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551A -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7551A KR20180077551A KR1020160182013A KR20160182013A KR20180077551A KR 20180077551 A KR20180077551 A KR 20180077551A KR 1020160182013 A KR1020160182013 A KR 1020160182013A KR 20160182013 A KR20160182013 A KR 20160182013A KR 20180077551 A KR20180077551 A KR 20180077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derly
- living alone
- behavior
- information providing
- monito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4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personal data, e.g. biometric data, records or p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거노인이 사용하는 물건에 접착된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노인들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고 노인들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여 편리하게 독거노인 행동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센서모듈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센서모듈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이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의 기능을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110: 센서모듈 111: 기판
111a: 배터리 112: 케이스
112a: 상부케이스 112b: 하부케이스
112c: 방수 밀봉 링 112d: 양면테이프
120: 사물인터넷(IoT) 허브 130: 이용자 단말기
131,132: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
131a: 스크롤 바 140: 정보제공서버
140a: 정보제공DB 150: 금융결제서버
200: 독거노인가구
Claims (20)
-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 배치되어 있고 독거노인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들에 접착된 상태에서 독거노인이 물건을 사용할 때마다 독거노인이 물건을 사용하고 있다는 정보(이하,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감지하여 주택에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허브에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제공서버에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허브;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이 탑재되고, 상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을 실행하여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는 내용(이하, 서비스 신청내용)을 입력하고, 서비스비용을 결제하고,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이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이 실행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는 화면을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신청내용을 입력받아 정보제공DB에 저장하고,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정보제공DB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이용자 단말기가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비용을 결제하고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정보제공DB에 저장된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판독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을 알려주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제시하는 정보제공서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독거노인이 물건을 사용할 때마다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배터리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장착된 기판; 및
분리 혹은 결합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 부분에 개재하는 방수 밀봉 링을 포함하고, 독거노인들이 사용되는 물건에 접착되는 바닥면에 양면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는 케이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사용되는 센서는 움직임 감지센서(motion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사물인터넷 허브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Z-WAVE, Wi-Fi, RF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상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은 정보제공서버 접속 기능, 회원가입 및 서비스신청 기능, 서비스비용 결제 기능, 정보제공서버 관리 기능, 정보제공DB 관리 기능, 독거노인 행동양상 감지정보 및 행동양상 모니터링 정보 관리 기능,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정보 확인 기능, 특이 행동양상 판단 및 문자푸시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워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워치에서 사용되는 모바일결제방식을 이용하여 금융결제서버와 통신하여 서비스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사물인터넷 허브가 설치될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주소, 독거노인의 이름, 독거노인의 성별, 독거노인의 전화번호, 서비스를 신청한 이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서비스신청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센서모듈이 접착될 독거노인이 사용할 물건의 이름을 제시하고 서비스를 신청한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신청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침대 및 침구류, 가구류, 밥솥, TV, 냉장고, 세탁기, 가정용 전자기기 리모컨, 의자, 소파, 방문, 현관문, 화장실문, 화장실 변기레버, 욕실문, 벽면에 부착된 전원스위치, 전자레인지,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독거노인들이 사용하는 물건으로 제시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신청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요청을 받으면 날짜, 시간, 사용물건의 이름 항목으로 나누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루 동안의 독거노인의 행동양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요청을 받으면 상기 센서모듈이 설치된 사물의 이름을 수직축에 배치하고, 0시에서 24시까지의 숫자로 표시한 시간을 수평축에 배치하여 특정한 시간에 독거노인이 상기 센서모듈이 부착된 사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시간에 사용된 사물의 이름에 해당하는 위치에 특정한 기호나 문자로 표시하는 그래프 형태로 독거노인의 행동양상을 모니터링 한 결과를 제시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정보제공DB에 저장된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판독한 결과, 정해진 시간 동안 화장실을 자주 가는 경우, 일어나야할 시간에 일어나지 않고 계속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 침대에 누워있는데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경우, 정해진 시간 동안 밥솥이나 냉장고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출 후에 늦게까지 귀가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확인되면, 독거노인의 특이 행동양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단말기로 해당 특이 행동양상을 알리는 문자푸시알람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이 탑재된 이용자 단말기가 상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앱(App)을 실행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는 내용(이하, 서비스 신청내용)을 입력하고 서비스비용을 결제하고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는 제1과정과;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 배치되어 있고 독거노인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들에 접착된 센서모듈이 독거노인이 물건을 사용할 때마다 독거노인이 물건을 사용하고 있다는 정보(이하,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감지하여 주택에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허브에 무선 전송하는 제2과정;
상기 사물인터넷 허브가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제공서버에 전송하는 제3과정;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정보제공DB에 저장하는 제4과정;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상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요청을 확인하는 제5과정;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요청을 받은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정보제공DB에 저장된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판독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을 알려주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제시하는 제6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사물인터넷 허브가 설치될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주소, 독거노인의 이름, 독거노인의 성별, 독거노인의 전화번호, 서비스를 신청한 이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서비스신청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센서모듈이 접착될 독거노인이 사용할 물건의 이름을 제시하고 서비스를 신청한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신청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침구류, 가구류, 밥솥, 냉장고, 세탁기, 가정용 전자기기 리모컨, 방문, 현관문, 화장실문, 화장실 변기레버, 욕실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독거노인들이 사용하는 물건의 이름이나 이미지로 제시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신청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날짜, 시간, 사용물건의 이름 항목으로 나누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루 동안의 독거노인의 행동양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센서모듈이 설치된 사물의 이름을 수직축에 배치하고, 0시에서 24시까지의 숫자로 표시한 시간을 수평축에 배치하여 특정한 시간에 독거노인이 상기 센서모듈이 부착된 사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시간에 사용된 사물의 이름에 해당하는 위치에 특정한 기호나 문자로 표시하는 그래프 형태로 독거노인의 행동양상을 모니터링 한 결과를 제시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화면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정보제공DB에 저장된 상기 행동양상 감지정보를 판독한 결과, 정해진 시간 동안 화장실을 자주 가는 경우, 일어나야할 시간에 일어나지 않고 계속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 침대에 누워있는데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경우, 정해진 시간 동안 밥솥이나 냉장고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출 후에 늦게까지 귀가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확인되면, 독거노인의 특이 행동양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단말기로 해당 특이 행동양상을 알리는 문자푸시알람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2013A KR101893882B1 (ko) | 2016-12-29 | 2016-12-29 |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2013A KR101893882B1 (ko) | 2016-12-29 | 2016-12-29 |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7551A true KR20180077551A (ko) | 2018-07-09 |
KR101893882B1 KR101893882B1 (ko) | 2018-10-04 |
Family
ID=6291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2013A Active KR101893882B1 (ko) | 2016-12-29 | 2016-12-29 |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388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256B1 (ko) * | 2018-07-26 | 2019-09-18 | 고명은 | 독거 어르신 보살핌 장치 |
KR102030935B1 (ko) * | 2018-08-20 | 2019-10-10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IoT를 기초로 한 관심영역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문 사용 인식 장치 및 관심영역 모니터링 시스템 |
CN110428585A (zh) * | 2019-09-04 | 2019-11-08 | 四川佩德机器人科技有限公司 | 一种独居老人监护系统以及监护判定方法 |
CN114143347A (zh) * | 2021-12-01 | 2022-03-04 | 青岛助途云方旅游科技有限公司 | 基于5g通信的智慧养老生态系统 |
KR102578699B1 (ko) * | 2022-08-25 | 2023-09-14 | 피에프엘테크 주식회사 | 전기 밥솥을 이용한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5123B1 (ko) * | 2019-10-21 | 2022-01-24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바이오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574624B1 (ko) | 2021-11-10 | 2023-09-06 | 김미숙 |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에서의 독거노인이상상태 검출방법 |
KR20240079297A (ko) | 2022-11-28 | 2024-06-05 | 김남균 | 독거인 실내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3579A (ja) * | 2000-11-28 | 2002-06-07 | Ntt Data Corp | 電子決済方法、利用者端末、センタ及び記録媒体 |
KR101039626B1 (ko) * | 2008-10-24 | 2011-06-08 | (주)브이아이소프트 |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097235B1 (ko) * | 2011-09-09 | 2011-12-22 | (주) 대호아이앤티 | 독거 노인 안전망 시스템 및 안전망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30039625A (ko) * | 2011-10-12 | 2013-04-22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독거인 생활패턴 모델링과 이상검출방법 및 그 장치 |
KR20160122386A (ko) * | 2015-04-14 | 2016-10-24 | (주)시큐시스 | 독거노인 고독사 방치 방지를 위한 센서정보 수집 및 이벤트 발생 시에만 모니터링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영상 관리 시스템 |
-
2016
- 2016-12-29 KR KR1020160182013A patent/KR10189388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3579A (ja) * | 2000-11-28 | 2002-06-07 | Ntt Data Corp | 電子決済方法、利用者端末、センタ及び記録媒体 |
KR101039626B1 (ko) * | 2008-10-24 | 2011-06-08 | (주)브이아이소프트 |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097235B1 (ko) * | 2011-09-09 | 2011-12-22 | (주) 대호아이앤티 | 독거 노인 안전망 시스템 및 안전망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30039625A (ko) * | 2011-10-12 | 2013-04-22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독거인 생활패턴 모델링과 이상검출방법 및 그 장치 |
KR20160122386A (ko) * | 2015-04-14 | 2016-10-24 | (주)시큐시스 | 독거노인 고독사 방치 방지를 위한 센서정보 수집 및 이벤트 발생 시에만 모니터링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영상 관리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256B1 (ko) * | 2018-07-26 | 2019-09-18 | 고명은 | 독거 어르신 보살핌 장치 |
KR102030935B1 (ko) * | 2018-08-20 | 2019-10-10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IoT를 기초로 한 관심영역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문 사용 인식 장치 및 관심영역 모니터링 시스템 |
CN110428585A (zh) * | 2019-09-04 | 2019-11-08 | 四川佩德机器人科技有限公司 | 一种独居老人监护系统以及监护判定方法 |
CN114143347A (zh) * | 2021-12-01 | 2022-03-04 | 青岛助途云方旅游科技有限公司 | 基于5g通信的智慧养老生态系统 |
KR102578699B1 (ko) * | 2022-08-25 | 2023-09-14 | 피에프엘테크 주식회사 | 전기 밥솥을 이용한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3882B1 (ko) | 2018-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3882B1 (ko) |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
US9769420B1 (en) | Portable wireless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 |
US8115624B2 (en) | System, method, and kit for remotely monitoring an individual with a sensor-integrated picture frame | |
US20050101250A1 (en) | Mobile care-giving and intelligent assistance device | |
US20130150686A1 (en) | Human Care Sentry System | |
JP6240849B2 (ja) |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安否確認方法 | |
JP6680563B2 (ja) |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方法 | |
McCullagh et al. | Nocturnal sensing and intervention for assisted living of people with dementia | |
JP2015060530A (ja) |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見守り端末、管理端末、プログラム、記録媒体 | |
JP5342141B2 (ja) | 中央ゲートウェイ装置と通信する複数のセンサー装置を有する装置のシステム及び装置のシステムをインストールする方法 | |
EP3822984A1 (en) | A system and a procedure for nurse call and managing of health care and nursing | |
CN202261308U (zh) | 具移动无线传感器的互动感知系统 | |
KR20050090947A (ko) | 실버텔 운영 시스템 | |
US9715801B2 (en) | System and method of object tracking using a plurality of linked pressure sensors | |
KR20190053388A (ko) | 매트를 이용한 안전감지 시스템 | |
VARDHARAJAN | Proof-of-concept of a fall detection system based on low-cost IoT devices | |
KR20140109521A (ko) |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JP2015146085A (ja) | 安否連絡装置、安否連絡プログラムを利用した安否確認サービス及び配食サービスの提供方法 | |
JP2019197590A (ja) | 通信システム | |
CA3072957C (en) | Active care control method, electronic control device, central gateway device and server | |
US20220384031A1 (en) | System for monitoring, tracking and recording safety conditions and status of subjects in a confined area | |
JP2012174254A (ja) | 団地内見守りシステムのビジネスモデル | |
KR20240079297A (ko) | 독거인 실내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 |
US20140277621A1 (en) | Monitoring health and exercise with a premise security or automation system | |
WO2005110209A1 (en) | Remote control with alert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