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779A - Apparatus for controlling on-board battery charg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on-board battery charg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8779A KR20180078779A KR1020160183896A KR20160183896A KR20180078779A KR 20180078779 A KR20180078779 A KR 20180078779A KR 1020160183896 A KR1020160183896 A KR 1020160183896A KR 20160183896 A KR20160183896 A KR 20160183896A KR 20180078779 A KR20180078779 A KR 20180078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ource
- power
- input
- level signal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 B60L11/1809—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장치로서,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를 판별하는 전원 판별부; 및 전원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동작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vehicle constant speed charger control device.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low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 source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an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And an operation controller for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source determina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에 따라 역률보상회로를 온오프시키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full speed 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ull speed charger control device for turning on and off a power factor compensation circuit according to whether an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최근 환경 파괴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고유가 등의 문제로 자동차 업계에서는 전기 차량의 개발을 급속히 진행하고 있다. 전기 차량은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한 후,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차륜과 결합된 모터를 통해 기계적 에너지인 동력을 얻는다.Recently,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is progressing rapidly in the automobile industry due to global warming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high oil prices. The electric vehicle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and charges the battery, and then obtains the mechanical energy through the motor coupled with the wheel with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전기 차량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한다. 따라서,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The electric vehicle uses a large 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because it drives the motor with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Therefore,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a large 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is required.
배터리 충전기는 충전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차량 탑재 여부에 따라 탑재형 및 거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battery charger can be classified into a rapid charger and a slow charger depending on the charging tim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unting type and a stationary type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mounted or not.
급속 충전기는 주유소와 같이 주행 중 긴급하게 충전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되고 충전시간은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 반면, 완속 충전기는 주차장이나 쇼핑몰 등 장시간 주차가 예상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충전시간은 약 5시간 정도 소요된다.The rapid charger is installed in a place for urgent charging while driving like a gas station, and the charging time is about 20 minutes. On the other hand, the slow charger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or shopping mall where it is expected to be parked for a long time, and the charging time is about 5 hours.
그런데, 일반적으로 완속 충전을 위해 인터리브드 역률보상회로(interleaved Power Factor Correction;PFC)가 적용되어 있다. However, an interleaved power factor correction (PFC) circuit is generally applied for a slow charge.
종래의 역률보상회로는 AC 전원이 입력되어야 하는데, 이는 역률보상회로가 기본적으로 AC 전원에 대한 역률보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DC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로직이 오동작하면서 역률보상회로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 AC power source must be input. This is because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basically performs the power factor correction function for the AC power source. When the DC power source is inp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broke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01913호(2015.09.04)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101913 (Feb.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용 완속 충전기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에 따라 역률보상회로를 온오프시켜 스위칭 소자를 보호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on / off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whether an input power source And to provide a vehicle full speed charger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용 완속 충전기가 DC 전원으로도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low charger control device for allowing a vehicle slow charger to charge a battery even with a DC power sour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장치로서,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를 판별하는 전원 판별부; 및 상기 전원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동작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low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ource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an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And an operation controller for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source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상기 전원 판별부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discrimin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high level signal or a low level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본 발명의 상기 전원 판별부는 입력 전원의 양단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기; 및 상기 전압 비교기의 출력과 부스트 컨버터 내 정류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정합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discrimination unit may include: a voltage comparator for comparing a voltage across the input power source; And a voltage match comparator that compares an output of the voltage comparator with an output of a rectifying section in the boost converter and outputs a high level signal or a low leve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의 상기 전압 정합 비교기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원이 DC 전원이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matching com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high level signal when the input power is an AC power source and outputs a low level signal when the input power source is a DC power source.
본 발명의 상기 동작 제어기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면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온시키고, 입력 전원이 DC 전원이면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s turned on when the input power source is the AC power source, and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s turned off when the input power source is the DC power source.
본 발명의 상기 동작 제어기는 상기 전원 판별부의 출력과 역률보상회로 내 PFC(Power Factor Corrector)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s selectively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ower source determination unit and the output of a PFC (Power Factor Corrector) control unit in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본 발명의 상기 동작 제어기는 상기 전원 판별부의 출력과 PFC 제어부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고 결과를 역률보상회로의 스위칭 소자에 입력하는 AND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o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D gate that receives the output of the power source determination unit and the output of the PFC control unit and inputs the result to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본 발명의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에 따라 역률보상회로를 온오프시킴으로써, DC 전원에 의한 스위칭 소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한다. The slow charging controll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 of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depending on whether the input power source input to the vehicle slow charging device is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switching device by the DC power source in advance.
본 발명의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가 DC 전원으로도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vehicle slow charg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vehicle slow charge charger to charge the battery even with a DC power sour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판별부의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slow-charg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ource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slow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판별부의 회로도이다. FIG. 1 is a circuit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harged battery charg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ource determi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전원 판별부(10) 및 동작 제어기(20)를 포함하며, 차량용 완속 충전기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low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차량용 완속 충전기는 부스트 컨버터부(30), LLC(Inductor-Inductor-Capacitor) 컨버터부(40) 및 벅 컨버터부(50)를 포함한다.Here, the vehicle fully charged charger includes a
부스트 컨버터부(3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AC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LLC 컨버터부(40)에 입력한다. The
이러한 부스트 컨버터부(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정류하여 DC 전원으로부터 변환하는 정류부(33) 및 정류부(33)에 의해 정류된 DC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는 역률보상회로(31)를 포함한다. The
정류부(3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AC 전원이 입력되면 이 AC 전원을 정류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DC 전원이 입력되면 해당 DC 전원을 LLC 컨버터부(40)에 입력한다. The
특히, 정류부(33)는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원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된 DC 전원을 전원 판별부(10)에 입력한다. 정류부(33)로부터 전원 판별부(10)에 입력된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particular, the rectifying
역률보상회로(31)는 정류부(31)에 의해 정류된 DC 전원의 역률을 보상한다. 역률보상회로(31)는 PFC(Power Factor Corrector) 제어부(311) 및 스위칭 소자(312)를 포함한다. The power
PFC 제어부(311)는 정류부(33)에 의해 정류된 DC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는 것으로써, 스위칭 소자(312)에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The
스위칭 소자(312)는 동작 제어기(2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DC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312)로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가 채용될 수 있다. The
이 경우, 스위칭 소자(312)는 게이트 단자가 동작 제어기(20)에 연결되며, 동작 제어기(2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PFC 제어부(311)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In this case, the gate terminal of the
이때, 동작 제어기(2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 소자(312)가 온되면 PFC 제어부(311)의 출력이 온되고, 동작 제어기(20)로부터 입력된 스위칭 신호에 의해 스위칭 소자(312)가 오프되면 PFC 제어부(311)의 출력이 오프된다. When the
여기서, 동작 제어기(20)는 PFC 제어부(311)의 출력과 전원 판별부(10)의 출력에 따라 그 스위칭 신호를 스위칭 소자(312)에 입력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Here, the
LLC 컨버터부(40)는 부스트 컨버터부(3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AC 전원을 내부에 구비된 변압기의 권선비에 따라 기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The
벅 컨버터부(50)는 LLC 컨버터부(40)에서 변환된 전원을 배터리(60)에 충전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배터리(60)에 입력함으로써, 배터리(60)를 충전시킨다.The
여기서, LLC 컨버터부(40) 및 벅 컨버터부(5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또한, LLC 컨버터부(40) 및 벅 컨버터부(50)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스트 컨버터부(30)를 통해 출력된 DC 전원을 DC-DC 변환하여 배터리 충전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으로 배터리(60)를 충전시키는 구성이라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전원 판별부(10)는 외부 전원과 부스트 컨버터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부스트 컨버터부(30)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를 판별한다. 이 경우, 전원 판별부(10)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The
도 2 를 참조하면, 전원 판별부(10)는 전압 비교기(11) 및 전압 정합 비교기(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ower-
전압 비교기(11)는 입력 전원의 양단 전압을 비교한다. 이 경우 입력되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면 전압 비교기(11)의 출력 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입력 전원이 DC 전원이면 전압 비교기(11)의 출력 전압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The
전압 정합 비교기(12)는 전압 비교기(11)의 출력과 정류부(33)의 출력을 비교하여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동작 제어기(20)에 입력한다. 이 경우, 전압 정합 비교기(12)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원이 DC 전원이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The
여기서, 정류부(33)의 출력은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다. 즉 정류부(33)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더라도 해당 AC 전원을 정류하므로 DC 전원을 전압 정합 비교기(12)에 입력한다. 따라서, 정류부(33)로부터의 입력은 항상 일정한 DC 전원이 된다.Here, the output of the rectifying
그러나, 전압 비교기(11)로부터의 입력은 입력 전원에 따라 AC 전원 또는 DC 전원 중 어느 하나가 된다. However, the input from the
전압 정합 비교기(12)는 정류부(33)로부터의 입력과 전압 비교기(11)로부터의 입력을 비교하는데, 정류부(33)로부터 입력과 전압 비교기(11)로부터의 입력이 상이하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정류부(33)로부터의 입력과 전압 비교기(11)로부터의 입력이 동일하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압 정합 비교기(12)는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원이 DC 전원이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The
동작 제어기(20)는 PFC 제어부(311)의 출력과 전압 정합 비교기(12)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 소자(312)를 제어하여 PFC 제어부(311)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이러한 동작 제어기(20)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AND 게이트가 채용될 수 있다. The
즉, 동작 제어기(20)는 PFC 제어부(311)로부터의 입력과 전압 정합 비교기(12)로부터의 입력이 모두 하이 레벨 신호이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 전원이 AC 전원이면 전압 정합 비교기(12)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므로, 입력 전원이 AC 전원일 때 동작 제어기(2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That is, the
동작 제어기(20)가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스위칭 소자(312)는 온되어 PFC 제어부(311)의 동작이 온되게 된다. As the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스트 컨버터부(30)의 PFC 제어부(311)에 의해 입력 전원의 역률이 보상되고, LLC 컨버터부(40) 및 벅 컨버터부(50)에 의해 배터리 충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DC-DC 변환되어 배터리(60)를 충전시킨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factor of the input power source is compensated by the
반면에, 동작 제어기(20)는 PFC 제어부(311)로부터의 입력과 전압 정합 비교기(12)로부터의 입력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 신호이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 전원이 DC 전원이면 전압 정합 비교기(12)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므로, 입력 전원이 DC 전원일 때 동작 제어기(20)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입력 전원으로 DC 전원이 입력되어 동작 제어기(20)가 로우 레벨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스위칭 소자(312)가 오프되어 PFC 제어부(311)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As the DC power is input to the input power source and the
이 경우, 부스트 컨버터부(30)에 DC 전원이 입력되어 상기한 스위칭 소자(312)가 100%의 듀티로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DC 전원 입력에 의한 스위칭 소자(312)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한다. In this case, DC power is input to the
또한, 동작 제어기(20)가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스위칭 소자(312)가 오프되므로 PFC 제어부(311)의 동작도 오프되게 된다. Further, as the
한편, 입력 전원으로 DC 전원이 입력되면, PFC 제어부(311)의 동작은 오프되고 부스트 컨버터부(30) 내 인덕터도 쇼트 회로로 동작하므로, 해당 DC 전원이 LLC 컨버터부(40)에 입력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DC power is input to the input power source, the operation of the
이 경우, LLC 컨버터부(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스트 컨버터부(30)로부터 입력된 DC 전원을 내부에 구비된 변압기의 권선비에 따라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강압하고, 벅 컨버터부(50)는 LLC 컨버터부(40)에서 변환된 전원을 배터리(60)에 충전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배터리(60)에 입력함으로써, 배터리(60)를 충전시킨다.In this case, the
즉, LLC 컨버터부(40)와 벅 컨버터부(50)는 입력 전원으로 AC 전원이 입력된 것과 같이 DC 전원에 대해서도 DC-DC 컨버팅하여 배터리(6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이 DC 전원인지 여부에 따라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온오프시켜 역률보상회로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312)를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for the on-vehicle fast charger can protect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는 DC 전원이 입력되면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내부의 인덕터가 쇼트가 됨으로써, DC 전원으로도 배터리(60)를 충전시킬 수 있다. Further, when the DC power source is inputted,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s turned off and the internal inductor is short-circuited, thereby charg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전원 판별부
11: 전압 비교기
12: 전압 정합 비교기
20: 동작 제어기
30: 부스트 컨버터부
31: 역률보상회로
311: PFC 제어부
312: 스위칭 소자
33: 정류부
40: LLC 컨버터부
50: 벅 컨버터부
60: 배터리 10: power source discrimination unit
11: Voltage comparator
12: Voltage match comparator
20: Operation controller
30: Boost converter section
31: Power factor compensation circuit
311: PFC control unit
312: switching element
33: rectification part
40: LLC converter section
50: Buck converter section
60: Battery
Claims (7)
입력 전원이 AC 전원인지 또는 DC 전원인지를 판별하는 전원 판별부; 및
상기 전원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역률보상회로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동작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
1.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full speed charger,
A power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input power is AC power or DC power; And
And an operation controller for selectively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source determination unit.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discrimination unit outputs a high level signal or a low level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입력 전원의 양단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기; 및
상기 전압 비교기의 출력과 부스트 컨버터 내 정류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정합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voltage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voltage across the input power supply; And
And a voltage match comparator that compares an output of the voltage comparator with an output of a rectifying section in the boost converter and outputs a high level signal or a low leve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voltage matching comparator outputs a high level signal when the input power source is an AC power source and outputs a low level signal when the input power source is a DC power source.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ler turns on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f the input power source is the AC power source and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f the input power source is the DC power source.
6. The vehicl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ler selectively turns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an output of the power factor determination unit and an output of a PFC (Power Factor Corrector) Device.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ler is an AND gate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power discrimination unit and the output of the PFC control unit and inputting the result to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3896A KR101956165B1 (en) | 2016-12-30 | 2016-12-30 | Apparatus for controlling on-board battery charg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3896A KR101956165B1 (en) | 2016-12-30 | 2016-12-30 | Apparatus for controlling on-board battery charg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779A true KR20180078779A (en) | 2018-07-10 |
KR101956165B1 KR101956165B1 (en) | 2019-03-08 |
Family
ID=6291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3896A Active KR101956165B1 (en) | 2016-12-30 | 2016-12-30 | Apparatus for controlling on-board battery charg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16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7037A (en) * | 2019-08-06 | 2021-02-17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Vehicle mo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on board charger |
KR20210077104A (en) | 2019-12-16 | 2021-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apable of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and charger including the same |
KR102335226B1 (en) * | 2020-06-15 | 2021-12-03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Selective converte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obc, and power conversion method of selective converte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obc |
KR20220092059A (en) | 2020-12-24 | 2022-07-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of supplying power from battery in vehicle to outside of vehicle and bidiretional charger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KR20220093758A (en) | 2020-12-28 | 2022-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of controlli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
KR20230015171A (en) | 2021-07-22 | 2023-01-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harger capable of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0155B1 (en) | 2020-02-20 | 2024-12-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84646A (en) * | 2008-05-22 | 2009-12-03 | Nec Engineering Ltd | Ac/dc dual service power supply apparatus |
KR20100049755A (en) * | 2008-11-04 | 2010-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chip open test circuit and semiconductor chip test system including the same |
JP2012016172A (en) * | 2010-06-30 | 2012-01-19 | Toshiba Corp | Power circuit and power control method |
JP2012152105A (en) * | 2012-05-17 | 2012-08-09 | Toshiba Corp | Power supply circuit |
KR20160126337A (en) * | 2015-04-23 | 2016-1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apparatus for eco-friendly vehicle |
-
2016
- 2016-12-30 KR KR1020160183896A patent/KR1019561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84646A (en) * | 2008-05-22 | 2009-12-03 | Nec Engineering Ltd | Ac/dc dual service power supply apparatus |
KR20100049755A (en) * | 2008-11-04 | 2010-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chip open test circuit and semiconductor chip test system including the same |
JP2012016172A (en) * | 2010-06-30 | 2012-01-19 | Toshiba Corp | Power circuit and power control method |
JP2012152105A (en) * | 2012-05-17 | 2012-08-09 | Toshiba Corp | Power supply circuit |
KR20160126337A (en) * | 2015-04-23 | 2016-1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apparatus for eco-friendly vehicl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7037A (en) * | 2019-08-06 | 2021-02-17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Vehicle mo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on board charger |
KR20210077104A (en) | 2019-12-16 | 2021-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apable of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and charger including the same |
US11247576B2 (en) | 2019-12-16 | 2022-02-15 | Hyundai Motor Company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and charger including the same |
KR102335226B1 (en) * | 2020-06-15 | 2021-12-03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Selective converte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obc, and power conversion method of selective converte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obc |
KR20220092059A (en) | 2020-12-24 | 2022-07-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of supplying power from battery in vehicle to outside of vehicle and bidiretional charger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US12126197B2 (en) | 2020-12-24 | 2024-10-22 | Hyundai Motor Company | Device for supplying power from vehicle battery to vehicle outside and vehicle bidirectional charger including same |
KR20220093758A (en) | 2020-12-28 | 2022-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of controlli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
US11658565B2 (en) | 2020-12-28 | 2023-05-23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of charger for vehicle battery |
KR20230015171A (en) | 2021-07-22 | 2023-01-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harger capable of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6165B1 (en) | 2019-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6165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on-board battery charger for vehicle | |
KR102307723B1 (en) | High-voltage charge booster and method for charging a direct current traction battery at a direct current charging pillar and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 |
US10924001B2 (en) | Gate driver controller and associated discharge method | |
US20080212345A1 (en) | Dc-dc converter system | |
US7764527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unit | |
US8674653B2 (en) | DC-DC converter | |
JP5648211B2 (en) | Plug-in hybrid vehicle charging device | |
US10118501B2 (en) |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 |
US11211813B2 (en) | Battery char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of vehicle | |
US9843184B2 (en) | Voltage conversion apparatus | |
US8148934B2 (en) | Voltage step-up/down converter | |
JP5817096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 |
KR101558794B1 (en) | Battery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 |
US20200086755A1 (en) | Vehicle power supply device | |
WO2012144079A1 (en) | Charging apparatus | |
US20170036559A1 (en)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5683552B2 (en) | Vehicle charging device | |
JP4758407B2 (en) | Electric car | |
JP2010172093A (en) | Onboard battery charger | |
JP5901383B2 (en) | In-vehicle charging system | |
CN112217244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vehicle battery | |
JP2016015835A (en) | Vehicle power supply | |
KR101973097B1 (en) |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of integrated inverter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11936297B2 (en) | DC-DC converter including first and second coils magnetically coupled such that current flows through second coil in forward direction of diode by mutual induction as current flowing through first coil from intermediate terminal to output terminal increases and vehicle | |
CN110723006A (en) | Electrical system,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by battery, electric and hybrid mot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3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