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56259A -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259A
KR20180056259A KR1020160154281A KR20160154281A KR20180056259A KR 20180056259 A KR20180056259 A KR 20180056259A KR 1020160154281 A KR1020160154281 A KR 1020160154281A KR 20160154281 A KR20160154281 A KR 20160154281A KR 20180056259 A KR20180056259 A KR 2018005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ving
vehicle
mounting
moving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432B1 (ko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피씨
Priority to KR102016015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432B1/ko
Priority to US15/493,137 priority patent/US9834150B1/en
Priority to EP17170332.5A priority patent/EP3324094A1/en
Priority to CN201710329892.3A priority patent/CN108068711A/zh
Publication of KR2018005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4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량 씨디 투입구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고,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씨디 투입구에 서로 대향 형성되는 이동편과 고정편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모듈, 휴대기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 및 상기 장착 모듈과 상기 크래들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모듈은 상기 연결 모듈에 연결되는 바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편 및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편은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에 대한 상기 이동편의 대면 이격 거리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에 대한 상기 이동편의 대면 이격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portable terminal cradle installed in compact disc insert}
본 발명은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량 씨디 투입구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고,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PMP, PDA, DMB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는 휴대하면서 사용함은 물론이며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또한, 휴대기기에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래의 기능 이외에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일정관리, 사전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나아가서 다양한 정보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기기를 차량의 데쉬보드 또는 전면유리창에 거치장치(일명, "크래들"이라 함)를 통해 거치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용하기도 한다.
종래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장치는 흡착부재를 통해 차량 전면유리창 또는 데쉬보드 상부에 부착되는데, 휴대기기의 외형 사이즈에 맞게 제작되어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전용홀더를 갖춘 타입과, 휴대기기의 본체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집어 고정할 수 있는 집게홀더를 갖춘 타입 등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종래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장치는 흡착부재를 통해 차량 전면유리창 또는 데쉬보드 상부에 직접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유닛과, 이 베이스유닛의 선단부에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하며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홀더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홀더유닛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한 후 이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흡착부재가 적용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장치에서는 오랜 시간이 지나면 베이스유닛의 흡착부재 자욱이 남아 미관상 좋지 않으며, 흡착부재의 흡착력이 저하되는 경우 떨어져 분리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휴대기기 거치장치를 차량의 전면유리창 또는 데쉬보드 상부에 설치할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 일부를 가리게 되어 안전운전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088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차량 운전석 일측에 마련된 CD 투입구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견실하게 거치/고정할 수 있으며 탈부착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CD 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CD 투입구에 삽입되는 투입플레이트가 하나로 구성되어 CD 투입구 내에서의 두께 변화가 발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CD 투입구로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고, 삽입 상태에서 견고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즉,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양 끝단으로 갈수록 투입구가 좁아지는 형태의 CD 투입구에서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균일한 투입구의 간격을 가지는 CD 투입구에서는 삽입이 용이하지 않고, 삽입 후에도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 다양한 투입구 간격을 가지는 CD 투입구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적용될 수 없고, 해당 투입구 간격을 가지는 CD 투입구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088호(공고일자 : 2014년 10월 06일, 발명의 명칭 : 차량용 CD 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량 씨디 투입구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고,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작아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면서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투입구 크기(간격)를 가지는 다양한 CD 투입구에도 일률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씨디 투입구에 서로 대향 형성되는 이동편과 고정편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모듈, 휴대기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 및 상기 장착 모듈과 상기 크래들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모듈은 상기 연결 모듈에 연결되는 바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편 및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편은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에 대한 상기 이동편의 대면 이격 거리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에 대한 상기 이동편의 대면 이격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중공형 바 형상을 가지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에 인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홀을 구비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중공 내에 삽입 장착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슬롯홀을 통해 돌출 형성되는 상기 이동편이 연결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편이 상기 슬롯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편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편의 양면 중, 상기 고정편에 대향하는 면은 이동 고단부와, 상기 이동 고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이동 저단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 고단부가 상기 슬롯홀에 인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 씨디 투입구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고,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씨디 투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작아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면서 커지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투입구 크기(간격)를 가지는 다양한 CD 투입구에도 일률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가 실제 차량 씨디 투입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일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6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개방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개방한 상태에서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고정체의 상측 부분에 대한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고정체의 상측 부분에 대한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이동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가 실제 차량 씨디 투입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CD : Compact Disc)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1000)는 차량에 구비되는 씨디(CD) 투입구(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다양한 휴대기기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100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일부(장착 모듈 및 연결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정면도이며, 도 5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개방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개방한 상태에서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고정체의 상측 부분에 대한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고정체의 상측 부분에 대한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이동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1000)는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삽입 장착되는 장착 모듈(100), 상기 휴대기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500) 및 상기 장착 모듈(100)과 상기 크래들(5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500)은 상기 휴대기기를 안착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상기 크래들(500)은 상기 연결 모듈(300)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클램핑하며, 용이하게 휴대기기를 탈착시킬 수 있는 구조 및 방식이면 다양하게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300)은 상기 장착 모듈(100)과 상기 크래들(500)을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을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모듈(300)은 일단이 상기 크래들(5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모듈(100)에 연결되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상기 연결 모듈(3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310), 연장부(330) 및 제2 체결부(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은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1000)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외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외력이란 본 발명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이동편(51)과 고정편(53) 중, 상기 이동편(51)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연결 모듈(3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장착 모듈(100)의 소정 부분, 즉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0)의 연결부(17)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체(10)의 연결부(17)는 끝단에 삽입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삽입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부(310)는 상기 고정체(10)의 연결부(17)에 연결되되,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체결부(310)에는 상기 연장부(3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330)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체결부(350)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연장부(330)의 일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350)는 상기 연장부(330)의 타단에서 타측 방향(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350)에는 상기 크래들(500)이 연결된다. 상기 크래들(500) 역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체결부(350)의 끝단에는 삽입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래들(500)에는 상기 삽입볼을 수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형상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330)는 일단에 상기 장착 모듈(100)과 체결될 수 있는 제1 체결부(3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상기 크래들(500)과 체결될 수 있는 제2 체결부(350)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3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직선형 또는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부(330)는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연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제2 체결부(350)와 연결되는 타단으로 가면서 상기 제1 체결부(310)의 돌출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330)의 타단은 일단과 같은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체결부(310)의 돌출 부분과 같은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장부(330)의 구조가 적용되면, 수직 형상의 연장부의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제2 체결부(350)에 연결되는 크래들(500)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씨디 투입구(1)에 삽입되는 이동편(51)과 고정편(53)의 하중이 작아진다. 결과적으로, 수직 형상의 연장부를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 씨디 투입구(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씨디 투입구(1)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 모듈(300)은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장착 모듈(100)과 상기 크래들(5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330)이 수직 형상을 가진다면, 복수개의 연결 모듈(300)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최상단에 연결되는 연결 모듈의 타단이 운전자 쪽(도 6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최상단의 연결 모듈의 제2 체결부(350)에 연결되는 크래들(500)은 운전자와 너무 가까워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휴대기기 거치대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장부(330),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운전자 반대 방향(도 6에서 왼쪽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연장부(330)을 채택하면, 복수개의 연결 모듈(300)을 서로 연결하더라도 운전자 쪽으로 다가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길어지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30)는 상기 제1 체결부(310)와 연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제2 체결부(350)와 연결되는 타단으로 가면서 상기 제1 체결부(310)의 돌출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차량의 씨디 투입구(1)에 삽입되는 형태로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거치대에 해당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모듈(100)이 채택된다. 상기 장착 모듈(100)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 형성되는 이동편(51)과 고정편(53)을 구비하여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삽입 장착된다. 즉, 상기 장착 모듈(100)은 차량의 씨디 투입구(1)에 서로 대향 형성되는 이동편(51)과 고정편(53)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장착 모듈(100)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모듈(300)에 연결되는 바 형상의 몸체(50)와, 상기 몸체(50)의 외주연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편(51) 및 고정편(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50)는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형상을 가지고, 가운데 외부면 부분을 통해 상기 연결 모듈(30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50)를 구성하는 고정체(10)에 연결부(17)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17)가 상기 연결 모듈(300)의 제1 체결부(310)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50)의 둘레면 부분, 즉 외주연 부분에는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이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은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되, 면대 면의 간격, 즉 대면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상기 씨디 투입구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상기 씨디 투입구의 간격보다 더 짧음),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이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의 대면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은 상기 씨디 투입구(1) 내에서 삽입된 상태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편(51)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몸체(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인가된 상태(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53)에 대한 상기 이동편(51)의 대면 이격 거리(g2)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53)에 대한 상기 이동편(51)의 대면 이격 거리(g1)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력이 인가된 상태(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53)에 대한 상기 이동편(51)의 대면 이격 거리(g2)와 상기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53)에 대한 상기 이동편(51)의 대면 이격 거리(g1) 사이의 거리는 2.5mm ~ 5.5mm 사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고정편(53)과 면대 면으로 대향 배치되되, 상기 몸체(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몸체(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 측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은 서로 대향 배치되며,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몸체(5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고, 이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이동편(51)은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몸체(5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이동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편(51)은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몸체(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상기 몸체(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편(51)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편(53)과의 면대 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된다. 즉, 상기 이동편(51)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50)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편(53)과 면대 면 사이의 이격 거리, 즉 대면 이격 거리가 짧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7, 도 9 및 도 11의 상태). 그리고,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다시 원상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편(53)과 면대 면 사이의 이격 거리, 즉 대면 이격 거리가 멀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6, 도 8 및 도 10의 상태).
상기와 같이, 상기 이동편(51)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50)의 가운데 부분으로 가면서 상기 고정편(51)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짧아지도록 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자동으로 다시 원래 위치로 원상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편(51)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을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편(51)이 지지되어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슬롯홀(11)을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상호 대향하는 이동편(51)과 고정편(53) 중, 적어도 하나의 면(대향 면)이 단차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동편(51)을 자동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체의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은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편(51)이 상기 몸체(5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이동하면서(상기 고정편(53)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도 7의 상태에서 (g2) 거리로서 씨디 투입구의 구멍 상하 너비보다 짧은 거리임)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상기 이동편(51)이 상기 고정체(53)를 향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면서(상기 고정편(53)에서 가까워지면서)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도 6의 상태에서 (g1)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씨디 투입구(1)에 꽉 끼게 되어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상호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상호 대면 이격 거리가 외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편(51)과 고정편(53)을 구비하여,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편(53)과 이동편(51)의 적용 및 동작을 위하여 상기 몸체(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50)는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을 대향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편(51)이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원상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몸체(50)는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바 형상을 가지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편(5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53)에 인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홀(11)을 구비하는 고정체(10)와, 상기 고정편(53)의 중공 내에 삽입 장착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슬롯홀(11)을 통해 돌출 형성되는 상기 이동편(51)이 연결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편(51)이 상기 슬롯홀(1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편(51)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이동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10)는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을 가지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 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중공 내에는 상기 이동체(30)가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삽입 장착된다. 상기 고정체(10)는 상기 이동체(30)의 장착을 고려하여,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나뉘어져 상호 조립에 의하여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체(10)의 둘레면, 즉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편(53)이 돌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체의 양끝 부분에 각각 상기 고정편(53)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0)는 상기 고정편(53)에 인접하여 상기 고정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11)을 구비한다. 즉, 상기 슬롯홀(11)은 상기 각각의 고정편(53)에 인접하여 상기 고정체(1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 슬롯홀(11)은 상기 이동편(51)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딩한다.
상기 고정체(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중앙 부분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지지판(13)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판(13)은 상기 이동체(30)을 구성하는 탄성체, 즉 스프링(31)의 일단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가운데에는 한 쌍의 지지판(13) 사이에 결합 지지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결합 지지봉은 고정체(10)가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나뉘어서 구성될 때, 이들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나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결합 지지봉(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체(10)가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나뉘어서 구성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지지봉(15)은 상기 고정체(10)의 상측 부분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결합 지지봉(15)은 상기 고정체(10)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결합 지지봉(15)은 상기와 같이 고정체(10)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 부분에 해당되기도 하지만, 더 나아가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체(30)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상기 각각의 결합 지지봉(15)은 고정체(10)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용이하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체(30)의 이탈을 막기위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체(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체(10)는 가운데 부분의 둘레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17)를 구비한다. 이 연결부(17)는 상기 고정체(10)의 가운데 부분의 둘레면(외주연)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고정편(53)이 돌출되는 둘레면 부분과 반대되는 둘레면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7)의 끝단은 볼 형상의 삽입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삽입볼은 상기 연결 모듈(300)의 제1 체결부(3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 모듈(300)은 상기 연결부(17)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 즉 중공 내부에는 상기 이동체(30)가 삽입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체(3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체(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삽입 장착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이동편(51)이 연결되되,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고정체(10)에 형성된 슬롯홀(11)을 통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51)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슬롯홀(11)을 관통하여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슬롯홀(1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이동체(30)는 기본적으로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각각의 이동편(51)을 가운데 부분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동체(30)는 외력이 인가되면(사용자가 각각의 이동체(30)를 중앙 부분으로 가압하면) 상기 이동편(51)이 상기 슬롯홀(1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편(51)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이동체(30)는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장착되는 탄성체 즉, 스프링(31)과, 상기 스프링(31)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는 슬라이더(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 양측에는 각각 상기 스프링(31)과 슬라이더(33)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각각의 스프링(31)은 일단이 상기 고정체(10)의 지지판(13)에 고정 지지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10)의 중공 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스프링(31)의 타단은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33)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각 슬라이더(33)는 일측이 상기 대응하는 스프링(31)의 타단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33)의 둘레면, 즉 외주연에는 상기 이동편(51)이 결합되고, 이 이동편(51)은 상기 슬라이더(33)의 외주연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10)의 슬롯홀(11)을 통해 돌출된다. 이 상기 슬롯홀(11)을 통해 돌출된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고정체(10)에 결합된 고정편(53)에 대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즉 사용자가 상기 각 슬라이더(33)의 타측을 가압하면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슬롯홀(11)에 가이딩된 상태로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라이더(33)는 일측이 상기 스프링(3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체(10)에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 각 슬라이더(33)는 상기 스프링(31)의 탄성력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에서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33)는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에 돌출 형성된 결합 지지봉(15)이 삽입 통과될 수 있는 가이드 홀(35)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슬라이더(33)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가이드 홀(3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10)의 내부 공간에 돌출 형성된 결합 지지봉(15)은 상기 가이드 홀(35)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결합 지지봉(15)이 상기 슬라이더(33)에 대하여 스토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도 10 참조).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3)는 타측을 잡고 바깥쪽으로 당기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정체(10)의 양측에 삽입 장착되는 각각의 고정체(30)를 구성하는 슬라이더(33)의 타측을 가압하면(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각 스프링(31)은 압축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슬라이더(33)에 결합된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슬롯홀(11)에 가이딩되어 가운데 부분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이동편(51)이 상기 슬롯홀(11)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는 작아진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g2)는 상기 씨디 투입구(1)의 홀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씨디 투입구(1)로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상기 각 슬라이더(33)의 타측에 가하던 가압을 풀면, 즉 외력을 제거하면(외력을 인가하지 않으면), 상기 각 슬라이더(33)는 상기 각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래 위치로 원상 복귀된다. 이 때,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g1)는 다시 멀어진다(도 6 참조). 결국, 상기 고정편과 이동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는 상기 씨디 투입구(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편(51)과 고정편(53)은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욱 밀착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51)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슬롯홀(11)을 따라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가압 전에 비하여 상기 고정편(53)과의 면대 면 거리, 즉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씨디 투입구(1)에 상기 이동편과 고정편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이후 외력을 제거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면서 대면 이격 거리가 커지면서 씨디 투입구(1)에 밀착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편(5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편(53)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지게 하는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롯홀(11)을 상기 고정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되, 수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편(51)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11)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결국 상기 고정편(51)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작아진다. 외력을 제거하면, 당연히 상기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사선 방향으로 슬롯홀(11)을 따라 이동하여 원상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편과의 대면 이격 거리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편(51)과 상기 고정편(53)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양면 중, 상대방에 대향하는 면이 단차진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9,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51)의 양면 중, 상기 고정편(53)에 대향하는 면은 이동 고단부(51')와, 상기 이동 고단부(51')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이동 저단부(51")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 고단부(51')가 상기 슬롯홀(11)에 인접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고단부(51')는 상기 고정편(5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이동편(51)이 연결되는 상기 슬라이더(33)는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고단부(51')에 대응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스프링(31)은 비틀림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장착 구조에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33)를 가압하면,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슬롯홀(11)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체(10)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고단부(51')는 상기 고정편(53)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저단부(51")에 대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3)가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비틀림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편(51)은 상기 고정편(53)의 대향하는 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편과 상기 고정편의 대면 이격 거리는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에 대한 비틀림의 복원력이 없더라도,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저단부(51")에 대면하게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이동편(51)을 상기 고정편(53)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편과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저단부(51")가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편과 고정편의 대면 이격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편(51)과 별개로, 상기 고정편(53)도 단차진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53)은 고정 고단부(53')와 고정 저단부(53")로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 저단부(53")가 상기 슬롯홀(11)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동편(51)의 이동 고단부(51')가 상기 슬롯홀(11)에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편(53)의 고정 저단부(53")가 상기 슬롯홀(11)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편과 고정편 사이의 대면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 : 씨디 투입구 10 : 고정체
11 : 슬롯홀 13 : 지지판
15 : 결합 지지봉 17 : 연결부
30 : 이동체 31 : 스프링
33 : 슬라이더 35 : 가이드 홀
50 : 몸체 51 : 이동편
51' : 이동 고단부 51" : 이동 저단부
53 : 고정편 53' : 고정 고단부
53" : 고정 저단부 100 : 장착 모듈
300 : 연결 모듈 310 : 제1 체결부
330 : 연장부 350 : 제2 체결부
500 : 크래들
1000 :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Claims (3)

  1.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씨디 투입구에 서로 대향 형성되는 이동편과 고정편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모듈, 휴대기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 및 상기 장착 모듈과 상기 크래들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모듈은 상기 연결 모듈에 연결되는 바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편 및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편은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에 대한 상기 이동편의 대면 이격 거리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편에 대한 상기 이동편의 대면 이격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공형 바 형상을 가지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에 인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홀을 구비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중공 내에 삽입 장착되되, 외주연에는 상기 슬롯홀을 통해 돌출 형성되는 상기 이동편이 연결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편이 상기 슬롯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편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의 양면 중, 상기 고정편에 대향하는 면은 이동 고단부와, 상기 이동 고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이동 저단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 고단부가 상기 슬롯홀에 인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20160154281A 2016-11-18 2016-11-18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87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281A KR101875432B1 (ko) 2016-11-18 2016-11-18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US15/493,137 US9834150B1 (en) 2016-11-18 2017-04-21 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CD-slot mounting
EP17170332.5A EP3324094A1 (en) 2016-11-18 2017-05-10 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cd-slot mounting
CN201710329892.3A CN108068711A (zh) 2016-11-18 2017-05-11 用于安装至车辆光盘槽的便携式设备保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281A KR101875432B1 (ko) 2016-11-18 2016-11-18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59A true KR20180056259A (ko) 2018-05-28
KR101875432B1 KR101875432B1 (ko) 2018-07-06

Family

ID=5870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2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5432B1 (ko) 2016-11-18 2016-11-18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4150B1 (ko)
EP (1) EP3324094A1 (ko)
KR (1) KR101875432B1 (ko)
CN (1) CN1080687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1427A (zh) * 2020-11-17 2021-03-12 郑州云启工业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通讯信号塔无线信号发射设备的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32B1 (ko) * 2016-11-18 2018-07-06 주식회사 씨피씨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USD822581S1 (en) * 2017-05-16 2018-07-10 Spigen Korea Co., Ltd. Electronic device mount for vehicles
USD822582S1 (en) * 2017-05-16 2018-07-10 Spigen Korea Co., Ltd. Electronic device mount for vehicles
USD821290S1 (en) * 2017-05-17 2018-06-26 Spigen Korea Co., Ltd. Electronic device mount for vehicles
USD821291S1 (en) * 2017-07-17 2018-06-26 Spigen Korea Co., Ltd. Electronic device mount for vehicles
USD858257S1 (en) * 2018-01-11 2019-09-03 Weiyu Yang Adjustable holder
WO2020221817A1 (en) * 2019-04-29 2020-11-05 Spotify Ab Device mount for a vehicle
US20230019792A1 (en) * 2021-07-16 2023-01-19 Shenzhen Huimeng Business Information Technology Co.,Ltd Clamping device for intelligent apparatus and multifunctional automobile neck pillow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88B1 (ko) * 2013-12-12 2014-10-06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cd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471517B1 (ko) * 2014-01-23 2014-12-11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cd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565839B1 (ko) *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Cd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US9834150B1 (en) * 2016-11-18 2017-12-05 Soon Young Song 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CD-slot mount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5795B2 (en) * 2006-05-31 2013-08-13 Chance Dunn C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38418A1 (en) * 2006-05-31 2014-05-22 Chance Dunn Integrated C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190978A1 (en) * 2007-02-14 2008-08-14 Paul Brassard Mounting apparatus
GB201006560D0 (en) * 2010-04-20 2010-06-02 Smith Gary A mounting device
USD716215S1 (en) * 2013-02-15 2014-10-28 Chance Dunn Car dashboard compact disc slot mounted cell phone holder
WO2015085310A1 (en) * 2013-12-06 2015-06-11 Dunn Chance Magnetic c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80169S1 (en) * 2015-06-10 2017-02-28 Pengcheng Du Mobile phone bracket
USD767556S1 (en) * 2015-07-29 2016-09-27 Tone Layout LLC Smart phone holder
US9505355B1 (en) * 2015-10-12 2016-11-29 Richard H. Cho Dual-mount phone and tablet stan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88B1 (ko) * 2013-12-12 2014-10-06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cd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471517B1 (ko) * 2014-01-23 2014-12-11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cd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565839B1 (ko) *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Cd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US9834150B1 (en) * 2016-11-18 2017-12-05 Soon Young Song 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CD-slot moun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1427A (zh) * 2020-11-17 2021-03-12 郑州云启工业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通讯信号塔无线信号发射设备的安装方法
CN112491427B (zh) * 2020-11-17 2022-06-07 湖南思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讯信号塔无线信号发射设备的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68711A (zh) 2018-05-25
US9834150B1 (en) 2017-12-05
EP3324094A1 (en) 2018-05-23
KR101875432B1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432B1 (ko)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US11503884B2 (en) Mounting and locking mechanism, casing, and wearable device
US8282063B2 (en) Holder
US735918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movable module
US8842428B2 (en) Docking station
CN101740739B (zh) 电池盖卡锁结构
US20130037590A1 (en) Holder apparatus for mounting a media device in a vehicle
US20120304432A1 (en) Mounting mechenism for touch screen
CN101673812A (zh) 电池盖组件
EP3023301A1 (en) Holder for mobile device and vehicle seat employing same
CN102264207A (zh) 手写笔固定结构
CN101764859B (zh) 电子装置
KR20160122968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42076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20160084700A (ko) 마운팅 부재
CN104081675A (zh) 便携式终端设备支承座
KR101925080B1 (ko)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CN222369507U (zh) 壳体的点胶治具
KR20220047120A (ko)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CN222128129U (zh) 双模式手机夹以及手机拓展支架
KR200477747Y1 (ko) 모바일기기 거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