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72746A -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746A
KR20180072746A KR1020187014067A KR20187014067A KR20180072746A KR 20180072746 A KR20180072746 A KR 20180072746A KR 1020187014067 A KR1020187014067 A KR 1020187014067A KR 20187014067 A KR20187014067 A KR 20187014067A KR 20180072746 A KR20180072746 A KR 20180072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link
ti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챠오 리
싱웨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7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7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8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s service to a network of fixed stations, i.e. fixed satellite service or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125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41Change of the master or reference, e.g. take-over or failure of the mas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고 신뢰성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장치 간의 상대적으로 높은 동기화 정밀도를 보장하고, 장치 간의 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대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 시스템에서, UE 간의 통신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 UE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전에 동기화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로서 UE 1이 사용된다. UE 1은 적어도 하나의 동기 소스, 예를 들어, UE 1 이외의 UE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와 같은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다른 UE에 의해 전송되는 검출된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재,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차량과 임의의 대상, 즉 V2X(Vehicle to X, Vehicle-to-Everything) 간의 통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V2V(Vehicle to Vehicle, Vehicle to Vehicle) 통신은 차량의 인터넷에서 연구의 초점이다. D2D와 비교할 때 V2X 및 V2V는 전송 지연 및 신뢰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다. 따라서 차량 간의 비교적 높은 정밀도의 동기화가 보장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V2X 또는 V2V 통신 시스템의 차량 및 장치가 UE로 사용되고, D2D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사용하여 V2X 또는 V2V 통신 시스템에서 UE 동기화가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D2D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데 과도하게 긴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검출된 동기화 소스와 UE를 동기화하기 위해 수십 밀리초가 소요된다. 이것은 전송 지연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낮고 동기화 안정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은 차량 인터넷과 유사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V2X 및 V2V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 또는 다른 UE일 수 있거나 위성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UE 동기화의 시나리오는 더욱 복잡해진다. 예를 들면,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제공되는 경우, UE 1은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타이밍 기준을 수신할 수 없고, UE 2는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타이밍 기준을 수신할 수 있고, UE 3은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 타이밍 기준을 수신할 수 있고, 기지국의 타이밍 기준은 또한 위성 장치로부터 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로 고 신뢰성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장치에 대한 동기화 소스를 결정하고 선택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동기화 소스 신뢰도 및 동기화 정밀도를 보장하고, 장치 간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 신뢰성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장치 간의 상대적으로 높은 동기화 정밀도를 보장하고, 장치 간의 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기술적 솔루션이 사용된다.
제1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 사용된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복수 편의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여, 인터넷 차량과 같은 고 신뢰도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UE 간의 동기화 신뢰도 및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로부터 온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다.
이 방식에서,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 선택할 때, 제2 UE의 타이밍이 제2 링크의 기지국의 타이밍과 동일할 때, 타이밍 차이로 인한 기지국의 수신기 또는 제2 링크의 UE의 수신기 상의 잠재적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고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 선택할 때, 제2 UE의 타이밍이 제2 링크에서의 기지국의 타이밍과 동일하므로, 제1 링크에서의 동기화 정확도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와 관련 없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와 제2 링크에서의 서빙 셀 간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동기화 소스 및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셀에 대응하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가진 셀 커버리지 영역 내의 기지국의 업링크 수신기 상에서의 간섭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타이밍 지연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UE가 제1 셀에 있고, 상기 제2 UE가 제1 셀에 인접한 제2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다음: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 간의 차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이 동기이다는 것; 제1 셀의 커버리지 반경과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간의 차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또는 제1 셀의 전송 전력과 제2 셀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가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제1 UE와 제2 UE가 모두 제1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4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이다.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이 부가되므로, 제1 UE는 이러한 조건에 따라 SLSS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되므로 UE에 의해 제1 링크에서 송신되도록 트리거링되는 SLSS를 사용함으로써 제1 링크에서 동기화를 더 좋게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패킷 손실이나 검출 오류와 같이, 지연 차로 인해 UE 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제1 링크에서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 물리적 제어 채널 상에서 및/또는 SLSS에서 운송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가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고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전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원격 UE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관계없이 그리고 제2 링크에서의 중계 UE의 신호 품질에 관계없이, 중계 UE만이 원격 UE와 중계 UE 간의 데이터 통신 동안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UE 간의 동기화를 실행하며, 원격 UE의 전력 소모를 감소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일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기함을 의미한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일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일함을 의미한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의미한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고 자체 타이밍을 사용함을 의미한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며,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의 제1 동기화 정보는 D2D 시스템에서의 제1 동기화 정보와 다르게 되도록 설정되며, 동기화를 수행할 때, 수신단으로 사용되는 제2 UE는 후속의 통신 서비스가 D2D 서비스인지 인터넷 차량 서비스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UE 또는 제2 UE에 의해 수행되는 검출을 간략화하고 불필요한 오류 검출을 피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은: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5의 다운링크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사용되는 것 -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임 - ; 및/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에 의해 점유되는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는 상기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0 또는 서브프레임 5 중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시퀀스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순환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마스크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CRC 마스크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와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상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경우에,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6과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3을 점유하거나,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5와 제2 타임슬롯의 심볼 1 및 3을 점유하며; 확장 CP 경우에,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5와 제2 타임슬롯의 심볼 2를 점유하거나,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4와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2를 점유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동기화 주기 내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작지 않은 양의 정수이다.
이 방식에서, 제1 동기화 정보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동기화 주기 내에서 송신되므로,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심볼의 수량이 DMRS의 수량을 보장하면서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채널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므로 제2 UE가 제어 채널 및 제1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서 N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이거나,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간격은 상기 동기화 주기의 1/N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적어도 M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부분은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에 각각 매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서 M회 전송되고, 여기서 M은 2보다 작지 않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면, 상기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는 상기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며; 및/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는 상기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면,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제3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관점에 따라,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상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임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고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제2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3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 정보 및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E가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신호 품질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 및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가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 -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로부터 오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와 관련 없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와 제2 링크에서의 서빙 셀 간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와 제2 UE 간의 타이밍 지연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UE가 제1 셀에 있고, 상기 제2 UE가 제1 셀에 인접한 제2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다음: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 간의 차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이 동기이다는 것; 제1 셀의 커버리지 반경과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간의 차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또는 제1 셀의 전송 전력과 제2 셀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가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상응해서, 제1 UE와 제2 UE가 모두 제1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4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동기화 정보는 PSBCH 채널 상에서 및/또는 SLSS에서 운송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은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동기화 신호가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고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면,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정보는 다음: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같음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기적임을 의미하는 것;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같음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같음을 의미하는 것;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의미하는 것; 또는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고 그 자체의 타이밍을 사용함을 의미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5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및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며,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은: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5의 다운링크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사용되는 것 -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임 - ; 및/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에 의해 점유되는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는 상기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0 또는 서브프레임 5 중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시퀀스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순환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마스크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CRC 마스크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와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상 CP 경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6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3을 점유하거나,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5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1 및 3을 점유하며; 확장 CP 경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5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2를 점유하거나,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4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2를 점유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동기화 주기 내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N은 2보다 작지 않은 양의 정수이다.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N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이거나,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간격이 동기화 주기의 1/N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고; 및/또는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제3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고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상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임 -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제2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3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신호 품질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 정보 및/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가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 및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포함한다.
제7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해서 상기 메모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UE가 작동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 관점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제8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해서 상기 메모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UE가 작동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2 관점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제9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해서 상기 메모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UE가 작동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2 관점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명칭은 그 장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실제의 응용에서,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기능과 유사하고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 범위 및 본 발명의 등가의 기술에 있는 한 이러한 장치는 다른 명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 관점 내지 제9 관점에서의 임의의 설계 방식으로 가져오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에서의 다양한 설계 방식에서 가져오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면 된다.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 또는 관점에 대해 이하의 실시예에서 더 간결하고 이해할 수 있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 4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도 3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 5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4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5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의 정상 CP 경우에서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 및 SSSS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2는 종래기술의 확장 CP 경우에서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 및 SSSS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CP 경우에서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DMRS 심볼의 개략적인 위치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CP 경우에서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DMRS 심볼의 다른 개략적인 위치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상 CP 경우에서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DMRS 심볼의 개략적인 위치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상 CP 경우에서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DMRS 심볼의 다른 개략적인 위치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개략도 1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개략도 2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1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2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3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4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용어 "제1" 및 "제2"는 단지 설명을 목적을 위해 의도되며, 상대적 중요도의 지시 또는 의미나 지지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에 대한 암시적 지시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제1" 또는 "제2"에 의해 제한되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으면, "복수"의 의미는 적어도 2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관련 대상 간의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하고, A 및 B 모두가 존재하며, B만 존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호 "/"는 일반적으로 관련 대상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서 언급될 수 있는 몇 가지 개념을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UE는 구체적으로는 차량 탑재 장치 또는 도로 측 유닛(Road Side Unit, RSU)일 수도 있고, 보행자가 사용하는 이동 전화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중계 기능을 갖는 UE와 기지국 사이에 중계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에 따라 UE는 중계 UE(즉, Relay UE)와 원격 UE(Remote UE)로 분류될 수 있다. UE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D2D 시스템은 3GPP 프로토콜 Rel-12 또는 Rel-13에서 규정된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는 시스템이다. D2D는 프로토콜에서 용어 ProSe(Proximity-based Services, proximity-based Services)로 표시된다.
제1 링크는 UE 간의 링크이다. D2D 시스템에서 제1 링크는 D2D 링크 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 할 수 있으며, 차량 인터넷에서 제1 링크는 V2V 링크, V2P (Vehicle to person, 차량 대 사람),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대 인프라스트럭처) 링크 또는 사이드링크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1 링크는 이러한 링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링크는 브로드캐스트 모드, 유니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링크는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며, 예를 들어, UE와 이 UE에 서빙하는 서빙 기지국 간의 링크, 또는 UE와 인접 기지국 간의 링크이다. 마찬가지로, 제2 링크는 브로드캐스트 모드, 유니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와 같은 위성 장치로는 구체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국의 베이도우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미국의 GPS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유럽 갈릴레오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러시아의 GLONASS 위성 항법 시스템이 있다. 또한, 위성 장치는 위성과 타이밍 능력이 위성의 타이밍 능력과 동일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자 시계가 있는 타이밍 장치의 타이밍 정밀도는 위성의 타이밍 정밀도와 같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성 장치로서 GNSS를 이용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동기화 소스는 UE가 직접 동기화되는 GNSS, 기지국 또는 UE와 같은 장치이다. 예를 들어, UE 1이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될 때, UE 1은 타이밍 정보 및/또는 주파수 정보를 다른 UE에 제공할 수 있다. UE 1이 UE 2의 동기화 소스인 것으로 결정한 후, UE 2는 UE 1과 동일한 타이밍 정보 및/또는 주파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V2X(V2V 포함) 시스템에서 동기화될 필요가 있는 UE에 송신된 지시 정보 및/또는 동기 신호이며, 동기화될 필요가 있는 UE가 수신된 복수 편의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UE 자신의 동기화 소스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동기 소스로서 사용되는 장치의 우선순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의 제1 동기화 정보의 특정 내용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며, 따라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제2 동기화 정보는 3GPP 프로토콜 Rel-12 또는 Rel-13에 규정된 방식으로 사이드링크에서 송신되는 동기화 정보이고, 동기화될 필요가 있는 UE에 송신되는 송신된 지시 정보 및/또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해 V2X 시스템 또는 V2V 시스템만이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정보 전송 방법은 항공기 간의 동기화, 항공기와 선박 간의 동기화, 선박 간의 통신과 같이, 장치 간에 동기화가 수행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핵심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소스, 예를 들어, 제1 UE는 동기화될 필요가 있는 제2 UE에 제1 동기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수신된 복수 편의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1 UE를 선택함으로써, 차량의 인터넷과 같이 고 신뢰성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UE 간의 동기화의 신뢰성 및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핵심 원리를 참조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UE 1은 기지국 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UE 1의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 1이며, 기지국 1의 타이밍은 GNSS로부터 오며, UE 2는 기지국 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UE 2의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 2이며, UE 3은 기지국 1 및 기지국 2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다. 이 경우, UE 1 또는 UE 2, 즉 제1 UE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고 동기화되어야 하는 UE 3, 즉 제2 UE에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보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01 (선택사항). 제1 UE는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 즉 도 1의 UE 1 또는 UE 2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 정보는 구체적으로: 제1 UE가 위치하는 제1 링크의 주파수 사용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제2 링크의 타이밍 지시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제1 링크의 타이밍 정렬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제1 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5 GHz의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제1 UE가 위치하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는 것이다.
102.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 102에서, 제1 UE는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동기화 정보는 구체적으로: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한다.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와 동일하면,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오거나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면,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102에서, 제1 UE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의 메모리는 제1 동기화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UE는 제1 UE의 메모리로부터 제1 동기화 정보를 직접 판독할 수 있다.
103.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UE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UE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1 동기화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BCH) 채널 상에서 및/또는 SLSS에서 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SBCH 채널에 지시가 제공되면,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데 하나의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비트가 0이면, 제1 링크의 주파수는 제2 링크의 주파수와 다르고, 비트가 1이면, 제1 링크의 주파수는 제2 링크의 주파수와 같다. PSBCH 채널에 지시가 제공되면, 제1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데 하나의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비트가 0이면, 제1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오지 않고, 비트가 1이면, 제1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온다. PSBCH 채널에 지시가 제공되면, 제1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지를 나타내는데 하나의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비트가 0이면, 제1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지 않고, 비트가 1이면, 제1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한다. 전술한 정보 중 임의의 하나는 PSBCH 채널 중 미사용 예약 필드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거나 PSBCH 채널을 사용해서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지시 정보는 SLSS 신호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즉, 전술한 정보 중 임의의 하나는 2개의 스테이지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정보는 구체적으로 다음:
지시는 SLSS 내의 서로 다른 프라이머리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PSSS) 시퀀스를 사용해서 제공된다;
지시는 SLSS 내의 서로 다른 세컨더리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SS) 시퀀스를 사용해서 제공된다;
지시는 SLSS 내의 서로 다른 PSSS 시퀀스와 SSSS 시퀀스의 조합을 사용해서 제공된다; 또는
지시는 SLSS 내의 PSSS 및/또는 SSSS 시간-도메인 위치 및/또는 PSSS 및/또는 SSSS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사용해서 제공된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특정한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므로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104.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한다.
제2 UE는 도 1에서 UE 3일 수 있다. UE 3은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다.
105.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는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105에서, 단계 104에서 획득된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면, 제2 UE의 타이밍이 제2 링크에서의 기지국의 타이밍과 같기 때문에, 기지국의 수신기 또는 제2 링크에서의 UE의 수신기에 대한 잠재적 간섭이 타이밍 차이로 인해 회피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104에서 획득된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오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면, 제2 UE의 타이밍이 제2 링크에서의 기지국의 타이밍과 같기 때문에, 제1 링크에서의 동기화 정확도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104에서 획득된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면, 제2 UE의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정렬하기 때문에, 제1 링크에서의 모든 UE의 타이밍이 같으므로 제1 링크에서의 UE의 통신 성능이 보장된다.
대안으로, 표 1에 나열된 바와 같이, 단계 104에서 획득된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와 같은지를 나타내고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UE는 표 1에 나열된 방식으로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와 같은지의 여부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의 여부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는지의 여부
1 1 예 또는 아니오
1 0
0 1
0 0 아니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기초해서,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고 동기화되어야 하는 제2 UE에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와 제2 링크의 주파수 간의 관계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과 GNSS의 타이밍 간의 관계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UE는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어, 제2 UE의 동기화 신뢰성 및 동기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GNSS는 포함되지 않으며, UE 1은 기지국 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으며, UE 1의 동기화소스는 기지국 1이며; UE 2는 기지국 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으며, UE 2의 동기화소스는 기지국 2이며; UE 3은 기지국 1과 기지국 2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다. 이 경우, UE 1 또는 UE 2, 즉 제1 UE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고 동기화되어야 하는 UE 3, 즉 제2 UE에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의 커버리지 영역은 UE가 제2 링크(셀룰러 링크)를 사용해서, 제1 링크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통신에 필요하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지 않으면 UE가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201 (선택사항). 제1 UE는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U1 또는 UE 2는 기지국으로부터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구성 정보는 구체적으로: 제1 UE의 서빙 셀의 전송 전력 정보; 및/또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반경 정보; 및/또는 제1 UE와 제1 UE의 서빙 셀 간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TA 값은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누적된 특정 어드밴스 값이고, UE 자체에 의해 획득될 수 있거나,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높을수록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이 넓다는 것을 나타낸다.
202.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 202에서, 제1 UE는 단계 201에서 획득된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동기화 정보는 구체적으로: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와 서빙 셀 간의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제1 UE와 제1 UE의 서빙 셀 간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TA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작을수록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2 UE의 타이밍이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진 셀의 타이밍과 같으면, 제2 UE의 타이밍은 그 셀의 타이밍과 정렬한다. 그러므로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진 셀에 대해 간섭이 야기되지 않는다. 특히, 제1 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제2 링크의 업링크 주파수 스펙트럼일 때, 제1 링크에서의 전송으로 인해 제2 링크에서의 기지국 측 상의 수신기에 대해 잠재적 간섭이 야기된다. 더 넓은 셀에 있어서, 셀의 반경이 더 넓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밖의 UE가 전송을 수행할 때, 그 더 넓은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 측 상의 업링크 수신기와의 간섭은 상당히 불가능하다.
대안으로, 제1 UE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의 메모리는 제1 동기화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제1 UE의 메모리로부터 직접 판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동기화 정보는 PSBCH 채널 상에서 및/또는 송신을 위한 SLSS에서 운송될 수 있다.
203.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제2 UE에 송신한다.
204.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한다.
205.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사용할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05에서,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사용하고;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제2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사용하고;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3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사용한다.
또한, 제2 UE는 복수의 제1 UE에 의해 송신된 제1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UE 3은 UE 1 및 UE 2에 의해 송신된 제1 동기화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므로 UE 1 및 UE 2에 의해 송신된 제1 동기화 정보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UE 3은 UE 1 또는 UE 2를 도 3을 도 3의 동기화 소스로 선택할 수 있다.
당연히, 제1 UE는 전송 전력, 커버리지 반경, 또는 제1 UE이 속하는 서빙 셀의 TA 값을 제2 UE에 송신하기 위한 제1 동기화 정보로서 교대로 또는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로 다른 제1 동기화 정보를 비교한 후, 제2 UE는 최소 커버리지 반경을 가진 셀에 대응하고 제1 동기화 정보에 지시되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기초해서,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고 동기화되어야 하는 제2 UE에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동기화 소스 및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셀에 대응하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가진 셀 커버리지 영역 내의 기지국의 업링크 수신기 상에서의 간섭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UE 1 및 UE 2는 모두 기지국 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UE 1 및 UE 2의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 1이지만, 거리 d1과 거리 d2 사이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있으며, 여기서 d1은 UE 1과 기지국 1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d2는 UE 2와 기지국 1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UE 2가 UE 1에 의해 송신된 제1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때 지연 차가 야기된다. UE 1과 UE 2 간의 거리는 d12이다.
지연 차 tau는 tau = (d1 - d2 + d12)/c 이고, 여기서 c는 광속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d1 = 2 km, d2 = 300 m, d12 = 400 m 이면, 방정식 tau = 7 us가 성립한다. 지연 차가 CP의 길이보다 큰 경우, UE 2가 UE 1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때, 심볼 간 간섭이 어느 정도 발생된다. 그 결과, 신호 품질이 감소된다. 레이턴시 및 신뢰성에 비교적 민감한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 UE 1에 의해 송신 된 데이터 패킷이 UE 2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전송 에러가 발생한다. 여러 번 의 오류로 인해 패킷 손실이 발생하여 지연이 증가하고 전송 메시지 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제1 UE(예를 들어, 도 5에서의 UE 1)는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신호 SLSS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서빙 기지국(기지국 1)과 제1 UE 간의 TA 값이 제4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제1 UE는 SLSS로 송신하도록 트리거링된다. 제4 미리 설정된 값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기도 하고 미리 설정되기도 한다.
제1 UE는 동기화 신호 송신 주기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SLSS를 송신할 수도 있고, 제1 링크 전송 자원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이전의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수 개의 서브프레임에서 SLSS를 송신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다른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기지국 1과 기지국 2는 동기 또는 비동기이고, UE 1과 UE 2는 각각 기지국 1과 기지국 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으나, 기지국 1의 커버리지 영역과 기지국 2의 커버리지 영역 사이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UE 2가 UE 1에 의해 송신된 제1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때 지연 차가 여전히 발생한다.
이를 감안해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제1 UE가 제1 셀에 위치하고 제2 UE가 제1 셀에 인접한 제2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301.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신호 SLS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UE(예를 들어, 도 6에서의 UE 1)는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신호 SLSS일 수 있다.
또한, 제1 UE는 제1 셀 및 제2 셀의 타이밍 정보; 및/또는 제1 셀 및 제2 셀의 동기화 상태 정보; 및/또는 제1 셀 및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정보; 및/또는 제1 셀 및 제2 셀의 전송 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302. 제1 UE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타이밍 지연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므로, 제2 UE는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다음: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 간의 차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이 비동기이다;
제1 셀의 커버리지 반경과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간의 차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 또는
제1 셀의 전송 전력과 제2 셀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가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전술한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즉 SLSS를 송신한다. 제1 미리 설정된 값, 제2 미리 설정된 값 및 제3 미리 설정된 값은 스케일링을 사용해서 기지국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 3에 도시된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이 부가되므로, 제1 UE는 이러한 조건에 따라 SLSS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되므로 UE에 의해 제1 링크에서 송신되도록 트리거링되는 SLSS를 사용함으로써 제1 링크에서 동기화를 더 좋게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패킷 손실이나 검출 오류와 같이, 지연 차로 인해 UE 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제1 링크에서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기지국 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2가지 유형의 UE가 있는데, 예를 들어, 기지국 1과 직접 통신하는 중계 UE 및 스마트 밴드 또는 다른 웨어러블 장치와 같이, 중계 UE를 사용해서 기지국 1과 통신할 수 있는 원격 UE가 있다. 선택적으로, 원격 UE와 기지국 1 간에는 다이렉트 링크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임의의 유형의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면, 많은 경우에 불필요한 전송이 수행되며, 그 결과 원격 UE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크기 및 비용의 제약으로 인해, 원격 UE의 액정 발진기의 안정성 및 품질이 중계 UE의 그것들보다 낮다. 그러므로 중계 UE의 타이밍을 중계 UE와 원격 UE 간의 링크에서의 동기화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면 통신 신뢰도 및 성능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원격 UE의 액정 발진기의 안정성은 대략 40 ppm이고, 중계 UE의 액정 발진기의 안정성은 대략 20 ppm 이내에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 8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401. 제1 UE는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UE는 도 8에서의 중계 UE일 수 있고, 제1 UE는 임의의 유형의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는 SLSS_net의 일부의 부분집합일 수도 있고, SLSS_oon의 일부의 부분집합일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집합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기도 하고 미리 설정되기도 하며 구체적으로 원격 UE가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된다.
SLSS_net은 동기화 신호 시퀀스 식별자의 집합이고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동기화 소스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SLSS_oon(네트워크 외부의 SLSS)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의 SLSS이다.
402. 동기화 신호가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고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기도 하고 미리 설정되기도 한다.
단계 402에서, 단계 401에서의 동기화 신호가 전송단, 즉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면,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더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품질은 다음: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또는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중 어느 하나이다. 이 경우,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403.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전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원격 UE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관계없이 그리고 제2 링크에서의 중계 UE의 신호 품질에 관계없이, 중계 UE만이 원격 UE와 중계 UE 간의 데이터 통신 동안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UE 간의 동기화를 실행하며, 원격 UE의 전력 소모를 감소한다.
실시예 5
구체적으로, 제2 UE가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더 높은 정확도의 동기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501.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 정보 및/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림 차순의 우선순위가 다음과 같이 제1 동기화 정보에 명시된다.
네트워크 밖의 UE의 수신기에 있어서,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의 순서는: GNSS, SNSS와 동기화된 UE, 기지국과 동기화된 UE 및 로컬 타이밍을 사용하는 UE일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UE의 수신기에 있어서,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는 기지국에 기초해서 구성될 수 있고, 우선순위의 순서는: 기지국, 기지국과 동기화된 UE, 위성 및 위성과 동기화된 UE일 수도 있고, 위성, 기지국, 기지국과 동기화된 UE 및 위성과 동기화된 UE일 수도 있다.
다양한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은 임계값 1, 임계값 2, 임계값 3 및 임계값 4이다. 이러한 임계값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502.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 UE가 제1 UE로부터 제1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제1 UE의 동기화 소스는 GNSS이며, GNSS가 최고 우선순위이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UE는 제1 UE의 신호 품질이 임계값 1보다 높은지를 판정하고, 제1 UE의 신호 품질이 임계값 1보다 높으면,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제1 UE의 신호 품질이 임계값 1보다 높지 않으면, 제2 UE는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GNSS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GNSS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의 신호 품질이 GNSS의 신호 품질보다 낮으면, GNSS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사용한다.
특히,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사용될 때 상대적으로 높은 동기화 정확도가 달성되기 때문에,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 및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비트 inGNSS 필드를 제1 동기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정보가 "1"이면,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으로부터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가 "0"이면,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으로부터 오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있어서, 표 2에 나열된 방식은 두 가지 유형의 동기화 소스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nGNSS SLSS 제1 UE의 유형
"1" SLSS_oon 네트워크 외부에 있으면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동기하거나 GNSS로부터 오는 UE
"0" SLSS_oon 네트워크 외부에 있으면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동기하지 않거나 GNSS로부터 오지 않는 UE
"1" SLSS_net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동기하거나 GNSS로부터 오는 UE
"0" SLSS_net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타이밍이 GNSS의 타이밍과 동기하지 않거나 GNSS로부터 오지 않는 UE
SLSS_oon은 동기화 신호 시퀀스 식별자의 집합이고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의 동기화 소스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SLSS_net은 동기화 신호 시퀀스 식별자의 집합이고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동기화 소스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제1 UE의 타이밍이 GNSS로부터 오고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으면 제2 UE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사용한다.
복수의 동기화 소스(즉, 복수의 제1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와 상대적으로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 선택하여, 제2 UE의 동기화 신뢰도 및 동기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각각에서,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특정한 방식을 강조하여 설명하여, 수신단으로서 사용되는 제2 UE가 물리적 계층에서, D2D 시스템 내의 동기화 정보(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동기화 정보라고 함)와 제1 동기화 정보를 구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 UE에 의해 수행되는 검출을 단순화한다.
구체적으로, D2D 통신 프로토콜은 3GPP 프로토콜 Rel-12 및 Rel-13에 규정되어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은 통상적으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셀룰러 통신에 사용된다.
인터넷 차량 통신에서는 더 많은 주파수 스펙트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ffic System, ITS) 주파수 스펙트럼, 즉 약 5.9 GHz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스펙트럼은 논-셀룰러 통신 주파수 스펙트럼이다. 당연히, 셀룰러 통신 주파수 스펙트럼은 인터넷 차량 통신에서 교대로 사용될 수 있다.
환언하면, D2D 시스템과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있다. 그러므로 셀룰러 통신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D2D 서비스 및 인터넷 차량 서비스 모두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데이터가 복조되기 전에 수신단이 2개의 서비스를 구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D2D 수신단은 인터넷 차량 서비스를 수신하고 복조하며, 인터넷 차량에서의 수신단은 D2D 서비스를 수신하고 복조한다. 즉, 2개의 서비스는 복조가 물리적 계층에서 수행된 후에만 서비스 계층에서 구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신단에 의해 불필요한 검출과 전력 소모가 야기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UE 사이에서 동기화가 수행될 때 후속의 통신 서비스가 D2D 서비스인지 또는 인터넷 차량 서비스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법은: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동기화 정보는 3GPP 프로토콜 Rel-12 및 Rel-13에 규정된 제2 동기화 정보와 다르다.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가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
2.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
3.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
4.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
5.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 다른 5가지 특정한 경우를 설명한다.
1.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즉, SLSS, SLSS는 PSSS 및 SSSS를 포함한다)의 심볼 위치가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종래기술의 정상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경우에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 및 SSSS의 위치를 도시하며, 도 12는 종래기술의 확장 CP 경우에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 및 SSSS의 위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정상 CP 경우에,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1 내의 PSSS는 제1 타임슬롯의 다른 심볼, 예를 들어, 심볼 0, 4, 5, 또는 6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PSSS를 획득한다. 대안으로,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내의 PSSS는 제1 타임슬롯의 다른 심볼, 예를 들어, 심볼 0, 4, 5, 또는 6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PSSS를 획득한다. GAP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확장 CP 경우에,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0 내의 PSSS는 제1 타임슬롯의 다른 심볼, 예를 들어, 심볼 3, 4, 또는 5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PSSS를 획득한다. 대안으로,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P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1 내의 PSSS는 제1 타임슬롯의 다른 심볼, 예를 들어, 심볼 3, 4, 또는 5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PSSS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정상 CP 경우에,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S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4 및 5 내의 SSSS는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 예를 들어, 타임슬롯 1에서의 심볼 4 및 5, 타임슬롯 1에서의 심볼 5 및 6, 타임슬롯 1에서의 심볼 6과 타임슬롯 2에서의 심볼 0, 타임슬롯 2에서의 심볼 0 및 1, 또는 타임슬롯 2에서의 심볼 1 및 2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SSSS를 최종적으로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S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4 및 심볼 5 내의 SSSS는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데이터 심볼 위치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SSSS를 최종적으로 획득한다.
확장 CP 경우에,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S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4 내의 SSSS는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 예를 들어, 타임슬롯 1에서의 심볼 3 및 4, 타임슬롯 1에서의 심볼 5 및 0, 또는 타임슬롯 2에서의 심볼 0 및 1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SSSS를 획득한다. 대안으로,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S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심볼 4 내의 SSSS는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데이터 심볼 위치에 매핑되어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SSSS를 최종적으로 획득한다.
S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된 후, SSSS의 원래의 심볼 위치에 데이터 심볼이 부가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PSSS의 심볼 위치가 이동된 후, PSSS의 원래의 심볼 위치에 데이터 심볼이 부가된다.
2.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정상 CP 경우에, PSSS의 원래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하나 또는 2개의 PSSS 심볼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0 및/또는 심볼 3에 부가될 수 있다. 대안으로, SSSS의 원래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하나 또는 2개의 SSSS 심볼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2 및/또는 심볼 3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5 및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1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가 이동될 수 있다.
확장 CP 경우에, PSSS의 원래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하나의 PSSS 심볼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에 부가될 수 있다. 대안으로, SSSS의 원래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하나의 SSSS 심볼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2에 부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타임슬롯의 심볼 4 및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모두로 DMRS가 이동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전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를 복조하는 성능은 동기화 신호 내의 PSSS 및 SSSS의 품질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3.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차이는 다음과 같이 하나 이상의 관점에 있다: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또는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이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과 다르다는 것.
예를 들어, 종래의 D2D에서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는 다음의 방식으로 생성된다: PSSS 동기화 시퀀스에 있어서, 종래의 D2D 통신 기술에서, PSSS 시퀀스는 63의 길이는 갖는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를 사용해서 생성되며, PSSS에 대해서는 루트 시퀀스 26 및 27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루트 시퀀스 26 및 27과는 다른 루트 시퀀스(즉, 제1 동기화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러트 시퀀스 x 및 y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x 및 y는 26 및 27과는 다른 값이다.
대안으로, D2D 통신에서의 시퀀스와는 다른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 시퀀스, Gold 시퀀스 또는 다른 의사-랜덤 시퀀스가 사용된다.
대안으로,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2개의 PSSS 심볼에 대해 다른 ZC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번호 (26, 37) 또는 (37, 26)를 갖는 ZC 시퀀스 또는 루프 번호 (X, Y)를 갖는 시퀀스가 2개의 인접하는 PSSS 각각에 대해 사용되며, 여기서 X는 Y와 같지 않다.
SSSS 동기화 시퀀스에 있어서, 종래의 D2D 통신 기술에서,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가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의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와 동일한 시스템이 SSSS 시퀀스에 대해 사용된다. 효과적인 SSSS 시퀀스는 31의 길이를 갖는 m 시퀀스를 사용해서 생성되는 Gold 시퀀스이고 대응하는 시퀀스 번호는 0 내지 167이다.
D2D 통신 기술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역시 인터넷 차량의 제1 동기화 정보 내의 SSSS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나, 시퀀스 번호는 LTE 시스템에 대해 예약된, 167보다 큰 시퀀스의 번호일 수 있다.
대안으로, 2개의 SSSS 시퀀스가 위치하는 심볼에 다른 SSSS 시퀀스 번호가 매핑되거나, 부반송파에 대한 매핑 시퀀스가 다른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각각의 다운링크 시스템 프레임 중 서브프레임 0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5 내의 SSSS 시퀀스가 사용되거나, 부반송파에 대한 이하의 다른 방식의 매핑 시퀀스가 사용된다.
4.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셀룰러 다운링크의 각각의 시스템 프레임 중 서브프레임 5 내의 다운링크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및/또는 제2 동기화 시퀀스에 의해 점유되는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는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0 또는 서브프레임 5 중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 상의 시퀀스에 각각 대응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D2D 통신 기술에서, LTE 셀룰러 다운링크에서의 각각의 시스템 서브프레임 중 서브프레임 0의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정보 내의 SSSS 시퀀스에 대해 사용되며, 매핑 방식은 다음의 식(1)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1
(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짝수 부반송파에 매핑되는 시퀀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3
는 홀수 부반송파에 매핑되는 시퀀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이고,
Figure pct00007
,
Figure pct00008
, 및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선택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법 1: LTE 서브프레임 0의 시퀀스는 제1 동기화 정보의 SSSS 시퀀스로 사용될 수 있으나, 홀수 부반송파 및 짝수 부반송파에 매핑된 시퀀스는 변하지 않는다. 이 경우, 매핑 방식은 다음의 식(2)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11
(2)
방법 2: LTE 서브프레임 5의 시퀀스는 제1 동기화 정보의 SSSS 시퀀스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실시는 다음과 같다:
제1 매핑 방식: 이 매핑 방식은 식(1)에서의 매핑 방식과 유사하며, 이하의 식(3)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12
(3)
제2 매핑 방식: 전술한 식(3)과 비교하면, 홀수 부반송파 및 짝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시퀀스는 변하지 않는다. 이 경우, 매핑 방식은 이하의 식(4)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13
(4)
5.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여기서 제어 채널은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PSBCH 채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차이는 다음과 같이 하나 이상의 관점에 있다:
(1)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는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와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의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의 시퀀스와 다르거나; 또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의 심볼 위치는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거나; 또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에 의해 점유된 심볼의 수량은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에 의해 점유된 심볼의 수량과 다르다.
가능한 설계에서, 확장 CP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타임슬롯 1의 심볼 5에 새로 부가된 DMRS 심볼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타임슬롯 1의 심볼 4 및 타임슬롯 2의 심볼 0 각각에 새로 부가된 DMRS 심볼이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정상 CP 서브프레임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슬롯 1의 심볼 6에 DMRS 심볼이 부가될 수 있고, 타임슬롯 2의 심볼 0에 DMRS 심볼이 부가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슬롯 1의 심볼 6 및 타임슬롯 2의 심볼 0 모두에 DMRS 심볼이 부가될 수 있고, 타임슬롯 1의 심볼 5 및 타임슬롯 2의 심볼 1 모두에 DMRS 심볼이 부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타임슬롯 1의 심볼 1 및 심볼 2의 2개의 PSSS가 심볼 0 및 심볼 1에 부가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DMRS를 사용해서 모든 데이터 심볼을 추정하는 최적의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타임슬롯에서, PSSS가 심볼 0의 위치로 이동된 후, 심볼 0에는 데이터 심볼이 없으며, 심볼 2 내의 데이터 심볼은 DMRS에 인접하므로, 데이터 심볼을 추정하는 성능은 보장될 수 있다. 이것은 차량이 인터넷 차량에서 고속으로 이동할 때 차량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순환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마스크는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CRC 마스크와 다르다.
D2D 시스템에서, PSBCH 채널에 16 비트 CRC가 사용되며, CRC 마스크는 사용되지 않는다. 즉, CRC 마스크는 16개의 올-제로(all-zero) 비트의 길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인터넷 차량에서, 16개의 논-올-제로(non-all-zero) 비트의 길이를 가진 CRC 마스크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부가되어, D2D 시스템에서의 PSBCH와 인터넷 차량에서의 PSBCH를 구별할 수 있다.
PSBCH 유형 PSBCH의 CRC 마스크
D2D systemD2D 시스템에서의 PSBCH 0000000000000000
본 발명에 사용되는 PSBCH 16 논-올-제로 비트, 예를 들어, 0000000011111111
(4)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는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와 다르다.
예를 들어, D2D 시스템에서, PSBCH 채널의 패킷 크기는 40 비트이고;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 PSBCH 채널의 패킷 크기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으므로, 수신단, 즉 제2 UE는 전송단에 의해 사용되는 PSBCH 채널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5)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는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와 다르다.
현재, PSBCH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은
Figure pct00014
이고,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의 PSBCH에 사용되는 초깃값은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의 사용되는 ID, 예를 들어
Figure pct00015
로 변형될 수 있다. ID는 D2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ID와는 다르다.
대안으로,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은
Figure pct00016
이 아닌 다른 값, 예를 들어
Figure pct00017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18
는 0이 아닌 상수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의 제1 동기화 정보는 D2D 시스템에서의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동기화를 수행할 때, 수신단으로 사용되는 제2 UE는 후속의 통신 서비스가 D2D 서비스인지 인터넷 차량 서비스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UE 또는 제2 UE에 의해 수행되는 검출을 단순화하며 불필요한 오류 검출을 회피한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특정한 방법이 제공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SBCH 채널 상에서 운송될 수 있고,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DMRS의 수량이 적어도 3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 가능한 데이터 심볼의 수량이 감소하고 PSBCH 채널의 비트 레이트는 증가한다. 그 결과, 수신단, 즉 제2 UE의 검출 성능은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D2D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주기는 40 ms이다. 수신기(예를 들어, 제2 UE)가 동기화 신호와 동기하는 데 수백 밀리초가 걸리며, 결과적으로 신호를 검출하는 데 지나치게 시간이 걸린다. 근본적인 원인은 종래의 D2D 동기화 신호의 성능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제1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주기 내에서 주기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제1 동기화 정보는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보다 작지 않은 양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특정한 방식에 대해서는 실시예6에서 제공된 방법을 참조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N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일 수 있거나,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간격이 동기화 주기의 1/N이다.
바람직하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즉, 제1 동기화 정보 및 제2 동기화 정보)이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며; 및/또는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2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신호와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는 정확하게 동일하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는 동일하고, LTE 세컨더리 동기화 서브프레임 1 내의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로 사용된다.
대안으로,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동기화 신호와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는 다르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는 다르다. 즉,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와 다를 수 있으며, 여기서 2개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는 동일한 심볼 내에 있다. 대안으로, LTE 서브프레임 0 내의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 및 LTE 서브프레임 5 내의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는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제1 동기화 정보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PSBCH 채널과 같은 제어 채널을 위한 매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적어도 M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M개의 부분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에 각각 매핑되거나; 또는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서 M회 전송되고, 여기서 M은 2보다 작지 않다.
예를 들어, 2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즉,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2개의 서브프레임에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것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PSBCH 채널에 관한 내용 중 동일한 부분은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에 각각 매핑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채널에 관한 내용 중 2개의 동일한 부분이 송신된다.
대안으로, 채널 코딩, CRC 및 복조(예를 들어 QPSK)는 PSBCH 채널에 관한 내용 중 한 부분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 처리된 PSBCH 채널은 2 부분으로 분할되며, 이 2 부분은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에 각각 매핑된다. 즉, 하나의 채널에 관한 2개의 다른 부분은 2개의 서브프레임에 각각 매핑되고 송신된다.
또한,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 적어도 2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 동기화 주기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0 및 서브프레임 01이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으로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10 및 서브프레임 11이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할 때, 제1 UE는 적어도 2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선택하여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하여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정보, 예를 들어 제3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언하면,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하여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할 때, 제1 UE는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다음의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할 때, 제1 UE는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 즉 다른 동기화 소스를 동시에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제1 동기화 정보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동기화 주기 내에서 송신되므로,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심볼의 수량이 DMRS의 수량을 보장하면서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채널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므로 제2 UE가 제어 채널 및 제1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8
도 19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관련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설명되지 않은 기술적 설명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 또는 차량과 같은 UE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서의 제1 UE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결정 유닛(01) 및 송신 유닛(02)를 포함한다.
결정 유닛(01)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송신 유닛(02)은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 사용된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복수 편의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여, 인터넷 차량과 같은 고 신뢰도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UE 간의 동기화 신뢰도 및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0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로부터 오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다.
이 방식에서,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와 동일하고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 선택할 때, 제2 UE의 타이밍이 제2 링크의 기지국의 타이밍과 동일할 때, 타이밍 차이로 인한 기지국의 수신기 또는 제2 링크의 UE의 수신기 상의 잠재적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고 제2 UE가 제1 UE를 동기화 소스로 선택할 때, 제2 UE의 타이밍이 제2 링크에서의 기지국의 타이밍과 동일하므로, 제1 링크에서의 동기화 정확도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대안으로, 획득 유닛(03)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와 관련 없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와 제2 링크에서의 서빙 셀 간의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동기화 소스 및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는 셀에 대응하는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가진 셀 커버리지 영역 내의 기지국의 업링크 수신기 상에서의 간섭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결정 유닛(01)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를 포함하며, 송신 유닛(02)은 제1 UE와 제2 UE 간의 타이밍 지연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UE가 제1 셀에 있고, 제2 UE가 제1 셀에 인접한 제2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다음: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 간의 차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이 동기이다는 것; 제1 셀의 커버리지 반경과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간의 차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또는 제1 셀의 전송 전력과 제2 셀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가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해서, 제1 UE와 제2 UE가 모두 제1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4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이다.
제1 UE에 의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이 부가되므로, 제1 UE는 이러한 조건들에 따라 SLSS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되므로 UE에 의해 제1 링크에서 송신되도록 트리거링되는 SLSS를 사용해서 제1 링크에서의 동기화를 더 좋게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패킷 손실이나 검출 오류와 같이, 지연 차로 인해 UE 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제1 링크에서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 물리적 제어 채널 상에서 및/또는 SLSS에서 운송된다.
대안으로, 결정 유닛(01)은: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동기화 신호가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고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면,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전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원격 UE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관계없이 그리고 제2 링크에서의 중계 UE의 신호 품질에 관계없이, 중계 UE만이 원격 UE와 중계 UE 간의 데이터 통신 동안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한다. 이것은 UE 간의 동기화를 실행하며, 원격 UE의 전력 소모를 감소한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정보는 다음: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같음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기적임을 의미하는 것;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같음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같음을 의미하는 것;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의미하는 것; 또는 제1 동기화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고 그 자체의 타이밍을 사용함을 의미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관련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설명되지 않은 기술적 설명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 또는 차량과 같은 UE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의 제1 UE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결정 유닛(11) 및 송신 유닛(12)를 포함한다.
결정 유닛(11)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12)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동기화 정보는 제2 동기화 정보와 다르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다.
상기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은: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5의 다운링크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사용되는 것 -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임 - ; 및/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에 의해 점유되는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는 상기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0 또는 서브프레임 5 중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시퀀스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순환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마스크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CRC 마스크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와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상 CP 경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6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3을 점유하거나,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5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1 및 3을 점유하며; 확장 CP 경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5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2를 점유하거나,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4 및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2를 점유한다.
이 방식에서, 인터넷 차량 시스템에서의 제1 동기화 정보는 D2D 시스템에서의 제1 동기화 정보와 다르게 되도록 설정되며, 동기화를 수행할 때, 수신단으로 사용되는 제2 UE는 후속의 통신 서비스가 D2D 서비스인지 인터넷 차량 서비스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UE 또는 제2 UE에 의해 수행되는 검출을 간략화하고 불필요한 오류 검출을 피한다.
또한, 송신 유닛(12)은 구체적으로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동기화 주기 내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N은 2보다 작지 않은 양의 정수이다.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N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이거나,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간격은 동기화 주기의 1/N이다.
예를 들어,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고; 및/또는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는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
또한, 송신 유닛(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제3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 제1 동기화 정보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동기화 주기 내에서 송신되므로,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심볼의 수량이 DMRS의 수량을 보장하면서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채널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므로 제2 UE가 제어 채널 및 제1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관련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설명되지 않은 기술적 설명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 또는 차량과 같은 UE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서의 제1 UE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획득 유닛(21) 및 판정 유닛(22)를 포함한다.
획득 유닛(21)은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판정 유닛(22)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고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상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임 - 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제2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3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신호 품질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 정보 및/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판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가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 및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9 내지 도 22에서의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도 23에서의 사용자 기기(UE)로서 실현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사용자 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 통신 버스(32), 메모리(33),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34)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31), 통신 인터페이스(34) 및 메모리(33)는 통신 버스(32)를 사용해서 서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결정 유닛(01, 11), 판정 유닛(22), 송신 유닛(02 및 12) 및 획득 유닛(03 및 21)은 도 23에 도시된 프로세서(31)가 메모리(33)에서 명령을 불러내어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3)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서(31)는 통신 버스(32)를 사용해서 메모리에 접속되며, 사용자 기기(100)가 작동하면, 프로세서(31)는 메모리(33)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100)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한다.
프로세서(31)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대안으로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로 약칭),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로 약칭),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 약칭),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31)는 사용자 기기(100)의 제어 센터이다. 프로세서(31)는 통신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33) 내의 소프트웨어를 호출하거나 메모리(33) 내의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사용자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한다.
통신 버스(32)는 채널을 포함하고 전술한 구성요소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4)는 다른 장치 또는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장치와 같은 임의의 송수신기를 사용한다.
메모리(33)는 정적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장치일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러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광학 디스크 저장 장치(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을 포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 또는 데이터의 구조적 형태로 운송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면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버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일체화될 수 있다.
메모리(33)는 본 발명의 솔루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서(31)는 그 실행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는 메모리(33)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한 실시 동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는 하나 이상의 CPU, 예를 들어, 도 23에서의 CPU 0 및 CPU 1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동안,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10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도 23에서의 프로세서(31) 및 프로세서(3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single-CPU)일 수도 있고,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PU)일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장치, 회로, 및/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를 처리하는 프로세싱 코어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 동안,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100)는 출력 장치(35) 및 입력 장치(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35)는 프로세서(31)와 통신하고, 여러 방식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3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장치, 캐소드 레이 튜브(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장치,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다. 입력 장치(36)는 프로세서(31)와 통신하고, 여러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36)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장치, 센서 장치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기기(100)는 범용 컴퓨터 장치 또는 전용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 동안, 사용자 기기(100)는 차량 탑재 컴퓨터, 포터블 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무선 단말 장치, 통신 장치, 임베디드 장치 또는 도 23에서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0)의 유형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는 동기화되어야 하는 제2 UE에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때, 제2 UE는 수신된 복수 편의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인터넷과 같이 고 신뢰성 및 저 레이턴시 통신의 시나리오에서 UE 간의 동기화의 신뢰성 및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의 분할은 도해를 위한 예로서 취해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의 응용에서, 전술한 기능은 다른 모듈에 할당될 수 있고 요건에 따라 실행될 수 있으며,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기 위한 다른 기능 모듈로 분할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에 대한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된다는 것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수 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일종의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의 실행 동안 다른 분할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식, 기계식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어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이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행 방식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하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45)

  1.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하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와 관련 없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와 제2 링크에서의 서빙 셀 간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타이밍 지연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제1 셀에 있고, 상기 제2 UE가 제1 셀에 인접한 제2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다음: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 간의 차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이 동기이다는 것;
    제1 셀의 커버리지 반경과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간의 차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또는
    제1 셀의 전송 전력과 제2 셀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가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제1 UE와 제2 UE가 모두 제1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4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 물리적 제어 채널 상에서 및/또는 SLSS에서 운송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가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고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일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기함을 의미한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일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동일함을 의미한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내부로부터 오고 제1 UE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의미한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다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 UE가 네트워크 외부에 있고 자체 타이밍을 사용함을 의미한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2.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며,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제1 동기화 시퀀스와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조합 방식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은: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5의 다운링크 세컨더리 동기화 시퀀스가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사용되는 것 -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임 - ; 및/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에 의해 점유되는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는 상기 제2 링크의 서브프레임 0 또는 서브프레임 5 중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짝수 부반송파 및 홀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시퀀스에 각각 대응하는 것
    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순환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마스크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CRC 마스크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의 패킷 크기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초깃값 또는 초깃값의 컴퓨팅 파라미터와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다르다는 것은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정상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경우에,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6과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3을 점유하거나,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3 및 5와 제2 타임슬롯의 심볼 1 및 3을 점유하며,
    확장 CP 경우에,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5와 제2 타임슬롯의 심볼 2를 점유하거나,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서브프레임 중 제1 타임슬롯의 심볼 2 및 4와 제2 타임슬롯의 심볼 0 및 2를 점유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동기화 주기 내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작지 않은 양의 정수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서 N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이거나,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간격은 상기 동기화 주기의 1/N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적어도 M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부분은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에 각각 매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은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서 M회 전송되고, 여기서 M은 2보다 작지 않은,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 및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면,
    상기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는 상기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1 동기화 시퀀스와 다르며; 및/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는 상기 제2 동기화 서브프레임의 제2 동기화 시퀀스와 다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면,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UE가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가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제3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4.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제2 사용자 기기(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상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임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고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제2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3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 정보 및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8. 제24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E가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신호 품질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 및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E가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가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30.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로서,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 -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제2 UE가 수신된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UE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타이밍 정보 및 제1 UE의 동기화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로부터 오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하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2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E의 동기화 소스의 타이밍은 위성 장치와 관련 없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와 제2 링크에서의 서빙 셀 간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와 제2 UE 간의 타이밍 지연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제1 UE가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UE가 제1 셀에 있고, 상기 제2 UE가 제1 셀에 인접한 제2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다음: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 간의 차이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제1 셀의 타이밍과 제2 셀의 타이밍이 동기이다는 것;
    제1 셀의 커버리지 반경과 제2 셀의 커버리지 반경 간의 차이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또는
    제1 셀의 전송 전력과 제2 셀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가 제3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UE와 제2 UE가 모두 제1 셀에 위치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은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4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다는 것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4. 제30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2 UE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동기화 신호가 제2 UE가 원격 UE임을 나타내고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면,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5.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로서,
    제1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및
    제1 링크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며,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이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가 제2 동기화 정보와는 다르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위치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서브프레임 내의 동기화 신호의 심볼 수량과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가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와 다르다는 것;
    상기 제1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 중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주파수-도메인 매핑 방식과 다르다는 것; 또는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이 상기 제2 동기화 정보를 운송하는 제어 채널과 다르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을 사용해서 동기화 주기 내에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N은 2보다 작지 않은 양의 정수인,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동기화 서브프레임이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면, 상기 동기화 주기 내에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한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제1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그룹의 동기화 자원 중 다른 그룹의 동기화 자원을 사용해서 다른 UE에 의해 송신된 제3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8.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로서,
    제1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되는 제1 UE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동기화 정보에 따라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할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 유닛
    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이고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링크의 주파수가 제2 링크의 주파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 대한 타이밍이 위성 장치의 타이밍과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상기 제2 링크는 제1 UE와 기지국 간의 링크이고, 상기 제1 링크는 제1 UE와 제2 UE 간의 링크임 -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이 제2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거나;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TA 값이 제3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1 UE가 위치하는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2 링크에서의 제1 UE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나타내는 정보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신호 품질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가진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동기화 소스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우선순위 정보 및/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가 제1 UE의 타이밍이 위성 장치로부터 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가 제1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외부에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2 UE가 제1 UE를 제2 UE의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기화 정보는 제1 UE의 타이밍 소스 정보 및 제1 UE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정보를 포함하며, 동기화 정보 송신 장치.
  43. 사용자 기기(UE)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해서 상기 메모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UE가 작동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44. 사용자 기기(UE)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해서 상기 메모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UE가 작동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45. 사용자 기기(UE)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해서 상기 메모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UE가 작동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KR1020187014067A 2016-01-20 2016-01-20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180072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1507 WO2017124338A1 (zh) 2016-01-20 2016-01-20 一种同步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746A true KR20180072746A (ko) 2018-06-29

Family

ID=5936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67A Ceased KR20180072746A (ko) 2016-01-20 2016-01-20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5026B2 (ko)
EP (1) EP3355628B1 (ko)
JP (1) JP6816857B2 (ko)
KR (1) KR20180072746A (ko)
CN (1) CN108476482B (ko)
WO (1) WO2017124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11A1 (ko) * 2018-10-11 2020-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713B1 (ko) * 2015-09-24 2020-08-2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동기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US11096086B2 (en) * 2016-04-14 2021-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FED2D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US11425671B2 (en) 2016-10-13 2022-08-23 Lg Electronics Inc.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EP3627915B1 (en) * 2017-05-14 2022-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de 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412764B (zh) * 2017-08-17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和装置
US11206628B2 (en) * 2017-09-28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quipment for selecting synchronization reference source for multi-carrier sidelink communication
KR20190127193A (ko) * 2018-05-03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그룹캐스트를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U2018432389A1 (en) * 2018-07-16 2021-03-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ynchronization source priority,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0768771B (zh) 2018-07-27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同步信号传输方法及终端
US20210168574A1 (en) * 2018-08-09 2021-06-03 Convida Wireless, Llc Beamforming and grouping for nr v2x
CN110912846B (zh) * 2018-09-18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的方法和通信装置
CN111132301B (zh) * 2018-10-31 2022-03-15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EP3909322A4 (en) * 2019-01-10 2022-06-22 Sharp Kabushiki Kaisha SYNCHRONIZATION FOR V2X COMMUNICATIONS
US11228993B2 (en) * 2019-02-07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synchronization among road side synchronization devices
CN111565447B (zh) * 2019-02-14 2022-09-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同步广播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设备
EP3716701A1 (en) * 2019-03-29 2020-09-30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Signaling method for d2d synchronization
CN111757458B (zh) * 2019-03-2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的方法和终端装置
CN111757456B (zh) * 2019-03-29 2022-10-0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发送及接收同步优先级信息的方法及设备
CN111865857B (zh) 2019-04-30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块的传输方法和装置
US12250669B2 (en) * 2019-05-10 2025-03-11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for sidelink
CN112188446B (zh) * 2019-07-05 2022-04-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发送方法、终端及装置、存储介质
US11696241B2 (en) * 2019-07-30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ynchronizing based on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prioritization
CN113193930B (zh) * 2020-01-14 2024-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通信设备
CN113141594B (zh) * 2020-01-17 2022-10-14 大唐高鸿智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同步方法、装置及车联网v2x设备
TWI786669B (zh) * 2020-06-12 2022-12-11 新加坡商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於多(子)系統共享幀配置的方法及裝置
WO2022000294A1 (zh) * 2020-06-30 2022-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间的信号同步方法及装置
US11997631B2 (en) 2020-08-17 2024-05-28 Mediatek Singapore Pte. Ltd. EHT error recovery in synchronous multiple-frame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2232061B2 (en) * 2020-09-17 2025-02-18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synchronization techniques
CN115002890B (zh) * 2021-03-01 2024-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5038159A (zh) * 2021-03-08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方法及通信装置
EP4380253A4 (en) * 2021-07-26 2024-10-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EP4380252A4 (en) * 2021-07-26 2024-11-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IME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USER DEVICE
CN115776348B (zh) * 2021-09-07 2024-10-29 宸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定时同步系统及一种定时同步切换方法
CN118524506A (zh) * 2023-02-20 2024-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6550B2 (en) * 2011-09-14 2015-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KR102049046B1 (ko) 2011-09-14 2019-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CN102571430B (zh) * 2012-01-05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设备间的同步方法及网络设备
CN104284436B (zh) * 2013-07-04 2018-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ue通信模式的方法、基站及ue
WO2015010337A1 (zh) 2013-07-26 2015-01-29 华为终端有限公司 同步信号的承载方法和用户设备
WO2015046264A1 (ja) * 2013-09-27 2015-04-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端末
US9615341B2 (en) * 2013-11-01 2017-04-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WO2015115974A1 (en) * 2014-01-31 2015-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nitor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4883728B (zh) * 2014-02-27 2019-05-3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d2d通信中的传输方法和装置
US20150264588A1 (en) *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etworks
US10660146B2 (en) * 2014-03-2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priority
KR101901949B1 (ko) * 2014-08-26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6036182A1 (ko) * 2014-09-05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6089185A1 (ko) * 2014-12-05 2016-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 간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079508B (zh) * 2015-03-19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d2d通信方法及装置
US10904848B2 (en) * 2015-07-09 2021-01-26 Lg Electronics Inc. Synchroniz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using method
CN107925977B (zh) * 2015-08-21 2021-02-2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v2x终端的信号的方法和装置
US10638342B2 (en) * 2015-12-21 2020-04-28 Apple Inc. Device and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WO2017123047A1 (ko) * 2016-01-15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2v 단말의 시간 동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11A1 (ko) * 2018-10-11 2020-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1997621B2 (en) 2018-10-11 2024-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5628B1 (en) 2023-07-26
JP6816857B2 (ja) 2021-01-20
EP3355628A4 (en) 2018-12-05
CN108476482B (zh) 2021-02-26
CN108476482A (zh) 2018-08-31
EP3355628A1 (en) 2018-08-01
US20180352525A1 (en) 2018-12-06
JP2018537026A (ja) 2018-12-13
WO2017124338A1 (zh) 2017-07-27
US10925026B2 (en)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026B2 (e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611945B2 (en) Synchroniz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20191811A1 (en) Transmission and receip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v2x terminals
US20190045469A1 (en) Transmission and receip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v2x terminals
CN110234148B (zh) 通信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9462891B (zh) 检测窗指示方法及装置
US10863466B2 (en) Synchronization signal selection
CN110972106B (zh) 同步方法、通信装置和网络设备
CN111865478A (zh) 侧行链路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设备
CN109479251B (zh) 同步方法及设备
CN112399469B (zh) 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CN111867077B (zh) 一种信道发送方法及通信装置
CN116615937A (zh) 一种寻呼指示方法及装置
CN112106420B (zh) 通信方法、设备及系统
CN110720236B (zh) 一种同步载波选取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N117956613A (zh) 用于旁路定位参考信号的按模式设计的方法及设备
CN105594237A (zh) 装置到装置(d2d)发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08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1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6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7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10621

Appeal identifier: 2020101002271

Request date: 202009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2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11

Effective date: 202106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6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0911

Decision date: 20210621

Appeal identifier: 2020101002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