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242A -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0242A KR20180070242A KR1020160172724A KR20160172724A KR20180070242A KR 20180070242 A KR20180070242 A KR 20180070242A KR 1020160172724 A KR1020160172724 A KR 1020160172724A KR 20160172724 A KR20160172724 A KR 20160172724A KR 20180070242 A KR20180070242 A KR 20180070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ilter
- motor
- axleless
- vacuum clea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진공청소기의 헤드부와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사이에 설치하고,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에 설치된 집진기는 액슬리스 모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위치히도록 배치된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를 제안한다.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는 헤드부, 집진장치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모터를 진공청소기의 헤드부와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사이에 설치하고, 집진장치에는 공기의 배출 경로에 복수의 필터 및 소음기 구조의 먼지배출구를 설치하여 청소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종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먼지를 수거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a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헤드부(10), 연결관(20, 연장관+연결파이프), 호스(30), 집진장치 및 흡입모터 등이 포함된 본체(40)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공청소기 내의 공기의 흐름으로 볼 때,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헤드부(10), 연결관(20) 및 호스(30)를 경유하여 본체(40)에 도달하며, 본체(40)에 도달한 먼지가 집진기(41)를 구성하는 필터에 걸러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집진기(41)의 뒤에 모터(42)에 의해 작동하는 팬(43)이 장착되어 있어, 모터(42)에 연결된 팬(43)이 회전됨에 따라 진공청소기의 외부로 공기를 밀어냄과 더불어 팬(43) 주위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헤드부(10)로부터 연결관(20), 호스(30)를 거쳐 본체(40), 즉 모터(42)로 공기가 역방향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진행하면 집진기(41)에 먼지 등이 채워질 것이고, 도 1b를 참조하면 집진기(41)에 채워진 먼지는 결국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이는 청소 시, 집진기(41)에 채워지는 먼지가 모터(42) 흡입공기의 진행방향에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인데, 집진기(41)에 일정량의 먼지가 채워지게 되어 흡입력이 감소하는 경우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일정한 흡입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모터(42)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모터(42)의 회전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진공청소기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청소기로부터 상당한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진공청소기의 헤드부와 집진장치 사이에 설치하여 청소기의 헤드부로부터 액슬리스 모터, 연결관, 호스, 집진장치 및 소음기를 거쳐 헤파 필터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먼지 공기가 액슬리스 모터를 최초 통과하기 때문에 흡입력이 감소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 소음이 적고,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는, 헤드부, 집진장치 및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가 내장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집진장치는 유입된 공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 소음기를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가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진공청소기의 헤드부와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진공청소기 집진장치에는 공기의 진행경로에 복수의 필터 및 소음기를 설치하여 청소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최초 흡입력이 감소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먼지를 수거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공기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액슬리스 모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일 실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공기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액슬리스 모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일 실시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공기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이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이하 본 발명 진공청소기)는, 먼지 공기(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헤드부(210), 연결부(220) 및 집진장치(230)를 거쳐 깨끗한 공기(먼지가 제거된 공기)로 배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특징 중 하나인데, 연결부(220) 끝단에 내장된 액슬리스 모터(221)에서 생성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헤드부(210)에서 먼지 공기를 유입하여 집진장치(230)로 전달한다. 도 2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헤드부(210) 중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방된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221)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헤드부(210)의 개방된 흡입구로부터 먼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먼지 공기의 진행 경로 상 집진기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던 공기 흡입수단(모터)을 본 발명 진공청소기(200)에서는 그 위치를 바꿈으로써, 일정한 전기 에너지로 일정한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결부(220)는 헤드부(210)와 연결되는 연결관(222), 연결관(222)의 끝단에 삽입 설치되어 헤드부(210)와 연결관(222)을 연결하는 액슬리스 모터(221), 손잡이(223) 및 호스(224)를 포함한다. 실제의 먼지 공기는 헤드부(210), 액슬리스 모터(221) 및 호스(224)를 거쳐 집진장치(230)로 전달되며, 손잡이(223)에는 액슬리스 모터(2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225)이 설치되어 있다. 액슬리스 모터(221) 및 제어패널(225)에는 전원공급수단(226)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전원공급수단(226)은 충전된 배터리(미도시) 및 전원 케이블(미도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집진장치(230)에는 집진기, 1차 필터, 2차 필터, 소음기 및 3차 필터를 구비하여 연결부(220)로부터 인가되는 먼지 공기에서 먼지를 제거한 맑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집진장치(23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액슬리스 모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a는 액슬리스 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액슬리스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액슬리스 모터의 측 단면도이고, 도 4d는 액슬리스 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슬리스 모터(221)는 고정자(410) 및 회전자(420; 421, 422, 423)로 구성된다.
고정자(410)는 원통형으로 헤드부(210)와 연결관(222)의 중간에 삽입·고정되며, 내부에 복수의 회전에너지용 권선모듈(411) 및 회전자 자기부상용 권선모듈(41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에너지용 권선모듈(411)은 회전자(420)의 회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회전자 자기부상용 권선모듈(412)은 회전자(420)가 회전할 때 고정자(410) 내측의 좌우측면과 충돌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자(420)는 고정자(410)의 비어 있는 내부에 설치되며, 연결관(222)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회전보조부(422) 및 회전보조부(422) 내에 삽입·고정된 복수의 회전자 영구자석(423)을 포함한다. 도 4에는 6개의 권선모듈 및 6개의 회전자 영구자석이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자 영구자석의 수는 2의 배수로 선택할 수 있으며, 권선모듈의 수도 회전자 영구자석의 수에 대응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전자(420)를 구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의 회전날개 사이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흐르게 될 것인데,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때 진공청소기의 헤드부(210)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먼지를 포함한 공기뿐만 아니라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물체도 유입될 수 있으며, 종이나 휴지와 같이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물체도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의 회전날개의 재질, 두께 및 형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제작하면 될 것이다. 아울러,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의 중앙에는 관통홀(421a)가 형성된다. 관통홀(421a)은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중앙이 관통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먼지보다 큰 일정 부피의 물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액슬리스 모터(2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자(420)는 액슬이 없는(액슬리스) 상태에서 고정자(410)와 접촉함 없이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자(420)와 고정자(41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데, 헤드부(210)로부터 흡입되어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를 통과하는 먼지가 회전자(420)와 고정자(410)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회전자 영구자석(423)이 삽입·고정되는 회전보조부(422)의 형태 및 고정자(410)의 일정 면을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회전자 영구자석(423)이 삽입설치되는 회전보조부(422)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와 접촉한 부분으로부터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4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회전보조부(422)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고정자(410)의 내면도 회전보조부(422)가 이루는 경사와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여기서 경사는 액슬리스 모터(221)가 생성한 공기가 진행하는 면과 예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도 4b에서 예각(θ)이 액슬리스 모터(221)의 왼쪽에만 표시되어 있지만, 오른쪽 부분의 말단도 예각(θ)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4b의 오른쪽 부분은 액슬리스 모터(221)의 고정자(410)를 서로 분리(410-1)할 수 있도록 하여 액슬리스 모터(221)를 구성하는 회전자(420)의 교체, 수리 및 청소가 쉽도록 하는 분리형 실시 예는 물론 일체형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분리형일 경우 각각의 고정자(410, 410-1)에 체결홈(411) 및 체결홀(410-2)이 형성되어 체결수단(450)을 이용하여 분리된 고정자(410, 410-1)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일 실시 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분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결합도이며, 도 5c는 소음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집진장치(230)는 집진기(510), 하우징(520), 1차 필터(530), 공기 가이드 콘(540), 소음기(550), 2차 필터(560), 3차 필터(570) 및 뚜껑(580)으로 구성된다.
집진기(510)는 외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511)을 이용하여 하우징(520)의 하부에 체결된다. 도 5a에는 2가지 타입의 집진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왼쪽의 집진기는 포터블 진공청소기용이고 오른쪽의 집진기는 바퀴(512)가 추가되어 있어 이동형 진공청소기용의 실시 예이다.
하우징(520)은 외면에 호스(224)와 연결된 공기 유입홀(521)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다기능 공기강하 벽(522)이 형성되어 있다. 다기능 공기강하 벽(522)은 하우징(520)의 중간에 턱(523)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2차 필터(560)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하우징(520)의 중간부터 하우징(520)의 하부 방향으로 벽을 형성하여 공기 유입홀(521)로 인가되는 먼지 공기가 후술하는 공기 가이드 콘(540)의 하부로 전달되도록 하여, 먼지 공기가 하우징(520) 내에서 흐르는 방향을 인도한다.
1차 필터(530)는 다기능 공기강하 벽(522)의 하부에 장착되어 하우징(52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를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1차 필터(530)는 일정한 크기의 매시(mesh) 구조를 가지는 그물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콘(con)을 뒤집어 놓은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진 공기 가이드 콘(540)은 다기능 공기강하 벽(522)의 하부에 설치되며 1차 필터(530)를 통과한 공기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한다.
2차 필터(560)는 다기능 공기강하 벽(522)에 안착하여 공기 가이드 콘(54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낸다. 2차 필터(560)의 실시 예로서 스펀지가 있다. 공기 가이드 콘(540)으로부터 2차 필터(56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가이드 콘(540)과 다기능 공기강화 벽(522)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소음기(550)는 2차 필터(560)를 거친 공기가 하우징(520) 내에서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약화시킨다. 소음기(55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차 필터(570)는 소음기(550)를 거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마지막으로 걸러내며, 본 발명에서는 헤파 필터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뚜껑(580)은 하우징(520)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하우징(520)에 내장되는 1차 필터(530), 공기 가이드 콘(540), 소음기(550), 2차 필터(560) 및 3차 필터(570)를 밀폐하며,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배출용 홀(581)을 통해 3차 필터(570)를 거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는 공기 중의 방사능 미립자를 정화하기 위해 개발된 공기 정화장치로써 무균실(Clean room)의 공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호스(224)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공기는 화살표를 따라 집진장치(230) 내를 이동하면서 마지막으로는 뚜껑(580)의 공기배출용 홀(581)로 배출된다. 먼지 공기는 1차필터(530), 2차필터(550), 소음기(560) 및 제3필터(570)를 차례로 경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집진기(510)는 먼지 공기의 진행경로로부터 벗어나 있는데, 이는 집진기(510)가 먼지 공기의 진행경로 상에 위치하여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낮추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와는 다른 배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소음기(560; 561~563)는 동심원의 형태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소음유닛(561, 562, 563)이 설치되어 있다. 소음기(560)의 상부는 직경이 가장 작은 소음유닛(563)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소음유닛(561, 562)의 상부, 즉 도 5c에서는 빗금친 부분이 막힘과 더불어 하부는 열려 있기 때문에 물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최 외각의 소음유닛(561)의 외 측면에 설치된 제2 필터(560)를 거친 공기가 소음기(560)의 중앙부로 모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소음유닛(561, 562, 563)에는 복수의 홀(A, B, C)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하나의 소음유닛(562)에 형성된 복수의 홀(A)과 이어지는 소음유닛(563)에 형성된 복수의 홀(B)은 공기가 진행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222)가 헤드부(210)와 집진장치(230) 사이에 설치되고, 집진장치(230)에는 공기의 배출 경로에 복수의 필터 및 소음기 구조의 먼지배출구를 설치하여 청소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며, 최초 흡입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인 액슬리스 모터(221)는 본 발명에서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일반적인 모터가 회전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반해, 액슬리스 모터(221)는 회전자(420)의 회전축이 위치될 공간에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가 결합됨으로써, 액슬리스 모터(221) 자체에서 유체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헤드부
220: 연결부
221: 액슬리스 모터 222: 연결관
223: 손잡이 224: 호스
225: 제어패널 226: 전원공급수단
230: 집진장치
510: 집진기 520: 하우징
530: 1차 필터 540: 공기 가이드 콘
550: 2차필터 560: 소음기
570: 3차 필터 580: 뚜껑
260: 전원공급수단
410: 고정자
411: 회전에너지용 권선모듈
412: 회전자 자기부상용 권선모듈
420: 회전자
421: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421a : 관통홀
422: 회전보조부
423; 회전자 영구자석
220: 연결부
221: 액슬리스 모터 222: 연결관
223: 손잡이 224: 호스
225: 제어패널 226: 전원공급수단
230: 집진장치
510: 집진기 520: 하우징
530: 1차 필터 540: 공기 가이드 콘
550: 2차필터 560: 소음기
570: 3차 필터 580: 뚜껑
260: 전원공급수단
410: 고정자
411: 회전에너지용 권선모듈
412: 회전자 자기부상용 권선모듈
420: 회전자
421: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421a : 관통홀
422: 회전보조부
423; 회전자 영구자석
Claims (7)
-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헤드부;
유입된 공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 소음기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장치;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가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생성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이하 액슬리스 모터)를 내장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리스 모터는,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는 연결관의 끝단에 삽입·고정되며, 내부에 복수의 회전에너지용 권선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원통 형태의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의 비어 있는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및 상기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내부에 복수의 회전자 영구자석이 삽입·고정된 회전보조부를 포함하는 회전자; 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보조부는, 상기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와 접촉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보조부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자의 내면도 상기 회전보조부가 이루는 경사와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는 상기 액슬리스 모터가 생성한 공기가 진행하는 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는 회전자 자기부상용 권선모듈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2개로 분리되며,
서로 분리된 2개의 고정자에는 체결홈 및 체결홀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체결수단으로 2개의 고정자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면에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다기능 공기강하 벽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외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는 집진기;
상기 다기능 공기강하 벽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를 걸러내는 1차 필터;
콘을 뒤집어 놓은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기능 공기강하 벽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는 공기 가이드 콘;
상기 다기능 공기강하 벽에 안착하여 상기 공기 가이드 콘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2차필터;
상기 2차 필터를 거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약화시키는 소음기;
상기 소음기를 거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3차 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상기 1차 필터, 상기 공기 가이드 콘, 상기 소음기, 상기 2차 필터 및 상기 3차 필터를 밀폐하며, 중간에 형성된 공기배출용 홀을 통해 상기 3차 필터를 거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공기강하 벽은,
상기 하우징의 중간에 턱을 형성하여 상기 2차 필터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 방향으로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동심원의 형태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소음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기의 상부는 직경이 가장 작은 소음유닛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는 열려 있으며,
각각의 소음유닛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소음유닛에 형성된 복수의 홀은 공기가 진행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일정한 크기의 매쉬(mesh) 형태의 그물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필터는 스펀지이며,
상기 제3필터는 헤파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2724A KR20180070242A (ko) | 2016-12-16 | 2016-12-16 |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2724A KR20180070242A (ko) | 2016-12-16 | 2016-12-16 |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0242A true KR20180070242A (ko) | 2018-06-26 |
Family
ID=6278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2724A Abandoned KR20180070242A (ko) | 2016-12-16 | 2016-12-16 |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7024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6146A1 (ko) | 2017-06-20 | 2018-12-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541B1 (ko) | 2007-04-02 | 2008-03-17 | 한경희 | 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사용한 스팀진공청소기 |
-
2016
- 2016-12-16 KR KR1020160172724A patent/KR20180070242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541B1 (ko) | 2007-04-02 | 2008-03-17 | 한경희 | 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사용한 스팀진공청소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6146A1 (ko) | 2017-06-20 | 2018-12-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18115B2 (en) | Centripetal separation system for cleaning particulate-pervaded air or gas | |
CN107072453B (zh) | 手持式真空吸尘器 | |
US20100209271A1 (en) |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 |
JP4276907B2 (ja) | 空気清浄機 | |
JP2007275867A (ja) | サイクロン、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及びその空気清浄方法 | |
CN107110519B (zh) | 空气净化器 | |
JP2008155093A (ja) | 回転式のミスト処理板を備えたミストコレクタ装置 | |
CN105423414B (zh) | 空气净化器、以及具备空气净化功能的空调机 | |
CN101051772A (zh) | 电动机外壳 | |
JP2020202893A (ja) | 集塵装置、掃除機、及び自走式掃除機 | |
KR20180070242A (ko) | 나선형 스크류 회전자 구조의 액슬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 |
JP2008104734A (ja) | 掃除機 | |
JP6076032B2 (ja) |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 |
CN109692527B (zh) | 旋风除尘管及除尘过滤设备 | |
JP2010279910A (ja) |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 |
WO2015034379A2 (en) | An air cleaner and a method of use | |
KR101774103B1 (ko) | 공기 정화 장치 | |
CN116369781A (zh) | 尘杯组件及吸尘器 | |
KR20060081416A (ko) |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 |
JP4422621B2 (ja) | 動力式空気清浄システムおよび清浄方法 | |
JP2007038126A (ja) | 空気清浄機 | |
KR102081942B1 (ko) | 청소기 | |
TW201020483A (en) | Air conditioner | |
CN215534086U (zh) | 一种用于清洁机的分离模块及清洁机 | |
CN100432449C (zh) | 离心式风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