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63299A -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299A
KR20180063299A KR1020187012968A KR20187012968A KR20180063299A KR 20180063299 A KR20180063299 A KR 20180063299A KR 1020187012968 A KR1020187012968 A KR 1020187012968A KR 20187012968 A KR20187012968 A KR 20187012968A KR 20180063299 A KR20180063299 A KR 2018006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as
power plant
vapor
turb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178B1 (ko
Inventor
슈테판 베커
블라디미르 다노브
우베 렌크
플로리안 라이스너
에리히 슈미트
요헨 섀퍼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6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3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afterburner in exhaust boiler
    • F01K23/105Reg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00Steam accumulators
    • F01K1/04Steam accumulators for storing steam in a liquid, e.g. Ruth'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3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afterburner in exhaust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008Use of steam accumulators of the Ruth type for storing steam in water; Regula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14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having both steam accumulator and heater, e.g. superheating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18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having heaters
    • F01K3/188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having heaters using heat from a specified chemical re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18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having heaters
    • F01K3/24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having heaters with heating by separately-fired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10)에서, 가스 터빈(12)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사용하여 고온 증기가 생성되고, 고온 증기는,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터빈 디바이스(22)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생기(3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방법은: - 생성된 증기의 적어도 일 부분을 분기(branching off)시키고 그리고 분기된 증기를 증기 어큐뮬레이터(34)에 저장하는 단계; 증기 어큐뮬레이터(34)에 저장된 증기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기 증기 어큐뮬레이터(34) 밖으로 인도하는 단계; - 증기 어큐뮬레이터(34) 밖으로 인도된 증기를, 발열 화학 반응 동안 릴리즈된 열을 사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 가열된 증기를 터빈 디바이스(22)로 인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터빈 디바이스(22)는 공급되는 가열된 증기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Description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1 항의 전제부(precharacterizing clause)에 따른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combined gas and steam power plant)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코가스 발전소(COGAS power plant))는 일반적인 종래 기술로부터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가스 및 증기 발전소는 또한, 복합 사이클 발전소(combined cycle power plant)로 지칭되며, 적어도 하나의 터빈 디바이스(turbine device), 터빈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생기(generator),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 터빈(gas turbine)을 포함한다. 발생기가 터빈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발생기는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전기 에너지 또는 전류로 변환하고, 이 전기 에너지 또는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전류는 예컨대, 전기 네트워크(electricity network)에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터빈은 배기 가스(exhaust gas)를 제공하며, 이 배기 가스에 의해 고온 증기가 발생된다. 예컨대, 가스 터빈에는 연료, 특히 가스상 연료(gaseous fuel), 예컨대 천연 가스가 공급되며, 연료는 가스 터빈에 의해 연소된다. 특히, 연료에 추가하여, 가스 터빈에는 산소 또는 공기가 공급되어서, 공기와 연료로부터 연료/공기 혼합물이 형성된다. 이 연료/공기 혼합물이 연소되며, 연소의 결과로,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가 형성된다. 배기 가스에 의해, 예컨대, 액체, 특히 물이 가열되고, 그에 따라 증기화되며, 증기화의 결과로, 고온 증기가 형성된다. 이는, 가스 터빈의 고온 가스에 의해 액체, 예컨대 물이 증기화됨으로써,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에 의해 고온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증기가 터빈 디바이스에 공급되어서, 터빈 디바이스가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발생기는 터빈 디바이스를 통해 또는 터빈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된다. 가스 및 증기 콤비 발전소(gas and steam combi power plant)로 또한 지칭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가스 터빈 발전소와 증기 발전소의 원리들이 결합된 발전소이다. 이 경우, 가스 터빈 또는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는 다운스트림의 증기 발생기(downstream steam generator)에 대한 열원으로서 사용되며, 증기 발생기에 의해 터빈 디바이스를 위한 또는 터빈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증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터빈 디바이스는 증기 터빈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코가스 발전소)는, 특히 전기 수요에 따라, 발생기가 어떤 전류도 제공하지 않도록, 예컨대 구동되지 않도록, 그리고 코가스 발전소에 의해 어떤 전류도 전기 네트워크에 공급되지 않도록, 셧 다운(shut down)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셧다운(shutdown)으로 인해,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냉각될 수 있으며, 그 후에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재시작 또는 파워-업(power-up)은 특히 긴 시간 및 특히 높은 에너지 수요를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셧 다운된 시간 동안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프로비전(provision)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증기에 의해 고온으로 유지된다.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이러한 증기는 통상적으로, 보일러(boiler), 특히 가스 보일러에 의해 발생된다. 보일러에 의해, 액체, 예컨대 물이 증기화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료가 사용된다. 보일러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또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가열하기 위해, 적어도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부분을 통해 전달된다. 이어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셧다운 후에,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고온 시작(hot start)의 범위에서 시작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때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이미,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시작될 수 있는 충분히 높은 온도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셧 다운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또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증가하는 양의 증기가 요구되는데, 왜냐하면,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계속해서 냉각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러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특히 전기 수요의 함수로써, 상이한 부하 범위(load range)들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전체 부하 범위(full load range)에서 또는 전체 부하에서 동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더 낮은 부분 부하 범위에서, 즉, 부분 부하에서도 동작될 수 있다. 부분 부하 범위에서의 동작으로부터 전체 부하 범위에서의 동작으로 전환(change over)하기 위해,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부분 부하 범위로부터 비교적 더 높은 전체 부하 범위로 스텝 업된다(stepped up). 이 경우,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신속한 스텝-업(step-up)이 바람직하다. 스텝-업은 또한, 파워링 업(powering up), 파워-업(power-up) 또는 램프-업(ramp-up)으로 지칭된다. 이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동작되는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신속한 그리고 에너지-효율적인 스텝-업이 수행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서론에서 언급된 유형의 방법을 추가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항 제1 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편리한 개선들을 갖는 유리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에서 특정된다.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가 특히 신속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또는 에너지의 관점에서 유리하게 스텝-업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특허 청구항 제1 항의 전제부에서 명시된 유형의 방법을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방법의 제1 단계에서, 가스 터빈에 의해 또는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환된다(diverted). 전환된 증기, 다시 말해, 증기의 전환된 부분은 증기 어큐뮬레이터(steam accumulator), 특히 루스 어큐뮬레이터(Ruths accumulator)에 저장된다. 루스 어큐뮬레이터는, 예컨대, 특히 대부분의 경우 끓는 물(boiling water)로 채워지는 저장 구역을 갖는 증기 어큐뮬레이터이다. 이는, 어큐뮬레이터 컨테이너(accumulator container)의 적어도 제1 서브구역(subregion)이 끓는 물로 채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어큐뮬레이터 컨테이너의 제1 서브구역과 상이한 제2 서브구역, 특히 어큐뮬레이터 컨테이너의 나머지는 끓는 물과 동일한 온도의 수증기로 채워진다. 이어서, 어큐뮬레이터 컨테이너로부터 증기가 취해지면, 재-증발(re-evaporation)이 발생하며, 그 범위에서, 끓는 물로부터 새로운 증기 또는 수증기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열은 끓는 물로부터 비롯된다.
방법의 제2 단계에서, 증기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는 증기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방출된다(discharged). 방법의 제3 단계에서, 증기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발열 화학 반응(exothermic chemical reaction) 동안 릴리즈되는(released) 열에 의해 가열된다. 다시 말해, 본 방법의 범위에서, 발열 화학 반응, 다시 말해, 열을 발산하는 화학 반응이 수행되며, 이러한 발열 화학 반응의 범위에서 열이 릴리즈된다. 발열 화학 반응의 범위에서 릴리즈된 열은, 증기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방출된 증기를 가열하기 위해, 특히 과열(superheat)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발열 화학 반응 동안 릴리즈된 열에 의해 가열된 증기는 터빈 디바이스에 공급되며, 터빈 디바이스는 공급되는 가열된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발열 화학 반응 동안 릴리즈되는 열의 도움으로, 증기는 특히 에너지의 관점에서 유리하게 가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히 유리한 고온에 이르게 될 수 있어서, 터빈 디바이스는 가열된 증기에 의해 특히 효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특히, 터빈 디바이스는 가열된 증기에 의해 가속될 수 있어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터빈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가열된 증기의 도움으로 특히 신속하게 스텝 업되고, 이에 따라, 제1 부하 범위로부터 제1 부하 범위보다 더 높은 제2 부하 범위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특히 효율적이고 이에 따라 에너지-유리한 동작이 전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에 의해 수행되는 흡열 화학 반응(endothermic chemical reaction)의 생성물(product)들은 발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reactant)들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열 화학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열은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의 부분으로부터의 열은, 흡열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흡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들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제1 부하 범위로부터, 제1 부하 범위보다 더 높은 제2 부하 범위로 스텝 업(step up)하기 위해, 터빈 디바이스에는 터빈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된 증기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열 화학 반응은 제2 부하 범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구성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유리한 구성들로서 간주되어야 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특징들 및 세부사항들은 다음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그리고 도면의 도움으로 발견될 수 있다.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특징들 및 특징 조합들뿐만 아니라 도면의 설명에서 아래에서 언급되는 그리고/또는 단지 단일 도면에서 도시되는 특징들 및 특징 조합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각각 표시된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들에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일 도면에서, 도 1은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발열 화학 반응 동안 릴리즈되는 열의 도움으로 특히 신속하게 그리고 에너지의 측면에서 유리하게 스텝 업될 수 있다.
개략도에서, 단일 도면은, 전체적으로 10으로 표기된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를 도시하며,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는 코가스 발전소 또는 ― 더 양호한 가독성을 위해 ― 발전소로 또한 지칭된다. 발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터빈(12)을 포함하며, 그 가스 터빈(12)에는 예컨대,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의 범위에서 연료가 공급된다. 가스 터빈(12)에 대한 이러한 연료의 공급은 도 1에서 방향 화살표(14)로 예시된다. 연료는 특히, 가스상 연료, 예컨대 천연 가스이다. 게다가, 가스 터빈(12)에는 공기가 공급되며, 이는 도 1에서 방향 화살표(16)로 예시된다. 연료는 가스 터빈(12)에 의해 연소되고, 그 결과로,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 터빈(12)은 배기 가스를 제공하며, 이는 도 1에서 방향 화살표(18)로 예시된다. 예컨대,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가스 터빈(12)에서 형성되며, 이 혼합물은 연소된다. 이 결과로,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가 형성된다.
방향 화살표(18)의 도움으로, 배기 가스가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20)에 공급된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증기 발생기(20)는 또한, 보일러 또는 증발기(evaporator)로 지칭된다. 게다가, 증기 발생기(20)에는 특히, 물의 형태의 액체가 공급된다. 이 경우,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로부터 물로의 열 전달이 발생하여, 물이 가열 및 증기화된다. 따라서, 증기는 물로부터 발생된다. 이는, 증기 발생기(20)에 공급되는 물(액체)로부터,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그리고 증기 발생기(20)에 의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배기 가스로부터 물로의 이러한 열 전달의 결과로, 배기 가스가 냉각되어서, 예컨대, 제1 온도(T1)로 증기 발생기(20)로부터 방출된다. 제1 온도(T1)는 예컨대, 적어도 실질적으로 90℃(섭씨온도(degrees Celsius))이다.
게다가, 발전소는, 전체적으로 22로 표기된 터빈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빈 디바이스는 제1 터빈(24) 및 제2 터빈(26)을 포함한다. 터빈(24)은 예컨대 고압 터빈으로서 구성되고, 터빈(26)은 중간-압력 및 저압 터빈으로서 구성된다.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그리고 증기 발생기(20)의 도움으로 발생되는 증기가 터빈 디바이스(22)에 공급되어서, 터빈 디바이스(22), 특히 터빈들(24 및 26)은 그 발생된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고온 증기 터빈 디바이스(22)에 의해, 고온 증기에 포함된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고, 기계적 에너지는 샤프트(shaft)(28)를 통해 제공된다. 터빈 디바이스(22)는 예컨대, 터빈 휠(turbine wheel)들(도 1에서 상세하게 표현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터빈 휠들에 증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터빈 휠들은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터빈 휠들은 예컨대, 일체로 회전되는 방식(rotationally fixed fashion)으로 샤프트(28)에 연결되어서, 터빈 휠들이 증기에 의해 구동될 때 샤프트(28)가 터빈 휠들에 의해 구동된다.
게다가, 발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발생기(30)를 포함하며, 그 발생기(30)는 터빈 디바이스(22)의 샤프트(28)를 통해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구동된다. 따라서, 발생기(30)에는 샤프트(28)를 통해 제공되는 기계적 에너지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기계적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는 발생기(30)에 의해 전기 에너지 또는 전류로 변환된다. 발생기(30)는 이 전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전류는 예컨대, 전기 네트워크에 공급될 수 있다.
증기는 터빈 디바이스(22)로부터 방출되고 그리고 열 교환기(32)에 공급되며, 열 교환기(32)는 응축기(condenser)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응축기로서 구성된다. 열 교환기(32)에 의해 증기가 냉각되어서, 증기가 응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기는 다시, 위에서 언급된 물이 되고, 그 물은 다시 증기 발생기(20)에 공급될 수 있다.
증기가 열 교환기(32)에 의해 냉각되도록 하기 위해, 열 교환기(32)에는 예컨대, 냉각제, 특히 냉각액이 공급된다. 이 경우, 증기로부터 냉각액으로의 열 전달이 발생하여서, 증기가 냉각되고 결과적으로 응축될 수 있다.
발전소는 다수의 라인(line)들(도 1에서 상세하게 표현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각각의 유동들이 다수의 라인들을 통해 유동한다. 이러한 유동들은 상이한 온도들일 수 있다.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의 상이한 온도들(T2, T3 및 T4)이 도 1에서 표현되며, 온도(T2)는 예컨대, 595℃이고, 온도(T3)는 360℃이고, 온도(T4)는 240℃이다. 물은 예컨대, 온도(T5)로 응축기를 떠나는데, 온도(T5)는 예컨대, 40℃이다.
전기 수요의 함수로써, 발전소는 예컨대, 제1 부하 범위 및 제1 부하 범위보다 더 높은 제2 부하 범위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제2 부하 범위는 예컨대, 전체 부하 범위이며, 여기서 발전소는 전체 부하에서 또는 전체 부하 미만에서 동작된다. 이는 예컨대, 높은 전기 수요의 경우이다. 전기 수요가 낮은 경우, 발전소는 예컨대, 전체 부하 범위보다 더 낮은 제1 부하 범위에서 동작된다. 전기 수요가 증가되는 경우, 발전소를 제1 부하 범위로부터 제2 부하 범위에 이르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발전소는 스텝 업된다. 예컨대, 제1 부하 범위는 부분 부하 범위이다. 다시 말해, 발전소는 제1 부하 범위의 제1 부하에서, 그리고 제1 부하보다 더 높은 제2 부하에서의 제2 부하 범위로 동작된다. 그러나, 부하들 둘 모두는 0보다 더 크다. 이는, 부하 범위들 둘 모두에서, 발전소가 활성화되거나 또는 턴 온되는(turned on) 것을 의미한다.
발전소의 스텝-업 동안, 예컨대, 터빈 디바이스(22), 특히 샤프트(28)가 가속되도록 하기 위한 프로비전이 이루어진다. 이는, 터빈 디바이스(22), 특히 샤프트(28)가 제1 부하 범위에서, 예컨대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터빈 디바이스(22), 특히 샤프트(28)가 제2 부하 범위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더 높은 제2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터빈 디바이스(22)는 제2 부하 범위에서 샤프트(28)를 통해 더 많은 양의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여서, 발생기(30)는 제1 부하 범위와 비교하여 제2 부하 범위에서 더 많은 양의 전류를 제공한다.
터빈 디바이스(22) 또는 샤프트(28)를 가속하기 위해, 예컨대, 제1 부하 범위와 비교하여 제2 부하 범위에서 증기 발생기(20)에 의해 더 많은 양의 증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가스 터빈(12)은 제1 부하 범위와 비교하여 제2 부하 범위에서 더 많은 양의 배기 가스를 제공한다. 가스 터빈(12) 그 자체는 특히 신속하고 간단하게 스텝 업될 수 있다. 그러나, 증기 발생기(20) 또는 증기 발생기(2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증기의 양은 가스 터빈(12)보다 뒤처지는데(lag behind), 왜냐하면, 가스 터빈(12)은 증기 발생기(20)에 의해 수행될 증기 발생이 스텝 업될 수 있는 것보다 신속하게 스텝 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발전소의 특히 에너지-유리하고 신속한 스텝-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발전소(10)는 증기를 저장하기 위한 루스 어큐뮬레이터(34)의 형태의 증기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다. 방향 화살표(36)는,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의 범위에서,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그리고 증기 발생기(20)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환되는 것을 표시한다. 이 전환된 증기 또는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전환된 부분은 루스 어큐뮬레이터(34)에 공급되고 루스 어큐뮬레이터(34)에 저장된다. 이는 특히, 제1 부하 범위 동안 그리고/또는 제2 부하 범위 동안 행해진다.
방향 화살표(38)는, 루스 어큐뮬레이터(34)에 저장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예시한다.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예컨대, 제6 온도(T6) 및 38 bar의 압력이다. 제6 온도(T6)는 예컨대, 250℃(섭씨 온도)이다.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발전소의 반응기(reactor)(40)에 공급된다. 반응기(40)에서,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발열 화학 반응 동안 릴리즈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서, 반응기(40)의 다운스트림의 증기는 예컨대, 제6 온도(T6)보다 더 높은 제7 온도(T7)에 있다. 바람직하게, 온도(T7)는 450℃이며, 반응기(40)의 다운스트림의 증기는 예컨대, 38 bar의 압력에 있다.
도 1에서, 방향 화살표(42)는, 반응기(40)에 의해 가열된 증기가 터빈 디바이스(22)에 전달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증기는 터빈(26), 특히 중간-압력 터빈에 전달되어서, 터빈 디바이스(22), 특히 터빈(26) 및 바람직하게 중간-압력 터빈은 반응기(40)에 의해 가열된, 특히 과열된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반응기(40)에서 발생된 증기에 의해 터빈 디바이스(22)가 구동되기 때문에, 터빈 디바이스(22), 특히 샤프트(28)가 가속되어서, ―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 발전소는 제1 부하 범위로부터 제2 부하 범위로 스텝 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열 화학 반응의 생성물들은 발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들로서 사용되며, 흡열 화학 반응은 열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발열 화학 반응이 예컨대, 화학 평형 반응(chemical equilibrium reaction)의 역반응(reverse reaction)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흡열 화학 반응은 화학 평형 반응의 정반응(forward reaction)이다. 정반응, 다시 말해, 흡열 화학 반응은 열을 흡수하며, 상기 열은 정반응 또는 정반응의 반응물들에 공급된다. 정반응의 생성물들은 정반응의 반응물들로부터 발생된다. 정반응(흡열 화학 반응)의 상기 생성물들은 역반응(발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들이다.
역반응의 범위에서, 역반응의 생성물들은 역반응의 반응물들로부터 형성된다. 역반응의 상기 생성물들은 정반응의 반응물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반응의 반응물들에 공급된 열은 정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정반응의 생성물들에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너지는 특히 유리하게, 저장되고 후속 목적들을 위해 또는 나중의 시점에서, 특히 발전소의 시동(start-up)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열이 제1 부하 범위 동안 그리고/또는 제2 부하 범위 동안 정반응의 반응물들에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시동 동안, 역반응이 발생하여 열이 릴리즈되고, 그 열에 의해,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가 가열, 특히 과열된다. 바람직하게, 흡열 화학 반응(정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열이,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프로비전이 이루어진다. 특히, 정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증기의 부분으로부터의 열을 정반응의 반응물들에 전달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예컨대, 열은 가스 터빈(12)에 의해 또는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를 통해 흡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들에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열 화학 반응이 수행되어서, 반응물들에 공급되는 열의 적어도 일부가 흡열 화학 반응의 생성물들에 저장된다.
역반응(발열 화학 반응)의 범위에서, 정반응의 생성물들에 저장된 열이 릴리즈되고, 이 릴리즈된 열은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를 과열시키는 데 사용된다. 발열 화학 반응의 범위에서, 릴리즈되거나 또는 자유롭게 되는 열은, 예컨대, 열 교환기를 통해,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에 공급되어서,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효과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증기로부터 정반응의 반응물들로의 열 전달, 그리고/또는 역반응의 범위에서 릴리즈되는 열의,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로의 전달을 직접적으로, 다시 말해, 열 교환기의 매개(intermediary) 없이 수행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예컨대, 이때, 각각의 증기는, 정반응의 반응물들, 또는 역반응의 반응물들 및/또는 생성물들, 정반응의 반응물들 상으로 또는 주위로 유동하는 증기, 또는 역반응의 반응물들 및/또는 생성물들과 접촉하게 된다. 열 교환기의 사용에 의해, 정반응의 반응물들, 또는 역반응의 반응물들 및/또는 생성물들로부터의 증기의 공간적인 분리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증기는 정반응의 반응물들, 또는 역반응의 반응물들 및/또는 생성물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루스 어큐뮬레이터(34)에 공급되는 증기는 예컨대, 21.4 kg/s의 질량 유량(mass flow rate), 38 bar의 압력, 및 334℃의 온도를 갖는다. 루스 어큐뮬레이터(34)에서, 저장된 증기는 예컨대, 250℃의 온도에 있다.
터빈 디바이스(22)를 구동시키기 위해 터빈 디바이스(22)에 공급되는 증기는 예컨대, 25 kg/s(초당 킬로그램)(kilograms per second)의 질량 유량을 갖는다. 초기에,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루스 어큐뮬레이터(34)의 다운스트림 그리고 반응기(40)의 업스트림(upstream)에서, 예컨대 250℃의 온도에 있다. 역반응의 범위에서 릴리즈된 열에 의해, 반응기(40)의 증기는 예컨대, 450℃까지 가열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흡열 화학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열이,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특히, 흡열 화학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열이, 증기 발생기(20)로부터 유동하는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증기 발생기(20)의 다운스트림의,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는 흡열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스 터빈(12)의 배기 가스로부터 정반응의 반응물들로의 열의 전달은, 예컨대, 가스 터빈(12)에 의해 발생된 증기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역반응은 반응기(40)에서 발생한다. 게다가, 정반응이 반응기(40)에서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정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흡열 반응기(endothermic reactor)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가능한데, 이 경우, 예컨대, 발열 반응기(exothermic reactor)는 역반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정반응 또는 정반응의 생성물들의 도움으로, 반응기(40)와 협력하여, 열화학적 어큐뮬레이터가 제공되고, 여기서, 어쨌든 이용가능한 열을 설명된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열화학적 어큐뮬레이터는, 역반응의 도움으로 루스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되는 증기를 열 어큐뮬레이터인 열화학적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가열하기 위해, 증기 어큐뮬레이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루스 어큐뮬레이터(34)에 대한 보충(supplement)이다.

Claims (7)

  1.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combined gas and steam power plant)(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에서, 가스 터빈(gas turbine)(12)의 배기 가스(exhaust gas)에 의해, 고온 증기가 발생되고, 상기 고온 증기에 의해,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생기(30)가 적어도 하나의 터빈 디바이스(turbine device)(22)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방법은,
    발생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전환하고 그리고 전환된 증기를 증기 어큐뮬레이터(steam accumulator)(34)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증기 어큐뮬레이터(34)에 저장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기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discharging)하는 단계;
    상기 증기 어큐뮬레이터(34)로부터 방출된 증기를, 발열 화학 반응(exothermic chemical reaction) 동안 릴리즈되는(released) 열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된 증기를 상기 터빈 디바이스(22)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 디바이스(22)는 공급되는 상기 가열된 증기에 의해 구동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열에 의해 수행되는 흡열 화학 반응(endothermic chemical reaction)의 생성물(product)들은 상기 발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reactant)들로서 사용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화학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열은 상기 배기 가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의 부분으로부터의 열은, 상기 흡열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흡열 화학 반응의 반응물들에 전달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제1 부하 범위(load range)로부터, 상기 제1 부하 범위보다 더 높은 제2 부하 범위로 스텝 업(step up)하기 위해, 상기 터빈 디바이스(22)에는 상기 터빈 디바이스(22)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된 증기가 공급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6.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을 인용하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화학 반응은 상기 제2 부하 범위에서 수행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및 증기 복합 발전소(10).
KR1020187012968A 2015-10-07 2016-09-26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Active KR102101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9391.8 2015-10-07
DE102015219391.8A DE102015219391A1 (de) 2015-10-07 2015-10-07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und-Dampf-Kombinationskraftwerks
PCT/EP2016/072836 WO2017060111A1 (de) 2015-10-07 2016-09-26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und-dampf-kombinationskraftwe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299A true KR20180063299A (ko) 2018-06-11
KR102101178B1 KR102101178B1 (ko) 2020-04-16

Family

ID=5711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968A Active KR102101178B1 (ko) 2015-10-07 2016-09-26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15490B2 (ko)
EP (1) EP3344857B1 (ko)
JP (1) JP6706671B2 (ko)
KR (1) KR102101178B1 (ko)
CN (1) CN108138602B (ko)
DE (1) DE102015219391A1 (ko)
ES (1) ES2785573T3 (ko)
WO (1) WO2017060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9391A1 (de) 2015-10-07 2017-04-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und-Dampf-Kombinationskraftwerks
DE102018219374A1 (de) * 2018-11-13 2020-05-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mpftur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JP2024054673A (ja) * 2022-10-05 2024-04-17 株式会社東芝 発電設備
DE102023208569A1 (de) * 2023-09-06 2025-03-06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Dampfspeicherkraft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7803A (ja) * 1981-12-21 1983-06-27 Toshiba Corp 発電プラント
JPH01273807A (ja) * 1988-04-27 1989-11-01 Hitachi Ltd 高効率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
DE4025421A1 (de) * 1989-08-11 1991-02-28 Hitachi Ltd Vorrichtung zur waermerueckgewinn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vorrichtung
EP0439754A1 (de) * 1990-01-31 1991-08-07 Asea Brown Boveri Ag Verfahren zum Anfahren einer Kombianlage
JPH11117713A (ja) * 1997-10-09 1999-04-27 Hitachi Ltd 化学蓄熱式吸気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3885A (en) * 1952-05-31 1960-04-26 Melba L Benedek Individually Heat storage accumulator systems and method and equipment for operating the same
US3765167A (en) * 1972-03-06 1973-10-16 Metallgesellschaft Ag Power plant process
JPS6048604B2 (ja) * 1976-11-09 1985-10-28 工業技術院長 太陽熱発電システム
CH633610A5 (de) * 1978-05-19 1982-12-15 Bbc Brown Boveri & Cie Kombiniertes gas/dampfturbinenkraftwerk mit gegendruckturbine, insbesondere fuer industriezwecke.
JPS562410A (en) 1979-06-20 1981-01-12 Hitachi Ltd Accumulator
JPS585415A (ja) * 1981-06-30 1983-01-12 Toshiba Corp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蒸気圧力制御装置
JPH04109036A (ja) 1990-08-29 1992-04-10 Toshiba Corp コ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05340501A (ja) * 1992-06-05 1993-12-21 Kawasak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と組合せた冶金炉排ガス顕熱回収発電設備
US5673634A (en) 1992-11-17 1997-10-07 Apparatebau Rothemuhle Brandt & Kritzler Gmbh Incineration plant with heat exchanger
JPH08260907A (ja) 1995-03-24 1996-10-08 Toshiba Corp 蒸気貯蔵発電プラント
JP4322902B2 (ja) * 2006-08-10 2009-09-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太陽熱発電設備および熱媒体供給設備
EP2256406B1 (de) * 2008-06-20 2018-07-18 Dr. W. Kolb AG Verfahren zur Verwendung der Abwärme einer chemischen Reaktion
DE102009051938A1 (de) 2009-11-04 2011-05-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Chemischer Reaktor mit Wärmeauskopplung
US9509026B2 (en) 2012-08-14 2016-11-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station arrangement with high-temperature storage unit
FR2999644B1 (fr) * 2012-12-19 2015-03-13 Electricite De France Procede de commande d'une centrale thermique au moyen de soupapes reglantes
EP2787197A1 (de) * 2013-04-05 2014-10-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turbinenkraftwerk mit Wärmespeicher zur Wasseraufbereitung für ein STIG-Verfahren
EP2796671A1 (de) 2013-04-26 2014-10-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Kraftwerkssystem mit thermochemischem Speicher
ES2935581T3 (es) 2013-09-24 2023-03-08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Procedimiento para la operación de una unidad de turbina a vapor
DE102014202266A1 (de) * 2014-02-07 2015-08-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nergiespeichers
DE102015219398A1 (de) * 2015-10-07 2017-04-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und-Dampf-Kombinationskraftwerks sowie Gas-und-Dampf-Kombinationskraftwerk
DE102015219391A1 (de) 2015-10-07 2017-04-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und-Dampf-Kombinationskraftwerk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7803A (ja) * 1981-12-21 1983-06-27 Toshiba Corp 発電プラント
JPH01273807A (ja) * 1988-04-27 1989-11-01 Hitachi Ltd 高効率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
DE4025421A1 (de) * 1989-08-11 1991-02-28 Hitachi Ltd Vorrichtung zur waermerueckgewinn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vorrichtung
EP0439754A1 (de) * 1990-01-31 1991-08-07 Asea Brown Boveri Ag Verfahren zum Anfahren einer Kombianlage
JP2000000076U (ja) * 1990-01-31 2000-11-24 アセア ブラウン ボヴエリ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複合ガス・蒸気タ−ビン動力プラント
JPH11117713A (ja) * 1997-10-09 1999-04-27 Hitachi Ltd 化学蓄熱式吸気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4857A1 (de) 2018-07-11
JP2018534463A (ja) 2018-11-22
ES2785573T3 (es) 2020-10-07
JP6706671B2 (ja) 2020-06-10
DE102015219391A1 (de) 2017-04-13
EP3344857B1 (de) 2020-02-19
US20180298787A1 (en) 2018-10-18
KR102101178B1 (ko) 2020-04-16
WO2017060111A1 (de) 2017-04-13
US11015490B2 (en) 2021-05-25
CN108138602B (zh) 2020-09-04
CN108138602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3245B2 (ja) 発電システム
US8938966B2 (en) Storage of electrical energy with thermal storage and return through a thermodynamic cycle
KR102101178B1 (ko) 가스 및 증기 복합 사이클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JP2015158205A (ja) 有機作動媒体を蒸発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113940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EP3844371B1 (en) System for generating energy in a working fluid from hydrogen and oxygen and method of operating this system
US9242866B2 (en) Activated carbon manufacturing system
WO2005121409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geothermal enerby
JP2010071091A (ja) 複合発電システム
JP6812252B2 (ja) 水素製造設備、発電システム及び水素製造方法
KR20240090180A (ko) 연료전지 시스템
US20100307154A1 (en) Closed thermodynamic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AU2010215450A1 (en) Feed water degasifier for a solar thermal power station
KR101128829B1 (ko) 연료전지 배열회수형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US12134981B2 (en)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67509B1 (ko) 순산소연소를 이용한 연료전지 연계형 발전플랜트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59718B1 (ko) 가스-및-스팀 복합 사이클 전력 스테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JPH0260060A (ja) 排熱エネルギ回収装置付きの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70083673A (ko) 유기작동유체 자가 예열 유기랭킨 발전시스템
CN112055906A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蒸发器以及燃料电池系统
KR20180059939A (ko) 가스-및-스팀 복합 사이클 전력 스테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그리고 가스-및-스팀 복합 사이클 전력 스테이션
JP6666148B2 (ja) 吸収熱機関を有する冷却される燃料電池を有する電気設備
JP2023074130A (ja) 発電システムまたは発電方法
JP2023074131A (ja) 水素製造用の反応器または水素製造方法
CZ28034U1 (cs) Systém akumulace odpadního tepla vznikajícího při průmyslových procesech pro výrobu elektrické energ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