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52983A -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983A
KR20180052983A KR1020160150225A KR20160150225A KR20180052983A KR 20180052983 A KR20180052983 A KR 20180052983A KR 1020160150225 A KR1020160150225 A KR 1020160150225A KR 20160150225 A KR20160150225 A KR 20160150225A KR 20180052983 A KR20180052983 A KR 2018005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b
vehicle
threshold value
drift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487B1 (ko
Inventor
장휘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4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4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0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0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by inertia, e.g. fly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이 아닌 EPB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드리프트가 가능하게 하는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EPB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EPB를 구동하는 EPB 스위치가 ON인 경우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드리프트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차량 내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EPB를 직접 구동하는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드리프트 모드를 작동시키는 제2 단계; 및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직 제어 방법을 통해 EPB가 장착된 차량에서도 드리프트를 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기존의 장착된 부품을 사용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EPB 외에는 다른 부품이 추가되지 않아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DRIFT LOGIC OF VEHICLE EQUIPPED WITH EPB}
본 발명은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이 아닌 EPB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드리프트가 가능하게 하는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리프트는 자동차의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주행이라는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기 위해 RPM을 유지시키면서 마찰의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주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차량의 기술이 있는 경우 관성력에 의해 차량이 궤도 밖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되며, 운전자가 원하는 일정의 속도로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4207호(EPS 구동 제어 방법)는 EPB의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캘리퍼 일체형인 EPB에서 캘리퍼 내에 생기는 마스터 실린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EPB 구동 시간을 보정함으로써 EPB로 인한 드래그 발생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EPB 구동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핸드 브레이크나 페달 브레이크 등을 장착된 차량의 경우 후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DIH or 캘리퍼 등이 작동되어 드리프트가 가능한 반면 EPB가 장착된 종래의 차량의 경우 주행 중 EPB를 ON하면 ABS가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더라도 EPB가 ABS처럼 작동을 하여 드리프트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2-0024207호
본 발명은 EPB가 장착된 차량에서도 드리프트가 가능한 로직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ABS 경고등의 점등과 EPB 모터의 구동 여부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성된 드리프트 로직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EPB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EPB를 구동하는 EPB 스위치가 ON인 경우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드리프트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차량 내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EPB를 직접 구동하는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드리프트 모드를 작동시키는 제2 단계; 및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단계는, 차량의 ESC가 소정의 기어 상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가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를 모두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EPS 스위치가 ON 인 경우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작동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단계는,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를 확인하여 ON인 경우 EPB 모터를 일정 시간 구동하여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고, OFF인 경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 및 EPB 모터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한 경우 EPB 모터의 작동 시간과 구동 전류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한 경우 후륜 브레이크의 유압을 체크하여 차량의 ESC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초과하지 않는다면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후륜 브레이크에 발생된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SC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하라면 유압의 발생을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 또는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면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 작동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단계는, 스티어링 각도 및 횡가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또는 차량의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드리프트 모드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 및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인 경우 EPB 모터의 작동 시간과 구동 전류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인 경우 유압 발생과 ESC의 작동을 정지시켜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초과하지 않는다면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후륜 브레이크에 발생된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SC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하라면 ESC를 유지시켜 유압의 제거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의 해제 또는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가 해제되면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의 해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로직 제어 방법을 통해 EPB가 장착된 차량에서도 드리프트를 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장착된 부품을 사용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EPB 외에는 다른 부품이 추가되지 않아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드리프트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계의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계의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단계의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임계치, 전류값 등의 설정값은 차량마다 튜닝이 가능하고,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특정값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EPB 구동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어방법은 EPB 구동 시에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져 마스터 실린더 압력이 일정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작동 듀티를 상승시켜 보상 제어하고, EPB 해제 시에 피스톤과 패드의 접점이 떨어지는 해제 시간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시간을 추가 구동하여 피스톤과 패드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드래그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다만, EPB를 ON하면 ABS가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더라도 EPB가 ABS처럼 작동을 하여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드리프트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은 EPB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S10), EPB 드리프트 모드를 작동하는 제2 단계(S30) 및 EPB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하는 제3 단계(S5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0)는 EPB를 구동하는 EPB 스위치가 ON인 경우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드리프트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이다.
제2 단계(S30)는 차량 내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EPB를 직접 구동하는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드리프트 모드를 작동하는 과정이다.
제3 단계(S50)는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드리프트 모 드를 해제시키는 과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계(S10)의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0)는, 차량의 ESC가 소정의 기어 상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1);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가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를 모두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2); EPS 스위치가 ON 인 경우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작동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어 상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1)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가 2단 상태를 벗어나는지 판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차체 자세 제어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차체 자세 제어장치는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속도와 회전, 미끄러짐 등을 수십 분의 1초 단위로 계산하여 실제 값과 운전자가 의도한 값을 비교, 계산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 브레이크와 엔진출력 등을 운전자가 의도한 만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스로 개입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ESC 2단 OFF 상태는 운전자가 스포츠 드라이빙을 위해 브레이크 제어를 모드 OFF 한다는 운전자의 의지 표현이다. 따라서 유사한 스포츠 모드인 이 드리프트 모드 또한 ESC 2단 OFF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판단을 할 수 있고, ESC 2단 OFF 상태가 아니라면 본 로직은 종료하게 된다.
주행상태가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를 모두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2)은 운전자가 드리프트를 원하는지에 대해 각 값들을 참고할 수 있다.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 등을 포함하는 주행상태는 차량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튜닝이 가능하고, 특정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운전자의 주행의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치가 초과된다면 주행의지가 있는 것이므로 EPB 스위치를 ON(S103)하고 EPB스위치의 작동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되면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계(S30)의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단계(S30)는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를 확인(S301)하여 ON인 경우 EPB 모터를 일정 시간 구동하여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고, OFF인 경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 및 EPB 모터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한 경우 EPB 모터의 작동 시간과 구동 전류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S302, S303)하여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한 경우 후륜 브레이크의 유압을 체크(S304)하여 차량의 ESC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단계(S30)의 동작은, ESC 유닛에서 유압을 이용한 드리프트 위주로 하고, ABS 경고등이 있는지 먼저 판단(S301)한다. ABS의 경고등이 있는 경우 ESC 유닛의 전산 계통에 이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하므로 이 경우 EPB 모터의 구동을 통해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고, 만약 이상이 없다면 후륜 브레이크의 유압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 진입이 있는 경우 EPB 모터가 ON 되며 이 경우 작동하는 EPB 작동 시간과 전류값 등은 일반 모드 때보다 값이 작고, 발생하는 제동력 또한 작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동시간 E 또는 전류값 F는 차량마다 튜닝이 가능하다.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S302, S303); 및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초과하지 않는다면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과정(S30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리프트는 짧은 시간에 후륜을 락(Lock) 시켜서 차량의 균형을 무너뜨려 이동하는 것이 관건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 드리프트 값들로 일반 주차를 하면 경사로에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 드리프트 모드에서만 작동하게 로직을 구성할 수 있다.
후륜 브레이크의 유압 드리프트 모드의 경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후륜 브레이크에 발생된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과정(S304); 및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SC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하라면 상기 유압의 발생을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 또는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면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 작동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리프트 모드 진입 또는 후술할 해제의 경우 운전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경고 메세지를 팝업시킬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단계(S50)의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단계(S50)는, 스티어링 각도 및 횡가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또는 차량의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드리프트 모드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S501); 및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인 경우 EPB 모터의 작동 시간과 구동 전류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인 경우 유압 발생과 ESC의 작동을 정지시켜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계(S50)는 드리프트 진입 조건과 유사하게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을 판단하여 해제 조건을 판단(S501)할 수 있다.
드리프트가 완료되어 차량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면, 주차 브레이크 작동 상태(후륜 락)는 이제 차량 운행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해제 조건이 만족하게 되면 즉시 해제가 되어야 한다.
진입조건과 유사하게 위 구성 등을 통해 해제를 할 수 있다. 진입조건과 다르게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을 판단하는 이유는 해제를 위한 운전자의 의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은 가속 여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드리프트 실력이 뛰어난 운전자의 경우, 해제 조건이 불만족 되는 상황에서도 컨트롤이 가능하기 때문에 액셀을 밟고, 이 엑셀을 밟으면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이 올라간다. 또한 진입 조건과는 다르게 EPB 스위치 해제 조건을 삭제하여 기존 파킹 레버 드리프트 대비 해제 시간 및 공수를 줄일 수 있다.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S503, S504); 및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초과하지 않는다면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후륜 브레이크에 발생된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ESC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하라면 ESC를 유지시켜 유압의 제거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 또는 후륜 브레이크 유압 드리프트 모드에서 해제 모드가 들어가면 빠르게 해제되어야 한다. 만약에 늦게 해제되면 지연 감이 발생하고 차량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제 조건에는 제2 단계와 마찬가지로 EPB 작동 시간, 전류값, 후륜 압력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 값들은 차량마다 튜닝이 가능하며, 지연 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의 해제 또는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가 해제되면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의 해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차량의 EPB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PB를 구동하는 EPB 스위치가 ON인 경우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드리프트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차량 내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EPB를 직접 구동하는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드리프트 모드를 작동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주행상태를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EPB 모터를 제어 또는 후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차량의 ESC가 소정의 기어 상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스티어링 각도, 횡가속도 및 차량 속도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상태가 기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를 모두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EPS 스위치가 ON 인 경우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작동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ABS 경고등의 점등 여부를 확인하여 ON인 경우 상기 EPB 모터를 일정 시간 구동하여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고, OFF인 경우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 및
    상기 EPB 모터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EPB 모터의 작동 시간과 구동 전류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후륜 브레이크의 유압을 체크하여 상기 차량의 ESC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상기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상기 후륜 브레이크에 발생된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ESC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하라면 상기 유압의 발생을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 또는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 작동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7.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스티어링 각도 및 상기 횡가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의 엔진 스로틀 밸브 개도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드리프트 모드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인 경우 상기 EPB 모터의 작동 시간과 구동 전류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인 경우 상기 유압 발생과 상기 ESC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상기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구동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EPB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EPB 모터의 작동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에서 상기 후륜 브레이크에 발생된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유압의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ESC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하라면 상기 ESC를 유지시켜 상기 유압의 제거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PB 모터 구동 드리프트 모드의 해제 또는 상기 후륜 브레이크 구동 드리프트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차량의 드리프트 모드의 해제를 상기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KR1020160150225A 2016-11-11 2016-11-11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Active KR10249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225A KR102496487B1 (ko) 2016-11-11 2016-11-11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225A KR102496487B1 (ko) 2016-11-11 2016-11-11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83A true KR20180052983A (ko) 2018-05-21
KR102496487B1 KR102496487B1 (ko) 2023-02-03

Family

ID=6245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225A Active KR102496487B1 (ko) 2016-11-11 2016-11-11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48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4292A (zh) * 2018-11-11 2019-01-15 爱驰汽车有限公司 汽车甩尾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2590774A (zh) * 2020-12-22 2021-04-02 同济大学 一种基于深度强化学习的智能电动汽车漂移入库控制方法
CN112793561A (zh) * 2021-02-26 2021-05-14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独立式epb的快速过弯控制方法
CN114475545A (zh) * 2022-02-08 2022-05-13 上海拿森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车辆转向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4954394A (zh) * 2021-07-21 2022-08-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漂移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5303243A (zh) * 2022-08-31 2022-11-08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91221A (ko) * 2021-12-15 2023-06-23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드리프트 주행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1833909B2 (en) 2020-09-17 2023-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drift mode
DE102023110884A1 (de) 2023-04-27 2024-10-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Bremsanlage zum Bremsen der Räder des Kraftfahrzeug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061A (ko) * 2010-06-18 2011-1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주차브레이크에 연계한 비상제동시 전륜 및 후륜 압력제어 구현방법
KR20120024207A (ko)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동서기연 대공간용 히트펌프 공조시스템
KR20130034781A (ko)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전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6743A (ko) * 2012-12-13 2014-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파킹 브레이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KR20150065030A (ko) * 2013-12-04 2015-06-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061A (ko) * 2010-06-18 2011-1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주차브레이크에 연계한 비상제동시 전륜 및 후륜 압력제어 구현방법
KR20120024207A (ko)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동서기연 대공간용 히트펌프 공조시스템
KR20130034781A (ko)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전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6743A (ko) * 2012-12-13 2014-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파킹 브레이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KR20150065030A (ko) * 2013-12-04 2015-06-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4292A (zh) * 2018-11-11 2019-01-15 爱驰汽车有限公司 汽车甩尾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9204292B (zh) * 2018-11-11 2020-09-11 爱驰汽车有限公司 汽车甩尾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11833909B2 (en) 2020-09-17 2023-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drift mode
CN112590774A (zh) * 2020-12-22 2021-04-02 同济大学 一种基于深度强化学习的智能电动汽车漂移入库控制方法
CN112590774B (zh) * 2020-12-22 2022-02-18 同济大学 一种基于深度强化学习的智能电动汽车漂移入库控制方法
CN112793561B (zh) * 2021-02-26 2022-07-19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独立式epb的快速过弯控制方法
CN112793561A (zh) * 2021-02-26 2021-05-14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独立式epb的快速过弯控制方法
CN114954394A (zh) * 2021-07-21 2022-08-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漂移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20230091221A (ko) * 2021-12-15 2023-06-23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드리프트 주행 제어방법 및 시스템
CN114475545A (zh) * 2022-02-08 2022-05-13 上海拿森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车辆转向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5303243A (zh) * 2022-08-31 2022-11-08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303243B (zh) * 2022-08-31 2024-05-03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DE102023110884A1 (de) 2023-04-27 2024-10-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Bremsanlage zum Bremsen der Räder d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487B1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2983A (ko) Epb 장착 차량의 드리프트 로직 제어 방법
US7561954B2 (en) Creep drive control device for driving vehicle at creep speed
JP5087358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JP445562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N107444373B (zh) 具有电子动态控制功能的电子制动系统
US8862303B2 (en) Industrial vehicle
KR101618453B1 (ko) 전기동력자동차의 원-페달 운전제어방법
US20060225971A1 (en) Braking a vehicle in the context of an emergency stop
JP6672769B2 (ja) 制動力制御装置
JP2005104320A (ja) 車両制御装置
JP6647412B2 (ja) 車両の制動力制御装置
JP5154379B2 (ja) 車両制動制御装置
KR20190068898A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6672772B2 (ja) 制動力制御装置
JP201014354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US10899327B2 (en) Electric brake device
KR20130051379A (ko) 통합형 전자제어장치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40007005A (ko) 전기 기계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방법
US20180312171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vehicle
JP5087359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JP4947997B2 (ja) 制動力制御システム
WO2019176795A1 (ja) 反力付加装置
KR20150065030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방법
JP4877593B2 (ja) 車両制御装置
JP6869012B2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