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137A - Unmanned delivery locker - Google Patents
Unmanned delivery loc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0137A KR20180080137A KR1020180000427A KR20180000427A KR20180080137A KR 20180080137 A KR20180080137 A KR 20180080137A KR 1020180000427 A KR1020180000427 A KR 1020180000427A KR 20180000427 A KR20180000427 A KR 20180000427A KR 20180080137 A KR20180080137 A KR 201800801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 guide frame
- storage
- lifting
- loc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와 같은 수하물을 배달할 때 수령인이 없는 경우 수하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소형 수하물뿐만 아니라 대형 수하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수납부들을 구획화하는 칸막이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켜, 연속 배열된 2개 이상의 수납부를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통합하여, 각 수납부보다 부피가 큰 수하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baggage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ggage storage device capable of safely storing baggage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when delivering baggage such as parce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in which two or more consecutively arranged storage compartments are integrated into one storage space to enable storage of a larger volume of baggage than each storage compartment.
최근 인터넷 쇼핑, 홈쇼핑 등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소포나 택배 등을 이용해 각종 수하물을 배달인이 수령인에게 직접 배달하여 전달하는 문화가 급증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Internet shopping, home shopping, etc. is increasing, a culture of delivering and delivering various baggage to a recipient by using a parcel or courier is rapidly increasing.
그러나 핵가족화, 독신 생활의 증가, 취업 인구의 증가 등이 가속화됨에 따라, 수령인이 부재중인 시간이 늘어나, 수령인 부재로 인해 택배 수하물이 배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However, as the nuclear family, the increase in single living, and the increase in the working population are accelerated,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causes the delivery of the baggage to be deliver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bsence time of the recipient.
물론 최근에는 배달인이 배달 전, 문자나 전화를 이용해 수령인 부재 여부를 확인하고 배달을 하고 있으나, 배달인과 수령인이 서로의 시간을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령인들의 부재 여부에 따라 배달인의 배달 동선이 복잡해지는 등, 택배 물량이 증가할수록 배달과 관련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Of course, in recent years, the delivery person has confirmed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by using a character or telephone before delivery, but the delivery person and the recipient have difficulty in meeting each other's time, and depending o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s, As the amount of parcel delivery increases, many inconveniences related to delivery occur.
또한 대형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의 경우, 수령인이 부재중일 때 경비실에서 수하물을 대신 수령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수령인이 수하물을 찾아가고 있으나, 이런 경우에도 경비실에 근무자가 없을 경우 배달이 불가능하고, 수하물이 잘못 전달되어 수하물이 바뀌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Also, in the case of a large apartment or office building,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the baggage is collected at the guard station instead of the baggage, and the recipient is searching for the baggage. However, even if the baggage is not available at the guard room,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wrong delivery and change of baggage.
이에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678673호, 공개특허 제10-2016-0095552호 등과 같이, 수령인이 부재중인 경우에도 배달이 가능하며 수하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technique related to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such as th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1678673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6-0095552, which enables delivery even when a recipient is absent, Is being developed.
이러한 무인 수하물 보관함은, 발송인과 배달인 및 수령인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한 시간에 수하물을 배달 및 수령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 및 보급이 급증되고 있다.Such an unmanned baggage storage is rapidly gaining interest and popularity because the sender, the deliverer and the recipient can deliver and receive the baggage at a convenient tim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일반적으로 무인 수하물 보관함은, 수하물의 평균적인 사이즈에 맞게 일정 규격의 수납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수납부마다 잠금/해정이 가능한 개별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인데, 상기 종래기술 들과 같이 수납부의 크기가 획일적으로 동일한 무인 수하물 보관함의 경우, 택배 등으로 배달 가능한 수하물의 종류나 부피가 다양해지면서 무인 수하물 보관함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Generally,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sections of a certain standard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size of the baggage, and individual doors which can be locked / unlocked for each storage section are mounted. In the case of unmanned baggage storage boxes which are uniformly the same, it is often impossible to use the unattended baggage storage box because the kinds and volumes of the baggage that can be delivered by courier etc. vary.
물론 각종 수하물의 부피 등을 고려하여,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대형 수하물 및 소형 수하물을 모두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사이즈가 다변화될 경우,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수납부 자체의 수가 줄어들어 사용상의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various pieces of baggage,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of various size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storage unit is diversified so as to store both large baggage and small baggage, The number of payment itself is reduced, and the inconvenience of use is followed.
즉, 무인 수하물 보관함이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상대적으로 대형 수하물의 보관이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 수납부의 추가 내지 필요성이 떨어져, 무인 수하물 보관함의 설치 및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is installed is limited and the storage of the relatively large baggage is not frequent, the addition or the necessity of the large storage space is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and use of the unattended baggage storage box is limited. hav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보관함 전체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면서 수하물을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의 개수를 최대한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1개 수납부의 사이즈를 초과하는 대형 수하물을 쉽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들을 구획화하는 칸막이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켜, 연속 배열된 2개 이상의 수납부를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minimize the size of the entire storage box and to secure the maximum number of the storage compartments that can individually store the baggage and to store the large baggage exceeding the size of one storage compartment as require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in which two or more consecutively arranged storage compartments can be integrated into one storage space by separately raising and lowering partitioning compartments.
아울러 본 발명은 수납공간의 통합 및 수납부의 분할이 편리하고, 수하물의 사이즈에 따라 사용하는 수납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in which the storage space can be easily integrated and the storage portion can be easily divided and the number of storage portions to be us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ggage.
또한 본 발명은 각 층별로 칸막이의 개별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칸막이의 양 측면에 지지봉이 돌출되고, 본체의 양 측면 내측에서 승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에 상기 지지봉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승강부재가 전후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전진 시 걸림부가 지지봉을 통과하여 가이드프레임이 승하강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후진 시 걸림부가 지지봉에 걸리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승하강에 의해 칸막이가 함께 승하강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ing member having a supporting bar projecting on both sides of a partition so that the partition can be individually lifted and lowered for each floor, and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supporting bar on the guide frame, The guide frame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when the elevation member is advanced when the elevation member is advanced, and when the elevation member is moved backward,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upport bar,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재가 후진하였을 때 상기 지지봉이 보다 견고하게 걸린 상태에서 칸막이의 승하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 상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including an engaging groove recessed for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rtition can be secure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bar is more firmly engaged when the lifting member is retracted .
나아가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해 상기 승강부재의 전후진이 가능가면서, 모터 사용에 따른 고장 발생을 줄이고 승강부재의 전후진 위치에 따라 모터의 회전 범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제1 모터에 의해 전후 회동하는 회동바에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된 이동축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faults caused by the use of the motor while allowing the elevation memb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using a motor, and to rotate the moto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first moto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a moving shaft provided in the elevating member is inserted.
아울러 본 발명은 각 칸막이가 원래의 고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각 칸막이의 승하강을 다른 칸막이의 지지봉이 간섭하지 않도록, 상층의 칸막이 지지봉은 하층의 칸막이 지지봉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층의 걸침부는 하층의 걸침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bars of the other partition from interfering with the rising and falling of each partition while the partition is stably fixed to the original fixed height, the upper partition support bar is formed longer than the lower partition support bar, Which is shorter than the hook portion of the ba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어로 개별 개폐되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 있어서,A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by respective doors,
수납부들을 구획화하는 칸막이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켜, 연속 배열된 2개 이상의 수납부를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통합하여, 각 수납부보다 부피가 큰 수하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수단; 및Lifting means for lifting up and lowering the partitioning portions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portions individually so that two or more continuously arranged storage por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storage space to enable storage of the bulky items larger than each storage portion; And
승하강된 칸막이를 해당 층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aised and lowered partition to the corresponding layer,
상기 칸막이는 양 측면으로 돌출된 지지봉을 구비하고,Said partition having a support bar projecting on both sides,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 측면 내측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guide fram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lif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support bar,
상기 승강부재가 전진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승하강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후진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에 걸리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승하강할 때 걸림부에 걸린 칸막이를 함께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elevating member is advanced, the engag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support bar to move up and down the guide frame.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retracted,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by the supporting bar, and when the guide frame ascends and descends, And then descend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서,In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 상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levating member includes an engaging groove recessed for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por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서,In addition, in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에 돌출 연결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이 힌지 결합되는 회동바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바를 전후 회동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moving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so as to be protruded, a rotating bar which is hinged to the moving shaft, and a first motor which is provided in the guide frame and rotates the rotating bar back and forth to advance and retract the elevating member .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서,Further, in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는 상기 수납부들의 각 층별로 양 측면 내측에서 돌출되어 칸막이의 지지봉이 걸쳐지는 걸침부를 구비하되,Wherein the main body has a staple par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each side of each of the receiving parts to support a support bar of the partition,
상층의 칸막이 지지봉은 하층의 칸막이 지지봉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층의 걸침부는 하층의 걸침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upper partition wall support bar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ower partition wall support bar and the upper layer stacking portion is formed shorter than the lower layer hook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은, 본체의 수납부마다 개별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어 수하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수납부를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안전하게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소형 수하물뿐만 아니라 수납부의 사이즈를 초과하는 대형 수하물의 보관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본체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수납부의 개수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설치 장소의 공간적인 제약이 적고 사용이 편리하며,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통합된 칸막이들이 개별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칸막이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unmanned baggage storag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oor that is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for each storage por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baggage can be safely stored and two or more storage portions can be safely integrated into one storage sp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re large-sized baggage exceeding the siz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reby minimizing the overall size of the main body and ensuring the maximum number of receiving portions, So that the partition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and used saf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 및 고정수단의 정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 및 고정수단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샘플 내부를 촬영한 사진도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1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part of an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nd an enlarged principal perspective view of elevating means and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elevating means and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photographs of a sample taken inside the s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unmanned baggage storag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unambiguous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for convenience, referring to FIG.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vitational force is applied is determined as the downward direc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relevant invention, directions a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unmanned bagg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참고로 도 7은 수직프레임(14)에 구비된 스토퍼(31) 뭉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진도임.), 본 발명은 각 도어(12)로 개별 개폐되는 복수개의 수납부(S)를 구비한 본체(10)를 포함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See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크게 칸막이(11)로 구획화된 수납부(S)들을 구비한 본체(10), 각 수납부(S)를 개별 개폐하는 도어(12), 수납공간(SL)의 통합을 위한 승강수단(20) 및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제어부(C)는 수납부(S) 또는 수납공간(SL)의 선택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해당 도어(12)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The control unit C may open or close the
먼저 상기 본체(10)는 양 측면 내측에 상기 승강수단(20) 및 고정수단(30)이 구비되며,First, the
상기 수납부(S)들의 각 층별로 양 측면 내측에서 돌출되어 칸막이(11)의 지지봉(11a)이 걸쳐지는 걸침부(13)를 구비한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수납부(S)들을 구획화하는 칸막이(11)는 양 측면으로 돌출된 지지봉(11a)과,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된 끼움공(11b)을 구비한다.The
이때 상층의 칸막이(11)에 구비된 지지봉(11a)은 하측의 칸막이(11)에 구비된 지지봉(11a)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측의 걸침부(13)는 하층의 걸침부(13)보다 짧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즉, n층의 지지봉은 n+1층의 지지봉보다 짧고, 이에 대응하여 n층의 걸침부는 n+1층의 걸침부보다 길게 형성된다.That is, the supporting bar of the n-layer is shorter than the supporting bar of the (n + 1) -th layer, and the n-layer of the supporting part is longer than the n + 1-layer of the supporting part.
따라서 각 층의 칸막이(11)는 지지봉(11a)이 해당 층의 걸침부(13)에 걸려 수납부(S)들을 구획화하고, 승강수단(20)에 의해 칸막이(11)가 승하강할 때 해당 칸막이(11)의 지지봉(11a)은 상층의 걸침부(13)에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승하강되며, 칸막이(11)가 본래 높이의 층으로 하강하는 경우에만 지지봉(11a)이 해당 층의 걸침부(13)에 걸려서 정지된다.Therefore, the
예를 들어 3개의 수납부(S1, S2, S3)를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할 경우, 승강수단(20)에 의해 최하층의 걸침부(13)에 지지되어 있던 제1 칸막이(11A)가 상승하면서 중간층의 제2 칸막이(11B)를 함께 상승시켜 최상층의 제3 칸막이(11C) 하측 높이까지 상승한 후, 고정수단(30)에 의해 상승한 제1, 제2 칸막이(11A)(11B) 및 본래 높이의 제3 칸막이(11C)가 고정되면서 칸막이들(11A)(11B)(11C)의 하강이 방지되고,For example, when the three storage portions S1, S2 and S3 are integrated into one storage space SL, the
하나의 수납공간(SL)을 다시 3개의 수납부(S)로 구획화할 경우, 고정수단(30)에 의해 제1 내지 제3 칸막이(11A)(11B)(11C)의 스토핑이 해제된 후, 제3 칸막이(11C)는 지지봉(11a)이 최상층의 걸침부(13)에 걸린 상태에서, 승강수단(20)에 의해 상승한 제1 칸막이(11A)가 하강하면서 제2 칸막이(11B)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제2 칸막이(11B)는 지지봉(11a)이 중간층의 걸침부(13)에 걸려 정지되고, 제1 칸막이(11A)는 지지봉(11a)이 최하층 걸침부(13A)에 걸려 정지된다.When one storage compartment SL is divided into three storage compartments S, the stopping of the first to
이때 상기 칸막이(11)들로 구획화되는 수납부(S)의 개수, 각 수납부(S)의 전후 및 상하좌우 길이(사이즈)에 제한이 없으나, 배달이 상대적으로 빈번한 소형 수하물을 고려하여 각 수납부(S)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he storage compartments S to be partitioned by the
다음으로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승하강되어, 수납부(S)들을 구획화하는 칸막이(11)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켜, 연속 배열된 2개 이상의 수납부(S)를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하여, 각 수납부(S)보다 부피가 큰 수하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Next, the elevating
즉, 도면과 같이 3개의 수납부(S1)(S2)(S3)들을 구획화하는 2개의 칸막이(11A)(11B)를 상승시키면, 소형 사이즈를 갖는 3개의 수납부(S1)(S2)(S3)들이 상하로 서로 연통하게 되어, 1개의 수납부(S)보다 상대적으로 대형 사이즈를 갖는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되면서, 이 수납공간(SL)에 대형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wo
평상시에는 각 칸막이(11A)(11B)를 본래의 높이에 고정시켜 각 수납부(S)에 소형 수하물을 보관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내측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2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11a)이 걸리는 걸림부(22a)를 구비한 승강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The elevating means 20 includes a
상기 승강부재(22)가 전진하면 상기 걸림부(22a)가 상기 지지봉(11a)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이 승하강되고, 상기 승강부재(22)가 후진하면 상기 걸림부(22a)가 상기 지지봉(11a)에 걸리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이 승하강할 때 걸림부(22a)에 걸린 칸막이(11)를 함께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elevating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본체(10)의 수납부(S)들 양측에는 수직프레임(14)이 입설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4) 내부에 고정수단(30)의 스토퍼(31)가 수납부(S)의 각 층별로 내장되어 있다.The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은 본체(10)의 모터와 각종 축 및/또는 기어 및/또는 타이밍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된다.The
이러한 가이드프레임(21)은 본체(10)의 수납부(S)들 양 측에 입설된 가이드봉(15)이 관통하여 결합되어 승하강이 안내되며, 전후 양단에 승강수단(20) 및 고정수단(30)의 가압부재(34)가 구비된다.The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승강부재(22)의 상면에 돌출 연결된 이동축(23)과, 상기 이동축(23)이 힌지 결합되는 회동바(24)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1)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바(24)를 전후 회동시켜 상기 승강부재(22)를 전후진시키는 제1 모터(25)를 포함한다.The elevating means 20 includes a moving
따라서 상기 제1 모터(25)에 의해 상기 회동바(24)가 일측으로 회동하면서 이동축(23)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승강부재(22)가 전진하고, 이렇게 승강부재(22)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22a)가 칸막이(11)의 지지봉(11a)에 걸리지 않으므로, 본체(10)의 모터 작동으로 승강수단(20)이 구비된 가이드프레임(21)이 자유롭게 승하강된다.Therefore, the
이 상태에서 본체(10)의 모터 작동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이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될 저층 수납부(S)의 칸막이(11) 높이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모터(25)에 의해 상기 회동바(24)가 타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승강부재(22)가 후진하면서 걸림부(22a)가 지지봉(11a)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In this state, after the
이러한 승강부재(22)의 후진 작동 후, 본체(10)의 모터 작동으로 가이드프레임(21)이 상승하면, 승강부재(22)의 걸림부(22a)에 지지봉(11a)이 걸리면서 해당 층의 칸막이(11)가 단독으로 또는 상층의 칸막이(11)(들)와 함께 상승한 후, 고정수단(30)에 의해 상승한 칸막이(11)(들)가 모두 스토핑되어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된다.When the
특히 상기 승강부재(22)는 상기 걸림부(22a)의 전단부 상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된 걸림홈(22b)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elevating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22)가 후진하면 지지봉(11a)이 상기 걸림홈(22b)으로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지지봉(11a)이 승강부재(22)에 구속되어 승강부재(22), 즉 가이드프레임(21)의 승하강에 따라 칸막이(11)가 함께 승하강된다.When the elevating
또한 하나의 수납공간(SL)을 통합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22)가 다시 전진하면 가이드프레임(21)의 승하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구획화된 다른 수납부들을 별도의 수납공간(SL)으로 다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통합된 수납공간(SL)을 층별 수납부(S)들로 다시 구획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승강수단(20)을 통해 상승한 칸막이(11)를 해당 층에 고정시킨다.Next, the fixing means (30) fixes the partition (11) rising through the elevating means (20) to the corresponding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수납부(S)의 각 층별로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내측에서 좌우 회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11b)에 삽입되는 끼움부(31a)를 구비한 스토퍼(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Specifically, the fixing means 30 includes a
상기 스토퍼(31)가 각 수납부(S) 내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끼움부(31a)가 상기 끼움공(11b)에 삽입되어 칸막이(11)가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31)가 각 수납부(S) 외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끼움부(31a)가 상기 끼움공(11b)에서 이탈하여 칸막이(11)의 승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상기 스토퍼(31)는 축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끼움부(31a)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 제2 회동돌기(31b)(31c)가 구비된다.The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14)에는 각 스토퍼(31)의 끼움부(31a)가 수납부(S)로 출몰되는 출몰공(14a)이 구비된다.The
이러한 고정수단(30)은 각 n층의 수납부(S)에 n개의 스토퍼(31)가 상하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스토퍼(31)가 개별 회전하도록 n개의 스토퍼(31)를 상하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축(32)을 포함한다.In this fixing means 30,
즉, 1층의 수납부(S1)에는 1개의 스토퍼(31)가 회전축(32)으로 축설되고, 2층의 수납부(S2)에는 2개의 스토퍼(31)가 회전축(32)으로 축설되는 형태로, n층의 수납부(S)에는 n개의 스토퍼(31)가 회전축(32)으로 축설된다.That is, one
아울러 각 스토퍼(31)는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14)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토퍼(31)의 힌지부에 힌지 결합된 탄성체(33)를 구비한다.Each
상기 탄성체(33)는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스토퍼(31)의 회동 완료 시 탄성력에 의해 힌지부(31d)가 밀려 스토퍼(31)의 회동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고, 스토퍼(31)의 회동 중에는 탄성체(33)가 압축되어 스토퍼(31)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내측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된 가이드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부재(34)를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30 includes a pressing
상기 가압부재(34)는 가이드프레임(21)의 가이드홈(21a)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내돌기(34a) 및 상기 안내돌기(34a)에서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부재(34)의 전후진 시 각 회동돌기(31b)(31c)를 미는 가압돌기(34b)를 포함한다.The pressing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가압부재(34)가 나사 결합되는 구동축(35)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5)을 좌우 회전시켜 상기 가압부재(34)를 전후진시키는 제2 모터(36)를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30 includes a driving
따라서 수납공간(SL)을 통합하기 위해 본체(10)의 모터 및 승강수단(20)을 통해 칸막이(11)가 상승 완료되면, 제2 모터(36)에 의해 구동축(3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부재(34)가 전진 작동하고, 이로 인해 가압돌기(34b)가 해당 스토퍼(31)의 제1 회동돌기(31b)를 밀어서 스토퍼(31)가 수납부(S) 내측으로 회동하여 끼움부(31a)가 칸막이(11)의 끼움공(11b)에 끼워져 해당 칸막이(11)의 하강을 스토핑하며, 이때 탄성체(33)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부(31a)가 끼움공(11b)에 끼워지도록 강제되어 가압부재(34)가 후진하더라도 스토퍼(31)가 외측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The
또한 2개 이상의 칸막이(11)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한 작동으로 저층의 칸막이(11)가 스토핑된 상태에서, 제2 모터(36)에 의해 구동축(35)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부재(34)가 후진 작동한 후, 본체(10)의 모터 작동으로 가이드프레임(21)이 상층의 칸막이(11) 높이로 상승하게 되고, 이후 제2 모터(36) 및 구동축(35)에 의해 가압부재(34)가 다시 전진 작동하여 해당 층의 스토퍼(31)를 내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승한 모든 칸막이(11)들이 각 스토퍼(31)에 의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two or
아울러 통합된 수납공간(SL)을 다시 수납부(S)별로 구획화하기 위해선, 상기 제2 모터(36) 및 구동축(35)에 의해 가압부재(34)가 전진한 상태에서, 본체(10)의 모터 작동으로 가이드프레임(21)이 칸막이(11)가 상승한 높이로 이동한다.In order to further divide the integrated storage space SL into different compartments S, the
그리고 제2 모터(36) 및 구동축(35)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4)가 후진 작동하면 가압돌기(34b)가 해당 높이에 구비된 스토퍼(31)의 제2 회동돌기(31c)를 밀어서 스토퍼(31)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칸막이(11)의 끼움공(11b)에 끼워진 끼움부(31a)가 이탈하여 상기 승강수단(20)에 의한 칸막이(11)의 하강이 가능해지며, 이때 탄성체(33)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부(31a)는 끼움공(11b)에서 이탈하도록 강제되어 가압부재(34)가 전진하더라고 스토퍼(31)가 내측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When the pressing
또한 2개 이상의 칸막이(11)가 상승하여 수납공간(SL)이 통합된 경우, 가이드프레임(21)은 상승한 칸막이(11)들 중 최상층의 칸막이(11) 높이로 이동한 후 해당 높이의 스토퍼(31)를 해제시킨 다음, 가이드프레임(21)이 하강하면서 순차적으로 하층의 스토퍼(31)들을 해제시키면, 모든 칸막이(11)들이 승하강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20)에 의해 상승한 칸막이(11)들이 하강하면서 각 층에 구비된 걸침부(13)에 지지봉(11a)이 걸려, 칸막이(11)들에 의해 수납부(S)들이 구획화된다.The
이밖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승하강 높이,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21), 가압부재(34)의 전후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vation / descent height of th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택배 기사 등이 제어부(C) 조작을 통해 수납부(S)를 선택하고 도어(12)를 개방하여 소형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 시 2개 이상의 수납부(S)를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한 후 대형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고,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courier or the like can select the storage portion S by operating the control portion C, open the
사용자는 수하물이 보관된 수납부(S) 또는 수납공간(SL)을 선택한 후 해당 도어(12)를 열고 보관된 수하물을 꺼낼 수 있으며,The user can open the
사용자가 수하물을 꺼내고 도어(12)을 닫으면, 제어부(C)는 하나의 수납공간(SL)으로 통합된 칸막이(11)들을 원위치로 복쉬시켜, 수납부(S)의 개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takes out the baggage and closes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무인 수하물 보관함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S, S1, S2, S3 : 수납부
SL : 수납공간
10 : 본체
11, 11A, 11B, 11C : 칸막이
11a : 지지봉
11b : 끼움공
13 : 걸침부
14 : 수직프레임
14a : 출몰공
15 : 가이드봉
20 : 승강수단
21 : 가이드프레임
21a : 가이드홈
22 : 승강부재
22a : 걸림부
22b : 걸림홈
23 : 이동축
24 : 회동바
25 : 제1 모터
30 : 고정수단
31 : 스토퍼
31a : 끼움부
31b, 31c : 회동돌기
31d : 힌지부
32 : 회전축
33 : 탄성체
34 : 가압부재
34a : 안내돌기
34b : 가압돌기
35 : 구동축
36 : 제2 모터S, S1, S2, S3: storage part SL: storage space
10:
11a: Supporting
13: Hook Upper 14: Vertical Frame
14a: Demonstration Ball 15: Guide Bar
20: elevating means 21: guide frame
21a: guide groove 22: elevating member
22a: engaging
23: moving shaft 24: rotating bar
25: First motor
30: Fixing means 31: Stopper
31a:
31d: hinge portion 32:
33: elastic body 34: pressing member
34a: guide
35: drive shaft 36: second motor
Claims (4)
수납부들을 구획화하는 칸막이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켜, 연속 배열된 2개 이상의 수납부를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통합하여, 각 수납부보다 부피가 큰 수하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수단; 및
승하강된 칸막이를 해당 층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칸막이는 양 측면으로 돌출된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 측면 내측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승강부재가 전진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승하강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후진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에 걸리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승하강할 때 걸림부에 걸린 칸막이를 함께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
A unmanned baggage storage box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by respective doors,
Lifting means for lifting up and lowering the partitioning portions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portions individually so that two or more continuously arranged storage por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storage space to enable storage of the bulky items larger than each storage portion; An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aised and lowered partition to the corresponding layer,
Said partition having a support bar projecting on both sides,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guide fram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lif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support bar,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advanced, the engag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support bar to move up and down the guide frame.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retracted,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by the supporting bar. When the guide frame ascends and descends, Wherein the unloading bag is lowered.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 상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member includes an engaging groove recessed for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portion.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에 돌출 연결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이 힌지 결합되는 회동바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바를 전후 회동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moving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so as to be protruded, a rotating bar which is hinged to the moving shaft, and a first motor which is provided in the guide frame and rotates the rotating bar back and forth to advance and retract the elevating member Wherein the unattended luggage storage box is provided.
상기 본체는 상기 수납부들의 각 층별로 양 측면 내측에서 돌출되어 칸막이의 지지봉이 걸쳐지는 걸침부를 구비하되,
상층의 칸막이 지지봉은 하층의 칸막이 지지봉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층의 걸침부는 하층의 걸침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하물 보관함.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in body has a staple par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each side of each of the receiving parts to support a support bar of the partition,
Wherein the upper partition support bar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ower partition support bar and the upper layer stitching portion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ower layer hook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589 | 2017-01-03 | ||
KR20170000589 | 2017-01-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137A true KR20180080137A (en) | 2018-07-11 |
Family
ID=629176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0427A Abandoned KR20180080137A (en) | 2017-01-03 | 2018-01-02 | Unmanned delivery locker |
KR1020180000428A Abandoned KR20180080138A (en) | 2017-01-03 | 2018-01-02 | Unmanned delivery lock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0428A Abandoned KR20180080138A (en) | 2017-01-03 | 2018-01-02 | Unmanned delivery loc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8008013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8836B1 (en) * | 2018-11-22 | 2019-06-13 | 김용호 | Unmanned courier with variable storage space |
KR20200080703A (en) * | 2018-12-27 | 2020-07-07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temperature adjustable unmanned delivery locker system |
PL130846U1 (en) * | 2022-06-15 | 2023-12-18 | Techmark L.Ogłoza S.Zdziechowski Spółka Jawna | Hideaway wardrob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05310B2 (en) * | 2019-03-04 | 2023-01-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How to use mobile |
-
2018
- 2018-01-02 KR KR1020180000427A patent/KR20180080137A/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1-02 KR KR1020180000428A patent/KR20180080138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8836B1 (en) * | 2018-11-22 | 2019-06-13 | 김용호 | Unmanned courier with variable storage space |
KR20200080703A (en) * | 2018-12-27 | 2020-07-07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temperature adjustable unmanned delivery locker system |
PL130846U1 (en) * | 2022-06-15 | 2023-12-18 | Techmark L.Ogłoza S.Zdziechowski Spółka Jawna | Hideaway wardrobe |
PL73663Y1 (en) * | 2022-06-15 | 2024-11-12 | Techmark L.Ogłoza S.Zdziechowski Spółka Jawna | Hideaway wardrob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138A (en) | 2018-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80137A (en) | Unmanned delivery locker | |
CN106251503B (en) | A kind of Intelligent storage cabinet | |
US9025275B1 (en) | System for limiting access to internal environment of storage library via cartridge access port | |
US9604259B2 (en) | Modular parcel terminal and method for sending parcels | |
EP3392848A1 (en) | Method for increasing the speed of discharge and insertion of postal objects in a parcel terminal and a parcel terminal | |
EP2203365B1 (en) | An automatic warehouse | |
US926024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torage and withdrawal of products with security restrictions | |
EP3698680B1 (en) | Cargo receiving and storing device and cargo receiving and storing method | |
KR20110050624A (en) | Distribution system for item | |
EP2634755A1 (en) | Products automatic vending machine | |
US9918899B2 (en) | Biased mechanism for guided insertion | |
CN110367792A (en) | Article access device | |
US7316536B2 (en) | Storage system with access control system | |
CN109584450B (en) | Automatic lunch box machine | |
EP2704111A1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 |
GB2539551A (en) | Secure device-charging station | |
JP7364684B2 (en) | Stockers and stocker systems | |
CN208863933U (en) | Convenient for taking out the displaying safety cabinet of showpiece | |
CN105078179B (en) | Mailbox system with dismantled and assembled mailbox | |
JP2019085196A (en) | Tray for book storage installation and book storage device with tray | |
TWM414870U (en) | Computerized goods cabinet | |
CN113520074A (en) | Storage cabinet and method for storing and taking articles | |
CN213386556U (en) | Rice-taking machine | |
WO2017005991A1 (en) | Ergonomic storage | |
CN117068586A (en) | Shelf system for distribu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