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53281A - 스텐트 그래프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그래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281A
KR20180053281A KR1020180051753A KR20180051753A KR20180053281A KR 20180053281 A KR20180053281 A KR 20180053281A KR 1020180051753 A KR1020180051753 A KR 1020180051753A KR 20180051753 A KR20180051753 A KR 20180051753A KR 20180053281 A KR20180053281 A KR 2018005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bioabsorbable
stent graft
stent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권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스
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스, 박상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to KR102018005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281A/ko
Publication of KR2018005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8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83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ridge, whereby at least one of its ends is connected along the length of a strut between two consecutive apices within a b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내강에 삽입 설치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의 원통형 몸체를 갖는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에 생체 흡수성막이 형성된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스텐트 그래프트{STENT GRAFT}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 내 삽입 설치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심장은 관상동맥이라 부르는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전신으로 혈액을 공급한다. 이처럼, 관상동맥과 같은 심혈관은 심장벽으로 혈액을 보내고 심장 자체를 부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관상동맥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혈전성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전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혈관 내부에 협착 부위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협착 부위에 의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혈액 결핍 현상이 발생하거나 혈관 통로가 막히면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각종 심장 질환을 유발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시경 검사와 X-ray 검사를 병합한 조영술을 통해 관상동맥의 상태를 확인하고, 협착이 발생한 관상동맥에 카테터 등의 기구를 삽입하여 협착된 혈관 내벽을 확장시키는 확장술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확장술은 확장된 혈관을 통해 일시적인 개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이후에 혈관의 만성수축 및 신생내막 증식으로 인한 재협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심혈관 통로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심혈관용 스텐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심혈관용 스텐트는 이미 잘 알려진 카테터 등과 같은 도구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심혈관 내부에 삽입되어 협착 부위의 확장이 가능하게 위치된다.
한편, 이러한 스텐트는 내구성 강화를 위해 stainless steel, nickel titanium(nitinol), cobalt chromium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스텐트 삽입 시 또는 스텐트 팽창 시 혈관 찢어짐을 유발하여 출혈이 발생하거나 혈관 내벽의 혈전들이 떨어져 나와 혈류를 타고 이동하여 다른 부위에 혈전이 쌓이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75346호(2004.08.2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관 손상에 따른 출혈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혈관 확장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지그 재그 형태를 갖는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인접한 스트럿을 연결하여 상기 스트럿과 함께 닫힌 영역인 셀을 한정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를 감싸고, 상기 스트럿 보다 큰 연성을 가져서 상기 몸체의 팽창 시에 상기 몸체와 함께 확장되는 생체 흡수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상기 스트럿 및 상기 링크의 표면에 도포되는 표면막과, 상기 셀을 한정하는 상기 스트럿 및 상기 링크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셀을 밀폐하는 밀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상기 스트럿의 두께 대비 0.125배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스트럿의 지그 재그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산들 중 인접한 산들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꺾인 형상이고, 상기 인접한 산들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밀폐막의 인접한 단부들도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분사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막은, 상기 몸체가 혈관 내에 삽입된 때에 혈관의 협착 부위에서 혈관 내벽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스트럿 및 상기 링크의 형상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틱글리콜산(polylactic-glycolic acid, PLG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및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TMC)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크롬 합금, 니켈-티타늄 합금, 코발트-크롬 합금, 탄탈륨, 티타늄, 알루미늄, 지르코늄, 크롬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 중 상기 몸체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것은, 상기 몸체의 외곽 영역에 형성된 것보다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상기 몸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혈관의 천공 부위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를 사용하면, 시술 도중 혈관이 천공되더라도 출혈로 인한 오염을 막을 수 있어 안정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팽창되기 전의 생체 흡수성막의 두께를 나타낸 SEM사진이다.
도 3b는 팽창 후의 생체 흡수성막의 두께를 나타낸 SEM사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1번 토끼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2번 토끼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3번 토끼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4번 토끼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5번 토끼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고, 예컨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한편,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100)는, 길이 방향(여기서 길이 방향은 스텐트 그래프트가 삽입되는 혈관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으로 중공이 형성된 가늘고 긴 원통형의 몸체(110)를 갖는다. 상기 몸체(110)는 원주 방향에 따라 형성된 스트럿(Strut, 111)의 집합체로서, 상기 스트럿(11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서로 인접한 스트럿(111)은 링크(11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몸체(110)는 전제적으로 그물망 형태의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의 스트럿(111)은 수축된 상태인 것으로, 인체의 관상동맥과 같은 심혈관에 삽입 설치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대로 관로에 대응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팽창한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는 카테터 등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카테터의 확장(일반적으로 카테터의 원위부에 형성된 풍선의 확장)과 함께 각 스트럿(111)이 탄성력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혈관 내부의 협착 부위가 원래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트럿(111)은 혈관의 내벽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지그재그의 형태를 갖는다. 즉, 각각의 스트럿(111)은 다수의 굴곡부를 형성하여 예를 들면, 첫 번째 굴곡부에서의 골(valley) 지점과 두 번째 굴복부에서의 산(Peak) 지점이 반복되는 형태로 전개됨으로써 팽창 시 균일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구체적으로, 스트럿(111)의 지그 재그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산들 중 인접한 산들(111a 및 111b)은 몸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꺾인 형상을 가진다.
몸체(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원자재에 대해 기설정된 디자인에 따라 레이저 가공을 진행하여 제작되므로, 스트럿(111)과 링크(112)는 일체로서 형성된다. 몸체(110)의 원자재가 되는 금속 재질에 대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통상 의료용 스텐트 제작에 사용하는 금속 재질 중에서 코발트-크롬 합금(Co-Cr Alloy)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발트-크롬 합금은 의료 분야에서 예를 들면, 고관절의 연결 등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니켈 성분의 함유량이 적어서 인체 내에서 알러지 반응(allergic reaction)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 내부식성, 그리고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여 심혈관 내부에서 각종 의료적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혈관 확장을 위한 본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링크(112)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스트럿(111)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인접하는 스트럿(111) 사이를 길이 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스트럿(111)과 링크(112) 사이에는 각각 일정한 모양 및 크기로 구획된 다수의 클로즈드 셀(closed cell)이 형성되고, 그 결과, 스트럿(111)은 유연성을 가지면서 혈관 내벽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셀의 면적이 클수록 스트럿(111)과 혈관 내벽 또는 링크(112)와 혈관 내벽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스텐트 설치로 인한 부작용이 감소하는데, 셀의 면적이 너무 크면 즉, 스트럿(111) 또는 링크(112)의 폭이 너무 작으면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스텐트 진입 과정 시 또는 스텐트 설치 후 혈관 내벽이 찢어지거나 심한 경우 혈관에 천공이 생겨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생체 흡수성막(1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생체 흡수성막(113)은 스텐트의 몸체(110)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전개됨으로써 셀을 포함한 스트럿(111) 및 링크(11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는 전체적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튜브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생체 흡수성막(113)은 금속 재질의 몸체(110)에 비해 일정 수준 이상의 연성을 가지므로 스텐트 팽창 시 함께 확장되고, 혈관 내벽에 밀착되어 몸체(110)와 혈관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수행하여 혈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킨다. 또한, 생체 흡수성막(113)에 의해 셀이 밀폐됨에 따라 시술 도중 혈관에 천공이 발생하더라도 출혈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생체 흡수성막(113)은 생체 흡수성(bioresorbable) 재질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텐트 설치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생체 흡수성막(113)은 생체에 흡수되어 완전히 분해되고, 금속의 몸체(110)만 남게 되어 혈관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텐트가 분지혈관 근처에 설치되더라도 생체 흡수성막(113)에 의한 분지혈관으로의 진입 경로가 차단되는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분지혈관으로의 혈류의 흐름이 막히지 않으며, 스텐트 설치 등 분지혈관에 대한 후속 시술이 가능해진다.
상기 생체 흡수성막(113)의 재질로서 전술한 PCL 외에도 생체 흡수성 재질 예를 들면,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틱글리콜산(polylactic-glycolic acid, PLG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TMC)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인체에 부작용을 미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면 충분하고 반드시 PCL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생체 흡수성막(113)은 스트럿(111)에 비해 매우 얇은 두께, 구체적으로 스트럿(111)의 두께 대비 0.125배 이하의 두께로 코팅된다. 특히, 스텐트 팽창 전과 팽창 후의 생체 흡수성막(113)의 두께를 나타내는 도 3a 및 도 3b를 비교하면, 생체 흡수성막(113)은 팽창 시 몸체(110)와 함께 팽창함으로써 그 두께가 팽창 전에 비해 더 얇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생체 흡수성막(113)의 표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럿(111) 및 링크(112)에 추종된 형상을 가진다. 즉, 스트럿(111) 및 링크(112)의 형상에 따라 생체 흡수성막(113)의 표면이 돌출된다. 생체 흡수성막(113) 중에 스트럿(111) 및 링크(112)의 표면에 도포되는 부분은 표면막(113a)라 칭해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막(113a)에 따라, 협착 부위에서 스텐트 그래프트(100)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코팅막에 의해 표면이 플랫(flat)한 형태가 되면 혈관 내벽으로부터 스텐트가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는 이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생체 흡수성막(113)은 스트럿(111)의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셀 주변의 스트럿(111)을 연결하는 형태로 코팅되므로 스트럿(11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것을 막는 그립(grip)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생체 흡수성막(113) 중에 닫힌 영역인 상기 셀을 한정하는 스트럿(111) 및 링크(112)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셀을 밀폐하는 부분은 밀폐막(113b)라 칭해질 수 있다. 밀폐막(113b)에 있어서, 인접한 산들(111a 및 111b)에 의해 한정되는 밀폐막(113b)의 인접한 단부들(113ba 및 113bb)도, 인접한 산들(111a 및 111b)의 형태에 대응하여, 몸체(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폐막(113b)에 따라, 스텐트 팽창 후 혈관 내벽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팽창 전 상태로 복원하려는 스트럿(111)을 제한하여 Recoil 즉, 팽창 후 스텐트의 수축율을 감소시킨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와 생체 흡수성막을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스텐트(생체 흡수성막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항은 모두 동일)간의 Recoil을 비교한 값이다. 여기서, '팽창'은 팽창 직경의 프로파일 값으로서 3.00mm로 설정되고, '팽창 후'는 팽창 후 복원력에 의해 수축된 직경 값으로서 예컨대, 288은 2.88mm가 된다. 그리고 '감소율(%)'은 '팽창' 값에서 '팽창 후' 값을 뺀 다음 이를 300으로 나눈 백분율로서,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의 경우 평균치가 3.89%로 나온 반면, 종래의 스텐트(Bare metal stent)는 4.9%로 본 발명보다 더 높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생체 흡수성막(113)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보다 스텐트 성능 지표 중 하나인 Recoil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의 주 목적인 지혈 기능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동물실험에서는 뉴질랜드 흰토끼 다섯 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진 몸체 외주에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생체 흡수성막이 형성된 길이 23mm 및 직경 3.00mm의 스텐트 24개와, 길이 23mm 및 직경 3.50mm의 스텐트 6개가 샘플로서 사용되었다.
도 4a는 벌룬 카테터(balloon catheter)에 의해 1번 토끼의 혈관이 의도적으로 손상된 사진이고, 도 4b는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된 사진, 도 4c는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가 혈관 내 삽입 설치된 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100) 설치 후의 혈관을 나타내는 도 4d와 도 4b를 비교하면, 생체 흡수성막(113)에 의해 혈관 파열부가 폐쇄되어 출혈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번 토끼에 대한 도 5a 내지 도 5d, 3번 토끼에 대한 도 6a 내지 도 6d, 4번 토끼에 대한 도 7a 내지 도 7d, 그리고 5번 토끼에 대한 도 8a 내지 도 8d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중의 하나로서, 본 발명은 생체 흡수성막(113)의 두께가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른 스텐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혈관의 천공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그 외의 영역보다 더 두껍게 생체 흡수성막(113)을 형성하는 등 특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몸체(110)의 중간 영역에 코팅 공정을 추가로 진행하거나 코팅 시간을 늘림으로써 외곽 영역보다 중간 영역의 생체 흡수성막(113)이 더 두꺼운 스텐트를 설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관의 천공과 같은 특정 병변 부위에 대해 보다 높은 기밀성을 갖는 스텐트 그래프트(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혈관의 천공 부위에 대응하는 크기만으로 생체 흡수성막(113)이 형성된 스텐트를 제공한다. 즉,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몸체(110)의 일부 영역 예컨대, 혈관의 천공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생체 흡수성막(113)이 코팅되게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 흡수성막(113)의 분해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필요한 영역에만 코팅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비용 절감과 함께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텐트 그래프트 110: 몸체
111: 스트럿 112: 링크
113: 생체 흡수성막

Claims (8)

  1.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지그 재그 형태를 갖는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인접한 스트럿을 연결하여 상기 스트럿과 함께 닫힌 영역인 셀을 한정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를 감싸고, 상기 스트럿 보다 큰 연성을 가져서 상기 몸체의 팽창 시에 상기 몸체와 함께 확장되는 생체 흡수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상기 스트럿 및 상기 링크의 표면에 도포되는 표면막과, 상기 셀을 한정하는 상기 스트럿 및 상기 링크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셀을 밀폐하는 밀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상기 스트럿의 두께 대비 0.125배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스트럿의 지그 재그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산들 중 인접한 산들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꺾인 형상이고, 상기 인접한 산들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밀폐막의 인접한 단부들도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꺾인 형상을 갖는, 스텐트 그래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분사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되는, 스텐트 그래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막은,
    상기 몸체가 혈관 내에 삽입된 때에 혈관의 협착 부위에서 혈관 내벽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스트럿 및 상기 링크의 형상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스텐트 그래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틱글리콜산(polylactic-glycolic acid, PLG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및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TMC)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그래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크롬 합금, 니켈-티타늄 합금, 코발트-크롬 합금, 탄탈륨, 티타늄, 알루미늄, 지르코늄, 크롬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인, 스텐트 그래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 중 상기 몸체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것은,
    상기 몸체의 외곽 영역에 형성된 것보다 더 두꺼운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상기 몸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스텐트 그래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흡수성막은,
    혈관의 천공 부위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스텐트 그래프트.
KR1020180051753A 2018-05-04 2018-05-04 스텐트 그래프트 Ceased KR20180053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753A KR20180053281A (ko) 2018-05-04 2018-05-04 스텐트 그래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753A KR20180053281A (ko) 2018-05-04 2018-05-04 스텐트 그래프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804A Division KR20170129340A (ko) 2016-05-16 2016-05-16 스텐트 그래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81A true KR20180053281A (ko) 2018-05-21

Family

ID=6245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753A Ceased KR20180053281A (ko) 2018-05-04 2018-05-04 스텐트 그래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2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4747B2 (ja) 血管内ステントおよび血管内ステント搬送システム
US7147659B2 (en) Expandable stent having a dissolvable portion
EP0916362B1 (en) Stent for vessels
JP4512369B2 (ja) ステント
US9089446B2 (en) Coronary artery vascular stent with medicine carrying slots
EP2322121B1 (en) Stent for placement in living body, and stent delivery system
US20090228029A1 (en) Aneurysm shield anchoring device
US20110282426A1 (en) Endovascular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080065192A1 (en) Compliance Graded Stent
JP2011189141A (ja) フレキシブルな血管閉鎖デバイス
CN1290152A (zh) 不形成血栓的移植片固定模护套
JP2008296041A (ja) 脈管用ステント
US9314357B2 (en) Stent for placement in living body and stent delivery system
US20100049310A1 (en) Method for coating a stent
KR20180053281A (ko) 스텐트 그래프트
KR20170129340A (ko) 스텐트 그래프트
CN209220581U (zh) 双层覆膜支架
US20070067020A1 (en) Intraluminal stent, delivery system, and a method of treating a vascular condition
JP2001058009A (ja) カテーテル及びガイドワイヤー
JP2006130064A (ja) ステントデリバリシステム
JP2004033535A (ja) 動脈瘤閉塞具
JP4555845B2 (ja) 脈管用ステント
JP2006141555A (ja)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29136A (ja) 管腔臓器治療具
US20250041083A1 (en) Medical stent with post intervention increasing dia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51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59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