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039A - Smart phone ubiquitous healthcare diagnosis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 Google Patents
Smart phone ubiquitous healthcare diagnosis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5039A KR20180065039A KR1020160164797A KR20160164797A KR20180065039A KR 20180065039 A KR20180065039 A KR 20180065039A KR 1020160164797 A KR1020160164797 A KR 1020160164797A KR 20160164797 A KR20160164797 A KR 20160164797A KR 20180065039 A KR20180065039 A KR 20180065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ital
- signal
- sound
- liv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488 systolic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487 diastolic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12866 low blood pressur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774 diagnostic algorith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37656 Respiratory Sound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5 Sno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859 sleep a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ue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기와 연동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진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은 입력모듈과 바이탈통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모듈은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혈압측정부, 혈류측정부, 체온측정부 및 청진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압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압을 측정하고, 상기 혈류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중산소포화도 및 심박수를 측정하며, 상기 체온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청진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을 측정할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제어부, 전송부, 데이터저장부, 출력부 및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듈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분석한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분석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입력모듈의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모듈의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입력모듈 및 바이탈통합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은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체온, 혈압, 심(맥)박수, 산소포화도 및 청진음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ubiquitous helical 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tal integrated system for measuring vital signs and vital signs of a human or an animal in cooper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And a smartphone ubiquitous Hello Square system using medical equipment.
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loSquare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may include an input module and a vital integration module.
In addition, the input module may measure a living body or a living body's vital signs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may include a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a blood flow measuring unit,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d a stethoscope measuring unit.
Wherein the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measures a blood pressure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the blood flow measuring unit measures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measures a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or an animal,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may control the input module to measure a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alyze the living body sound and the living body signal based on the measured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remotel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may include a control unit, a transmission unit, a data storage unit, an outpu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put module to measure a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analyzes based on the measured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The transmission unit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remotel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ata storage unit store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modul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trol unit.
The output unit may display the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modul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unit may supply power to the input module and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heart beat (applause), oxygen saturation, and stethoscopic sound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It is effective.
In addition, since the diagnostic result is informed to the user based on the measured bio-sound and the bio-signal, the health car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기와 연동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진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ubiquitous helical 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tal integrated system for measuring vital signs and vital signs of a human or an animal in cooper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And a smartphone ubiquitous Hello Square system using medical equipment.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 패턴이 변화됨에 따라 고혈압, 당뇨 및 비만 등과 같은 각종 성인병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As life patterns including dietary habits change, various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obesity are increasing rapidly.
이러한 성인병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정기적 검진이 가장 효과적이나 바쁜 현대인들에게 직접 의료기관을 내진하여 검진 및 처방을 받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Regular exercise and periodic screening are the most effective ways to prevent these diseases, but it is very troublesome to have the medical institutions directly visited by the busy modern people to receive the screenings and prescriptions.
특히, 심장병, 고혈압, 저혈압, 수면 모호흡증(코골이) 등과 같이 환자의 건강 상태가 과도하게 악화된 경우를 제외하고 진료자의 정밀한 검진 및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병들에 대한 검진은 현재 건강상태를 측정한 후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처방을 해주는 간단한 절차로 이루어지고 있다.Except for cases wher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is excessively deteriorated, such as heart disease, hypertension, hypotension, sleep apnea (snoring), etc., the examinations for the patients who do not need precise examination and surgery are not necessary. It is a simple procedure to make a prescription according to current health condition after measurement.
일반적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척도로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체온, 혈압, 심(맥)박수, 산소포화도 및 청진 등이 있다.In general, the most common methods for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are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heart (applause), oxygen saturation, and stethoscope.
또한, 대부분의 각 가정에는 가족의 건강을 위해 기본적인 의료기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개인용 의료기기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제품이 대부분이어서 가족의 건강 관리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ost households have a basic medical device for the health of the family. Such personal medical devices are mostly stand-alone products, which limits the health care of the family.
또한,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할 경우에도 측정 결과에 대한 진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agnose the measurement result even when the living body sound and the living body signal are measured using the medical instrument.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체온, 혈압, 심(맥)박수, 산소포화도 및 청진음 측정이 가능한 바이탈통합 의료장비(VICM)를 통해 가족의 건강관리를 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VICM)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volume, oxygen saturation,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또한,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체온, 혈압, 심(맥)박수, 산소포화도 및 청진음의 측정과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intended to enable the measurement and diagnosis of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heart rate (applause), oxygen saturation, and stethoscopic sound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또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원격으로써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nform the user of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measured bio-sound and the bio-signal, and to remotely manage the health effectively.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은 입력모듈과 바이탈통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loSquare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may include an input module and a vital integration module.
또한, 상기 입력모듈은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혈압측정부, 혈류측정부, 체온측정부 및 청진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odule may measure a living body or a living body's vital signs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may include a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a blood flow measuring unit,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d a stethoscope measuring unit.
상기 혈압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압을 측정하고, 상기 혈류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중산소포화도 및 심박수를 측정하며, 상기 체온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청진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을 측정할수 있다.Wherein the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measures a blood pressure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the blood flow measuring unit measures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measures a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or an animal, Can be measured.
또한,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may control the input module to measure a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alyze the living body sound and the living body signal based on the measured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remotel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제어부, 전송부, 데이터저장부, 출력부 및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tal integration module may include a control unit, a transmission unit, a data storage unit, an outpu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듈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분석한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분석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입력모듈의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put module to measure a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analyzes based on the measured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The transmission unit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remotel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ata storage unit store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modul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모듈의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입력모듈 및 바이탈통합모듈에 전원(배터리)을 공급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may display the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modul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unit may supply a power source (battery) to the input module and the vital integrated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은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체온, 혈압, 심(맥)박수, 산소포화도 및 청진음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heart beat (applause), oxygen saturation, and stethoscopic sound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It is effective.
또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agnostic result is informed to the user based on the measured bio-sound and the bio-signal, the health car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이 휴대용 단말기기와 연동하여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을 실물로 제작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혈압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혈류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체온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청진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전원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이 휴대용 단말기기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이 입력모듈에서 측정된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ractical production of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CE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od flow measuring unit 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l 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C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ethoscope measurement unit 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C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unit in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C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device.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signal measured in an input module of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C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 "," module ",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기와 연동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진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ubiquitous HELQUARQU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for measuring living body or vital signs of a person or an animal in cooper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and diagnosing based on the measured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이 휴대용 단말기기와 연동하여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을 실물로 제작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ubiquitous HELO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Ubiquitous HELC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mart 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quare system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device.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은 입력모듈(100)과 바이탈통합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o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또한, 입력모듈(100)은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입력모듈(100)은 혈압측정부(110), 혈류측정부(120), 체온측정부(130) 및 청진측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혈압측정부(110)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압을 측정하고, 혈류측정부(120)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중산소포화도 및 심박수(맥박수)를 측정한다. 또한, 체온측정부(130)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고, 청진측정부(140)는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을 측정한다.The blood
또한, 바이탈통합모듈(200)은 입력모듈(100)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하며, 상기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바이탈통합모듈(200)은 제어부(210), 전송부(220), 데이터저장부(230), 출력부(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부(210)는 입력모듈(100)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한다. 전송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원격으로 전송하고, 데이터저장부(230)는 입력모듈(100)의 측정 데이터 및 제어부(210)의 진단 결과를 저장한다.The
또한, 출력부(240)는 입력모듈(100)의 측정 데이터 및 제어부(210)의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 전원부(250)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입력모듈(100) 및 바이탈통합모듈(200)에 공급하거나,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253)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253)를 통해 입력모듈(100) 및 바이탈통합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전송부(220)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221) 및 통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ADC(221)는 입력모듈(100)에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와 제어부(210)의 진단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통신부(222)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원격으로 전송한다.The
여기에서, 통신부(222)는 블루투스, WiFi(와이파이) 및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혈압측정부(1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od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압측정부(110)는 압진동센서(111), 검출부(112), 고/저혈압 카운터(113), 데이터전송부(114) 및 혈압표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blood
압진동센서(111)는 동맥혈관 위의 커프에 생기는 압진동(pressure oscillation)의 크기를 감지한다. 검출부(112)는 압진동센서(111)에서 감지된 혈압을 검출하고, 고/저혈압 카운터(113)는 검출부(112)에서 검출된 혈압을 토대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산출한다.The
또한, 데이터전송부(114)는 상기 검출된 혈압 데이터와 산출된 최고혈압 및 최저혈압을 바이탈통합모듈(200)로 전송하고, 혈압표시부(115)는 상기 검출된 혈압 데이터와 산출된 최고혈압 및 최저혈압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혈류측정부(12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od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류측정부(120)는 수광부(121), 전류-전압 변환기(122), 증폭부(123), 고역필터부(124a), 제1 신호처리부(125a), 혈중산소포화도 산출부(126a) 및 산소포화도 전송부(127a)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blood
수광부(121)는 혈맥에 광원을 통과시키고, 통과된 광원을 감지하여 전류로 변환한다. 전류-전압 변환기(122)는 수광부(121)에서 발생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증폭부(123)는 전류-전압 변환기(122)에서 변환된 전압을 증폭한다.The
또한, 고역필터부(124a)는 상기 증폭된 전압에서 낮은 주파수를 제거하고 높은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제1 신호처리부(125a)는 고역필터부(124a)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사용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환한다.Also, the high-
또한, 혈중산소포화도 산출부(126a)는 PPG(광혈류측정) 및 SpO2(혈중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산소포화도 전송부(127a)는 상기 측정된 PPG(광혈류측정) 및 SpO2(혈중산소포화도)를 바이탈통합모듈(VICM)(200)에 전송한다.The blood
또한, 혈류측정부(120)는 2차 미분기(124b), 제2 신호처리부(125b), 심(맥)박수 산출부(126b) 및 심(맥)박수 전송부(12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od
2차 미분기(124b)는 증폭부(123)에서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아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제2 신호처리부(125b)에서 사용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환한다.The
또한, 심(맥)박수 산출부(126b)는 SD 및 PPG(광혈류측정)를 측정하고, 심(맥)박수 전송부(127b)는 상기 측정된 SD 및 PPG(광혈류측정)를 바이탈통합모듈(VICM)(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heart (puls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체온측정부(13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ody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온측정부(130)는 온도센서(131), 증폭부(132), 레벨제어기(133), ADC(Analog-digital converter)(134) 및 온도 전송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body
온도센서(131)은 사람 또는 동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증폭부(132)는 온도센서에(131)서 감지된 데이터를 증폭한다.The
또한, 레벨제어기(133)는 증폭부(132)에서 증폭된 신호를 제어하고, ADC(Analog-digital converter)(134)는 레벨제어기(133)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The
온도 전송부(135)는 ADC(134)에서 변환된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바이탈통합모듈(200)로 전송한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청진측정부(14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진측정부(140)는 집음기(141), 증폭부(142), 청진음 필터부(143), 청진음 출력부(144), ADC(Analog-digital converter)(145) 및 청진데이터 전송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집음기(141)는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을 집음할 수 있다.The
증폭부(142)는 집음기(141)에서 집음된 생체음 데이터를 증폭하고, 청진음 필터부(143)은 증폭부(142)에서 증폭된 생체음 신호를 입력받아 측정 대상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한다.The
또한, 청진음 필터부(143)는 상기 필터링된 생체음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내고, ADC(Analog-digital converter)(145)는 청진음 필터부(143)에서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45 converts the filtered analog soun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filtered analog sound signal to the user. Conversion.
또한, 청진데이터 전송부(146)는 ADC(145)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바이탈통합모듈(200)로 전송한다.The stethoscop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에서 전원부(25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250)는 전원 입력부(251), 충전회로(Charger circuit)(252), 배터리(Battery)(253), 방전 LED(254) 및 충전 LED(255)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전원부(250)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배터리(253)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253)를 통해 입력모듈(100) 및 바이탈통합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 방전 LED(254) 및 충전 LED(255)는 배터리(253)의 충전 및 방전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이 휴대용 단말기기(300)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ubiquitous Hello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은 입력모듈(100)과 바이탈통합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o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또한, 바이탈통합모듈(VICM,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200)은 입력모듈(100)을 제어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체온, 혈압, 심박(맥박)수, 산호포화도 및 청진 측정을 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과 가족의 건강관리를 할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기(300)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유비쿼터스 헬스퀘어(u-Healthcare) 시스템이다.The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VICM) 200 controls the
또한, 입력모듈(100)을 이용하여 측정된 생체음(심음, 호흡음, 장음)과 생체신호(체온, 혈압, 심(맥)박수, 산소포화도)를 전송부(220)를 통해 원격으로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전송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설치되어 있는 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진단하고 사용자에게 진단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heart beat, and oxygen saturation) measured using the
한편, 제어부(210)에서 상기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진단을 할수 있다. 이 경우에, 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은 상기 생체음과 생체신호 및 진단결과를 원격으로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와 진단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기(300)를 통해 의사 및 수의사를 포함한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데이터 공유를 할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ed bio-sound and the bio-signal and the diagnosis result can be stored in the portable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압측정부(110)는 사람이나 동물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1 and 4, the blood
커프에 공기압을 가하였다가 천천히 공기압을 뺄때 동맥혈관 위의 커프에 생기는 압진동(pressure oscillation)의 크기를 압진동센서(pressure sensor)(111)가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검출부(112)에서 측정하여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air pressure is applied to the cuff and the air pressure is slowly released, the
또한, 검출부(112)에서 측정된 혈압 데이터를 고/저혈압 카운터(113)에서 입력받아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전송부(114)는 상기 산출된 최고혈압 및 최저혈압값을 바이탈통합모듈(VICM)(200)에 전송한다.Further, the blood pressure data measured by the
여기에서, 상기 산출된 최고혈압 및 최저혈압값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혈압표시부(115)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blood
도 1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청진측정부(140)는 사람이나 동물의 심음과 폐음을 측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7, the
집음기(header)(141)에서 생체음을 집음할 수 있다. 집음기(141)에서 집음된 생체음은 증폭부(142)에서 증폭되어 청진음 필터부(143)에 전달될 수 있다.The bio-sound can be picked up from the
한편, 심음 및 폐음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대상에 따른 측정 모드가 필요하다. 측정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별로 심음은 벨모드(Bell mode), 폐음(호흡음)은 횡격막모드(Diaphragm mode)로 구성되고, 심음과 폐음을 모두 진단하는 모드는 와이드모드(Wide mode)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heart sound and loud sound, a measurement mod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arget is required. For each frequency band suitable for measurement, the heart sound is composed of a bell mode, the closed sound (breathing sound) is composed of a diaphragm mode, and the mode for diagnosing both a heart sound and a loud sound is composed of a wide mode have.
상기 벨모드는 0Hz ~ 400Hz이하의 필터주파수를 이용하여 심음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횡격막모드는 300Hz ~ 1200Hz이하의 필터주파수를 이용하여 호흡음을 측정할 수 있다.The bell mode can measure heart sound using a filter frequency of 0 Hz to 400 Hz or less. The diaphragm mode can measure breath sounds using a filter frequency of 300 Hz to 1200 Hz or less.
또한, 심음과 폐음(호흡음)을 동시에 측정하는 와이드모드는 0Hz ~ 1500Hz이하의 필터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ter frequency of 0 Hz to 1500 Hz or less for the wide mode that simultaneously measures the heart sound and the closed sound (respiration sound).
청진음 필터부(143)는 이러한 필터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청진음 필터부(143)에서 필터링된 심음 및 폐음은 ADC(Analog-digital converter)(145)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청진데이터 전송부(156)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바이탈통합모듈(VICM)(200)에 전송한다.The
여기에서, 청진음 필터부(143)에서 필터링된 심음 및 폐음의 아날로그 데이터는 청진음 출력부(144)에서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청진음 출력부(144)는 스피커 및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nalog data of the heart sound and the loud sound filtered by the stasis
바이탈통합모듈(200)은 인터페이스(Interface)(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모듈(100)의 혈압측정부(110), 혈류측정부(120), 체온측정부(130) 및 청진측정부(140)는 인터페이스(Interface)(211)를 통해 바이탈통합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blood
이로 인해, 종래의 혈압계, 체온계, 산소포화도 및 심(맥)박수 측정장비를 인터페이스(Interface)(211)에 연결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conventional blood pressure monitor, a clinical thermometer, an oxygen saturation degree and a pulse appliances measuring instrument to the
출력부(240) 입력모듈(100)의 측정 데이터 및 제어부(210)의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40)는 스피커, 이어폰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사용자는 출력부(240)를 통해 입력모듈(100)에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와 제어부(210)의 진단결과를 모니터링 할수 있다.The user can monitor the bio-sound 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d by the
바이탈통합모듈(200)은 입력모듈(100)에서 측정된 생체음과 생체신호를 진단하는 진단 알고리즘(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이 입력모듈(100)에서 측정된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signal measured by the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100)에서 측정된 생체음 데이터(Biomedical Sounds Data)(410)는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420)에 의해 필요한 최소의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inimum necessary data may be extracted from the
또한,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급속푸리에변환(FFT)과 대수에너지교차율(LCR)(430)을 이용하여 각 생체음에 대한 대수에너지교차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ogarithmic energy crossing rate for each bio-sound using the extracted FFT and the logarithmic energy crossing ratio (LCR) 430.
여기에서, 대수에너지교차율(LCR)(430)은 문턱값(threshold)을 설정하여 각 프레임당 설정된 문턱값을 기준으로 신호의 파형이 교차하는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낼수 있다.Here, the logarithmic energy crossing ratio (LCR) 430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waveform of the signal intersects the threshold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set for each frame by setting a threshold, which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에서,From here,
바이탈통합모듈(200)은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30) 또는 휴대용 단말기기(300)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특정 진단 데이터와 입력모듈(100)을 통해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환자를 진단할 경우, 상기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에 의한 다음의 [수학식 2]가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patient is diagnosed by comparing the specific diagnosis data stored in the
[수학식 2]&Quot; (2) "
여기에서, 가중치 계수 w(k)는 다음과 같이 구할수 있다.Here, the weight coefficient w (k) can be obtained as follows.
w(k) = (i(k)-i(k-1))+(j(k)-j(k-1))(k) = (i (k) -i (k-1) + j (k)
N=I+JN = I + J
(여기에서, I,J는 음성패턴 A와 B의 거리)(Where, I and J are the distances between the speech patterns A and B)
시간축으로 정규화된 거리는The normalized distance along the time axis
(여기에서, N = I+J)(Where N = I + J)
한편, 진단 알고리즘(320)은 휴대용 단말기기(300)의 진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310)에 설치되어 바이탈통합모듈(200)로부터 원격으로 전송되는 생체음과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진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agnostic algorithm 320 may be installed in the
휴대용 단말기기(300)의 진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310)은 바이탈통합모듈(200)로부터 생체음과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시간영역에 따른 파형을 나타내거나, 각각의 측정 데이터를 수치로 표시할수 있다.The
또한, 진단 알고리즘(320)은 진단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병명을 알려줄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agnostic algorithm 320 may inform the patient of the diagnosis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00 : 입력모듈
110 : 혈압측정부
111 : 압진동센서
112 : 검출부
113 : 고/저혈압 카운터
114 : 데이터전송부
115 : 혈압표시부
120 : 혈류측정부
121 : 수광부
122 : 전류-전압 변환기
123, 132, 142 : 증폭부
124a : 고역필터부
124b : 2차 미분기
125a : 제1 신호처리부
125b : 제2 신호처리부
126a : 혈중산소포화도 산출부
126b : 심(맥)박수 산출부
127a : 산소포화도 전송부
127b : 심(맥)박수 전송부
130 : 체온측정부
131 : 온도센서
133 : 레벨제어기
134, 145, 221 : ADC(Analog-digital converter)
135 : 온도 전송부
140 : 청진측정부
141 : 집음기
143 : 청진음 필터부
144 : 청진음 출력부
146 : 청진데이터 전송부
200 : 바이탈통합모듈(VICM)
210 : 제어부
211 : 인터페이스(Interface)
220 : 전송부
222 : 통신부
230 : 데이터저장부
240 : 출력부
250 : 전원부
251 : 전원 입력부
252 : 충전회로
253 : 배터리
254 : 방전 LED
255 : 충전 LED
300 : 휴대용 단말기기
310 : 진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320 : 진단 알고리즘
410 : 생체음 데이터(Biomedical Sounds Data)
420 :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
430 : 대수에너지교차율(LCR)100: input module 110: blood pressure measuring part
111: pressure vibration sensor 112:
113: High / low blood pressure counter 114: Data transmission unit
115: blood pressure display part 120: blood flow measuring part
121: light receiving section 122: current-voltage converter
123, 132, 142: amplifying
124b:
125b: second
126b: heart (beat)
127b: shim (apples) applause transfer unit 130:
131: Temperature sensor 133: Level controller
134, 145, 221: an analog-digital converter (ADC)
135: Temperature transfer unit 140: Stethoscope measurement unit
141: sound collector 143:
144: Stethoscope sound output unit 146: Stethoscope data transmission unit
200: Vital Integrated Module (VICM) 210:
211: Interface 220:
222: communication unit 230: data storage unit
240: output section 250: power section
251: Power input unit 252: Charging circuit
253: Battery 254: Discharge LED
255: Charging LED 300: Portable terminal device
310: diagnostic application
320: diagnosis algorithm 410: biomedical sound data
420: Hamming Window 430: Algebraic Energy Crossing Rate (LCR)
Claims (12)
상기 입력모듈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하며, 상기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하는 바이탈통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제어하여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토대로 진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입력모듈의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의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An input module for measuring the vital signs and the vital signs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And a vital integration module for measuring the living body sound and the living body signal by controlling the input module, diagnosing based on the measured living body sound and the living body signal, and remotely transmitting the diagnosis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put module to measure a living body sound and a living body signal, and diagnosing based on the measured living body sound and the living body signal;
A transmitter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remotely transmit the diagnostic resul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module and diagnosis results of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모듈은,
사람 또는 동물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측정부;
사람 또는 동물의 혈중산소포화도 및 심박수(맥박수)를 측정하는 혈류측정부;
사람 또는 동물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및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을 측정하는 청진측정부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module comprises:
A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blood pressure of a person or an animal;
A blood flow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pulse rate) of a person or an animal;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A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a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including a stethoscope measuring part for measuring the vital sound of a person or an animal.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의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의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시스템에 공급하거나,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includes: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measurement data of the input module and a diagnosis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power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supplying the power to the system or charging the battery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from the charged battery. .
상기 전송부는,
상기 입력모듈에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와, 상기 제어부의 진단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에 원격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WiFi(와이파이) 및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bio-sound and a biological signal measured by the input module, and an ADC converting a diagnosis result of the controller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motely transmitt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Bluetooth, WiFi (WiFi), and beacon.
상기 혈압측정부는
동맥혈관 위의 커프에 생기는 압진동(pressure oscillation)의 크기를 감지하는 압진동센서;
상기 압진동센서에서 감지된 혈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혈압을 토대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산출하는 고/저혈압 카운터;
상기 검출된 혈압 데이터와 산출된 최고혈압 및 최저혈압을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 및
상기 검출된 혈압 데이터와 산출 최고혈압 및 최저혈압을 표시하는 혈압표시부;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lood pressure measuring unit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oscillation in the cuff on the arterial blood vessel;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blood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vibration sensor;
A high / low blood pressure counter for calculating a maximum blood pressure and a minimum blood pressure based on the blood pressur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blood pressure data and the calculated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o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And
And a blood press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tected blood pressure data and the calculated sy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a smartphone ubiquitous Hello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상기 혈류측정부는
혈맥에 광원을 통과시키고, 통과된 광원을 감지하여 전류로 변환하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기;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에서 변환된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증폭된 전압에서 낮은 주파수를 제거하고 높은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고역필터부;
상기 고역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사용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처리부;
상기 제1 신호처리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PPG(광혈류측정) 및 SpO2(혈중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혈중산소포화도 산출부;
상기 측정된 PPG(광혈류측정) 및 SpO2(혈중산소포화도)를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 전송하는 산소포화도 전송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압에 대해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2차 미분기;
상기 2차 미분기에서 처리된 신호를 사용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제2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신호처리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SD 및 PPG(광혈류측정)를 측정하는 심(맥)박수 산출부; 및
상기 측정된 SD 및 PPG(광혈류측정)를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 전송하는 심(맥)박수 전송부;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lood flow measuring unit
A light receiving unit that passes a light source to the blood vessel, detects a light source passed and converts the light into a current;
A current-voltage converter for converting a current generated in the light-receiving unit into a voltag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ltage converted by the current-voltage converter;
A high pass filter unit for removing a low frequency from the amplified voltage of the amplifying unit and filtering a high frequency;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signal filtered by the high pass filter unit into an output signal suitable for use;
A blood oxygen saturation calculating unit for measuring PPG (photoprocessing blood flow) and SpO2 (blood oxygen saturation) by receiving the signal converted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An oxygen satur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PPG (photoperiod measurement) and SpO2 (blood oxygen saturation) to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A second order differentiator for processing the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 using a differential circuit;
A second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a signal processed by the second order differentiator into an output signal suitable for use;
A heart beat (MP) clapping calculator for receiving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econd signal processor and measuring SD and PPG (optical blood flow measurement); And
And a shuffl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SD and PPG (optical blood flow measurement) to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the integrated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상기 체온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제어하는 레벨제어기;
상기 레벨제어기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 및
상기 ADC에서 변환된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 전송하는 온도 전송부;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 person or an anim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 level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level controller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temperature transmitter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signal converted by the ADC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temperature signal to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상기 청진측정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음을 집음하는 집음기;
상기 집음기에서 집음된 생체음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생체음 신호를 입력받아 측정 대상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청진음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생체음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청진음 출력부;
상기 청진음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 및
상기 ADC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 전송하는 청진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thoscope measuring unit
A sound collector for picking up a voiced sound of a person or an animal;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bio-acoustic data collected by the sound pickup unit;
A stoop sound filter unit for receiving the biomedical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and filtering the biomedical signal by a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measurement object;
A stethoscoped sound output unit outputting the filtered biomedical signal to the user;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filtered by the cine filter 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stethoscope data transfer unit for receiving the converted signal from the ADC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상기 청진음 필터부는
측정 대상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생체음을 필터링하는 벨모드(Bell mode), 횡격막모드(Diaphragm mode) 및 와이드모드(Wide mode)를 포함하며,
상기 벨모드(Bell mode)는 0Hz ~ 400Hz이하의 필터주파수를 이용하여 심음을 측정하고,
상기 횡격막모드(Diaphragm mode)는 300Hz ~ 1200Hz이하의 필터주파수를 이용하여 호흡음을 측정하며,
상기 와이드모드(Wide mode)는 0Hz ~ 1500Hz이하의 필터주파수를 이용하여 심음과 폐음(호흡음)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thoscope sound filter unit
A bell mode, a diaphragm mode, and a wide mode for filtering a living body sound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of a measurement object,
The bell mode measures the heart sound using a filter frequency of 0 Hz to 400 Hz or less,
The diaphragm mode measures breath sounds using a filter frequency of 300 Hz to 1200 Hz or less,
Wherein the wide mode measures the heart sound and the closed sound (breathing sound) simultaneously using a filter frequency of 0 Hz to 1500 Hz or less.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는 진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진단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 알고리즘은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부터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환자를 진단하며,
상기 진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상기 바이탈통합모듈로부터 입력받은 생체음과 생체신호 및 상기 진단 알고리즘의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cludes a diagnostic application and a diagnostic algorithm,
The diagnosis algorithm diagnoses a patient by inputting bio-sound and a bio-signal from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Wherein the diagnostic application displays a bio-sound and a bio-signal input from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and a diagnosis result of the diagnosis algorithm, and the smartphone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using the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입력모듈에서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로부터 진단에 필요한 최소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수학식 1]
여기에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extracts minimum data necessary for diagnosis from the bio-sound and the bio-signal measured by the input module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 EMI ID = 1.0 > system.
[Equation 1]
From here,
상기 바이탈통합모듈은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특정 진단 데이터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측정된 생체음 및 생체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환자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탈통합 의료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헬스퀘어 시스템.
[수학식 2]
(여기에서, 가중치 계수 w(k)는
w(k) = (i(k)-i(k-1))+(j(k)-j(k-1))
N=I+J,
I,J는 음성패턴 A와 B의 거리,
시간축으로 정규화된 거리는
여기에서, N = I+J)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tal integration module diagnoses the patient by comparing the specific diagnostic data of the pati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with the bio-sound 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d through the input modul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Ubiquitous HellSquare System for Smart Phones Using Vital Integrated Medical Devices.
&Quot; (2) "
(Where the weighting coefficient w (k) is
(k) = (i (k) -i (k-1) + j (k)
N = I + J,
I and J are the distance between the speech patterns A and B,
The normalized distance along the time axis
Where N = I + J)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797A KR20180065039A (en) | 2016-12-06 | 2016-12-06 | Smart phone ubiquitous healthcare diagnosis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797A KR20180065039A (en) | 2016-12-06 | 2016-12-06 | Smart phone ubiquitous healthcare diagnosis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5039A true KR20180065039A (en) | 2018-06-18 |
Family
ID=6276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797A Ceased KR20180065039A (en) | 2016-12-06 | 2016-12-06 | Smart phone ubiquitous healthcare diagnosis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5039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12841A (en) * | 2022-04-07 | 2022-07-29 | 苏州清研微视电子科技有限公司 |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temperature sensing chip |
US11510580B2 (en) | 2019-07-24 | 2022-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ouch pe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
WO2023120925A1 (en) * | 2021-12-24 | 2023-06-29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Personal smart stethoscope and auscultation method using complex bio-signal sensor |
KR102680441B1 (en) * | 2023-10-19 | 2024-07-02 | 장건호 |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with removable portable thermome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930B1 (en) | 2011-01-21 | 2013-09-25 |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
KR20150001009A (en) * | 2013-06-26 | 2015-01-06 | 박기영 | Mobile terminal diagnosis system using portable wireless digital electronic stethoscope |
JP2016154838A (en) * | 2015-12-03 | 2016-09-0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odule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4797A patent/KR20180065039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930B1 (en) | 2011-01-21 | 2013-09-25 |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
KR20150001009A (en) * | 2013-06-26 | 2015-01-06 | 박기영 | Mobile terminal diagnosis system using portable wireless digital electronic stethoscope |
JP2016154838A (en) * | 2015-12-03 | 2016-09-0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odule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10580B2 (en) | 2019-07-24 | 2022-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ouch pe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
WO2023120925A1 (en) * | 2021-12-24 | 2023-06-29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Personal smart stethoscope and auscultation method using complex bio-signal sensor |
CN114812841A (en) * | 2022-04-07 | 2022-07-29 | 苏州清研微视电子科技有限公司 |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temperature sensing chip |
KR102680441B1 (en) * | 2023-10-19 | 2024-07-02 | 장건호 |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with removable portable thermome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65202A1 (en) | Multifactorial telehealth care pregnancy and birth monitoring | |
JP6275237B2 (en) | Collection of personal health data | |
CN105286823B (en) | Wearable self-powered multi-physiological-parameter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 |
KR101227415B1 (en) | Diurnal Variation Monitering System for Biological Signal Analysis | |
KR101902594B1 (en) | Wireless fetal monitoring system | |
WO2016186472A1 (en) | Earphone comprising bio-signal measurement means, and bio-sign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ame | |
JP5889197B2 (en) | Body movement monitoring device | |
EP3295867B1 (en) | A phone for use in health monitoring | |
CN101264011A (en) |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wrist blood pressure without a cuff | |
CN101536904A (en) | Heart electricity-based sleep apnea detection device | |
KR20180065039A (en) | Smart phone ubiquitous healthcare diagnosis system using vital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 |
CN118401166A (en) | Blood pressure monitoring device based on photoplethysmography | |
US20120197139A1 (en) | Auto-diagnostic blood manometer | |
KR20140146782A (en) | Animal wiress stethoscope diagnosis system | |
KR20100114330A (en) | Portable instrument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bio-signal including ecg and pcg at the same time | |
KR100821919B1 (en) | Patch for monitoring cardio-vascular-system | |
CN211187185U (en) | Combined type physiological detection device | |
US20210076952A1 (en) | Compound physiological detection device | |
KR20060122567A (en) | Remote biomonitoring system | |
CN114587294A (en)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host device, and relay device | |
KR20200045133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 |
KR20200002297U (en) | Smart health care device | |
CN105266793A (en) | Rhythm analysis device with micro-electromechanical action sensing function and rhythm analysis method | |
US20240065665A1 (en) | Auscultatory sound analysis system | |
KR102458280B1 (en) | Portable artery’s heart rate measurement system based on Acoustic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