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77624A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624A
KR20180077624A KR1020160182176A KR20160182176A KR20180077624A KR 20180077624 A KR20180077624 A KR 20180077624A KR 1020160182176 A KR1020160182176 A KR 1020160182176A KR 20160182176 A KR20160182176 A KR 20160182176A KR 20180077624 A KR20180077624 A KR 2018007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passenger
automobile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624A/en
Publication of KR2018007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62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60W242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 주변 자동차 및 주변 사물의 존재 또는 상황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상황을 통보하거나 또는 그 상황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상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는,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주변상황 감지부와; 자동차에 탑승했던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기억하는 승객 인식 및 기억부와; 자동차 주변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출력부와; 자동차로의 물체의 접근여부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에서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였을 때, 자동차 도어가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자동차 도어가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먼저 도어를 잠금상태로 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lock state control device for recognizing the presence or situation of an occupant, a nearby automobile and surrounding objects, notifying the recognized situation,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ock state of the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ocking state of an automotive door, the apparatus including: a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A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unit for recognizing and storing the appearance of passengers boarding the vehicle; A video output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situation around the automobile; An audio output unit audibly informing whether or not an object is approaching the vehicle; When the surroundings sensing unit senses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the audio output unit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the automobile door is in the locked state. If the automobile door is in the locked state, the door is first lock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uni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의 사람이나, 주변 챠량 또는 주변 사물의 존재 또는 상황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상황을 통보하거나 또는 그 상황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ocking state of an automobile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ocking state of an automobile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or lock state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lock state of an automotive door.

자동차 산업의 발달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보급 대수가급증하는 것에 비례하여, 자동차의 안전도 향상과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첨단 기술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이러한 첨단 기술의 편의사향을 간단하게 설명한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a number of advanced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automobiles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automobi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in proportion to the surge of the automobile supply. Hereinafter, the convenience of such advanced technology will be briefly described.

AVMAVM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육안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 주변 영상 표시 시스템(Around View Monitoring, 이하 "AVM"이라 함)이 있다.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VM "), which allows a driver to easily visually confir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by photographing and display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자동차 주변 영상 표시 시스템은 자동차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중복되는 영역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보정 처리함으로써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1 참조).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display system capt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cameras install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orrects the overlapped areas to look natural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See Fig. 1).

이에 따라 운전자는 화면을 통해 자동차의 주변 상황을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고, 사이드 미러나 백 미러를 보지 않고도 편하고 안전하게 운전 및 주차를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er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recognize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through the screen, and can easily drive and park the vehicle comfortably without looking at the side mirrors or the rearview mirror.

DSMDSM

자동차의 사고 중, 가장 큰 피해를 발생하는 사고는 주행 중에 발생하게 되며, 통상, 졸음운전, 음주운전, 주의력 분산 등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Accidents that cause the greatest damage during a car accident occur during driving, and most of them are usually caused by drowsiness driving, drunken driving, and dispersion of attention.

이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운전자 스스로가 자각하고 조심하는 것에 의존할 수 밖에는 없었지만, 최근에는 기술적으로 운전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안전운행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표적인 기술로서 운전자상태 감시장치(Driven-State Monitoring Device: 이하 "DSM"이라 함)를 들 수 있다.As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accidents in advance, in the past, the driver himself or herself has been forced to rely on self-awareness and carefulness. However, in recent years, technically, the driver's condition is monitored and the driver is warned , And a typical example thereof is a Driven-State Monitor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SM ").

운전자상태 감시장치는 운전자의 얼굴을 감시하여, 눈 깜빡임의 특성, 즉 깜빡임 빈도, 회수 등 다수의 요소에서 우선순위를 정해 졸음에 가까운 요소에 가중치를 주는 알고리즘으로 졸음과 유사한 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주의력 분산상태의 감지는 얼굴방향, 눈 상태의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지정된 시간 동안 전방을 주시하지 않았을 경우를 판단해 경고를 하게 된다(도 2 참조).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monitors the driver 's face and determines the state similar to drowsiness by an algorithm that priorit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ye blinking, that is, the blinking frequency and the number of times, and assigns weight to elements close to drowsiness. Also,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dispersion of the state of attention is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face direction and the eye state, and a warning is given when the user does not look forward for a designated time (refer to FIG. 2).

따라서,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태만하거나 조는 경우, 경보를 울리거나, 자체적인 제어를 통하여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driver neglects or looks forward, the driver will not make an alarm or release the lane through his / her own control.

PASPAS

과거, 운전자는 주차 시에 자동차에 장착된 사이드 미러 또는 백 미러를 이용하여 후방 또는 측면의 장애물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자동차를 이동시켰다. 하지만, 자동차의 후방 코너부에는 운전자가 인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운전자가 장애물을 인지하더라도 자동차의 길이나 폭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동차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인자하지 못하여 자동차가 장애물과 접촉할 수 있다.In the past, the driver used the side mirror or the back mirror mounted on the vehicle to move the vehicle while checking the rear or side obstacles. However, in the rear corner of the vehicle, there is a blind spot that the driver can not recognize, and even if the driver recognizes the obstacl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can not be calculated It may come in contact with obstacl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후방 및 전방 범퍼 등에 센서를 장착하고, 센서로 감지되는 주변사물과 자동차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경보음을 발함으로써 장애물과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차 보조 시스템(Parking Assist System: 이하 "PAS"라 함)이 도입되었다(도 3 참조).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ensor is mounted on the rear and front bumper of a vehicle, and a warning signal indicat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to be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vehicle is close to each other A parking assis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AS ") was introduced (see Fig. 3).

이 장치는, 범퍼 등에 초음파 센서 등을 설치하여 주변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ECU로 전송하고 ECU가 운전자에게 경보를 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PAS 센서는 약 2.5미터의 거리까지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며, 거리별로 경보음의 상태를 달리하여 주차시 장애물과의 거리를 인식함에 있어 도움을 주게 된다.In this device,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is installed on a bumper or the like to measure a distance to an object near the object, and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ECU, and the ECU sends an alarm to the driver. Such a PAS sensor is usually measured to a distance of about 2.5 meters, and it is helpful to recognize the distances from the obstacle when parking by changing the state of the alarm at different distances.

BSDBS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자동차 좌측 및 우측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자동차의 기본 부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시각적 관측의 한계 및 B-pollar에 의해 일정 각도의 사각지대를 가지는데, 자동차의 사각지대는 일반적으로 차체 측면을 기준으로 13°~ 45°영역으로 정의된다.Generally, a side mirror of a vehicle is used as a basic component of a vehicle that secures left and right rear vision of a vehicle. The side mirrors of a car have a blind spot of the driver's visual observation and a certain angle by the B-pollar. The blind spot of the car is generally defined as a 13 ° ~ 45 ° area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car.

따라서, 후행 자동차가 사각지대에 진입하는 경우에 선행 자동차가 후행 자동차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선행 자동차가 후행자동차의 방향으로 차선 변경을 시도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trailing vehicle enters the blind spot, the leading vehicle may not recognize the trailing vehicl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ding vehicle tries to change the lane in the direction of the trailing vehicle.

사각지대 감지 장치(Blind Spot Detection: 이하 "BSD"라 함)는, 자동차 후방 범퍼의 좌우측면에 레이더를 장착하여 그 자동차의 측면에서 다가오는 후행 자동차를 감지하고, 사각지대에 들어온 경우 사이드 미러에 황색의 경고등을 점멸하거나, 고급 사양으로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도 한다(도 4 참조). Blind Spot Det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SD") is a system in which a radar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rear bumper of a vehicle to detect a trailing vehicle approaching the side of the vehicle, (See FIG. 4), or may be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as an advanced specification.

그러나, 이상에서와 같은 다양한 편의 사양들은 그 장치 또는 시스템이 추구하는 본래의 기능만을 충실하게 수행할 뿐이며, 다른 편의 사양의 기능과 함께 사용되어 새로운 기능을 창출해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various convenience specifications faithfully perform only the original function pursued by the apparatus or system, and it is very rare to use new functions together with other convenience functions.

즉, AVM은 자동차 외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를 지원하며, PAS는 주위사물과의 거리를 인지하여 전/후방 주차를 지원하고, DSM은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며, BSD는 주행시의 일정거리 이내의 자동차를 검지하여 운전자에게 통보한다는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들 편의 사양이 비교적 고가의 장비를 요구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매우 간단한 기능만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VM can visually check the situation outside the car and supports the parking. The PAS recognizes the distance from the surroundings to support the front / rear parking, the DSM prevents the driver from drowsy driving, It is an essential function of detecting an automobile within a certain distance at the time of driving and notifying a driver of the vehicle. Considering that these convenience specifications require relatively expensive equipment,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only a very simple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편의사양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편의 사양의 기능을 통합하여 활용함으로써 자동차운전자 본인의 편의뿐 아니라 함께 타고 있던 승객의 감성까지도 고려해주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tilize the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integrally to provide not only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of the automobile but also the function of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passeng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ock state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있어서의 각종 편의사양들의 기능을 본래의 기능 이외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자동차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ock state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exhibiting synergistic effects by making it possible to utilize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ce specifications in an automobile other than the original function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는,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주변상황 감지부와; 상기 자동차에 탑승했던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기억하는 승객 인식 및 기억부와; 자동차 주변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출력부와; 자동차로의 물체의 접근여부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에서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였을 때, 자동차 도어가 잠기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자동차 도어가 미잠금상태인 경우에는 먼저 도어를 잠금상태로 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ocked state of an automotive door, the apparatus including: a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A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unit for recognizing and storing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on the vehicle; A video output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situation around the automobile; An audio output unit audibly informing whether or not an object is approaching the vehicle; When the surroundings sensing unit senses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if the automobile door is not locked, the audio output unit generates a warning sound. If the automobile door is unlocked, the door is first lock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uni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는,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PAS 시스템의 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is configured to sense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automobile by a sensor of a PAS system mounted on the automobile, and transmit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BSD 시스템의 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Alternatively,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is configured to sense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rear side by a sensor of a BSD system mounted on a vehicle, and transmit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중의 하나이다. Preferably, the sensor is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radar.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는, 자동차로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AVM을 이용하여 자동차 주변의 영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로 영상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그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generates an image of a vehicle surroundings using an AVM mounted on the vehicle,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eripheral unit to transmit the image signal to the output unit .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객 인식 및 기억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된 DSM에 의하여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Advantageously,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passenger appearance by the DSM mounted on the vehicle and to store it.

선택적으로, 상기 승객 인식 및 기억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된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0324] Optionally,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recognize and store passenger appearance using a camera of a black box mounted on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접근하는 물체가 사람인 경우, 그 사람의 용모를 인식하고, 상기 승객인식 및 기억장치에 저장된 승객의 용모와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person when the object to be accessed is a person whe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and compares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with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output a warning sound to the audio output unit when they mat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은: A method of controlling a lock state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① 자동차 탑승객의 용모를 인식 및 저장하는 단계;(1) recognizing and storing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in a car;

② 자동차 주변으로부터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2)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object from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③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였을 때, 도어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3) confirming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when i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object;

④ 상기 ③ 단계에서, (4) In the step (3)

도어가 잠기지 않았을 때는 도어를 잠근 후, 경보음을 발하고, When the door is not locked, it locks the door,

도어가 잠겼을 때에는 도어를 잠근 후 탑승객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탑승객인 경우에는 도어 경보음을 발하는 단계; When the door is locked, confirming whether the door is a passenger after locking the door, and issuing a door alarm when the door is a passenger;

⑤ 승객이 도어잠김 해제를 원하는지 확인하는 단계;(5) confirming whether the passenger desires to unlock the door;

를 포함한다. .

바람직하게는, 상기 ④ 단계에서 탑승객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① 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Preferably, checking whether the passenger is the passenger in the step (4) is by comparing the data stored in the step (1).

바람직하게는, 상기 ② 단계는, 자동차에 장착된 PAS 시스템의 센서, 또는 BSD 시스템의 센서로 실행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Preferably, the step (2) is executed by a sensor of a PAS system mounted on an automobile or a sensor of a BSD system, and the sensor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자동차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한 대의 자동차에 산재하여 존재하던 각종 편의 사양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활용함으로써 자동차운전자 본인의 편의뿐 아니라 함께 타고 있던 승객의 감성까지도 고려해주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ehicle lock sta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ce specifications existing in a single car are integrated, But also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ensibility of the passengers who were riding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잠금상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자동차에 있어서의 각종 편의사양들의 기능을 본래 사용되던 기능 이외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vehicle lock sta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ce specifications in the automobile can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 function that was originally used, so that the synergy effect can be exhibit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AVM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에 있어서, 모니터를 통하여 나타나는 AVM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DSM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안면을 분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PAS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에 있어서, 초음파 센서가 감지하는 거리와 경고음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BDS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구현되는 BDS 표시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n AVM displayed through a monitor in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n AVM system.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nalyzing the driver's face in the DSM apparatus.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elationship between a distance sensed by the ultrasonic sensor and a warning sound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 system.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DS indicator and principle implemented in a side mirror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BDS device.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ocked state of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door.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그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하였을 때에는,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 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having" an element,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in this application is to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features, Means that an element, element, component, or combination thereof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In addition, par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obscu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는 없다.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document . In some cases, the terms defined herein may not be constru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잠금상태 제어장치는 주변상황 감지부(30), 출력부(40), 승객인식 및 기억장치(50) 및 제어부(60)로 구성된다.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ocked state of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n output unit 40, a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50, and a control unit 60. [

주변상황 감지부(30)는,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센서(10) 및 카메라(20)등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의 주변상황을 감지하게 된다. The surrounding situation sensing unit 30 is a unit for sens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and detects various peripheral conditions input from various sensors 10 and a camera 20 mounted on the automobile.

이러한 주변상황 감지부(30)는,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물체, 예를 들어 사람 또는 다른 자동차류 등을 자동차에 장착된 PAS 시스템의 센서(10)로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로 송신한다. 이러한 PAS 시스템의 센서는 통상 자동차로부터 1~1.5 미터 이내로 접근하는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The ambient condition sensing unit 30 senses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automobile, for example, a person or another automobile, with the sensor 10 of the PAS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To the control unit (60). The sensor of such a PAS system can detect objects approaching within 1 to 1.5 meters from automobile.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30)는, 자동차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BSD 시스템의 센서로 감지하고, 제어부(60)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BSD 시스템의 센서는 자동차 주위 최대 3 미터 이내로 접근하는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30 is configured to sense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as a sensor of a BSD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 [ The sensors in the BSD system can detect objects approaching within 3 meters of the vehicle.

이러한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중의 하나로서, 장착되는 편의사양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서 자동차로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Such a sensor may be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radar, a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unted convenience. However, any sensor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recognize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in basic functions.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부 중의 하나인 승객 인식 및 기억부(50)는, 자동차에 탑승했던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기억하는 기능을 행한다. 이러한 승객 인식 및 기억부(50)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착된 DSM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unit 50,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and storing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who has boarded the automobile. The passenger recognizing and storing section 50 can use, for example, a DSM apparatus mounted on an automobile.

즉, DSM 장치는 원래 운전자의 얼굴을 감시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안면에있어서의 눈 깜빡임의 특성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편의사양이기 때문에, 얼굴 인식 카메라를 통해 각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뿐 아니라 승객의 용모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에 탑승했던 사람의 용모를 인식시켜서 기억장치에 저장시켜 놓으면, 추후에 자동차에 접근하는 대상물이 사람인 경우에 그 기억장치에 저장시켜 놓은 용모와 감지된 용모를 비교하여 사람들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DSM device is a convenience specification configured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the blinking of the eyes on the driver's face in order to monitor the driver's face originally, the face recognition camera can recognize each person's face . Therefore, by recognizing not only the driver but also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the appearance of a person who has boarded the vehicle is recognized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f the object to be accessed to the vehicle is a person later, So that people can be distinguished.

출력부(40)는 비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로 구성되며, 비디오 출력부는 자동차에 장착된 실내용 카메라로서, 예를 들어 AVM 용이거나, DSM 용, 또는 블랙박스용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통상의 카오디오를 이용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40 may include a video out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and the video output unit may be an indoor camera installed in a car, for example, a camera used for an AVM, a DSM, or a black box . The audio output unit can use ordinary car audio.

제어부(60)는 이상의 구성부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잠금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그의 제어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nstituent units to control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 인식 및 기억장치(50)는 자동차에 탑승한 적이 있는 탑승객의 용모를 예를 들면 DSM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식 및 저장하게 된다(S101). 물론, 모든 탑승객의 용모를 인식 및 저장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필요한 사람에 대해서만 인식 및 저장할 수도 있다.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50 recognizes and stores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who has boarded the vehicle, for example, using the DSM system (S101). Of course, all passengers may be able to recognize and store their appearance, and selectively recognize and store only those who need it.

이와 같이 용모가 인식 및 저장된 탑승객이 자동차를 떠났다가 용무를 마치고 돌아오는 경우를 상정할 때, 자동차 안에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이고, 자동차의 전원이 IGN 또는 START인 상태라면, 주변 상황 감시부(30)의 센서(10)들이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자동차로 접근하는 탑승객도 마찬가지로 그의 접근이 감지된다(S102).When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in the IGN or START state when the passenger recognizes and stores the appearance and thus the passenger leaves the vehicle and returns from the vehicle, Is sensed by the sensors 10 of the vehicle 10, the approach of the passenger approaching the vehicle is also detected (S102).

이와 같이 자동차 주변의 일정거리내, 예를 들면 1.5 미터 이내의 거리로 자동차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주변 상황 감지부(3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신호를 전송한다.In this way, when the vehicle or a person approaches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within 1.5 meters, the surrounding situation sensing unit 30 senses it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 [

제어부(60)는 주변상황 감지부(3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받는 즉시, 현재 자동차의 도어 잠금상태를 확인한다(S103). Upon receipt of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urrounding situation sensing unit 30, the control unit 60 confirms the current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S103).

만약에 자동차의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라면, 주변 상황 감시부(30)로부터 접근이 감지된 탑승객의 용모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AVM 용 카메라(20)를 통하여 그의 특징부가 인식되고, 제어부(60)로 전송된다. If the door of the automobile is locked,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whose approach is detected by the surrounding situation monitoring unit 30 is recognized by the AVM camera 20 installed outside the automobile, Lt; / RTI >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60)는 주변상황 감지부(30)에서 들어오는 접근중의 사람의 용모를 앞서 승객 인식 및 기억장치(50)에 의하여 인식되고 저장된 탑승객의 용모와 비교한다(S104).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한다(S106).The control unit 60 receiving the signal compares the appearance of the approaching person coming from the surrounding situation sensing unit 30 with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recognized and stored by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unit 50 in step S104. Then, an alarm sound is issue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S106).

만약 이 때, 도어가 잠겨져 있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60)는 일단 도어를 잠그게 된다(S105). 그리고, 앞서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하게 된다(S106).At this time, if the door is not locked, the controller 60 locks the door once (S105). Then, an alarm sound is issue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as described above (S106).

이와 같이, 접근하는 사람이 자동차에 탑승한 적이 있는 승객임을 확인하는 이유는, 탑승객이 자동차를 떠나서 향후 재탑승 예정의 사람인 경우, 이미 도어가 잠겨져 있는 경우에 도어 손잡이를 잡아 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불쾌한 감정을 불식시키고, 자동차 내에 있는 운전자로 하여금 탑승예정의 승객이 자동차로 접근하고 있음을 미리 알려서 그 운전자로 하여금 도어를 열도록 배려하는 측면에서 감성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approaching person confirms that the passenger is the passenger who has boarded the automobile is that if the passenger leaves the automobile and is scheduled to be re-boarded in the future, if the door is already locked, This is to enable the driver in the car to have an emotional experience in terms of allowing the driver to open the door by notifying the driver in advance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approaching by the vehicle.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의 후측방으로부터 다른 자동차 혹은 다른 사람이 접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있던 운전자 또는 다른 승객이 하차를 시도하게 되는 경우,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Also, for example, if a driver or other passenger who has not been aware of the approach from another vehicle or someone else from behind the vehicle is attempting to get off,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exposed to a dangerous situation.

따라서, 자동차로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60)가 일단 도어문을 잠그고(S105), 경보를 발함(S106)으로써 하차를 시도하는 승객에게 접근하는 물체가 있음을 알려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는 적어도 5 초 내지 10 초 가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후, 운전자를 포함하는 승객이 도어의 해제를 다시 시도하는 경우에는,의 잠김상태를 확실하게 해제하려는 의도인 것을 인지하고 도어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고(S108),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도어의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09).Accordingly, when there is an object approaching by an automobile, the control unit 60 locks the door at one time (S105) and emits an alarm (S106), thereby notifying passengers attempting to get off, .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is maintained for at least 5 seconds to 10 seconds. Thereafter, when the passenger including the driver attempts to release the door again, recognizing that the intention is to intentionally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s released (S108), and if not, The locked state is maintained (S109).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주변상황 감지부와;
상기 자동차에 탑승했던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기억하는 승객 인식 및 기억부와;
자동차 주변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출력부와;
자동차로의 물체의 접근여부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에서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였을 때, 자동차 도어가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자동차 도어가 미잠금상태인 경우에는 먼저 도어를 잠금상태로 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An ambient cond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A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unit for recognizing and storing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on the vehicle;
A video output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situation around the automobile;
An audio output unit audibly informing whether or not an object is approaching the vehicle;
When the surroundings sensing unit senses an object approaching the automobile, the audio output unit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the automobile door is in the locked state. If the automobile door is in the unlocked state, the door is first lock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uni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는,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PAS (Parking Assistance System) 시스템의 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ipheral condi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e object approaching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by a sensor of a parking assistance system (PAS)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 BSD (Behind Spot Detection) 시스템의 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is configured to sense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rear side by a sensor of a BSD (Behind Spot Detection) system mounted on a vehicle, and transmit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중의 하나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sensor is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rad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는, 자동차로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차에 장착된AVM(Around View Monitoring)을 이용하여 자동차 주변의 영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로 영상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그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generat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using an AVM (Around View Monitoring) mounted on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lock stat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output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인식 및 기억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된 DSM(Driven-State Monitoring Device)에 의하여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recognize a passenger's appearance by a DSM (Driven-State Monitor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d to store the recognition resu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인식 및 기억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된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승객의 용모를 인식하고 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using a camera of a black box mounted on the automobile and to memorize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상황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접근하는 물체가 사람인 경우, 그 사람의 용모를 인식하고, 상기 승객인식 및 기억장치에 저장된 승객의 용모와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person when the object to be accessed is a person when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compares the appearance with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stored in the passenger recognition and storage device, And outputs a warning sound to the audio output unit when the door is closed.
① 자동차 탑승객의 용모를 인식 및 저장하는 단계;
② 자동차 주변으로부터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③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였을 때, 도어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④ 상기 ③ 단계에서,
도어가 잠기지 않은 상태일 때는 도어를 우선 잠근 후, 경보음을 발하고,
도어가 잠긴 상태일 때는 탑승객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탑승객인 경우에는 도어 경보음을 발하는 단계;
⑤ 승객이 도어잠김 해제를 원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
(1) recognizing and storing the appearance of a passenger in a car;
(2)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object from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3) confirming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when i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object;
(4) In the step (3)
When the door is unlocked, the door is locked first, then an audible alarm is sounded,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a passenger when the door is locked and issuing a door alarm when the door is a passenger;
(5) confirming whether the passenger desires to unlock the door;
Wherein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is controlled by the lock state detecting mean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④ 단계에서 탑승객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① 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ecking whether the passenger is the passenger in the step (4) is compared with the data stored in the step (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② 단계는, 자동차에 장착된 PAS (Parking Assistance System) 시스템의 센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2) is executed by a sensor of a parking assistance system (PAS) system mounted on a vehic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② 단계는, 자동차에 장착된 BSD (Behind Spot Detection) 시스템의 센서로 실행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2) is executed by a sensor of a BSD (Behind Spot Detection) system mounted on a vehicle, and the sensor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중의 하나인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 제어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sensor is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radar.
KR1020160182176A 2016-12-29 2016-12-29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Ceased KR201800776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176A KR20180077624A (en) 2016-12-29 2016-12-29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176A KR20180077624A (en) 2016-12-29 2016-12-29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624A true KR20180077624A (en) 2018-07-09

Family

ID=6291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176A Ceased KR20180077624A (en) 2016-12-29 2016-12-29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62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9083A (en) * 2018-10-08 2019-02-2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intelligent unlock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9083A (en) * 2018-10-08 2019-02-2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intelligent unlock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9660B2 (en) Driver confirmation device
CN109455139B (en) Warning protection device based on car is opened door
CN110696719A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body controller
CN111645595A (en) Safe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ssengers in vehicle
CN102837653B (en) Car door opening safeguard system
CN105459898A (en) Active vehicle rear auxiliary pre-warning system
KR20140126928A (en) Apparatus for warning getting off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482252A (en) A kind of system, method and the vehicle of display pillar A blind obstacle multi-view image
CN112319367A (en) Monitoring and protecting system and equipment for people staying in vehicle
CN106740458A (en) A kind of enabling safety prompt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KR20190044727A (en) Passenger safety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499239A (en) A kind of rearview mirror follow-up detector and method
TW201628887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llision avoidance when opening the door
CN114572141A (en) Occupant monitoring system, occupant leaving remind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KR100862041B1 (en) Car Passenger Protective Device
JP2006096316A (en) Monitoring device
CN214084149U (en) Passenger monitoring system and vehicle
KR102556845B1 (en) AVM system with real-time control function
KR20180077624A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state of car doors
JP7441417B2 (en) Driver state estimation device
KR101611926B1 (en) A passenger safety system and a passenger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361179B1 (en) a safety system for car
TWI597192B (en) Car door collision and early warning methods
JP7040931B2 (en) Crew protection device
CN112660022A (en) Door opening early warn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transparent A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