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71338A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338A
KR20180071338A KR1020187014264A KR20187014264A KR20180071338A KR 20180071338 A KR20180071338 A KR 20180071338A KR 1020187014264 A KR1020187014264 A KR 1020187014264A KR 20187014264 A KR20187014264 A KR 20187014264A KR 20180071338 A KR20180071338 A KR 2018007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urvature
tongue
maximum value
sp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968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슈테르루티
조세프 슈테르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9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B61B12/12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for aerial rop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 백을 가지고 클램프 백에 인접한 클램핑 텅(2)을 가지는 클램핑 조(3, 5)를 포함하는, 케이블로 당기는 수송 수단을 위한 클램프(1)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클램프 백과 클램핑 텅(2)은 롤러를 위한 활주면(8, 9)을 가진다. 세로 방향으로, 클램핑 텅(2)은 실질적으로 S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활주면(8)을 가지고, 이는 클램프 백의 활주면(9) 내로 계속해서 합쳐진다.

Description

클램프
본 발명은 케이블로 당기는(cable-drawn) 수송 수단을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클램프는 클램프 스파인(spine)과 그러한 클램프 스파인과 인접하는 클램프 텅(tongue)을 가지며, 이러한 클램프 스파인과 클램프 텅들은 활차를 위한 활주면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면 체어 리프트(chair lift)의 의자(chair) 또는 케이블 카와 같이, 사람 및/또는 물건을 위한 수용 구역과, 그러한 수용 구역을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가지는, 케이블로 당기는 수송 수단과, 적어도 2개의 스테이션(station)을 가지는 케이블웨이(cablewa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케이블에 연결된 수송 수단은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다.
케이블웨이에서는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활차 조립체들을 이용하여 지탱하는 경우가 매우 자주 사용되고, 이 경우 몇몇 경우들에서는 클램프들이 활차 조립체 위로 움직이고 몇몇 경우들에서는 활차 조립체 밑으로 움직인다. 이는 이동 수단의 클램프들이 활차 조립체들의 활차들 위와 활차 조립체들의 활차들 상에서 움직여지거나 활차 조립체들의 활차들 바로 밑에 붙어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클램프들은 보통 그것들이 위에서부터 케이블 위에서 맞물리도록 설계되고, 그 결과 클램프들은 그것들이 상부 구역을 넘는 것보다 적게 케이블의 하부 구역을 넘어 돌출하고, 따라서 그것들이 활차 조립체 밑에서 이동할 때보다 활자 조립체 위로 이동할 때 문제가 덜 발생한다. 하지만, 클램프들이 케이블의 하부 구역 위에서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종류의 클램프들에 관한 제한 없이 본 발명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클램프들이 활차 조립체 밑에서 이동할 때에는, 활차 조립체의 개별 구성 성분뿐만 아니라 수송 수단의 구성 성분도 더 현저한 기계적 하중을 받게 되고, 승객들이 유쾌하지 않은 진동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이들 진동의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케이블로 당기는 수송 수단을 위한 클램프들은 케이블의 세로(longitudinal) 방향에서 볼 때, 클램프들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케이블 및/또는 클램프들의 상부 구역에서 연장하는 소위 클램프 텅(tongue)들을 가지고, 이는 클램프들이 활차들 밑을 통해 움직일 때 활차들이 클램프 상에서 그리고 클램프 스파인으로부터 떨어져서 좀 더 매끄럽게 달리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램프 스파인 위에서 가능한 한 매끄럽게 활차들이 굴러가게 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텅들의 기하학적 구조를 개선하는 목적에 근거를 둔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가지는 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클램프 텅들의 활주면은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연속적인 곡률(curvature)을 가지고 계속해서 클램프 스파인의 활주면과 합쳐져서, 억제하는(holding-down) 행위를 가지고 활차 조립체 밑을 이동하는 동안 시스템 구성 성분들의 임의의 갑작스런 가속이 감소되어, 동적인 시스템 거동, 즉 케이블 상의 클램프들과 활차들 또는 활차 조립체들의 상호 작용을 최적화한다.
클램프 텅들의 활주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프 텅들의 자유로운 단부(end)들의 구역에서 양의 곡률을 가지고, 그 다음에는 음의 곡률을 가지며, 전향점(turning point)이 상기 곡률들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양의 곡률이 전향점과 자유로운 단부 사이의 중앙 구역에서 최대값을 가지고/가지거나 클램프 텅의 자유로운 단부에서의 양의 곡률이 본질적으로 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수송 수단을 따라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클램프 텅들 위에서 구르는 활차 조립체의 달리는 활차들과 클램프의 연속되는 가속 거동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나머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모아질 수 있다.
도 1은 클램프 텅들을 가지고, 결합 클램프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클램프 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로부터의 클램프 텅의 밑에서 본 도면.
도 4는 클램프 텅들을 갖는 클램프의 길이에 따른 곡률의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
도 1은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소위 결합(coupling) 클램프라고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를 보여주고, 이러한 클램프(1)는 스테이션을 통해 이동할 때에는 그것의 길을 따라 이동할 때 클램프되어 있는 케이블로부터 분리된다. 하지만, 클램프의 타입은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클램프가 예를 들면, 비록 그것이 스테이션을 통해 이동할 때 케이블에 풀릴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된 것이어도 케이블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클램프이거나 주조(casting)에 의해 케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의 클램프들은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그것들은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타입에 관계없이 클램프(1)가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 위에서 맞물려야 하기 때문에, 그것은 높이(elevation)와 차단(obstruction)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높이와 차단 모두는 케이블에 관한 개별 활차와 활차 조립체의 활차들 모두를 위한 것이고, 이러한 높이 및 차단은 클램프가 활차들 위로 이동할 때 덜컹거림(jolting)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덜컹거림을 감소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클램프(1)는 클램프 텅(2)을 가지고, 이러한 클램프 텅(2)은 클램프(1) 상에서 그리고 클램프(1)로부터 떨어져 활차들이 좀 더 매끄럽게 달리게 한다.
만약 예시된 실시예에서처럼, 클램프(1)가 결합 클램프이라면, 클램프 텅(2)들은 클램프(1)의 고정된 클램핑 조(claimping jaw)(3) 상에서 고정된다. 케이블(도면들에서는 예시되지 않은)은 레버(4)를 통해 움직여질 수 있는 클램핑 조(5)와 클램프(1)의 고정된 부품(3) 사이에서 클램프된다. 클램프 텅(2)은 그것의 하부 베어링 표면(6)이 케이블 상에 놓여 있다.
클램프(1)가 활차 위에서 이동할 때에는, 그것들의 아래 주변부의 구역에서 활차와 접촉하게 되는 것은 클램핑 조(3, 5)뿐이고, 그 경우 클램프(1)가 꽤 케이블의 위쪽 변(side) 위로 돌출하기 때문에, 클램프(1)가 활차 밑에서 이동할 때보다 발생하는 덜컹거림의 양은 상당히 작다. 이 경우 활차는 우선 클램프 텅(2)의 하나의 단부(7) 상으로 달린 다음, 다른 클램프 텅(2)의 활주면(8) 상에서 다시 클램프(1)로부터 벗어나서 달리는, 클램핑 조(3, 5)의 클램프 스파인 상의 활주면(9)까지 케이블 반대쪽에 위치하는 변 상의, 활주면(8) 상에서 구른다. 도 1에 예시되는 클램프(1)의 실시예의 경우에, 클램프 스파인 상의 활주면(9)은 클램프(1)의 움직일 수 있는 클램핑 조(5)와 클램프(1)의 고정된 클램핑 조(3)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는 형성된다. 단면에서 보여진 것처럼, 활주면(8, 9)은 클램프 텅들의 세로 한계까지 가로로 구부러져 있다.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활차가 가능한 덜컹거림이 없는 방식으로 클램프 텅(2)들과 클램프 스파인 상에서 활주면(8, 9) 위를 달릴 수 있게 하기 위해, 클램프 텅(2)들은 본질적으로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는 활주면(8)을 가지고, 연속적인 곡률을 가지고 계속해서 클램프 스파인의 활주면과 합쳐진다.
클램프 텅(2)의 활주면(8)은 상기 클램프 텅(2)의 자유로운 단부(8)의 구역에서 양의 곡률(Kp)을 가지고, 그 다음, 즉 클램핑 조(3) 쪽으로 향하는 변에서는 음의 곡률(Kn)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황 내에서 양의 곡률은 활주면(8)의 곡률의 중심점이 클램프 텅(2)의 위, 즉 케이블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클램프 텅(2)의 변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음의 곡률은 활주면(8)의 곡률의 중심점이 케이블 쪽으로 향하는 클램프 텅(2)의 변 상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전향점(10)은 상기 곡률(Kp)과 상기 곡률(Kn) 사이에 위치하고, 이러한 전향점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프 스파인 쪽으로 향하는 클램프 텅(2)의 절반의 구역에 위치한다. 하지만, 전향점(10)이 위치하는 짧은 직선(rectilinear) 부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램프 스파인 상의 활주면(8)은 음의 곡률을 가지는데, 그 안으로는 클램프 텅(2)의 활주면(8)의 음의 곡률(Kn)이 계속해서 합쳐진다.
도 4는 활차 조립체의 활차들이 클램프(1) 상에서 특별히 매끄럽게 구르게 하는 활주면(8, 9)의 곡률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 경우 이하 설명된 곡률과 관련된 세부 사항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양의 곡률(Kp)은 전향점(10)과 자유로운 단부(7) 사이의 거의 중앙 구역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클램프 텅들의 자유로운 단부(7)에서는 본질적으로 0이다. 도 4의 그림에 예시된 것처럼 양의 곡률(Kp)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자유로운 단부로부터 최대값까지 증가한다. 이는 클램프 텅(2)의 단부(7)에서 곡률의 반경이 본질적으로 무한대이고, 곡률의 반경이 가장 작은 점(11)에서 최대값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그러한 점(11)에서의 최대값으로부터 전향점(10)까지 양의 곡률(Kp)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클램프 스파인의 중앙 구역(12)에서 이 경우 음의 최대값인 최대값에 다시 도달될 때까지 음의 곡률(Kn)에 합쳐진다. 이 경우 또한 전향점(10)으로부터 클램프 스파인 상의 최대값(12)까지 음의 곡률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비록 선형적 증가 및 감소가 바람직하지만, 곡률들은 모든 경우에 또는 단지 일부 경우들에서도 비선형적으로 증가 및/또는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직선 부분들은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갖는 개별 부분들 사이에, 하지만 상기 부분들 내에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양의 곡률(Kp)이 최대값(11)으로부터 전향점(10)까지 감소하는 것보다 클램프 텅의 자유로운 단부로부터 최대값(11)까지 더 현저한 정도로 증가하고, 음의 곡률은 클램프 텅(2)의 자유로운 단부(7)로부터 클램프 텅 상의 최대값(11)까지보다 전향점(10)으로부터 클램프 스파인 상의 최대값(12)까지 덜 현저한 정도로 증가한다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또한 모든 경우에 또는 단지 일부 경우들에서도 증가 및 감소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클램프 텅(2)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경우 무게를 줄이는 것에 관련되는 이유들 때문에 및/또는 탄력성 또는 댐핑(damping)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목부(recess)(13)들이 주된(main) 클램프-텅 몸체에 제공될 수 있다. 클램프 텅의 자유로운 단부(7)는 바람직하게는 둥글게 되어 있고, 그 경우 양의 곡률(Kp)은 둥글게 된 구역과 접해 있다.

Claims (20)

  1. 케이블로 당기는(cable-drawn) 수송 수단을 위한 클램프로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 스파인(spine)과 상기 클램프 스파인과 인접하는 클램프 텅(tongue)(2)을 구비한 클램핑 조(jaw)(3, 5)를 가지고,
    상기 클램프 스파인과 상기 클램프 텅(2)은 활차를 위한 활주면(8, 9)을 가지며,
    세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클램프 텅(2)은 본질적으로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연속적인 곡률을 가지고 계속해서 상기 클램프 스파인의 활주면(9)과 합쳐지는 활주면(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텅(2)의 활주면(8)은 상기 클램프 텅의 자유로운 단부(7)의 구역에서 양의 곡률(Kp)을 가지고, 상기 클램프 텅의 자유로운 단부(7)의 구역 다음에는 음의 곡률(K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Kp)과 상기 곡률(Kn) 사이에 전향점(1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점(10)은 상기 클램프 스파인 쪽으로 향하는 클램프 텅(2)의 절반의 구역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스파인 상의 활주면(9)은 음의 곡률(K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곡률(Kp)은 바람직하게는 중앙 구역,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향점(10)과 자유로운 단부(7) 사이의 중앙에서 최대값(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2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텅(2)의 자유로운 단부(7)에서의 양의 곡률(Kp)은 본질적으로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2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텅(2)의 자유로운 단부(7)는 둥글게 되어 있고, 상기 양의 곡률(Kp)은 바람직하게는 음의 곡률을 갖는 둥글게 된 구역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9. 제2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곡률(Kp)은 자유로운 단부(7)로부터 최대값(11)까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0. 제2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곡률(Kp)은 상기 최대값(11)으로부터 상기 전향점(10)까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1. 제2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스파인의 중앙 구역에서의 음의 곡률(Kn)은 최대값(1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2. 제2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곡률(Kn)은 상기 전향점(10)으로부터 상기 클램프 스파인 상의 최대값(12)까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3. 제10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곡률(Kp)은 상기 최대값(11)으로부터 상기 전향점(10)까지 감소하는 것보다 상기 클램프 텅(2)의 자유로운 단부(7)로부터 상기 최대값(11)까지 더 현저한 정도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곡률(Kn)은 클램프 텅(2)의 자유로운 단부(7)로부터 상기 클램프 텅(2) 상의 최대값(11)까지보다 상기 전향점(10)으로부터 상기 클램프 스파인 상의 최대값(12)까지 덜 현저한 정도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텅(2)은 케이블을 위한 베어링 표면(bearing surface)(6)을 가지고, 상기 베어링 표면은 상기 활주면(8) 반대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텅(2)은 상기 베어링 표면(6)의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클램핑 조(3, 5)를 가지고, 상기 클램핑 조(3, 5) 중 하나의 클램핑 조(3)는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클램프 텅(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의 곡률(Kp) 또는 음의 곡률(Kn)을 갖는 개별 부분들 사이에 및/또는 상기 부분들 내에 직선 부분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9. 사람 및/또는 물건을 위한 수용 구역과, 상기 수용 구역을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가지는, 케이블로 당기는 수송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램프(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 수단.
  20. 적어도 2개의 스테이션을 가지는 케이블웨이 시스템으로서,
    케이블에 연결된 수송 수단이 상기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고,
    상기 수송 수단은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램프(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시스템.
KR1020187014264A 2015-10-19 2016-09-21 클램프 Expired - Fee Related KR102049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677/2015A AT517919B1 (de) 2015-10-19 2015-10-19 Klemme
ATA677/2015 2015-10-19
PCT/EP2016/072444 WO2017067731A1 (de) 2015-10-19 2016-09-21 Kle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338A true KR20180071338A (ko) 2018-06-27
KR102049968B1 KR102049968B1 (ko) 2019-11-28

Family

ID=5695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9968B1 (ko) 2015-10-19 2016-09-21 클램프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0723368B2 (ko)
EP (1) EP3365214B1 (ko)
JP (1) JP6648269B2 (ko)
KR (1) KR102049968B1 (ko)
CN (1) CN108137064A (ko)
AR (1) AR106396A1 (ko)
AT (1) AT517919B1 (ko)
AU (1) AU2016343567B2 (ko)
BR (1) BR112018006889B1 (ko)
CA (1) CA3000876C (ko)
CL (1) CL2018000921A1 (ko)
CO (1) CO2018003773A2 (ko)
ES (1) ES2926492T3 (ko)
MA (1) MA44385A (ko)
MX (1) MX387192B (ko)
NZ (1) NZ741331A (ko)
PE (1) PE20180973A1 (ko)
PL (1) PL3365214T3 (ko)
RU (1) RU2694682C1 (ko)
TN (1) TN2018000107A1 (ko)
WO (1) WO2017067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7873B1 (de) * 2015-10-15 2019-04-15 C D C Chain Drive Crane Gmbh Seilbahnlaufwagen
AT517919B1 (de) * 2015-10-19 2020-12-15 Innova Patent Gmbh Klem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2721A1 (fr) * 1983-07-21 1985-02-13 Institut National Polytechnique De Grenoble Dispositif de fixation d'une télécabine ou d'un télésiège sur un câble muni d'une surface de roulement pour galets
FR2675451A1 (fr) * 1991-04-17 1992-10-23 Pomagalski Sa Dispositif d'entrainement et de commande d'une pince d'un teleporteur.
KR100224024B1 (ko) * 1993-03-30 1999-10-15 크리스토프 힌테레거 수송수단결합장치
CN104787054A (zh) * 2015-04-28 2015-07-22 北京中索国游索道工程技术有限公司 脱挂抱索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7464A (en) * 1960-04-12 1962-06-05 J W Penney & Sons Co Cable grip
FR2036543A5 (ko) * 1969-03-27 1970-12-24 Alsthom
DE2652315A1 (de) 1976-11-17 1978-05-18 Seilwolff Ag Vorrichtung zur beweglichen befestigung von kraftableitern an einem drahtseil
FR2506245B1 (fr) * 1981-05-20 1985-06-14 Montaz Mautino Ets Perfectionnement aux installations de transport par cable
SU1382705A1 (ru) 1985-03-25 1988-03-23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Специальным Видам Транспорта И Системам Автоматизации Канатный зажим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JPH0635851Y2 (ja) 1989-08-21 1994-09-21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握索装置
JPH03292252A (ja) 1990-04-06 1991-12-24 Mitsubishi Heavy Ind Ltd 握索装置のリードハンガー装置
FR2661880B1 (fr) 1990-05-10 1992-08-07 Bourgogne Plastiques Dispositif de remontee mecanique pour petits vehicules, du genre luges.
SU1773763A1 (ru) 1990-08-22 1992-11-07 Proizv Ob Sp Transportu Sistem Kahathый зaжиm пoдbechoй kahathoй дopoги
JP2574602Y2 (ja) 1990-08-22 1998-06-1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の固定式握索機のタング装置
JPH05162637A (ja) 1991-12-17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搬器用索道
FR2768112B1 (fr) 1997-09-08 1999-11-05 Noel Duffour Dispositif de graissage pour equipements depylones de remontee mecanique
CN2853533Y (zh) * 2005-12-14 2007-01-03 何盛 弧形固定抱索器
RU2471663C1 (ru) 2011-07-12 2013-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женерно-консультационный центр "Мысль" Новочерка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Канатное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м приводом для отцепляем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CO7030190A1 (es) 2013-02-12 2014-08-21 Univ Eafit Sistema de monitoreo de la condición de circulación de vehiculos en el punto de conexión y operación entre el cable, la cabina, la estación y la pinza soporte en un sistema de transporte de tracción por cable
CN203651755U (zh) 2013-12-03 2014-06-18 湖南永安煤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可摘挂抱索器
AT517919B1 (de) * 2015-10-19 2020-12-15 Innova Patent Gmbh Klem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2721A1 (fr) * 1983-07-21 1985-02-13 Institut National Polytechnique De Grenoble Dispositif de fixation d'une télécabine ou d'un télésiège sur un câble muni d'une surface de roulement pour galets
FR2675451A1 (fr) * 1991-04-17 1992-10-23 Pomagalski Sa Dispositif d'entrainement et de commande d'une pince d'un teleporteur.
KR100224024B1 (ko) * 1993-03-30 1999-10-15 크리스토프 힌테레거 수송수단결합장치
CN104787054A (zh) * 2015-04-28 2015-07-22 北京中索国游索道工程技术有限公司 脱挂抱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26492T3 (es) 2022-10-26
AT517919A1 (de) 2017-05-15
MA44385A (fr) 2019-01-23
NZ741331A (en) 2019-03-29
EP3365214A1 (de) 2018-08-29
CA3000876A1 (en) 2017-04-27
BR112018006889B1 (pt) 2023-03-21
CL2018000921A1 (es) 2018-06-01
PL3365214T3 (pl) 2022-12-12
AU2016343567B2 (en) 2019-11-07
AR106396A1 (es) 2018-01-10
MX2018004375A (es) 2018-08-01
RU2694682C1 (ru) 2019-07-16
WO2017067731A1 (de) 2017-04-27
CN108137064A (zh) 2018-06-08
PE20180973A1 (es) 2018-06-14
CO2018003773A2 (es) 2018-05-31
CA3000876C (en) 2020-01-07
EP3365214B1 (de) 2022-08-03
TN2018000107A1 (en) 2019-10-04
BR112018006889A2 (pt) 2018-10-16
KR102049968B1 (ko) 2019-11-28
MX387192B (es) 2025-03-18
US20180304908A1 (en) 2018-10-25
JP2018532639A (ja) 2018-11-08
AT517919B1 (de) 2020-12-15
US10723368B2 (en) 2020-07-28
AU2016343567A1 (en) 2018-04-26
JP6648269B2 (ja)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8213B2 (ja) 人または貨物を運搬する索道システム
KR20180071338A (ko) 클램프
CN105041865A (zh) 一种导向装置
US8567572B2 (en) Controlled-friction sliding device, such as a damper, which can operate in two directions
EP1470065B1 (en) Integrated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loads, in particular vehicles, along a production line
KR102553502B1 (ko) 차단 요소를 갖는 버클 텅
CN105228939B (zh) 自夹紧扶手驱动器
EP2504215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with at least one supporting cable and a haul cable
US20180099443A1 (en) Toggle clamp unit of a plastic processing machine, especially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8172073B2 (en) Device for detecting faulty positioning of a carrying cable in a cableway system
CN101804941B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扶手带导向装置
CN101336204A (zh) 沿支承轨道行驶的管线运输车
EP1832490A2 (en) Clamping system for carriers of an automatic cableway installation
JP2002046596A (ja) 空中ケーブルシステムの搬送手段用走行歯車機構
CN219751578U (zh) 一种适用于乘客输送装置的导靴的导轨
CN103863916B (zh) 电梯的紧急制动装置
JP4688696B2 (ja) 鉄道車両用集電舟装置
CN207433528U (zh) 一种单轨吊压托绳轮组
CN107801387A (zh) 用于将车辆联接到运输装置的牵引缆线的联接设备
HK40070610B (en) Brake device, e.g. with a wedge shaped brake element, for braking a travelling body that can be moved in a guided manner along a guide rail in a movement direction
US3150610A (en) Gripping device for transport or towing by cable
RU2017132788A (ru) Сан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