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195A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8195A KR20180048195A KR1020160157735A KR20160157735A KR20180048195A KR 20180048195 A KR20180048195 A KR 20180048195A KR 1020160157735 A KR1020160157735 A KR 1020160157735A KR 20160157735 A KR20160157735 A KR 20160157735A KR 20180048195 A KR20180048195 A KR 20180048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back
- thermal
- voltage
- heat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3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06010016326 Feeling cold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6010016334 Feeling ho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8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7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4
- 208000004547 Hallucin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4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697 sensory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CXGWMGPZLAOME-UHFFFAOYSA-N bismuth atom Chemical compound [Bi] JCXGWMGPZLAO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952 Skin war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6 thermoelec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 H01L35/30—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업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역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교번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back devic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a start message of the thermal feedback,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And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by performing a thermal grill opera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combined when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rmal sensory feedback,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pplying a reverse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opposite to the positive voltage and the power applying direction f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nd applying a reverse voltage alternately and repeated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back devic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근래 들어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이나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에 대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콘텐츠에 관한 사용자 몰입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감각을 통한 피드백을 제공하려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2016년 세계가전전시회(CES: 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는 미래 유망 기술 중 하나로 가상 현실 기술을 들기도 했다. 이러한 추세와 맞물려, 현재 주로 시각과 청각에 국한된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에서 벗어나, 향후 후각이나 촉각을 비롯한 인간의 모든 감각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s technology for virtual reality (VR) or augmented reality (AR) has been developed, demand for providing feedback through various senses in order to increase user engagement with contents is increasing. Particularly, at the 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in 2016, virtual reality technology was introduced as one of promising technologies for the future. In parallel with this tre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 provide a user experience for all human senses including smell and tactile sensation in the future, away from the user experience (UX: User experience) mainly limited to visual and auditory sense.
열전 소자(TE: ThermoElement)는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인가받아 발열 반응이나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소자로서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어 왔으나, 주로 평판 기판을 이용한 기존의 열전 소자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되기 어려워 그 응용이 제한되어 왔다. Thermoelement (TE) is a device that generates an exothermic reaction or an endothermic reaction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by a Peltier effect, and has been expected to be use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to a user.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been limited since it is difficult to adhere to the body part of the user.
그러나, 최근에 유연 열전 소자(FTE: Flexible ThermoElement)의 개발이 성공 단계에 접어듦에 따라, 종래의 열전 소자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열적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However, recently, development of a flexible thermoelement (FTE) has come to a successful stage, and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a conventional thermoelectric device and to transmit thermal feedback effectively to a user.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that provides thermal feedback to a user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열감 및 냉감 이외에도 열감과 냉감을 이용한 열 통감을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that provides thermal feedback including thermal sensation using heat sensation and cold sensation in addition to hot sensation and cold sens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의 세기를 조절하여 다단계의 열적 피드백을 출력 가능한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multi-stage thermal feedback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a heat generation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압의 제어나, 영역의 조절, 시간의 분할 등을 이용하여 열 통감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for outputting heat trapping by using voltage control, region adjustment, time division, and the lik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과제는 열적 피드백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user's skin due to thermal feedback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과제는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for preventing thermal invers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과제는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 별로 적절히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back device that prevents thermally reversible hallucinations appropriately for both warm and cold feedback,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feedback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업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역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교번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from a thermoelectric device,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to a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a body part of a user, Obtaining a start message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And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by performing a thermal grill opera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combined when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rmal sensory feedback,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pplying a reverse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opposite to the positive voltage and the power applying direction f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step of alternately repeating the step of applying a reverse voltag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발열 동작 또는 상기 흡열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및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교번적으로 반복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receives a power supply and performs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 hea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thermal feedback start message including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rmal feedback feedback, the thermal output module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 endothermic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feedback device may be provided which controls the thermal output module to perform the thermal grill operation by applying an opposite reverse voltage alternately and repeatedly.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the solution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rmal feedback to the user.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감과 냉감을 이용한 열 통감을 제공함으로써 열감 이외에도 통감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enses other than heat sensation by providing thermal sensation using a sensation of heat and a sensation of coldness.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여러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xperience can be improved by outputting various types of thermal feedbacks as the intensity of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is adjust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적 피드백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safety can be secured by preventing damage to the user's skin due to thermal feedback.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열 역전 환각으로 인해 초래되는 사용자 경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ioration of the user experience caused by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g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의 구현예 중 게이밍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의 구현예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유닛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의 일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의 다른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의 또 다른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의 다시 또 다른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유닛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유닛의 구성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발열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감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흡열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감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조절을 이용한 온감/냉감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온도 변화량을 갖는 온감/냉감 피드백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그룹 별 동작 제어를 통한 온감/냉각 피드백 강도 조절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가 타이밍 제어를 통한 온감/냉각 피드백 강도 조절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조절 방식에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에 관한 표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조절 방식을 위해 상이한 면적을 갖는 열전 소자 그룹으로 구성되는 열전 소자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할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할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 시 접촉면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역전 환각에 관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전압에 의한 접촉면의 온도 변화 추이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완충 단계를 갖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에 따른 접촉면의 온도 변화 추이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강도의 열적 피드백의 중단에 따른 온도 변화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강도의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 온도 변화 속도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종료 시 완충 구간의 시간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시의 접촉면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시 온감 제거를 위한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일 예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50은 도 49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일 예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일 예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일 예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3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4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5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6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7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8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9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0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1 to 7 relate to a gaming controller in an embodiment of a feedb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4 relate to a wearable device in an embodiment of a feedb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eedb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eedback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eat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heat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a heat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ing operation for providing warm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showing the strength of the warm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diagram of a heat absorbing operation for providing cold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graph showing the strength of cold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graph showing the strength of warm / cool feedback using voltag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graph relating to warm / cool feedback with the same temperature change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ontrol of the warm / cool feedback strength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for each thermoelement gro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 graph for controlling the warm / cool feedback strength through power supply tim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ltage regulating typ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table of voltages for providing neutral column grill feedback in a voltage reg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grill operation of the area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4 is a view show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composed of thermoelectric element groups having different areas for the thermal reg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time di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time di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of a contact surface dur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n endothermic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inversion halluc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2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temperature of a contact surface due to a buffering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3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temperature of a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a thermal inversion halluclide preventing operation having a plurality of buffering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4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an interruption of thermal feedback of various intens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5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change rate between the warm-feeling feedback of the same intensity and the cold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6 is a view showing a time difference of the buffering period at the end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7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at the end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8 is a graph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eliminating warmth at the end of thermal gril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n electric signal for a heat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0 is a view showing a heat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FIG. 49; FIG.
5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n electrical signal for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2 is a view showing a heat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Fig.
5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n electric signal for a heat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4 is a view showing a heat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FIG. 53; FIG.
5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ic signal for a heat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6 is a view showing a heat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FIG. 55; FIG.
FIG. 5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8 is a flowchart related to a secon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9 is a flowchart related to a thir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0 is a flowchart of a four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f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2 is a flowchart of a six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3 is a flowchart of a seven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4 is a flowchart related to an eigh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inth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6 is a flowchart of a ten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generally used in general term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s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the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of a thermoelectric element to which power is suppli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initiat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end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course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And applying a cushioning power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substrate.
여기서, 상기 열 역전 환각은,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상기 초기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온도와 동일 방향임에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온도와 반대 방향의 온도를 느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thermal inversion hall angle may be set such that, when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interrupted, the user can perform the thermoelectric action based on the initial temperature even 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is the same as the temperatur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based on the initial temperature This means that you feel the tempera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emperature changed by the heat.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과 동일한 방향의 전원일 수 있다.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a power sou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rating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보다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을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may be smaller than the operating power of the buffer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 Here, in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of the buffer power may be reduced while the buffer power is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듀티 신호 형태인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Here, in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source, the buffer power source in the form of a duty signal can be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이 듀티 신호 형태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완충 전원의 듀티 레이트가 상기 작동 전원의 듀티 레이트보다 작을 수 있다.Here, when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applied in the form of a duty signal, the duty ratio of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smaller than the duty rat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의 듀티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the duty ratio of the buffer power may be reduced while the buffer power is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열전 소자는,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고,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일부에만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s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ly controllable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and in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the buffer power is applied only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
또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상기 작동 전원이 인가된 열전 쌍 그룹의 개수보다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의 개수가 더 작을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rmocouple groups to which the buffer power is applied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rmocouple groups to which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Here, the number of the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to which the buffer power is applied may be reduced while the buffer power is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전원 인가 없이 대기한 뒤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Here, in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the buffer power may be applied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is stopped, without applying power.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디바이스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복수의 강도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device may perform the step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to a plurality of intensities, and applying the buffer power only whe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디바이스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복수의 강도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완충 전원의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eedback device is further configured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to a plurality of intensities and obtai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Generating the operating power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thermal feedback;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uffer power is applied according to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하여 상기 전원 단자에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단자에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performing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for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A thermal output module that includes a contact surface that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of the user and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 control circuit fo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for starting outputting of the thermal feedback,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termination of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e hallucination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to the initial temperature, a buffer power source for reducing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is applied A feedback devic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열 역전 환각은,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상기 초기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온도와 동일 방향임에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온도와 반대 방향의 온도를 느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thermal inversion hall angle may be set such that, when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interrupted, the user can perform the thermoelectric action based on the initial temperature even 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is the same as the temperatur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based on the initial temperature This means that you feel the tempera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emperature changed by the heat.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과 동일한 방향의 전원일 수 있다.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a power sou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rating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보다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을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may be smaller than the operating power of the buffer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reduce at least one of a voltage and a current of the buffer power source while the buffer power is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듀티 신호 형태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apply the buffer power in the form of a duty signal.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이 듀티 신호 형태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완충 전원의 듀티 레이트가 상기 작동 전원의 듀티 레이트보다 작을 수 있다.Here, when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applied in the form of a duty signal, the duty ratio of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smaller than the duty rat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의 듀티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reduce the duty ratio of the buffer power while the buffer power is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열전 소자는,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고,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일부에만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s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ly thermocouple controllable groups, and the feedback controller can apply the buffering power only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또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상기 작동 전원이 인가된 열전 쌍 그룹의 개수보다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의 개수가 더 작을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rmocouple groups to which the buffer power is applied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rmocouple groups to which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reduce the number of thermocouple groups to which the buffer power is applied while the buffer power is applied.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전원 인가 없이 대기한 뒤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wa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is stopped, and then apply the buffer power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또 여기서, 상기 열 출력 모듈은,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복수의 강도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thermal output module ma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to a plurality of intensities, and the feedback controller may apply the buffer power only whe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획득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완충 전원의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eedback controller obtains the strength of the thermal feedback, generates the operating power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thermal feedback,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trength of the thermal feedbac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Or no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일부인 작동 그룹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도록 상기 작동 그룹 중 일부에 대해서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한 뒤 상기 작동 그룹 중 나머지에 대해서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each of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Wherein the thermal feedback is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communicating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a body part of the thermal group, Applying a power source for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supply for output termin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wherein in the stopping step,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upon return of the power supply is returned to the initial temperature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to the part of the operation group is stopp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contact surface is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e hallucination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to stop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to the rest of the group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일부인 작동 그룹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되, 상기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도록 상기 작동 그룹 중 일부에 대해서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한 뒤 상기 작동 그룹 중 나머지에 대해서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each performing thermoelectric a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for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of the user, wherein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 therm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And applying power for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an actuation group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for initiating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nd ceasing application of the power source for output termin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And a feedback controller for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to some of the operation groups so as to be reduced and then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to the rest of the operation groups.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게임 및 체감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동하는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이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수반되는 열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게이밍 콘트롤러로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밍 콘트롤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상기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열전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파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열전 소자의 열전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송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열적 피드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정보에 따른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전압값 중 작동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작동 전압에 기초하여 작동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전압값 중 상기 작동 전압보다 낮은 완충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완충 전압에 기초하여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열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단자에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게이밍 콘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that is interlocked with a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drives a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a game and a sensible application, acquires an operation of the user used for the multimedia content, A gaming controller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to provide experience, comprising: a casing including a gripper gripped by a user and defining an appearance of the gaming controller;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act surface for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user, the contact surface being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A therm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user input received via the input module and transmitting the user input to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thermal feedback from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Selecting an operating voltag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voltage value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and generating an operating power based on the operating voltage, The control circuit stops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so as to terminate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nd selects a buffering voltage lower than the operating voltage among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voltage values, Generating a buffer power supply based on the buffering voltag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heat transfer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interrup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buffer power for reducing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gaming controller.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온감 피드백인지 냉감 피드백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원 인가 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작동 전원과 상기 완충 전원을 상기 판단된 전원 인가 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application direction is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based on whether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is warm feedback or cold feedback, and if the operation power and the buffer power are in the determined power application direction .
또 여기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는, 제1 강도 및 상기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전압값은, 제1 전압값 및 상기 제1 전압값보다 큰 제2 전압값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상기 제1 강도인 경우 상기 작동 전압을 상기 제1 전압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상기 제2 강도인 경우 상기 작동 전압을 상기 제2 전압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전압값을 가지는 작동 전압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완충 전압을 상기 제1 전압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 Here,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may include a first intensity and a second intensity that is stronger than the first intensity, and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voltage values may include a first voltage value and a second voltage value larg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the operating voltage as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first intensity and the operating voltage whe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second intensity, May be selected as the second voltage value, and the buffer voltage may be selected as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operation voltage having the second voltage value is discontinued.
또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작동 전압이 상기 제1 전압값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apply the buffer power only when the operating power is interrupted when the operating voltage is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는, 상기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 강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전압값은, 상기 제2 전압값보다 큰 제3 전압값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상기 제3 강도인 경우 상기 작동 전압을 상기 제3 전압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3 전압값을 가지는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완충 전압을 상기 제1 전압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further includes a third intensity that is stronger than the second intensity,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voltage values include a third voltag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alue, The operation voltage is selected as the third voltage value whe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third intensity and the buffer voltage is set to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operation power source having the third voltage value is stopped You can choose.
또 여기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는, 상기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 강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전압값은, 상기 제2 전압값보다 큰 제3 전압값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상기 제3 강도인 경우 상기 작동 전압을 상기 제3 전압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3 전압값을 가지는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완충 전압을 상기 제1 전압값 및 제2 전압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완충 전원의 인가 시 먼저 상기 제2 전압값을 인가하고 이어서 상기 제1 전압값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further includes a third intensity that is stronger than the second intensity,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voltage values include a third voltag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alue, The operation voltage is selected as the third voltage value whe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third intensity and the buffer voltage is set to the first voltage value and the second voltage value when the operation power supply having the third voltage value is interrupted, The second voltage value may be first applied and then the first voltage value may be applied when the buffer power source is appli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전원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of a thermoelectric element to which power is suppli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user's body part,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comprising: obtaining a type of thermal feedback comprising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Applying operating power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end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nd a cushioning power source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hallulenc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Generating the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And applying the buffer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의 전압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have a voltage value that is smaller than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압값보다 큰 제2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a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압값보다 작은 제2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may include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the second voltage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a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의 전압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have a current value that is smaller than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류값보다 큰 제2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may include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the second current value larger than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a current value.
또 여기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류값보다 작은 제2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may include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the second curren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source having a current value.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에 대한 상기 완충 전원의 전압의 비율은, “1” 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voltage of the buffer power source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may be smaller than " 1 " and may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3 전압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4 전압값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 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supply may include the steps of applying operating power having a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an operating power having a secon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ing the buffered power supply having a thir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a fourth voltag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Wherein the ratio of the third voltage value to the first voltage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voltage value to the second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3 전압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4 전압값의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supply may include the steps of applying operating power having a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an operating power having a secon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ing the buffered power supply having a thir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a fourth voltag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The ratio of the third voltage value to the first voltage value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voltage value to the second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에 대한 상기 완충 전원의 전류의 비율은, “1”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Here, the ratio of the current of the buffer power source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may be smaller than " 1 " and may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3 전류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4 전류값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supply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operating power having a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an operating power having a secon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ing the buffered power supply having a thir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a fourth current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Wherein the ratio of the third current value to the first current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current value to the second current value.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3 전류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4 전류값의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supply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operating power having a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an operating power having a secon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ing the buffered power supply having a thir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a fourth current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Wherein the ratio of the third current value to the first current value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current value to the second current valu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완충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전원을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완충 시간 동안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of a thermoelectric element to which power is suppli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user's body part,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comprising: obtaining a type of thermal feedback comprising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Applying operating power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end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Obtaining a buffer time that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course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And applying a cushion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during the buffering time so as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thermosensitive element.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큰 제2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may include applying the buffer power for a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the buffer power for a second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applying the buffer pow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applying the buffer power may include applying the buffer power for a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pplying the buffer power during the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applying the buffer pow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일부인 작동 그룹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상기 작동 그룹보다 작은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완충 그룹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도록 상기 완충 그룹에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each of which performs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warm feedback and a cold feedback, the thermal feedback being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communicating to the user via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hermal feedback; Applying operating power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o an operation group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And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output termin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Determining a buffer group including a smaller number of the thermo couple groups than the operation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course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And applying a buffer power to the buffer group so that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buffer group is reduced.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제1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상기 제1 개수보다 큰 제2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i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including a first number of the thermo couple groups in the buffer group, and i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a second number of the thermocouple group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thermocouple groups.
또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제1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상기 제1 개수보다 작은 제2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i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including a first number of the thermo couple groups in the buffer group; and i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including a second number of the thermocouple groups less than on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일부인 작동 그룹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도록 상기 작동 그룹 중 일부에 대하여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한 뒤 상기 작동 그룹 중 나머지에 대해서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each of which performs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warm feedback and a cold feedback, the thermal feedback being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communicating to the user via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hermal feedback; Applying a power source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o an operation group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And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supply for output termin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wherein in the stopping step,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upon return of the power supply is returned to the initial temperature The user stops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source to a part of the operation group such that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contact surface is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e hallucination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to stop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to the rest of the group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고,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전원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performs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for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A thermal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nd outputting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warm feedback and a cold feedback and applying operating power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And a feedback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ushioning power source for preventing the sensation of the inverse hallucina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and applying the cushioning power sourc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의 전압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have a voltage value that is smaller than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압값보다 큰 제2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generates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es the second voltag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Can be generated.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압값보다 작은 제2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generates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es the second voltage value < RTI ID = 0.0 > Can be generated.
또 여기서, 상기 완충 전원은, 상기 작동 전원의 전압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have a current value that is smaller than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류값보다 큰 제2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generates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es the second current value larger than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Can be generated.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전류값보다 작은 제2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generates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es the second curren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Can be generated.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에 대한 상기 완충 전원의 전압의 비율은, “1” 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voltage of the buffer power source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may be smaller than " 1 " and may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3 전압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4 전압값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pplies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secon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ing the buffer power having the thir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ourth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The ratio of the third voltage value to the second voltage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voltage value to the second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압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압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3 전압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제4 전압값의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pplies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first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secon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ing the buffer power having the third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ing the buffer power having the fourth voltage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The ratio of the third voltage value to the second voltage value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voltage value to the second voltage value.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에 대한 상기 완충 전원의 전류의 비율은, “1”보다 작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current of the buffer power source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may be smaller than " 1 " and may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3 전류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4 전류값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pplies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secon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es the buffer power having the thir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es the buffer power with the fourth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The ratio of the third current value to the second current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current value to the second current valu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2 전류값을 갖는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3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제4 전류값을 갖는 상기 완충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3 전류값의 비율은, 상기 제2 전류값에 대한 상기 제4 전류값의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pplies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first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an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secon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Generates the buffer power having the third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generates the buffer power with the fourth current valu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The ratio of the third current value to the second current value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current value to the second current valu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고,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완충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전원을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완충 시간 동안 인가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performs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for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A thermal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nd outputting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 controller for acquiring a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warm feedback and a cold feedback and applying operating power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top of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 feedback controller for applying a buffer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during the buffering period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the thermally induced hallucination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during the returning process; A feedback devic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큰 제2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pplies the buffer power for a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the buffer power for a second time greater than the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제1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제2 시간 동안 상기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pplies the buffer power for a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the buffer power for a second time that is less than the first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고,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일부인 작동 그룹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작동 그룹보다 작은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완충 그룹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판단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도록 상기 완충 그룹에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 coupl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each performing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 contact with a body part of the user, wherein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thereby providing thermal feedback A therm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nd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is appl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And stops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to terminate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nd determines a buffer group including a smaller number of the thermo couple groups than the operation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A buffer power is applied to the buffer group A feedback device including a can be provided; feedback controller.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제1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키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상기 제1 개수보다 큰 제2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킬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include a first number of the thermo couple groups in the buffer group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may include a first number of the thermo pair groups in the buffer group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And a second large number of said thermopile groups can be included.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온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제1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키고, 상기 열적 피드백이 상기 냉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완충 그룹에 상기 제1 개수보다 작은 제2 개수의 상기 열전 쌍 그룹을 포함시킬 수 있다.Wherein the feedback controller includes a first number of the thermo couple groups in the buffer group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the warm feedback and i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cold feedback, Lt; RTI ID = 0.0 > thermocouple < / RTI > group.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획득하고, 상기 열전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일부인 작동 그룹에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되, 상기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도록 상기 작동 그룹 중 일부에 대하여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한 뒤 상기 작동 그룹 중 나머지에 대해서 상기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 coupl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each performing a thermoelectric action includ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 contact with a body part of the user, wherein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thereby providing thermal feedback A therm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nd a power supply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is applied to an operation group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thermoelectric feedback, And a controller that stops application of the power source to terminate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wherein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to the part of the operation group is stopp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contact surface is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the thermal inverse hallucination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A feedback device including a feedback controller It can gongdoel.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흡열 동작 및 상기 발열 동작과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온감 피드백, 냉감 피드백 및 열 통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해,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제1 그룹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제1 그룹과 상이한 제2 그룹에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역방향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되, 상기 정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과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electric 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including warming feedback, cold feedback and thermal sensation feedback by communicating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action involving motion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body part of the user, A first group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is supplied with a positive power for the heating operation and a second group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By applying a reverse power for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to the group, Controlling to perform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nd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backward power source in order to terminate the output of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but differently controlling the stopping point of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power source stopping time of the backward power source, A providing method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정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과 상기 역 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을 상이하게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접촉면 중 상기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1 그룹에 인접한 부위와 상기 접촉면 중 상기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그룹에 인접한 부위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초기 온도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that is adjacent to the first group that performs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portion that performs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returning the region adjacent to the second group to the initial temperature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point.
또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체감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그룹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흡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그룹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큰 상기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온도 하강량이 큰 상기 제2 그룹과 상기 온도 상승량이 작은 상기 제1 그룹이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역방향 전원을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먼저 중단할 수 있다.Here, in the controlling step, in order to exclude the user from sensing the thermal sensation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first group due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second group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reverse power having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larger than that of the forward power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lowering amount, And the first group having a small temperature increase amount may be stopped earlier than the normal power source so that the first group has a thermal equilibrium at an initial temperature.
또 여기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열로 인하여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방향 전원을 상기 역방향 전원보다 먼저 중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thermally equilibrium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and the backward power, It can be stopped earlier than the reverse power supply.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열전 쌍 그룹 및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의 발열 동작 및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의 흡열 동작에 따라 발생한 온열과 냉열을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해,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에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역방향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을 위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되, 상기 정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과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as a thermoelectric couple array including a first thermo couple group perform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second thermo couple group performing a heat absorbing operation;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of the user, wherein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st thermo pair group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second thermo pair group, A hea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heat sensation feedback by transmitting cold heat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pplying a positive power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and a negative power f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the second thermocouple group to start the outputting of the heat trap feedback,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ler to perform a thermal grill operation for outputting thermal sensation feedback and to suspend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and the reverse power for termination of the output of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And a feedback controller for differently adjusting the suspension time point.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정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과 상기 역 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을 상이하게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접촉면 중 상기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열전 쌍 그룹에 인접한 부위와 상기 접촉면 중 상기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그룹에 인접한 부위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초기 온도로 복귀시킬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adjusts the application stop time of the forward power and the stop time of the reverse power differently so that a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thermo couple group performing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group performing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temperature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체감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그룹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흡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그룹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큰 상기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온도 하강량이 큰 상기 제2 그룹과 상기 온도 상승량이 작은 상기 제1 그룹이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역방향 전원을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먼저 중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ensing the thermal sensation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feedback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to the second group of temperatures The second group having a larger voltage value or a larger current value than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having a larger temperature decrease amount when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backward power source are interrupted, The reverse power may be interrupted prior to the forward power so that the first group is thermally balanced at an initial temperatur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열로 인하여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방향 전원을 상기 역방향 전원보다 먼저 중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thermally equilibrium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when the normal power supply and the reverse power supply are interrupted, It can be stopped before the reverse power.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흡열 동작 및 상기 발열 동작과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온감 피드백, 냉감 피드백 및 열 통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해,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제1 그룹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제1 그룹과 상이한 제2 그룹에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역방향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보조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electric 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including warming feedback, cold feedback and thermal sensation feedback by communicating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action involving motion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body part of the user, A first group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is supplied with a positive power for the heating operation and a second group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By applying a reverse power for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to the group, Controlling to perform the thermal grill operation;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backward power source for output termination of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And applying auxiliary power to at least one group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such that the contact surface returns to an initial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중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을 동시에 중단할 수 있다.Here, in the stopping step,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backward power source can be stopped at the same time.
또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체감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그룹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흡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그룹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큰 상기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온도 하강량이 큰 상기 제2 그룹과 상기 온도 상승량이 작은 상기 제1 그룹이 상기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보조 전원을 상기 정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다.Here, in the controlling step, in order to exclude the user from sensing the thermal sensation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first group due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second group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reverse power having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larger than that of the forward power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lowering amount, And the auxiliary power source may b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ormal power source so that the first group having a small temperature rise amount has thermal equilibrium at the initial temperature.
또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체감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그룹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흡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그룹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큰 상기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온도 하강량이 큰 상기 제2 그룹과 상기 온도 상승량이 작은 상기 제1 그룹이 상기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제1 그룹에 제1 보조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제1 보조 전원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제2 보조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제1 보조 전원 및 상기 제2 보조 전원 중 상기 정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의 보조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및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보조 전원보다 더 클 수 있다.Here, in the controlling step, in order to exclude the user from sensing the thermal sensation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first group due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second group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reverse power having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larger than that of the forward power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lowering amount, And a second group of the first groups is applied with a first auxiliary power to the first group so that the first group having the small temperature rise amount is thermally balanc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Wherein the first auxiliary power supply and the second auxiliary power supply a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orward power supply, The voltage value is,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and duration to be larger than the other auxiliary power.
또 여기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열로 인하여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전원을 상기 역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thermally equilibrium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and the backward power, And may b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verse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열로 인하여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제1 보조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제1 보조 전원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제2 보조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제1 보조 전원 및 상기 제2 보조 전원 중 상기 역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의 보조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및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보조 전원보다 더 클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being thermally equilibrat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and the backward power, And a second auxiliary power source which is opposite in polarity to the first auxiliary power source and the second auxiliary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second group, wherein the first auxiliary power source and the second auxiliary power source At least one of the voltage value, the current valu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auxiliary power in the direction may be larger than the other auxiliary power.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열전 쌍 그룹 및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의 발열 동작 및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의 흡열 동작에 따라 발생한 온열과 냉열을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해,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에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역방향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을 위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 및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보조 전원을 인가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as a thermoelectric couple array including a first thermo couple group perform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second thermo couple group performing a heat absorbing operation;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of the user, wherein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st thermo pair group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second thermo pair group, A hea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heat sensation feedback by transmitting cold heat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pplying a positive power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and a negative power f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the second thermocouple group to start the outputting of the heat trap feedback, Controlling the first thermoelectric power supply to perform a thermal grill operation for outputting thermal sensory feedback,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forward power and the reverse power for the output end of the thermal sensory feedback, And a feedback controller for applying an auxiliary power to at least one group of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the paired group, and the second thermocouple group.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을 동시에 중단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simultaneously stop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backward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체감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흡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큰 상기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온도 하강량이 큰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과 상기 온도 상승량이 작은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이 상기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보조 전원을 상기 정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ensing the thermal sensation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feedback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heat-gener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The second thermoelectric couple group having a larger voltage value or a larger current value than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having a larger temperature decrease amount when the normal power source and the inverse power source are interrupted, The auxiliary power supply may b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ormal power supply so that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having a small temperature rise amount is thermally balanc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체감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흡열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방향 전원보다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큰 상기 역방향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온도 하강량이 큰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과 상기 온도 상승량이 작은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이 상기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에 제1 보조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에 상기 제1 보조 전원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제2 보조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제1 보조 전원 및 상기 제2 보조 전원 중 상기 정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의 보조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및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보조 전원보다 더 클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ensing the thermal sensation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feedback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heat-gener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The second thermoelectric couple group having a larger voltage value or a larger current value than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having a larger temperature decrease amount when the normal power source and the inverse power source are interrupted, A first sub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first thermo couple group so that the first thermo couple group having a small temperature rise amount is thermally balanc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The first auxiliary power supply and the second auxiliary power supply are applied with the second auxiliary power supply, At least one of the voltage value, the current valu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auxiliary power source in the same direction may be larger than the other auxiliary power sources.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열로 인하여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전원을 상기 역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thermally equilibrium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when the normal power supply and the reverse power supply are interrupted, It can b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verse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정방향 전원 및 상기 역방향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잔열로 인하여 상기 접촉면이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에 제1 보조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에 상기 제1 보조 전원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제2 보조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제1 보조 전원 및 상기 제2 보조 전원 중 상기 역방향 전원과 동일한 방향의 보조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및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보조 전원보다 더 클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being thermally balanc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owing to the residual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when the forward power source and the reverse power source are interrupted, the feedback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thermoelectric couple Group is applied to a first thermo-couple group and a second thermo-electric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second thermo-couple group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power application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voltage value, the current valu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auxiliary pow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wer supply may be larger than the other auxiliary power.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의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사용자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을 요청하는 개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시 메시지가 획득되면 상기 개시 메시지에 따른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완충 동작의 수행 중 상기 개시 메시지가 새로이 획득된 경우 상기 완충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이 획득된 상기 개시 메시지에 따른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of a thermoelectric element to which power is suppli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user's body part,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feedback, comprising: obtaining a start message requesting an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pplying an actuation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for initiating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initiation message if the initiation message is obtained;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end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angle,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opposite to the thermal feedback, in the course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Performing a buffer operation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And stopping the buffering operation when the start message is newly acquired during execution of the buffering operation and applying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star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newly obtained start mess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개시 메시지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제공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한 뒤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initiation message may include a time of providing the thermal feedback, and the step of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may be performed after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during the provision of the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요청하는 종료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료 메시지가 획득되면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a termination message requesting termination of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and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when the termination message is obtained.
또 여기서,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한 뒤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st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may be performed after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또 여기서, 상기 완충 동작은, 상기 작동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buffe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decreasing at least one of the voltag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열전 소자는,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고, 상기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상기 작동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열전 쌍 그룹의 개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s a thermoelectric 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ly controllable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and the step of performing the damping operation includes the steps of: May be performed by decreasing the number of pairs of groups.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게임 및 체감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동하는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열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수방되는 열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을 요청하는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개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개시 메시지에 따른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하여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상기 열전 동작에 의해 변화된 상기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적 피드백과 반대되는 열적 환각인 열 역전 환각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완충 동작의 수행 중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개시 메시지가 새로이 수신된 경우 상기 완충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이 수신된 상기 개시 메시지에 따른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한 작동 전원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content reproduction device for driving multimedia content comprising a game and a sensible application;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performing a thermoelectric ope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a power for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therm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to the user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ac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Receiving an initiation message requesting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initiation message is received, applying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starting outputting of the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initiation mess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user stops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for ending the output of the feedback, and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d by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to the initi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interrup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A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which is a thermal hallucination, and when the start message is newly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during the buffer operation, And transmits the start message to the newly received start message A feedback device including a can be provided; other feedback controller for applying a working power source for an output start of the thermal feedback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여기서, 상기 개시 메시지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제공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제공 시간 동안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한 뒤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Here, the initiation message may include a time for providing the thermal feedback, and the feedback controller may stop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after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for the provision time of the thermal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요청하는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termination message requesting termination of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wer when the termination message is received.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작동 전원을 인가한 뒤 상기 작동 전원의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stop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after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또 여기서,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작동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완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feedback controller may perform the buffering operation by reducing at least one of a voltage value and a current valu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또 여기서, 상기 열전 소자는,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고, 상기 피드백 콘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상기 작동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열전 쌍 그룹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완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s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ly thermocouple controllable groups, and the feedback controller controls the number of the thermocouple groups to which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The buffer oper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역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교번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communicating heat generated by a powered thermoelectric device to a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a body part of a user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a start message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And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by performing a thermal grill opera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combined when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rmal sensory feedback,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pplying a reverse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opposite to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power applying direction f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pplying the constant voltage,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step of alternately repeating the step of applying a voltag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 각각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열 동작에 따라 온감을 느끼거나 상기 흡열 동작 동작에 따라 냉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인지 시간 이하일 수 있다.Here, each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perception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feel warmth according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or to feel cold feeling according to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또 여기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온감 또는 냉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을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may be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in order to minimize the feeling of warmth or cold feeling by the heat sensation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은 1.5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may be 1.5 or more and 5.0 or less.
또 여기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은 동일하고,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are the same, and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is equal to the temperature fall amount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may be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reverse voltage.
또 여기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온도 하강량의 비율이 1.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정전압과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을 조절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heat sensation feedback, the voltage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to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is 1.5 or more and 5.0 or less.
또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 및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의 비율의 곱이 1.5 이하 5.0 이하일 수 있다.Here, the product of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reverse voltage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may be 1.5 or less and 5.0 or less hav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발열 동작 또는 상기 흡열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및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교번적으로 반복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receives a power supply and performs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 hea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thermal feedback start message including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rmal feedback feedback, the thermal output module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 endothermic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feedback device may be provided which controls the thermal output module to perform the thermal grill operation by applying an opposite reverse voltage alternately and repeatedly.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 각각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열 동작에 따라 온감을 느끼거나 상기 흡열 동작 동작에 따라 냉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인지 시간 이하일 수 있다.Here, each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perception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feel warmth according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or to feel cold feeling according to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또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온감 또는 냉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을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to be smaller than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in order to minimize the user's feeling of warmth or cold feeling due to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또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은 1.5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may be 1.5 or more and 5.0 or less.
또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은 동일하고,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stant voltage application time and the reverse voltage application time are the same, and the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constan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reverse voltage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can be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reverse voltage.
또 여기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온도 하강량의 비율이 1.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정전압과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을 조절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heat sensation feedback, the voltage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to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is 1.5 or more and 5.0 or less.
또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 및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의 비율의 곱이 1.5 이하 5.0 이하일 수 있다.Here, the product of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reverse voltage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may be 1.5 or less and 5.0 or less hav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제1 그룹에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 및 흡열 동작을 위한 역전압을 교번적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제2 그룹에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역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역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정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in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each of which is individually operat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a body part of the user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comprising: alternately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a heating operation and a reverse voltage f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to a first group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Applying the reverse voltage to the second group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while applying the constant voltage to the first group and applying the constant voltage while applying the reverse voltage to the first group; And a step of outputting heat trap feedback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performing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정전압 및 상기 역전압의 교번 주기는 각각 상기 발열 동작 또는 상기 흡열 동작의 개시로부터 상기 접촉면이 상기 사용자에 체감되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소용되는 지연 시간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alternating periods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may be larger than the delay time used until the contact surface reache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contact surface is sensed by the user from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start of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respectively.
또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은 동일하고,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constant voltage application time and the reverse voltage application time are the same, and the voltage value or current of the constant voltage such that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constan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reverse voltage. Value can be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reverse voltage.
또 여기서, 상기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온도 하강량의 비율이 1.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정전압과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voltage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is 1.5 or more and 5.0 or less.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제1 열전 쌍 그룹 및 제2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을 지시하는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열전 쌍 그룹에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 및 흡열 동작을 위한 역전압을 교번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2 열전 쌍 그룹에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역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역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정전압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first thermoelectric couple group and a second thermoelectric couple group which operate individually,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ower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thermal output module that includes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region and outputs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receive a start message indicating an output of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Group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group and the reverse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group while the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group,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the constant voltage while the reverse voltage is applied.
여기서, 상기 정전압 및 상기 역전압의 교번 주기는 각각 상기 발열 동작 또는 상기 흡열 동작의 개시로부터 상기 접촉면이 상기 사용자에 체감되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소용되는 지연 시간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alternating periods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may be larger than the delay time used until the contact surface reache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contact surface is sensed by the user from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start of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respectively.
또 여기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은 동일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constant-voltage application time and the reverse-voltage application time are the same,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t the constant voltage so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reverse voltage.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can be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reverse voltage.
또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온도 하강량의 비율이 1.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정전압과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을 조절하는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voltage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so that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rop amount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is 1.5 or more and 5.0 or less.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피드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일부에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일부의 열전 쌍 그룹에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다른 일부에 흡열 동작을 위한 역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 동작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흡열 동작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의 비율과 상기 발열 동작을 상기 일부의 열전 쌍 그룹의 면적에 대한 상기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다른 일부의 열전 쌍 그룹의 면적의 비율의 곱이 1.5 이상 5.0 이하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in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each of which is individually operat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a body part of the user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comprising: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a heating operation to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Applying a reverse voltage f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to anoth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rmocouple groups while the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couple group; And outputting heat trapping feedback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rein the temperature lowering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rising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product of the ratio of the ratio o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heat transfer operation to the area of the thermoelectric couple group of the other part performing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hermoelectric couple group is not less than 1.5 and not more than 5.0 .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쌍 어레이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열 통감 피드백의 출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열전 소자가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일부에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일부의 열전 쌍 그룹에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열전 쌍 그룹 중 다른 일부에 흡열 동작을 위한 역전압을 인가하는 피드백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 동작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흡열 동작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의 비율과 상기 발열 동작을 상기 일부의 열전 쌍 그룹의 면적에 대한 상기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다른 일부의 열전 쌍 그룹의 면적의 비율의 곱이 1.5 이상 5.0 이하인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a thermocoup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each of which operates individually,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of the user, And a therm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user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message requesting output of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o cau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exothermic operation and the exothermic operation so that the thermoelectric module outputs thermal sensation feedback, And a feedback controller for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a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a part of the pair group and applying a reverse voltage f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to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while the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couple group Wherein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to the other A feedback device in which the product of the ratio of the area of some thermoelectric couple groups is 1.5 to 5.0 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시 또 양상에 따르면,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여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도과 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료를 위한 상기 제1 전압을 차단 시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전압 - 상기 제1 전압과 동일한 방향의 작은 크기를 갖는 전압 - 을 인가하여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formed of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and a power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module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t output module such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to output thermal feedback Wherein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cond voltage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reduc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contact surface when the first voltage for termin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is cut off at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time, A voltage having a small magnit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prevent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g.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여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압이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전압이 미리 정해진 크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시간이 종료된 뒤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전압이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시간이 도과한 뒤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켜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formed of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A thermal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device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t output module such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to output thermal feedbac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 first volta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first volta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Wherein when the first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passes to reduce a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contact surface to prevent a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여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도과 시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료를 위한 상기 제1 전압을 차단 시 상기 열적 피드백인 온감 피드백인지 냉감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단 시 상기 열적 피드백인 온감 피드백인 경우에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차단 시 상기 열적 피드백인 냉감 피드백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접촉면의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켜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formed of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A thermal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device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t output module such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to output thermal feedback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whether the thermal feedback is a warm feedback or a cold feedback when the first voltage for shutting down the thermal feedback is interrupt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first feedback control unit applies a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during a first time period in case of the warm feedback which is thermal feedback and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during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in case of the cold feedback, By applying a low volta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tact surface, A feed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operation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피드백 개시 명령에 따라 상기 열 출력 모듈에 전원을 인가해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고, 피드백 종료 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을 차단해 상기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되, 상기 열적 피드백 종료 시 상기 열적 피드백을 위해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완충 시간 동안 인가하여 상기 피드백 종료에 따른 접촉면의 온도 변화를 저감시키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완충 시간 중 새로운 피드백 개시 명령이 획득되면 상기 완충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피드백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formed of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A thermal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device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thermal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power to the therm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feedback start command to output thermal feedback The thermal feedback is terminated by turning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feedback end command, and a voltage lower than a voltage applied for the thermal feedback is applied during the buffering time at the end of the thermal feedback, Wherein when the new feedback start command is obtained during the buffering time, the buffering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power for the new feedback is appli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및/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수행할 피드백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정전압과 역전압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듀티 사이클 형태의 전기 신호를 상기 열 출력 모듈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formed of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A thermal output modul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device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and /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a type of feedback to be performed, And applies an electric signal of a duty cycle type in which a constant voltage and a reverse voltage are alternately arranged, to the heat output module.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고 각각 개별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소자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및/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수행할 피드백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상기 복수의 열전 소자 그룹 중 제1 열전 소자 그룹과 제2 열전 소자 그룹을 상기 제1 열전 소자 그룹이 차지하는 면적과 상기 제2 열전 소자 그룹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비율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제1 열전 소자 그룹에는 정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열전 소자 그룹에는 역전압을 인가하여 중립 열 통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 group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electrically connected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nd which are individually controllable;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A thermal output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and /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a type of feedback to be performed,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to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the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the second thermoelement element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thermoelement element groups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ratio And a feedback device is provided in which a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a reverse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to output a neutral thermal sensor.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면적을 갖되 개별 제어가 가능한 제1 열전 소자 그룹 및 제2 열전 소자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및/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수행할 피드백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제1 열전 소자 그룹에는 제1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제2 열전 소자 그룹에는 제2 전기 신호를 인가하되,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정전압과 역전압이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정전압 구간과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역전압 구간이 일치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정전압 구간과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역전압 구간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including a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a second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which are made of electrically connected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nd have the same area bu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A thermal power module including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array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to transmit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and /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a type of feedback to be performed, The first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the second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the first electric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 signal are subjected to alternating Wherein a constant voltage section of the first electric signal and a reverse voltage section of the second electric signal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 constant voltage section of the second electric signal and a reverse voltage section of the first electric signal coincide with each oth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 열전 소자들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면적을 갖되 개별 제어가 가능한 제1 열전 소자 그룹 및 제2 열전 소자 그룹을 포함하는 열전 소자 어레이, 상기 열전 소자 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열 출력 모듈이 발열 동작 및/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온감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레벨의 정전압 및 냉감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레벨의 역전압을 인가하되, 수행할 피드백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제1 열전 소자 그룹과 제2 열전 소자 그룹에 각각 정전압과 역전압을 동시에 인가하되, 상기 정전압의 레벨이 상기 역전압의 레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ermoelectric element array including a first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and a second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which are made of electrically connected unit thermoelectric elements and have the same area bu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A thermal power module including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array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to transmit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 user;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so that the heat output module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and / or a heat absorption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induce a plurality of levels of constant voltage and cold feedback to induce warm feedback A plurality of levels of reverse voltages ar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hermoelectric element groups so as to determine a type of feedback to be performed, and when the type of the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Wherein the level of the constant voltage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reverse voltage.
1. 피드백 디바이스1. Feedback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열을 인가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The
1.1. 열적 피드백1.1. Thermal feedback
열적 피드백이란 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분포되어 있는 열 감각 기관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열적 감각을 느끼도록 하는 열적 자극으로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 열적 피드백은 사용자의 열 감각 기관을 자극하는 모든 열적 자극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rmal feedback is a type of thermal stimulation that stimulates the user's thermal sense mainly by stimulating the thermal sensory organs distributed in the user's body. In this specification, the thermal feedback is a comprehensive stimulation of the user's thermal sensory organs .
열적 피드백의 대표적인 예로는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들 수 있다. 온감 피드백은 사용자가 온감을 느끼도록 피부에 분포한 온점(hot spot)에 온열을 인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냉감 피드백은 사용자가 냉감을 느끼도록 피부에 분포된 냉점(cold spot)에 냉열을 인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rmal feedback include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The warm feedback means applying a warmth to a hot spot distributed on the skin so that the user feels warm and the cold feedback is to apply a cold heat to a cold spot distributed on the skin so that the user feels cold feeling it means.
여기서, 열은 양의 스칼라 형태로 표현되는 물리량이므로 ‘냉열을 인가한다’는 표현이 물리적 관점에서 엄밀한 표현은 아닐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열이 인가되는 현상에 대해서 온열이 인가되는 것으로 표현하고, 그 역이 되는 현상, 즉 열을 흡수하는 현상에 대하여는 냉열이 인가되는 것으로 표현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column is a physical quantity represented by a positive scalar shape, the expression 'applying cold heat' may not be strictly expressed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bu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opposite phenomenon, that is, a phenomenon in which heat is absorbed, is referred to as cold heat is appli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열적 피드백에는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 이외에도 열 그릴 피드백(thermal grill feedback)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온열과 냉열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개별적인 온감과 냉감으로 인식하는 대신 통감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감각을 소위 열 그릴 환감(TGI: Thermal Grill Illusion, 이하 ‘열 통감’이라고 함)이라고 한다. 즉, 열 그릴 피드백은 온열과 냉열을 복합적으로 인가하는 열적 피드백을 의미하며, 주로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 열 그릴 피드백은 통감에 가까운 감각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열 통감 피드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열 그릴 피드백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In addition, thermal feedback in this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thermal grill feedback in addition to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When the heat and the cold are given at the same time, the user perceives it as a sensation instead of recognizing it as individual warmth and cold sensation. This sensation is referred to as a so-called thermal grill (TGI). That is, the thermal grill feedback means thermal feedback that applies a combination of heat and cold heat, and can be provided mainly by simultaneously outputting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Thermal grill feedback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rmal sensory feedback in terms of providing a sensation close to intui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will be provided later.
1.2. 피드백 디바이스의 응용예1.2. Application example of feedback device
상술한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대표적인 몇몇 구현예에 관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The
1.2.1. 게이밍 콘트롤러(gaming controller)1.2.1. Gaming controller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대표적인 구현예 중 하나로 게이밍 콘트롤러(100a)를 들 수 있다. On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여기서,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게임 환경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주로 게임 콘솔 장치,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 폰 등의 게임을 구동시키는 각종 장치들과 연동되어 게임에 이용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물론, 휴대용 게임기의 경우에는 기기 자체에 게이밍 콘트롤러(100a)가 일체를 이뤄 탑재되기도 한다. Here, the
최근 게임 환경은 기존의 TV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게임 화면에 사용자의 조작을 반영하던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오큘러스(Oculus)社의 리프트(Rift)TM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社의 홀로렌즈(Hololens) TM 등과 같은 두부 장착형 교시 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한 가상 현실 내지는 증강 현실로까지 변모하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게임 환경에서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단순한 입력 수단에서 벗어나 게임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각종 피드백을 제공하는 출력 수단으로까지 그 역할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 예로 소니(Sony)社의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TM용 듀얼 쇼크(Dual Shock)TM에는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출력하는 진동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Recently, the game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from the conventional form reflecting the user's operation on the game screen outputted through the conventional TV or monitor, and the user can use the Oculus Rift TM or Microsoft's Hololens ) TM or a head mounted display (HMD)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MD) is being transformed into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In such a new game environment, the
본 명세서에서 게이밍 콘트롤러(100a)로 구현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사용자가 느끼지 못했던 열적 감각을 인터렉티브 요소로 게임에 추가시켜 보다 높은 게임 몰입도를 유도할 수 있다. The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예 중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 관한 것이다.1 through 7 relate to a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예를 들어 소니社의 플레이스테이션이나 마이크로소프트社의 엑스박스(Xbox)TM와 연동되는 입력 수단 등과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양손으로 파지되는 전통적인 형태(100a-1)를 비롯하여 닌텐도(Nintendo)社의 위(Wii)TM 와 연동되는 입력 수단 등과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한손으로 파지되는 바 타입(100a-2)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특히, 바 타입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최근 증강 현실 내지는 가상 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소니社의 플레이스테이션 VRTM에 이용되는 무브 모션(Move Motion)TM이나 HTC社의 바이브(Vive)TM용 입력 수단처럼 양손에 하나씩 파지되는 한 쌍의 바 타입(100a-3)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In particular, the bar-
이외에도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주로 레이싱 게임에 이용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휠 타입(100a-4),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게임에 이용되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조이스틱 타입(100a-5), 일인칭 슈터(FPS: First Person Shooter) 게임에 이용되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건 타입(100a-6) 또는 컴퓨터 게이밍 환경에서 일반적인 이용되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마우스 타입(100a-7)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상술한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바닥면)와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각 형태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부위, 즉 접촉면(1600)이 표시되어 있다. 물론, 접촉면(1600)의 위치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 있어서 도면과 다른 부위에 접촉면(1600)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above-described
1.2.2.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1.2.2. A wearable device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다른 구현예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를 고려해 볼 수 있다. Other embodiments of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편리한 기술을 추구하는 최근 트렌드에 따라 점차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Human-Machine Interface)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100b)이 개발되고 있는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에 열적 피드백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새로운 사용자 경험이 가능해질 수 있다. Here, the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예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에 관한 것이다.8-14 illustrate a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안경처럼 착용하는 글래스 타입(100b-1),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VR이나 AR 등을 구현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HMD 타입(100b-2),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손목에 착용하는 워치 타입(100b-3)이나 밴드 타입(100b-4),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옷처럼 입을 수 있는 슈트 타입(100b-5), 도 1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장갑처럼 손에 끼울 수 있는 글러브 타입(100b-6), 도 1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신발처럼 신을 수 있는 슈즈 타입(100b-7) 등과 같이 그 명칭 그대로 사용자의 신체 각부에 장착되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The
상술한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서와 마찬가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에서도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각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부위, 즉 접촉면(1600)이 표시되어 있다. 물론, 접촉면(1600)의 위치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에 있어서 도면과 다른 부위에 접촉면(1600)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s with the
1.2.3. 그 외1.2.3. etc
이상에서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예 중 게이밍 콘트롤러(100a)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예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실질적으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 기능이 유용하게 이용되는 어떠한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한 몇몇 예시를 소개하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환자의 열 감각을 테스트하기 위한 의료 기기에 응용되거나, 운전자의 손에 적당한 열감을 제공하거나 경고 신호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응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학생에게 열 감각을 제공하여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육용 설비에 이용되거나 영화관의 의자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시청각 감각에 더해 열적 감각을 제공하여 영화 몰입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Substantially the
종합하면, 피드백 디바이스는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기기로서, 게임, 동영상, VR/AR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체감형 어플리케이션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 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수반되는 열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열적 피드백을 이용하는 분야에는 포괄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드백 디바이스는 주로 게임 및 체감형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동하는 게임 콘솔이나 PC 등의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와 연동될 수 있다. 물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피드백 디바이스 자체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동하는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을 것이다. Together, the feedback device is a devic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that utilizes thermal feedback to provide thermal experience associat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 during playback of multimedia content, such as games, moving images, and tactile applications, including VR / AR applications I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To this end, the feedback device can be interlocked with a content playback device such as a game console or a PC, which drives multimedia contents provided mainly in the form of a game and a sensible application. Of cours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feedback device itself may also serve as a content reproduction device for driving multimedia contents.
위해 열적 피드백으For thermal feedback
1.3. 피드백 디바이스의 구성1.3. Configuration of Feedback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도 15를 참조하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 및 피드백 유닛(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은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고, 피드백 유닛(1000)은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기 위한 유닛이다. Referring to FIG. 15, the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은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콘솔과 연동되는 게이밍 콘트롤러(100a) 타입인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은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케이싱, 게임 콘솔과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슈트 타입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은 슈트를 구성하는 슈트 부재, 사용자의 신체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us, the
이와 달리 피드백 유닛(1000)의 경우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소 그 적용 형태가 변동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열을 발생시키거나 흡수하는 구성, 발열/흡열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및 사용자에게 열을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Alternatively, the
이하에서는 먼저 피드백 유닛(1000)에 관하여 설명한 뒤,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몇몇 구현 형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의 구성과 피드백 유닛(1000)과의 연동 방식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1.3.1. 피드백 유닛1.3.1. Feedback unit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유닛(1000)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6을 참조하면, 피드백 유닛(1000)은 열 출력 모듈(1200), 피드백 콘트롤러(1400) 및 접촉면(1600)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유닛(1000)은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 출력 모듈(1200)을 제어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하고, 접촉면(16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온열 및 냉열을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이하에서는 피드백 유닛(10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1.3.1.1. 열 출력 모듈1.3.1.1. Heat Output Module
열 출력 모듈(1200)은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열 출력 모듈(1200)은 펠티에 소자(Peltier element) 등의 열전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The
펠티에 효과는 1834년 쟝 펠티에(Jean Peltier)에 의해 발견된 열전 현상으로, 이종(異種)의 금속을 접합한 뒤 전류를 흘리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한쪽에서는 발열 반응이 발생하고 다른 쪽에서는 냉각 반응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펠티에 소자는 이러한 펠티에 효과를 일으키는 소자로서, 펠티에 소자는 초기에는 비스무트와 안티몬과 같은 이종 금속 접합체로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보다 높은 열전 효율을 갖도록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N-P 반도체를 배열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The Peltier effect is a thermoelectric phenomenon discovered by Jean Peltier in 1834. When a different kind of metal is bonded and then the current flows, an exothermic reaction occurs on one side and a cooling reaction occurs on the other side This means the phenomenon that occurs. Peltier devices are devices that produce such a Peltier effect. Peltier devices are initially made of dissimilar metal assemblies such as bismuth and antimony, but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NP semiconductors are arranged between two metal plates to have higher thermoelectric efficiency .
펠티에 소자는 전류가 인가되면 양쪽 금속판에서 발열과 흡열이 즉각적으로 유도되며, 전류 방향에 따라 발열과 흡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발열이나 흡열 정도도 비교적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열적 피드백을 위한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에 이용되기 적절하다. 특히, 최근 유연 열전 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접촉이 용이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해져 피드백 디바이스(100)로서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The Peltier device is able to instantly induce heat and endothermic currents on both metal plates when current is applied and to convert heat and endothermic currents according to the current direction and to adjust the heat and endothermic degree relatively precise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It is suitable to be used for heat generation operation and heat absorption operation. In particular, as the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has been develop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contacted to the user's body, and thu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use as the
이에 따라 열 출력 모듈(1200)은 상술한 열전 소자에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는 전기를 인가받은 열전 소자에서는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열 출력 모듈(1200)에 관해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면이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발열 동작으로, 열을 흡수하는 것을 흡열 동작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열전 소자는 기판 상에 N-P 반도체를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 전류가 인가되면 일측에서는 발열이 이루어지고 타측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한 측면을 전면, 그 반대 측면을 배면으로 하면, 열 출력 모듈(1200)에 대하여 전면에서 발열, 배면에서 흡열이 일어나는 것을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로 전면에서 흡열, 후면에서 발열이 일어나는 것을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 열전 효과는 열전 소자에 흐르는 전하에 의해 유도되므로, 열 출력 모듈(1200)의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유도하는 전기에 대해서 전류 관점으로 서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괄적으로 전압 관점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전압 관점에서의 서술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가 이를 전류 관점으로 치환하여 해석하는 것에 발명적 사고가 필요한 것도 아니므로, 본 발명이 전압 관점으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Since the thermoelectric effect is induced by the electric charge flowing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e electric current inducing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열 출력 모듈(1200)은 열전 소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열 출력 모듈(1200)의 구성 및 형태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따로 후술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1.3.1.2. 피드백 콘트롤러 1.3.1.2. Feedback controller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유닛(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출력 모듈(1200)의 열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열 출력 모듈(12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과 피드백 유닛(1000) 간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The
이를 위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열 출력 모듈(1200)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열 출력 모듈(1200)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 회로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피드백 유닛(1000)의 동작은 피드백 콘트롤러(14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1.3.1.3. 접촉면1.3.1.3. Contact surface
접촉면(16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해 열 출력 모듈(1200)에서 발생하는 온열 또는 냉열을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한다. 다시 말해,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외면 중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접촉면(160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부위가 접촉면(1600)일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형태의 슈트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슈트의 내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접촉면(1600)이 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접촉면(1600)은 열 출력 모듈(1200)의 외면(사용자의 신체 방향)에 직간접적으로 부착되는 레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접촉면(1600)은 열 출력 모듈(1200)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배치되어 열 출력 모듈(1200)과 사용자 사이의 열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면(1600)은 열 출력 모듈(1200)로부터 사용자 신체로의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열 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레이어 타입의 접촉면(1600)은 열 출력 모듈(1200)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 출력 모듈(12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가진다.In one example, the
여기서, 레이어 타입의 접촉면(1600)은 면적 관점에서 보다 넓은 열 전달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 출력 모듈(1200)의 외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트 타입의 피드백 디바이스(100)에서 열 출력 모듈(1200)이 몇몇 특정 지점에 배치되더라도 접촉면(1600)은 슈트의 내면 전체가 될 수 있다. Here, the layer-
한편, 이상에서는 접촉면(1600)이 열 출력 모듈(1200) 상에 배치되는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열 출력 모듈(1200)의 외면 그 자체가 접촉면(1600)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촉면(1600)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에서는 피드백 유닛(1000)에서 접촉면(1600)이 열 출력 모듈(1200)과 대등한 구성 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열 출력 모듈(1200)이 접촉면(160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1.3.1.4. 열 출력 모듈의 구성 및 형태1.3.1.4. Configuration and type of heat output module
이상에서 열 출력 모듈(1200)은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한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이하에서는 열 출력 모듈(1200)의 구성 및 형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먼저 열 출력 모듈(12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열 출력 모듈(1200)은 기판(1220)과 기판(1220)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 쌍 어레이(1240)로 구성되는 열전 소자 및 열전 소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단자(12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기판(1220)은 단위 열전 쌍(124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절연 소재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기판(1220)의 소재로는 세라믹을 선택할 수 있다. 또 기판(1220)은 평판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The
열 출력 모듈(1200)이 다양한 형상의 접촉면(1600)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범용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기판(1220)은 유연성을 갖도록 유연 소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이밍 콘트롤러(100a) 타입의 피드백 디바이스(100)에서는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게이밍 콘트롤러(100a)를 파지하는 부위가 곡면 형상인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곡면 부위에 열 출력 모듈(12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 출력 모듈(1200)이 유연성을 갖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1220)에 이용되는 유연 소재의 예로는, 유리 섬유(glass fiber)나 유연성 플라스틱(flexible plastic)이 있을 수 있다. The
열전 쌍 어레이(1240)는 기판(122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열전 쌍(1241)으로 구성된다. 단위 열전 쌍(1241)으로는 서로 상이한 금속 쌍(예를 들어, 비스무트와 안티몬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주로는 N형과 P형의 반도체 쌍을 이용할 수 있다. The
단위 열전 쌍(1241)에서 반도체 쌍은 일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에서 단위 열전 쌍(12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도체 쌍 간 또는 인접 반도체와의 전기적 연결은 기판(1220)에 배치되는 도체 부재(1242)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체 부재(1242)는 구리나 은 등의 도선이나 전극일 수 있다. In the
단위 열전 쌍(1241)의 전기적 연결은 주로 직렬 연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단위 열전 쌍(1241)은 열전 쌍 그룹(1244)을 이루고, 다시 열전 쌍 그룹(1244)은 열전 쌍 어레이(1240)를 이룰 수 있다. The
전원 단자(1260)는 열 출력 모듈(12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 단자(1260)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열전 쌍 어레이(1240)는 열을 발생시키거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1260)는 하나의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하여 두 개씩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 쌍 그룹(1244)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열전 쌍 그룹(1244) 별로 두 개의 전원 단자(126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방식에 의하면 열전 쌍 그룹(1244) 별로 전압값이나 전류 방향을 개별 제어하여, 발열 및 흡열 중 어느 것을 수행할지 여부와 발열이나 흡열 시 그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또 후술하겠지만, 전원 단자(1260)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에 의해 출력된 전기 신호를 인가 받으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전기 신호의 방향이나 크기를 조절하여 열 출력 모듈(1200)의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열전 쌍 그룹(1244)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전원 단자(1260)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개별 조절하여 열전 쌍 그룹(1244) 별로 개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이상에서 설명한 열 출력 모듈(12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열 출력 모듈(1200)의 몇몇 대표적인 형태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Some exemplary aspects of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1200)의 일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17 is a view of one embodiment of a
도 17을 참조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의 일 형태에서 한 쌍의 기판(122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공된다. 두 기판(1220) 중 하나의 기판(1220)의 외측에는 접촉면(1600)이 위치하여, 열 출력 모듈(1200)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 기판(1220)으로 유연성 기판(1220)으로 이용하면, 열 출력 모듈(1200)에 유연성이 부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in a form of the
기판(1220) 사이에는 복수의 단위 열전 쌍(1241)이 위치된다. 각 단위 열전 쌍(1241)은 N형 반도체(1241a)와 P형 반도체(1241b)의 반도체 쌍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단위 열전 쌍(1241)에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는 일단에서 도체 부재(124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임의의 단위 열전 쌍(1241)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의 타단이 각각 인접한 단위 열전 쌍(1241)의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타단과 도체 부재(124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단위 소자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단위 열전 쌍들(1241)이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이루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열전 쌍 어레이(1240) 전체가 하나의 열전 쌍 그룹(1244)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원 단자(1260) 사이에서 전체 단위 열전 쌍(1241)이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열 출력 모듈(1200)은 그 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원 단자(1260)에 일 방향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열 출력 모듈(1200)은 발열 동작을 수행하며, 반대 방향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흡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unit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1200)의 다른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8을 참조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의 다른 형태는 상술한 일 형태와 유사하다. 다만, 본 형태에서는 열전 쌍 어레이(1240)가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가지며 각각의 열전 쌍 그룹(1244)이 각각의 전원 단자(1260)와 연결됨에 따라 열전 쌍 그룹(1244) 별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8에서 제1 열전 쌍 그룹(1244-1)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여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은 발열 동작(이때의 전류 방향을 ‘정방향’으로 함)을,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은 흡열 동작(이때의 전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의 전원 단자(1260)와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의 전원 단자(1260)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인가하여 제1 열전 쌍 그룹(1244-1)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이 서로 상이한 정도의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8, another form of the
한편, 도 18에서는 열전 쌍 어레이(1240)에서 열전 쌍 그룹(1244)이 일차원 어레이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열전 쌍 그룹(1244)이 이차원 어레이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1200)의 또 다른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열전 쌍 그룹(1244)을 이용하면 보다 세분화된 지역 별 동작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In FIG. 18, the
또 한편, 상술한 열 출력 모듈(1200)의 형태들에서는 한 쌍의 마주보는 기판(1220)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단일의 기판(122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meantim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출력 모듈(1200)의 다시 또 다른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일한 기판(1220)에 단위 열전 쌍(1241)과 도체 부재(1242)가 단일한 기판(122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1220)으로 유리 섬유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단일한 기판(1220)을 이용하면 열 출력 모듈(1200)에 보다 높은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단일한 기판(1220)으로 다공성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내의 공극 등에 단위 열전 쌍(1241)이나 도체 부재(1242)가 매립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20 is a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a
이상에서 설명한 열 출력 모듈(1200)의 다양한 형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조합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출력 모듈(1200)의 각 형태에서는 열 출력 모듈(1200)의 전면에 접촉면(1600)이 열 출력 모듈(1200)과 별개의 레이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열 출력 모듈(1200)의 전면 자체가 접촉면(160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열 출력 모듈(1200)의 일 형태에서는 일 기판(1220)의 외측면이 접촉면(1600)이 될 수 있는 식이다. Various forms of the
1.3.2. 어플리케이션 유닛1.3.2. Application unit
이하에서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은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구현 행태에 따라 그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이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모든 구현예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을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에 관해서는 게이밍 콘트롤러(100a)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의 구성에 관한 개략도이다. FIG. 21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은 케이싱(2100), 입력 모듈(2200), 센싱 모듈(2300), 진동 모듈(2400), 통신 모듈(2500), 메모리(2600) 및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를 포함할 수 있다.21 and 22, the
케이싱(2100)은 게이밍 콘트롤러(100a) 타입의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통신 모듈(2500)이나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 등의 구성을 수납한다. 이에 따라 수납된 구성들은 케이싱(2100)에 의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The
케이싱(2100)의 전체 형상은 주로 양손용인 패드 타입과 한손용인 바 타입일 수 있으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양손용 패드 타입은 전통적인 2D 디스플레이 위주의 게임에 주로 이용되며, 바 타입은 가상 현실, 증강 현실이나 혼합 현실(MR: Mix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편이다.The entire shape of the
케이싱(2100)에는 사용자가 피드백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12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위해 파지부(2120)는 그 재질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예를 들어, 고무나 우레탄 등)로 마련되거나 미끄럼 방지 형상(예를 들어, 요철 형상 등)을 갖질 수 있다. 또 파지부(2120)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발생하는 땀을 잘 흡수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여기서, 파지부(2120)에는 피드백 유닛(1000)의 접촉면(1600)이 형성되거나 또는 파지부(2120)가 접촉면(1600)에 해당될 수 있다. 패드 타입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경우에는 파지부(2120)가 두 군데에 있을 수 있으며, 바 타입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경우에는 파지부(2120)가 한 군데에 있을 수 있다. 대신 바 타입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는 두 개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 파지부(2120)가 각각 존재할 수 있다. Here, the
입력 모듈(22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서 사용자 입력은 주로 게임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며, 그 예로는 게임 내의 캐릭터 조작이나 메뉴 선택 등을 들 수 있다. 입력 모듈(2200)은 주로 버튼이나 스틱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스틱을 특정 방향으로 조작하여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입력 모듈(2200)이 상술한 예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모듈(2300)은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센싱 모듈(2300)의 예로는,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센서나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동작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가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의 신체 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를 들 수 있다. 자세 센서나 모션 센서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에는 사용자의 신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나 심전도를 감지하는 심전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진동 모듈(2400)은 진동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피드백은 열적 피드백과 함께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한층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내의 캐릭터가 폭발 장면에 휘말리거나 높은 위치에서 낙하하여 충격받는 경우 등에는 진동 피드백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진동 피드백과 열적 피드백은 서로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통신 모듈(2500)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경우에 따라 스탠드 얼론 타입으로 게임 콘솔을 역할까지 수행하기도 하지만, 게임 콘솔이나 PC 등의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전자 기기(전문적으로 게임 구동을 위하여 제조된 게임 콘솔을 비롯하여 휴대성을 강조한 휴대용 게임 콘솔, PC,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이 게임을 구동시키는 전자 기기가 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이들을 통칭하여 ‘게임 콘솔’이라 함)와 연동하여 동작하기도 한다. 따라서, 게이밍 콘트롤러(100a)는 통신 모듈(2500)을 통해 게임 콘솔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통신 모듈(2500)은 크게 유선 타입과 무선 타입으로 나뉜다. 유선 타입과 무선 타입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 유선 타입과 무선 타입이 동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The
유선 타입의 경우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이 대표적인 예이나 그 외의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무선 타입의 경우에는 주로 블루투스(Bluetooth)나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무선 타입의 통신 모듈(2500)은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그 외의 알려진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게임 제조사에 의해 개발된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ase of wired type, USB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but other methods are also possible. In the case of the wireless typ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bas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Zigbee is mainly used. However,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s not limited to this, the
메모리(26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0)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0)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메모리(2600)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내장되는 형태나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메모리(2600)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이나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하거나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의 제어 및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입력 모듈(2200)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나 센싱 모듈(2300)에서 감지된 게이밍 콘트롤러(100a)의 자세 정보를 통신 모듈(2500)을 이용해 게임 콘솔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통신 모듈(2500)을 통해 게임 콘솔로부터 진동 신호를 수신해 진동 센서가 진동 피드백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통신 모듈(2500)을 통해 게임 콘솔로부터 열적 피드백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피드백 콘트롤러(1400)에 전달하여,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 출력 모듈(1200)을 제어하여 열적 피드백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The
상술한 제어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가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 회로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trol operation can be performed as the
어플리케이션 유닛(2000)의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와 피드백 유닛(1000)의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단일 물리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와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별도의 칩으로 제조되고, 둘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협동할 수도 있지만, 기능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와 피드백 콘트롤러(14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단일 칩으로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와 피드백 콘트롤러(1400)를 기능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보고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The
한편,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게이밍 콘트롤러(100a)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게이밍 콘트롤러(100a)에서 설명한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형태의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게이밍 콘트롤러(100a)가 반드시 게임용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가상 현실 기술이나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한 체험용 어플리케이션, 교육 어플리케이션, 의료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방면에 이용될 수 있음 역시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2. 피드백 디바이스의 동작 2. Operation of Feedback Device
이하에서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기본적으로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열적 피드백에는 온감 피드백, 냉감 피드백 및 열 그릴 피드백이 포함될 수 있다.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피드백 유닛(1000)이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상술한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을 다양한 강도로 제공할 수 있다. 열적 피드백의 강도는 피드백 유닛(1000)의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The
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 제공 시 접촉면(1600)을 통해 열을 전달받는 사용자의 피부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피드백 유닛(1000)의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강도나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역전 환각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열 역전 환각이란 열적 피드백의 종료 시 종료된 열적 피드백의 반대되는 열감이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현상으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 종료 시 완충 구간을 마련함으로써 열 역전 환각을 제거할 수 있다.The
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이 이동하는 열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열 이동이란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으로 구성되는 열전 쌍 어레이(1240)로 제공되는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접촉면(1600) 상에서 열이 이동하는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동작들에 관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operations of the
2.1. 열적 피드백 제공 동작2.1. Providing thermal feedback
이하에서는 상술한 피드백 유닛(1000)에 의해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드백 유닛(1000)이 제공하는 열적 피드백은 사용자에게 온감을 제공하는 발열 동작과 냉감을 제공하는 흡열 동작을 기본으로 한다. 또 피드백 유닛(1000)은 사용자에게 열 통감을 제공하기 위해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열적 피드백의 일종으로 수행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thermal feedback by the above-described
이하에서는 발열 동작, 흡열 동작 및 열 그릴 동작 및 열 이동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nd the heat grill operation and the heat transfer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2.1.1. 발열/흡열 동작2.1.1. Heat / heat absorption operation
피드백 유닛(1000)은 열 출력 모듈(1200)로 발열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온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열 출력 모듈(1200)로 흡열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냉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발열 동작에 관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감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for providing warm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graph relating to strength of warm feedba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발열 동작은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정방향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접촉면(1600) 방향에 발열 반응을 유도시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일정한 전압(이하에서는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전압을 ‘정전압’으로 지칭함)을 인가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발열 동작을 개시하는데, 접촉면(1600)의 온도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간에 따라서 포화 온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열 동작 개시 초기에는 온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미약하게 느끼며, 포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온감이 상승하는 것을 느낀 뒤,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로는 포화 온도에 해당하는 온감 피드백을 제공받게 된다. Referring to FIG. 23, the hea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inducing an exothermic rea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흡열 동작에 관한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감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absorbing operation for providing cold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graph illustrating strength of cold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흡열 동작은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접촉면(1600) 방향에 흡열 반응을 유도시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일정한 전압(이하에서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전압을 ‘역전압’으로 지칭함)을 인가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흡열 동작을 개시하는데, 접촉면(1600)의 온도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간에 따라서 포화 온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열 동작 개시 초기에는 냉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미약하게 느끼며, 포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냉감이 상승하는 것을 느낀 뒤,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로는 포화 온도에 해당하는 냉감 피드백을 제공받게 된다. 25, an endothermic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inducing an endothermic rea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열전 소자에 전원을 인가하면 열전 소자에서는 그 양측에서 발생하는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에 더하여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열 출력 모듈(1200)에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전류의 방향만 바꾸어 인가하는 경우에는 발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이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온도 변화량은 열 출력 모듈(1200)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초기 온도와 포화 온도 간의 온도 차이를 의미한다. When a power is applied to a thermoelectric element, in addition to an exothermic reaction and an endothermic reaction occurring on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electric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heat is generated. Therefore, when a voltage of the same magnitude is applied to the
한편, 이하에서는 열전 소자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열전 동작’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또 추가적으로 이하에서 후술될 열 그릴 동작 역시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이 복합된 동작이므로 열 그릴 동작 역시 ‘열전 동작’의 일종으로 해석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perform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thermoelectric conversion operation ".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grill opera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also a combined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he thermal grill operation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kind of 'thermoelectric operation'.
2.1.1.1. 발열/흡열 동작의 강도 제어2.1.1.1. Strength control of heat / heat absorption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열 출력 모듈(1200)이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수행할 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열 출력 모듈(1200)의 발열 정도나 흡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전류의 방향을 조정하여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 중 제공할 열 피드백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에 더해,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여 온감 피드백이나 냉감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조절을 이용한 온감/냉감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그래프이다.27 is a graph showing the strength of warm / cool feedback using voltag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27을 살펴보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5단계의 전압값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가함으로써, 피드백 유닛(1000)이 사용자에게 온감 피드백 5단계와 냉감 피드백 5단계의 총 10가지의 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7, the
여기서, 도 27에서는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이 각각 동일한 개수의 강도 등급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강도 등급의 개수가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In FIG. 27,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re shown to have the same number of strength classes, respectively. However, the number of strength classes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must not be the same an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 여기서, 동일한 크기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전류 방향을 바꿔줌으로써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구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온감 피드백을 위해 인가되는 전압값의 크기와 냉감 피드백을 위해 인가되는 전압값의 크기가 서로 동일할 필요도 없다. Here, it is shown that the warm-up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r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current direction using the same-sized voltage value. However, sinc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applied for the warm-up feedback and the voltage value applied for the cold feedback Need not be equal to each other.
특히,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발열 동작에 따른 온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이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보다 크므로, 도 2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냉감 피드백 시에 동일 등급의 온감 피드백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큰 전압을 인가하여 서로 대응되는 강도 등급에서 동일한 온도 변화량을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온도 변화량을 갖는 온감/냉감 피드백에 관한 그래프이다.In particular, when the same voltage is applied to perform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warm-up feedback due to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due to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warm-feeling feedback of the same rating to the same degree of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corresponding strength classes. 28 is a graph relating to warm / cool feedback with the same temperature change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열적 피드백의 강도 제어는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일 예로, 열 출력 모듈(1200)의 열전 쌍 어레이(1240)가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가지는 경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그룹(1244) 별로 동작을 제어하여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 쌍 그룹(1244) 별 동작 제어를 통한 온감/냉각 피드백 강도 조절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가 5개의 열전 쌍 그룹(1244-1, 1244-2, 1244-3, 1244-4, 1244-5)으로 이루어진 경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그룹(1244)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전체 열전 쌍 그룹(1244)에 전압을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최대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4개의 열전 쌍 그룹(1244)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중상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3개의 열전 쌍 그룹(1244)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중간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2개의 열전 쌍 그룹(1244)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중하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1개의 열전 쌍 그룹(1244)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최소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FIG. 2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ontrol of the warm / cool feedback intensity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of each
이와 같이 열전 쌍 그룹(1244) 별 전압 인가/비인가 여부를 통해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할 시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열 분포가 최대한 균일해지도록 전압을 인가받을 열전 쌍 그룹(1244)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전압을 인가받는 열전 쌍 그룹(1244)이나 전압을 인가받지 않는 열전 쌍 그룹(1244)이 연속되는 개수가 최소가 되는 형태로 열전 쌍 그룹(1244)으로의 전압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표는 열 분포의 균일도를 고려한 형태이므로, 이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In order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through the voltage application / non-application of the
다른 예로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전원 인가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어레이(1240)에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갖는 듀티 신호 형태의 전기 신호로 전원을 인가하여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가 타이밍 제어를 통한 온감/냉각 피드백 강도 조절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기 신호의 듀티 레이트(duty rate)를 조정하여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제어됨을 볼 수 있다. FIG. 30 is a graph for controlling the warm / cool feedback strength through power supply tim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0,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uty rate of the electric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하면 사용자에게 단순히 온감과 냉감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강한 온감, 약한 온감, 강한 냉감, 약한 냉감 등의 세분화된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하게 세분화된 열적 피드백을 게임 환경이나 가상/증강 현실 환경 등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라면 환자의 감각을 보다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t is possible to provide subtle thermal feedback such as strong warmth, weak warmth, strong cold feeling, and weak cold feeling, apart from simply providing warmth and cold feeling to the user. Such various types of thermal feedback can provide a higher degree of immersion for the user in a game environment or a virtual /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and it is possible to inspect a patient's senses more precisely when applied to a medical device.
한편, 상술한 열적 피드백의 강도 조절 방식 이외에도 전압 조절 방식, 열전 쌍 그룹(1244) 별 조절(즉, 영역 별 조절) 방식 및 듀티 사이클을 이용한 조절 방식을 혼합하여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이를 조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o the thermal feedback intensity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by mixing the voltage control method, the
2.1.2. 열 그릴 동작2.1.2. Thermal grill motion
피드백 유닛(1000)은 온감 피드백 및 냉각 피드백 이외에도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열 통감이란 사람의 신체에 온점과 냉점이 동시에 자극되는 이를 경우 온감과 냉감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통감으로 인식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드백 유닛(1000)은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복합 수행하는 열 그릴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한편, 피드백 유닛(1000)은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열 그릴 피드백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한 뒤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2.1.2.1. 열 그릴 피드백의 종류2.1.2.1. Types of thermal grill feedback
열 그릴 피드백에는 중립 열 그릴 피드백, 온열 그릴 피드백 및 냉열 그릴 피드백이 포함될 수 있다. Thermal grill feedback may include neutral thermal grill feedback, hot grill feedback, and cold grill feedback.
여기서, 중립 열 그릴 피드백, 온열 그릴 피드백, 냉열 그릴 피드백은 각각 사용자에게 중립 열 통감, 온열 통감, 냉열 통감을 유발한다. 중립 열 통감은 온감 및 냉감 없이 통감만 느껴지는 것을 의미하고, 온열 통감이란 온감에 더하여 통감이 느껴지는 것을 의미하고, 냉열 통감이란 냉감에 더하여 통감이 느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neutral column grill feedback, the hot grill feedback, and the cold grill feedback cause the user to generate neutral heat, heat, and cold and heat, respectively. Neutral heat sensation means sensation without feelings of warmness and coldness. Thermal sensation means feeling sensation in addition to warmth, and cold sensation can mean feeling sensation in addition to feeling cold.
중립 열 통감은 사용자가 느끼는 온감과 냉감의 강도가 소정 비율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유발된다. 중립 열 통감을 느끼는 비율(이하 ‘중립 비율’이라 함)은 열적 피드백을 제공받는 신체 부위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신체 부위라고 하더라도 개인 별로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대개의 경우 냉감의 강도가 온감의 강도보다 크게 주어지는 상황에서 중립 열 통감이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Neutral heat sensation is caused when the user feels warmth and cold sensation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ratio range. The percentage of neutral fever sens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utral ratio') can be different for each part of the body that is provided with thermal feedback, and even if it is the same body part, it may be slightly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In a situation where the strength is given larger than the strength, there is a tendency to feel a neutral heat sensation.
여기서, 열적 피드백의 강도는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접촉면(1600)에 접한 신체 부위에 가하는 열량 내지는 해당 신체 부위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일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면적에 일정한 시간 동안 열적 피드백이 가해지는 경우, 열적 피드백의 강도는 열적 피드백이 가해지는 대상 부위의 온도에 대한 온감이나 냉감의 온도의 차이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Here,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may be the amount of heat that the
한편, 사람의 체온은 대개 36.5~36.9℃ 사이이며, 피부의 온도는 개인마다 또 부위마다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약 30~32℃로 알려져 있다. 손바닥의 온도는 평균적인 피부 온도보다 다소 높은 약 33℃ 정도이다. 물론, 상술한 온도 수치들은 개인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으며, 동일인이라도 어느 정도 변동될 수는 있다.On the other hand, human body temperature is usually between 36.5 and 36.9 ℃, and skin temperature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but it is known to be about 30 ~ 32 ℃ on average. The temperature of the palm is about 33 ℃,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Of course, the temperature values described above may b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even the same person may vary to some extent.
일 실험예에 따르면, 33℃의 손바닥에 약 40℃의 온감과 약 20℃의 냉감이 주어지는 경우 중립 열 통감이 느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손바닥 온도를 기준으로 볼 때 +7℃의 온감과 -13℃의 냉감이 주어진 것이며, 따라서 온도 관점에서의 중립 비율은 1.86에 해당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perimental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a sensation of neutral heat was felt when a warm feeling of about 40 ° C and a cold sensation of about 20 ° C were given to the palm of 33 ° C. This is due to the warmth of + 7 ° C and coldness of -13 ° C, based on the palm temperature, so the neutral ratio in terms of temperature may be equivalent to 1.86.
이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사람의 경우에는 온감과 냉감이 각각 동일한 크기의 신체 영역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접촉 대상인 피부에 대해 온감이 유발하는 온도차에 대한 냉감이 유발하는 온도차의 비율로 표현되는 중립 비율은 약 1.5~5의 범위이다. 또 온열 통감은 중립 비율보다 온감의 크기가 큰 경우에 느껴질 수 있으며, 냉열 통감은 중립 비율보다 냉감의 크기가 큰 경우에 느껴질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in most people, when the warmth and cold sensation ar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ame sized body area, the skin sensation is expressed by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used by the cold sensation to the sensible temperature difference The neutral ratio is in the range of about 1.5 to 5. In addition, the thermal sensation can be felt when the warmth is larger than the neutral ratio, and the cold sensation can be felt when the cold sensation is larger than the neutral ratio.
2.1.2.2. 전압 조절에 따른 열 그릴 동작 2.1.2.2. Thermal grill operation with voltage regulation
피드백 유닛(1000)은 전압 조절 방식으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은 열전 쌍 어레이(1240)가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으로 구성된 피드백 유닛(100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전압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은,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전 쌍 그룹(1244)의 일부에 정방향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시키고 다른 일부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여 흡열 동작을 수행시켜, 열 출력 모듈(1200)이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동시에 제공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voltage regulating thermal grill operation, the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ltage regulating typ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을 참조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복수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포함한다. 여기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들(1244-1, 예를 들어 홀수 라인의 열전 쌍 그룹들)은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 열전 쌍 그룹들(1244-2, 예를 들어 짝수 라인의 열전 쌍 그룹들)은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처럼 열전 쌍 그룹들(1244)이 라인 배치에 따라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교번적으로 수행하면 사용자는 온감과 냉감이 동시에 전달받게 돼 결과적으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홀수 라인과 짝수 라인의 구분은 임의적인 것이므로 그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Referring to Figure 31, a
여기서, 피드백 유닛(1000)은 제1 열전 쌍 그룹들(1244-1)의 발열 동작에 따른 포화 온도와 제2 열전 쌍 그룹들(1244-2)의 흡열 동작에 따른 포화 온도가 중립 비율에 따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조절 방식에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에 관한 표이다.32 is a table of voltages for providing neutral column grill feedback in a voltage reg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32를 참조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 출력 모듈(1200)에 각각 5개의 정전압과 역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열 출력 모듈(1200)이 이에 따라 각각 5등급의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수행하며, 동일한 등급의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의 크기가 동일하며, 각 등급 간의 온도 변화량의 크기가 일정한 피드백 디바이스(100)를 가정하면, 중립 비율이 3으로 세팅된 경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대해서 크기가 가장 작은 등급인 제1 등급의 정전압을 인가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대해서 제3 등급의 역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열 출력 모듈(1200)이 중립 열 통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중립 비율이 2.5인 경우라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대해서 제2 등급의 정전압을 인가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대해서는 제5 등급의 역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중립 비율이 4인 경우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대하여 제1 등급의 정전압을,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대해서는 제4 등급의 역전압을 인가하여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중립 비율이 2인 경우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등급의 정전압과 제2 등급의 역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제2 등급의 정전압과 제4 등급의 역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립 열 통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자의 중립 열 통감(제1 등급 정전압과 제2 등급의 역전압을 이용한 경우)이 후자의 중립 열 통감(제2 등급의 정전압과 제4 등급의 역전압을 이용한 경우)의 강도가 더 강하게 될 수 있다. 즉, 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도 그 강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중립 열 통감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하여 상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적 피드백의 등급수가 5단계일 필요가 없으며, 냉열, 온열 등급의 개수가 상이한 것도 가능하다. 또 각 등급의 온도 변화량 간격이 일정해야 하는 것도 아니며, 이를 테면 각 등급의 전압 간격이 일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2,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과 역전압을 중립 비율 이하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중립 비율 이상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다시 도 32을 참조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중립 비율이 3으로 세팅된 경우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대하여 제1 등급 정전압을 인가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제 1 등급이나 제2 등급의 역전압을 인가하면, 열 출력 모듈(1200)에서 중립 비율보다 낮은 비율로 열감과 통감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에게 온감과 통감을 동시에 느끼는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정전압이 반드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정전압일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4등급의 정전압과 4등급의 역전압을 이용하여 열 출력 모듈(1200)이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referring back to FIG. 32, if the neutral ratio is set to 3, the
냉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중립 비율이 3으로 세팅된 경우, (1등급, 4등급)이나 (1등급, 5등급)의 (정전압, 역전압)을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ld grill feedback, when the
다만, 온열 그릴 피드백이나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려는 경우, 중립 비율로부터 크게 벗어난 비율로 정전압과 역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감이 느끼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중립 비율에 가까운 비율이 되도록 정전압/역전압의 등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However, in case of providing a hot grill feedback or a cold grill feedback, when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are applied at a rate largely deviated from the neutral rati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feel a sense of enthusiasm. Therefore, / It may be desirable to adjust the rating of the reverse voltage.
2.1.2.3. 영역 조절에 따른 열 그릴 동작 2.1.2.3. Thermal grill motion with area adjustment
이상에서는 열전 쌍 어레이(1240)에서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과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이 동일 크기로 교번 배치된 상태에서 열전 쌍 그룹(1244)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발열 영역과 흡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열 그릴 피드백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구체적으로 영역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은,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정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1244)의 면적과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1244)의 면적을 조절하여 수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ermal control operation of the area control method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grill operation of the area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을 참조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복수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라인의 면적 크기가 동일하며, 정전압과 역전압이 열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을 동일하게 하는 전압값으로 세팅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중립 비율이 3인 경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쌍 그룹(1244-1) 하나 당 세 개의 열전 쌍 그룹(1244-2)이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열 출력 모듈(1200)에 정전압과 역전압을 인가하여, 냉감 피드백을 제공하는 접촉면(1600)의 면적이 열감 피드백을 제공하는 접촉면(1600)의 면적의 3배가 되도록 함으로써,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중립 열 통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a
다만, 여기서 중립 비율은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 시의 온도 변화량의 비율 대신 온감 피드백이 제공되는 면적에 대한 냉감 피드백이 제공되는 면적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면적 관점에서의 중립 비율은 온도 관점에서의 중립 비율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소 상이한 값이 될 수도 있다. Here, the neutral ratio may mean the ratio of the area provided with the cold feedback to the area where the warm feedback is provided, instead of the ratio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The neutral ratio in terms of area may be the same as the neutral ratio in terms of temperature, but may be a somewhat different valu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쌍 그룹(1244-1) 하나 당 흡열 그룹을 수행하는 열전 쌍 그룹(1244-2)의 개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킴으로써,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온열 그릴 피드백이나 냉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 the
한편, 도 33에서는 열전 쌍 그룹(1244)이 각각 동일 면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중립 비율을 고려하여 열전 쌍 그룹(1244)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조절 방식을 위해 상이한 면적을 갖는 열전 쌍 그룹(1244)으로 구성되는 열전 쌍 어레이(1240)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34 illustrates a
도 34를 참조하면, 제1 열전 쌍 그룹(1244-1)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비율은 중립 비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 쌍 어레이(1240)를 이용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각각 정전압과 역전압을 인가하여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34, the first thermocouple group 1244-1 and the second thermocouple group 1244-2 are designed to have different areas, and the ratio may be a neutral ratio. Using this
이상에서는 발열 면적과 흡열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하여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의 온도 변화량이 동일한 정전압과 역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와 달리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의 온도 변화량이 상이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효과를 더 고려하여 면적 비율을 조절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generative feedback is provided by regulating the exothermic area and the endothermic area by using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which are the same in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When the temperature variation is different, the area ratio should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thereof.
다시 말해, 중립 열 통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발열 면적에 대한 흡열 면적의 비율과 온감 온도 변화량에 대한 냉감 온도 변화량의 비율의 두 개의 변수로부터 산출되는 값이 중립 비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변화량의 비율과 면적 변화량의 비율의 곱이 중립 비율이 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vide the neutral heat sensation, the value calculated from the two parameters of the ratio of the endothermic area to the exothermic area and the ratio of the cold sensation temperature change to the warmth temperature variation can be a neutral ratio. For example, the
상술한 영역 조절 방식에 따른 열 그릴 동작은 전압을 이용하는 열 그릴 동작과 비교하여 피드백 강도 조절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rea adjustment metho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feedback strength can be easily controlled as compared with the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voltage.
열전 소자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발열 동작의 온도 변화량이 흡열 동작의 온도 변화량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점과 전압 조절을 이용하는 열 그릴 동작의 경우 냉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을 온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보다 중립 비율만큼 크게 해야 하는 점이 결합되면, 정전압에 대한 역전압의 크기 비율이 온도 측면에서의 중립 비율보다 상당히 큰 수치가 되버린다. 따라서, 전압 조절 방식으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넓은 전압 범위의 전기 신호를 출력해야 한다. 따라서, 인가 전원의 전압 범위가 제한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열 그릴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When the same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perform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it is general that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is larg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this point and the voltage regulation, whe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cold feedback is made larg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warm feedback by the neutral ratio, the ratio of the magnitud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constant voltage is larger than the neutral ratio It is a fairly large figur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neutral thermal grill feedback in a voltage regulating manner, the
반면, 영역 조절 방식에서는 온감 피드백 영역의 면적과 냉감 피드백 영역의 면적을 조절하는 것으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이 처리되므로, 온감 피드백 영역에서의 발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과 냉감 피드백 영역에서의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을 증감시킴으로써 간단히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control method, since the neutral row grill feedback is processed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warm feedback region and the area of the cold feedback region,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in the warm feedback region and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in the cold feedback region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the strength of the neutral thermal grill feedback can be easily adjusted.
구체적으로 도 3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과 역전압의 크기를 함께 증가시켜 열 출력 모듈(1200)이 강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거나 함께 감소시켜 약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2에 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위한 중립 비율은 이미 발열 면적과 흡열 면적에 의해 만족되어 있으므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비교적 자유로이 정전압과 역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열 그릴 피드백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discussion with reference to Figure 32, the
2.1.2.4. 시간 분할에 따른 열 그릴 동작2.1.2.4. Thermal grill motion with time division
열 그릴 동작은 이외에도 시간 분할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분할 방식에 따른 열 그릴 동작은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시간 상 교번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 안에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이 교번적으로 전달되면, 사람의 감각 기관이 이를 통감으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thermal grill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method as well. Specifically,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time divis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by performing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and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alternately in time. This is because, i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re alternately transmitted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interval, the human senses can mistaken it as a sensation.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출력 모듈(1200)에 정전압과 역전압을 교대로 인가하여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이 번갈아가면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은 전압의 크기나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할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time di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이 동일하게 정전압과 역전압이 세팅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에 대한 역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의 비율이 중립 비율이 되도록 전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를 참조하면 중립 비율이 3인 경우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20㎳ 동안 정전압을 인가하고 60㎳ 동안 역전압을 인가하여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열 그릴 피드백이나 냉열 그릴 피드백은 신호 출력 타이밍의 비율을 조절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시간 간격을 중립 비율로 세팅한 경우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과 역전압의 크기를 함께 증가시키거나 함께 감소시킴에 따라 열 그릴 동작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are set equal to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warm-feeling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the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할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인가 시간을 동일 크기로 세팅한다고 가정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동일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이 중립 비율이 되도록 전기 신호의 전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을 참조하면 중립 비율이 3인 경우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20㎳ 간격으로 정전압과 역전압을 교차로 인가하되, 냉감 동작 구간에서의 온도 변화량이 발열 동작 구간에서의 온도 변화량의 3배가 되도록 정전압과 역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열 그릴 피드백이나 냉열 그릴 피드백은 정전압과 역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the time divis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application times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re set to the same size,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시간 간격과 전압의 크기를 함께 조절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한편, 전압 조절 방식이나 영역 조절 방식의 열 그릴 동작은 감각적으로는 통감을 유발하지만 물리적으로는 사용자 신체에 대하여 온열과 냉열을 동시에 인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열 통감에 의해 사용자의 감각 기관이 지속적으로 자극되면, 사용자의 신체는 열 그릴 피드백이 제거된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그 잔상을 느끼게 된다. 열 그릴 피드백은 주로 아픔(pain)에 가까운 감각이므로 사용자는 그 잔상으로 인해 불쾌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잔상의 원인은, 유효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소 높은 강도의 주어지는 열감과 냉감에 피부의 온점과 냉점이 장기간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시간 분할 방식에 따른 열 그릴 동작은 피부의 온점과 냉점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잔상 효과가 다소 제거되는 장점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thermal grill operation of the voltage regulating method or the area regulating method senses sensation, but physically applies the hot and cold heat simultaneously to the user's body. However, if the user's sensory organs are continuously stimulated by the heat sensation, the user's body senses the afterim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thermal grill feedback is removed. Since the heat grill feedback is mainly a feeling close to pain,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afterimage. The cause of this afterglow is due to the prolonged exposure of the warmth and cold spots of the skin to the given warmth and cold feeling of somewhat higher intensity to provide effective thermal grill feedback. On the other hand,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time division method does not continuously stimulate the skin warmth and cold point, and thus has a merit that the afterglow effect is somewhat eliminated.
2.1.2.5.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2.1.2.5. Column grill operations with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또 열 그릴 동작은 상술한 시간 분할 방식에 따른 열 그릴 동작에 영역 조절 방식의 개념을 결합시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the thermal grill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combining the concept of the area adjustment method with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time division method described above.
여기서, 열 그릴 동작은 열전 쌍 어레이(1240)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에서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시간에 따라 교차적으로 수행하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이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thermal grill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lternately performing a heat generation operation and an absorbing heat operation in a time zone in a region other than one region of the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37을 참조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 및 제2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동작과 제2 동작은 각각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이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발열과 흡열의 타이밍이 서로 엇갈려 진행되는 동작이다.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정전압과 역전압을 차례로 인가하여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는 역전압과 정전압을 차례로 인가하여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이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 출력 모듈(1200)은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의 영역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의 영역에서 온열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동시에 출력하므로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 열전 쌍 그룹(1244-1)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이 동일한 면적이고, 제1 동작과 제2 동작에서 발열 동작의 시간 길이와 흡열 동작의 시간 길이는 동일할 경우, 정전압과 역전압의 전압값이 비율에 의해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온열 그릴 피드백 또는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7, the
한편, 여기서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의 시간 길이는 단순 시간 분할 방식으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와 달리 비교적 긴 시간 간격이어도 무방할 수 있다. 단순 시간 분할 방식의 경우에는 시간 분할 간격에 의존해서 사람의 감각 기관에 착각을 불러일으켜야 하는 반면, 복합 방식의 경우에는 시간 간격이 길더라도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이 동시에 제공되는 것에 의해 통감이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단순 시간 분할 방식의 경우에는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역전압의 인가 시간 각각은, 사용자가 발열 동작에 따라 온감을 느끼거나 흡열 동작 동작에 따라 냉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인지 시간 이하로 조절될 필요가 있는 반면, 영역 별로 교번 시키는 복합 방식의 경우에는 시간적 제한이 없거나 약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Here, the time length of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may be a relatively long time interval, unlike the case of performing the thermal grill operation by the simple time divis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simple time divis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invoke an illusion to a human sensory organ depending on the time division interva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bined method, the sensation can be felt by providing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simultaneously, Because. That is, in the case of the simple time division method, each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needs to be adjusted to be not more than the recognition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feel warmth according to the heat-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time limit or weakness in the case of the hybrid scheme which alternates by area.
나아가 복합 방식의 열 그릴 동작은 사람의 피부에 지속적으로 온열이나 냉열을 제공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온열/냉열을 교대로 제공하므로 피부에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간 간격이 너무 길어지는 것은 좋지 않을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mbined-mode thermal grill operation provides a periodic heat / cold alternation periodically, which does not continuously provide the human's skin with hot or cold heat,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skin. Too long a time interval for this may not be good.
도 37과 관련해서는 열전 쌍 어레이(1240)가 서로 엇갈려서 동작하는 두 개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열전 쌍 어레이(1240)에 복합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7, the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FIG.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을 참조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4개의 열전 쌍 그룹(1244-1,1244-2,1244-3,124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각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먼저 제1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되, 나머지 그룹(1244-3,1244-4)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3 열전 쌍 그룹(1244-3)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2 열전 쌍 그룹(1244-4)에는 역전압을 인가하여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되, 나머지 그룹(1244-1,1244-2)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후 제3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되, 나머지 그룹(1244-3,1244-4)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다음 제4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3 열전 쌍 그룹(1244-3)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흡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4 열전 쌍 그룹(1244-4)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 시간 구간으로부터 제4 시간 구간까지를 반복할 수 있다. 또는 제1 시간 구간과 제2 시간 구간만을 반복하는 것으로 변형하여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의 협업에 의해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고, 제3 열전 쌍 그룹(1244-3)과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의 협업에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교번 수행하여 사용자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열 그릴 피드백이 제공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여기서, Referring to FIG. 38, the
한편, 이상에서는 도 38과 관련된 제1 및 제2 열전 쌍 그룹(1244-1,1244-2)에 의해 열 그릴 동작이 수행되는 기간과 제3 및 제4 열전 쌍 그룹(1244-3,1244-4)에 의해 열 그릴 동작이 수행되는 기간이 시간적으로 겹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두 열 그릴 동작이 시간적으로 겹치는 구간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eriod during which the thermal gri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thermo couple groups 1244-1 and 1244-2 related to FIG. 38 and the period during which the thermal gri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third and fourth thermo couple groups 1244-3 and 1244- 4, the periods during which the thermal grill operation is performed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ime,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wo-row grill operations overlap in time.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이 복합된 방식을 이용한 열 그릴 동작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FIG. 3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grill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를 참조하면, 도 38과 관련하여 설명한 시간 구간이 서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중복 구간이 삽입될 수 있다. 중복 구간에서는 그 전 시간 구간의 동작과 그 후 시간 구간의 동작에서 수행되어야 할 열 그릴 동작이 함께 수행되는 구간이다. 중복 구간을 갖는 형태의 열 그릴 동작은 발열/흡열 동작을 위해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실제 열전 소자가 포화 온도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열 그릴 피드백이 전달되지 않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9, the time peri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verlapping intervals may be inserted therebetween. In the overlapping section, the operation of the entire time interval and the operation of the time interval thereafter ar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thermal grill operation. The thermal grill operation with the overlapping section can mitigate thermal grid feedback from being delivered to the user dur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actual thermoelectric element to rise to saturation temperature from the time the voltage is applied for the heat / heat absorption operation.
이외에도 열 그릴 피드백 동작은 시간 분할과 영역 조절을 복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로부터 언급된 예시들을 조합하는 변형예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hermal grill feedback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combining time division and domain control,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modifications that combine the examples mentioned herein.
2.2. 열적 피드백에 따른 손상 방지 동작2.2. Damage prevention operation by thermal feedback
이상에서 설명한 열적 피드백 동작은 피부의 온점/냉점을 자극하므로,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열량이 전달되는 경우 피부나 감각 기관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지나치게 높은 강도로 열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경우 피부 조직이 열에 의해 변성되거나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열적 피드백에 제공되는 경우 감각 기관에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피부나 감각 기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thermal feedback operation described above stimulates the skin's warm / cold spots, which can cause damage to skin or sensory organs when a certain amount of heat is delivered to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rmal feedback at an excessively high intensity, the skin tissue may be denatured by heat or may be confused by the sensory organs if it is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thermal feedback over a long period of time. Hereinafter, an operation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user's skin or sensory organs will be described.
먼저 간단한 방법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인가하는 전압값을 열 출력 모듈(1200)에서 접촉 대상면에 유발하는 온도차가 일정 수준이 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을 열감 피드백의 포화 온도가 40℃가 되는 전압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First, the voltage value applied by the
다른 방법으로는, 열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time that thermal feedback is provided can be limited. For example, the
또는 열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을 제어할 때에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약한 강도의 열적 피드백이 장기간 주어지더라도 신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강도 높은 열적 피드백의 경우에는 짧은 시간 동안에도 신체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러 등급의 열적 피드백을 인가할 수 있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경우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 등급을 판단하고, 판단된 강도 등급에 따라 제한 시간을 판단하고, 열적 피드백을 수행된 시간이 제한 시간을 도과한 경우 열 출력 모듈(120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can be considered when controlling the time that the thermal feedback is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user does not cause any physical damage even if a weak intensity of thermal feedback is given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in the case of intense thermal feedback, it can cause a physical injury even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일 예로, 열적 피드백에 대한 사용자의 체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등급의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각 등급 별로 제한 시간을 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저강도의 열적 피드백에 대해서는 제한 시간이 없으며, 고강도의 열적 피드백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으로 제한 시간이 세팅되며, 중강도의 열적 피드백에 대해서는 고강도의 열적 피드백에 대한 제한 시간보다 긴 제한 시간이 세팅될 수 있다. 만일 세팅된 제한 시간 이상으로 열적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제한 시간 동안 열적 피드백을 제공한 뒤 소정의 휴식 시간 동안 열적 피드백의 출력을 중단한 뒤, 휴식 시간 도과 후 다시 열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rmal feedback of varying degrees of intensity may be provided to improve the user's perception of thermal feedback. The
2.3.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2.3. Heat reversal prevention operation
이하에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드백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열적 피드백을 제공받는 사용자는 열적 피드백이 중단될 때 열 역전 환각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열 역전 환각이란 주어진 열적 피드백의 반대되는 열적 감각이 느껴지는 감각 기관의 착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온감 피드백의 중단 시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냉감을 느끼게 되며, 냉감 피드백의 중단 시에는 순간적으로 온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와 같이 특정 열감을 받은 이후 해당 열감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반대되는 열감이 느껴지는 것이 열 역전 환각의 일종이라고 하겠다.Hereinafter, the thermal inversion hallucation prevent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rmal feedback using the
열 역전 환각은 열적 피드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사용자 경험을 훼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내에서 사용자가 뜨거운 주전자를 잡는 경우,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가상 현실 체험 시스템의 일부로서 가상 현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자 사용자에게 온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열적 피드백이 중단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차가움이 느끼게 되면 가상 현실에 대한 몰입도가 저해될 수 있다. Thermal inversion can corrupt the user experience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thermal feedback. For example, if a user grasps a hot kettle within a virtual reality, the
이하에서는 열 역전 환각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본 뒤,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specific methods for preventing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will be described.
2.3.1. 열 역전 환각의 원인2.3.1. Causes of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s
열적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은 간단히 다음과 같다. 먼저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 출력 모듈(12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되는 전원은 전원 단자(1260)를 통해 열전 소자로 전달되며, 열전 소자에서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발열 반응이나 흡열 동작이 발생한다. 이는 열전 쌍 어레이(1240)가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에 의해 발생한 온열/냉열은 접촉면(16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된다. 피부로 전달된 열은 피부에 분포한 온점이나 냉점을 자극하며, 사용자는 온점이 자극된 경우 온감을, 냉점이 자극된 경우 냉감을, 양자가 동시에 자극된 경우 열 통감을 느낄 수 있다. The process by which the thermal feedback is provided to the user is briefly as follows. First, the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 시 접촉면(1600)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40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여기서, 도 40을 참조하면, 열전 쌍 어레이(1240)나 접촉면(1600) 등이 소정의 열 용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개시되면 접촉면(1600)의 온도는 전원 인가와 동시에 바로 포화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온도로부터 점차적으로 변화하여 포화 온도에 도달한다. 마찬가지로 전원이 차단되어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을 중지하게 되면 접촉면(1600)의 온도가 포화 온도로부터 바로 초기 온도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변화하여 초기 온도로 돌아간다. Referring to FIG. 40, since the
열 역전 환각은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의 중지에 따라 접촉면(1600)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느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감 피드백 상황에서 발열 동작이 중지되면, 포화 온도로부터 초기 온도로 온도가 감소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온감 피드백에 의해 자극받고 있던 온점의 개수가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접촉면(1600)의 실제 온도가 초기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이 아님에도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냉감을 느끼게 된다. 반대 예로, 냉감 피드백 상황에서 흡열 동작이 중지되면, 포화 온도로부터 초기 온도로 온도가 증가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냉감 피드백에 의해 자극받고 있던 냉점의 개수가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접촉면(1600)의 실제 온도가 초기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이 아님에도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온감을 느끼게 된다. The thermal inverse hallucination may be felt during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temperature of the
이를 종합하면, 열 역전 환각은 열적 피드백이 주어지는 상태에서 열적 피드백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온도가 변화할 때, 물리적으로는 주어지지 않음에도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반대 방향의 열적 피드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In sum,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rmal inversion is a thermal feed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felt by the user even though the temperature is not physically given when the temperatur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eliminating the thermal feedback in the state where the thermal feedback is given .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역전 환각에 관한 도면이다.FIG. 4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inversion halluc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실험적 관찰에 의하면, 열 역전 환각은 포화 온도와 초기 온도와의 차이값이 클수록 또 온도의 변화 속도가 빠를수록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온도 대비 온도 변화량이 큰 고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중단시킬 때에는,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의 크기가 크고 온도 변화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열 역전 환각이 강하게 느껴지며, 반대로 피부 온도 대비 온도 변화량이 작은 저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중단시킬 때에는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의 크기가 작고 온도 변화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열 역전 환각이 미약하게 느껴지거나 실질적으로 느껴지지 않게 된다. Experimental observations show that the thermal inversion is stronger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uration temperature and the initial temperature increases and as the temperature change rate increases.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1, when the high-temperature thermal feedback with a large temperature change amount relative to the skin temperature is interrupted, the temperature change occurring in the process during the return to the initial temperature is large and the temperature change speed is high In contrast, when the low-intensity thermal feedback with a small temperature change relative to the skin temperature is interrupted, the temperature change caused by the process is small and the temperature change speed is slow. Or substantially not felt.
2.3.2.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2.3.2. Heat reversal prevention operation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의 중단 시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의 속도를 완화시킴으로써 열 역전 환각을 제거할 수 있다. The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전압에 의한 접촉면(1600)의 온도 변화 추이에 관한 그래프이다.FIG. 4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도 42를 참조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중단 시점에 전원을 바로 차단하는 대신 열 출력 모듈(1200)로 완충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완충 전압은 열적 피드백을 위한 전압과 동일한 방향이되 그 크기는 작은 전압일 수 있다.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바로 전원을 차단하는 대신 소정 시간 동안 완충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열적 피드백의 중단 시점 이후 포화 온도로부터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온도 변화 속도가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적 피드백 중단 시 온도가 급변하지 않게 되므로 열 역전 환각이 제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2, the
한편, 필요에 따라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에 다단계의 완충 전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the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완충 단계를 갖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에 따른 접촉면(1600)의 온도 변화 추이에 관한 그래프이다.FIG. 4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도 43을 참조하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제1, 제2 및 제3의 완충 전압을 이용하여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 중단 시 열적 피드백을 위한 전압, 제1 완충 전압, 제2 완충 전압 및 제3 완충 전압을 차례로 인가한 뒤, 최종적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3, the
고강도의 열적 피드백의 경우에는 단일 완충 전압만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온도 변화 구간이 급격할 수 있는데, 다단 완충 전압을 이용하면 고강도 열적 피드백에 대해서도 열 역전 환각을 해소할 수 있다.In the case of high-intensity thermal feedback, even when only a single buffering voltage is used, the temperature change interval may be abrupt. If the multi-stage buffering voltage is used,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can be solved also for the high-
특히,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여러 등급의 강도로 열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는 경우에는 높은 등급의 열적 피드백의 중단 시 그보다 낮은 등급의 열적 피드백을 위한 전압을 완충 전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if the
또 이상에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에서 완충 전압이 일정한 전압값을 가지는 단일 전압 내지는 스텝 전압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완충 전압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전기 신호의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uffering voltage in the thermal inversion hall preventing operation is described as a single voltage or a step voltage having a constant voltage value. Alternatively, the buffering voltage may have an electrical signal shape gradually decreasing with time.
2.3.3. 기타 완충 동작2.3.3. Other buffer operation
이상에서는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 시 열적 피드백의 출력 개시를 위해 인가된 전원(이하 ‘작동 전원’이라 하고, 작동 전원의 전압 및 전류는 각각 ‘작동 전압’ 및 ‘작동 전류’라고 함)의 중단 시점에 완충 전원을 인가하여 열 역전 환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In the above description, at the end of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the power supply volt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ng power" and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re referred to as "operating voltage" To prevent a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from occurring.
그런데, 이러한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 즉 완충 동작을 위한 완충 전원으로 듀티 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드백 디바이스(100)에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에 작동 전원과 동일하거나 낮은 전압을 가지는 듀티 신호를 완충 전압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동 전원이 듀티 신호일 수도 있는데, 이때 완충 전원은 작동 전원보다 듀티 레이트가 낮은 듀티 신호일 수 있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duty signal as a cushioning power source for such a thermal inversion hall preventing operation, that is, a buffering operation. For example, in the
또는 열전 소자가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를 가지는 열전 쌍 어레이(1240)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기 위해 작동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1244)보다 작은 개수의 열전 쌍 그룹(1244)에 완충 구간 동안 작동 전원을 유지함으로써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5개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가지는 열전 쌍 어레이(1240)를 이용해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완충 동작은 그 중 2개의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해서는 작동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3개의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해서는 작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열전 쌍 어레이(1240) 전체로 보면 열전 동작의 정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형태로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Or thermoelectric elements are provided in a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완충 동작이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에 연이어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에 완충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uf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buffering power in succession to the stoppage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Alternatively, the buffering power may be applied at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peration power supply is stopped . ≪ / RTI >
2.3.4. 열 피드백의 강도를 고려한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2.3.4. Heat reversal prevention operation considering thermal feedback intensity
한편, 열 역전 환각은 비교적 강한 강도의 열적 피드백의 중단에 의해서만 발생하며, 비교적 약한 강도의 열적 피드백의 중단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rmal inversion is caused only by interruption of relatively strong intensity thermal feedback, and may not occur substantially due to interruption of relatively weak intensity thermal feedback.
따라서,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여러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따라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역전 환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약한 강도의 열적 피드백에 대해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이를 수행할지 않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강도의 열적 피드백의 중단에 따른 온도 변화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44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an interruption of thermal feedback of various intens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4를 참조하면,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 대하여 각각 5 등급으로 제공하는데, 이때 열적 피드백은 상위의 3등급에 대해서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상위 3등급에 대해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하위 2등급에 대해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열적 피드백 강도가 미리 정해진 등급 이상인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등급 이하인 경우에는 열적 피드백 중단 시점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열 출력 모듈(1200)에 완충 전압을 인가한 뒤 소정 시간 이후 전원을 완전 차단하고, 미리 정해진 등급 이하인 경우에는 열적 피드백 중단 시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을 즉시 차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4, the
이처럼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여러 강도의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며, 그 중 상위 강도의 열적 피드백에서는 열 역전 환각이 발생하고 하위 강도의 열적 피드백에서는 열 역전 환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면, 열 역전 환각을 발생시키지 않는 하위 강도의 열적 피드백에 이용되는 전압을 완충 전압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Thus, if the
한편, 완충 전압의 크기나 완충 구간의 시간 길이(완충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 길이) 역시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강도가 높은 열적 피드백에 대한 완충 전압을 강도가 낮은 열적 피드백에 대한 완충 전압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강도가 높은 열적 피드백에 대한 완충 구간을 강도가 낮은 열적 피드백에 대한 완충 구간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of the cushioning voltage and the time length of the cushioning period (the length of time during which the cushioning voltage is applied) can also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Thus, the
2.3.5. 온감/냉감 피드백에 따른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2.3.5. Heat reversal prevention action according to warm / cold feedback
이상에서 설명한 열 역전 환각 현상은 동일한 조건의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 서로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이는 온감 피드백의 중단에 따른 온도 변화 속도와 냉감 피드백의 중단에 따른 온도 변화 속도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phenomenon described above can be felt differently in the warm-feeling feedback and the cold-feeling feedback under the same conditions.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temperature change rate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 cold feedback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강도의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 온도 변화 속도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45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change rate between the warm-feeling feedback of the same intensity and the cold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를 참조하면, 온감 피드백의 중단 시 발생하는 온도 감소의 속도의 크기가 냉감 피드백 중단 시 발생하는 온도 증가의 속도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5,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rate of temperature decrease occurring when the warm feedback is interrupted is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occurring when the cold feedback is interrupted.
열전 소자에서 전기 에너지가 인가될 때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을 유도하는 한편 나머지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여기서, 열 에너지로 직접 변환된 부분은 열전 소자에 배면에 연결된 방열판 등을 통해 방출되지만 그 일부는 잔열의 형태로 열전 소자에 남아있게 된다. 열전 소자에 전기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면 발열 측과 흡열 측은 전도에 의해 열 평형 상태를 이루려고 한다. 또 열적 피드백의 중단에 따른 접촉면(1600) 또는 열전 쌍 어레이(1240)의 전면의 온도 변화에는 열전 쌍 어레이(1240)의 배면의 온도에 더하여 잔열이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잔열은 온감 피드백 종료 시에는 접촉면(1600) 또는 열전 쌍 어레이(1240)의 전면의 온도 감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반대로 냉감 피드백 종료 시에는 접촉면(1600) 또는 열전 쌍 어레이(1240)의 전면의 온도 증가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온감 피드백의 중단 시의 온도 변화 속도가 냉감 피드백 중단 시의 온도 변화 속도보다 작게 된다. 결과적으로 동일 조건의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 중 냉감 피드백의 중단 시에 열 역전 환각이 보다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When electric energy is applied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 part of electric energy induces an exothermic reaction and an endothermic reaction, while the remainder is converted into heat energy. Here, the part directly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is discharged through the heat sink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ut a part thereof remains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the form of residual heat. When the supply of electric energy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is interrupted, the heat side and the heat side try to achieve thermal equilibrium by conduction. Further,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온감 피드백 종료 시와 냉감 피드백 종료 시에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In view of this, the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종료 시 완충 구간의 시간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6 is a view showing a time difference of the buffering period at the end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예를 들면,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냉감 피드백의 완충 구간의 길이를 온감 피드백의 완충 구간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종료 시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하여 완충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완충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열 출력 모듈(1200)에 완충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이 온감 피드백인지 열감 피드백인지 판단하고, 온감 피드백이면 제1 시간 길이로 완충 구간을 설정하고, 냉감 피드백이면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로 완충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6, the
또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따라 열 역전 방지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때도,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에서는 온감 피드백 5단계와 냉감 피드백 5단계에서 각각 상위 3단계에 대해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하위 2단계에 대해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이 동일한 단계에서 동일한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온감 피드백에 대해서는 상위 2단계의 종료 시에만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The
2.3.6.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에 따른 따른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2.3.6. The thermal inversion hall preven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tion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이상에서는 열 역전 환각 방지 동작에 대하여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도 유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lthough the warm-up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are mainly described for the anti-reverse operation of the thermal reversal, a similar phenomenon may occur in the case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시의 접촉면(1600)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47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동일한 강도의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제공되는 열 그릴 피드백을 종료한 경우, 도 47을 참조하여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제공하던 부위의 온도 변화를 살펴보면, 냉감 피드백을 제공하던 부위의 온도가 먼저 초기 온도에 도달한 뒤 온감 피드백을 제공하던 부위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잔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입장에서는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동시에 중단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시 온감이 느껴질 수 있으며, 이는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의도치 않은 온감이다. Referring to FIG. 47, when the thermal grill feedback provided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of the same intensity is terminated,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portion providing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is examined. The temperature at the site that provided the warm feedback reaches the initial temperature after reaching the initial temperature first.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residual hea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even though the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시 온감 제거를 위한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48 is a graph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eliminating warmth at the end of thermal gril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따라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를 위해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중단할 때 흡열 동작의 종료 시점을 발열 동작의 종료 시점보다 늦추는 것을 통해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시 느껴지는 온감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그릴 피드백 완료 시, 열 출력 모듈(1200)에 정전압은 제1 시점까지 인가하고, 역전압은 제1 시점보다 나중인 제2 시점까지 인가하여 열 그릴 피드백 종료 시 느껴지는 온감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런데,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때때로 온감 대신 냉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은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비율이 중립 비율인 경우에 출력될 수 있으며, 중립 비율에 따르면 초기 온도에 비한 온도 차이가 발열 동작일 때보다 흡열 동작일 때 더 크다. However, when the neutral column grill feedback is terminated, there may be a case where a feeling of coolness is felt instead of warmth from time to time. Neutral thermal grill feedback can be output when the temperature ratio due to exothermic and endothermic operations is neutral. According to the neutral ratio, the temperature difference relative to the initial temperature is larger at the endothermic operation than at the exothermic operation.
구체적으로 중립 비율이 약 2.5인 경우, 중립 열 그릴 피드백 종료 시 접촉면(1600)의 온도는 발열 부위가 먼저 초기 온도에 도달한 뒤 흡열 부위가 초기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를 위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중단할 때 흡열 동작의 종료 시점을 발열 동작의 종료 시점보다 앞당기는 것을 통해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느껴지는 냉감을 제거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neutral ratio is about 2.5, the temperature of the
구체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그릴 피드백 완료 시, 열 출력 모듈(1200)에 역전압은 제1 시점까지 인가하고, 정전압은 제1 시점보다 나중인 제2 시점까지 인가하여 열 그릴 피드백 종료 시 느껴지는 냉감을 제거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feedback of the thermal grill is completed, the
그런데, 여기서 발열 부위와 흡열 부위의 온도 중 발열 부위의 온도가 먼저 초기 온도에 도달한 뒤 흡열 부위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기간 동안 사용자가 냉감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인에 따라서는 흡열 부위의 온도 변화 속도가 발열 부위의 온도 변화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냉감 대신 열 역전 환각으로서 온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때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를 위해 발열 동작 및 흡열 동작을 중단할 때 발열 동작의 종료 시점을 흡열 동작의 종료 시점보다 늦추는 것을 통해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느껴지는 온감을 제거할 수 있다. 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user feels cold feeling during the period of the temperature of the exothermic region and the endothermic region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exothermic region reaches the initial temperature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exothermic region first reaches the initial temperature. However, Becaus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endothermic part is fast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heat generation part, At this time, when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stopped to terminate the thermal grill feedback, the
또는 열 통감을 위해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종료할 때 각각의 동작의 종료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열 역전 환각이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동작 종료 시점에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에 관해서는 이미 열 역전 환각의 방지 동작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buffer operation at the end of each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thermal inversion hall feeling from being felt by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end of each operation when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terminated for heat trapping , And this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vention operation section of the thermal inversion hall,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2.3. 열 이동 동작2.3. Heat transfer motion
이하에서는 열 이동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열 이동 동작이란 열 출력 모듈의 영역 상에서 열을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이는 개별 제어 가능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으로 이루어진 열 출력 모듈(120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heat transfer operat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thermal movement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moving heat on the area of the thermal output module, which can be performed using the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일 예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50은 도 49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n electrical signal for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FIG.
도 49 및 도 50dmf 참조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은 제1 열전 쌍 그룹(1244-1), 제2 열전 쌍 그룹(1244-2), 제3 열전 쌍 그룹(1244-3) 및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49 and 50dmf, the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소자 그룹들에게 순서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먼저 열전 동작(여기서, 열전 동작은 발열 동작, 흡열 동작 및 열 그릴 동작을 포함함)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제3, 제4 열전 쌍 그룹(1244-2, 1244-3, 1244-4) 순으로 열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특정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한 전원을 인가하는 시점에 그 전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은 제2 열전 쌍 그룹(1244-2)이 열전 동작을 개시할 때 열전 동작을 중단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3)은 제3 열전 쌍 그룹(1244-3)이 열전 동작을 개시할 때 열전 동작을 중단하고, 제3 열전 쌍 그룹(1244-3)은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이 열전 동작을 개시할 때 열전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Also,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접촉면 상에서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the heat moving from the region where the first thermo couple group 1244-1 is arranged to the region where the fourth thermo pair group 1244-4 is arranged on the contact surface.
상술한 본 예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xample can be utilized as follows.
예를 들어, 피드백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열전 소자 그룹이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라면,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냉열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시원한 바람이 지나가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온열을 이동시키면 열원이 지나가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 group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hol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 groups in a feedback device, cold heat may be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provide a user with a feeling of passing a cool wind. Also, moving the heat can provide a feeling of passing the heat source.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다른 예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52는 도 51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1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example of an electric signal for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FIG.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은 제1 열전 쌍 그룹(1244-1), 제2 열전 쌍 그룹(1244-2), 제3 열전 쌍 그룹(1244-3) 및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을 포함할 수 있다. 51 and 52, the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그룹(1244)들에게 순서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먼저 열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제3, 제4 열전 쌍 그룹(1244-2, 1244-3, 1244-4) 순으로 열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특정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한 전원을 인가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이전 열전 쌍 그룹에 대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1)에 의한 열적 체감이 종료될 때,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의한 열감을 체감할 수 있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2)에 의한 열적 체감이 종료될 때, 제3 열전 쌍 그룹(1244-3)에 의한 열감을 체감할 수 있고, 제3 열전 쌍 그룹(1244-2)에 의한 열적 체감이 종료될 때, 제4 열전 쌍 그룹(1244-4)에 의한 열감을 체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는 열전 쌍 그룹에 전원이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접촉면이 사용자가 열감을 느끼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한데, 이를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의 미리 정해진 시간은 열전 소자에 전원이 인가된 후 접촉면의 온도가 열감 전달하기 적합한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지연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This takes into account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tact surface to reach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user feels a sense of heat from the tim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hermocouple group. That is, the predetermined time may correspond to a delay tim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surface reaches a temperature suitable for heat transmission after power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접촉면 상에서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the heat to move from the area where the first thermo couple group 1244-1 is arranged to the area where the fourth thermo pair group 1244-4 is arranged on the contact surface.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또 다른 예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54는 53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n electric signal for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4 is a diagram showing a thermal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53.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은 제1 열전 쌍 그룹(1244-1), 제2 열전 쌍 그룹(1244-2), 제3 열전 쌍 그룹(1244-3) 및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을 포함할 수 있다. 53 and 54, the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그룹(1244)들에게 순서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먼저 열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제3, 제4 열전 쌍 그룹(1244-2, 1244-3, 1244-4) 순으로 열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기 전원이 인가된 열전 소자에 대해서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접촉면 상에서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열이 차오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Also, the
상술한 본 예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xample can be utilized as follows.
예를 들어, 피드백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이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라면,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냉열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신체의 아래쪽으로부터 차가운 물에 몸을 담그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feedback device, when a plurality of
도 55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의 다시 또 다른 예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56는 도 55에 따른 열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5 is a schematic view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ic signal for the heat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6 is a diagram showing the heat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FIG.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열 출력 모듈(1200)은 제1 열전 쌍 그룹(1244-1), 제2 열전 쌍 그룹(1244-2), 제3 열전 쌍 그룹(1244-3) 및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을 포함할 수 있다. 55 and 56, the
이때, 각 열전 쌍 그룹(1244)은 모두 전원을 인가받아 열전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At this time, all of the
이 상태에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그룹(1244)들에게 순서대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먼저 열전 동작 중단하고, 이후 제2, 제3, 제4 열전 쌍 그룹(1244-2, 1244-3, 1244-4) 순으로 열전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접촉면 상에서 제1 열전 쌍 그룹(1244-1)이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제4 열전 쌍 그룹(1244-4)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열이 빠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that the heat is lost from the region where the first thermo couple group 1244-1 is arranged to the region where the fourth thermo pair group 1244-4 is arranged on the contact surface.
상술한 본 예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xample can be utilized as follows.
예를 들어, 피드백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이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라면,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냉열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신체의 아래쪽으로부터 차가운 물에 몸이 벗어나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feedback device, when a plurality of
상술한 열 이동 동작의 예에서는 네 개의 열전 쌍 그룹(1244)이 1차원 어레이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이동 동작에서 열전 쌍 그룹(1244)의 개수나 배치 형태가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heat transfer operation, four
3.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3. How to Provide Thermal Feedback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 관해서는 상술한 피드백 디바이스(100)와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이 피드백 디바이스(100)나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thermal feedback will be described using the operation of the
또 이하의 설명에서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게이밍 콘트롤러(100a) 형태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종류가 게이밍 콘트롤러(100a)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피드백 디바이스(100)에도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3.1. 열적 피드백 개시 및 종료 방법3.1. Thermal feedback initiation and termination methods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5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7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열적 피드백을 개시하고 종료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1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300), 전기 신호에 따라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S1400) 및 피드백 종료 메시지에 따라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는 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57.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 57,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1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1200);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1400),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S1400), and terminating the thermal feedback (S1500) according to the feedback termination message.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S1100). 예를 들어, 게임 콘솔은 게임 내의 정보 처리 결과에 따라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송신할 수 있다. 피드백 디바이스(10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가 통신 모듈(2500)을 통해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First, a feedback request message can be obtained (S1100). For example, the game console may generate a feedback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 in the game, and transmi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to the
한편,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가 자체적으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입력 모듈(220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의 형태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센서 모듈이 감지한 특정 조건을 피드백 요청 메시지로 획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피드백 요청 메시지가 획득되면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0). 여기서, 피드백 정보란 열적 피드백의 종류, 열적 피드백의 강도 및 열적 피드백이 인가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직접적으로 열적 피드백의 종류, 강도, 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열적 피드백의 종류, 강도, 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를 간접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When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obtained, the feedback information can be obtained (S1200). Here,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he intensity of thermal feedback, and the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applied. Such information may include data on the type, intensity, time, etc. of thermal feedback directly, but may indirectly include data on the type, intensity, time, etc. of thermal feedback.
일 예로,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는 피드백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콘솔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는 피드백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피드백 요청 메시지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may include feedback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game console includes feedback information, so that the
다른 예로, 피드백 정보는 메모리(2600)에 저장되어 있으며,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는 직접적으로 피드백 정보가 포함되는 대신 메모리(2600)에 저장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콘트롤러는 수신된 피드백 요청 메시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로부터 메모리(2600)에 저장된 피드백 정보 테이블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다른 예로, 피드백 요청 메시지는 단순히 열적 피드백의 개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 따라 메모리(2600)로부터 기 저장되어 있는 피드백 정보를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may simply request the initiation of thermal feedback, and the
다음으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00).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는 피드백 정보를 피드백 콘트롤러(1400)에 전달하고,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할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Next, an electric signal can be output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1300). The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기초하여 인가할 전기 신호의 전압이 전압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적 피드백이 온감 피드백인 경우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인가할 전압이 정전압인 것으로 판단하며, 열적 피드백이 냉감 피드백인 경우에는 역전압인 것으로 판단하며,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에는 정전압과 역전압을 동시에 또는 시간 분할하여 인가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인가할 전압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2600)에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 별 전압 크기에 관한 전압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전압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가할 전압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인가될 전압의 강도가 상이할 수도 있으므로, 전압 테이블 참조 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종류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Further, the
또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이 인가될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을 인가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Further, the
전압의 방향, 크기, 인가 시간이 정해지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해진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열 출력 모듈(1200)에 인가할 수 있다. When the direction, size, and application time of the voltage are determined, the
열 출력 모듈(1200)은 전원 단자(1260)를 통해 전기 신호를 인가받고, 이에 따라 열전 쌍 어레이(1240)가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 또는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400). 이에 따라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마지막으로 피드백 종료 메시지를 획득하고 열적 피드백을 종료할 수 있다(S1500). 피드백 종료 메시지는 피드백의 종료를 지시하는 것으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한 방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피드백 종료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피드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행 중이던 열적 피드백에 관한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다만, 열적 피드백에 관한 동작을 종료하기 위해 반드시 피드백 종료 메시지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에 열적 피드백이 인가될 시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해당 시간만큼 열적 피드백을 인가한 뒤 열적 피드백에 관한 동작을 중단하여 열적 피드백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Finally, the feedback end message may be obtained and the thermal feedback may be terminated (S1500). The feedback termination message indicates termination of the feedback, and the
3.2. 열 그릴 피드백 제공 방법3.2. How to provide thermal grill feedback
3.2.1. 전압 제어를 통한 열 그릴 피드백 제공 방법3.2.1. How to provide thermal grill feedback through voltage control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58 is a flowchart related to a secon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8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전압 제어를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2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로,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0).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인가할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S2400) 및 높은 강도의 온감 피드백과 낮은 강도의 냉감 피드백을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S2500)를 포함할 수 있다. 58 is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grill feedback via voltage control, comprising: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2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2200); performing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Step S23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thermal feedback is a thermal grill feedback. (S2400) of determining a voltage to be applied for the thermal grill operation whe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and outputting (S2500) simultaneously outputting a high intensity warm feedback and a low intensity cold feedback have.
이러한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 second example of this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may be performed by a
첫째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접촉면(1600)의 일부와 다른 일부에서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전 쌍 어레이(1240)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포함하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First, the
둘째로,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각각 다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다단계의 정전압 및 다단계의 역전압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econd,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S2100). 본 단계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 예에서의 단계 S1100과 유사할 수 있다.First, a feedback request message can be obtained (S2100). This step may be similar to step S1100 in the first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다음으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0). 본 단계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 예에서의 단계 S1200과 유사할 수 있다. Next, feedback information can be obtained (S2200). This step may be similar to step S1200 in the first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다만, 피드백 정보에는 적어도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또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는 온감 피드백, 냉감 피드백 및 열 그릴 피드백이 포함된다. 물론, 피드백 정보에는 이외에도 열적 피드백의 강도 및 열적 피드백이 인가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the feedback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and the types of thermal feedback include warm feedback, cold feedback, and thermal grill feedback. Of course,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and the time when the thermal feedback is applied.
다음으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S2300).Next,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2300).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감 피드백인 경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출력 모듈(1200)에 정전압을 인가하고 열 출력 모듈(1200)은 발열 동작을 수행한다.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냉감 피드백인 경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출력 모듈(1200)에 역전압을 인가하고 열 출력 모듈(1200)은 흡열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정보 중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압 또는 역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is the hot feedback, the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다음과 같이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perform a thermal grill operation as follows.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인가할 전압을 결정한다(S2400). A voltage to be applied for the thermal grill operation is determined (S2400).
메모리(2600)에는 전압 레벨 테이블과 열전 쌍 그룹(1244)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전압 레벨 테이블은 다단계의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 별 전압 레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4단계의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메모리(2600)에는 4단계의 온감 피드백에 필요한 전압값과 4단계의 냉감 피드백에 필요한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이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사용한다면, 4단계에 대해 4개의 전압값만이 저장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The voltage level table relates to multistage warm feedback and voltage levels per cold feedback. For example, in the
또 열전 쌍 그룹(1244) 테이블은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메모리(2600)의 전압 레벨 테이블을 참조하여 열 그릴 동작에 필요한 정전압 레벨 및 역전압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는 흡열 동작의 세기가 발열 동작의 세기보다 강해야 하므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그릴 동작에 필요한 정전압의 레벨을 열 그릴 동작에 필요한 역전압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1단계의 정전압과 4단계의 역전압을 선택하거나 또는 1단계의 정전압과 3단계의 역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각 수치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전압 설계값에 다소 변경될 수 있으나, 역전압의 레벨이 정전압의 레벨보다 커야 하는 것은 필수이다. The
한편,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출력될 온감 피드백에 대한 냉감 피드백의 강도가 중립 비율이 되어야 하므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과 역전압을 전압 크기를 정전압에 따른 온감 피드백에 대한 역전압에 따른 냉감 피드백의 강도가 중립 비율에 근사할 수 있는 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neutral row grill feedback, the intensity of the cold feedback for the warm feedback to be output must be a neutral ratio. Therefore, the
마지막으로, 높은 강도의 온감 피드백과 낮은 강도의 냉감 피드백을 동시에 출력한다(S2500).Finally, both the high intensity warm feedback and the low intensity cold feedback are simultaneously output (S2500).
전압 레벨이 결정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그룹(1244)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열전 쌍 그룹(1244)에 정전압을 인가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 역전압을 인가하며, 여기서 역전압은 정전압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 이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 관점에서는 열 그릴 동작에 이용되는 흡열 동작의 세기가 발열 동작의 세기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voltage level is determined, the
이상의 단계들에 의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The
3.2.2. 영역 조절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 제공 방법3.2.2. How to provide thermal grill feedback with area adjustment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3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59 is a flowchart related to a thir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9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영역 조절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3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되,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0),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전압을 인가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400) 및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통해 각각 동시에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S35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 59 is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grill feedback through area adjustment, comprising: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3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3200); (S330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hermal feedback is a thermal grill feedback, determining (S3400) an area to which a voltage is to be applied for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nd outputting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econd thermo couple group 1244 (S3500).
이러한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3 예는, 접촉면(1600)의 일부와 다른 일부에서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열전 쌍 어레이(1240)에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이 포함되며,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 third example of this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is to simultaneously perform a heating operation and an endothermic operation in a portion of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3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3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되,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0). 본 단계들은 각각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에서의 단계 S2100, S2200, S2300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obtained (S3100), the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S3200), and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thermal grill feedback (S3300).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2100, S2200, S2300 in the second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respectively.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다음과 같이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perform a thermal grill operation as follows.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전압을 인가할 영역을 결정한다(S3400). An area to which a voltage is applied for the thermal drawing operation is determined (S3400).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어레이(1240)에 포함된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 중 열 그릴 동작을 위해 발열 동작을 수행할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흡열 동작을 수행할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결정한다.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에 따른 제1 열전 쌍 그룹(1244)의 온도 변화량과 흡열 동작에 따른 제2 열전 쌍 그룹(1244)의 온도 변화량의 비율 및 제1 열전 쌍 그룹(1244)이 차지하는 면적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고려하여 중립 비율이 성립되도록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선택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과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의 비율이 동일한 경우, 영역 관점에서의 중립 비율이 성립하도록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due to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to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due to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is the same, the
마지막으로,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통해 각각 동시에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한다(S3500).Lastly,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are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the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에 정전압을 인가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 역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열전 쌍 그룹(1244)에서는 발열 동작이 수행되고,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서는 흡열 동작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영역에서 온감 피드백이 냉감 피드백이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열 그릴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The
이상의 단계들에 의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The
3.2.3. 시간 분할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 제공 방법3.2.3. How to provide thermal grill feedback with time slicing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4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60 is a flowchart of a four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0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시간 분할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4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되,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0),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전압을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S4400) 및 정전압과 역전압이 교번적으로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해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S4500)를 포함할 수 있다.60 is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grill feedback through time division, comprising: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4100); acquiring feedback information (S4200); performing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Determining a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in particular, determining whether the thermal feedback is a thermal grill feedback (S4300), determining a voltage duty cycle for the thermal grill operation (S440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are alternately applied (S4500) alternately outputting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using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ime.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4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4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되,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00). 본 단계들은 각각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에서의 단계 S3100, S3200, S3300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obtained (S4100), the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S4200),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thermal grill feedback (S3400).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3100, S3200, and S3300 in the second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respectively.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다음과 같이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perform a thermal grill operation as follows.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전압을 듀티 사이클을 결정한다(S4400). The voltage duty cycle is determined for the thermal grill operation (S4400).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 및 역전압을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인가하는데, 이때 정전압을 인가하는 시간과 역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을 결정한다.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 인가에 의한 발열 동작 온도 변화량과 역전압 인가에 의한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의 비율 및 발열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과 흡열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중립 비율이 성립되도록 정전압 타이밍과 역전압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시간적으로 발열/흡열 동작을 반복하여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정전압 타이밍과 역전압 타이밍을 합한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하가 되도록 한다. The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과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의 비율이 동일한 경우, 시간 관점에서의 중립 비율이 성립하도록 정전압 타이밍과 역전압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마지막으로, 정전압과 역전압이 교번적으로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해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한다(S4500).Finally, in step S4500, a warm-up feedback signal and a cold feedback signal are alternately output in response to an elapse of time using an electric signal alternately applied with a constant voltage and a reverse voltage.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타이밍 동안 정전압을 인가하고, 제2 타이밍 동안 역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타이밍 동안에는 발열 동작이 수행되고, 제2 타이밍 동안에는 흡열 동작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온감 피드백이 냉감 피드백이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열 그릴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The
이상의 단계들에 의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The
3.2.4.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 제공 방법3.2.4. How to provide thermal grill feedback with area adjustment and time slicing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5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6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f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1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영역 조절 및 시간 분할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5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되,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00),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제1 동작을 수행할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동작을 수행할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결정하는 단계(S5400),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전압에 관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S5500) 및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 정전압과 역전압이 교번적으로 엇갈려 인가되도록 각각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이 영역과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동시에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S5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 61 is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grill feedback through area adjustment and time division, comprising: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5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5200) (S5300), determining whether the thermal feedback is a thermal grill feedback (S5300), determining a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thermal pair group (1244) and performing a second operation Determining a duty cycle for the voltage for the thermal grill operation (S5500), determining a second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5 예는, 접촉면(1600)의 일부와 다른 일부에서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열전 쌍 어레이(1240)에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이 포함되며,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 fifth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is that a plurality of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5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5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되, 특히 열 그릴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00). 본 단계들은 각각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에서의 단계 S4100, S4200, S4300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obtained (S5100), the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S5200), and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thermal grill feedback (S5300).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4100, S4200, and S4300 in the second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respectively.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다음과 같이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perform a thermal grill operation as follows.
우선,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제1 동작을 수행할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동작을 수행할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결정한다(S5400). First, a
여기서, 제1 동작과 제2 동작은 듀티 사이클을 이용하여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이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이되, 그 순서가 서로 엇갈리는 동작으로 제1 동작이 발열 동작 시에는 제2 동작은 흡열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동작이 발열 동작 시에는 제1 동작은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을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re operations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performed alternately with time using a duty cycle, and the order of the operations is shifted from each other, The operation is an operation to perform an endothermic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s an operation to perform an endothermic operation in a heat operation operation. For example, the
다음으로, 열 그릴 동작을 위해 전압에 관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한다(S5500). Next, a duty cycle related to the voltage is determined for the thermal write operation (S5500).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 및 역전압을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인가하는데, 이때 정전압을 인가하는 시간과 역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을 결정한다. 이때,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 인가에 의한 발열 동작 온도 변화량과 역전압 인가에 의한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의 비율 및 발열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과 흡열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중립 비율이 성립되도록 정전압 타이밍과 역전압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과 흡열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량의 비율이 동일한 경우, 시간 관점에서의 중립 비율이 성립하도록 정전압 타이밍과 역전압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마지막으로,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 정전압과 역전압이 교번적으로 엇갈려 인가되도록 각각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열전 쌍 그룹(1244)과 제2 열전 쌍 그룹(1244)이 영역과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동시에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한다(S5500).Lastly,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타이밍 동안 제1 열전 쌍 그룹(1244)에는 정전압을,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는 역전압을 인가하고, 제2 타이밍 동안 제1 열전 소가 그룹에는 역전압을, 제2 열전 쌍 그룹(1244)에는 정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타이밍 동안에는 제1 열전 소자는 발열 동작을, 제2 열전 쌍 그룹(1244)은 흡열 동작을 수행하고, 제2 타이밍 동안에는 제1 열전 쌍 그룹(1244)은 흡열 동작을, 제2 열전 쌍 그룹(1244)은 발열 동작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영역 관점에서는 동시에 열감 피드백과 온감 피드백이 제공되며, 시간 관점에서는 열감 피드백과 온감 피드백이 교번적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에게 열 그릴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The
이상의 단계들에 의해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The
3.2.5. 중립 열 그릴 피드백, 온열 그릴 피드백 및 냉열 그릴 피드백 제공 방법3.2.5. Neutral thermal grill feedback, hot grill feedback and cold grill feedback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로부터 제5 예까지의 설명에서는 열 그릴 피드백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열 그릴 피드백으로서 온열 그릴 피드백이나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through fifth examples of the thermal feedback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hermal grill feedback is described as being the neutral thermal grill feedback. Alternatively,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hot grill feedback or cold grill feedback as thermal grill feedback.
일 예로, 전압 제어를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는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에 대한 역전압의 비율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정전압에 대한 역전압의 비율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정전압에 대한 역전압의 비율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정전압에 대한 역전압의 비율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rmal grill feedback via voltage control, the
다른 예로, 영역 조절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는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면적에 대한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면적의 비율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비율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면적에 대한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면적의 비율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비율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o provide thermal grill feedback in the case of thermal grill feedback through area adjustment, the
또 다른 예로, 시간 조절을 통한 열 그릴 피드백의 경우에는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타이밍에 대한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타이밍의 비율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비율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타이밍에 대한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타이밍의 비율이 중립 열 그릴 피드백에 이용되는 비율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thermal grill feedback through time adjustment, the
이를 다시 설명하면,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전압에 대한 역전압의 비율, 발열 면적에 대한 흡열 면적의 비율, 발열 타이밍에 대한 흡열 타이밍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켜 온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켜 냉열 그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ratio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constant voltage, the ratio of the endothermic area to the exothermic area, and the ratio of the endothermic timing to the exothermic timing to provide the hot grill feedback And at least one can be increased to provide cold grill feedback.
3.3.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3.3. Providing thermal feedback to prevent skin damag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 예로부터 제5 예까지의 설명에서는 과도하게 높은 열량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through fifth examples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excessively high amount of h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이를 위해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임계 전압값을 넘지 않도록 하거나,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3.4. 열 역전 환각 방지 방법3.4. How to prevent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s
3.4.1. 완충 동작에 따른 열 역전 환각 방지 방법3.4.1. How to prevent thermal inversion by buffer operation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6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62 is a flowchart of a six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2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열적 피드백 제공 시 발생하는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6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6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는 단계(S6400) 및 열적 피드백의 종료 시점에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65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 62 is a method for preventing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that occurs when providing thermal feedback,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6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6200) A step S6300 of performing a heating operation or an endothermic operation, a step of terminating the thermal feedback S6400, and a step S6500 of performing a buffering operation at the end of the thermal feedback.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6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6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한다(S6300). 본 단계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다른 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위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가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1 전압으로 지칭하기로 한다.First, a feedback request message is acquired (S6100),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S6200), and a he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6300). These steps may be understood from another example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ere, the voltage applied to the
열적 피드백을 종료한다(S6400). The thermal feedback is ended (S6400).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과하면 열적 피드백을 종료할 수 있다. 즉, 발열 동작이나 흡열 동작이 개시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과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The
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정보로부터 열적 피드백이 인가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열적 피드백을 개시한 이후 시간을 카운팅하여 열적 피드백이 인가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열적 피드백을 종료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열적 피드백을 종료할 수 있다. Or the
열적 피드백의 종료는 열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인가하는 전압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ination of the thermal feedback may mean block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열적 피드백의 종료 시점에 완충 동작을 수행한다(S6500). At the end of the thermal feedback, a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S6500).
여기서, 완충 동작은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의 종료 시 접촉면(1600)의 온도가 포화 온도로부터 초기 온도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으로 열 역전 환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Here, the buffer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이를 위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 종료 시 소정의 시간 동안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완충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여기서, 완충 전원은 기본적으로 작동 전원, 즉 제1 전압과 그 전원 인가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출력을 위해 인가되던 작동 전원의 전원 인가 방향 또는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기초하여 완충 전원의 전원 인가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Her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asically be the same as the operating power source, that is, the first voltage and the power application direction. To this end, the
또, 완충 전원은 열전 소자 측에 완충 전원보다 작은 강도의 열전 동작을 유도하는 전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 전원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ushioning power source may be a power source for inducing a thermoelectric action with a smaller intensity than the cushioning power source on the thermoelectric device side. To this end, the buffer power source ma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일 예로, 완충 전원은 그 전압값이 작동 전원의 전압값, 즉 작동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유사하게 완충 전원은 그 전류값이 작동 전원의 전류값, 즉 작동 전류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이때 완충 전압 또는 완충 전류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완충 구간 동안 감소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buffer power supply may have a voltage valu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that is, the operating voltage. Or similarly, the cushion power source may have a current value smaller than the current valu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that is, the operating current. On the other hand, the buffering voltage or the buffering current may be reduced during the buffering period in which the buf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다른 예로, 완충 전원은 듀티 신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작동 전원이 평활 신호인 경우에는 완충 전원이 듀티 신호로 제공됨에 따라 접촉면의 온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온도 변화의 속도가 저감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작동 전원이 듀티 신호 형태인 경우라면 완충 전원은 그 듀티 레이트가 작동 전원보다 작은 듀티 신호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역시 접촉면이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때 완충 전원의 듀티 레이트는 완충 구간 동안 감소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uty signal. If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a smooth signal, the buffering power is provided as a duty signal so that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during the return of the contact surface temperature to the initial temperature may be reduced. If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a duty signal type,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provided with a duty signal whose duty rate is smaller than the operating power source, so that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during the return of the contact surface to the initial temperature may also be reduced . On the other hand, the duty ratio of the buffer power source may be reduced during the buffering period.
이와 같이 완충 전압이 인가되면, 접촉면(1600)의 온도 변화 속도가 저감되므로 열 역전 환각 현상이 완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When the cushioning voltage is applied in this manner,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또는 피드백 디바이스(1000)에서 열전 소자가 복수의 열전 쌍 그룹(1244)을 가지는 열전 쌍 어레이(1240)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영역 별 제어를 통해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provided in the
구체적으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 출력을 위해 작동 전원을 인가할 때 작동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1244, 이하 ‘작동 그룹’이라 함)보다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열전 쌍 그룹(1244, 이하 ‘완충 그룹’이라 함)의 개수가 적도록 제어함으로써 완충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개의 작동 그룹에 의해 열적 피드백 출력을 위한 열전 동작이 수행된 뒤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 시 8개의 완충 그룹에 완충 전원을 인가해 전체 열전 소자 측면에서 열전 동작의 강도를 약화시킴으로써 접촉면(1600)이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온도 변화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작동 그룹은 열전 소자의 모든 열전 쌍 그룹(1244)일 필요는 없으며, 완충 그룹은 작동 그룹보다 개수가 적으면 되는 것이므로 완충 그룹이 반드시 작동 그룹의 일부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완충 구간 동안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완충 그룹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이처럼 영역 별 제어를 통해 완충 동작을 수행할 때 완충 전원으로는 그 전압값, 전류값, 듀티 레이트 등이 작동 전원보다 작은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완충 그룹의 개수가 작동 그룹의 개수보다 작기 때문에 작동 전원을 완충 전원으로 이용하여도 열 역전 환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f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rea control, a power source having a voltage value, a current value, a duty rate, and the like smaller than the operating power source can be used as the buffer power source. However, since the number of the buffer group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operation groups,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even when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used as the buffer power source.
이와 같이 작동 전원을 그대로 완충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완충 동작은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완충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통해 완충 동작이 구현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관점에 따라서는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 시점에 작동 전원이 인가되는 작동 그룹의 개수가 감소되는 것에 의해 완충 동작이 구현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구체적으로 열적 피드백 출력을 위해 작동 그룹에 전원을 인가하고,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 시에 동시에 전체 작동 그룹에 전원 인가를 중단하는 대신 작동 그룹 중 일부에 대해서 먼저 전원 인가를 중단하고 그 뒤에 나머지 일부에 대해 전원 인가를 중단하는 것을 통해 완충 동작이 구현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used as the buffer power source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ing operation may be interpreted as implementing the buffering ope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uffer power source when the operating power source is interrupted. However,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buffer operation is implemented by reducing the number of operating groups to which the operating power is applied. Specifically, power is applied to the operation group for thermal feedback output,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is terminated, the power supply to the entire operation group is stopped at the same time. It may be seen that the buffering operation is implemented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to the buffer.
이상에서는 열적 피드백의 출력 종료를 위한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에 따라 완충 구간 동안 완충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완충 동작이 반드시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 곧바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완충 동작은 작동 전원의 인가 중단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during the buffer period according to the interruption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for the end of the output of the thermal feedback. Here, the buffering operation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mmediately upon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and the buffe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has elapsed from when the operating power supply is stopped.
3.4.2. 전압 제어를 통한 열 역전 환각 방지 방법3.4.2. How to prevent thermal inversion by voltage control
한편, 상술한 완충 동작에서 완충 전압으로는 복수의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완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완충 구간은 시간에 따라 차례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완충 구간은 앞 구간일수록 큰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voltages can be used as the buffering voltage in the above buffering operation. Whereby the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제1 완충 전압, 제2 완충 전압 및 제3 완충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이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 종료 시 제1 완충 구간 동안에는 제1 완충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완충 구간 동안에는 제2 완충 전압을 인가하고, 제3 완충 구간 동안은 제3 완충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여기서, 제1 완충 전압은 제1 전압보다 작고 동일한 방향이며, 제2 완충 전압은 제1 완충 전압보다 작고 동일한 방향이며, 제3 완충 전압은 제2 완충 전압보다 작고 동일한 방향이다. 또 제1 완충 구간은 발열/흡열 동작에 뒤따르며, 제2 완충 구간은 제1 완충 구간에 뒤따르며, 제3 완충 구간은 제2 완충 구간을 뒤따른다.Here, the first damping voltage is smaller than the first voltage and the same direction, the second damping voltage is smaller than the first damping voltage and the same direction, and the third damping voltage is smaller than the second damping voltage and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buffer section follows the heat / heat absorption operation, the second buffer section follows the first buffer section, and the third buffer section follows the second buffer section.
3.4.3. 열적 피드백 강도를 고려한 열 역전 환각 방지 방법3.4.3. Prevention of thermal inversion by considering thermal feedback strength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7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63 is a flowchart of a seven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3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고려하여 열적 피드백 제공 시 발생하는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7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7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는 단계(S7400),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판단하는 단계(S7500) 및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7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 63 is a method for preventing a thermal inversion halloccurring in providing thermal feedback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rmal feedback, comprising: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7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7200), perform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7300), ending the thermal feedback (S7400),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thermal feedback (S7500), an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thermal feedback And performing a buffer operation (S760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7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7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고(S7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할 수 있다(S7400). 본 단계들은 상술한 단계 S6100, S6200, S6300 및 S6400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acquired (S7100), the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S7200),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or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7300), and the thermal feedback can be terminated (S7400).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6100, S6200, S6300, and S6400 described above.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판단한다(S7500).The strength of the thermal feedback is determined (S7500).
완충 동작이 종료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종료된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정보나 인가가 종료된 전압의 크기 및 방향에 기초하여 열적 피드백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buffering operation is terminated, the
열적 피드백의 강도에 기초하여 완충 동작을 수행한다(S7600).The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S7600).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적 피드백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 경우에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고, 미리 정해진 강도 이하인 경우에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feedback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Accordingly, the
완충 동작 수행 시에는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완충 구간 동안 완충 전압을 열전 쌍 어레이(1240)에 인가하며, 수행하지 않을 시에는 전원 인가를 하지 않는다.When the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the
열적 피드백 강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열 역전 환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완충 동작을 수행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If the thermal feedback intensity is below a certain level, there is no reason to perform the buffering operation unnecessarily, since the thermal inversion does not occur.
한편, 동일한 강도의 열적 피드백이더라도 냉감 피드백에 대한 미리 정해진 강도가 온감 피드백에 대한 미리 정해진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어, 냉감 피드백에 대해서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되 그와 동일한 크기의 열감 피드백에 대해서는 완충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thermal feedback has the same intensity, the predetermined strength for the cold feedback is set to be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strength for the warm feedback, so that the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cold feedback and the buffer operation It may not be performed.
3.4.4.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 시의 열 역전 환각 방지 방법3.4.4. Preventing thermal inversion of warmth feedback and cold feedback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8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64 is a flowchart related to an eigh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4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따라 열적 피드백 제공 시 발생하는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8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8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는 단계(S8400),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8500) 및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이한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8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 64 is a method for preventing a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that occurs when thermal feedback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ncluding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8100),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8200 (Step S8300), a step of terminating the thermal feedback (step S8400), a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step S8500),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based on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And performing a buffer operation (S860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8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8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고(S8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단계들은 상술한 단계 S7100, S7200, S7300 및 S7400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obtained (S8100), the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S8200), and the heating operation 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8300).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7100, S7200, S7300 and S7400 described above.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한다(S8500).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determined (S8500).
완충 동작이 종료되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종료된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열적 피드백의 종류는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을 포함하며,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피드백 정보나 인가되고 있던 제1 전압의 방향에 따라 이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buffering operation ends, the
열적 피드백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이한 완충 동작을 수행한다(S8600).A different buffer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kind of thermal feedback (S8600).
상술한 바와 같이 온감 피드백 종료 시의 온도 변화 속도보다 냉감 피드백 종료 시의 온도 변화 속도가 더 급격하므로, 둘 간에 완충 동작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at the end of the cold feedback is more steep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rate at the end of the warm feedback, it is necessary to vary the buffer operation between the two.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온감 피드백에 대해서 제1 완충 시간 동안 제1 완충 전압을 이용하여 완충 동작을 수행하고, 냉감 피드백에 대해서는 제2 완충 시간 동안 제2 완충 전압을 이용하여 완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완충 시간은 제1 완충 시간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초기 온도에 대한 포화 온도까지의 온도 변화량이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 동일한 경우 냉감 피드백의 종료 시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온도 변화 속도가 더 빠르기 문이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완충 시간이 제2 완충 시간보다 클 수도 있는데, 이는 동일한 작동 전압을 이용하여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을 출력한 경우, 초기 온도에 대한 포화 온도까지의 온도 변화량이 온감 피드백인 경우 냉감 피드백보다 크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다른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온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에 대한 완충 동작에 따른 완충 전원과 냉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에 대한 완충 동작의 완충 전원을 상이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감 피드백에 대한 제1 완충 전압이 냉감 피드백에 대한 제2 완충 전압보다 작을 수 있는데, 이는 온도 변화량이 동일한 경우 냉감 피드백의 온도 복귀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다른 예를 들어, 온감 피드백에 대한 제1 완충 전압이 냉감 피드백에 대한 제2 완충이 클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작동 전압을 이용한 경우 온도 변화량이 온감 피드백의 경우에 더 크기 때문이다. 여기서, 온감 피드백 및 냉감 피드백에 대한 완충 전원은 그 전압값이 다른 대신 전류값이나 듀티 레이트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또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 관한 완충 전원은 작동 전원에 대한 전압/전류/듀티 레이트의 비율이 “1” 보다 작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uffer power source for the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may have a ratio of the voltage / current / duty ratio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smaller than "1"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때 비율값은 온감 피드백의 비율값보다 냉감 피드백의 비율값이 더 클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냉감 피드백에서의 온도 복귀 속도가 더 빠를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온감 피드백을 위한 작동 전원이 제1 전압/전류/듀티 레이트를 갖고, 냉감 피드백을 위한 작동 전원이 제2 전압/전류/듀티 레이트를 갖는 경우, 온감 피드백에 관한 완충 전원은 제3 전압/전류/듀티 레이트를 갖고, 냉감 피드백에 관한 완충 전원은 제4 전압/전류/듀티 레이틀르 가질 때, 제1 전압/전류/듀트 레이트에 대한 제3 전압/전류/듀티 레이트의 비율이, 제2 전압/전류/듀티 레이트에 대한 제4 전압/전류/듀티 레이트의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초기 온도에 대한 포화 온도까지의 온도 변화량이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에서 동일한 경우 냉감 피드백의 종료 시 초기 온도로 복귀하는 온도 변화 속도가 더 빠르기 문이다.At this time, the ratio value may be larger than the ratio value of the warm-feeling feedback ratio.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return rate in cold feedback can be faster.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ng power for warm feedback has a first voltage / current / duty rate and the operating power for cold feedback has a second voltage / current / duty rate, the buffer power for the warm- Current / duty ratio and the ratio of the third voltage / current / duty ratio to the first voltage / current / duty ratio when the buffer power source for the cold feedback has the fourth voltage / current / duty ratio, May be less than the ratio of the fourth voltage / current / duty ratio to the voltage / current / duty rate.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return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at the end of cold feedback is faster whe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to the saturation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temperature is the same in the warm feedback and cold feedback.
또는 비율값은 온감 피드백의 비율값보다 냉감 피드백의 비율값이 더 작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동일 전원에서 온도 변화량이 온감 피드백의 경우가 냉감 피드백의 경우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Or the ratio value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value of the warm-feeling feedback value.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at the same power source is larger in the case of the warm feedback than in the case of the cold feedback.
또 다른 예를 들어,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온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에 대한 완충 동작에 따른 완충 전원과 냉감 피드백의 출력 종료에 대한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완충 그룹의 개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온감 피드백에 대한 완충 그룹의 개수 또는 작동 그룹에 대한 완충 그룹의 개수 비율이 냉감 피드백에 대한 개수나 비율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냉감 피드백 시의 온도 변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또는 반대로 온감 피드백에 대한 완충 그룹의 개수 또는 작동 그룹에 대한 완충 그룹의 개수 비율이 냉감 피드백에 대한 개수나 비율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는 동일 전원에서 온감 피드백의 온도 변화량이 더 크기 때문이다. 여기서, 작동 전원을 완충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완충 동작은 작동 그룹의 일부에 대해 먼저 작동 전원을 차단한 뒤 나머지에 대해 작동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3.4.5. 연속 열적 피드백 제공 시의 열 역전 환각 방지 방법3.4.5. How to prevent thermal inversion of hallway when providing continuous thermal feedback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9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6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inth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5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연속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시 열적 피드백 제공 시 발생하는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ure 65 is a method for preventing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s that occur in providing thermal feedback in providing continuous thermal feedback,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9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9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는 단계(S9400), 완충 동작의 수행 중에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9500) 및 피드백 요청 메시지 획득 시 완충 동작을 중단하고 요청된 피드백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S9600)를 포함할 수 있다. A step S9100 of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a step S9200 of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a step S9300 of performing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 step of terminating the thermal feedback S9400, Step S9500 of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 and step S9600 of stopping the buffer operation upon acquiring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and initiating the requested feedback operation.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9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S9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고(S9300), 열적 피드백을 종료하고, 완충 동작을 수행한다(S9400). 본 단계들은 상술한 단계 S6100, S6200, S6300 및 S6400, 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a feedback request message is acquired (S9100), feedback information is acquired (S9200),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9300), thermal feedback is completed and a buf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6100, S6200, S6300, and S6400 described above.
완충 동작의 수행 중에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한다(S9500).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완충 동작 수행 중 단계 S9100과 유사하게 피드백 요청 메시지가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 feedback request message is obtain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buffering operation (S9500). The
피드백 요청 메시지 획득 시 완충 동작을 중단하고 요청된 피드백 동작을 개시한다(S9600).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완충 동작 중 피드백 요청 메시지가 획득된 경우에는 완충 동작을 종료하고, 요청된 열적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Upon receipt of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the buffer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requested feedback operation is started (S9600). The
3.4.5. 열 그릴 피드백 중단 시 느껴지는 열감 제거 방법3.4.5. How to remove the heat that is felt when the heat grill feedback stops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10 예에 관한 순서도이다.6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nth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7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연속되는 열적 피드백 제공 시 열적 피드백 제공 시 발생하는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Figure 67 is a method for preventing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s that occur in providing thermal feedback in providing continuous thermal feedback,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10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10300),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S10400), 열 그릴 피드백을 종료하는 단계(S10500) 및 열 그릴 피드백을 위한 완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0600)를 포함할 수 있다. A step of obtaining a feedback request message (S10100), a step of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S10200), a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10300),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being thermal grill feedback A step of performing thermal grill feedback (S10400), a step of finishing thermal grill feedback (S10500), and a step of performing a buffering operation for thermal grill feedback (S10600).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S10100),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 (S10200),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할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판단한다(S10300). 본 단계들은 상술한 단계 S2100, S2200, S2300 및 S2400, 과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s acquired (S10100), the feedback information is acquired (S10200), and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to be perform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S10300). These steps may be similar to steps S2100, S2200, S2300, and S2400 described above.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그릴 피드백인 경우 열 그릴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S10400). 본 단계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의 제2 예 내지 제5 예에 따른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유사할 수 있다.If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grill feedback, thermal grill feedback can be performed (S10400). This step may be similar to performing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to fifth examples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열 그릴 피드백을 종료한다(S10500). 본 단계는 S6400과 유사할 수 있다. The thermal grill feedback is terminated (S10500). This step may be similar to S6400.
열 그릴 피드백이 종료되면, 열 그릴 피드백을 위한 완충 동작을 수행한다(S10600).When the thermal grill feedback is terminated, a buffer operation for thermal grill feedback is performed (S10600).
여기서, 완충 동작은 열 역전 환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열 그릴 피드백을 위한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이 동시에 중단되는 경우 온도 평형이 깨짐에 따라 온감이나 냉감이 일시적으로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다. Here, although the buffering operation is intended to prevent the thermal inversion hallucina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for the thermal grill feedback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are stopped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cold feeling from being temporarily felt.
일반적으로 열 그릴 피드백에서는 냉감 피드백이 온감 피드백보다 강한 강도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열 그릴 동작 종료 시 흡열 면적의 온도 변화 속도가 더 빠르다. 따라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그릴 피드백 종료 시 소정 시간 동안 역전압을 인가하여 흡열 면적(또는 전체 면적)에서 발생하는 열 역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제1 동작).Generally, in the thermal grill feedback, the cold feedback is performed at a higher intensity than the warm feedback, and the temperature change speed of the endothermic area is faster at the end of the thermal grill operation. Accordingly, the
반면, 냉감 피드백의 강도가 온감 피드백의 강도보다 더 컸기 때문에 초기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흡열 면적에서 더 늦다. 따라서,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열 그릴 피드백의 종료 후 일정 시간이 경과 한 뒤 소정 시간 동안 발열 면적(또는 전체 면적)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열 균형을 맞춰줄 수 있다(제2 동작).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tensity of the cold feedback is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the warm feedback, the time to reach the initial temperature is later in the endothermic area. Accordingly, the
이러한 제1 동작 및 제2 동작에서 열 그릴 피드백 종료 시 인가되는 전원은 완충 전원으로 정의할 수도 있지만, 보조 전원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이는 열적 피드백 출력 종료 시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이 맞추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전원이기 때문이다. The power applied at the end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in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may be defined as a buffer power, bu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power. This is because the power source has the purpose of making the thermal equilibrium at the initial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thermal feedback output.
여기서, 보조 전원은 발열 면적과 흡열 면적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인가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heat generating area and the heat absorbing area.
열적 피드백 출력 종료 시 열 그릴 피드백을 위한 냉감 피드백의 강도가 온감 피드백의 강도보다 큰 것을 고려하여 발열/흡열 부분이 초기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보조 전원의 전압 인가 방향을 정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역방향 전원과 정방향 전원을 함께 보조 전원으로 이용하되, 정방향 전원의 전류/전압/인가 시간을 더 크게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조 전원으로 정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을 함께 인가하는 경우, 정방향 전원은 발열 부분에 역방향 전원은 흡열 부분에 인가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The voltag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can be determined to be normal so that the heat / heat absorbing portion is thermally balanc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cold feedback for the thermal grill feedback is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warm feedback at the end of the thermal feedback output. Alternatively, the reverse power and the forward power are used together as the auxiliary power, but the current / voltage / application time of the forward power can be adjusted to be larger. Here, when the positive power source and the negative power source are applied together as the auxiliary power source,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positiv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revers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heat absorbing portion.
또는 반대로, 열적 피드백 출력 종료 시 열전 동작에 의한 잔열을 고려하여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적 평형을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전원의 전압 인가 방향을 역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정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을 함께 보조 전원으로 이용하되, 역방향 전원의 전류/전압/인가 시간을 더 크게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조 전원으로 역방향 전원과 전방향 전원을 함께 인가하는 경우, 역방향 전원은 흡열 부분에 정방향 전원은 발열 부분에 인가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voltag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may be reversely determined in order to prevent thermal equilibrium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ual heat due to the thermoelectric operation at the end of the thermal feedback output. Alternatively, the forward power and the reverse power are used together as the auxiliary power, but the current / voltage /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power may be adjusted to be larger. Here, when the reverse power source and the omnidirectional power source are applied together as the auxiliary power source,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revers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heat absorbing portion and the forward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보조 전원을 이용하는 대신 열 그릴 피드백을 구성하는 온감 피드백과 냉감 피드백의 종료 시점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end timing of the warm feedback and the cold feedback, which constitute the thermal grill feedback,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stead of using the auxiliary power source.
열 평형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냉감 피드백이 온감 피드백보다 강한 강도로 수행되므로, 발열 부위가 먼저 열 평형에 도달하고 이후 흡열 부위가 열 평형에 도달하므로 그 동안 냉감이 느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 그릴 동작을 구성하는 발열 동작과 흡열 동작 중 발열 동작을 먼저 중단하여 발열 부위와 흡열 부위가 열 평형에 도달하는 시점이 동일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thermal equilibrium, the cold feedback is performed at a higher intensity than the warm feedback, so that a cold feeling may be felt during the heating region first reaches the thermal equilibrium and then the heat absorption region reaches the thermal equilibrium.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constituting the heat grill operation and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during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may be stopped first so that the point wher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endothermic portion reach the thermal equilibrium are made equal.
또는 흡열 부위에서의 온도 변화량이 발열 부위에서의 온도 변화량보다 크기 때문에 열 그릴 피드백 출력 종료 시 열 평형은 초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열 동작을 먼저 중단시키고 발열 동작을 이후에 중단시켜 최종적으로 초기 온도에서 열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Or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at the endothermic part is larg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at the heat generation part, the thermal equilibrium at the end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output may be low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also possible to stop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first and then to stop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so that the thermal equilibrium is finally achiev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또는 열전 소자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전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잔열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잔열로 인해 열 그릴 피드백 출력 종료 시 초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 평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열 동작을 나중에 중단시키고 발열 동작을 먼저 중단시켜 최종적으로 초기 온도에서 열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Or when a thermoelectric element performs a thermoelectric operation using electric energy, residual heat may be generated. Such residual heat may cause thermal equilibrium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thermal grill feedback output.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also possible to stop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later and stop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first so that the thermal equilibrium is finally achiev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동작과 제2 동작 및 발열 동작/흡열 동작의 종료 중지 시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모두 개별적 또는 조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hat the first operation,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topping point of the end of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all perform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각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은 그 단계를 전부 포함하는 것은 물론 일부만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단계들이 설명된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서 각 단계들이 반드시 설명된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methods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steps described in each of the thermal feedback methods is not essential,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can be performed including all of the steps as well as a part of the steps. Also, since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eps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re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에서 수행 주체에 대해 별도의 언급이 없는 단계는 피드백 디바이스(100)의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 및 피드백 콘트롤러(14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내용에서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 사항이 필요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러(1400)에 의해 수행되거나 반대로 피드백 콘트롤러(14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 사항이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내용 중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나 피드백 콘트롤러(14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 사항이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와 피드백 콘트롤러(1400)의 협업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미 언급한 바 있지만,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2700)와 피드백 콘트롤러(1400)는 하나의 콘트롤러로 구현되어 있을 수도 있음을 다시 밝혀둔다. Also,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tep that does not refer to the performing entity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피드백 디바이스
100a: 게이밍 콘트롤러
100b: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0: 피드백 유닛
1200: 열 출력 모듈
1220: 기판
1240: 열전 쌍 어레이
1241: 단위 열전 쌍
1242: 도체 부재
1244: 열전 쌍 그룹
1260: 전원 단자
1400: 피드백 콘트롤러
1600: 접촉면
2000: 어플리케이션 유닛
2100: 케이싱
2120: 파지부
2200: 입력 모듈
2300: 센싱 모듈
2400: 진동 모듈
2500: 통신 모듈
2600: 메모리
2700: 어플리케이션 콘트롤러100:
100b: Wearable device 1000: Feedback unit
1200: thermal output module 1220: substrate
1240: thermocouple array 1241: unit thermocouple
1242: conductor member 1244: thermocouple group
1260: Power terminal 1400: Feedback controller
1600: Contact surface 2000: Application unit
2100: casing 2120: grip section
2200: input module 2300: sensing module
2400: vibration module 2500: communication module
2600: memory 2700: application controller
Claims (14)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흡열 동작을 위한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전업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역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교번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thermal feedback performed by a feedback device that outputs thermal feedback by communicating heat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device applied with power to a user through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a body part of a user,
Obtaining a start message of the thermal feedback including a kind of the thermal feedback; And
And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by performing a thermal grill opera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are combined when the kind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sensory feedback,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pplying a reverse voltage hav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power applying direction f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step of applying the reverse voltage and a step of alternately repeating the step of applying the reverse voltage
Providing thermal feedback.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 각각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열 동작에 따라 온감을 느끼거나 상기 흡열 동작 동작에 따라 냉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인지 시간 이하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may be set so that the user can feel warmth according to the heating operation,
Providing thermal feedback.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온감 또는 냉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을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보다 작게 조절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in order to minimize the user's feeling of warmth or cold feeling by the heat sensation feedback
Providing thermal feedback.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은 1.5 이상 5.0 이하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is not less than 1.5 and not more than 5.0
Providing thermal feedback.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은 동일하고,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보다 작게 조절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is performed such that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are the same and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constan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by the reverse voltage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reverse voltage
Providing thermal feedback.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온도 하강량의 비율이 1.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정전압과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을 조절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oltage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is adjusted so that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becomes 1.5 or more and 5.0 or less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heat sensation feedback
Providing thermal feedback.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 및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의 비율의 곱이 1.5 이하 5.0 이하인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reverse voltage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is not more than 1.5 and not more than 5.0
Providing thermal feedback.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 동작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일 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면을 통해 상기 발열 동작 또는 상기 흡열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적 피드백을 출력하는 열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열적 피드백의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열적 피드백의 종류가 열 통감 피드백인 경우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발열 동작 및 상기 흡열 동작이 복합된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전 소자에 상기 발열 동작을 위한 정전압을 및 상기 정전압과 전원 인가 방향이 반대인 역전압을 교번적으로 반복 인가함으로써 상기 열 출력 모듈이 상기 열 그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receives a power supply and performs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a heat absorbing operation, a pow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ac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 hea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feedback b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or the heat absorbing operation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thermal feedback start message including the type of the thermal feedback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type of thermal feedback is thermal feedback feedback, the thermal output module performs the heat generation operation and the heat absorption operation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the power to perform the combined heat grill operation to output the heat trap feedback,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ermal output module to perform the thermal grill operation by alternately applying a constant voltage for the heat generating operation and a reverse voltage whose opposite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power application directio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Feedback device.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 각각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열 동작에 따라 온감을 느끼거나 상기 흡열 동작 동작에 따라 냉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인지 시간 이하인
피드백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may be set so that the user can feel warmth according to the heating operation,
Feedback devic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 통감 피드백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온감 또는 냉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을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보다 작게 조절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adjusts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to be smaller than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in order to minimize the user's feeling of warmth or cold feeling by the thermal sensation feedback
Feedback device.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은 1.5 이상 5.0 이하인
피드백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is not less than 1.5 and not more than 5.0
Feedback devic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 및 상기 역전압의인가 시간은 동일하고,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이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보다 작도록 상기 정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보다 작게 조절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stant voltage so that the constant voltage application time and the reverse voltage application time are equal and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reverse voltage, The current value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f the reverse voltage
Feedback device.
상기 열 통감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온도 하강량의 비율이 1.5 이상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정전압과 상기 역전압의 전압값을 조절하는
피드백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oltage valu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everse voltage is adjusted so that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becomes 1.5 or more and 5.0 or less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heat sensation feedback
Feedback device.
상기 정전압의 인가 시간에 대한 상기 역전압의 인가 시간의 비율 및 상기 정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상기 역전압에 의한 상기 접촉면의 온도 하강량의 비율의 곱이 1.5 이하 5.0 이하인
피드백 디바이스.
.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atio of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verse voltage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decrea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reverse voltage to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contact surface due to the constant voltage is not more than 1.5 and not more than 5.0
Feedback device.
.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633,501 US10736576B2 (en) | 2016-10-31 | 2017-06-26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PCT/KR2017/011865 WO2018080173A1 (en) | 2016-10-31 | 2017-10-25 | Feedback device and thermal feedback providing method using same |
CN202210526940.9A CN114895783A (en) | 2016-10-31 | 2017-10-25 | Feedback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provide thermal feedback |
CN202210526960.6A CN114895784A (en) | 2016-10-31 | 2017-10-25 | Feedback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provide thermal feedback |
CN201780081866.1A CN110178103B (en) | 2016-10-31 | 2017-10-25 | Feedback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provide thermal feedback |
US16/919,090 US11207032B2 (en) | 2016-10-31 | 2020-07-01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US17/529,895 US11813089B2 (en) | 2016-10-31 | 2021-11-18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US18/373,024 US12102452B2 (en) | 2016-10-31 | 2023-09-26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240039389A KR102690840B1 (en) | 2016-10-31 | 2024-03-21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250012751A KR20250022737A (en) | 2016-10-31 | 2025-01-31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62415437P | 2016-10-31 | 2016-10-31 | |
US62/415,437 | 2016-10-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39389A Division KR102690840B1 (en) | 2016-10-31 | 2024-03-21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8195A true KR20180048195A (en) | 2018-05-10 |
Family
ID=62184091
Family Applications (2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732A Active KR102725310B1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6A Abandoned KR20180048196A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3A Active KR102725311B1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4A Active KR102725312B1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5A Ceased KR20180048195A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7A Active KR102554722B1 (en) | 2016-10-31 | 2016-11-24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eat to a user or absorbing heat from a user |
KR1020160158774A Ceased KR20180048203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62A Active KR102554721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67A Active KR102767758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70A Active KR102725314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83A Ceased KR20180048206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77A Ceased KR20180048204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81A Abandoned KR20180048205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65A Active KR102725313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85A Active KR102725315B1 (en) | 2016-10-31 | 2016-11-25 | Method for generating a multimedia contents having a thermal experien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
KR1020160158764A Active KR102735226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70062594A Active KR102311788B1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70062595A Active KR102471782B1 (en) | 2016-10-31 | 2017-05-19 | Special effect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cial effects |
KR1020170062590A Active KR102433608B1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170062600A Active KR102326234B1 (en) | 2016-10-31 | 2017-05-19 |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appratus having the same |
KR1020170062599A Ceased KR20180048261A (en) | 2016-10-31 | 2017-05-19 |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appratus having the same |
KR1020170062597A Ceased KR20180048260A (en) | 2016-10-31 | 2017-05-19 |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appratus having the same |
KR1020170062593A Ceased KR20180048257A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170062589A Ceased KR20180048253A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170062592A Active KR102461586B1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220046181A Active KR102454844B1 (en) | 2016-10-31 | 2022-04-14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732A Active KR102725310B1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6A Abandoned KR20180048196A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3A Active KR102725311B1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160157734A Active KR102725312B1 (en) | 2016-10-31 | 2016-11-24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After (2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737A Active KR102554722B1 (en) | 2016-10-31 | 2016-11-24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eat to a user or absorbing heat from a user |
KR1020160158774A Ceased KR20180048203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62A Active KR102554721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67A Active KR102767758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70A Active KR102725314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83A Ceased KR20180048206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77A Ceased KR20180048204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81A Abandoned KR20180048205A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65A Active KR102725313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60158785A Active KR102725315B1 (en) | 2016-10-31 | 2016-11-25 | Method for generating a multimedia contents having a thermal experien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
KR1020160158764A Active KR102735226B1 (en) | 2016-10-31 | 2016-11-25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70062594A Active KR102311788B1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KR1020170062595A Active KR102471782B1 (en) | 2016-10-31 | 2017-05-19 | Special effect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cial effects |
KR1020170062590A Active KR102433608B1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170062600A Active KR102326234B1 (en) | 2016-10-31 | 2017-05-19 |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appratus having the same |
KR1020170062599A Ceased KR20180048261A (en) | 2016-10-31 | 2017-05-19 |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appratus having the same |
KR1020170062597A Ceased KR20180048260A (en) | 2016-10-31 | 2017-05-19 |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appratus having the same |
KR1020170062593A Ceased KR20180048257A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170062589A Ceased KR20180048253A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170062592A Active KR102461586B1 (en) | 2016-10-31 | 2017-05-19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1020220046181A Active KR102454844B1 (en) | 2016-10-31 | 2022-04-14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6) | KR102725310B1 (en) |
CN (1) | CN110199243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40402A1 (en) * | 2018-08-20 | 2020-02-27 | 주식회사 테그웨이 | Elastic heat transfer memb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905B1 (en) * | 2016-10-31 | 2022-03-03 | 주식회사 테그웨이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KR20180048227A (en) | 2016-10-31 | 2018-05-10 | 주식회사 테그웨이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004371B1 (en) * | 2018-05-16 | 2019-07-29 | (주)코어센스 | Smart glov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glove using the same |
KR102619540B1 (en) * | 2018-08-20 | 2023-12-29 | 주식회사 테그웨이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KR102309454B1 (en) * | 2018-12-31 | 2021-10-05 | (주)엠라인스튜디오 | Wearable device for virtual reality |
KR102554726B1 (en) * | 2019-02-27 | 2023-07-12 | 주식회사 테그웨이 | Thermoelectric device and headset comprising the same |
KR102575731B1 (en) * | 2019-07-03 | 2023-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hermoelectric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703746B1 (en) * | 2019-09-06 | 2024-09-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20210125790A (en) * | 2020-04-09 | 2021-10-19 | 주식회사 테그웨이 |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20220038956A (en) * | 2020-09-21 | 2022-03-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Thermoelectric module |
KR102355274B1 (en) * | 2020-11-20 | 2022-02-07 | 플레이스비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mperature feedback using haptic controller |
CN113934305B (en) * | 2021-11-02 | 2024-12-27 | 北京航空航天大学 | A human-computer interactive mouse device based on temperature tactile augmented reality |
KR102547683B1 (en) * | 2022-12-12 | 2023-06-26 | 플레이스비 주식회사 | Haptic controller of outputt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in conjunction with virtual reality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20787A1 (en) * | 1994-01-27 | 1995-08-03 | Exos, Inc. | Multimode feedback display technology |
JP2003308009A (en) * | 2002-04-17 | 2003-10-31 | Nippon Hoso Kyokai <Nhk> | Kansei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by tactile stimulation |
US7308314B2 (en) * | 2002-06-06 | 2007-12-11 | Advanced Medical Electronics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ory substitution, vision prosthesis, or low-vision enhancement utilizing thermal sensing |
KR100503803B1 (en) * | 2003-07-28 | 2005-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er lamp |
US6880345B1 (en) * | 2003-11-04 | 2005-04-19 | Intel Corporation |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component |
EP1533678A1 (en) * | 2003-11-24 | 2005-05-25 |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 Physical feedback channel for entertaining or gaming environments |
JP2005234881A (en) * | 2004-02-19 | 2005-09-02 | Nec Corp | Tactile force indicating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
JP4473685B2 (en) * | 2004-09-01 | 2010-06-02 | 任天堂株式会社 | GAME DEVICE AND GAME PROGRAM |
KR100867408B1 (en) * | 2005-12-23 | 2008-11-06 | 한국과학기술원 | Tactile display device with vibrotactile and thermal feedback |
US8272781B2 (en) * | 2006-08-01 | 2012-09-25 | Intel Corporation | Dynamic power control of a memory device thermal sensor |
US20090233710A1 (en) * | 2007-03-12 | 2009-09-17 | Roberts Thomas J | Feedback gaming peripheral |
US7830361B2 (en) * | 2007-03-30 | 2010-11-09 | Sony Corporation | Haptic interface system for video systems |
WO2009007952A2 (en) | 2007-07-10 | 2009-01-15 | Ben 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 Thermoelectric tactile display |
US8138896B2 (en) * | 2007-12-31 | 2012-03-20 | Apple Inc. |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
KR20100051386A (en) * | 2008-11-07 | 2010-05-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actile feedback |
KR101078320B1 (en) * | 2009-02-10 | 2011-10-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The Suit for Virtual Environment Experience |
EP2269544A1 (en) * | 2009-07-03 | 2011-01-05 | Levi Emmerik A. Dewaegenaere | Thermal treatment system and apparatus with biofeedback-driven protocol |
KR101056950B1 (en) * | 2010-03-04 | 2011-08-16 | 주식회사 유연플러스 | Portable cold massage device using replaceable media |
US20120227778A1 (en) * | 2011-03-11 | 2012-09-13 | Imec | Thermoelectric Textile |
US8550905B2 (en) | 2011-04-11 | 2013-10-08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Temperature feedback motion controller |
US20130021234A1 (en) | 2011-07-21 | 2013-01-24 | Frederick Umminger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sensations of temperature and texture to a controller |
US20130087180A1 (en) | 2011-10-10 | 2013-04-11 | Perpetua Power Source Technologies, Inc. | Wearabl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
US10101810B2 (en) * | 2011-11-28 | 2018-10-16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Device feedback and input via heating and cooling |
KR101928005B1 (en) * | 2011-12-01 | 2019-03-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Thermoelectric cooling packages and thermal management methods thereof |
US9035160B2 (en) * | 2011-12-14 | 2015-05-19 | John W. Rapp | Electronic music controller using inertial navigation |
US9696804B2 (en) * | 2011-12-23 | 2017-07-04 | Pine Development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eliciting cutaneous sensatio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
US8993929B2 (en) * | 2012-01-12 | 2015-03-3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Heated/cooled thermoelectric steering wheel |
KR20130125047A (en) * | 2012-05-08 | 2013-1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video,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KR101344033B1 (en) * | 2012-06-07 | 2014-01-16 | 장성호 |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Personal Clothing Microclimate and the Clothing using the same |
DE102012105086B4 (en) | 2012-06-13 | 2014-02-13 |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 Wound and folded thermoelectric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KR20140090318A (en) * | 2013-01-07 | 2014-07-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upporting Method For Operating a Camera based on a Haptic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KR20140127934A (en) * | 2013-04-08 | 2014-11-05 | 여명숙 | Method for gun shotting game using augmentation reality and mobile device and system usning the same |
US20140326287A1 (en) | 2013-05-02 | 2014-11-06 | Perpetua Power Source Technologies, Inc. | Wearable thermoelectric genera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US9514620B2 (en) * | 2013-09-06 | 2016-12-06 | Immersion Corporation | Spatialized haptic feedback based on dynamically scaled values |
GB2520293B (en) * | 2013-11-14 | 2018-02-07 | Passivsystems Ltd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emperature controlled systems |
KR20160001312A (en) * | 2014-06-27 | 2016-01-06 | 주식회사 대창 |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
CN106537621B (en) * | 2014-03-25 | 2018-12-07 | 美特瑞克斯实业公司 | Thermoelectric device and system |
US20150366383A1 (en) * | 2014-06-19 | 2015-12-24 | Gustav Paulig Ltd | Receptacle with a display |
US9092060B1 (en) * | 2014-08-27 | 2015-07-28 | Leeo, Inc. | Intuitive thermal user interface |
KR20160033585A (en) * | 2014-09-18 | 2016-03-28 |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 Power supply for medical laser diode |
KR102073227B1 (en) * | 2014-09-25 | 2020-02-04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touch service |
KR101694841B1 (en) * | 2015-01-05 | 2017-01-11 |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엠 | A seat for both cooling and heating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729226B1 (en) * | 2015-04-17 | 2017-05-04 |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 Special Effect Chair And System |
-
2016
- 2016-11-24 KR KR1020160157732A patent/KR102725310B1/en active Active
- 2016-11-24 KR KR1020160157736A patent/KR20180048196A/en not_active Abandoned
- 2016-11-24 KR KR1020160157733A patent/KR102725311B1/en active Active
- 2016-11-24 KR KR1020160157734A patent/KR102725312B1/en active Active
- 2016-11-24 KR KR1020160157735A patent/KR20180048195A/en not_active Ceased
- 2016-11-24 KR KR1020160157737A patent/KR102554722B1/en active Active
- 2016-11-25 KR KR1020160158774A patent/KR20180048203A/en not_active Ceased
- 2016-11-25 KR KR1020160158762A patent/KR102554721B1/en active Active
- 2016-11-25 KR KR1020160158767A patent/KR102767758B1/en active Active
- 2016-11-25 KR KR1020160158770A patent/KR102725314B1/en active Active
- 2016-11-25 KR KR1020160158783A patent/KR20180048206A/en not_active Ceased
- 2016-11-25 KR KR1020160158777A patent/KR20180048204A/en not_active Ceased
- 2016-11-25 KR KR1020160158781A patent/KR20180048205A/en not_active Abandoned
- 2016-11-25 KR KR1020160158765A patent/KR102725313B1/en active Active
- 2016-11-25 KR KR1020160158785A patent/KR102725315B1/en active Active
- 2016-11-25 KR KR1020160158764A patent/KR102735226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594A patent/KR102311788B1/en active Active
- 2017-05-19 KR KR1020170062595A patent/KR102471782B1/en active Active
- 2017-05-19 KR KR1020170062590A patent/KR102433608B1/en active Active
- 2017-05-19 KR KR1020170062600A patent/KR102326234B1/en active Active
- 2017-05-19 KR KR1020170062599A patent/KR20180048261A/en not_active Ceased
- 2017-05-19 KR KR1020170062597A patent/KR20180048260A/en not_active Ceased
- 2017-05-19 KR KR1020170062593A patent/KR20180048257A/en not_active Ceased
- 2017-05-19 KR KR1020170062589A patent/KR20180048253A/en not_active Ceased
- 2017-05-19 KR KR1020170062592A patent/KR102461586B1/en active Active
- 2017-10-25 CN CN201780081874.6A patent/CN110199243B/en active Active
-
2022
- 2022-04-14 KR KR1020220046181A patent/KR102454844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40402A1 (en) * | 2018-08-20 | 2020-02-27 | 주식회사 테그웨이 | Elastic heat transfer memb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4722B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eat to a user or absorbing heat from a user | |
KR20240118728A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
US12102452B2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
KR20180048227A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
US11755116B2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by means of same | |
US10747323B2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by means of same | |
KR102690840B1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using the same | |
KR102538976B1 (en) |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 |
KR102389146B1 (en) | Feedback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experi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401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3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