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66047A - 확장가능한 기능성 음료 제조 기계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기능성 음료 제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047A
KR20180066047A KR1020187008231A KR20187008231A KR20180066047A KR 20180066047 A KR20180066047 A KR 20180066047A KR 1020187008231 A KR1020187008231 A KR 1020187008231A KR 20187008231 A KR20187008231 A KR 20187008231A KR 20180066047 A KR20180066047 A KR 2018006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mponent
beverage
machine
auxilia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레상드르 페랑뜨
부지아드 유세프 아이트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8006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04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flow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는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프로세싱하여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는 성분 프로세싱 유닛(14);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성분 프로세싱 유닛의 제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시스템(16)을 포함하고, 제어 시스템은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하고, 보조 컴포넌트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48)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기능성 음료 제조 기계
본 발명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특히 상기 기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점점 더, 음료 또는 식료품의 제조를 위한 기계는 일인용의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 예컨대 커피, 차, 아이스크림, 요거트를 포함하는 용기를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기계는, 예컨대 물 또는 우유와 같은 유체의 첨가 및 그에 혼합되는 응용물로, 상기 재료를 용기 내에서 프로세싱하는 것에 의한 제조를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기계는 PCT/EP13/072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기계는, 예컨대 용해 또는 브루잉(brewing)에 의해 용기로부터 재료의 원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것에 의한, 그리고 그를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해 리셉터클 내로 배출하는 것에 의한 제조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그러한 기계의 예가 EP 2393404 A1호, EP 2470053 A1호, 및 WO 2009/113035호에 제공되어 있다.
이들 기계의 인기 증가는 종래의 기계에 비해, 예컨대 스토브-탑 에스프레소 메이커(stove-top espresso maker) 또는 카페테리아(프렌치 프레스)와 같은 수동 작동형 커피 메이커에 비해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에 부분적으로 기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기계는 하기를 포함한다: 원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에 유체(전형적으로, 물)를 적용하는 것을 통해 상기 재료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가능한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성분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여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레시피를 포함하는 수많은 상이한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은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종종, 사용자는 추가 기능, 및 이에 따라 추가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옵션을 제공하는 보조 컴포넌트와 연동하여 그러한 기계를 동작시킨다. 일례로서 커피 기계를 취하면, 음료 기계는, 전형적으로, 물의 첨가에 기초하여 상이한 커피 유형들, 예컨대 리스트레또(ristretto) 및 룽고(lungo)를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적합한 보조 컴포넌트가 우유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우유 프로세싱 유닛은, 나중에 카푸치노와 같은, 우유의 첨가를 포함하는 추가 제조 프로세스의 옵션을 제공한다. 그러한 구성의 기계를 갖는 것은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기본 기계를 구매하여, 이용가능할/원할 때 또는 사용자의 재정이 허용할 때 기능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이들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한 가지 솔루션이 Dehlongi Lattissima Pro(모델 번호 EN750.MB) 음료 기계에서 제공되는데, 여기서 커피 기계 상의 제어 시스템은 우유 프로세싱 유닛의 형태로 보조 제품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기계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기계는 우유 프로세싱 유닛의 일부와의 도킹을 위한 도킹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상기 도킹을 검출하고 신호를 회로 개폐의 형태로 제공하는 전기적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사전결정된 위치에서의 아이콘의 조명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아이콘들은 우유 프로세싱 유닛과 연관된 추가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그러한 배열물의 단점은, 그것이 추가 보조 컴포넌트들을 갖는 기계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용이하게 적응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추가 단점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의 옵션을 포함하도록 적응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 시스템 및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 시에 이미 상당한 노고를 쏟았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개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보조 컴포넌트들로 동작할 수 있도록 확장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보조 컴포넌트들의 범위에서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그러한 기계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장식용으로 매력있는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비용 효과적인 그러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동작시키기 편리한 그러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청구항 제13항에 따른 보조 컴포넌트;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시스템; 및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방법.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는,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프로세싱하여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는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및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가 개시된다. 기계는 상기 성분 프로세싱 유닛의 제어를 (즉, 상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보조 컴포넌트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즉, 성분 프로세싱 유닛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이 해결되는데, 이는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가 그것이 다양한 보조 컴포넌트들로 동작할 수 있도록 확장가능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정보, 즉 데이터는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기계로 이송되고, 상기 기계에 의해,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의 제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기계 상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프로세싱된다. 따라서, 기계는 기지의 보조 컴포넌트들의 제한적인 리스트와의 동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새로운 보조 컴포넌트가 이용가능하게 됨에 따라(또는 기존의 컴포넌트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기계는 보조 컴포넌트에 특정적인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그에 따라 기계를 적응시킴으로써 그들과 함께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예컨대, 조정, 구조조정)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예컨대, 아이콘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성분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도록 동작가능하게 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제어 시스템의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유닛은 그에 저장된 프로세스와 관련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하기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및 성분 프로세싱 유닛.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송된 명령어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의 제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의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유닛 상에의 저장에 의해 프로그래밍가능할 수 있다.
이용가능한 프로세스를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유닛은 그래픽 또는 문자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유닛은 이용가능한 프로세스를 하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스를 표현할 수 있고, 조명가능할 수 있는 아이콘; 및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연관시켰을 수 있는 LED.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즉, 상기 아이콘의 선택을 위해)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버튼 또는 터치 감지 또는 스크린 에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보조 컴포넌트를 다른 그러한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숫자 또는 문자숫자 식별자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는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정보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보의 상기 사용은 기계 상의 및/또는 (예컨대, 기계에 있지 않는 경우) 원격 리소스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룩업 테이블과 같은 키 값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통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전술된 식별자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전술된 식별자는, 추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이송을 위한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장치(radio)에 의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그것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표준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인터페이스; Kirkland Wash의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으로부터의 Bluetooth™; 무선 주파수 식별자(radio frequency identifier, RFID) 태그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판독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선택적인 추가 무선 인터페이스.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S-232; USB; I2C; 및 IEEE 802.3 표준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유선 근거리 통신망 인터페이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또한, 예컨대 그 자체의 전력 공급 유닛(PSU)으로부터 전력을 보조 컴포넌트로 공급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데, 즉,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력선 통신(PLC)을 포함한다. 후자의 구성이 유리한데, 이는, 이에 따라, 개별 PSU 및 메인 전기 공급부로의 대응하는 접속부가 보조 컴포넌트에 대해 배제되기 때문이다.
주어진 순간에,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가 하나 초과의 보조 컴포넌트와 접속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그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초과의 통신 인터페이스, 즉 상기의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초과의 보조 컴포넌트와의 동시 접속을 위해 구성된 단일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기계는 클라이언트로서 보조 컴포넌트를 갖는 서버로서 작용하고, 이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포트가 할당될 수 있음)가 있을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양방향 인터페이스는 보조 컴포넌트가 여전히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와 통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메시지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기계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가 특정 시간 간격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타임아웃에서, 보조 컴포넌트는 분리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시지는 호출 및 응답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인터페이스는 보조 컴포넌트를 통해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조 프로세스는,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의 제어 시스템이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 대해 보조 컴포넌트로부터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은, 예컨대 하기의 명령된 프로세스의 완료를 통신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유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보조 컴포넌트의 경우, 프로세스는 리셉터클로의 정의된 양의 거품생성되고 가열된 우유의 공급일 수 있고; 보조 제품 유닛을 포함하는 보조 컴포넌트의 경우, 프로세스는 커피와 우유 층 사이에 또는 커피 및/또는 우유 층 뒤에 시럽과 같은 층의 공급일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는 제어 시스템이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예컨대, 프로세스 정보를 그 또는 각각의 보조 컴포넌트의 제어 시스템으로 이송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보조 컴포넌트(예컨대, 그 또는 각각의 보조 컴포넌트의 보조 프로세싱 유닛)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보조 컴포넌트를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차 동작의 경우,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로부터의 성분의 층들은 교번 분배될 수 있다. 동시 동작의 경우, 양측 성분 모두를 포함하는 층이 분배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는 보조 컴포넌트의 최종 사용자 제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명령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가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으로부터 언제 제거되는지 판정하도록; 그리고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디스에이블시키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의 예에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는 보조 컴포넌트와 물리적으로 도킹하지 않고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및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양측 모두의 경우,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보조 컴포넌트를 기계와 물리적으로 도킹시키기 위한(예컨대, 제거가능하게 도킹시키기 위한) 도킹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보조 컴포넌트 상에 배열된 제2 인터페이스 부분과 도킹가능한, 상기 기계 상에 배열되는 제1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도킹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도킹된 보조 컴포넌트의 보조 프로세싱 유닛의 출구 및/또는 출력이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 내의 식료품 또는 음료에 보조 제품을 공급하도록 또는 보조 프로세스를 적용하도록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들의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예컨대, 각각이 상이한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복수의 프로세스)를 그리고/또는 보조 컴포넌트들의 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예컨대, 하나 초과의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컴포넌트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후속 보조 컴포넌트로부터의 정보가 수신 및 활용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들 각각을 그리고/또는 그들의 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보조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선택을 위해 하나 이상의 보조 아이콘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들 각각을 그리고/또는 그들의 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수신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하기를 행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검색하고, 바람직하게는, 검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는 것; 및/또는 프로세스 정보(즉,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바람직하게는, 검색된 프로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스의 동작을 인에이블시키는 것. 전술된 정보는 기계 자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색될 수 있는데, 예컨대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로부터 검색된다. 전술된 정보는 기계의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격 리소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색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원격 리소스는, 전형적으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로부터 원격으로, 예컨대 상이한 위치에 배열된다. 원격 리소스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체화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것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또는 다른 분산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 및/또는 프로세스 정보가 기계 상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그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리소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원격 리소스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기계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것은 원격 리소스로부터 다시 획득될 필요가 없다.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표시로 디스플레이된다. 각각이 상기 프로세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복수의 보조 아이콘이 메인 아이콘들 중 하나 또는 그들의 그룹의 주변부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메인 아이콘은 전체적으로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아이콘은 그 또는 각각의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동일한 위치에 남을 수 있다. 주변부는 원주방향 연장선을 중심으로 있을 수 있는데, 이 선은 그 또는 각각의 메인 아이콘 주위로 연장된다. 주변부는 메인 아이콘의 사이드 에지를 따라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에 관련된 LED와 같은 광원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성분 프로세싱 유닛은, 일반적으로, 물 또는 우유와 같은 유체를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제조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성분 프로세싱 유닛은 하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 유닛; 용해 유닛; 및 혼합 유닛. 성분 프로세싱 유닛은 유체를 전술된 유닛에 공급하도록 동작가능한 유체 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 공급부는 유체 펌프 및 유체 히터를 포함한다. 전술된 유닛은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를 함유한 용기와의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성분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성분은 제자리의 용기 또는 재료일 수 있다. 용기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에 의한 사용을 위한 것이다(예컨대, 그것은 적합하게 크기설정되어 있다). 용기는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를 함유하기 위한 것이다(예컨대, 그것은 내부 부피를 가지며, 식품 안전적일 수 있다). 용기는 일인용 용기일 수 있는데, 즉, 그것은 일인용의(예컨대, 사전 분배된) 상기 제품의 제조를 위한 1회분의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를 함유하기 위해 크기설정되어 있다. 용기는 일회용 용기일 수 있는데, 즉 그것은 단일 제조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되어, 그 후에는, 이는 예컨대 상기 재료의 뚜껑 또는 방출부(exhaustion)의 천공, 관통, 제거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사용불가능하게 된다. 용기는 그 안에 함유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캡슐; 패킷; 및 리셉터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의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한 것이다. 캡슐은 5 내지 80 ml의 내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은 150 내지 350 ml의 내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패킷은 응용물에 따라 150 내지 350 ml 또는 200 내지 300 ml 또는 50 내지 150 ml의 내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보조 컴포넌트가 개시된다. 보조 컴포넌트는 하기를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 제1 태양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상기 기계의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전술된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함); 및 예컨대 기계의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전형적으로, 리셉터클 내로의 그의 분배에 이어서) 그리고/또는 (전형적으로, 리셉터클 내로의 음료 또는 식료품의 분배에 이어서) 상기 기계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또는 식료품에 첨가하기 위한 추가의 그러한 성분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보조 프로세싱 유닛. 보조 프로세싱 유닛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형성 유닛(steaming unit)(예컨대, 물 스팀기(steamer)); 우유 프로세싱 유닛(예를 들어, 예컨대 가열하기 및/또는 거품생성하기에 의해 우유를 컨디셔닝하는 유닛); 보조 제품 유닛(예컨대, 시럽, 과일 추출물, 초콜릿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향료나 토핑, 또는 설탕과 같은 보조 제품을 분배하도록 동작가능한 유닛); 및 냉각 유닛(예컨대, 아이스 모카 또는 차와 같은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음료 또는 식료품을 냉각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유닛).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제1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보조 컴포넌트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는 정보; 및/또는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정보이다.
보조 컴포넌트는 하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보조 프로세싱 유닛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상기 기계에 의해 실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보조 프로세싱 유닛의 제어를 위해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의 보조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계의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직접 제어될 수 있다(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의 예에서, 이에 의해, 보조 컴포넌트의 개별 제어 시스템이 배제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는 사용자에 의해, 예컨대 기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활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보조 컴포넌트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는, 제1 태양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제2 태양에 따른 하나 이상의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상에서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제조 프로세스의 프로그래밍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정보의 제공을 위한 원격 리소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리소스는, 전형적으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로부터 원격으로, 예컨대 상이한 위치에 배열된다. 원격 리소스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체화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것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또는 다른 분산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는, 예컨대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태양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 및 제2 태양에 따른 보조 컴포넌트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방법은,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제어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도록 동작가능하게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성분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재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프로세스는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프로세싱하여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컴포넌트의 보조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제어 시스템이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컴포넌트는 층화된(layered) 음료를 생성하도록 순차적으로 그리고/또는 성분 프로세싱 유닛과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는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프로세싱하여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는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계는 상기 성분 프로세싱 유닛의 제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보조 컴포넌트는 하기를 포함한다: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보조 프로세싱 유닛(제2 태양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음);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상기 보조 성분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시스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하여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태양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고, 기계의 다른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는 제2 태양의 임의의 특징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는 커피 제조 기계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컴포넌트는 우유 프로세싱 유닛 또는 보조 컴포넌트 유닛으로서 구성된 보조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보조 컴포넌트를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바람직하게는 층화된 음료 또는 식료품 제품이 리셉터클 내로 분배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차 동작의 경우,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로부터의 성분의 층들은 리셉터클 내로 교번 분배될 수 있다. 동시 동작의 경우, 양측 성분 모두를 포함하는 층이 분배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보조 컴포넌트는 제조 프로세스의 명령된 부분의 완료, 예컨대 특정 층의 분배를 나타내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추가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조 프로세스의 추가 부분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계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추가 보조 컴포넌트는 상기 기계의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또는 보조 컴포넌트에 대해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제어되어, 바람직하게는, 층화된 음료 또는 식료품 제품이 리셉터클 내로 분배되게 할 수 있다. 추가 보조 컴포넌트는, 바람직하게는, 보조 제품 유닛으로서 구성된 보조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는 커피 제조 기계이고, 보조 컴포넌트는 우유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구성된 보조 프로세싱 유닛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는, 제조 프로세스로서, 음료 또는 식료품 시스템으로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시스템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기 기계가, 그의 성분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예컨대, 음료 또는 식료품의 일부를 제조하도록, 그리고 전형적으로, 그를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도록)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여 (예컨대, 리셉터클 내로 분배될 수 있는 음료 또는 식료품의 일부를 제조하도록, 또는 전형적으로 리셉터클 내에 있을 때, 상기 기계에 의해 제조된 음료 또는 식료품에 대해 가열, 냉각, 또는 거품생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조 프로세스의 추가 부분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 및 보조 컴포넌트를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바람직하게는, 층화된 음료 또는 식료품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5 태양의 임의의 특징에 따라 기계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들은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특징들은 상기 태양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되어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기술된 것 이외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유리한 특징부는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그의 실시예가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예로서 첨부 도면을 이제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가 보조 컴포넌트와 도킹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재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5는 보조 컴포넌트를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에 접속시키고 상기 기계를 재구성하여 그것이 보조 컴포넌트를 활용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음료/식료품 제조 시스템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2)은, 그의 제1 레벨에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 및 용기(6)를 포함하며, 이들이 하기에 기술된다.
제조 기계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는 섭취 및/또는 음용에 의한 소비를 위해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식료품 및/또는 음료로 프로세싱하도록 동작가능한데, 이는 음료 또는 식료품 재료(이하, 재료)의 일부분 또는 그 제자리의 재료를 함유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싱은 물 또는 우유와 같은 유체를 상기 재료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식료품 재료는 차가울 수 있거나 또는 뜨거울 수 있는, 일반적으로 섭취를 위한 자양물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는 그의 비포괄적인 예이다: 요거트; 무스; 파르페; 스프; 아이스크림; 셔벗; 커스타드; 및 스무디. 일반적으로, 식료품은 액체 또는 겔이다. 본 명세서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음료 재료는 차가울 수 있거나 또는 뜨거울 수 있는, 휴대용 물질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는 그의 포괄적인 예이다: 차; 분쇄된 커피를 포함한 커피; 핫초코; 우유; 및 코디얼. 양측 정의들 사이에 소정 정도의 중첩이 있다는 것, 즉 상기 기계(4)가 식료품 및 음료 양측 모두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조 기계(4)는, 일반적으로, 작업대 상에서의 사용을 위해 치수가 정해지는데, 즉 이는 길이, 폭, 및 높이가 70 cm 미만이다. 제조 기계(4)는 그의 제1 레벨에서: 하우징(10); 성분 프로세싱 유닛(14);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 및 제어 시스템(16)을 포함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하우징
하우징(10)은 상기 기계의 제1 레벨 컴포넌트들을 내장 및 지지하고, 제조 기계(4)의 제2 레벨에서 하기를 포함한다: 수평 배열된 지지부 표면의 받침용 베이스(110); 및 다른 제1 레벨 컴포넌트를 그에 장착하기 위한 몸체(112).
성분 프로세싱 유닛
특정 실시예에 따라,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하기에 배열된 재료를 프로세싱함으로써 식료품/음료를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킷 또는 캡슐인 일인용의 일회용 용기(6);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한 리셉터클인 용기(6); 시튜(situ); 및 이들의 조합. 구체적으로, 재료는, 예컨대 그의 원료의 용해 또는 추출 또는 혼합에 의해, 그의 조성의 변화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구성의 실시예가 논의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제조 기계(4)의 제2 레벨에서, 유체를 용기(6)로 공급하도록 동작가능한 유체 공급부(12)를 포함한다. 유체는 일반적으로 물 또는 우유이고, 유체는 컨디셔닝(즉,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12)는, 전형적으로, 제조 기계(4)의 제3 레벨에서 하기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응용에서 1 내지 5 리터의 유체인 유체를 함유하기 위한 저장조(20); 전기 모터 또는 인덕션 코일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왕복 또는 로터리 펌프와 같은 유체 펌프(22); 일반적으로 인라인의 서모블록 유형 히터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유체 히터(24); 및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출구. 저장조(20), 유체 펌프(22), 유체 히터(24), 및 출구는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서로 유체 연통하고, 유체 라인을 형성한다. 유체 공급부(12)는, 선택적으로, 유체 유속 및/또는 전달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센서의 일례가 로터의 회전을 측정하는 홀(hall) 또는 다른 적합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유량계이며, 센서로부터의 신호는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8)에 제공된다.
용기로부터 식료품/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성분 프로세싱 유닛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하기를 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재료를 함유한 용기(6)를 수용하는 것; 용기(6)를 프로세싱하여 그로부터 음료의 하나 이상의 원료를 추출하는 것; 및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해 상기 원료를 대안의 리셉터클 내에 분배하는 것. 용기는, 일반적으로, 캡슐 또는 패킷과 같은 일회용의 일인용 용기이다.
상기 캡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이 먼저 기술될 것인데, 그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캡슐 수용 위치와 캡슐 추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동작가능한 추출 유닛(26)을 포함하며, 캡슐 추출 위치로부터 캡슐 수용 위치로 이동할 때, 추출 유닛은 캡슐 배출 위치를 통하여 또는 그로 이동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비된 캡슐이 그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추출 유닛(26)은 유체 공급부(12)로부터의 유체를 수용한다. 추출 유닛(26)은 전형적으로: 주입 헤드(28); 캡슐 홀더(30); 캡슐 홀더 로딩 시스템(32); 캡슐 삽입 채널(34A); 및 캡슐 배출 채널(34B)을 포함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기술된다.
주입 헤드(28)는 캡슐 홀더(30)에 의해 보유되는 경우에 유체를 캡슐(6)의 캐비티 내로 주입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유체 공급부(12)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노즐을 갖는 인젝터가 그에 장착된다.
캡슐 홀더(30)는 추출 동안에 캡슐(6)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이는 주입 헤드(28)에 동작가능하게 링크된다. 캡슐 홀더(30)는 이동하여 상기 캡슐 수용 위치 및 캡슐 추출 위치를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캡슐 홀더가 캡슐 수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캡슐(6)이 캡슐 삽입 채널(34A)로부터 캡슐 홀더(30)로 공급될 수 있고; 캡슐 홀더(30)가 캡슐 추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공급된 캡슐(6)이 홀더(30)에 의해 보유되고, 주입 헤드(28)는 유체를 보유된 캡슐의 캐비티 내로 주입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원료가 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캡슐 홀더(30)를 캡슐 추출 위치로부터 캡슐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 캡슐 홀더(30)는 상기 캡슐 배출 위치를 통하여 또는 그로 이동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비된 캡슐(6)은 캡슐 배출 채널(34B)을 통하여 캡슐 홀더(3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캡슐 홀더 로딩 시스템(32)은 캡슐 수용 위치와 캡슐 추출 위치 사이에서 캡슐 홀더(30)를 구동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전술된 용기 추출 유닛(14)은 일반적으로 가압 추출 유닛인데, 예컨대 그 용기는 유압식으로 밀봉되고, 브루잉 동안에 5 내지 20 바(bar)의 적용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인덕션 펌프이다. 추출 유닛은, 대안적으로, EP 2594171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심 분리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대안적으로, EP 1472156호 및 EP 17843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용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용기(6)가 패킷을 포함하는 예에서, 용기 프로세싱 유닛(14)은 패킷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그의 입구에서 유체 공급부(12)로부터 유체를 주입하도록 동작가능한 추출 및/또는 용해 유닛을 포함한다. 주입된 유체는 패킷을 그의 출구를 통하여 빠져 나가는 패킷 내의 재료와 혼합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료를 제조한다. 추출 또는 용해 유닛은 하기를 포함한다: 미사용 패킷을 수용하고 소비된 패킷을 배출하는 지지부 메커니즘; 및 유체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패킷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젝터. 추가 상세사항이 WO 2014/125123호에서 제공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한 용기 내의 식료품/음료의 제조를 위한 성분 프로세싱 유닛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프로세싱 유닛(14)(도시되지 않음)은, 일반적으로, 대략 150 내지 350 ml의 제조된 제품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컵, 포트, 또는 다른 적합한 리셉터클과 같은 리셉터클인 용기(6)에 저장된 재료를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여기서,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교반기 유닛; 선택적인 보조 제품 유닛; 열 교환기; 및 리셉터클 지지부를 포함하는 혼합 유닛을 포함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교반기 유닛은 재료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조를 위해 리셉터클 내의 그 재료를 교반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교반기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혼합 배열물, 예컨대 유성형 혼합기(planetary mixer); 나선형 혼합기; 수직방향 컷 혼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교반기 유닛은 하기를 포함한다: 재료와의 접촉을 위한 혼합 헤드를 갖는 혼합용 도구; 및 혼합 도구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예컨대 전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유성형 혼합기의 바람직한 예에서, 혼합 헤드는 회전 각속도 W2로 회전하는 오프셋 샤프트 상에서 방사상 각속도 W1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며, 그러한 배열은 PCT/EP13/072692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보조 제품 유닛은 토핑과 같은 보조 제품을 용기(6)에 공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보조 제품 유닛은 하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조; 및 저장조로부터의 상기 제품의 분배를 수행하는 전기 작동형 분배 시스템.
열 교환기는 리셉터클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이송하고/하거나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열 에너지의 이송의 일례에서, 그것은 서모블록과 같은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에너지의 추출의 일례에서, 그것은 냉장형 사이클 열 펌프와 같은 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지지부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용기를 지지하여, 교반기 유닛에 의한 용기 안의 재료의 교반 동안에 용기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리셉터클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기와 열적으로 연관되어, 열 에너지의 이송이 지지된 리셉터클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 대한 변형예에서,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은 용기(6)(예컨대, 패킷)를 수용하고 연관된 재료를, 그것이 제조되는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예가 EP 14167344 A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에 대한 추가 변형예에서, 혼합 유닛은 저장조로부터 일인용의 연관된 재료를, 그것이 제조되는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고/하거나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기 전에 재료를 제자리에서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한 분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그러한 예가 WO 2010/034722호 및 WO 2013/01414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제어 시스템 일반
일례가 도 2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16)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음료/식료품의 제조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제어 시스템(16)은 전형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6); 프로세서(38); 선택적인 센서(40); 선택적인 통신 인터페이스(48); 및 전력 공급부(42)를 포함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기술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최종 사용자가 프로세서(38)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그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용가능한 프로세스를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출력 유닛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또는 문자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및 연관된 표시를 갖는 LED. 출력 유닛은 이용가능한 제조 프로세스를, 예컨대 하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 및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연관시켰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LED. 사용자가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버튼 또는 터치 감지 또는 스크린 에지 버튼; 및 LED와 연관된 버튼.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과 관련된 커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호로서 입력 유닛으로부터 프로세서(38)로 이송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스터 프로세서(38)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개별 프로세싱 유닛(그 예가 하기에 제공됨)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센서(40)는 프로세서(38)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입력을 제공한다. 센서(40)는 전형적으로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유체 온도 센서; 유체 레벨 센서; 예컨대 추출 유닛(26)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 및 유속 및/또는 부피 센서.
프로세서(38)는, 일반적으로, 하기를 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입력,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36) 및/또는 센서(40)로부터의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 메모리 유닛 상에 (또는 프로그래밍된 로직으로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입력을 프로세싱하는 것; 및 일반적으로 상기 제조 프로세스인 출력을 제공하는 것. 프로세스는 개루프(open-loop) 제어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센서(4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피드백으로서 사용하는 폐루프(closed-loop) 제어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입력, 및 출력 시스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집적 회로로서, 전형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로서 배열된다. 프로세서(38)는 하기와 같은 다른 적합한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ASIC;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예컨대 FPGA; 및 아날로그 집적 회로, 예컨대 제어기. 프로세서(38)는, 또한, 전술된 집적 회로들, 즉 다수의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제조 프로세스를 위해 실행가능한 제조 프로그램) 및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유닛(46)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46)은 전형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 및 동작 파라미터 저장을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데이터 저장을 위한 휘발성 메모리(RAM). 메모리 유닛은 (예컨대, 프로세서의 다이 상의) 개별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프로세서(38)는 제조 프로세스의 타이밍을 위한 (그리고 명령어의 실행을 위한) 시계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8)는 제조 기계(4)와 원격 리소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48)는,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보조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를 공급하고/하거나 수신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8)는 케이블 매체 또는 무선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 예컨대 하기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유선 접속부, 예컨대 RS-232, USB, I2C, IEEE 802.3에 의해 정의된 이더넷; 및 무선 접속부, 예컨대 무선 LAN(예컨대, IEEE 802.11)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또는 셀룰러 시스템, 예컨대 GPRS 또는 GSM. 통신 인터페이스(48)는 프로세서(38)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는 마스터 프로세서(38)와 인터페이싱하도록 통신 하드웨어(예컨대, 안테나)를 제어하는 개별 프로세싱 유닛(그 예가 상기에 제공됨)을 포함한다. 그러나, 덜 복잡한 구성, 예컨대 프로세서(38)와의 직접 직렬 통신을 위한 단순한 유선 접속부가 사용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42)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프로세서(38) 및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에, 그리고 특히 펌프(22)에 공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전력 공급부(42)는 메인 전기 공급부를 수용 및 컨디셔닝하는 유닛 또는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리소스
원격 리소스는 기계(4)에 대해 멀리 배열된 (즉, 상이한 위치에 있는) 리소스를 포함한다. 원격 리소스는 기계에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프로세스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동작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원격 리소스는 서버 시스템(예컨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체화됨),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또는 다른 분산형 시스템이다. 원격 리소스 및 기계(4)는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한다.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의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는 보조 컴포넌트(52)의 대응 인터페이스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것이다.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는 제어 시스템(16)의 통신 인터페이스(62)(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나중에 더 상세히 논의됨) 및 선택적인 도킹 인터페이스(54)를 포함한다.
무선 및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들(62) 양측 모두의 경우,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는 보조 컴포넌트(52)를 기계(4)와 물리적으로 도킹시키기 위한(예컨대, 제거가능하게 도킹시키기 위한) 도킹 인터페이스(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54)는, 바람직하게는, 보조 컴포넌트 상에 배열된 제2 인터페이스 부분과 도킹가능한, 상기 기계 상에 배열되는 제1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부분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간섭(즉, 마찰) 끼워맞춤; 스냅 끼워맞춤; 및 탄성 체결자 끼워맞춤. 일반적으로, 제1 또는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 중 다른 것 내로 삽입가능하여서, 도킹 인터페이스(54)가 특정 위치에 보조 컴포넌트(52)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하게 한다. 도킹 인터페이스(54)는, 바람직하게는, 도킹된 보조 컴포넌트의 보조 프로세싱 유닛의 출구 및/또는 출력이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 내의 식료품 또는 음료에 보조 제품을 공급하도록 또는 보조 프로세스를 적용하도록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16)은 기계(4)의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의 통신 인터페이스(62)를 추가로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2)는 보조 컴포넌트(52)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하기에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제어 시스템(16)은 하기를 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 및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 유리하게도,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4)는 그것이 다양한 보조 컴포넌트들로 동작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의 제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기계 상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확장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62)는 데이터 이송을 위한 것이다. 그것은 전술된 통신 인터페이스(48)와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은 개별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62)는 케이블 매체 또는 무선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2)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인터페이스; Kirkland Wash의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으로부터의 Bluetooth™;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RFID 인터페이스와 같은 선택적인 추가 무선 인터페이스.
적합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62)의 예는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RS-232; USB; I2C; 및 IEEE 802.3 표준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유선 근거리 통신망 인터페이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62)를 사용하면, 기계(4)는 보조 컴포넌트와 물리적으로 도킹하지 않으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의 도킹 인터페이스(54)는 배제된다.
도 3은 전술된 구성의 예시적인 조합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기계(4)는 커피 제조를 위한 것이고, 보조 컴포넌트(52)는 우유 프로세싱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는 보조 컴포넌트 상의 RFID에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수신기의 형태인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6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송신된다. 기계(4)는 보조 컴포넌트(52)와 물리적으로 도킹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50)는 전술된 구성들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 도킹 인터페이스(54)를 포함한다.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시스템(16)의 전술된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6)의 예약된 부분을, 보조 컴포넌트(52)와 연관된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에 응답하여, LED와 연관된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콘의 선택은 보조 컴포넌트를 활용하는 프로세스와 연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재구성이 특별히 요구되지는 않는다.
제2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6)은,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보조 컴포넌트(5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도록 동작가능하게 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제어 시스템의 프로세서(38)와 연관된 메모리 유닛(46)은 그에 저장된 프로세스와 관련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보조 컴포넌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식별할 수 있고 프로세스의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 또는 각각의 프로세스는 프로세서(38)와 연관된 메모리 유닛(46) 상에서 식별될 수 있고 실행을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 또는 각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정보가 제어 시스템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실행을 위해 메모리 유닛(46)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정보는 원격 리소스로부터 그리고/또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 자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6)은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재구성(예컨대, 조정)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5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조 컴포넌트의 존재에 대한 판정에 응답하여 어느 방식으로든 변경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38)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직접적으로 구동할 때 프로세서(38)로부터의 출력 신호로서 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개별 프로세서로 전송되는 명령어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는 출력 유닛의 구성에 따라, 예컨대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각각의 연관된 추가 프로세스에 대한 보조 아이콘 또는 LED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보조 아이콘은 바람직하게는 조명되고, 상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는 프로세스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예시, 예컨대 특정 커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4) 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의 또는 복수의 메인 아이콘들(56)은 제1 그룹에 배열될 수 있고,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와 연관된 하나의 또는 복수의 보조 아이콘(58)이 제2 그룹에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그룹은 고정 위치에 배열되는데, 즉, 그것은 제2 그룹의 추가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2 그룹은 제1 그룹의 주변부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다수 보조 컴포넌트들 중 단 하나와 연관될 수 있는) 수많은 제조 프로세스와 관련된 아이콘들을 위한 더 큰 공간이 있다. 전술된 주변부는 전체 주변부 또는 부분 주변부, 예컨대 사이드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상기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데, 여기서는 제1 그룹으로서 단일의 메인 아이콘(56)이 있고, 메인 아이콘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5개의 보조 아이콘(58)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아이콘(56)은 우유가 없는 커피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을 위한 것이고, 5개의 보조 아이콘은 하나 이상의 보조 컴포넌트의 활용을 포함하는 예컨대 하기의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을 위한 것이다: 라떼; 카푸치노; 아이스 커피; 및 커피와 우유의 층화된 조합 등. 도 4a의 예가 임의의 수의 보조 아이콘 및 임의의 수의 메인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그리고 다양한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 유형을 위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복수의 메인 아이콘의 예에서, 그들은 중심 지점을 정의하는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보조 아이콘은 중심 지점을 중심으로 배치된다. 이 구성은 중심 지점이 중심에 배열되고 보조 아이콘이 정점에 배열되는 다각형(예컨대, 삼각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대한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보조 아이콘은 많은 메인 아이콘들 중 하나를 중심으로 직사각형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도 4b는 상기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데, 여기서는 제1 그룹으로서 3개의 메인 아이콘(56)이 있고 메인 아이콘의 사이드 에지를 따라서 주변부에 배치되는 3개의 보조 아이콘(58)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아이콘(56)은 3개의 상이한 크기의 우유가 없는 커피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을 위한 것이고, 3개의 보조 아이콘은 하나 이상의 보조 컴포넌트의 활용을 포함하는 하기의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을 위한 것이다: 라떼; 카푸치노; 및 아이스 커피. 도 4b의 예가 임의의 수의 보조 아이콘 및 임의의 수의 메인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그리고 다양한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 유형을 위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된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예컨대 하기와 같이 적합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 또는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 또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상기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관점에서, 보조 컴포넌트(52)로부터 전송되고 기계(4) 상에서 수신되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시스템(2)의 구성에 따라 상이한 수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 논의된다.
제1 예에서,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보조 컴포넌트를 다른 그러한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숫자 또는 문자숫자 식별자와 같은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및/또는 정보를 검색하여, 각자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은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기계(예컨대, 메모리 유닛(46)) 상에 그리고/또는 원격 리소스 상에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룩업 테이블과 같은 키 값 데이터베이스 저장 패러다임에서의 키로서 식별자를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 및/또는 프로세스 정보가 기계(4) 상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그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리소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원격 리소스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기계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그것은 원격 리소스로부터 다시 획득될 필요가 없다.
제2 예에서,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재구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는 제어 시스템(16)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프로세서(38)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다.
제3 예에서,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보조 컴포넌트(52)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로 제어 시스템(즉, 그의 메모리 유닛(46))을 프로그래밍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정보는 제어 시스템(16)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프로세서(38)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고, 메모리 유닛(46)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상기의 제1 내지 제3 예의 조합, 예컨대 제2 또는 제3 예와 조합한 제1 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조합으로, 보조 컴포넌트 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임의의 필요 정보가 식별자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또한 포함하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 내의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프로세스 정보를 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4)를 재구성하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관념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는 전술된 제2 예와 제3 예의 조합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6) 및 메모리 유닛(46)은 전술된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래밍된다.
기계(4)의 제어 시스템(16)은, 보조 컴포넌트(52)가 통신 인터페이스(62)와의 데이터 통신으로부터 언제 분리되는지 판정하도록; 그리고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디스에이블시키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인 아이콘(56)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그의 오리지널 상태로 다시 재구성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가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메시지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기계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가 특정 시간 간격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타임아웃에서, 보조 컴포넌트는 분리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시지는 호출 및 응답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는 프로세스가 계산 집약적이지 않도록 식별자 또는 다른 문자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는 주어진 시간에 하나 초과의 보조 컴포넌트(52)로 동작가능할 수 있는데, 예컨대 그것은 기계(4)에 동작가능하게 동시에 접속되는 상이한 보조 컴포넌트들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단일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하나 초과의 보조 컴포넌트를 활용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계(4)의 제어 시스템(16)은, 복수의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들 각각을 그리고/또는 그들의 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사용자가 보조 컴포넌트들 각각을 그리고/또는 그들의 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전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제1 환형 링 주위에 그리고 이어서 제2 환형 링 주위에 추가 보조 아이콘(58)을 부가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그러한 프로세스와 관련된 보조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러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할 때, 임의의 다른 보조 컴포넌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그리고, 그러한 경우, 하나 초과의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임의의 프로세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자는 기계(4) 상의 그리고/또는 원격 리소스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그리고/또는 보조 컴포넌트 정보 자체로 달성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
보조 컴포넌트(52)는 하기를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 상기 정보를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의 통신 인터페이스(62)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조 프로세스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보조 프로세싱 유닛. 전형적으로, 보조 컴포넌트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것과 유사한 제어 시스템, 즉 전술된 하기의 것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 통신 인터페이스; 및 보조 프로세싱 유닛. 그것은,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은 보조 컴포넌트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비용 효율을 위해 배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조 프로세싱 유닛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형성 유닛(예컨대, 물 스팀기); 우유 프로세싱 유닛(예를 들어, 예컨대 가열하기 및/또는 거품생성하기에 의해 우유를 프로세싱하는 유닛); 보조 제품 유닛(예를 들어, 시럽, 과일 추출물, 초콜릿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향료나 토핑, 또는 설탕과 같은 보조 제품을 분배하도록 동작가능한 유닛); 냉각 유닛(예를 들어, 액체 음료 또는 식료품을 냉각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유닛: 예컨대, 열 에너지의 이송에 의해 동작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을 냉각시키는 열 펌프; 얼음 및/또는 냉수를 음료 또는 식료품에 공급할 수 있는 유닛); 및 거품생성 유닛(예컨대, 리셉터클 내의 음료를 거품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유닛). 특정 구성의 보조 프로세싱 유닛은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의 구성을 위해 선택된다.
보조 컴포넌트로 인해 이용가능한 프로세스
보조 컴포넌트(52)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4)에 하나 이상의 추가 제조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계(4)의 제어 시스템(16)에 의해 실행되는 그러한 제조 프로세스는 보조 컴포넌트의 최종 사용자 제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통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명령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서, 여기서 기계(4)는 커피 제조를 위한 것이고, 보조 컴포넌트(52)는 우유 프로세싱 유닛이고, 프로세싱된 우유를 포함하는 커피(예컨대, 라떼 또는 카푸치노)를 위한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의 제어 시스템(16)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하기를 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에스프레소 샷을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는 것; 및 우유 프로세싱 유닛의 최종 사용자 제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36) 상에 명령어, 예컨대 우유 프로세싱 유닛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이용할 설정, 및 프로세싱된 우유를 리셉터클로 공급할 시기를 제공하여 우유 및 그의 적용물을 리셉터클 내로 프로세싱하는 것.
대안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제어 시스템(16)은 통신 인터페이스(62)를 통하여 보조 컴포넌트(52)를 제어한다. 그러한 구성은 그것이 최종 사용자에게 더 편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16)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14) 및 보조 컴포넌트를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순차 동작의 경우,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4) 및 보조 컴포넌트로부터의 성분의 층들은 교번 분배될 수 있다. 동시 동작의 경우, 양측 성분 모두를 포함하는 층이 분배될 수 있다. 보조 컴포넌트(52)는 통신 인터페이스(62)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된 프로세스의 일부의 완료, 예컨대 전술된 층의 분배의 완료, 또는 음료의 거품생성과 같은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시스템(16)은 통신 인터페이스(62)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는 성분 프로세싱 유닛(14) 및/또는 전술된 보조 컴포넌트와 동시일 수 있거나 또는 순차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층 또는 혼합 층들이 분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여기서 기계(4)는 커피 제조를 위한 것이고, 보조 컴포넌트(52)는 우유 프로세싱 유닛이고, 프로세싱된 우유를 포함하는 커피(예컨대, 라떼 또는 카푸치노)를 위한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의 제어 시스템(16)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하기를 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에스프레소 샷을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는 것; 및 우유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여, 우유를 (예컨대, 가열 및/또는 거품생성에 의해) 프로세싱하고 정확한 양의 우유를 커피와 순서대로(일반적으로는, 커피 뒤에)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는 것.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16)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14) 및 보조 컴포넌트(52)를 제어하여, 커피와 프로세싱된 우유의 하나 이상의 교번 층 쌍을 공급하도록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동시에 동작하여, 혼합된 층을 커피 또는 우유 층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추가 보조 컴포넌트, 예컨대 향료첨가 커피(예컨대, 카라멜 라떼)의 제조를 위한 보조 제품 유닛 및/또는 아이스 커피(예컨대, 아이스 모카)를 제조하는 냉각 유닛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제어 시스템(16)은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여, 전술된 커피 및 우유 층 외에도 향료첨가 층을 분배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추가의 특정 예로서, 여기서 기계(4)는 냉동 요거트 제조를 위한 것이고, 보조 컴포넌트(52)는 토핑 유닛이고,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의 제어 시스템(16)은 성분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하기를 행할 수 있다: 리셉터클 내에 요거트를 제조하는 것; 및 토핑 유닛을 제어하여, 냉동 요거트의 제조 뒤에 그에 토핑을 공급하는 것.
도면 부호의 목록
2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
4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10 하우징
110 베이스
112 몸체
14 성분 프로세싱 유닛
12 유체 공급부
20 저장조
22 유체 펌프
24 유체 열 교환기
26 추출 유닛
28 주입 헤드
30 캡슐 홀더
32 캡슐 홀더 로딩 시스템
34A 캡슐 삽입 채널
34B 캡슐 배출 채널
16 제어 시스템
36 사용자 인터페이스
56 메인 아이콘
58 보조 아이콘
38 프로세서
46 메모리 유닛
40 센서
42 전력 공급부
48 통신 인터페이스
50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54 도킹 인터페이스
6 용기 (캡슐/리셉터클/패킷)
52 보조 컴포넌트
원격 리소스

Claims (15)

  1.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로서,
    음료 또는 식료품 성분을 프로세싱하여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는 성분 프로세싱 유닛;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성분 프로세싱 유닛의 제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보조 컴포넌트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수신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성분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도록 동작가능하게 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는
    상기 보조 컴포넌트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보조 컴포넌트를 상기 기계에 도킹하기 위한 도킹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보조 컴포넌트들 각각을 그리고/또는 그들의 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검색하도록 그리고/또는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세스 정보를 검색하도록 동작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격 리소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정보가 상기 기계 상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그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원격 리소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항에 종속하는 경우, 이에 의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하는 것은 상기 프로세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아이콘들 각각을 메인 아이콘들 중 하나 또는 그들의 그룹의 주변부를 중심으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메인 아이콘은, 전체적으로 상기 음료 또는 식료품 기계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세스는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것; 및/또는
    상기 보조 컴포넌트의 최종 사용자 제어를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명령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13.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보조 컴포넌트로서,
    메모리 유닛 상에 저장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
    상기 정보를 상기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보조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보조 컴포넌트.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제13항에 따른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
  15.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및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료 또는 식료품 제조 기계 상에서 상기 보조 컴포넌트로부터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보조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보조 컴포넌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08231A 2015-10-23 2016-10-12 확장가능한 기능성 음료 제조 기계 Withdrawn KR20180066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1140.1 2015-10-23
EP15191140 2015-10-23
PCT/EP2016/074408 WO2017067828A1 (en) 2015-10-23 2016-10-12 Expandable functionality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047A true KR20180066047A (ko) 2018-06-18

Family

ID=5436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231A Withdrawn KR20180066047A (ko) 2015-10-23 2016-10-12 확장가능한 기능성 음료 제조 기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80303273A1 (ko)
EP (1) EP3364828B1 (ko)
JP (1) JP2019500913A (ko)
KR (1) KR20180066047A (ko)
CN (1) CN108135391A (ko)
AU (1) AU2016343218A1 (ko)
BR (1) BR112018004202A2 (ko)
CA (1) CA3002692A1 (ko)
ES (1) ES2919354T3 (ko)
IL (1) IL257449A (ko)
MX (1) MX2018004688A (ko)
PT (1) PT3364828T (ko)
RU (1) RU2018118590A (ko)
WO (1) WO2017067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379336B2 (en) * 2017-12-08 2024-02-0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evice for producing milk and/or milk foam and associated system
CH716691A2 (de) * 2019-10-14 2021-04-15 Steiner Ag Weggis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zeugen von Getränken, vorzugsweise von Milchschaum oder Milchgetränken.
US11432560B2 (en) * 2020-02-13 2022-09-06 Maya Almazloum Automated yogurt maker
CN214017139U (zh) * 2020-09-09 2021-08-24 富港电子(徐州)有限公司 投入式胶囊咖啡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342A (en) * 1978-02-22 1980-07-08 Ara Services, Inc. Combination hot and cold drink machine
US7151968B2 (en) * 2001-11-01 2006-12-19 Salton, Inc. Intelligent coffeemaker appliance
SG117408A1 (en) * 2002-03-20 2005-12-29 How Onn Cheong Infant formula preparation apparatus
US9821992B2 (en) * 2006-03-06 2017-11-21 The Coca-Cola Company Juice dispensing system
DE102006032707A1 (de) * 2006-07-14 2008-01-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gabe von Steuerungsinformationen in einen Getränkeautomat
US20080201241A1 (en) * 2007-02-02 2008-08-21 Daniel Ben Pecoraro Automated coffee system
BRPI0909750B1 (pt) 2008-03-14 2019-12-03 Mocoffee Ag dispositivo e cápsula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WO2010089329A1 (en) 2009-02-06 2010-08-12 Nestec S.A. Device and method using centrifugation for extracting a liquid and heat loss compensating means
US20100218141A1 (en) * 2009-02-23 2010-08-26 Motorola, Inc. Virtual sphere input controller for electronics device
ES2434321T3 (es) 2009-08-28 2013-12-16 Nestec S.A. Sistema de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por centrifugación
US8876000B2 (en) * 2009-12-02 2014-11-04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touch menu functionality
NL2004652C2 (nl) * 2010-05-03 2011-04-04 Etna Coffee Technologies B V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en afgeven van een drank en producthouder ten gebruike daarin.
RU2012157080A (ru) * 2010-05-27 2014-07-10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управления
US9850118B2 (en) * 2010-08-20 2017-12-26 Pepsico, Inc. Bag-in-box pump system
WO2012031359A1 (en) * 2010-09-10 2012-03-15 WiFarer Inc. Rf fingerprints for content location
EP2474254A1 (en) * 2011-01-07 2012-07-11 Nestec S.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system
CN102684952B (zh) * 2011-03-18 2015-09-02 海尔集团公司 智能家电的控制方法
BR112014005967A2 (pt) * 2011-09-16 2017-04-04 Nestec Sa máquina de bebidas de múltiplos sistemas, múltiplas conexões
AU2012361073B2 (en) * 2011-12-30 2017-02-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US20140263410A1 (en) * 2013-03-15 2014-09-18 The Coca-Cola Company Dispensing beverage components for use as ingredients in recipes
CA2923525A1 (en) * 2013-10-25 2015-04-30 Nestec S.A. Process for preparing milk based beverages
US20150193093A1 (en) * 2014-01-06 2015-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head unit application host
ITUB20151060A1 (it) * 2015-05-29 2016-11-29 Illycaffe Spa Macchina modular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0913A (ja) 2019-01-17
CN108135391A (zh) 2018-06-08
IL257449A (en) 2018-06-28
ES2919354T3 (es) 2022-07-26
MX2018004688A (es) 2018-06-20
WO2017067828A1 (en) 2017-04-27
EP3364828A1 (en) 2018-08-29
EP3364828B1 (en) 2022-05-11
PT3364828T (pt) 2022-06-09
BR112018004202A2 (pt) 2018-09-25
US20180303273A1 (en) 2018-10-25
RU2018118590A (ru) 2019-11-25
CA3002692A1 (en) 2017-04-27
AU2016343218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5735B2 (ja) 展開可能な撹拌部材
JP6240096B2 (ja) 冷却された食用品を調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932127B2 (ja) 飲料又は食品容器の消費監視方法
EP3364832B1 (en) User interface of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109310242A (zh) 多用途饮料制备机器和用于控制该机器的电子设备
KR20180066047A (ko) 확장가능한 기능성 음료 제조 기계
CN116919159A (zh) 饮料制备系统
RU26876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охлажденных и вспененных напитков
CN107754631A (zh) 营养保健品调配系统及其方法
EP4370001B1 (en) Container and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comprising the container
JP2020536302A (ja) 容器、調製マシン及び調製情報を符号化するための2値コードを使用するシステム
US20240336426A1 (en) Container,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use of said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WO2023285378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US20250057356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CN118414109A (zh) 饮料或食品制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