-(4-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0 mg, 0.134 mmol, 1 당량), 2-(1,3,2-디옥사보리난-2-일)벤조니트릴(CAS No. 172732-52-4)(37.6 mg, 0.201 mmol, 1.5 당량), (Ataphos)2PdCl2(4.74 mg, 6.70 μmol, 0.05 당량), 트리에틸아민(0.075 mL, 0.536 mmol, 4 당량), 1,4-디옥산(1 mL) 및 물(0.3 mL)의 혼합물을 13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5%~6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9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80 (s, 2H), 7.08~7.13 (m, 1H), 7.14~7.18 (m, 1H), 7.24~7.30 (m, 2H), 7.30~7.36 (m, 2H), 7.43~7.48 (m, 1H), 7.60~7.68 (m, 2H), 7.73~7.77 (m, 1H), 8.24 (dd, J = 4.7, 1.4 Hz, 1H), 8.53 (s, 1H).
MS [M+Na]+ = 418
실시예 11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5]
Figure pct00075
(1)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수득한 9-브로모-7-(4-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800 mg, 2.14 mmol, 1 당량), 2-시아노피리딘-3-보론산 네오펜틸 글리콜 에스테르(CAS No. 868944-75-6)(648 mg, 3.00 mmol, 1.4 당량), (Ataphos)2PdCl2(76 mg, 0.107 mmol, 0.05 당량), 불화칼륨(374 mg, 6.43 mmol, 3 당량), 1,4-디옥산(16 mL) 및 물(4 mL)의 혼합물을 12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5시간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9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패드(NH 실리카겔)에 적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IPA와 n-헵탄의 혼합 용액(1:1)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고, IPA에 현탁시키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IPA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493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81 (s, 2H), 7.09~7.15 (m, 1H), 7.15~7.20 (m, 1H), 7.27~7.36 (m, 4H), 7.52~7.58 (m, 1H), 8.03~8.08 (m, 1H), 8.23~8.27 (m, 1H), 8.64 (s, 1H), 8.67~8.71 (m, 1H).
MS [M+H]+ = 397
실시예 12
3-(7-(2-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6]
Figure pct00076
(1) 에틸 3-((2-플루오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THF(100 mL) 중의 2-플루오로아닐린(CAS No. 348-54-9)(5 g, 45.0 mmol, 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6.90 mL, 49.5 mmol, 1.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염화에틸말로닐(CAS No. 36239-09-5)(6.05 mL, 47.2 mmol, 1.05 당량)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1 M 염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4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64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33 (t, J = 7.2 Hz, 3H), 3.51 (s, 2H), 4.28 (q, J = 7.2 Hz, 2H), 7.02~7.18 (m, 3H), 8.24~8.36 (m, 1H), 9.50 (br. s, 1H).
MS [M+H]+ = 226
(2) 1-(2-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의 합성
에탄올(105 mL) 중 에틸 3-((2-플루오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8.64 g, 38.4 mmol, 1 당량), 아세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CAS No. 5436-21-5) (6.08 mL, 46.0 mmol, 1.2 당량) 및 소듐 에톡사이드(에탄올 중 20% 용액, 48.9 mL, 127 mmol, 3.3 당량)의 용액을 8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5 M 염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헵탄의 혼합 용액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8.02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18 (s, 3H), 6.54~6.59 (m, 1H), 7.27~7.32 (m, 1H), 7.33~7.43 (m, 2H), 7.55~7.63 (m, 1H), 8.54 (d, J = 7.4 Hz, 1H), 13.74 (s, 1H).
MS [M+H]+ = 248
(3) 5-브로모-1-(2-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의 합성
DMF(80 mL) 중의 1-(2-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8.02 g, 32.4 mmol, 1 당량) 및 NBS(6.35 g, 35.7 mmol, 1.1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9.32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33 (s, 3H), 7.23~7.29 (m, 1H), 7.34~7.44 (m, 2H), 7.56~7.64 (m, 1H), 8.71 (s, 1H), 13.53 (s, 1H).
MS [M+H]+ = 328
(4) 5-브로모-1-(2-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딘-2(1H)-온의 합성
5-브로모-1-(2-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5 g, 15.3 mmol, 1 당량), 수산화리튬(808 mg, 33.7 mmol, 2.2 당량), 디글라임 (100 mL) 및 물 (10 mL)의 혼합물을 150℃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중에 딘-스탁 장치를 이용하여 반응물로부터 물을 증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2.70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15 (s, 3H), 6.44~6.51 (m, 1H), 7.19~7.35 (m, 3H), 7.44~7.52 (m, 2H).
MS [M+H]+ = 282
(5) 1'-(2-플루오로페닐)-3-(메톡시메톡시)-2'-메틸-[2,3'-비피리딘]-6'(1'H)-온의 합성
5-브로모-1-(2-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딘-2(1H)-온(1 g, 3.55 mmol, 1 당량), 제조예 7에서 수득한 3-(메톡시메톡시)-2-(트리부틸스탄닐)피리딘(1.55 mL, 3.90 mmol, 1.1 당량), Pd(PPh3)4(205 mg, 0.177 mmol, 0.05 당량) 및 1,4-디옥산 (20 mL)의 혼합물을 15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7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 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23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89 (s, 3H), 3.44 (s, 3H), 5.18 (s, 2H), 6.59~6.66 (m, 1H), 7.24~7.34 (m, 4H), 7.42~7.50 (m, 2H), 7.55 (dd, J = 8.4, 1.4 Hz, 1H), 8.35 (dd, J = 4.7, 1.4 Hz, 1H).
MS [M+H]+ = 341
(6) 5'-브로모-1'-(2-플루오로페닐)-3-(메톡시메톡시)-2'-메틸-[2,3'-비피리딘]-6'(1'H)-온의 합성
1'-(2-플루오로페닐)-3-(메톡시메톡시)-2'-메틸-[2,3'-비피리딘]-6'(1'H)-온(523 mg, 1.54 mmol, 1 당량), NBS(301 mg, 1.69 mmol, 1.1 당량) 및 아세토니트릴(1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9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86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87 (s, 3H), 3.46 (s, 3H), 5.20 (s, 2H), 7.24~7.35 (m, 4H), 7.44~7.51 (m, 1H), 7.56 (dd, J = 8.4, 1.4 Hz, 1H), 7.89 (s, 1H), 8.35 (dd, J = 4.7, 1.4 Hz, 1H).
MS [M+H]+ = 419
(7) 9-브로모-7-(2-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사염화탄소(12 mL) 중 5'-브로모-1'-(2-플루오로페닐)-3-(메톡시메톡시)-2'-메틸-[2,3'-비피리딘]-6'(1'H)-온(586 mg, 1.40 mmol, 1 당량), NBS(269 mg, 1.51 mmol, 1.08 당량) 및 AIBN(11.5 mg, 0.07 mmol, 0.05 당량)의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THF(13.4 mL)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48% 브롬화수소산 수용액(1.58 mL, 14.0 mmol, 10 당량)을 첨가했다. 60℃에서 30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7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9-4.79 (m, 2H), 7.08~7.13 (m, 1H), 7.13~7.17 (m, 1H), 7.28~7.38 (m, 3H), 7.51~7.59 (m, 1H), 8.25 (dd, J = 4.5, 1.6 Hz, 1H), 8.76 (s, 1H).
MS [M+H]+ = 373
(8) 3-(7-(2-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7-(2-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70 mg, 0.188 mmol, 1 당량), 2-시아노피리딘-3-보론산 네오펜틸 글리콜 에스테르(CAS No. 868944-75-6) (60.8 mg, 0.281 mmol, 1.5 당량), (Ataphos)2PdCl2(6.64 mg, 9.38 μmol, 0.05 당량), 트리에틸아민(0.078 mL, 0.563 mmol, 3 당량), 1,4-디옥산(1.5 mL) 및 물(0.3 mL)의 혼합물을 14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MTBE, 에틸 아세테이트 및 n-헵탄의 혼합 용액(1:1:5)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23.9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81~4.91 (m, 2H), 7.09~7.14 (m, 1H), 7.15~7.20 (m, 1H), 7.31~7.43 (m, 3H), 7.51~7.60 (m, 2H), 8.09 (dd, J = 8.1, 1.7 Hz, 1H), 8.25 (dd, J = 4.6, 1.5 Hz, 1H), 8.67 (s, 1H), 8.69 (dd, J = 4.7, 1.8 Hz, 1H).
MS [M+Na]+ = 419
실시예 13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7]
Figure pct00077
(1) 에틸 3-옥소-3-(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THF(40 mL) 중 아닐린(CAS No. 62-53-3)(2 mL, 21.9 mmol, 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3.37 mL, 24.1 mmol, 1.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염화에틸말로닐(CAS No. 36239-09-5)(3.09 mL, 24.1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1 M 염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4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49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33 (t, J = 7.1 Hz, 3H), 3.48 (s, 2H), 4.27 (q, J = 7.1 Hz, 2H), 7.09~7.17 (m, 1H), 7.30~7.37 (m, 2H), 7.52~7.59 (m, 2H), 9.23 (br. s, 1H).
(2) 6-메틸-2-옥소-1-페닐-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의 합성
에탄올(137 mL) 중 에틸 3-옥소-3-(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10.3 g, 49.8 mmol, 1 당량), 아세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CAS No. 5436-21-5)(7.90 mL, 59.8 mmol, 1.2 당량) 및 소듐 에톡사이드(에탄올 중 20% 용액, 63.5 mL, 164 mmol, 3.3 당량)의 용액을 8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5 M 염산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의 혼합 용액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10.3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12~2.17 (m, 3H), 6.51~6.58 (m, 1H), 7.20~7.25 (m, 2H), 7.53~7.67 (m, 3H), 8.52 (d, J = 7.4 Hz, 1H).
MS [M+H]+ = 230
(3) 5-브로모-6-메틸-2-옥소-1-페닐-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의 합성
DMF(100 mL) 중 6-메틸-2-옥소-1-페닐-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10.3 g, 44.8 mmol, 1 당량) 및 NBS(8.78 g, 49.3 mmol, 1.1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12.8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29 (s, 3H), 7.18~7.24 (m, 2H), 7.56~7.67 (m, 3H), 8.70 (s, 1H), 13.75 (s, 1H).
MS [M+H]+ = 308
(4) 5-브로모-6-메틸-1-페닐피리딘-2(1H)-온의 합성
5-브로모-6-메틸-2-옥소-1-페닐-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실산(12.8 g, 41.5 mmol, 1 당량)과 수산화리튬(2.19 g, 91.4 mmol, 2.2 당량)의 혼합물을 150℃에서 디글라임(271 mL)과 물(26.9 mL)의 혼합 용액 중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중에, 딘-스탁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반응으로부터 물을 증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5.86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10 (s, 3H), 6.43~6.52 (m, 1H), 7.12~7.21 (m, 2H), 7.43~7.58 (m, 4H).
MS [M+H]+ = 266
(5) 3,5-디플루오로-2'-메틸-1'-페닐-[2,3'-비피리딘]-6'(1'H)-온의 합성
5-브로모-6-메틸-1-페닐피리딘-2(1H)-온(400 mg, 1.51 mmol, 1 당량), 3,5-디플루오로-2-트리부틸스탄닐피리딘(CAS No. 765917-25-7)(673 mg, 1.67 mmol, 1.1 당량), Pd(PPh3)4(88 mg, 0.076 mmol, 0.05 당량) 및 1,4-디옥산(12 mL)의 혼합물을 15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1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299
(6) 5'-브로모-3,5-디플루오로-2'-메틸-1'-페닐-[2,3'-비피리딘]-6'(1'H)-온의 합성
아세토니트릴(5 mL) 중 3,5-디플루오로-2'-메틸-1'-페닐-[2,3'-비피리딘]-6'(1'H)-온(191 mg, 0.64 mmol, 1 당량) 및 NBS(171 mg, 0.96 mmol, 1.5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5%~6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5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84~1.88 (m, 3H), 7.21~7.26 (m, 2H), 7.30~7.37 (m, 1H), 7.46~7.51 (m, 1H), 7.52~7.58 (m, 2H), 7.86~7.89 (m, 1H), 8.43~8.47 (m, 1H).
MS [M+H]+ = 377
(7) 9-브로모-3-플루오로-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사염화탄소(4 mL) 중 5'-브로모-3,5-디플루오로-2'-메틸-1'-페닐-[2,3'-비피리딘]-6'(1'H)-온(162 mg, 0.429 mmol, 1 당량), NBS(84 mg, 0.472 mmol, 1.1 당량) 및 AIBN(3.53 mg, 0.021 mmol, 0.05 당량)의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후,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사염화탄소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탄산나트륨(268 mg, 2.53 mmol, 5.89 당량), DMF(4.3 mL) 및 물(2.5 mL)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후, 물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8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0 (s, 2H), 6.89~6.95 (m, 1H), 7.22~7.26 (m, 2H), 7.53~7.60 (m, 3H), 8.12 (d, J = 2.4 Hz, 1H), 8.68 (s, 1H).
MS [M+H]+ = 375
(8)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3-플루오로-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82 mg, 0.22 mmol, 1 당량), 2-시아노피리딘-3-보론산 네오펜틸 글리콜 에스테르(CAS No. 868944-75-6)(71.2 mg, 0.33 mmol, 1.5 당량), (Ataphos)2PdCl2(7.78 mg, 11.0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2.21 M 수용액, 0.299 mL, 0.659 mmol, 3 당량), 1,4-디옥산(2.4 mL) 및 물(0.3 mL)의 혼합물을 13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5%~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에탄올-n-헵탄의 혼합 용액(1:5)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55.6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82 (s, 2H), 6.92~6.98 (m, 1H), 7.29~7.36 (m, 2H), 7.51~7.64 (m, 4H), 8.09 (dd, J = 8.1, 1.6 Hz, 1H), 8.14 (d, J = 2.4 Hz, 1H), 8.60 (s, 1H), 8.69 (dd, J = 4.7, 1.6 Hz, 1H).
MS [M+Na]+ = 419
실시예 14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8]
Figure pct00078
(1) 3-브로모-6-메톡시-2-((메톡시메톡시)메틸)피리딘의 합성
(3-브로모-6-메톡시피리딘-2-일)메탄올(CAS No. 623942-84-7)(2.15 g, 9.86 mmol, 1 당량),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2.25 mL, 29.6 mmol, 3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8.61 mL, 49.3 mmol, 5 당량)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DCM(45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0%~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2 g)을 수득하였다.
MS [M+H]+ = 262
(2) (6-메톡시-2-((메톡시메톡시)메틸)피리딘-3-일)보론산의 합성
THF(20 mL) 중 3-브로모-6-메톡시-2-((메톡시메톡시)메틸)피리딘(1.09 g, 4.16 mmol, 1 당량) 용액을 -78℃까지 냉각시키고, n-부틸리튬(n-헥산 중 2.69 M 용액, 1.70 mL, 4.58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붕산트리메틸(0.696 mL, 6.24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면서 12시간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70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42 (s, 3H), 3.95 (s, 3H), 4.75 (s, 2H), 4.79 (s, 2H), 6.32 (s, 2H), 6.71 (d, J = 8.2 Hz, 1H), 8.08 (d, J = 8.4 Hz, 1H).
MS [M+H]+ = 228
(3) 3,5-디플루오로-6'-메톡시-2'-((메톡시메톡시)메틸)-2,3'-비피리딘의 합성
(6-메톡시-2-((메톡시메톡시)메틸)피리딘-3-일)보론산(570 mg, 2.51 mmol, 1 당량), 2-브로모-3,5-디플루오로피리딘(CAS No. 660425-16-1)(560 mg, 2.89 mmol, 1.15 당량), 불화칼륨(438 mg, 7.53 mmol, 3 당량), (Ataphos)2PdCl2(89 mg, 0.126 mmol, 0.05 당량), 1,4-디옥산(12 mL) 및 물(3 mL)의 혼합물을 13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상 실리카겔, 5%~3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48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297
(4) 3,5-디플루오로-2'-(하이드록시메틸)-[2,3'-비피리딘]-6'-올의 합성
3,5-디플루오로-6'-메톡시-2'-((메톡시메톡시)메틸)-2,3'-비피리딘(648 mg, 2.19 mmol, 1 당량)과 48% 브롬화수소산 수용액(1.98 mL, 17.5 mmol, 8 당량)의 혼합물을 55℃의 THF(15 mL) 중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이러한 잔류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DCM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그에 따른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349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ppm): 4.33 (s, 2H), 6.35 (d, J = 9.3 Hz, 1H), 7.51 (dd, J = 9.3, 1.8 Hz, 1H), 8.04 (ddd, J = 10.1, 8.9, 2.5 Hz, 1H), 8.57 (d, J = 2.4 Hz, 1H).
MS [M+H]+ = 239
(5) 3-플루오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3,5-디플루오로-2'-(하이드록시메틸)-[2,3'-비피리딘]-6'-올(329 mg, 1.38 mmol, 1 당량)과 탄산칼륨(573 mg, 4.14 mmol, 3 당량)의 혼합물을 100℃의 DMF(7 mL) 중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교반한 다음, 그에 따른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251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ppm): 5.20 (s, 2H), 6.46 (d, J = 8.8 Hz, 1H), 7.38 (dd, J = 9.7, 2.4 Hz, 1H), 8.04 (d, J = 9.3 Hz, 1H), 8.19 (d, J = 2.6 Hz, 1H).
MS [M+H]+ = 219
(6) 3-플루오로-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3-플루오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250 mg, 1.15 mmol, 1 당량), 탄산은(474 mg, 1.72 mmol, 1.5 당량), 요오드화 구리(I)(131 mg, 0.687 mmol, 0.6 당량) 및 피리딘(0.927 mL, 11.5 mmol, 10 당량)의 혼합물을 80℃의 DMF(7 mL)와 DMSO(9 mL)의 혼합 용액 중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DMF(4 mL)와 DMSO(1 mL) 중의 피리딘-3-보론산 1,3-프로판디올 고리형 에스테르(CAS No. 131534-65-1)(373 mg, 2.29 mmol, 2 당량) 혼합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0시간 교반한 다음, 실리카겔 패드(NH 실리카겔 및 실리카겔)에 적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 1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3.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4~4.73 (m, 1H), 4.77~4.86 (m, 1H), 6.78 (d, J = 9.5 Hz, 1H), 6.94 (dd, J = 8.9, 2.5 Hz, 1H), 7.51~7.58 (m, 1H), 7.65~7.72 (m, 1H), 8.14 (d, J = 2.6 Hz, 1H), 8.29 (d, J = 9.7 Hz, 1H), 8.53 (d, J = 2.6 Hz, 1H), 8.79 (dd, J = 4.8, 1.5 Hz, 1H).
MS [M+H]+ = 296
(7) 9-브로모-3-플루오로-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3-플루오로-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3.5 mg, 0.147 mmol, 1 당량) 및 NBS(31.5 mg, 0.177 mmol, 1.2 당량)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아세토니트릴(3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1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3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0~4.70 (m, 1H), 4.74~4.83 (m, 1H), 6.95 (dd, J = 8.6, 2.0 Hz, 1H), 7.56 (dd, J = 8.1, 4.8 Hz, 1H), 7.65~7.72 (m, 1H), 8.14 (d, J = 2.4 Hz, 1H), 8.53 (d, J = 2.4 Hz, 1H), 8.71 (s, 1H), 8.81 (dd, J = 4.9, 1.6 Hz, 1H).
MS [M+Na]+ = 396
(8)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3-플루오로-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6.5 mg, 0.044 mmol, 1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14.2 mg, 0.057 mmol, 1.3 당량), (Ataphos)2PdCl2(1.56 mg, 2.21 μmol, 0.05 당량), 트리에틸아민(0.025 mL, 0.176 mmol, 4 당량), 1,4-디옥산(0.5 mL) 및 물(0.15 mL)의 혼합물을 130℃에서 2.5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5%~9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1~4.80 (m, 1H), 4.86~4.95 (m, 1H), 6.97 (dd, J = 8.8, 2.4 Hz, 1H), 7.20~7.28 (m, 1H), 7.46 (d, J = 7.7 Hz, 1H), 7.57 (dd, J = 8.2, 4.8 Hz, 1H), 7.63 (td, J = 8.2, 5.8 Hz, 1H), 7.77 (ddd, J = 8.1, 2.6, 1.6 Hz, 1H), 8.14 (d, J = 2.6 Hz, 1H), 8.51 (s, 1H), 8.60 (d, J = 2.6 Hz, 1H), 8.81 (dd, J = 4.9, 1.6 Hz, 1H).
MS [M+H]+ = 415
실시예 15
2-플루오로-6-(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79]
Figure pct00079
(1) t-부틸 3-((5-플루오로피리딘-3-일)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3-(t-부톡시)-3-옥소프로피온산(CAS No. 40052-13-9)(2.75 mL, 17.8 mmol, 2 당량)과 3-아미노-5-플루오로피리딘(CAS No. 210169-05-4) (1.00 g, 8.92 mmol, 1 당량)을 DMF(15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6.22 mL, 44.6 mmol, 5 당량)과 EDC(5.13 g, 26.8 mmol, 3 당량)를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60%~9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52 (s, 9H), 3.42 (s, 2H), 8.16 (dt, J = 10.5, 2.7 Hz, 1H), 8.23 (d, J = 2.7 Hz, 1H), 8.31-8.49 (m, 1H), 9.83 (br. s., 1H).
(2)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5''-플루오로-6'-옥소-6'H-[2,3':1',3''-테르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3-((5-플루오로피리딘-3-일)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1.13 g, 4.44 mmol, 1 당량)와 제조예 9에서 수득한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4-메톡시-2-옥소부트-3-엔-1-일)카보네이트(E/Z 혼합물)을 프로피오니트릴(30 mL)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브롬화리튬(772 mg, 8.89 mmol, 2 당량)과 트리에틸아민(2.17 mL, 15.6 mmol, 3.5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60%~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2 g)을 수득하였다.
MS [M+H]+ = 638
(3) t-부틸 5''-플루오로-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6'-옥소-6'H-[2,3':1',3''-테르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5''-플루오로-6'-옥소-6'H-[2,3':1',3''-테르피리딘]-5'-카복실레이트(2.02 g, 3.17 mmol, 1 당량)를 에탄올(45.4 mL)에 용해시키고, 메탄설폰산(0.411 mL, 6.34 mmol, 2 당량)과 10% 탄소상 팔라듐(함수량, 50.98%)(200 mg)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의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다음, 트리에틸아민(1.33 mL, 9.50 mmol, 3 당량)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합친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2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3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54 (s, 9H), 3.81~3.95 (m, 1H), 3.95~4.09 (m, 1H), 7.21 (dd, J = 8.2, 4.7 Hz, 1H), 7.32 (dd, J = 8.2, 1.2 Hz, 1H), 7.58 (d, J = 8.2 Hz, 1H), 8.11~8.28 (m, 1H), 8.42 (d, J = 2.0 Hz, 1H), 8.49 (s, 1H), 8.57 (d, J = 2.7 Hz, 1H).
MS [M+H]+ = 414
(4) t-부틸 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5''-플루오로-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6'-옥소-6'H-[2,3':1',3''-테르피리딘]-5'-카복실레이트(1.20 g, 2.90 mmol, 1 당량)를 THF(50 mL)에 용해시키고, THF(3 mL) 중 트리페닐포스핀(837 mg, 3.19 mmol, 1.1 당량) 및 DMEAD(748 mg, 3.19 mmol, 1.1 당량)의 용액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 1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4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60 (s, 9H), 4.67 (d, J = 16.0 Hz, 1H), 4.82 (d, J = 16.0 Hz, 1H), 7.09~7.23 (m, 2H), 7.49 (dt, J = 8.0, 2.4 Hz, 1H), 8.29 (dd, J = 4.3, 1.6 Hz, 1H), 8.35 (d, J = 2.0 Hz, 1H), 8.68 (d, J = 2.3 Hz, 1H), 8.96 (s, 1H).
MS m/z = 397
(5) 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t-부틸 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카복실레이트(645 mg, 1.63 mmol, 1 당량)를 TFA(10 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MSO(10 mL)에 용해시키고, 아세트산리튬 2수화물(1.66 g, 16.3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의 혼합 용액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고체를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308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296
(6) 9-브로모-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305 mg, 1.03 mmol, 1 당량)을 DMF(15 mL)에 용해시키고, NBS(202 mg, 1.14 mmol, 1.1 당량)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14시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추가적으로 NBS(202 mg, 1.14 mmol, 1.1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한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과 수성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7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4 (d, J = 16.0 Hz, 1H), 4.78 (d, J = 16.0 Hz, 1H), 7.05~7.22 (m, 2H), 7.49 (dt, J = 8.1, 2.2 Hz, 1H), 8.27 (dd, J = 4.3, 1.6 Hz, 1H), 8.37 (d, J = 2.3 Hz, 1H), 8.70 (d, J = 2.3 Hz, 1H), 8.78 (s, 1H).
MS [M+H]+ = 374
(7) 2-플루오로-6-(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9 mg, 0.013 mmol, 1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4.85 mg, 0.020 mmol, 1.5 당량), (Ataphos)2PdCl2(0.46 mg, 0.655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2.28 mg, 0.039 mmol, 3 당량), 물(0.2 mL) 및 1,4-디옥산(0.5 mL)의 혼합물을 14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8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5 (d, J = 15.6 Hz, 1H), 4.90 (d, J = 15.6 Hz, 1H), 7.14 (dd, J = 9.0, 5.1 Hz, 1H), 7.18-7.26 (m, 2H), 7.45 (d, J = 7.8 Hz, 1H), 7.57 (dt, J = 8.0, 2.4 Hz, 1H), 7.64 (td, J = 8.1, 5.7 Hz, 1H), 8.26 (dd, J = 4.7, 1.6 Hz, 1H), 8.44 (d, J = 2.0 Hz, 1H), 8.57 (s, 1H), 8.70 (d, J = 2.7 Hz, 1H).
MS [M+H]+ = 415
실시예 16
2-플루오로-6-(10-플루오로-3-옥소-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2-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80]
Figure pct00080
(1) 3-(2-플루오로-6-메톡시페닐)-6-메톡시-2-메틸피리딘의 합성
3-브로모-6-메톡시-2-피콜린(CAS No. 126717-59-7)(1 g, 4.95 mmol, 1 당량), (2-플루오로-6-메톡시페닐)보론산(CAS No. 78495-63-3)(925 mg, 5.44 mmol, 1.1 당량), (Ataphos)2PdCl2(175 mg, 0.247 mmol, 0.05 당량), 탄산나트륨(787 mg, 7.42 mmol, 1.5 당량), DME(15 mL) 및 물(5 mL)의 혼합물을 11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총 4회의 비슷한 반응을 수행한 다음, 병합하여 후처리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 0%~2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41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26 (s, 3H), 3.77 (s, 3H), 3.96 (s, 3H), 6.59~6.69 (m, 1H), 6.74~6.83 (m, 2H), 7.30 (td, J = 8.4, 6.6 Hz, 1H), 7.37 (d, J = 8.6 Hz, 1H).
(2) 10-플루오로-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3-온의 합성
3-(2-플루오로-6-메톡시페닐)-6-메톡시-2-메틸피리딘(1.4 g, 5.66 mmol, 1 당량), NBS(1.11 g, 6.23 mmol, 1.1 당량), AIBN(46 mg, 0.283 mmol, 0.05 당량) 및 사염화탄소(60 mL)의 혼합물을 40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9.09%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48% 브롬화수소산 수용액(40 mL)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가열 환류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이러한 용액에 48% 브롬화수소산 수용액(10 m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가열 환류 하에 교반하였다. 이러한 용액에 48% 브롬화수소산 수용액(1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가열 환류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용액의 pH가 pH≥7이 될 때까지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물, n-헵탄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776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ppm): 4.96 (s, 2H), 6.37 (br. s, 1H), 6.82 (d, J = 8.2 Hz, 1H), 6.86~6.98 (m, 1H), 7.07~7.22 (m, 1H), 7.90 (d, J = 9.0 Hz, 1H), 11.84~12.18 (m, 1H).
(3) 10-플루오로-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3-온의 합성
10-플루오로-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3-온(300 mg, 1.38 mmol, 1 당량), 탄산은(571 mg, 2.07 mmol, 1.5 당량), 요오드화 구리(I)(158 mg, 0.829 mmol, 0.6 당량), 피리딘(1.12 mL, 13.8 mmol, 10 당량) 및 DMF(15 mL)의 혼합물을 8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피리딘-3-보론산 (CAS No. 1692-25-7)(85 mg, 0.691 mmol, 0.5 당량)을 30분마다 5회(0.5 x 5 = 총 2.5 당량)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다음, 셀라이트 패드(셀라이트 상 NH 실리카겔)에 적용시켜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켰다. 그에 따른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20%~7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5.7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45-4.54 (m, 1H), 4.58~4.65 (m, 1H), 6.71~6.79 (m, 2H), 6.84 (ddd, J = 11.4, 8.4, 1.1 Hz, 1H), 7.14 (td, J = 8.3, 6.1 Hz, 1H), 7.55 (ddd, J = 8.1, 4.8, 0.8 Hz, 1H), 7.70 (ddd, J = 8.2, 2.5, 1.6 Hz, 1H), 8.16 (d, J = 9.8 Hz, 1H), 8.52 (dd, J = 2.5, 0.8 Hz, 1H), 8.78 (dd, J = 4.9, 1.6 Hz, 1H).
(4) 2-브로모-10-플루오로-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3-온의 합성
10-플루오로-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3-온(15.7 mg, 0.053 mmol, 1 당량), NBS(10.5 mg, 0.059 mmol, 1.1 당량) 및 DMF(0.5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NBS(5 mg, 0.028 mmol, 0.527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분취 TLC(실리카겔, 6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5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373
(5) 2-플루오로-6-(10-플루오로-3-옥소-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2-일)벤조니트릴의 합성
2-브로모-10-플루오로-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3-온(50 mg, 0.134 mmol, 1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49.7 mg, 0.201 mmol, 1.5 당량), (Ataphos)2PdCl2(4.74 mg, 6.70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23.4 mg, 0.402 mmol, 3 당량), 1,4-디옥산(0.8 mL) 및 물(0.2 mL)의 혼합물을 13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10%~67%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9.8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54~4.61 (m, 1H), 4.65~4.72 (m, 1H), 6.80 (d, J = 8.0 Hz, 1H), 6.83~6.91 (m, 1H), 7.13~7.25 (m, 2H), 7.48 (d, J = 6.8 Hz, 1H), 7.57 (dd, J = 8.0, 4.7 Hz, 1H), 7.64 (td, J = 8.2, 5.8 Hz, 1H), 7.73~7.82 (m, 1H), 8.37 (s, 1H), 8.58 (d, J = 2.5 Hz, 1H), 8.80 (dd, J = 4.8, 1.5 Hz, 1H).
MS [M+H]+ = 414
실시예 17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81]
Figure pct00081
(1)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실시예 15-(6)에서 수득한 9-브로모-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7.0 mg, 0.019 mmol, 1 당량), 2-클로로-3-플루오로페닐보론산(CAS No. 871329-52-1)(3.26 mg, 0.019 mmol, 1 당량), (Ataphos)2PdCl2(0.66 mg, 0.935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3.26 mg, 0.056 mmol, 3 당량), 물(0.1 mL) 및 1,4-디옥산(0.5 mL)의 혼합물을 150℃의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7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5 (d, J = 15.6 Hz, 1H), 4.90 (d, J = 15.6 Hz, 1H), 7.08~7.41 (m, 5H), 7.50~7.63 (m, 1H), 8.25 (dd, J = 4.7, 1.6 Hz, 1H), 8.38~8.48 (m, 2H), 8.68 (d, J = 2.7 Hz, 1H).
MS [M+H]+ = 424
실시예 18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82]
Figure pct00082
(1) t-부틸 3-옥소-3-(피리미딘-5-일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5-아미노피리미딘(CAS No. 591-55-9)(2.00 g, 21.0 mmol, 1 당량), 트리에틸아민(14.7 mL, 105 mmol, 5 당량), EDC(7.26 g, 37.9 mmol, 1.8 당량),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0.257 g, 2.10 mmol, 0.1 당량) 및 DCM (60.0 mL)의 혼합물에 3-(t-부톡시)-3-옥소프로피온산(CAS No. 40052-13-9)(4.86 mL, 31.5 mmol, 1.5 당량)을 점적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했다.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25%~71%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73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52 (s, 9H), 3.44 (s, 2H), 8.98 (s, 1H), 9.03 (s, 2H), 9.77 (br. s, 1H).
(2)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프로피오니트릴(50.0 mL) 중 제조예 9에서 수득한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4-메톡시-2-옥소부트-3-엔-1-일)카보네이트(E/Z 혼합물)의 용액에 0℃에서 t-부틸 3-옥소-3-(피리미딘-5-일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2.00 g, 8.43 mmol, 1.2 당량), 브롬화리튬(1.22 g, 14.1 mmol, 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3.43 mL, 24.6 mmol, 3.5 당량)을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20%~7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MTBE/n-헵탄의 혼합 용액으로 배산하여 표제 화합물(2.30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55 (s, 9H), 4.70 (s, 2H), 4.93 (s, 2H), 5.07 (s, 2H), 7.24~7.27 (m, 1H), 7.29~7.42 (m, 11H), 8.26 (dd, J = 4.7, 1.6 Hz, 1H), 8.34 (s, 1H), 8.62 (d, J = 0.8 Hz, 2H), 9.21 (s, 1H).
(3) 벤질 ((3-(벤질옥시)-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2'-일)메틸)카보네이트의 합성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1.56 g, 2.51 mmol, 1 당량)에 염화수소(에틸 아세테이트 중 4 M 용액)(6.28 mL, 25.1 mmol, 10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그에 따른 잔류물에 DMSO(46.8 mL)와 아세트산리튬 이수화물(2.56 g, 25.1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83%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 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88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9 (s, 2H), 4.94 (s, 2H), 5.08 (s, 2H), 6.75 (d, J = 9.8 Hz, 1H), 7.27~7.42 (m, 12H), 7.60 (d, J = 9.4 Hz, 1H), 8.25 (dd, J = 4.7, 1.6 Hz, 1H), 8.67 (s, 2H), 9.23 (s, 1H).
MS [M+H]+ = 521
(4) 벤질 ((3-(벤질옥시)-5'-브로모-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2'-일)메틸)카보네이트의 합성
DMF(5.00 mL) 중의 벤질 ((3-(벤질옥시)-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2'-일)메틸)카보네이트(560 mg, 1.08 mmol, 1 당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NBS(287 mg, 1.61 mmol, 1.5 당량)를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77%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9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6 (s, 2H), 4.93 (s, 2H), 5.08 (s, 2H), 7.26~7.42 (m, 12H), 8.03 (s, 1H), 8.25 (dd, J = 4.5, 1.4 Hz, 1H), 8.64 (s, 2H), 9.23 (s, 1H).
MS [M+H]+ = 599, 601
(5) 벤질 ((3-(벤질옥시)-5'-(2-시아노-3-플루오로페닐)-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2'-일)메틸)카보네이트의 합성
벤질 ((3-(벤질옥시)-5'-브로모-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2'-일)메틸)카보네이트(590 mg, 0.984 mmol, 1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365 mg, 1.48 mmol, 1.5 당량), (Ataphos)2PdCl2(34.8 mg, 0.049 mmol, 0.05 당량), 불화칼륨(172 mg, 2.95 mmol, 3 당량), 1,4-디옥산(15.0 mL) 및 물(3.0 mL)의 혼합물을 12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83%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11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6 (s, 2H), 4.96 (s, 2H), 5.13 (s, 2H), 7.21 (t, J = 8.6 Hz, 1H), 7.27~7.37 (m, 13H), 7.57 (td, J = 8.2, 5.9 Hz, 1H), 7.83 (s, 1H), 8.23 (dd, J = 4.7, 1.2 Hz, 1H), 8.73 (s, 2H), 9.24 (s, 1H).
MS [M+H]+ = 640
(6) 2-플루오로-6-(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일)벤조니트릴의 합성
벤질 ((3-(벤질옥시)-5'-(2-시아노-3-플루오로페닐)-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2'-일)메틸)카보네이트(505 mg, 0.79 mmol, 1 당량), 5% 탄소 상 팔라듐(84.0 mg, 0.039 mmol, 0.05 당량) 및 에탄올(20.0 mL)의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퍼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그에 따른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311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416
(7)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2-플루오로-6-(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6'-옥소-1'-(피리미딘-5-일)-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일)벤조니트릴(311 mg, 0.749 mmol, 1 당량), 트리페닐포스핀(295 mg, 1.12 mmol, 1.5 당량) 및 THF(10.0 m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DMEAD(263 mg, 1.12 mmol, 1.5 당량)를 서서히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25%~63%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82 (s, 2H), 7.12~7.17 (m, 1H), 7.19~7.23 (m, 1H), 7.24~7.26 (m, 1H), 7.44 (d, J = 7.8 Hz, 1H), 7.65 (td, J = 8.1, 5.7 Hz, 1H), 8.27 (dd, J = 4.5, 1.4 Hz, 1H), 8.59 (s, 1H), 8.81 (s, 2H), 9.39 (s, 1H).
MS [M+H]+ = 398
실시예 19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83]
Figure pct00083
(1) 7-(피리딘-3-일)-9-(트리부틸스탄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50 mg, 0.14 mmol, 1 당량), 헥사-n-부틸디틸(0.1 mL, 0.20 mmol, 1.42 당량), Pd(PPh3)4(10 mg, 8.65 μmol, 0.062 당량) 및 1,4-디옥산(1.5 mL)의 혼합물을 150℃에서 1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다음, 헥사-n-부틸디틴(0.1 mL, 0.20 mmol, 1.42 당량) 및 Pd(PPh3)4(10 mg, 8.65 μmol, 0.062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160℃에서 1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린 다음,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6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6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0.86~0.93 (m, 9H), 1.03~1.23 (m, 6H), 1.31~1.38 (m, 6H), 1.49~1.55 (m, 3H), 1.60~1.70 (m, 3H), 4.59~4.68 (m, 1H), 4.74~4.83 (m, 1H), 7.05~7.11 (m, 1H), 7.11~7.17 (m, 1H), 7.51 (dd, J = 8.1, 4.8 Hz, 1H), 7.68 (dt, J = 8.1, 2.0 Hz, 1H), 8.27 (dd, J = 4.6, 1.7 Hz, 1H), 8.44 (s, 1H), 8.51 (d, J = 2.6 Hz, 1H), 8.74 (dd, J = 4.8, 1.5 Hz, 1H).
(2)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7-(피리딘-3-일)-9-(트리부틸스탄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40 mg, 0.071 mmol, 1 당량), 2-브로모-3,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US 20150126449 A1, p.60)(CAS No. 1502090-29-0)(18.5 mg, 0.085 mmol, 1.2 당량), 요오드화 구리(I)(2.69 mg, 0.014 mmol, 0.2 당량), Pd(PPh3)4(8.16 mg, 7.06 μmol, 0.1 당량) 및 1,4-디옥산(1.5 mL)의 혼합물을 160℃에서 1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다음,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2%~6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8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9~4.80 (m, 1H), 4.88 (t, J = 15.4 Hz, 1H), 7.10~7.15 (m, 1H), 7.19 (d, J = 8.4 Hz, 1H), 7.20~7.26 (m, 1H), 7.34~7.44 (m, 1H), 7.51~7.61 (m, 1H), 7.71~7.85 (m, 1H), 8.25 (dd, J = 4.6, 1.3 Hz, 1H), 8.53~8.70 (m, 2H), 8.74~8.88 (m, 1H).
MS [M+H]+ = 415
실시예 20
2-(7-(5-클로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6-플루오로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84]
Figure pct00084
(1) 7-(5-클로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200 mg, 0.999 mmol, 1 당량), 탄산은(413 mg, 1.50 mmol, 1.5 당량), 요오드화 구리(I)(114 mg, 0.599 mmol, 0.6 당량), 피리딘(0.808 mL, 9.99 mmol, 10 당량) 및 DMF(5 mL)의 혼합물에 80℃에서 DMF(1 mL) 중 5-클로로피리딘-3-보론산(CAS No. 872041-85-5)(393 mg, 2.50 mmol, 2.5 당량)의 현탁액을 서서히 첨가했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했다. 그에 따른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6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8 (d, J = 16.0 Hz, 1H), 4.79 (d, J = 16.0 Hz, 1H), 6.77 (d, J = 10.2 Hz, 1H), 7.06~7.13 (m, 1H), 7.14~7.21 (m, 1H), 7.72 (t, J = 2.0 Hz, 1H), 8.26 (dd, J = 4.5, 1.0 Hz, 1H), 8.35 (d, J = 9.4 Hz, 1H), 8.42 (d, J = 2.0 Hz, 1H), 8.75 (d, J = 2.3 Hz, 1H).
MS [M+H]+ = 312
(2) 9-브로모-7-(5-클로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5-클로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20 mg, 0.064 mmol, 1 당량)을 DMF(1 mL)에 용해시키고, NBS(12.6 mg, 0.071 mmol, 1.1 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5 (d, J = 15.6 Hz, 1H), 4.77 (d, J = 15.6 Hz, 1H), 7.06~7.22 (m, 2H), 7.68~7.78 (m, 1H), 8.26 (dd, J = 4.7, 1.6 Hz, 1H), 8.42 (d, J = 2.0 Hz, 1H), 8.72~8.84 (m, 2H).
MS [M+H]+ = 390
(3) 2-(7-(5-클로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6-플루오로벤조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7-(5-클로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6.5 mg, 0.017 mmol, 1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6.17 mg, 0.025 mmol, 1.5 당량), (Ataphos)2PdCl2(0.59 mg, 0.832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2.90 mg, 0.050 mmol, 3 당량), 물(0.15 mL) 및 1,4-디옥산(1.5 mL)의 혼합물을 150℃에서 1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60%~9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77 (d, J = 15.6 Hz, 1H), 4.88 (d, J = 15.6 Hz, 1H), 7.05~7.17 (m, 1H), 7.18~7.30 (m, 2H), 7.44 (d, J = 7.8 Hz, 1H), 7.64 (td, J = 8.1, 5.7 Hz, 1H), 7.81 (t, J = 2.1 Hz, 1H), 8.26 (dd, J = 4.7, 1.2 Hz, 1H), 8.49 (d, J = 2.3 Hz, 1H), 8.57 (s, 1H), 8.77 (d, J = 2.0 Hz, 1H).
MS [M+H]+ = 431
실시예 21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85]
Figure pct00085
(1) t-부틸 3-((2-메틸피리미딘-5-일)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3-(t-부톡시)-3-옥소프로피온산(CAS No. 40052-13-9)(1.61 g, 10.1 mmol, 1.1 당량), 2-메틸-5-피리미딘아민(CAS No. 39889-94-6)(1.00 g, 9.16 mmol, 1.0 당량), 트리에틸아민(1.53 mL, 11.0 mmol, 1.2 당량), EDC(2.11 g, 11.0 mmol, 1.2 당량) 및 DCM(20 mL)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1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1.53 (s, 9H), 2.72 (s, 3H), 3.43 (s, 2H), 8.91 (s, 2H), 9.64 (br. s, 1H).
(2)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1'-(2-메틸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3-((2-메틸피리미딘-5-일)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313 mg, 1.25 mmol, 1.2 당량), 브롬화리튬(180 mg, 2.08 mmol, 2.0 당량), 제조예 9에서 수득한 벤질 (3-(3-(벤질옥시)피리딘-2-일)-4-메톡시-2-옥소부트-3-엔-1-일)카보네이트(E/Z 혼합물)(450 mg, 1.04 mmol, 1.0 당량), 트리에틸아민(0.506 mL, 3.63 mmol, 3.5 당량) 및 프로피오니트릴 (5.0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80 mg)을 수득하였다.
MSm/z = 636
(3) t-부틸 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1'-(2-메틸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3-(벤질옥시)-2'-((((벤질옥시)카보닐)옥시)메틸)-1'-(2-메틸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480 mg, 0.756 mmol, 1.0 당량), 10% 탄소 상 팔라듐(함수량 53.9%)(80.0 mg, 0.035 mmol, 0.046 당량) 및 메탄올 (3.00 mL)의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 하의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그에 따른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2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411
(4) t-부틸 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카복실레이트의 합성
t-부틸 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1'-(2-메틸피리미딘-5-일)-6'-옥소-1',6'-디하이드로-[2,3'-비피리딘]-5'-카복실레이트(250 mg, 0.609 mmol, 1.0 당량), 트리페닐포스핀(224 mg, 0.853 mmol, 1.4 당량) 및 THF (3.00 mL)의 혼합물에 0℃에서 THF(1.00 mL) 중의 DMEAD(200 mg, 0.853 mmol, 1.4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의 진행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본래 용액 부피의 약 절반까지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9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393
(5) 7-(2-메틸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t-부틸 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카복실레이트(239 mg, 0.609 mmol, 1.0 당량)에 TFA(3.00 mL)를 첨가하고,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에 DMSO(3.00 mL)와 아세트산리튬 이수화물(311 mg, 3.05 mmol, 5.0 당량)을 첨가하고,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0%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60%~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1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4.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293
(6) 9-브로모-7-(2-메틸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7-(2-메틸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34.0 mg, 0.116 mmol, 1.0 당량), NBS(31.1 mg, 0.174 mmol, 1.5 당량) 및 DMF(3.00 mL)의 혼합물을 5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에 따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0%~2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0 mg)을 수득하였다.
MS [M+H]+ = 371
(7)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의 합성
9-브로모-7-(2-메틸피리미딘-5-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22.0 mg, 0.059 mmol, 1.0 당량), 2-시아노-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CAS No. 765916-91-4)(22.0 mg, 0.089 mmol, 1.5 당량), (Ataphos)2PdCl2(4.20 mg, 5.93 μmol, 0.1 당량), 불화칼륨(10.3 mg, 0.178 mmol, 3.0 당량), 1,4-디옥산(0.8 mL) 및 물(0.4 mL)의 혼합물을 140℃에서 1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80%~10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50%~80%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88 (s, 3H), 4.84 (s, 2H), 7.08~7.32 (m, 3H), 7.44 (d, J = 7.7 Hz, 1H), 7.64 (td, J = 8.1, 5.5 Hz, 1H), 8.26 (dd, J = 4.8, 1.5 Hz, 1H), 8.58 (s, 1H), 8.68 (s, 2H).
MS [M+H]+ = 412
실시예 22
9-(3-플루오로-2-메틸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86]
Figure pct00086
(1) 9-(3-플루오로-2-메틸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0.7 mg, 0.03 mmol, 1 당량), (3-플루오로-2-메틸페닐)보론산(CAS No. 163517-61-1)(6.94 mg, 0.045 mmol, 1.5 당량), (Ataphos)2PdCl2(1.06 mg, 1.50 μmol, 0.05 당량), 불화칼륨(5.24 mg, 0.09 mmol, 3 당량), 1,4-디옥산(0.4 mL) 및 물(0.1 mL)의 혼합물을 12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겔, 5%~67%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2.20 (d, J = 2.3 Hz, 3H), 4.69~4.75 (m, 1H), 4.82~4.89 (m, 1H), 7.00~7.07 (m, 1H), 7.08~7.14 (m, 2H), 7.15~7.23 (m, 2H), 7.54 (dd, J = 8.0, 4.9 Hz, 1H), 7.69~7.79 (m, 1H), 8.24 (dd, J = 4.7, 1.6 Hz, 1H), 8.35 (s, 1H), 8.58 (d, J = 2.3 Hz, 1H), 8.78 (dd, J = 4.7, 1.6 Hz, 1H).
MS [M+H]+ = 386
참고예 1
9-(2,6-디플루오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화학식 87]
Figure pct00087
(1) 9-(2,6-디플루오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9-브로모-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100 mg, 0.281 mmol, 1 당량),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트리부틸(2,6-디플루오로페닐)스탄난(147 mg, 0.365 mmol, 1.3 당량), (Ataphos)2PdCl2(9.94 mg, 0.014 mmol, 0.05 당량), 요오드화 구리(I)(5.35 mg, 0.028 mmol, 0.1 당량) 및 1,4-디옥산(3 mL)의 혼합물을 150℃에서 7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상 NH 실리카겔, 5%~95%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로 정제하였다. 그에 따른 미정제 생성물을 에탄올-n-헵탄의 혼합 용액(1:4)으로 배산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그에 따른 고체를 n-헵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41.5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4.69~4.77 (m, 1H), 4.83~4.91 (m, 1H), 6.93~7.01 (m, 2H), 7.08~7.14 (m, 1H), 7.15~7.19 (m, 1H), 7.28~7.38 (m, 1H), 7.51~7.57 (m, 1H), 7.73~7.79 (m, 1H), 8.25 (dd, J = 4.6, 1.5 Hz, 1H), 8.49 (s, 1H), 8.60 (d, J = 2.4 Hz, 1H), 8.78 (dd, J = 4.8, 1.5 Hz, 1H).
MS [M+H]+ = 390
대조 화합물
2-(3-옥소-4-(피리딘-3-일)-3,5-디하이드로-2H-크로메노[4,3-c]피리다진-2-일)벤조니트릴의 합성
[화학식 88]
Figure pct00088
(1) 2-(4-옥소크로만-3-일)-2-(피리딘-3-일)아세토니트릴의 합성
DMF(67 mL) 중 3-(피리딘-3-일메틸렌)크로만-4-온(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1, 46, 3201~3209)(4.74 g, 20.0 mmol, 1 당량)의 용액에 0℃에서 10분에 걸쳐 물(20 mL) 중 시안화칼륨(2.60 g, 39.9 mmol, 2 당량) 및 염화암모늄(1.78 g, 33.3 mmol, 1.67 당량)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5.14 g)을 수득하였다.
(2) 2-(4-옥소크로만-3-일)-2-(피리딘-3-일)아세트산의 합성
아세트산(60 mL) 중의 2-(4-옥소크로만-3-일)-2-(피리딘-3-일)아세토니트릴(12.3 g, 46.5 mmol)과 진한 염산(60 mL)의 혼합 용액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얼음물에 따라 부었다. 용액을 5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4.2 g)을 수득하였다.
(3) 2-(2-요오드페닐)-4-(피리딘-3-일)-4a,5-디하이드로-2H-크로메노[4,3-c]피리다진-3(4H)-온의 합성
염산 (2-요오드페닐)히드라진(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8, 31 (9), 1712~1719)(4.01 g, 14.8 mmol, 1 당량)에 1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했다. 합친 유기층을 농축하여 (2-요오드페닐)히드라진을 제조하였다. n-부탄올 중 위의 (2-요오드페닐)히드라진 및 2-(4-옥소크로만-3-일)-2-(피리딘-3-일)아세트산(4.20 g, 14.8 mmol, 1 당량)의 용액을 11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에탄올(30 mL) 중 그에 따른 잔류물의 용액에 파라-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10 mg)과 위의 방법으로 제조한 (2-요오드페닐)히드라진(1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아세트산 중 그에 따른 잔류물의 용액을 9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이러한 잔류물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5 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ppm): 3.61~3.84 (m, 2H), 3.95~4.09 (m, 2H), 6.92 (d, J = 8.4 Hz, 1H), 6.96~7.04 (m, 1H), 7.08~7.18 (m, 1H), 7.29~7.36 (m, 1H), 7.39 (dd, J = 7.6, 4.9 Hz, 1H), 7.43~7.56 (m, 2H), 7.70 (br. s, 1H), 7.89~8.03 (m, 2H), 8.54 (d, J = 1.6 Hz, 1H), 8.63 (dd, J = 4.7, 1.6 Hz, 1H).
MS [M+H]+ = 482
(4) 2-(3-옥소-4-(피리딘-3-일)-3,5-디하이드로-2H-크로메노[4,3-c]피리다진-2-일)벤조니트릴의 합성
2-(2-요오드페닐)-4-(피리딘-3-일)-4a,5-디하이드로-2H-크로메노[4,3-c]피리다진-3(4H)-온(50 mg, 0.104 mmol, 1 당량), 시안화아연(II)(40 mg, 0.341 mmol, 3.28 당량), Pd(PPh3)4(5 mg, 4.33 μmol, 0.042 당량) 및 NMP(1.5 mL)의 혼합 용액을 100℃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 120℃에서 3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물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분취 T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2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ppm): 5.21 (s, 2H), 7.08~7.12 (m, 1H), 7.12~7.20 (m, 1H), 7.42~7.48 (m, 1H), 7.56~7.61 (m, 1H), 7.70~7.77 (m, 1H), 7.88~8.00 (m, 4H), 8.07~8.12 (m, 1H), 8.64~8.75 (m, 2H).
MS [M+Na]+ = 401
약리시험예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시험을 실시했다. 화합물의 AMPA 수용체 억제 작용과 관련하여, AMPA 유도에 의한 뉴런 내 칼슘 유입 억제 작용을 태아 랫트 대뇌 피질 뉴런의 초대 배양계를 이용하여 검토했다. 화합물의 항경련 작용과 관련하여, 치료 저항성 경련 모델로 알려진 6 Hz(44 mA) 자극 유발 경련을 이용하였다. AMPA 억제제 유도성 중추 신경계 억제 작용, 예컨대 협조 운동 장애는 로터로드 수행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의 경련 발작을 억제하는 효과 및 화합물에 의해 부차적으로 유발되는 협조 운동 장애를 동일한 동물에서 동시에 평가함으로써 화합물의 안전 영역을 높은 정확도로 평가했다.
AMPA 유도에 의한 뉴런 내 칼슘 유입 억제 작용
<배양 조건> 이소플루레인으로 마취시킨 배아 18일의 위스타 랫트(일본 찰스 리버(Charles River))의 자궁에서 전 태아를 적출했다. 전 태아로부터 전체 뇌를 적출하고 레보비츠 L-15 배지 또는 20%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행크스 균형 염 용액에서 대뇌 피질을 분리하였다. 그에 따른 물질을 트립신/DNase 용액으로 37℃에서 45 내지 60분 동안 처리했다. 혈청을 첨가하여 트립신 반응을 정지시킨 후, 그에 따른 물질을 1200 내지 1500 rpm에서 3 내지 5분간 원심분리했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2 % B-27 보충물 등을 포함하는) 뉴로베이잘(Neurobasal) 배지(이하, "뉴로베이잘 배지")를 첨가하고, 부드럽게 피펫팅하여 세포를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가볍게 교반한 다음, 나일론 메쉬 필터로 여과하였다. 살아 있는 세포를 혈구계를 이용하여 계수하고, 뉴로베이잘 배지로 8 ~ 10 x105 개 세포/mL이 되도록 희석했다.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100 μL로 세포를 시딩하고 CO2 인큐베이터(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교체하고, 7일 내지 21일 동안 배양한 뉴런을 사용하였다.
분석 당일, 배지를 제거하고, 5 내지 10 μmol/L의 Fura2-AM(140 mmol/L 염화나트륨, 5 mmol/L 염화칼륨, 2 mmol/L 염화마그네슘, 3 mmol/L 염화칼슘, 24 mmol/L D(+)- 글루코스, 10 mmol/L HEPES, 1 μmol/L MK-801, pH 7.4)을 함유하는 칼슘 측정 용액으로 교체하고, 세포를 CO2 인큐베이터(5% CO2, 37℃)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Fura-2AM 용액을 함유하는 칼슘 측정 용액을 제거하고, 각 웰의 뉴런을 각 웰에 대해 칼슘 측정 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칼슘 측정 용액 50 μL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그 후, 최종 농도보다 3배 높은 농도로 제조한 시험 화합물 또는 배지 50 μL를 첨가하고, 세포를 약 15분 동안 사전 처리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를 형광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Fluorescence Drug Screening System) 6000(하마마츠 포토닉스(Hamamatsu Photonics K.K.))에 위치시켰다. 각 웰에 칼슘 측정 용액으로 3.3 μmol/L까지 제조한 AMPA 자극 용액 50 μL를 첨가하여 세포를 자극하였다. 칼슘 농도의 변화를 340 nm 및 380 nm의 여기 파장(측정 파장: 540 nm)에서의 형광 강도의 변화로 측정했다. 세포 내 칼슘 농도 변화율을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율(% 대조군) = (Tpost - Tpre)/(Cpost - Cpre) x 100
여기서, Tpost: 자극 후 샘플 웰의 형광 비율; Tpre: 자극 전 샘플 웰의 형광 비율; Cpost: 자극 후 대조 웰의 형광 비율; 및 Cpre: 자극 전 대조 웰의 형광 비율.
시험 화합물의 AMPA 억제에 대한 IC50 값은 다양한 농도에서 세포 내 칼슘 농도의 증가율로부터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이들 결과는 실시예 1 내지 22의 화합물이 충분한 AMPA 수용체 억제 작용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IC50
(nM)
실시예 IC50
(nM)
대조 화합물 20.00 실시예 12 32.97
실시예 1 33.54 실시예 13 67.55
실시예 2 16.00 실시예 14 19.40
실시예 3 10.40 실시예 15 8.20
실시예 4 28.30 실시예 16 <8
실시예 5 31.84 실시예 17 17.70
실시예 6 34.60 실시예 18 29.00
실시예 7 15.50 실시예 19 23.40
실시예 8 70.10 실시예 20 8.26
실시예 9 50.89 실시예 21 44.26
실시예 10 18.80 실시예 22 53.30
실시예 11 26.30 참고예 1 44.11
로타로드 수행 시험-1
로타로드(무로마치기계 社의 MK-660C)를 측정에 사용했다. 로드(막대)는 정지 상태에서 점차 가속하여 180초 후에 40회 회전/분의 속도가 되도록 조절했다. 동물은 5 또는 6주령의 수컷 ddY 마우스(일본 SLC사)를 사용했다. 시험을 수행한 당일, 마우스를 위에 기술된 측정 조건 하에서 훈련시켰고, 높은 재현율로 1분 이상 로드를 탈 수 있는 마우스를 선택하여 시험 대상으로 하였다.
화합물 각각을 배지(0.5% 메틸셀룰로스 용액에 최종 농도 10%가 되도록 DMSO를 첨가하여 제조한 용액. 필요에 따라, 0.5 내지 5%의 1 mol/L 염산과 5% 크레모포어(CremophorTM)를 첨가했다)에 용해시킨 다음, 0.5 내지 10 mg/kg 사이의 최적의 네 가지 용량으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했다. 대조군으로 배지만을 경구 투여했다. 각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25분 경과 후, 마우스에게 로타로드 수행 시험을 치르도록 했다. 각 화합물 군에 대해 다섯 마리 내지 스물 다섯 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했다. 각 화합물에 대해 마우스가 로타로드에서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배지 대조군의 낙하 시간 평균값의 50%까지 이러한 시간이 감소된 용량(TD50)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뮤린 6 Hz 경련 모델(Matthew E. Barton et al.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6 Hz psychomotor seizure model of partial epilepsy" Epilepsy Research 47 (2001) pp. 217~227)
로타로드 수행 시험-1이 종료된 직후, 생리 식염수로 적신 구리 전극으로부터 전류(6 Hz, 44 mA, 0.2 밀리초 펄스, 3초)를 통과시켜 각막을 자극하고, 발작 발달 유무를 관찰했다. 발작은 운동 불능, 턱과 앞다리의 간헐성 경련, 수염 떨림 및 스트라우브 테일의 발달로 결정했다.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동물의 50%가 발작을 발달시키는 용량(ED50)을 산출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각각의 안전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6 Hz 경련 모델에서 발작 억제 작용(ED50)과 로타로드 수행 시험-1에서 신경독성 작용(TD50)을 비교하여 치료 계수(TD50/ED50)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실시예 1 내지 22의 화합물은 대조 화합물에 비해 높은 치료 계수를 보이며 감소된 중추 신경계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AMPA 억제제로서 잠재적인 이용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ED50
(mg/kg, p.o.)
TD50
(mg/kg, p.o.)
치료 계수
대조 화합물 3.96 2.73 0.69
실시예 1 2.08 3.09 1.49
실시예 2 1.91 4.50 2.36
실시예 3 1.21 2.47 2.04
실시예 4 2.33 3.90 1.67
실시예 5 3.23 6.53 2.02
실시예 6 2.86 4.44 1.55
실시예 7 0.97 1.70 1.75
실시예 8 4.85 >8 >1.65
실시예 9 3.38 9.55 2.83
실시예 10 2.08 3.37 1.62
실시예 11 1.69 5.05 2.99
실시예 12 1.66 3.06 1.84
실시예 13 2.25 3.89 1.73
실시예 14 2.09 4.76 2.27
실시예 15 1.41 2.67 1.89
실시예 16 1.05 1.73 1.65
실시예 17 2.00 4.27 2.14
실시예 18 2.00 4.03 2.02
실시예 19 2.00 3.25 1.63
실시예 20 2.47 4.74 1.91
실시예 21 2.50 5.30 2.12
실시예 22 3.23 6.19 1.91
참고예 1 1.41 5.16 3.66
로타로드 수행 시험-2
로타로드(무로마치기계 社의 MK-660C)를 측정에 사용했다. 로드(막대)는 정지 상태에서 점차 가속하여 180초 후에 40회 회전/분의 속도가 되도록 조절했다. 동물은 5 또는 6주령의 수컷 ddY 마우스(일본 SLC사)를 사용했다. 시험을 수행한 당일, 마우스를 위에 기술된 측정 조건 하에서 훈련시켰고, 높은 재현율로 1분 이상 로드를 탈 수 있는 마우스를 선택하여 시험 대상으로 하였다.
화합물 각각을 배지(0.5% 메틸셀룰로스 용액에 최종 농도 10%가 되도록 DMSO를 첨가하여 제조한 용액. 필요에 따라, 0.5 내지 5%의 1 mol/L 염산과 5% 크레모포어를 첨가했다)에 용해시킨 다음, 6 Hz 경련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ED50 용량으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했다. 대조군으로 배지만을 경구 투여했다. 각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25분 경과 후, 마우스에게 로타로드 수행 시험을 치르도록 했다. 각 화합물 군에 대해 다섯 마리 또는 여섯 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했다. 각 화합물에 대해 마우스가 로타로드에서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표 4, 도 1 및 도 2에 나타냈다. 이들 결과는 실시예 1 내지 22의 화합물이 ED50 용량에서 대조 화합물에 비해 마우스가 로타로드를 타는 시간을 연장시켰음을 보여주어,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이 감소된 AMPA 억제제로서의 이들 화합물의 이용가능성을 추가적으로 뒷받침한다고 여겨진다.
처리 용량
(mg/kg, p.o.)
로타로드 수행 시험 결과
낙하시간(초) 대조 화합물에 대한 비율
용제 - 106.7 8.7
대조 화합물 3.96 12.2 1.0
실시예 1 2.08 56.3 4.6
실시예 2 1.91 148.0 12.1
실시예 3 1.21 124.7 10.2
실시예 4 2.33 73.2 6.0
실시예 6 2.86 68.0 5.6
실시예 7 0.97 71.7 5.9
실시예 8 4.85 65.8 5.4
실시예 9 3.38 109.7 9.0
실시예 10 2.08 84.2 6.9
실시예 11 1.69 114.7 9.4
실시예 12 1.66 80.5 6.6
실시예 13 2.25 84.8 7.0
참고예 1 1.41 110.7 9.1
처리 용량
(mg/kg, p.o.)
로타로드 수행 시험 결과
낙하시간(초) 대조 화합물에 대한 비율
용제 - 130.2 9.1
대조 화합물 3.96 14.3 1.0
실시예 5 3.23 108.7 7.6
실시예 14 2.09 139.2 9.7
실시예 15 1.41 100.0 7.0
실시예 16 1.05 92.8 6.5
실시예 17 2.00 147.0 10.3
실시예 18 2.00 102.2 7.1
실시예 19 2.00 121.7 8.5
실시예 20 2.47 71.3 5.0
실시예 21 2.50 118.7 8.3
실시예 22 3.23 102.8 7.2

Claims (17)

  1.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089

    2-플루오로-6-(7-(5-메톡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090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091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092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093

    7-(피리딘-3-일)-9-(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094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Figure pct00095

    3-(8-옥소-7-(티오펜-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라진-2-카보니트릴,
    Figure pct00096

    9-(2-플루오로페닐)-7-페닐-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097

    2-(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098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Figure pct00099

    3-(7-(2-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Figure pct00100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Figure pct00101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2

    2-플루오로-6-(7-(5-플루오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3

    2-플루오로-6-(10-플루오로-3-옥소-4-(피리딘-3-일)-4,5-디하이드로-3H-크로메노[3,4-b]피리딘-2-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4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5-플루오로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105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6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7

    2-(7-(5-클로로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6-플루오로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8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09

    9-(3-플루오로-2-메틸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110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 9-(2-클로로페닐)-7-(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11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2-플루오로-6-(7-(6-메틸피리딘-3-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1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9-(2-클로로-3-플루오로페닐)-7-(6-메틸피리딘-3-일)-6H-피라노[3,2-b:5,4-b']디피리딘-8(7H)-온
    Figure pct0011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2-플루오로-6-(7-(2-메톡시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1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3-(7-(4-플루오로페닐)-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Figure pct00115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3-(3-플루오로-8-옥소-7-페닐-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피콜리노니트릴
    Figure pct0011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2-플루오로-6-(3-플루오로-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17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2-플루오로-6-(8-옥소-7-(피리미딘-5-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18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3,6-디플루오로-2-(8-옥소-7-(피리딘-3-일)-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1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2-플루오로-6-(7-(2-메틸피리미딘-5-일)-8-옥소-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b:5,4-b']디피리딘-9-일)벤조니트릴
    Figure pct00120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AMPA 수용체 억제제인 의약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간질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의약 조성물.
  16. 간질 치료에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7. 제16항에 있어서, 간질은 부분 간질인 것인 화합물.
KR1020187011535A 2015-11-13 2016-11-09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Withdrawn KR20180080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2805 2015-11-13
JPJP-P-2015-222805 2015-11-13
PCT/JP2016/083211 WO2017082288A1 (ja) 2015-11-13 2016-11-09 ピラノジピリジン化合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201A true KR20180080201A (ko) 2018-07-11

Family

ID=5869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535A Withdrawn KR20180080201A (ko) 2015-11-13 2016-11-09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9738656B2 (ko)
EP (1) EP3378863A4 (ko)
JP (1) JP6353173B2 (ko)
KR (1) KR20180080201A (ko)
CN (1) CN108349989B (ko)
AR (1) AR106647A1 (ko)
AU (1) AU2016351424B2 (ko)
BR (1) BR112018008006A2 (ko)
CA (1) CA3002930A1 (ko)
CL (1) CL2018001067A1 (ko)
CO (1) CO2018004213A2 (ko)
HK (1) HK1255832A1 (ko)
IL (1) IL258952B (ko)
JO (1) JO3742B1 (ko)
MA (1) MA43275A (ko)
MX (1) MX380080B (ko)
MY (1) MY185971A (ko)
PE (1) PE20181008A1 (ko)
PH (1) PH12018500903A1 (ko)
RU (1) RU2743998C2 (ko)
SG (1) SG11201803433TA (ko)
TW (1) TWI644916B (ko)
UA (1) UA122241C2 (ko)
WO (1) WO2017082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7715A1 (ja) * 2017-05-09 2018-11-15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ピラノジピリジン化合物の結晶
JPWO2018207729A1 (ja) * 2017-05-09 2020-03-19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ピラノジピリジン化合物を含有する治療剤
AU2018307730B9 (en) * 2017-07-26 2024-02-15 Hg&H Pharmaceuticals (Pty) Ltd Mesembrenol and/or mesembranol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patients suffering from epilepsy and associated diseases
WO2019070044A1 (ja) 2017-10-06 2019-04-11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WO2019070043A1 (ja) * 2017-10-06 2019-04-11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CN111801096B (zh) 2018-03-20 2024-03-05 卫材R&D管理有限公司 癫痫治疗剂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2046A1 (en) * 1982-08-26 1984-03-07 Schering Corporation Tricyclic lactams, method for mak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511569A (en) * 1982-08-26 1985-04-16 Schering Corporation Tricyclic lactams and derivatives useful in increasing cardiac contractility
US4666916A (en) * 1985-11-08 1987-05-19 Ciba-Geigy Corporation Hexahydro-(1)-benzo-(pyrano and thiopyrano) (4,3-C)pyridines, useful as serotin-2 blocking agents
FR2717811B1 (fr) * 1994-03-28 1996-04-26 Rhone Poulenc Rorer Sa Dérivés d'imidazo[1,2-a]pyrazine-4-one, leur préparation et les médicaments les contenant.
PT1300396E (pt) * 2000-06-12 2009-04-20 Eisai R&D Man Co Ltd Compostos de 1,2-di-hidropiridina, processos para a sua preparação e sua utilização
RU2279428C2 (ru) * 2000-09-18 2006-07-10 Эйсай Ко., Лтд.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идазинона и триазино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EP1319659B1 (en) 2000-09-18 2009-03-11 Eisai R&D Management Co., Ltd. Triazinones and medicinal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0829A (zh) 2017-06-16
US9738656B2 (en) 2017-08-22
PE20181008A1 (es) 2018-06-26
AU2016351424A8 (en) 2018-06-14
AU2016351424B2 (en) 2020-06-25
JPWO2017082288A1 (ja) 2017-12-21
MA43275A (fr) 2018-09-26
EP3378863A1 (en) 2018-09-26
CL2018001067A1 (es) 2018-07-20
BR112018008006A2 (pt) 2018-10-30
HK1255832A1 (zh) 2019-08-30
MX380080B (es) 2025-03-11
US20170137436A1 (en) 2017-05-18
MY185971A (en) 2021-06-14
JP6353173B2 (ja) 2018-07-04
JO3742B1 (ar) 2021-01-31
CO2018004213A2 (es) 2018-07-10
PH12018500903A1 (en) 2018-11-05
CA3002930A1 (en) 2017-05-18
AR106647A1 (es) 2018-02-07
WO2017082288A1 (ja) 2017-05-18
RU2018115716A (ru) 2019-12-13
MX2018004979A (es) 2018-09-07
CN108349989A (zh) 2018-07-31
SG11201803433TA (en) 2018-05-30
EP3378863A4 (en) 2019-03-06
UA122241C2 (uk) 2020-10-12
AU2016351424A1 (en) 2018-05-10
IL258952A (en) 2018-06-28
RU2018115716A3 (ko) 2020-02-06
RU2743998C2 (ru) 2021-03-01
TWI644916B (zh) 2018-12-21
IL258952B (en) 2021-01-31
CN108349989B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0201A (ko) 피라노디피리딘 화합물
JP6240180B2 (ja) 置換チオフェン−およびフラン−縮合アゾロピリミジン−5−(6h)−オン化合物
KR102590310B1 (ko) KEAP1-Nrf2 단백질간 상호작용 억제제
JP2016537366A (ja) カゼインキナーゼ1d/e阻害剤としての置換された4,5,6,7−テトラヒドロピラゾロ[1,5−a]ピラジン誘導体
US8901305B2 (en) Aryl lactam kinase inhibitors
MX2015004783A (es) Moduladores de quinolinilo unidos a metileno de receptor nuclear de acido retinoico-gamma-t.
EA028815B1 (ru) Замещенные ксантин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2018529731A (ja) ビアリールキナーゼ阻害剤
KR20230019822A (ko) 골수성 세포 2 작용제 상에서 발현되는 유발 수용체로서의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사용 방법
JP2015510881A (ja) アリールエーテルベースのキナーゼ阻害剤
BR112016007563A2 (pt) tiazolopirimidinonas como moduladores de atividade de nmda
US20230136194A1 (en)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use thereof
WO2015026574A1 (en) Imidazopyridazine kinase inhibitors useful to treating a disease or disorder mediated by aak1, such as alzheimer&#39;s disease, bipolar disorder, pain, schizophrenia
KR20230020983A (ko) 골수성 세포 2 작용제 상에서 발현되는 유발 수용체로서의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사용 방법
TW202438054A (zh) 作為MTA-協同PRMT5抑制劑的5-胺基-6,8-二氫-1H-呋喃并[3,4-d]吡咯并[3,2-b]吡啶-2-甲醯胺衍生物
KR20140051998A (ko) 디벤조옥세핀 유도체
AU2015323708B2 (en) Substituted pyrazoloquinazolinones and pyrroloquinazolinones as allosteric modulators of group ii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HK1258756A1 (en) Pyranodipyridine compound
EP3459948B1 (en) Fluorine-containing triazolopyridine, and manufacturing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