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211A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4211A KR20180054211A KR1020160151865A KR20160151865A KR20180054211A KR 20180054211 A KR20180054211 A KR 20180054211A KR 1020160151865 A KR1020160151865 A KR 1020160151865A KR 20160151865 A KR20160151865 A KR 20160151865A KR 20180054211 A KR20180054211 A KR 201800542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lines
- optical fiber
- cable
- tru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통신 사업자들의 가입자선들을 간편하게 설치하고,일단 설치된 후에는 다시 난립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는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인접하는 전주 하부에 도달하여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전주함까지 설치되는 광섬유 국선들;
장치함에서 각 이용자에 이르는 구내배관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내선들을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보수하여 상기 장치함에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에 접속되는 구내선들;
각 사업자 교환설비들에 연결되며 상기 전주함으로 모아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되는 사업자선들; 및
상기 광섬유 국선에 접속되어 이용자 세대로 이어지는 구내선에 접속되는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는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인접하는 전주 하부에 도달하여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전주함까지 설치되는 광섬유 국선들;
장치함에서 각 이용자에 이르는 구내배관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내선들을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보수하여 상기 장치함에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에 접속되는 구내선들;
각 사업자 교환설비들에 연결되며 상기 전주함으로 모아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되는 사업자선들; 및
상기 광섬유 국선에 접속되어 이용자 세대로 이어지는 구내선에 접속되는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통신 사업자들의 가입자선들을 간편하게 설치하고,일단 설치된 후에는 재 난립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통신사의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에는 2가지 유형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전전주(1)에 가설된 조가선에는 방송통신사들의 가공동축케이블들과 가공광케이블들이 매달려 가공되고, 상기 가공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탭 오프(T)에서 분기된 동축케이블들과 상기 가공광케이블에 설치된 분기함(1a)에서 분기된 광케이블들이 주변의 이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KT의 광케이블은 통신전주(2)의 지하에서 입상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통신전주(2)에 배치된 단자함(2a)에 도달하며, 상기 단자함(2a)에서 분기된 광케이블들이 주변의 이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서울에는 하나의 건물에 여러 세대가 모여 사는 다세대 주택들이 많으며, 이러한 다세대 주택지역에는 각 방송통신사들이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8)들을 통하여 이용자 건물로 통신선을 연결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이사가 비교적 빈번하고 각 방송통신사들은 자신들의 고객인 이용자를 확보하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이런 배경에서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이 바뀌면, 새로운 주민은 새로이 다른 사업자를 통해 방송통신서비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새로운 사업자는 기존의 가입자선(8)을 절단하여 버리고, 자신들의 가공통신케이블에서 새로운 가입자선(8)을 건물로 연결하는 설치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관행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서민들의 주거지인 다세대 지역에서는 방송통신서비스가 중단되었지만 제거되지 않은 폐선이나 사선을 포함한 가입자선(8)들이 하늘을 가릴 정도로 주민들이 거주환경을 열악하게 만들어 왔다.
이로 인하여 서민들의 민원이 많이 발생되었으며, 정부는 제 11차 서민생활대책점검회의(2012.11.23.)에서 공중선 정비 종합계획을 의결하고, 공중선정비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그에 따라서 2013년부터 공중선을 정비하고 있다.
2013.1.10.일 개최된 서울특별시의 공중선 정비관련 자치구 담당팀장 회의개최 결과보고에서는 배포된 공중선정비가이드라인은 폐선철거와 인입선 묶음 작업이 한계라 정비효과가 미비하며, 정비를 한다고 해도 공중선 설치가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어 정비를 한 지역을 수개월 후 방문하여 보면 정비 전과 같아져 있는 경우가 있다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2015.11.16.일 정부는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개최하여 공중케이블 정비 개선방안을 논의 확정하였다. 주요 개정 내용으로는 공중케이블의 난립 재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자들 상호간 가입자선의 공동 활용제도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사진들은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8)들이 이용자 건물로 연결되어 설치된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 이 사진들에 의하면, 건물 외벽에 탭 오프(T) 또는 분배함(1a)들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가입자선들은 상기 탭 오프(T) 또는 분배함(1a)들을 경유하여 건축물의 창문이나 베란다를 통해 이용자에게 연결된다.
도 4는 다세대 주택지역에서 현재 실시되는 정비 공사를 통하여 가입자선들을 정비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측단면도이다. 이 정비 방법은 전주에서 출발하는 가입자선(8)들이 다세대 주택의 옥상으로 올려지고, 그 옥상의 난간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탭 오프 또는 단자함을 경유하여, 다세대 주택의 외벽을 따라 내려오면서 창문이나 베란다를 뚫고 이용자 세대로 진입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관계법령에 따라서 규정된 기술기준은 "국선이 5회선 이상인 경우에는 도 6에 준하여 지하로 인입되어야 하며, 인입된 국선(5a)은 구내선(8b)과의 분계점에 설치된 장치함(4)에 수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현재 가공통신케이블 정비방법에 따른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는 관계법령에 따라서 규정된 기술기준을 위반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기준의 위반으로 발생되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주에 설치된 사업자의 교환설비(1a,2a)에서 이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8)이 공중과 건물의 외부에 널려져서 노출되므로, 도시 미관을 해친다.
둘째, 국선이 분계점에 설치된 장치함(4)으로 인입되어 구내선(8b)에 연결되지 않아서 이용자 방송통신설비가 무용지물이 된다.
셋째, 이용자가 사업자를 교체하고자 할 때마다 전주에 설치된 사업자의 교환설비에서 이용자에게 연결되는 가입자선(8)이 새로이 설치되므로 가입자선(8)의 재 난립을 유발한다.
방송통신 사업자들이 기술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현실적인 이유는 첫째, 사업자 별로 구분되는 동축케이블 국선 또는 광케이블 국선(8a)이 장치함(4)으로 인입되어 구내선(8b)과 접속할 때에, 기존에 설치된 구내선(8b)과 통신선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에 상호 접속이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넷째, 각 사업자 별로 국선을 구내인입배관(6)을 통하여 장치함(4)으로 인입할 때, 구내인입배관(6)에 기존에 삽입된 국선들이 장애물이 되므로 나중에 국선을 삽입하는 사업자의 국선 삽입 작업이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국선이 구내인입배관을 통하여 장치함으로 인입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고, 장치함의 내부에서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을 실시하여서 가입자선들이 법령에 정해진 경로에 설치되도록 하여서 도시미관을 회복하고, 재 난립을 방지하며, 실내 환경도 개선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는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인접하는 전주 하부에 도달하여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전주함까지 설치되는 광섬유 국선들; 장치함에서 각 이용자에 이르는 구내배관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내선들을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보수하여 상기 장치함에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에 접속되는 구내선들; 각 사업자 교환설비들에 연결되며 상기 전주함으로 모아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되는 사업자선들; 및 상기 광섬유 국선에 접속되어 이용자 세대로 이어지는 구내선에 접속되는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국선은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과/또는 통신맨홀에 연결된 가공인입배관을 통하여 일정높이까지 상부로 연장된 후에 도로 건너편의 전주에 설치되는 전주함에 수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국선에는 장래의 변화를 위해 여분의 광섬유 국선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장치함의 내부에 배치된 구내선이 동축케이블인 경우, 광컨버터를 경유하여 상기 광섬유 국선과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내배관에 광섬유 국선과 접속이 가능한 구내선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국선배관의 내부에 상기 국선과 접속이 가능한 광섬유 구내선을 삽입한 후에, 구내선이 국선과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나의 전주에 설치된 사업자 교환설비에서 다른 전주로 연장되는 광섬유 사업자선들은 하나의 연결 광케이블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는 첫째, 사업자 교환설비들에서 출발하는 모든 사업자 선들이 전주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주함으로 모아지고, 그 사업자 선들에 접속된 광섬유 국선들이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장치함으로 인입되어 구내선들과 접속되며, 그 구내선이 구내배관을 경유하여 이용자 세대로 연결되므로, 통신케이블이 공중과 건물의 외부에 널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모든 사업자 선들에 연결된 광섬유 국선들이 장치함에 인입되므로, 이용자가 방송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치함 내부에서 이용자의 구내선을 다른 사업자의 국선에 교체하여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즉, 이용자가 방송통신사업자를 교체할 때 가입자선을 다시 설치하여 발생되는 재 난립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도 1은 종래 한전전주와 통신전주에서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들이 주변의 건물로 출발하는 구조를 보이는 사진이다.
도 2은 종래 한전전주와 통신전주에서 출발하는 가입자선들이 주변 건물의 이용자들에게 연결되는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는 종래 탭 오프와 단자함들 및 가입자선들이 건물 외벽에 노출된 상태를 보이는 사진이다.
도 4는 종래의 정비방법으로 정비된 가입자선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정비방법으로 정비된 가입자선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국선인입배관 안으로인입되는 국선이 장치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국선이 전주함, 가공인입배관과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장치함으로 인입되는 것을 보인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국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국선과 구내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자선, 국선 및 구내선의 접속관계를 보이는 계통도이다.
도 2은 종래 한전전주와 통신전주에서 출발하는 가입자선들이 주변 건물의 이용자들에게 연결되는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는 종래 탭 오프와 단자함들 및 가입자선들이 건물 외벽에 노출된 상태를 보이는 사진이다.
도 4는 종래의 정비방법으로 정비된 가입자선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정비방법으로 정비된 가입자선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국선인입배관 안으로인입되는 국선이 장치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국선이 전주함, 가공인입배관과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장치함으로 인입되는 것을 보인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국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국선과 구내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자선, 국선 및 구내선의 접속관계를 보이는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를 살펴본다.
가입자선이란 사업자의 교환설비에서 이용자의 단말기 사이에 구성되는 전체 회선을 말한다.
국선이란 원래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방송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단, 본 발명에서 국선이란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전주함에서 건축물에 설치된 장치함 또는 국선단자함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하고, 사업자선은 사업자 교환설비에서 전주함에 이르는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구내선이란 장치함 또는 국선단자함에서 이용자의 세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장치함이란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및 종합유선방송의 선로를 각 세대별 또는 층별로 분배하기 위하여 증폭기와 분배기 등을 설치한 분배함을 말한다.
국선단자함이란 국선과 구내선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용 분배함을 말한다.
장치함은 방송선로용이고, 국선단자함은 통신선로용이지만, 방송과 통신의 경계가 점차 없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장치함이란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전주함이란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며 국선인입배관을 통하여 전주의 상부로 연장되는 국선과 사업자의 교환설비에 연결되는 사업자선이 접속되는 분배함이다.
먼저,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주함까지 광섬유 국선들을 연장하여 설치하는 국선의 설치구조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사업자 광섬유 국선들을 하나의 광케이블에 포함되도록 하여서, 각 사업자 국선들이 전주함에서부터 국선인입배관을 통하여 장치함에 인입되는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모든 사업자 국선을 광섬유로 통일하고 하나의 광케이블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이로서 국선인입배관 내부에 국선 광케이블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국선의 공동 활용이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의 하부에 연결된 국선인입배관(6)이 통신맨홀(3)을 경유하여 장치함(4)까지 연장되는 통로를 가지는 경우, 국선(8a)은 장치함(4)에서 국선인입배관(6)과 통신맨홀(3)을 경유하여 전주(1)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전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주함(10)에 수납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함(4)이 있는 건축물과 전주(1) 사이에 도로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여 국선인입배관(6)이 전주(1)의 하부까지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가공인입배관(7)을 통해 통신맨홀(3)과 국선인입배관(6)을 경유하여 장치함(4)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국선(8a)은 장치함(4)에서 국선인입배관(6), 통신맨홀(3)과 가공인입배관(7)의 상부로 연장된 후 사업자선(8c)들이 모여지는 전주(1)로 연장된 후에 그 상부에 설치된 전주함(10)에 수납된다.
전주함(10)은 가공통신케이블의 높이 아래에 지면에서 행인들이 손이 쉽게 닿지 않는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주함(10)은 장치함(4)에서 출발하여 국선인입배관(6)을 통하여 전주(1)의 상부로 연장되는 국선(8a)과 사업자의 교환설비(1a,2a)에 연결되는 사업자선(8c)이 접속되는 장소가 되며, 국선(8a)과 사업자선(8c)의 접속부를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한다.
전주(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주함(10)은 하나의 장치함(4)에서 출발하는 국선(8a)들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인접하는 다른 장치함(4)에서 출발하는 국선(8a)들과 구분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장치함(4)에서 각 이용자 세대에 이르는 구내배관들의 내부에 설치된 구내선(8b)들을 보수한 후에, 상기 장치함(4)으로 인입된 광섬유 국선(8a)을 구내선(8b)과 접속하는 국선(8a)과 구내선(8b)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장치함(4)에는 방송 공동수신설비용 장치함과 통신용 국선단자함이 있다. 일반적인 다세대 주택에는 방송 공동수신설비용 장치함과 통신용 국선단자함이 모두 구비되지만, 오래된 주택이나 건축물에는 통신용 국선단자함만 구비된 경우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8a)과 구내선(8b)의 설치구조는 장치함(4)으로 인입된 광섬유 국선(8a)에 상응하도록 구내선(8b)을 점검하고 보수한 후에, 인입된 광섬유 국선(8a)을 구내선(8b)과 접속하는 것이다.
그 실제적인 경우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 광섬유 국선(8a)의 분기는 통상적인 사항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첫째, 구내선(8b)이 동축케이블인 경우에는, 상기 국선(8a)이 광 컨버터를 경유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구내선(8b)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동축케이블 구내선(8b)을 광섬유 구내선(8b)으로 교체한 후에 국선(8a)과 구내선(8b)의 단부에 광커낵터를 연결하고 어댑터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둘째, 구내선(8b)이 광섬유인 경우, 국선(8a)과 구내선(8b)의 단부에 광커낵터를 연결하고 어댑터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에 장치함(4)과 구내배관에 전화선만 구비되고 광섬유 국선(8a)과 접속이 가능한 구내선(8b)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 구내배관에 광섬유 구내선(8b)을 추가로 삽입하여 보수하고, 광섬유 국선(8a)이 광섬유 구내선(8b)과 상호 접속되도록 한다.
광섬유 또는 광케이블은 가늘어서 통신용 국선인입배관(6)을 통해서 장치함(4)과 각 이용자 세대를 연결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를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광커낵터와 어댑터는 작아서 협소한 장치함(4)의 내부에서 광섬유 국선(8a)과 광섬유 구내선(8b)의 접속작업이 가능하다.
다음, 사업자선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전주에 설치된 전주함(10)으로 인입되는 광섬유 국선(8a)들은 해당 전주 뿐 아니라 다른 전주에 설치된 사업자 교환설비(1a,2a)에도 사업자선(8c)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다. 이를 구현하는 실제적인 예를 살펴본다.
사업자선(8c)과 국선(8a)이 접속되는 전주함(10)에는 한전전주(1)에 설치되는 것과 통신전주(2)에 설치되는 것이 있다. 주택가에서 한전전주(1)와 통신전주(2)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사업자의 교환설비(1a,2a)에는 한전전주(1)에 가설된 조가선에 매달린 가공동축케이블에 설치된 탭 오프와 가공광케이블에 설치된 분기함 및 통신전주(2)의 상부에 설치된 단자함이 있다.
이러한 사업자의 교환설비(1a,2a)에 접속되는 사업자선(8c)들은 전주함(10)에 인입되어 광섬유 국선(8a)들과 접속되며, 그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전전주(1)의 조가선에 매달린 탭 오프에서 분기되어 전주함(10)으로 인입되는 동축케이블 사업자선은 광컨버터를 경유하여서 광섬유 사업자선(8c)으로 변경하여 광섬유 국선(8a)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전전주(1)의 조가선에 매달린 광분배함에 연결되어 나오는 광섬유 사업자선(8c)은 그대로 전주함(10)에 인입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전주(2)에 설치되는 광섬유 사업자선(8d)은 통신전주(2)의 하부에서 입상하여 단자함(2a)을 경유한 다음 그대로 전주함(10)으로 인입된다.
하나의 전주함(10)에 인입되는 광섬유 국선(8a)들은 연결 광케이블(11)의 내부에 삽입되는 광섬유 사업자선(8d,8e)을 통해서 해당 전주(1)에 설치된 사업자의 교환설비(1a) 뿐 아니라 다른 전주(2)에 설치된 사업자의 교환설비(2a)와도 접속될 수 있다.
연결 광케이블(11)은 하나의 전주(2)에 설치된 사업자 교환설비(2a)에 연결된 사업자선(8d)이 다른 전주(1)의 전주함(10)으로 인입되는 국선(8a)과 연결되기 위하여 전주(2)와 전주(1) 사이에 연장되는 광섬유 회선부분들을 하나의 다발 또는 광케이블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연결 광케이블(11)은 도로에 널려지는 통신선의 숫자를 줄여서 도시의 미관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사업자선(8c,8d,8e)이 광섬유 국선(8a)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기술적인 특징이다. 문제는 가공동축케이블에서 분기되는 사업자선(8c)이 광섬유 국선(8a)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장 간단한 기술구성은 가공동축케이블에 접속된 탭 오프에서 분기되어 나오는 분기막대에 E/O 송신용 광 컨버터의 입력 측을 연결하고, 그 광 컨버터의 출력 측에 광섬유 사업자선(8c)이 연결되어 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의 기술구성은 가공동축케이블에 접속된 탭 오프에서 분기되어 나오는 동축케이블에 E/O 송신용 광 컨버터의 입력 측을 연결하고, 그 광 컨버터의 출력 측에 광섬유 사업자선(8c) 또는 광섬유 국선(8a)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의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선출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탭 오프의 하부함체에 배치되어 상판으로 인입되는 전기신호를 분기하는 전기신호 분기 PCB를, 분기회로에 송신용 E/O 광 컨버터가 추가로 연결되어서 광신호로 전환하는 광 컨버터 PCB로 대체하는 것이다.
넷째의 기술구성은 전주함(10)에서부터 광통신망 유니트(ONU: Optical Network Unit)까지 연결되는 가공동축케이블을 광케이블로 대체하고, 상기 광케이블에서 분기되어 나오는 광섬유 사업자선(8c)이 상기 전주함(10)에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방송통신 사업자가 통신망 전체를 광섬유로 통일할 때 발생되는 중복투자를 방지하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통신전주(2)의 전주함(10)은 단자함(2a)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단자함(2a)이 통신전주(2)의 전주함(10)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신전주(2)의 하부에서 입상되는 광섬유 사업자선(8d)은 그대로 통신전주(2)의 전주함(10)으로 인입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업자 교환설비(1a,2a), 사업자선, 전주함(10), 국선(8a), 장치함(4) 및 구내선(8b)의 관계를 보이는 계통도이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가공통신케이블 사업자 교환설비(1a,2a)에 연결된 사업자선(8c,8d,8e)들은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전주함(10)으로 모여져 국선(8a)과 접속되고, 국선(8a)은 장치함(4)으로 인입되어 구내선(8b)과 접속되며, 구내선(8b)은 이용자 세대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내선(8b)과 광섬유 국선(8a)들의 연결은 장치함(4)에서 각 이용자에 이르는 구내선(8b)들을 상기 광섬유 국선(8a)들과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보수한 다음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는 첫째, 전주(1)에 설치된 사업자선(8c,8d,8e)들이 전주함(10)에 모여져서 국선(8a)들에 접속되고, 그 국선(8a)은 장치함(4)으로 인입되어 구내선(8b)에 접속되고, 그 구내선(8b)은 이용자 세대로 연결되는 통신선로를 회복하여서, 통신선들이 공중과 건물의 외부에 널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을 회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모든 사업자의 사업자선(8c,8d,8e)들에 연결되는 국선(8a)들이 장치함(4)으로 인입되어 이용자의 구내선(8b)과 접속되므로, 이용자가 사업자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이용자의 구내선(8b)을 다른 사업자의 국선(8a)에 교체하여 접속하는 작업으로 완성된다. 즉, 이용자의 사업자 교체로 인한 사업자선의 재 난립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2...전주
1a,2a...사업자 교환설비
3...통신맨홀 4...장치함
6...국선인입배관 7...가공인입배관
8a...국선 8b...구내선
8c,8d,8e...사업자선 10...전주함
11...연결 광케이블
3...통신맨홀 4...장치함
6...국선인입배관 7...가공인입배관
8a...국선 8b...구내선
8c,8d,8e...사업자선 10...전주함
11...연결 광케이블
Claims (7)
-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을 경유하여 인접하는 전주 하부에 도달하여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전주함까지 설치되는 광섬유 국선들;
장치함에서 각 이용자에 이르는 구내배관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내선들을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보수하여 상기 장치함에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에 접속되는 구내선들;
각 사업자 교환설비들에 연결되며 상기 전주함으로 모아서 상기 광섬유 국선들과 접속되는 사업자선들과;
상기 광섬유 국선에 접속되어 이용자 세대로 이어지는 구내선에 접속되는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전주함으로 인입되는 상기 광섬유 국선들은 하나의 국선광케이블에 포함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은 장치함에서 국선인입배관과/또는 통신맨홀에 연결된 가공인입배관을 통하여 일정높이까지 상부로 연장된 후에 도로 건너편의 전주에 설치되는 전주함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에는 장래의 변화를 위해 여분의 광섬유 국선이 포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장치함의 내부에 배치된 구내선이 동축케이블인 경우, 광컨버터를 경유하여 상기 광섬유 국선과 접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국선인입배관에 국선과 접속이 가능한 구내선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국선인입배관의 내부에 상기 국선과 접속이 가능한 구내선을 삽입한 후에, 상기 구내선이 국선과 접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주에 설치된 사업자 교환설비에서 다른 전주로 연장되는 광섬유 사업자선들은 하나의 연결 광케이블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1865A KR20180054211A (ko) | 2016-11-15 | 2016-11-15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1865A KR20180054211A (ko) | 2016-11-15 | 2016-11-15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4211A true KR20180054211A (ko) | 2018-05-24 |
Family
ID=6229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1865A Withdrawn KR20180054211A (ko) | 2016-11-15 | 2016-11-15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421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1615A (ko) * | 2019-07-23 | 2021-02-02 | 박문수 | 가입자선로용 도로인입배관의 설치방법 |
-
2016
- 2016-11-15 KR KR1020160151865A patent/KR20180054211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1615A (ko) * | 2019-07-23 | 2021-02-02 | 박문수 | 가입자선로용 도로인입배관의 설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85468B2 (en) |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 |
KR20180054006A (ko)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정비방법 | |
KR20180054211A (ko)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
CN102841416A (zh) | 挂壁式光分路器箱及其使用方法 | |
KR20170114929A (ko)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
CN209674061U (zh) | 一种光纤配线架 | |
KR20170096972A (ko)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
CN204178021U (zh) | 壁挂式光缆交接箱 | |
KR20190086840A (ko) | 가공통신케이블 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
CN207504883U (zh) | 一种建筑智能化综合布线系统 | |
CN211577520U (zh) | 用于户内变电站架空进线的通信光缆双路由敷设组合设备 | |
CN204556916U (zh) | 一种共建共享型分光箱 | |
Zuloaga et al. | In-building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 |
KR20180014476A (ko) | 가공통신케이블 인터넷가입자선의 설치구조 및 그의 정비방법 | |
CN210038256U (zh) | 一种楼宇ftth+用户光分配装置 | |
KR20170133605A (ko) | 가공통신케이블 인터넷가입자선의 설치구조 | |
KR20160038502A (ko) | 공중선의 정비방법 | |
CN205067825U (zh) | 基于三网融合的同时安装onu和eoc设备的一体化箱体 | |
KR20250042333A (ko) | 국선 통합 케이블 | |
JP3004711B2 (ja) | 光通信路及びその布設工法 | |
KR200177413Y1 (ko) | 통합형 디지털통신단자반 | |
US6983046B2 (en) | Routing and labeling system for wires, cables, fibers, and the like | |
Farooq et al. | Migration from Copper to Fiber Access Network using Passive Optical Network for Green and Dry Field Areas of Pakistan | |
OSP et al. | Outlet Box | |
AU771956B2 (en) | An enclos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