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447A - An EV on-board movable charger - Google Patents
An EV on-board movable char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8447A KR20180058447A KR1020160157425A KR20160157425A KR20180058447A KR 20180058447 A KR20180058447 A KR 20180058447A KR 1020160157425 A KR1020160157425 A KR 1020160157425A KR 20160157425 A KR20160157425 A KR 20160157425A KR 20180058447 A KR20180058447 A KR 201800584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er
- charging
- module
- electric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40 infrastructure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60L11/181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 B60L11/1838—
-
- B60L11/184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02T90/121—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차량 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고정형 충전기 내지 이동형 충전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형 충전기를 전기자동차 내에 탑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충전인프라 보급에도 기여하며 특히, 기존 전기자동차 내 OBC와의 연동은 물론 한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인증, 건물 전기세와 별도의 과금 등의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기존 이동형 충전기 사업자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기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하면서 충전인프라 확장,보급에 기여하며,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이 경우에도 기존 외부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harger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harger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for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a conventional fixed charger or a mobile charger, , It can interoperate with OBC in existing electric car, and can easily implement function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building electricity tax and separate billing through interworking with KEPCO serv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OBC inside the electric car through the existing external charg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OBC inside the electric car through the existing external charger.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To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 차량 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고정형 충전기 내지 이동형 충전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형 충전기를 전기자동차 내에 탑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충전인프라 보급에도 기여하며 특히, 기존 전기자동차 내 OBC와의 연동은 물론 한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인증, 건물 전기세와 별도의 과금 등의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기존 이동형 충전기 사업자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기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하면서 충전인프라 확장,보급에 기여하며,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이 경우에도 기존 외부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harger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harger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for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a conventional fixed charger or a mobile charger, , It can interoperate with OBC in existing electric car, and can easily implement function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building electricity tax and separate billing through interworking with KEPCO serv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OBC inside the electric car through the existing external charg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OBC inside the electric car through the existing external charger.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To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국내에서도 정책적으로 2020년 전기차 20만대 수출, 누적보급대수 20만대 보급 전략을 발표하는 등 전기차에 대한 국내 저변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정부의 전기차 보급확대 정책지원에도 불구하고, 충전시설 부족 등의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구매의사를 표시한 구매의향자 중 상당수가 충전시설 부재, 충전기 설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전기차 구매를 포기 또는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In Korea, the government plans to export 200,000 electric cars in 2020 and announces its strategy of supplying 200,000 units of electric vehicles in 2020. However, despite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electric vehicles, Many of the willingness to purchase willingness to purchase due to lack of infrastructure is giving up or delaying the purchase of electric cars due to the lack of charging facilities and the difficulty in installing chargers.
이러한 열악한 충전설비 인프라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정형 충전기의 대안으로 이동형 충전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기존의 이동형 충전기의 경우에도 사용시마다 사용자가 충전기를 꺼내고 사용 후 다시 원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인증절차를 위한 태깅(Tagging)을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oor charging facility infrastructure problem, a portable charger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a fixed charger, but eve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charger, the user has to take out the charger, However, there is still an uncomfortable problem such as tagging for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arging.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1480616호(2015.01.09.공고) "전기자동차용 탑재형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80616 (Announcement 2015.01.09) "Onboard Battery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상기 (특허 문헌)에 나와 있는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차량 탑재라는 개념이 전기차 내부 OBC(On-Board Charger) 정도의 관점에 머물러 있을 뿐이며, 충전장비(고정형 또는 이동형) 자체를 전기자동차 자체에 장착하여, 이를 통해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장소나 인증 절차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과는 무관한 실정이다. Eve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the concept of vehicle mounting remains only in terms of the OBC (On-Board Charger) inside the electric car, and the charging equipment (fixed or mobile type) Therefore, it is irrelevant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place necessary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따라서, 기존 고정형 충전기 또는 이동형 충전기가 갖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방안인 차량에 장착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n electric vehicle mounted on a vehicle, which is an alternative solution capable of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s of a conventional fixed charger or a mobile char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고정형 충전기 내지 이동형 충전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형 충전기를 전기자동차 내에 탑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충전인프라 보급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which can mount a portable charger in an electric vehic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conventional fixed charger or a portable charger,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ment of user convenience and contribution to charging infrastructur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전기자동차 내 OBC와의 연동은 물론 한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인증, 건물 전기세와 별도의 과금 등의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that can easily implement function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building electric bill and separate charging through interlocking with OBC in an existing electric vehicl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이동형 충전기 사업자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기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하면서 충전인프라 확장,보급에 기여할 수 있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capable of contributing to expansion and diffusion of a charging infrastructure while utilizing a pre-built network through interworking with existing portable charger businesses serv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이 경우에도 기존 외부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a connection between an OBC inside an electric car and a mobile on-board charger when an error occurs, And a portable charger mounted on the vehicle for enhancing convenien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는, 전기차 내부 OBC(On-Board Charger)와 연동을 위한 통합제어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부; 및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전기차 내에 탑재되어, 설치공간의 제약이나 사용 편의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ic vehicle-mounte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interlocking with an on-board charger (OBC) in an electric vehicle; A charger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ocket to perform charging;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is mounted in the electric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ease of u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연결되는 충전모듈과, 상기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되는 전력량을 적산하는 전력적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boar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unit includes a charging module connected to an outle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integrating module for integr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modul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충전통신모듈과, 상기 충전부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연결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hicle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ncludes a charging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charging unit, And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한전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한전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전력적산모듈에서 전송되는 충전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한전서버에 충전된 전력량 정보를 전송하여 별도 과금 및 건물 전기요금 누진요금에 해당 금액이 제외될 수 있게 하는 과금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hicle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KEPCO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KEON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a billing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 power amount information charged to the KEPCO server based on the charged electric energy amou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electric power amou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KEPCO server, so that the corresponding amount can be excluded from the separate charging and building electric charge progress fe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기존 충전기 사업자들의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통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hicle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server of existing charger businesse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전기차 내부 OBC 및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통신모듈과, 상기 외부통신모듈을 통해 기 구축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에 제공하는 콘센트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boar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ncludes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an OBC and an electric car main control unit of an electric vehicle, And an outlet information module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pre-installed electric car charging receptacl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electric car main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기존 외부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차단세이프티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hicle type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nterrupt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OBC inside the electric car and the on-board mobile charger when the in- And a blocking safety module for allowing charging of the OBC inside the electric car through the existing external charg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과금모듈은, 전기차가 충전하고 있는 건물의 블랙아웃시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경우 그 제공량을 적산하여 한전에 비용을 상계할 수 있게 하는 역과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boar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module provides electric power charged in an electric car battery in a blackout state of a building, And a reverse charging module for integrating the provision amount and offsetting the cost to KEPC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통신모듈은 PWM 유선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boar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is PWM wir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는 OBC(On-Board Charger)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boar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an OBC (On-Board Charge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기존 고정형 충전기 내지 이동형 충전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형 충전기를 전기자동차 내에 탑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충전인프라 보급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conventional fixed charger or a portable charg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ounting the portable charger in an electric vehicle,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and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charging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기존 전기자동차 내 OBC와의 연동은 물론 한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인증, 건물 전기세와 별도의 과금 등의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building electricity tax and separate billing through interlocking with OBC in an existing electric vehicle through a connection with a KEPCO server.
본 발명은, 기존 이동형 충전기 사업자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기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하면서 충전인프라 확장,보급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expanding and spreading the charging infrastructure while utilizing a pre-built network through interworking with existing portable charger providers' servers.
본 발명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이 경우에도 기존 외부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for an on-vehicle portable charger, which prevents a connection between an OBC in an electric car and an on-board portable charger when an abnormality occurs,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의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electric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note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는, 전기차 내부 OBC(71)(On-Board Charger)와 연동을 위한 통합제어부(1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부(30); 및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0);를 포함하며, 전기차 내에 탑재(장착)되어, 설치공간의 제약이나 사용 편의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존 탑재되는 이동형 충전기가 차량에 넣고 다니면서 사용시 넣고 빼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차량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이동형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이동형 충전기의 경우 사용시마다 사용자가 충전기를 꺼내고 사용 후 다시 원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및 충전을 위해 별도의 인증절차를 위한 태깅(Tagging)을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기능의 구현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n electric vehicle-mounte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상기 충전부(30)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되는 충전모듈(310)과, 상기 충전모듈(310)을 통해 충전되는 전력량을 적산하는 전력적산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충전모듈(310)은,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충전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콘센트와의 연결거리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권선이 되는 구조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전력적산모듈(320)은, 상기 충전모듈(310)을 통해 충전되는 전력량을 적산하는 구성으로, 상기 충전모듈(310)을 통해 충전되는 전력양 또는 후술할 바와 같이 블랙아웃시 충전 전력량을 건물에 공급하는 경우 그 공급량을 적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력적산모듈(320)은 전력적산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상기 통합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의 기능을 통합 제어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부(3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충전통신모듈(110)과, 상기 충전부(30)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tegrated
상기 충전통신모듈(110)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제어부(10)와 상기 전력적산모듈(320)과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PLC 통신모듈과 같은 전력선통신모듈 등이 활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0)은, 상기 충전부(30)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앞서 종래 이동형 충전기 등의 문제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충전기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태깅(Tagging)과 같은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0)을 통해, 상기 충전모듈(310)이 충전용 콘센트(72)에 연결시 상기 충전통신모듈(110)(또는 후술할 한전통신모듈(51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바로 고유 아이디 또는 고유 번호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한편, 상기 통신부(50)는 한전서버(73)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한전통신모듈(510)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10)는 상기 전력적산모듈(320)에서 전송되는 충전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한전서버(73)에 충전된 전력량 정보를 전송하여 별도 과금 및 건물 전기요금 누진요금에 해당 금액이 제외될 수 있게 하는 과금모듈(1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한전통신모듈(510)은, 한전서버(73)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LTE통신모듈과 같은 광대역 통신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기들을 통합 관리하는 운용서버(74)를 거쳐 한전서버(73)와 송수신하는 방식 또는 직접 한전서버(73)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KEPCO
상기 과금모듈(140)은, 충전된 충전량만큼 정확한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력적산모듈(320)을 통해 전기차에 충전된 정확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과금모듈(140)은 한전서버(73)에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충전용 콘센트(72)를 통해 전기차에 충전된 전력량만큼은 건물 전기요금과 별도로 전기차 사용자에게 별도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건물 전기요금에서는 누진요금에 해당 충전량이 제외되고 전기차 사용자에게는 사용한 전력량만큼 정확하고 편리하게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한편, 상기 과금모듈(140)은 전기차가 충전하고 있는 건물의 블랙아웃시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경우 그 제공량을 적산하여 한전에 비용을 상계할 수 있게 하는 역과금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건물에 여러 대의 전기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각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는 일종의 비상용 ESS시스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바, 해당 건물에 정전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 비상용 전원을 각 전기차 배터리에서 끌어올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 경우에 있어, 상기 역과금모듈(141)은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건물의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력적산모듈(320) 및 사용자인증모듈(130) 등을 활용하여 그 제공량을 적산하여 한전에 비용을 상계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를 건물의 비상용 ESS처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구축도 활성화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또한, 상기 통신부(50)는 기존 충전기 사업자들의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통신모듈(520)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10)는 전기차 내부 OBC(71) 및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통신모듈(120)과, 상기 외부통신모듈(520)을 통해 기 구축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에 제공하는 콘센트정보모듈(1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 외부통신모듈(520) 역시 LTE통신모듈과 같은 광대역 통신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 충전기 사업자들의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기존 충전기 사업자들이 구축해 놓은 인프라 즉,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상기 콘센트정보모듈(150)은 기 구축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상기 차량통신모듈(120)(일 예로, PWM통신(SAE1772)과 같은 유선통신이 활용)을 통해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에 제공하여 전기차를 운행하는 사용자가 충전이 필요한 시점에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가 구축되어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차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10)는 상기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71)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기존 외부 충전기(75)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71)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차단세이프티모듈(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상기 차단세이프티모듈(160)은, 본 발명에 따른 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와 전기차 내부 OBC(71) 간 연결을 차단시켜, 전기차 내부 OBC(71)가 기존 외부 충전기(75)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차량에 장착된 상태의 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의 통신부(50)나 전력적산모듈(320) 등의 구성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상기 차단세이프티모듈(160)을 통해 전기차 내부 OBC(71)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차 내부 OBC(71)가 고장난 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를 거치지 않고 기존과 같이 바로 외부 충전기(75)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어 전기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세이프티모듈(160)은 상기 충전모듈(310)을 직접 전기차 내부 OBC(71)에 연결시킬 수 있다. The block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는 OBC(On-Board Charger)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차 생산단계에서 OBC(7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일체형이 아닌 기존 전기차 OBC(71)와 결합가능한 결합형과 함께 상기 일체형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인프라 시장에서의 Before Market과 After Market 모두에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n-board mobi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with an on-board charger (OBC). In this case, a vehicle-mounted portable charg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통합제어부 110: 충전통신모듈
120: 차량통신모듈 130: 사용자인증모듈
140: 과금모듈 141: 역과금모듈
150: 콘센트정보모듈 160: 차단세이프티모듈
30: 충전부 310: 충전모듈
320: 전력적산모듈
50: 통신부 510: 한전통신모듈
520: 외부통신모듈
71: OBC 72: 충전용 콘센트
73: 한전서버 74: 운용서버
75: 외부 충전기10: Integrated controller 110: Charging communication module
120: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130: user authentication module
140: Charging module 141: Reverse charging module
150: outlet information module 160: blocking safety module
30: Charging unit 310: Charging module
320: Power integration module
50: communication unit 510: KEPCO communication module
520: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71: OBC 72: Rechargeable outlet
73: KEPCO server 74: Operation server
75: External charger
Claims (1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부; 및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전기차 내에 탑재되어, 설치공간의 제약이나 사용 편의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interlocking with an on-board charger (OBC) in an electric vehicle;
A charger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ocket to perform charging;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herein the electric charger is mounted in an electric car to increase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ease of use.
상기 충전부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연결되는 충전모듈과, 상기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되는 전력량을 적산하는 전력적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unit includes a charging module connected to an outle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integrating module for integr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module.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충전통신모듈과, 상기 충전부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연결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ncludes a charging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charging unit, and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charg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receptacl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상기 통신부는, 한전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한전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전력적산모듈에서 전송되는 충전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한전서버에 충전된 전력량 정보를 전송하여 별도 과금 및 건물 전기요금 누진요금에 해당 금액이 제외될 수 있게 하는 과금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KEPCO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KEPCO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billing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 energy amount information charg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server based on the charged electric energy amou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power accumulation module and allowing the corresponding amount to be excluded in the separate billing and building electric bill progress fee Wherein the battery charger is a battery charger.
상기 통신부는, 기존 충전기 사업자들의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통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server of existing charger businesse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상기 통합제어부는, 전기차 내부 OBC 및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통신모듈과, 상기 외부통신모듈을 통해 기 구축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전기차 메인 컨트롤부에 제공하는 콘센트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ncludes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the OBC internal electric car main control unit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utlet that is constructed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electric car main control unit And an outlet information module. ≪ Desc / Clms Page number 24 >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에 이상 발생시 전기차 내부 OBC와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간 연결관계를 차단시켜 기존 외부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부 OBC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차단세이프티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safety module for block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OBC in the electric car and the on-board mobile charger when the fault occurs in the on-board mobile charger, thereby enabling the OBC in the electric car to be charged through the existing external charger Wherein the battery charger is a battery charger.
상기 과금모듈은, 전기차가 충전하고 있는 건물의 블랙아웃시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경우 그 제공량을 적산하여 한전에 비용을 상계할 수 있게 하는 역과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harging module includes a reverse charging module for integr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electric car battery when the electric car is charged for use in an emergency, Wherein the battery charger is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상기 차량통신모듈은 PWM 유선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PWM wire communic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425A KR20180058447A (en) | 2016-11-24 | 2016-11-24 | An EV on-board movable char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425A KR20180058447A (en) | 2016-11-24 | 2016-11-24 | An EV on-board movable char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447A true KR20180058447A (en) | 2018-06-01 |
Family
ID=6263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425A Ceased KR20180058447A (en) | 2016-11-24 | 2016-11-24 | An EV on-board movable char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844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2020A (en) | 2020-11-23 | 2022-06-02 |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 Self-propelled type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car infrastructure |
KR102526236B1 (en) | 2022-09-01 | 2023-04-27 |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 Push-Pull Keypad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KR102564550B1 (en) | 2022-09-01 | 2023-08-07 |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 Electric Vehicle Portable Function Box Integrated Char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36757A (en) * | 2010-11-05 | 2013-04-12 | 도요타 지도샤(주) |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JP2014073002A (en) * | 2012-09-28 | 2014-04-21 | Sumitomo Electric Ind Ltd | O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charging system |
JP5641141B2 (en) * | 2011-07-19 | 2014-12-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
KR20160012355A (en) * | 2014-07-23 | 2016-02-03 | 주식회사 파워큐브 | Electric car charging and reverse supplying power operating system |
KR20160072860A (en) * | 2014-12-15 | 2016-06-24 | 한국전기연구원 | Control box of rever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2016
- 2016-11-24 KR KR1020160157425A patent/KR2018005844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36757A (en) * | 2010-11-05 | 2013-04-12 | 도요타 지도샤(주) |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JP5641141B2 (en) * | 2011-07-19 | 2014-12-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
JP2014073002A (en) * | 2012-09-28 | 2014-04-21 | Sumitomo Electric Ind Ltd | O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charging system |
KR20160012355A (en) * | 2014-07-23 | 2016-02-03 | 주식회사 파워큐브 | Electric car charging and reverse supplying power operating system |
KR20160072860A (en) * | 2014-12-15 | 2016-06-24 | 한국전기연구원 | Control box of rever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2020A (en) | 2020-11-23 | 2022-06-02 |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 Self-propelled type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car infrastructure |
KR102526236B1 (en) | 2022-09-01 | 2023-04-27 |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 Push-Pull Keypad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KR102564550B1 (en) | 2022-09-01 | 2023-08-07 |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 Electric Vehicle Portable Function Box Integrated Char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660840B (en) |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
US9037507B2 (en) | Method to facilitate opportunity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 |
JP6466407B2 (en) | Location-based power intermediary module, electric vehicle and intermediary server, and user authentication outlet or connector used therefor | |
US10124682B2 (en) | Charge control system | |
CN107554318B (en) | On-cable control box,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nd 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 |
CN102271959B (en) | Remote power usage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 |
JP5376044B2 (en) | Charging station management device | |
US9566873B2 (en) |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using an SAE standard and user terminal | |
US20100280675A1 (en) |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loads on a local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 |
KR101063656B1 (en) |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s | |
US20140375247A1 (en) |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 |
KR101214448B1 (en) | Charging infrastructure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chag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CN111277558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in an electric vehicle power transmission system | |
US20190139130A1 (en) | Fee set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 |
CN106300465A (en) | A kind of microwave charging method, base station and electric vehicle | |
KR20180003996A (en) | In-cable control box mounte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 |
KR20180058447A (en) | An EV on-board movable charger | |
KR20140123622A (en) |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
CN112706641B (en) |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lternating-current charging pile and storage medium | |
US9096137B2 (en) |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battery | |
JP7230767B2 (en) | Charging control device,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ontrol method | |
CN103826905A (en) | Method for charging an accumulator incorporated in an electrical motor vehicle | |
JP5573125B2 (en) | Charging stand and vehicle charging method | |
JP7048208B2 (en) | Charge reservation system | |
JP2011166928A (en) | Power supplying device including back-feed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