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646A -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 Google Patents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6646A KR20180066646A KR1020160167739A KR20160167739A KR20180066646A KR 20180066646 A KR20180066646 A KR 20180066646A KR 1020160167739 A KR1020160167739 A KR 1020160167739A KR 20160167739 A KR20160167739 A KR 20160167739A KR 20180066646 A KR20180066646 A KR 20180066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 seat cushion
- cushion
- frame
- sea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5—Rear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쿠션프레임이 구비된 시트쿠션; 시트쿠션을 차체바닥면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와 쿠션프레임에 연결되어, 시트쿠션을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 쿠션프레임에 링크연결된 백프레임이 구비되고,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작동시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등받이; 등받이와 이격된 차체격벽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및 백프레임에 고정된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트라이커와 맞물려 결합된 래치부를 포함하고,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부에 의해 전방이동되면, 등받이는 백프레임의 하단이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시트쿠션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백프레임의 상단이 래치부에 의해 스트라이커에 대해 회전되어,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 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includes: a seat cushion provided with a cushion fram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cushion so as to be spaced from the floor of the vehicle body; A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ushion frame for sliding the seat cushion back and forth; A backrest provided with a back frame linked to a cushion frame, the backrest interlocking with the seat cushion when the seat cushion is slidingly operat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cushion being variable; A striker fixed to the back of the vehicl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And a latch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fixed to the back frame and engaged with the striker.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by the sliding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frame is interlocked with the seat cushion, And the upper end of the back fram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triker by the latch portion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is vari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동작시 등받이가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리어시트의 탑승자도 프론트시트 탑승자와 마찬가지로, 리어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pivoting rear seat sliding device,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in which a backrest is reclined in conjunction with a seat cushion during a sliding operation of a seat cush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tch-type rear seat slid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back angle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occupant, thereby ensuring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일반적으로 승용차량에는 운전자와 보조자가 착석하는 프론트 시트와 프론트 시트의 후방으로 추가적인 탑승자를 위한 리어 시트가 마련된다. 승용차량은 기차, 좌석버스 등과 달리,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후방격벽에 고정되어 있다. Generally, a passenger car is provided with a front seat on which a driver and an assistant are seated and a rear seat for an additional passenger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Unlike a train, a seat bus, etc., a passenger car is fixed to the rear bulkhead due to space limitation.
기존의 승용차량 리어시트는 리클라이닝 장치가 구비된 바 없었고 이로 인해 프론트 시트에 비해 상당시간 동일한 자세로 착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97-0002186호에는 "리어시트"는 "리어 시트의 시트쿠션 양측에 고정하여 연결된 픽스트 리어백; 상기 픽스트 리어백의 사이에 상기 시트쿠션에 연결되며, 전후방으로 회동되게 양측에 부착된 리클라이닝은 일측이 리클라이닝 시트백에 판스프링으로 힌지 연결되고 타측에 기어가 형성된 리클라인과, 상기 리클라인이 고정되는 기어에 끼워지는 제동판과, 상기 제동판에 연접되고 스프링으로 연결된 레바로 구성된 리클라이닝 리어백;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상기 리클라이닝 리어백이 전후방으로 회동되게 상기 리클라이닝 리어백의 좌우측에 설치된 리클라이닝으로 구성된 시트 쿠션과 시트백"을 제시한다.Conventional passenger car rear seats have not been provided with a reclining device, and therefore have to be seated in the same posture for a considerable time as compared with the front sea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 conventiona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7-0002186, a "rear seat" includes "a fixture bag fixed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seat cushion of a rear seat, The recliner attached to both sides so as to be pivoted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rovided with a recliner having one side hinged to a reclining seatback by a leaf spring and a gea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lining seatback, a baffle plate sandwiched between gears to which the recliner is fixed, A seat cushion and a seatback configured by reclining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lining rear bag so that the reclining rear bag is pivoted to the front and rear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단순히 시트백 만의 리클라이닝만 가능할 뿐 시트쿠션까지 연동되어 리클라이닝이 되기는 어려웠던 바, 시트백의 각도조절 만으로는 후석 탑승자들에게 안락한 탑승감을 제공해 주지 못하였던 것이다.However, even with this conventional technique, only the seatbelt can be reclined only, and it is difficult to recline by interlocking with the seat cushion, so that the angle adjustment of the seat back alone has not provided a comfortable feeling to the passenge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동작시 리어시트의 등받이가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tch-type rear seat sliding device in which a backrest of a rear seat is interlocked with a seat cushion in a sliding operation of a seat cush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쿠션프레임이 구비된 시트쿠션; 시트쿠션을 차체바닥면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와 쿠션프레임에 연결되어, 시트쿠션을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 쿠션프레임에 링크연결된 백프레임이 구비되고,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작동시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등받이; 등받이와 이격된 차체격벽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및 백프레임에 고정된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트라이커와 맞물려 결합된 래치부를 포함하고,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부에 의해 전방이동되면, 등받이는 백프레임의 하단이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시트쿠션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백프레임의 상단이 래치부에 의해 스트라이커에 대해 회전되어,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 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includes: a seat cushion provided with a cushion fram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cushion so as to be spaced from the floor of the vehicle body; A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ushion frame for sliding the seat cushion back and forth; A backrest provided with a back frame linked to a cushion frame, the backrest interlocking with the seat cushion when the seat cushion is slidingly operat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cushion being variable; A striker fixed to the back of the vehicl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And a latch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fixed to the back frame and engaged with the striker.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by the sliding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frame is interlocked with the seat cushion, And the upper end of the back fram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triker by the latch portion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is vari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래치부는,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부에 의해 전방이동되면서 힌지브라켓이 백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트라이커와 맞물린 지점을 고정축으로 하여 힌지브라켓의 회동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by the sliding portion and the hinge bracket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ck frame, the latch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int of engagement with the striker as a fixed shaft, It is preferable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부는, 지지부에 고정된 레일; 쿠션프레임에 결합되고,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레일에 결합된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와 레일이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어, 이동부재의 전방 슬라이딩 작동시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portion includes: a rail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 movable member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and coupled to the rail such that the movable member is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rail; And a stopp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oving member and the rail abut against each other to limit the sliding distance of the moving member in the forward sliding operation of the mov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부는, 쿠션프레임의 전단과 지지부의 제 1 지지부재에 링크연결된 슬라이딩링크부; 및 슬라이딩링크부와 이격되어 쿠션프레임에 결합되고, 지지부의 제 2 지지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딩블럭을 포함하여, 슬라이딩블럭은 제 2 지지부재의 지지축이 걸리는 슬라이딩개구가 마련되어, 슬라이딩링크부의 링크운동에 의해 시트쿠션이 전방 슬라이딩 또는 후방 슬라이딩이동될 때 시트쿠션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portion includes: a sliding link portion linked to the front end of the cushion frame and the first supporting member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a sliding block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link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of the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sliding block has a slid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supporting shaft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s engaged,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at cushion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or rearward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링크부는, 쿠션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된 제 1 링크축; 및 제 1 링크축과 제 1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축을 포함하여, 제 1 링크축은 제 2 링크축의 제 1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시 쿠션프레임이 전방슬라이딩되도록 쿠션프레임을 밀어내고, 제 1 링크축은 제 2 링크축이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쿠션프레임이 후방슬라이딩되면서 원래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쿠션프레임을 잡아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link portion includes: a first link shaft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ushion frame; And a second link shaf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shaft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such that the first link shaft pushes the cushion frame so that the cushion frame slides forward when the second link shaft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nk shaft pulls the cushion frame so that when the second link shaft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ushion frame slides rear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차량 격벽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등받이 각도조절이 어려운 종래의 리어시트와 달리, 본 발명은 시트쿠션과 백프레임의 연동구조와, 백프레임의 연동시 래치부가 스트라이커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는 구조를 통해,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동작시 등받이가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어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리어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structure of a seat cushion and a back frame, and a structure in which a latch portion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latch portion is engaged with a striker when the back frame is interlocked, unlike a conventional rear seat provided adjacent to a vehicle bulkhead, The backrest is interlocked with the seat cushion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at cushion so that the occupant can adjust the backrest angle of the rear seat to a desired position.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탑승자도 프론트시트 탑승자와 마찬가지로, 리어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게 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of the rear seat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occupant, as well as the occupant of the front sea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요소 간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슬라이딩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의 부분의 확대도로서, 래치부가 백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표준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된 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되지 않을 때의 래치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b)는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된 때의 래치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요소 간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표준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된 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되지 않을 때의 래치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8(b)는 시트쿠션이 슬라이딩된 때의 래치부의 작동상태도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nents of a latch 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sliding portion of a latch 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portion is coupled to the back frame.
4 (a) schematically shows a state diagram of a ratchet-type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t a standard position in which the seat cushion does not slid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b) And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latch-pivotable rear seat sliding device at a sliding position.
Fig. 5 (a)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latch portion when the seat cushion is not slid in the latch-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b) Fig.
6 schematically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latch rotating type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schematically shows a state diagram of a latch-pivotable rear seat sliding device at a standard position in which a seat cushion does not slid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b) And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latch-pivotable rear seat sliding device at a sliding position.
Fig. 8A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latch portion when the seat cushion is not slid in the latch-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latch portion when the seat cushion is slid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atch pivoting rear seat sl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1st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은 차체격벽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및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탑승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시트쿠션은 탑승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다. 등받이는 탑승자의 등이 닿는 부분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the ride quality of a passenger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eat cushion and a backrest of a rear seat provided adjacent to a vehicle body partition wall. The seat cushion is the portion of the passenger's hips. The backrest is the portion of the passenger's back.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100)는, 지지부(110), 슬라이딩부(120), 시트쿠션(130), 등받이(140), 래치부(160) 및 스트라이커(170)를 포함하여,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 동작시 등받이(140)가 시트쿠션(130)과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어, 리어시트의 탑승자가 리어시트에 착석했을 때 탑승자로 하여금 시트쿠션(130)과 등받이(14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1, a latch pivoting rea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to 5,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시트쿠션(130)은 지지부(110)에 의해 차체바닥면(10)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지지부(110)는 시트쿠션(130)을 지지한다. 지지부(110)는 시트쿠션(130)의 양측 하부에 위치된다. 지지부(110)에는 슬라이딩부(120)가 설치된다. 슬라이딩부(120)는 시트쿠션(130)과 지지부(110)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쿠션(13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30)은 내부에 쿠션프레임(131)이 구비된다. 쿠션프레임의 후단(132)은 링크부재(135)에 의해 등받이(140)의 백프레임의 하단(142)에 링크연결된다. 시트쿠션(130)은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프론트시트(미도시)를 향해 전방 슬라이딩 작동되거나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후방 슬라이딩 작동된다. As shown in FIG. 1, the
등받이(140)는 내부에 백프레임(141)이 구비된다. 백프레임(141)은 하단(142)이 링크부재(135)에 의해 쿠션프레임(131)에 연결된다.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 작동시, 백프레임(141)은 상기 링크부재(135)에 의해 시트쿠션(130)과 연동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131)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된다. The
백프레임(141)의 상단에는 힌지브라켓(143)이 설치된다. 힌지브라켓(143)은 래치부(160)를 지지한다. 래치부(160)는 회동축(161)에 의해 힌지브라켓(14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치부(160)는 스트라이커(170)와 맞물려 결합된다. 백프레임(141)은 래치부(160)에 의해 스트라이커(170)에 결합된다. A
스트라이커(170)는 차체격벽(20)에 고정된다. 차체격벽(20)은 리어시트의 등받이(140)와 이격되게 차체에 마련된 후방격벽이다. 여기서, 후방격벽이란 4인승 승용차의 뒷좌석에 마련된 격벽이다. The striker (170)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partition wall (20). The
이하에서는, 시트쿠션(130)을 전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liding
슬라이딩부(120)는 시트쿠션(130)을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슬라이딩부(120)는 레일(121), 이동부재(123), 쿠션결합부재(124) 및 스토퍼(129)를 포함한다. The sliding
레일(121)은 지지부(110)에 고정된다. 레일(121)은 이동부재(123)의 전후이동을 가이드한다. 레일(121)에는 이동부재(123)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이동부재(123)의 하단은 레일(121)에 삽입된다. 이동부재(123)는 상단에 쿠션결합부재(124)가 설치된다. 쿠션결합부재(124)는 쿠션프레임(131)과 이동부재(123)를 연결한다. 이동부재(123)는 쿠션결합부재(124)에 의해 쿠션프레임(131)에 고정된다. The lower end of the moving
그리고, 시트쿠션(130)의 양측에 위치된 각각의 이동부재(123)는 쿠션연결부재(127)에 의해 연결된다. 쿠션연결부재(127)는 시트쿠션(130)의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쿠션결합부재(124)를 연결한다. 시트쿠션(1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이동부재(123)는 쿠션결합부재(124)에 의해 연결되어,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 작동시, 시트쿠션(130)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Each of 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123)에는 스토퍼(129)가 설치된다. 스토퍼(129)는 이동부재(123)의 전방 슬라이딩시, 이동부재(12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129)는 슬라이딩부(120)의 설계시,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위치에서,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 작동시 레일(121)과 맞닿는 부분에 마련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tch rotating type rear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표준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된 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에서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되지 않을 때의 래치부(160)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b)는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된 때의 래치부(160)의 작동상태도이다. 4 (a) schematically shows a state diagram of a latch-pivoting rear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70)는 차체격벽(20)에 고정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170)의 위치는 고정위치이다. 도 4(a)에서 도면번호 171은 래치부(160)와 스트라이커(170)가 맞물린 지점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래치부(160)와 스트라이커(170)가 맞물린 지점에 대해 "고정축(171)"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4 (a), the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의 백프레임(141)과 래치부(160)의 위치를 "표준위치"라 지칭하고, 도 4(b)에 도시된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된 상태의 백프레임(141)과 래치부(160)의 위치를 "슬라이딩 위치"라 지칭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sition of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40)의 백프레임(141)은 래치부(160)에 의해 스트라이커(170)에 결합된다. 표준위치에서, 시트쿠션(130)이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전방 슬라이딩 이동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프레임(141)의 하단의 링크부재(135)에 의해 쿠션프레임(13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160)는 스트라이커(170)에 맞물린 지점을 고정축(171)으로 하여, 힌지브라켓(143)의 회동축(16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4 (a), the
래치부(160)에 의해, 백프레임(141)의 상단은 스트라이커(17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백프레임(141)의 하단이 쿠션프레임(13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4(b)에 도시된 슬라이딩 위치에서, 시트쿠션(130)은 표준위치보다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등받이(140)는 차체바닥면(10)에 대해 상향경사진 상태가 된다. The upp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백프레임(141)은 쿠션프레임(131)과의 연동구조 및 스트라이커(170)에 걸린 래치부(160)의 회전구조에 의해,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작동시 시트쿠션(130)과 연동되면서 등받이(140)의 각도가 조정된다. 시트쿠션(130)에 대한 등받이(140)의 경사각도는 시트쿠션(130)의 슬라이딩 거리에 따라 가변된다.The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탑승자도 프론트시트(미도시) 탑승자와 마찬가지로, 리어시트의 등받이(140)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게 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to adjust the angle of the
제 2Second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atch pivoting rear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구성요소 간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6 schematically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latch pivoting rea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는, 지지부(210), 슬라이딩부(220), 시트쿠션(230), 등받이(240), 래치부(260) 및 스트라이커(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트쿠션(230)의 슬라이딩 동작시 등받이(240)가 시트쿠션(230)과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리어시트의 탑승자가 리어시트에 착석했을 때 탑승자로 하여금 시트쿠션(230)과 등받이(240)의 위치를 탑승자에 체형에 알맞게 조정하게 할 수 있다. 6, the latch pivoting rear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10), 시트쿠션(230), 등받이(240), 래치부(260) 및 스트라이커(27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지지부(110), 시트쿠션(130), 등받이(140), 래치부(160) 및 스트라이커(170)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지지부(210), 시트쿠션(230), 등받이(240), 래치부(260) 및 스트라이커(27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구조가 상이한 슬라이딩부(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liding portion 220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20)는 슬라이딩링크부(221)와 슬라이딩블럭(223)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6A, the sliding portion 220 includes a sliding
슬라이딩링크부(221)는 쿠션프레임(231)의 전단과 지지부(210)의 제 1 지지부재(211)에 링크연결된다. 슬라이딩링크부(221)는 제 1 링크축(221a)과 제 2 링크축(221b)을 구비한다. The sliding
제 1 링크축(221a)은 일단이 쿠션프레임(231)의 전단에 고정된다. 제 1 링크축(221a)의 타단에는 제 2 링크축(221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링크축(221b)은 제 1 링크축(221a)과 제 1 지지부재(2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One end of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링크축(221b)이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될 때, 제 1 링크축(221a)은 제 2 링크축(221b)이 제 1 회전방향(R1)으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쿠션프레임(231)이 전방슬라이딩되도록 쿠션프레임(231)을 밀어낸다. 7 (b), when the
제 2 링크축(221b)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링크축(221a)은 제 2 링크축(221b)이 제 2 회전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쿠션프레임(231)이 후방슬라이딩되면서 원래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쿠션프레임(231)을 잡아당긴다. 여기서, 제 2 회전방향은 제 1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회전방향(R1)을 반시계방향으로, 제 2 회전방향을 시계방향으로 도시하였다. When the
슬라이딩블럭(223)은 쿠션프레임(231)의 전후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한다. 슬라이딩블럭(223)은 슬라이딩링크부(221)와 이격되어 쿠션프레임(231)에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블럭(223)은 지지부(210)의 제 2 지지부재(212)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딩블럭(223)에는 슬라이딩개구(223a)가 마련된다. 슬라이딩개구(223a)는 제 2 지지부재(212)의 지지축(213)이 걸리는 개구이다. The sliding
슬라이딩개구(223a)는, 슬라이딩링크부(221)의 링크운동에 의해 시트쿠션(230)이 전방 슬라이딩 또는 후방 슬라이딩이동될 때, 제 2 지지부재(212)의 지지축(213)에 걸려 시트쿠션(230)의 이동거리를 제한토록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개구(223a) 및 지지축(213)은 스토퍼 역할을 한다. The sliding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tch rotating type rear
도 7(a)는 시트쿠션(230)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표준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시트쿠션(230)이 슬라이딩된 위치에서의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에서 시트쿠션(230)이 슬라이딩되지 않을 때의 래치부(260)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8(b)는 시트쿠션(230)이 슬라이딩된 때의 래치부(260)의 작동상태도이다. 7 (a) schematically shows a state diagram of a latch-pivoting rear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70)는 차체격벽(20)에 고정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270)의 위치는 고정위치이다. 도 7(a)에서 도면번호 271은 래치부(260)와 스트라이커(270)가 맞물린 지점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래치부(260)와 스트라이커(270)가 맞물린 지점에 대해 "고정축(271)"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7 (a), the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a)에 도시된 시트쿠션(230)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의 백프레임(241)과 래치부(260)의 위치를 "표준위치"라 지칭하고, 도 7(b)에 도시된 시트쿠션(230)이 슬라이딩된 상태의 백프레임(241)과 래치부(260)의 위치를 "슬라이딩 위치"라 지칭한다. The position of the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240)의 백프레임(241)은 래치부(260)에 의해 스트라이커(270)에 결합된다. 7 (a), the
표준위치에서, 시트쿠션(230)이 전방 슬라이딩될 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링크축(221b)이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되고, 제 1 링크축(221a)은 제 2 링크축(221b)이 제 1 회전방향(R1)으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쿠션프레임(231)이 전방슬라이딩되도록 쿠션프레임(231)을 밀어낸다. 이때, 백프레임(241)은 백프레임(241)의 상단이 스트라이커(27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백프레임(241)의 하단(242)이 링크부재(235)에 의해 쿠션프레임(231)의 후단(232)와 연동되어, 쿠션프레임(23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260)는 스트라이커(270)에 맞물린 지점을 고정축(271)으로 하여, 힌지브라켓(243)의 회동축(261)에 대해 반시계방향(R1)으로 회전된다. 7 (b), when the
래치부(260)에 의해, 백프레임(241)의 상단은 스트라이커(27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백프레임(241)의 하단이 쿠션프레임(23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7(b)에 도시된 슬라이딩 위치에서, 시트쿠션(230)은 표준위치보다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등받이(240)는 차체바닥면(10)에 대해 상향경사진 상태가 된다. The low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백프레임(241)은 쿠션프레임(231)과의 연동구조 및 스트라이커(270)에 걸린 래치부(260)의 회전구조에 의해, 시트쿠션(230)의 슬라이딩작동시 시트쿠션(230)과 연동되면서 등받이(240)의 각도가 조정된다. 시트쿠션(230)에 대한 등받이(240)의 경사각도는 시트쿠션(230)의 슬라이딩 거리에 따라 가변된다.The
본 발명은 시트쿠션(230)의 슬라이딩 동작시 등받이(240)가 시트쿠션(230)과 연동되어 리클라이닝되는 구조를 가져, 리어시트의 탑승자가 리어시트에 착석했을 때, 리어시트의 탑승자도 프론트시트(미도시) 탑승자와 마찬가지로, 리어시트의 등받이(240)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and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200: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110, 210: 지지부
120, 220: 슬라이딩부
121: 레일
123: 이동부재
221: 슬라이딩링크부
223: 슬라이딩블럭
130, 230: 시트쿠션
131, 231: 쿠션프레임
135, 235: 링크부재
140, 240: 등받이
141, 241: 백프레임
143, 243: 힌지브라켓
160, 260: 래치부
170, 270: 스트라이커100, 200: latch rotating type rear seat sliding device
110, 210:
121: rail 123: moving member
221: Sliding link portion 223: Sliding block
130, 230:
135, 235:
141, 241:
160, 260:
Claims (5)
상기 시트쿠션을 차체바닥면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쿠션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시트쿠션을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쿠션프레임에 링크연결된 백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와 이격된 차체격벽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및
상기 백프레임에 고정된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물려 결합된 래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전방이동되면, 상기 등받이는 상기 백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시트쿠션과 연동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백프레임의 상단이 상기 래치부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A seat cushion provided with a cushion fram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at cush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body bottom surface;
A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ushion frame to slide the seat cushion back and forth;
A backrest having a back frame linked to the cushion frame, the backrest interlocking with the seat cushion when the seat cushion is slid and varying the tilt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A striker fixed to the body partition wall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And
And a latch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fixed to the back frame and engaged with the striker,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by the sliding portion,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in interlock with the seat cushion, and the upper end of the back frame is moved by the latch portion And the slid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triker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is variable.
상기 래치부는,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전방이동되면서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백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물린 지점을 고정축으로 하여 상기 힌지브라켓의 회동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tch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by the sliding portion and the hinge bracket is moved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ck frame, the latch portion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of the hinge bracket, An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레일;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결합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레일이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rail fixed to the support;
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and coupled to the rail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rail; And
And a stopp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oving member and the rail abut against each other to limit a sliding movement distance of the shifting member in a forward sliding operation of the shifting member.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단과 상기 지지부의 제 1 지지부재에 링크연결된 슬라이딩링크부; 및
상기 슬라이딩링크부와 이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제 2 지지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딩블럭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블럭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지지축이 걸리는 슬라이딩개구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링크부의 링크운동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전방 슬라이딩 또는 후방 슬라이딩이동될 때 상기 시트쿠션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Th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sliding link portion linked to the front end of the cushion fram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of the support portion; And
And a sliding block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link portion and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the sliding block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of the support portion,
The sliding block is provided with a sliding opening in which the supporting shaft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s engag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at cushion is limited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link portion Of the rear-seat sliding-type rear seat.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된 제 1 링크축; 및
상기 제 1 링크축과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축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링크축은 상기 제 2 링크축의 제 1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쿠션프레임이 전방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을 밀어내고,
상기 제 1 링크축은 상기 제 2 링크축이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쿠션프레임이 후방슬라이딩되면서 원래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쿠션프레임을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5. The slid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link shaft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ushion frame; And
And a second link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shaft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link shaft pushes the cushion frame so that the cushion frame slides forward when the second link shaft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the first link shaft pulls the cushion frame so that the cushion frame is slid back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econd link shaft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 latch-pivotable rear seat slid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739A KR101884741B1 (en) | 2016-12-09 | 2016-12-09 |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739A KR101884741B1 (en) | 2016-12-09 | 2016-12-09 |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6646A true KR20180066646A (en) | 2018-06-19 |
KR101884741B1 KR101884741B1 (en) | 2018-08-02 |
Family
ID=6279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739A KR101884741B1 (en) | 2016-12-09 | 2016-12-09 |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74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597B1 (en) * | 2018-12-06 | 2020-05-18 | 기성에이알씨(주)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KR20200073611A (en) * | 2018-12-14 | 2020-06-24 | 기성에이알씨(주)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CN114643909A (en) * | 2021-04-01 | 2022-06-21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Seat and vehicle |
KR20230048766A (en) * | 2021-10-05 | 2023-04-12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Latch device for seat and folding seat including the same |
KR102623415B1 (en) * | 2023-05-04 | 2024-01-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seatback locking device |
KR20240131046A (en) | 2023-02-23 | 2024-08-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tilting seat cushion of rear sea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6449B1 (en) * | 2012-12-17 | 2014-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clining apparatus of rear seat for vehicle |
KR101560986B1 (en) * | 2014-09-30 | 2015-10-16 | 주식회사다스 | Seat for vehicle |
-
2016
- 2016-12-09 KR KR1020160167739A patent/KR1018847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6449B1 (en) * | 2012-12-17 | 2014-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clining apparatus of rear seat for vehicle |
KR101560986B1 (en) * | 2014-09-30 | 2015-10-16 | 주식회사다스 | Seat for vehicl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597B1 (en) * | 2018-12-06 | 2020-05-18 | 기성에이알씨(주)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KR20200073611A (en) * | 2018-12-14 | 2020-06-24 | 기성에이알씨(주)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CN114643909A (en) * | 2021-04-01 | 2022-06-21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Seat and vehicle |
KR20230048766A (en) * | 2021-10-05 | 2023-04-12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Latch device for seat and folding seat including the same |
KR20240131046A (en) | 2023-02-23 | 2024-08-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tilting seat cushion of rear seat |
KR102623415B1 (en) * | 2023-05-04 | 2024-01-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seatback lock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4741B1 (en) | 2018-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4741B1 (en) |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 |
JP4499109B2 (en) | Vehicle seat system with entry / exit positions and loading floor positions | |
US9187012B2 (en) | Pivoting and reclining vehicle seating assembly | |
US7967375B2 (en) |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 |
CN111601732B (en) | Vehicle seat convenient to enter | |
US7152921B2 (en) | Vehicle seat | |
KR101204559B1 (en) | Seat and seat control method | |
US20120056459A1 (en) | Vehicle seat | |
US7419218B2 (en) | Rising pivot seat | |
KR101884744B1 (en) |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movable striker type | |
US20140375087A1 (en) | Seat back interlocking ottoman device and vehicle seat | |
KR102621617B1 (en) |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 |
CN111572780A (en) | Multi-position adjustable headrest assembly | |
KR20210031037A (en) | Rear seat for vehicle | |
US20100295355A1 (en) |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 |
KR101724915B1 (en)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
KR101592758B1 (en)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
KR101746457B1 (en)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
KR102570786B1 (en) | Flat Seat for Vehicle | |
KR101252499B1 (en) | Apparatus for passenger convenience in a rear seat | |
KR20230166436A (en) | 2nd row manual relaxation seat | |
CN111976554B (en) | Car and adjustable car seat thereof | |
US20180086234A1 (en) | Vehicle seat device | |
CN221137766U (en) | Seat frame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 |
CN114728605B (en) | Sea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