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049A -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1049A KR20180071049A KR1020160173786A KR20160173786A KR20180071049A KR 20180071049 A KR20180071049 A KR 20180071049A KR 1020160173786 A KR1020160173786 A KR 1020160173786A KR 20160173786 A KR20160173786 A KR 20160173786A KR 20180071049 A KR20180071049 A KR 201800710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information
- image
- external electronic
- ed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TV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 장치들간에 서로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간에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편집한 후 외부 전자 장치에 이미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이미지를 편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와 동기화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자 장치와 편집된 이미지를 동기화하기 위해 편집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가 편집될 때마다 편집된 이미지를 새로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에 시간이 소요되고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가 편집되면 동기화된 외부 전자 장치에도 편집된 이미지가 자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적은 네트워크 비용으로 빠르게 편집된 이미지를 동기화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제외한 제2 편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는 동작 및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은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편집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동작 및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외부 전자 장치와 동기화된 이미지가 편집되면 외부 전자 장치로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만을 전송하여 편집된 이미지의 동기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네트워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동기화 시스템(1000)은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예: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 및 서버(4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Wi-Fi(wireless-fidelity)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세 개의 전자 장치(100, 200, 300)를 포함하고 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두 개 이상(예: 두 개 또는 네 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 및 서버(400)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예를 들어, TV, 전자 액자, 모니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 및 서버(4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이미지를 동기화(또는,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서버(400)를 통해 이미지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에 새로운 이미지가 저장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서버(400)로 새로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이미지가 편집되면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이미지와 별도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 및 서버(4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편집 정보를 동기화(또는,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서버(400)를 통해 편집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이미지가 편집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편집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편집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편집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포함된 구성 중 서버(400)는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서버(4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는 서로 직접적으로 이미지 또는 편집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이미지가 편집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편집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들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이미지 또는 편집 정보를 동기화(또는, 공유)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에서 이미지가 편집된 경우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만을 동기화함으로써 동기화를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켜 네트워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및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3 전자 장치(300)는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는 이미지가 동기화되어 모두 동일한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201 동작에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203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가 편집되면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의 편집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또는, 이미지 필터) 정보, 이미지의 회전 정보, 레이아웃 정보, 매트 종류 정보, 매트 색상 정보, 매트 두께 정보 및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205 동작에서, 서버(400)로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편집 정보가 저장되면 동기화를 위해 새로운 편집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서버(400)로 편집된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07 동작에서, 서버(40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400)가 편집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와 서버(400)간에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209 동작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인 제2 전자 장치(200)로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200)는, 211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가 편집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및 서버(400)간에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 213 동작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300)는 턴 오프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턴 온 되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215 동작에서, 서버(400)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30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요청은 제3 전자 장치(300)의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마지막으로 동기화를 수행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217 동작에서, 제3 전자 장치(300)로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제3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을 확인하고,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편집 정보(예: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를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219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00)가 편집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간에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 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3 전자 장치(300)는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가 동기화되어 모두 동일한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301 동작에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303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가 편집되면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의 편집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또는, 이미지 필터) 정보, 이미지의 회전 정보, 레이아웃 정보, 매트 종류 정보, 매트 색상 정보, 매트 두께 정보 및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305 동작에서, 제2 전자 장치(200)로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편집 정보가 저장되면 동기화를 위해 새로운 편집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서버(400)로 편집된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07 동작에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가 편집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간에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 309 동작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인 제3 전자 장치(300)는 소지하고 외출한 후 집에 귀가하여 제3 전자 장치(30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311 동작에서,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마지막으로 동기화를 수행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는, 313 동작에서, 제3 전자 장치(300)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315 동작에서, 제2 전자 장치(200)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동기화를 수행한 전자 장치를 확인하고, 가장 최근에 동기화를 수행한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 사이에 동기화가 수행된 경우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최종 동기화 시간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최종 동기화 시간이 동일하면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30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수신한 경우 제2 전자 장치(200)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요청은 제3 전자 장치(300)의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200)는, 317 동작에서, 제3 전자 장치(300)로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제3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을 확인하고,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편집 정보(예: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를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전자 장치(300)는, 319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00)가 편집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 간에 제1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는 제1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제1 전자 장치(100)를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100, 200, 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입력 모듈(120), 통신 모듈(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가 이미지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전자 액자인 경우 입력 모듈(120)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이미지를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패널 또는 사용자의 펜 조작을 감지하는 펜 센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의 푸쉬 또는 회전 등을 감지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통신 모듈(130)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또는 적외선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3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30)은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30)은 외부 전자 장치로 편집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이미지를 편집하고 외부 전자 장치와 이미지 또는 편집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이미지 편집에 따라 생성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편집이 수행된 이미지와 별도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편집 정보는 이미지의 편집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정보는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 정보, 이미지의 회전 정보, 레이아웃 정보, 매트 종류 정보, 매트 색상 정보, 매트 두께 정보 및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효과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또는, 이미지 필터)의 식별하는 정보 및 이미지 효과의 적용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아웃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 각각의 위치 또는 크기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매트는, 예를 들어, 액자에 삽입된 사진 또는 그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공백 영역과 같이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매트 종류 정보는, 예를 들어, 매트에 포함된 무늬, 질감, 매트 등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매트를 식별하는 정보일 수 있다. 매트 두께 정보는, 각각의 방향(예: 상, 하, 좌 우 방향)별 매트의 두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예: 텍스트, 아이콘 또는 사용자의 필기 정보 등)를 식별하는 정보 및 오브젝트가 부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집 정보는 편집이 수행된 시간을 나타내는 편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 입력 모듈(120), 통신 모듈(130) 및 메모리(140) 각각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예: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에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제1 메뉴 및 복수의 제1 메뉴 중 현재 선택된 제1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메뉴는 편집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메뉴 중 하나는 이미지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메뉴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미지에 매트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메뉴는 편집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편집값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뉴 중 매트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복수의 종류의 매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에 복수의 제1 메뉴(11) 및 복수의 제2 메뉴(13)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메뉴는 제2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메뉴(11)는 디스플레이(110)의 세로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메뉴(13)는 디스플레이(110)의 가로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11) 및 제2 메뉴(13)는 서로 교차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메뉴(11)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1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메뉴(13)가 선택된 메뉴와 교차되어 제2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11) 및 복수의 제2 메뉴(13)가 교차하는 지점에 표시된 메뉴(15)는 현재 선택된 메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방향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제1 메뉴(11)의 위치를 변경하고, 제2 방향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제2 메뉴(13)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1 메뉴 및 제2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11) 및 복수의 제2 메뉴(13)가 교차하는 지점에 표시된 메뉴(15)는 편집 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뉴(15)에 포함된 이미지는 현재 선택된 제1 메뉴 및 제2 메뉴에 의한 편집값이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에 복수의 제1 메뉴(21) 및 복수의 제2 메뉴(23)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메뉴는 제2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메뉴(21)는 디스플레이(110)의 세로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메뉴(23)는 디스플레이(110)의 가로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방향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제1 메뉴(2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21)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1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메뉴(23)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2 방향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제2 메뉴(2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메뉴 및 제2 메뉴는 다른 메뉴들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메뉴의 색상, 투명도,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메뉴들과 상이하게 표시되거나 선택된 메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편집 대상 이미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집 대상 이미지는 현재 선택된 제1 메뉴 및 제2 메뉴에 의한 편집값이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에 복수의 제1 메뉴(21) 및 복수의 제2 메뉴(23)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 및 복수의 제2 메뉴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메뉴(31) 및 복수의 제2 메뉴(33)는 디스플레이(110)의 가로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방향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제1 메뉴(3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메뉴(31)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1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메뉴(33)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방향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제2 메뉴(3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메뉴 및 제2 메뉴는 다른 메뉴들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메뉴의 색상, 투명도,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메뉴들과 상이하게 표시되거나 선택된 메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편집 대상 이미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집 대상 이미지는 현재 선택된 제1 메뉴 및 제2 메뉴에 의한 편집값이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이미지가 편집되면 편집 정보(또는, 제1 편집 정보)를 생성하고, 편집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집 정보는 편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이미지가 편집될 때마다 편집 내용 및 편집 시간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이미지의 편집 과정에서 미리 편집된 내용 중 일부가 취소되면 취소된 편집 내용에 대응되는 편집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편집된 이미지와는 별도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이미지가 편집되면 편집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편집된 이미지와는 별도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통신 모듈(130)을 통해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새로운 편집 정보가 저장되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동기화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로 새로운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또는 제3 전자 장치(300))의 동기화 요청에 따라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로 생성된 편집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통신 모듈(13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또는, 제2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는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지 않더라도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지정된 주기에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외부 전자 장치로 최종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통신 모듈(13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하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통신 모듈(13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각각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가장 최근에 동기화를 수행한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요청한 복수의 전자 장치 사이에 미리 동기화가 수행된 경우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이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전자 장치의 최근 동기화 시간이 동일하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최종 동기화 시간을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는 상대적으로 제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50)는 동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메모리(140)에 동기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동기화 정보는, 예를 들어, 동기화된 장치의 식별 정보, 동기화를 위해 전송 또는 수신한 편집 정보 또는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편집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편집 정보에 포함된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하게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편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이미지를 편집된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와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다른 경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편집 내용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취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편집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편집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편집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 정보만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편집 정보 중 일부가 취소된 경우 취소된 편집 정보에 대한 편집 취소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13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 전자 장치(또는, 제2 전자 장치(200) 또는 제3 전자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610 동작에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620 동작에서, 이미지와 별도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가 편집되면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의 편집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또는, 이미지 필터) 정보, 이미지의 회전 정보, 레이아웃 정보, 매트 종류 정보, 매트 색상 정보, 매트 두께 정보 및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630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서버(400)로 편집된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편집 정보가 저장되면 동기화를 위해 새로운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또는 제3 전자 장치(300))의 동기화 요청에 따라 편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로 생성된 편집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 전자 장치(또는, 제2 전자 장치(200) 또는 제3 전자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710 동작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주기에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외부 전자 장치로 최종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3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각각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가장 최근에 동기화를 수행한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전자 장치의 최근 동기화 시간이 동일하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720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편집 정보에 포함된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정보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730 동작에서,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편집 정보에 포함된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취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편집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편집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편집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 정보만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는, 74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에 편집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를 편집된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 정보, 이미지의 회전 정보, 레이아웃 정보, 매트 종류 정보, 매트 색상 정보, 매트 두께 정보 및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정보는 편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편집 정보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제1 편집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제1 메뉴 및 상기 복수의 제1 메뉴 중 현재 선택된 제1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메뉴는 제2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메뉴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뉴는 서로 교차된 형태로 배치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제외한 제2 편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집 정보는 편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편집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제2 편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편집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제2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제2 편집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가장 최근에 동기화를 수행한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는 동작;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제외한 상기 편집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적용된 이미지 효과 정보, 이미지의 회전 정보, 레이아웃 정보, 매트 종류 정보, 매트 색상 정보, 매트 두께 정보 및 이미지에 부가된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는 편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편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정보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편집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의 이미지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제외한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편집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동작; 및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이후에 생성된 제2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가장 최근에 동기화를 수행한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최종 동기화 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최종 동기화 시간 정보를 먼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3786A KR20180071049A (ko) | 2016-12-19 | 2016-12-19 |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
US15/845,460 US20180176357A1 (en) | 2016-12-19 | 2017-12-18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
PCT/KR2017/014965 WO2018117576A1 (en) | 2016-12-19 | 2017-12-18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
EP17208201.8A EP3336844A1 (en) | 2016-12-19 | 2017-12-18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
CN201711378332.3A CN108205406A (zh) | 2016-12-19 | 2017-12-19 | 电子设备及其图像同步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3786A KR20180071049A (ko) | 2016-12-19 | 2016-12-19 |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049A true KR20180071049A (ko) | 2018-06-27 |
Family
ID=6093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3786A Withdrawn KR20180071049A (ko) | 2016-12-19 | 2016-12-19 |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176357A1 (ko) |
EP (1) | EP3336844A1 (ko) |
KR (1) | KR20180071049A (ko) |
CN (1) | CN108205406A (ko) |
WO (1) | WO20181175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62880B (zh) * | 2018-07-05 | 2020-01-14 |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书文件的制作方法、电子设备、服务器、存储介质 |
CN110753244B (zh) * | 2018-07-24 | 2022-10-2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场景同步方法、终端及存储介质 |
WO2021102850A1 (zh) * | 2019-11-28 | 2021-06-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图片识别的用户界面系统、电子设备及交互方法 |
CN111601035B (zh) * | 2020-05-08 | 2022-05-2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
US12114032B2 (en) | 2020-10-31 | 2024-10-0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
CN114527909B (zh) * | 2020-10-31 | 2025-02-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设备通信方法、系统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535679T2 (de) * | 1994-03-16 | 2009-01-02 | Sony Corp. | Bildeditionssystem |
JP4288879B2 (ja) * | 2001-09-14 | 2009-07-01 | ソニー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
US7340534B2 (en) * | 2002-03-05 | 2008-03-04 | Sun Microsystems, Inc. | Synchronization of documents between a server and small devices |
WO2007082171A2 (en) * | 2006-01-05 | 2007-07-19 | Eyespo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s for online collaborative video creation |
KR100983481B1 (ko) * | 2007-07-06 | 2010-09-27 | 엔에이치엔(주) | 복수의 편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편집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101256104B1 (ko) * | 2007-08-06 | 2013-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기 및 그 제어 방법 |
WO2011014789A1 (en) * | 2009-07-31 | 2011-02-03 | Citizenglob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processing and organizing of content including video |
KR101022716B1 (ko) * | 2010-08-04 | 2011-03-22 | 주식회사 유니웰시스 |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
US20120233555A1 (en) * | 2010-11-08 | 2012-09-13 | Eyelead Sa | Real-time multi-user collaborative editing in 3d authoring system |
KR101304663B1 (ko) * | 2011-08-29 | 2013-09-06 | (주)마인드메이플코리아 | 마인드맵 공동편집 시스템 및 방법 |
TW201318423A (zh) * | 2011-10-18 | 2013-05-01 | Acer Inc | 即時影像編輯方法與電子裝置 |
US20140229569A1 (en) * | 2013-02-11 | 2014-08-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ddress book in mobile terminal and server |
AU2014100584B4 (en) * | 2013-06-08 | 2015-03-0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ynchronizing two or more displays |
EP2927826B1 (en) * | 2014-04-04 | 2022-06-29 | Avid Technology, Inc. | Method of consolidating, synchronizing, and streaming production content for distributed editing of media compositions |
CN103986504B (zh) * | 2014-05-20 | 2017-01-18 |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图像共享的方法及电子设备 |
CN104199737B (zh) * | 2014-08-04 | 2018-11-23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一种用于同步所处理的图像的方法和装置 |
-
2016
- 2016-12-19 KR KR1020160173786A patent/KR2018007104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12-18 EP EP17208201.8A patent/EP333684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2-18 WO PCT/KR2017/014965 patent/WO201811757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2-18 US US15/845,460 patent/US2018017635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2-19 CN CN201711378332.3A patent/CN10820540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76357A1 (en) | 2018-06-21 |
EP3336844A1 (en) | 2018-06-20 |
CN108205406A (zh) | 2018-06-26 |
WO2018117576A1 (en) | 2018-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50339E1 (en) |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80071049A (ko) |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 |
US20230316683A1 (en) | Video clip object tracking | |
KR101276846B1 (ko) |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
AU2013204856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299110B2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 |
US1001978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 |
US2014018168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
KR102080146B1 (ko) |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
US11740850B2 (en) | Image management system, imag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EP3413184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37465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EP2965164B1 (en) | Causing specific location of an object provided to a device | |
US1078903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 |
CN103513895A (zh) | 远程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 |
KR20130081068A (ko) | 복수의 휴대 단말들을 이용하여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40147329A (ko) | 락 스크린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1205286B2 (en) | Techniques for optimizing creation of digital diagrams | |
CN104508699B (zh) |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 |
EP294755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 |
CN104866262A (zh) | 可穿戴设备 | |
US20210067476A1 (en) | Intelligent chat object sending animations | |
CN111752450A (zh) | 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JP6617547B2 (ja) |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 | |
US11016717B1 (en) | Selective electronic content cas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