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621A -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전기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전기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1621A KR20180051621A KR1020187010273A KR20187010273A KR20180051621A KR 20180051621 A KR20180051621 A KR 20180051621A KR 1020187010273 A KR1020187010273 A KR 1020187010273A KR 20187010273 A KR20187010273 A KR 20187010273A KR 20180051621 A KR20180051621 A KR 201800516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equipment
- token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network
- network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1—Controlling of the operation of servers by a load balancer, e.g. adding or removing servers that serve reque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5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entities in the up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core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6—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ource of the received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38—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security contex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0048] 도 2는 고정-라인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장비의 예들로서 다수의 고객 구내 장비들,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 및 제3 게이트웨이 엔티티뿐만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를 갖는 본 발명의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예로서 고정-라인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0049]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에 따른, 사용자 장비와 제1 및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 간의 통신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005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에 따른, 사용자 장비와 제1 및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 간의 통신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Claims (15)
- 전기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교환은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데이터 패킷들(200)의 송신 및 수신에 기반하고,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적어도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및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통신 교환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를 수반하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의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부착 절차(attachment procedure)를 수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되고, 상기 부착 절차 동안에, 초기 데이터 패킷들(210)이 송신되며, 토큰 정보(token information)(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 송신되며,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설정될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통신 교환을 표시하고,
-- 상기 제1 단계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20)는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을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대신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토큰 정보(25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수정된 토큰 정보(251)로부터 도출 가능하도록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를 생성하며, 상기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의 핸들링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통신 교환이 계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공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후속하지만 상기 제2 단계 전의 제3 단계 동안에, 추가의 후속 데이터 패킷(221)이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추가의 후속 데이터 패킷(221)은 상기 토큰 정보(250)가 없으며, 상기 제3 단계에 후속하고 상기 제2 단계 전의 제4 단계 동안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상기 사용자 장비(20)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의 송신을 요청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정보(250) 및/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는 다음의 정보:
-- 특히 상기 사용자 장비(20)에 의해 사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 정보,
-- 특히 상기 사용자 장비(20)에 의해 사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 정보의 해시 값 정보(hash value information),
--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
--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의 해시 값 정보,
-- 상기 통신 교환에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들, 특히 허용되고 그리고/또는 사용 가능한 대역폭 정보에 관련된 표시,
-- 라우팅 정보에 관련되거나 라우팅-관련 정보에 관련된 표시,
--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보안 체크(security check)가 수행되도록 허용하는 부호화된 부분 정보(signed part information),
--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수신 노드에 의해 적용될 하나 또는 복수의 정책들에 관련된 표시,
-- 상기 사용자 장비(20)와 연관되고 상기 통신 교환 동안에 적용될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장비 성능 관련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표시,
-- 상기 통신 교환에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어카운팅 관련 파라미터들(accounting related parameters)에 관련된 표시,
-- 상기 통신 교환에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 관련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표시,
-- 상기 통신 교환에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콘텐츠 액세스 권한 관련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명 표시는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와 연관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의 부분으로서, 특히 IPv6 데이터 패킷들의 IPv6 헤더 내의 옵션의 부분으로서 및/또는 NSH(network service header)의 부분으로서 및/또는 VLAN-헤더의 부분으로서 및/또는 MAC-어드레스의 부분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20)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의 송신은 특히 각각의 데이터 패킷 내에 또는 단지 주기적으로 또는 단지 개개의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제공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는, 상기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가 유일하게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각각 생성되도록 하는 독립형 토큰 정보(self-contained token information)이거나,
--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는, 상기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가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질의 핸들링 네트워크 엔티티(queries handling network entity)를 사용하지만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각각 생성되도록 하는 추상적인 토큰 정보(abstract token information)인,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는 가능하게는 상기 통신 교환을 인식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업스트림 라우팅 업데이트(upstream routing update)를 트리거링하고, 상기 업스트림 라우팅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 장비(20)로의 리턴 경로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대신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를 통해, 업스트림 네트워크 노드들, 특히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및/또는 라우터 엔티티로 송신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또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을 수신하는지의 결정은,
--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및/또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의 일반적인 이용 가능성, 및/또는
--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 내의 로드 밸런싱 엔티티의 로드 밸런싱 결정, 및/또는
--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상이한 이동성 상황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 장비(20)에 대한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및/또는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의 이용 가능성에 의존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전기 통신 네트워크(110)로서,
상기 통신 교환은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데이터 패킷들(200)의 송신 및 수신에 기반하고,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적어도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및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 상기 통신 교환이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를 수반하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의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부착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도록, 그리고
-- 상기 사용자 장비(20)가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착 절차 동안에, 초기 데이터 패킷들(210)이 송신되고,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 송신되고,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설정될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통신 교환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대신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토큰 정보(25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수정된 토큰 정보(251)로부터 도출 가능하도록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를 생성하고, 상기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의 핸들링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통신 교환이 계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공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전기통신 네트워크(100). - 제9 항에 있어서,
추가의 후속 데이터 패킷(22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 전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추가의 후속 데이터 패킷(221)은 상기 토큰 정보(250)가 없으며,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상기 추가의 후속 데이터 패킷(22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 간에, 상기 제 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가 상기 사용자 장비(20)로부터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전기통신 네트워크(100). -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고정 라인 전기통신 네트워크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이고, 그리고
--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네트워크(110) 및 코어 네트워크(120)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엔티티들이며, 그리고/또는
--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고정 라인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 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의 부분으로서 어그리게이션 네트워크(aggregation network)의 원격 액세스 서버 엔티티들이고, 그리고/또는
--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액세스 네트워크(110), 어그리게이션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1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노드들이며, 그리고/또는
--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데이터 센터에 상주하는 인스턴스들이고, 여기서 이러한 인스턴스들 간의 로드 공유는 상기 토큰 정보 또는 상기 통신 교환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 이를테면, IP 어드레스 정보에 기반하여 적용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전기통신 네트워크(100). -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사용자 장비(20)로서,
상기 통신 교환은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상기 사용자 장비(20) 간의 데이터 패킷들(200)의 송신 및 수신에 기반하고,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적어도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및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20)는:
-- 상기 통신 교환이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를 수반하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의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부착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도록, 그리고
-- 상기 사용자 장비(20)가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착 절차 동안에, 초기 데이터 패킷들(210)이 송신되고,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 송신되고,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설정될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통신 교환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대신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토큰 정보(25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수정된 토큰 정보(251)로부터 도출 가능하도록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를 생성하고, 상기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의 핸들링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통신 교환이 계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공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사용자 장비(20). -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 및 상기 사용자 장비(20)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교환은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데이터 패킷들(200)의 송신 및 수신에 기반하며,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엔티티들(111, 112)은 적어도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및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 상기 통신 교환이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를 수반하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의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부착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도록, 그리고
-- 상기 사용자 장비(20)가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착 절차 동안에, 초기 데이터 패킷들(210)이 송신되고,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 송신되고, 상기 토큰 정보(250)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설정될 상기 사용자 장비(20)의 통신 교환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대신에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은, 상기 토큰 정보(25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수정된 토큰 정보(251)로부터 도출 가능하도록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상기 수정된 토큰 정보(251)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토큰 정보(250) 또는 수정된 토큰 정보(251)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엔티티(112)는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를 생성하고, 상기 패킷 프로세싱 규칙 정보(260)의 핸들링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데이터 패킷(220)의 통신 교환이 계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공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시스템. -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및/또는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 및/또는 사용자 장비(20) 및/또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또는 부분적으로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 및/또는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비(20) 및/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및/또는 상기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 및/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20) 및/또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로 하여금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20)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및/또는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 및/또는 사용자 장비(20) 및/또는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또는 부분적으로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 및/또는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비(20) 및/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및/또는 상기 게이트웨이 엔티티(111, 112) 및/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20) 및/또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로 하여금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5186910.4 | 2015-09-25 | ||
EP15186910 | 2015-09-25 | ||
PCT/EP2016/066956 WO2017050456A1 (en) | 2015-09-25 | 2016-07-15 | Method for an improved handling of at least one communication exchange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t least one user equipment,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er equipment, system,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621A true KR20180051621A (ko) | 2018-05-16 |
KR102117434B1 KR102117434B1 (ko) | 2020-06-02 |
Family
ID=5425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0273A Active KR102117434B1 (ko) | 2015-09-25 | 2016-07-15 |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전기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006339B2 (ko) |
EP (1) | EP3354053B1 (ko) |
JP (1) | JP6599553B2 (ko) |
KR (1) | KR102117434B1 (ko) |
CN (1) | CN108141743B (ko) |
ES (1) | ES2905526T3 (ko) |
MX (1) | MX381422B (ko) |
WO (1) | WO20170504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38104B2 (en) * | 2017-06-27 | 2025-02-25 | Applied Invention, Llc | Secure communication system |
US20200067913A1 (en) * | 2018-08-22 | 2020-02-27 | Cryptography Research, Inc. | Modifying an identity token based on a trusted service |
US11025558B2 (en) * | 2019-01-30 | 2021-06-01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Real-time resource processing based on resource channel factors |
CN109756521B (zh) * | 2019-03-21 | 2021-07-13 | 浪潮云信息技术股份公司 | 一种nsh报文处理方法、装置及系统 |
US11409912B2 (en) * | 2019-10-25 | 2022-08-09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identity identifiers for data engineering processing |
WO2024077031A1 (en) * | 2022-10-04 | 2024-04-11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sequential suboperations over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5406A (ko) * | 2010-12-28 | 2012-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ip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20140024462A (ko) * | 2011-07-20 | 2014-02-28 | 알까뗄 루슨트 |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정체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78441A (ko) * | 2013-12-30 | 2015-07-08 | 주식회사 케이티 | 전용 베어러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12819A (en) | 1995-06-05 | 1998-09-22 | Shiva Corporation | Remote access apparatus and method which allow dynamic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management |
US6370380B1 (en) * | 1999-02-17 | 2002-04-09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for secure handover |
US7130286B2 (en) * | 2002-10-02 | 2006-10-31 | Nokia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uthorizations during handovers |
EP1408666A1 (en) * | 2002-10-09 | 2004-04-14 | Motorola, Inc. | Routing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
JP2004328563A (ja) | 2003-04-28 | 2004-11-18 | Hitachi Ltd | 暗号通信装置および暗号通信システム |
US7649866B2 (en) * | 2003-06-24 | 2010-01-19 | Tropos Networks, Inc. | Method of subnet roaming within a network |
EP1854321A1 (en) | 2005-02-28 | 2007-11-14 | Nokia Siemens Networks Oy | Handoff solution for converging cellular networks based o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US9332579B2 (en) * | 2010-06-21 | 2016-05-03 | Deutsche Telekom Ag |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use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customer premises equipment |
JP2013070325A (ja) * | 2011-09-26 | 2013-04-18 | Nec Corp |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サーバ、通信方法 |
US9210623B2 (en) * | 2013-03-15 | 2015-12-08 | Cisco Technology, Inc. | Wireless client association and traffic context cookie |
US10069903B2 (en) | 2013-04-16 | 2018-09-04 | Amazon Technologies, Inc. | Distributed load balancer |
CN104811375A (zh) * | 2015-05-08 | 2015-07-29 |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 智能家居网关及其组网方法 |
-
2016
- 2016-07-15 KR KR1020187010273A patent/KR102117434B1/ko active Active
- 2016-07-15 US US15/762,562 patent/US11006339B2/en active Active
- 2016-07-15 ES ES16739466T patent/ES2905526T3/es active Active
- 2016-07-15 WO PCT/EP2016/066956 patent/WO201705045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15 CN CN201680056043.9A patent/CN108141743B/zh active Active
- 2016-07-15 MX MX2018002689A patent/MX381422B/es unknown
- 2016-07-15 EP EP16739466.7A patent/EP3354053B1/en active Active
- 2016-07-15 JP JP2018515656A patent/JP6599553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5406A (ko) * | 2010-12-28 | 2012-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ip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20140024462A (ko) * | 2011-07-20 | 2014-02-28 | 알까뗄 루슨트 |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정체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78441A (ko) * | 2013-12-30 | 2015-07-08 | 주식회사 케이티 | 전용 베어러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50456A1 (en) | 2017-03-30 |
MX381422B (es) | 2025-03-12 |
BR112018002477A2 (pt) | 2018-09-18 |
CN108141743A (zh) | 2018-06-08 |
ES2905526T3 (es) | 2022-04-11 |
CN108141743B (zh) | 2021-07-27 |
EP3354053A1 (en) | 2018-08-01 |
JP2018530240A (ja) | 2018-10-11 |
US11006339B2 (en) | 2021-05-11 |
MX2018002689A (es) | 2018-04-13 |
EP3354053B1 (en) | 2021-12-29 |
JP6599553B2 (ja) | 2019-10-30 |
KR102117434B1 (ko) | 2020-06-02 |
US20180302479A1 (en) | 2018-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44922B1 (en) | Detecting quick user datagram protocol internet connections, quic, traffic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 content provider, cp | |
US8272046B2 (en) | Network mobility over a multi-path virtual private network | |
KR102117434B1 (ko) |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교환의 개선된 핸들링을 위한 방법, 전기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
US8104081B2 (en) | IP security with seamless roaming and load balancing | |
US7676838B2 (en) | Secure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 |
US11153207B2 (en) | Data link layer-based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US11337084B2 (en) | Control apparatus for gatewa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0581735B2 (en) | Packe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US12107927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EP3314974B1 (en) | Setting up a dedicated bear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 |
EP3610672A1 (en) | Handover with no or limited mme involvement | |
WO2021093863A1 (zh) | 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9654440B1 (en) | Modification of domain name systems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ssages | |
WO2018076234A1 (zh) | 一种通信方法和设备 | |
PH12016501945B1 (en) | Residential local break out in a communication system | |
CN105682087B (zh) | 业务路由方法及基站 | |
US20250220069A1 (en) | Configuring traffic steering | |
EP4395447B1 (en) | Method for connecting a user equipment to a virtual network as part of a cloud provider infrastructure, user equipment, telecommunication network,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BR112018002477B1 (pt) | Método, rede de telecomunicações, equipamento de usuário e sistema para uma manipulação melhorada de pelo menos uma troca de comunicação entre uma rede de telecomunicações e pelo menos um equipamento de usuário | |
JP2015041970A (ja) |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 |
Cano et al. | Experimental tests on SCTP over IPSe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