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809A - 보풀제거 테이프 클리너 - Google Patents
보풀제거 테이프 클리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5809A KR20180065809A KR1020160167117A KR20160167117A KR20180065809A KR 20180065809 A KR20180065809 A KR 20180065809A KR 1020160167117 A KR1020160167117 A KR 1020160167117A KR 20160167117 A KR20160167117 A KR 20160167117A KR 20180065809 A KR20180065809 A KR 201800658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tape
- pulley
- operating
- wi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롤러를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연동되는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롤러(100)에서 테이프(300)가 풀려 권취롤
러(200)에 감기면서 접착면이 노출되어 상기 접착면에 이물질을 부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작동롤러에 형성된 테이프가 풀려 권취롤러에 감기는 과정중에 접착면이 노출되어 이물질을 부착하여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작동롤러에 감긴 테이프가 소진될 때까지 세척이나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더불어 일반적
으로 유통되는 테이프를 작동롤러에 끼워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두 개의 롤러를 이
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서로 연동되는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롤러(100)에서 테이프(300)가 풀려 권취롤
러(200)에 감기면서 접착면이 노출되어 상기 접착면에 이물질을 부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작동롤러에 형성된 테이프가 풀려 권취롤러에 감기는 과정중에 접착면이 노출되어 이물질을 부착하여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작동롤러에 감긴 테이프가 소진될 때까지 세척이나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더불어 일반적
으로 유통되는 테이프를 작동롤러에 끼워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두 개의 롤러를 이
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카펫, 침대 매트리스, 소파 등 가정이나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제품 표면에 달라붙
은 먼지나 머리카락, 보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떼어내는데 테이프 클리너가 사용된다.
[0003] 이러한 테이프 클리너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1-0000676호(2001. 1. 15.) "먼지 제거용 끈끈이 롤러"가 제안된
바 있으며, 최근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735호(2010. 2. 18.) "점착 테이프 클리너"가 제안된바 있다.
[0004] 상기와 같은 종래 테이프 클리너는 롤러에 점착테이프가 감겨 있는 형태 또는 일반 박스테이프나 투명테이프를
롤러에 끼워 사용하도록 하는 형태로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어서 손잡이를 잡고 상기 롤러를 굴려가면서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는 구성이다.
[00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프 클리너는 하나의 롤러에 점착테이프를 감아서 사용하는 방식, 또는 일반 박스테이프
나 투명테이프를 롤러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0006] 그런데, 점착테이프를 사용하는 방식은 점착테이프가 롤러에 미리 감긴 상태로 제공되는바, 이물질이 어느 정도
부착되면 점착테이프의 점착력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이물질 제거 성능이 저하되어 주기적으로 세척한 후 말려
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0007] 또한 일반 박스테이프를 롤러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식은 테이프를 롤러에 끼운 다음 테이프를 일정 길이 풀어서
접착면이 드러나도록 한 다음 사용을 하고 이후 어느 정도 사용하여 접착면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해당
부분을 잘라내고 감겨있는 테이프를 잘라낸 만큼 풀어서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는바, 테이프를 잘라내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를 자를 때 이물질이 부착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잘라야
하는 등 비위생적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하나의 롤러로 형성된 테이프 클리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테
이프를 간편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테이프의 세척이나 교환 또는 절단 없이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
하게 하는 테이프 클리너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롤러를 가진 테이프 클리너를 제안하여 하나의 롤러에 감겨있던 테이프가 풀리면서 자연
스럽게 접착면이 드러나 이물질을 접착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한 부분은 다른 롤러로 넘어가 감기도록 하여 언
제라도 새로운 접착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롤러에 형성된 테이프가 풀려 권취롤러에 감기는 과정중에 접착면이 노출되어 이물질을
부착하여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작동롤러에 감긴 테이프가 소진될 때까지 세척이나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
능하고, 더불어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테이프를 작동롤러에 끼워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 클리너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의 각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일반 테이프를 간편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테이프의 [0012] 세척이나 교환 또는 절단 없이
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테이프 클리너를 얻기 위해,
[0013] 서로 연동되는 작동롤러와 권취롤러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롤러에서 테이프가 풀려 권취롤러에 감기면서 접착면
이 노출되어 상기 접착면에 이물질을 부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롤러를 이용해 이
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를 제안한다.
[0014]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0015]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3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의
각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0016]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는 서로 연동되는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구비된 것
으로서, 상기 작동롤러(100)에는 테이프(300)가 감겨있는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테이프(300)가 풀려 권취
롤러(200)에 감기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300)가 풀릴 때 접착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이물질을 접착하
여 줄 수 있게 된다.
[0017]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지름을 가지게 형성한
다. 상기 작동롤러(100)에 감긴 테이프(100)는 원통형의 롤에 감겨서 시중에 유통되는 박스테이프나 투명테이프
를 상기 작동롤러(100)에 끼워 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테이프(300)를 필요에 따라 언제라도 설치
하고 제거하거나 교환하여 줄 수 있다.
[0018] 상기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는 동력전달링(400)에 의해 서로 연동된다. 동력전달링(400)은 고무를 이용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일정한 탄성과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
지 않고 실리콘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0019] 동력전달링(400)에 의해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연동되게 하는 구성은, 상기 작동롤러(100) 일단에
작동풀리(120)를 형성하고 권취롤러(200)의 일단에는 권취풀리(220)가 형성하여 상기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
(220)를 동력전달링(400)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다. 따라서, 작동롤러(100)가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동
력전달링(400)에 의해 권취롤러(200)로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0020]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링(400)을 1회 꼬여 설치하게 되면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바, 작동롤러(100)에서 테이프(300)를 풀어 권취롤러(200)에 고정할 때 테이프(300)의 끝단 접착면을
곧바로 권취롤러(200)에 접착하여 줄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0021] 상기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220)는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에 결합되게 구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일부분의 손상될 경우 신속하게 교체하여 줄 수 있게 되고 제
작시에도 별도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0022] 한편, 작동풀리(120)는 권취풀리(220)보다 지름을 크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에 많은 양의 테이
프(300)가 작동롤러(100)에 감겨있는 상태에서 권취롤러(200)로 넘어가 감기게 되는데, 이때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테이프(30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심할 경우
헝클어질 수 있다.
[0023] 따라서 작동롤러(100) 보다 권취롤러(200)가 빠르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롤러(100)에서 풀리는 테이프
(300)의 길이보다 권취롤러(200)로 감기는 테이프(300)의 길이가 항상 크도록 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
이다. 바람직하게는 작동풀리(120)는 권취풀리(220)의 지름을 2:1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속도가 1:2 비율이 되게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생산되어 유통되는 박스테이프나 투명테이프를 사용하
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작동풀리(120)는 일 방향으로만 강제회전을 하게 구성할 수 있다. 강제 회전을 [0024] 하는 방향은 작동롤러(100)
에서 테이프(300)가 풀려 권취롤러(200)로 감기게 하는 방향이다. 이 구성은 작동풀리(120)의 일면에 걸림돌기
(122)를 형성하고 작동롤러(100)에는 래칫기어(112)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122)가 래칫기어(112)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밀림으로써 작동풀리(120)가 일 방향으로만 강제회전을 하게 구성한다.
[0025] 이와 같이 작동풀리(120)가 일 방향으로만 강제회전을 함에 따라 강제회전을 할 때만 동력이 구동풀리(220)에
전달되게 되는바, 작동롤러(1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테이프(300)가 풀리면서 권취롤러(200)에 감기게
할 수 있는 것이다.
[002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는 각 부분을 별도로 형성하여 조립한 다음 손잡이가 달린 케이
스(500)에 작동롤러(100)가 외부로 드러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를 양쪽 측면 판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ㄷ'자 형태의 조립틀(510)에 권취롤러(200)가 안
쪽에 배치되게 축 고정한 다음 상기 조립틀(510)을 상기 케이스(500)에 끼워서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를
형성하는 것이다.
[0027]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작동롤러(100)의 일단에는 래칫기어(112)가 형성된 캡(110)을 마련하여 조립한 다음 작
동풀리(120)를 상기 래칫기어(112)에 접하게 설치하고, 권취롤러(200)의 일단에는 권취풀리(220)가 형성된 캡
(210)을 마련하여 조립한 다음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220)에 동력전달링(400)을 체결하여 상기 조립틀(510)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축 돌기에 축 고정하여 주는 것이다.
[0028] 이때, 상기 작동롤러(100)는 일단에 형성된 작동풀리(120)와 래칫기어(112) 및 캡(110)과 더불어 타단의 중앙에
는 축공을 형성하여 주고, 권취롤러(200) 또한 일단에 형성되는 권취풀리(220)가 형성된 캡(210)과 아울러 타단
의 중앙에 축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조립틀(510)의 양 측면 판에 형성되어 있는 축 돌기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0029]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를 사용할 때 동력전달링(400)의 설치 방법에 따라 권취롤러(200)가 회전하
는 작동과 래칫기어(112)에 의해 작동풀리(120)가 일 방향으로 강제회전하는 작동을 도 5 내지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0030] 도 5, 6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링의 설치 방법에 따라 권취롤러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해 작동풀리가 일 방향으로 강제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0031] 먼저, 동력전달링(400)의 설치 방법에 따라 권취롤러(200)의 회전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
달링(400)이 꼬임 없이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220)에 설치되면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220)는 서로 동일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 또한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작동
롤러(100)에 감겨있는 테이프(400)가 풀려 권취롤러(200)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0032]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링(400)이 한차례 꼬인 상태로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220)에 설치
되면 작동풀리(120)와 권취풀리(2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롤러(100)와 권취롤
러(200) 또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작동롤러(100)에 감겨있는 테이프(400)가 풀려 권취롤러(200)에 감
기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동롤러(100)에 감긴 테이프(400)를 처음 풀어 권취롤러(200)에 고정하여 줄 때
테이프(400) 말단의 접착면을 권취롤러(200)의 회전방향으로 그대로 붙여 주기만 하면 되어 편리하다.
[0033] 이어서 작동풀리(120)가 일 방향으로 강제회전하는 것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풀리(120)를
일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래칫기어(112)는 기어 이빨이 경사면과 수직면을 가진 톱날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바, 작동풀리(1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2)를 일 방향으로만 밀어주게 구성된다.
[0034]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기어(112)가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작동풀리(120)
를 회전시킬 때에는 기어 이빨의 수직면이 걸림돌기(122)를 밀어줌으로써 작동풀리(120)을 강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래칫기어(11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
(122)가 기어 이빨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게 되는바 작동풀리(120)가 상기 경사면과 걸림돌기(122)의 마찰에
의해 약간 움직이는 정도일 뿐 회전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0035]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링(400)에 의해 연동 되어 회전을 하는 작동풀리(120)가 권취풀리(220)는 작동풀리
(120)가 지름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작동롤러(100) 보다 권취롤러(200)가 빠르게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테이
프(300)가 작동풀리(120)에서 풀리는 길이와 권취풀리(220)에 감기는 길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테이프(300)가 풀리는 길이보다 감기는 길이가 짧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차가 발생하면 테이프(30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0036]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를 보정 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오차는 상기 동력전달링(400)이 작동풀리(120) 및 권취풀리(220)와 이루는 마찰
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작동풀리(120) 또는 권취풀리(220)가 헛 바퀴를 돌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보정된
다.
[003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클리너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0038] 우선 작동롤러(100)에 테이프(300)를 끼워준 상태에서 테이프(300)의 말단을 풀어 권취롤러(200)에 부착하여 한
두 바퀴쯤 회전시켜서 테이프(300)가 권취롤러(200)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한다. 그런 다음 나머지 각 부품을 조
립틀(510)에 조립하고 상기 조립틀(510)을 케이스(500)에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0039] 상기 조립틀(510)을 케이스(500)에 끼우게 되면 작동롤러(100)에 감긴 테이프(300)에서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되
는바, 사용자는 케이스(500)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잡고 외부로 노출된 접착면을 이물질을 제거할 부분에
대고 앞뒤로 밀면서 이물질을 부착하여 제거하여 준다. 이때, 동력전달링(400)이 작동풀리(120) 및 권취풀리
(220)와 이루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작동롤러(100)가 회전할 경우 작동풀리(120) 또는 권취풀리(220)가 헛 바
퀴를 돌게 됨으로써 테이프(300)는 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0040] 이후, 노출된 접착면의 기능이 떨어지면 작동풀리(120)가 강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동롤러(100)를 회전시켜
작동롤러(100)에 감긴 테이프(300)가 풀리면서 권취롤러(200)에 감겨 새로운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동
일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100 : 작동롤러, 112 : 래칫기어,
120 : 작동풀리, 122 : 걸림돌기,
200 : 권취롤러, 220 : 권취풀리,
300 : 테이프, 400 : 동력전달링,
500 : 케이스, 510 : 조립틀.
120 : 작동풀리, 122 : 걸림돌기,
200 : 권취롤러, 220 : 권취풀리,
300 : 테이프, 400 : 동력전달링,
500 : 케이스, 510 : 조립틀.
Claims (1)
- 청구항 1
서로 연동되는 작동롤러(100)와 권취롤러(200)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롤러(100)에서 테이프(300)가 풀려 권취롤
러(200)에 감기면서 접착면이 노출되어 상기 접착면에 이물질을 부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롤러를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117A KR20180065809A (ko) | 2016-12-08 | 2016-12-08 | 보풀제거 테이프 클리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117A KR20180065809A (ko) | 2016-12-08 | 2016-12-08 | 보풀제거 테이프 클리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5809A true KR20180065809A (ko) | 2018-06-18 |
Family
ID=6276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117A Withdrawn KR20180065809A (ko) | 2016-12-08 | 2016-12-08 | 보풀제거 테이프 클리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580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632545A (en) * | 2023-06-09 | 2025-02-12 | Shenzhen Lalahome Smartech Co Ltd | Collecting hair assembly and collecting hair machine |
-
2016
- 2016-12-08 KR KR1020160167117A patent/KR2018006580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632545A (en) * | 2023-06-09 | 2025-02-12 | Shenzhen Lalahome Smartech Co Ltd | Collecting hair assembly and collecting hair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56157B (zh) | 吸尘器的滚刷组件和吸尘器 | |
US9949605B2 (en) | Cleaner head | |
JP4663714B2 (ja) | ブレード自動吐出メカニズムを有する巻尺 | |
JP5720966B2 (ja) | 接着面の使用と保管が簡便なテープクリーナー | |
KR20150009228A (ko) | 테이프 클리너 | |
TW201412280A (zh) | 膠帶式清潔器 | |
KR101207509B1 (ko) | 두 개의 롤러를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 | |
KR20180065809A (ko) | 보풀제거 테이프 클리너 | |
JP3179033U (ja) | 除塵用クリーナー | |
KR101199838B1 (ko) | 접착면의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테이프크리너 | |
JP2007505018A5 (ko) | ||
US2758327A (en) | Lint remover | |
JPH07227375A (ja) | 掃除装置 | |
KR102770036B1 (ko) |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는 크리너 | |
JP2008168107A (ja) | 粘着テープ掃除具 | |
JP3213247U (ja) | ローラークリーニングツール | |
CN202681901U (zh) | 粘性胶带去污器 | |
JP2005125424A (ja) | フイルムホルダ一体型カセットシュー | |
JP2000287910A (ja) | ローラー式ごみ取りクリーナ | |
GB2233884A (en) | Cleaning equipment provided with a roll of adhesive tape | |
JP2018089174A (ja) | 粘着テープ式ロールクリーナー用カッター具 | |
KR20120080783A (ko) | 2단 테이프 클리너 | |
JP3001291U (ja) | 掃除装置 | |
TWM560951U (zh) | 清潔裝置 | |
JP2005134447A (ja) | 光ファイバ端面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