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61863A -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863A
KR20180061863A KR1020160161509A KR20160161509A KR20180061863A KR 20180061863 A KR20180061863 A KR 20180061863A KR 1020160161509 A KR1020160161509 A KR 1020160161509A KR 20160161509 A KR20160161509 A KR 20160161509A KR 20180061863 A KR20180061863 A KR 20180061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frame
pedestal
upper fram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군희
김보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863A/ko
Publication of KR20180061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86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 B66C23/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 B66C23/1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the paths being substantially horizontal; Level-luffing jib-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크레인 장치는 크레인을 지지하는 페데스탈(Pedestal); 상기 페데스탈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몸체부; 상기 회전 몸체부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CRANE DEVICE, AND OCEAN CONSTRUC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 또는 가스를 생산/정제 및 저장하는 해양 구조물에는 외부로부터 보급품을 받거나 내부의 자재 등을 옮기는데 사용되는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다. 크레인은 최소 작업 거리가 있어 크레인에 근접한 지역에서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없으며, 이러한 구역을 블라인드 영역(blind area)이라고 하고, 블라인드 영역은 해양 구조물의 레이아웃에 제약을 주고 있다.
크레인의 최소 작업 거리는 크레인의 크기 및 용량과 비례하므로 최대 작업 거리가 길면 길수록 블라인드 영역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블라인드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최대 작업 거리와 크레인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 크레인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해양 구조물에 크레인이 두 대나 설치되는 경우 크레인에 의한 공간 점유가 증가되어 선체 설계 및 구획 배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블라인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을 지지하는 페데스탈(Pedestal); 상기 페데스탈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몸체부; 상기 회전 몸체부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데스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회전 슬리브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몸체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몸체부는 상기 페데스탈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서포터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단 중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먼 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부는 크레인을 조종하기 위한 캐빈(Cabin); 및 크레인 붐을 포함하되; 상기 크레인 붐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단 중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가까운 측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크레인부가 회전 몸체부 상에서 이동 가능함으로써 블라인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크레인 장치에서의 블라인드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10)은 선체(500)와, 선체(500)의 상갑판(510)에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양구조물(10)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 예를 들어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Floating Production Unit), 부유식 가스생산저장하역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가스생산설비(LNG-FPU, 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Unit), 고정식 해양 구조물(fixed platform) 뿐만 아니라 향해 가능한 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500)의 상갑판(510)에는 외부로부터 보급품을 받거나 내부의 자재 등을 옮기는데 사용되는 크레인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 장치(100)는 페데스탈(Pedestal;110), 회전 몸체부(120), 레일부(130), 크레인부(140), 회전 슬리브(150) 그리고 가이드 서포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페데스탈(110)은 선체(500)의 상갑판(510)에 직립 설치되는 기둥 구조물로써 회전 몸체부(120)를 지지한다.
회전 몸체부(120)는 회전 프레임(122)과 상부 프레임(12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122)은 페데스탈(11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크레인부(140)의 선회운동을 담당한다. 상부 프레임(124)은 회전 프레임(122)의 상단에 설치되어 회전 프레임(122)의 회전에 따라서 선회운동하게 된다. 상부 프레임(124)은 길이가 긴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상부에 레일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4)은 회전 프레임(1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프레임(124)의 양측단 중 회전 프레임(122)의 회전축과 가까운 일측을 제1측단부(126)라하고, 회전 프레임(122)의 회전축과 먼 일측을 제2측단부(128)라고 한다.
레일부(130)는 상부 프레임(124)이 길게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크레인부(14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부(140)의 이동은 구동부(13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132)는 레일부(130) 및 크레인부(140)와 결합되어 레일부(130)를 따라 크레인부(140)를 이동시킨다. 도시하지 않앗지만, 일 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피니언을 포함하고, 피니언이 레일부에 마련된 랙(rack)과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크레인부가 이동할 수 있는 기어 이동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의 구성 및 구동 메커니즘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크레인부(140)는 크레인을 조종하기 위한 캐빈(Cabin)(142) 및 크레인 붐(144)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부(140)에는 호이스트 와이어(146a)가 크레인 붐(144)의 선단부 상측에 지지되어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그 끝단에는 중량물을 걸 수 있는 후크(146b)와 같은 걸이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윈치(146)는 크레인부(140)의 베이스(141)에 설치되어서 크레인 붐(144)에 지지 설치되어 후단부로 연장된 호이스트 와이어(146a)를 감거나 풀어 주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게 되며, 이 작동 또한 캐빈(142)에서 조작하게 된다.
한편, 크레인 붐(144)은 수직방향으로 기복운동(luffing motion)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해 러핑 와이어(148a)와, 러핑 와이어(148a)의 감김과 풀림을 위한 러핑 윈치(148)를 포함한다.
크레인 붐(144)은 상부 프레임(124)의 양측단 중에서 제1측단부(126)를 향해 상향 상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슬리브(150)는 페데스탈(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서포터(160)는 일측이 회전 슬리브(15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 프레임(124)에 연결된다. 가이드 서포터(160)는 상부 프레임(124)의 양측단 중에서 회전 프레임(122)으로부터 먼 제2측단부(128) 하단에 연결된다. 가이드 서포터(160)가 상부 프레임(124)의 제2측단부(128)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크레인부(140)가 상부 프레임(124)의 제2측단부(128)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상부 프레임(124)의 처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크레인 장치에서의 블라인드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에는 크레인부(140)가 회전 몸체부(12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크레인 붐(144)의 기복각도 조절만을 통한 크레인의 작업 영역과 블라인드 영역이 표시되어 있다.
도 5에는 크레인부(140)가 상부 프레임(124)의 제1측단부(126)에서 제2측단부(128)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크레인붐(144)의 작업 영역이 넓어지고 블라인드 영역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부(140)가 상부 프레임(124)상에서 이동 가능함으로써 페데스탈(110) 주변의 블라인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크레인 장치 110 : 페데스탈
120 : 회전 몸체부 130 : 레일부
140 : 크레인부 150 : 회전 슬리브
160 : 가이드 서포터

Claims (6)

  1. 크레인을 지지하는 페데스탈(Pedestal);
    상기 페데스탈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몸체부;
    상기 회전 몸체부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회전 슬리브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몸체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부는
    상기 페데스탈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서포터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단 중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먼 측단에 연결되는 크레인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크레인을 조종하기 위한 캐빈(Cabin); 및
    크레인 붐을 포함하되;
    상기 크레인 붐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단 중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가까운 측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크레인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크레인 장치가 탑재되는 해양구조물.
KR1020160161509A 2016-11-30 2016-11-30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Ceased KR20180061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09A KR20180061863A (ko) 2016-11-30 2016-11-30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09A KR20180061863A (ko) 2016-11-30 2016-11-30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863A true KR20180061863A (ko) 2018-06-08

Family

ID=6260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509A Ceased KR20180061863A (ko) 2016-11-30 2016-11-30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8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8705B2 (ja) 沖合船舶、船舶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波によって誘発される運動を補償するクレーン、および積荷運搬方法
JP2020519514A5 (ko)
KR20150113007A (ko) 상하동요 보상 크레인
US8459477B2 (en) Hoisting crane and vessel with such a crane
JP5590862B2 (ja) ダビット装置
JP2008120525A (ja) 伸縮ブーム付きクレーン装置
EP3390265B1 (en) 3d motion-compensated lifting assembly for cranes
JP5642475B2 (ja) 観測用クレーン
US20210024334A1 (en) Crane for a wind farm installation vessel
CN115697885A (zh) 海洋折臂式起重机
US9290241B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JP6313613B2 (ja) クレーン装置及び作業船
CN114803898B (zh) 一种可补偿船体多自由度运动的船用折臂吊机
CN114212704A (zh) 用于船用起重机减摇防摆的辅助臂
KR20180061863A (ko) 크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JP5606220B2 (ja) 観測用クレーン
KR20140104613A (ko) 수평 트롤리 지브를 갖는 인입 크레인
KR102079907B1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KR101411537B1 (ko) 후크 블록
KR101595477B1 (ko)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JP2011213426A (ja) クレーン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JP2005255326A (ja) クレーン
KR20160121196A (ko) 해상용 크레인 장치
KR101661905B1 (ko) 크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