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52A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4552A KR20180044552A KR1020160138192A KR20160138192A KR20180044552A KR 20180044552 A KR20180044552 A KR 20180044552A KR 1020160138192 A KR1020160138192 A KR 1020160138192A KR 20160138192 A KR20160138192 A KR 20160138192A KR 20180044552 A KR20180044552 A KR 201800445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space
- information
- air conditioner
- mobile terminal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04M1/7252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내 공간에 필요한 공기 조화기(300)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이동 단말기는 실내 공간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실내 공간 구조 정보를 획득하고,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구조에 최적화된 공기 조화기(300)의 배치 정보를 증강 현실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인식하고, 복수의 종류의 공기 조화기(300)에 대한 최적화된 배치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실내 공간의 최적화된 공기 조화기의 배치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공기 조화기(300)의 배치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n air conditioner (300) required for an indoor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n indoor spac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indoor space using the image, acquiring the indoor space structur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and us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300 optimized for the augmented reality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cquires an image including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camera, Recogni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space, and optimizes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the air conditioners (300) To appear in the display unit, by showing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optimized air conditioner in the room space can be obtained effects that can be the placement of the air conditioner 300 is more effici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실내 공간의 구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의 파악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를 관리하기 최적화된 위치에 공기 조화기를 증강현실로 표시하여, 실내 공간 내에 공기 조화기의 배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structure of an indoor space in an indoor spa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n indoor space in an indoor space by grasping an indoor space and displaying the air conditioner as an augmented re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perform a method of providing arrangement information of an air conditioner in an indoor space.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가령, 카메라폰, 스마트폰 등)나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촬영장치는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BACKGROUND ART [0002]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such as mobile terminals (e.g., camera phones, smart phones, etc.) equipped with cameras, digital camcorders, digital cameras and the like are increasingly used.
이러한 영상 촬영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리뷰 기능을 제공한다. 프리뷰 기능이란 사용자가 셔터를 눌러 소정의 화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렌즈에 비춰진 상을 실시간으로 일련의 연속된 이미지처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다.Such a video image pickup apparatus generally provides a preview function. The preview function is a function to display images projected on the lens like a series of continuous images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predetermined screen by pressing the shutter.
상기한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객체 또는 일정 거리내에 있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증강 현실 기술이라고 한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환경에 실제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삽입되어 실세계 영상과 정보가 혼합된 현실을 의미한다.A techniqu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included in the preview image or an object within a certain distance has been developed. This technique is call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ugmented Reality is a reality in which real-world images and information are mix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real-world environments.
증강 현실로 인해 사용자는 실세계와 관련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allows the user to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 world more easily.
이동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러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증강 현실로 이용하여 표시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 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uch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or text on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n augmented reality, more intuitiv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증강 현실 기술이 보편화 됨에 따라서 증강 현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실내 공간에서 가상의 공간에 가전제품 또는 가구를 배치시켜 실제 가전제품 또는 가구를 배치하지 않고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에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ecomes popul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technology that can confirm beforehand placement of household appliances or furniture in a virtual space in an indoor space without placing actual household appliances or furniture is introduced . Therefore, development of suc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required.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실내 공간을 인식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an indoor space.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and display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s a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효율적인 배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fficient arrangement of an air conditioner by using structure information of an indoor space.
본 발명의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는 실내 공간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n indoor spa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indoor space.
또한, 본 발명의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실내 공간 구조 정보를 획득하고,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구조에 최적화된 공기 조화기의 배치 정보를 증강 현실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obtains the indoor spatial structur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and uses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to optimize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And displaying the place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as a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의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인식하고, 복수의 공기 조화기에 대한 최적화된 배치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third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acquires an image including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camera, recogni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using the image, And the placemen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증강 현실 모드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최적화된 공기 조화기의 배치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배치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rrange the air conditioner more efficiently by showing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optimized air conditioner using the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supporting the augmented reality mode There is an effect.
또한, 실내 공간의 실내 공간의 구조 정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기의 배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can be provided using the degree of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in the indoor spac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 내에 공기 조화기가 최적의 상태로 배치되었다는 알림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 내에 최적의 상태로 공기 조화기를 배치하기 위해 공기 조화기를 추가하라는 알림을 표시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n indoor spa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flow of air in an indoor spa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flow of air in an indoor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flow of air in an indoor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that an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n optimal state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notification to add an air conditioner in order to arrange an air conditioner in an optimal state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list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before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방송방식, 예를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 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signal may be enco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echnical standar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or a broadcasting system, for example, ISO, IEC, DVB, ATSC, etc.)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using a method conforming to the technical standard defined by the technical standards.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113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Wi-Fi module, it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with the Wi-Fi module. Optionally, the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with no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clos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u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by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Detection.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where a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Thus,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s and the proximity sensors discussed above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provide a short touch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and the like. Touch can be sensed.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Generally, 3D stereoscopic images consist of left image (left eye image) and right image (right eye image). A top-down method of arrang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in one frame according to a method in which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re combined into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 checker board system in which pieces of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re arranged in a tile form, a left-to-right (right-side) Or an interlaced method in which row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 time sequential (frame-by-frame) method in which right and left images are alternately displayed in time.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thumbnail image may generate a left image thumbnail and a right image thumbnail from the left image and right image of the original image frame, respectively, and may be generated as one image as they are combined. In general, a thumbnail means a reduced image or a reduced still image. The left image thumbnail and the right image thumbnail generated in this wa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a dif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distance by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parallax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thereby exhibiting a stereoscopic spatial feeling.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left and right images necessary for realizing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by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receives a 3D image (an image at a reference time point and an image at an expansion point), set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therefrom, or receives a 2D image and converts it into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A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데어터 서버(200), 공기 조화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는 증강 현실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모드는 실세계 영상에 실세계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of the
이동 단말기(100)는 내부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로 표시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히여 공기 조화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the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 또는 공기 조화기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상을 통해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는 데이터 서버(200)와 통신하여 공기 조화기(300)의 성능 정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성능 정보와 실내 공간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의 유동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영상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또는 공기 조화기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 정보 및 성능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현실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서버로부터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에 복수의 공기 조화기가 배치되면, 복수의 공기 조화기 각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when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are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실내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 및 실내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the flow of air in the indoor space, and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에 공기 청정기가 배치되면, 배치된 공기 청정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when the air cleaner is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조화기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가 추가되면 추가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공기 조화기(300) 정보와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실내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에 공기 청정기 또는 공기 조화기가 배치된 경우 공기 청정기 또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생성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영상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 및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와 공기 조화기(300)의 프리뷰 영상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프리뷰 영상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미리 보여주는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을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에 공기 조화기(300)들의 외관 영상과 비교할 수 있다.The preview image may be an image showing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또한,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실내 공간의 공간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실내 공간의 공간 영상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실내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실내공간의 외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에 실내 공간 및 위치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 또는 실내 공간의 공간 영상이 메모리(170)에 저장된 경우, 저장된 공기 조화기(300) 또는 실내 공간에 대한 실내공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공기 조화기(300)에 대한 정보는 공기 조화기(300)의 명칭, 공기 조화기(300)의 모델명, 공기 조화기(300)의 내부에 마련된 부품 정보, 공기 조화기(300)의 가동 범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실내 공간에 대한 실내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의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및 실내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space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the air flow of the indoor space of the indoor space, and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이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부(110)을 통해 공기 조화기(300)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과 저장된 공기 조화기(300)들의 외관 영상들과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이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부(110)을 통해 실내 공간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실내 공간의 공간 영상과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obtained external image of the
제어부(180)는 데이터 서버(200)가 식별한 공기 조화기(3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300)에 부착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자는 바코드, QR 코드, RF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식별자를 인식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도 있다.The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170) 또는 데이터 서버(200)의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실내 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위치 정보로서 GPS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내의 경우 GPS 정보를 획득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WPS(Wifi Position Service) 방법,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RFID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o use GPS information as location information, it may be difficult to acquire GPS information in a room. Accordingly, the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공기 조화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조화기(300)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The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The
경우에 따라, 서버(200)는 공기 조화기(3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300) 또한, 통신부(302)를 구비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공기 조화기(300)는 공기 청정기, 공기 조화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공기 조화기(300)는 실내 공간에 고정되어 배치된 공기 조화기(300)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조화기(300)는 다른 공기 조화기 (310, 320, 330)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300)는 다른 공기 조화기(310, 320, 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300)는 다른 공기 조화기 (310, 320, 3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센서(303)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일 수 있다.Th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술한 모든 구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일부 구성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실시 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re required, 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nly some configurations as necessa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가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 공기의 유동 정보를 표시하고 공기 조화기(300) 배치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증강 현실 모드 진입하는 단계(S100),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 획득된 영상으로 실내 구조를 파악하는 단계(S120), 서버로부터 실내 구조 정보을 획득하는 단계(S130), 디스플레이부에 공기의 유동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40) 및 디스플레이부에 배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nd displaying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증강 현실 모드 진입하는 단계(S100)에서 증강 현실 모드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As the application supporting the augmented reality mode is executed in the step of entering the augmented reality mode, the augmented reality mode can be entered.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23)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AR_APP)의 실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AR_APP)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AR_APP)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AR_APP)이 실행됨에 따라 자동으로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AR_APP)의 실행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증강 현실 모드의 진입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The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10 of acquiring an image using a camera, the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AR_APP)에 의해 지원되는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은 프리뷰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별도의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실내 공간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상기 별도의 카메라는 실내 공간을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실내 공간을 촬영 가능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 현실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별도의 카메라로부터 실내 공간이 포함된 영상(프리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separate camera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indoor space can be photographed or may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indoor space can be photographed under the control of the
획득된 영상은 실내 공간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실내 공간을 인식하기 위한 식별자 등이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일부 영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acquired image may include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an identifier or the like for recognizing the indoor space exists in the indoor space, the image may include only a partial space of the indoor space including the identifier.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영상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프리뷰 영상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프리뷰 영상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미리 보여주는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을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에 공기 조화기(300)들의 외관 영상과 비교할 수 있다.The preview image may be an image showing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또한,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이 메모리(170)에 저장된 경우, 저장된 공기 조화기(300)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공기 조화기(300)에 대한 정보는 공기 조화기(300)의 명칭, 공기 조화기(300)의 모델명, 공기 조화기(300)의 내부에 마련된 부품 정보, 공기 조화기(300)의 가동 범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 획득된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이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부(110)을 통해 공기 조화기(300)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과 저장된 공기 조화기(300)들의 외관 영상들과의 비교를 통해,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데이터 서버(200)가 식별한 공기 조화기(3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300)에 부착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자는 바코드, QR 코드, RF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식별자를 인식하여,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할 수도 있다.The
획득된 영상으로 실내 구조를 파악하는 단계(S120)에서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실내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door space can be recognized in step S120 of grasping the indoor structure with the acquired image. In addition, indoor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ndoor space can be obtained.
제어부(180)는 영상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 중 공기 조화기(300)의 외관 영상이나 식별자 등 공기 조화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획득된 실내 공간의 영상과 저장된 실내 공간의 영상을 비교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n indoor spa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301)을 획득할 수 있다.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301)는 실내 공간의 격벽, 창문, 가구, 공기 조화기(300), 통로, 높이 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획득된 실내 공간의 영상의 식별자(미도시)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식별자(미도시)는 바코드와 같이 식별자를 인식하면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연결할 수 있는 기호일 수 있다. 다만, 식별자의 종류는 바코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정보로 인식되어 외부의 데이터와 연결에 할 수 있는 정보를 지닌 다양한 표식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모듈(115)로 습득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실내 공간 및 데이터 서버(20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공기 조화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300)의 위치정보 및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이 인식되면 인식된 실내 공간을 기반으로 실내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내 공간을 이동하면서 모든 공간의 영상을 획득한 경우 획득된 영상으로 기반으로 실내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indoor space is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recognized indoor space. When the user acquires images of all the spaces while moving through the indoor space, indoor spati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s.
다시 도 2b를 설명한다.2B will be described again.
데이터 서버(200)부터 실내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데이터 서버(200)로부터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실내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다만, 데이터 서버(200)부터 실내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는 획득된 영상으로 실내 구조를 파악하는 단계(S120)에서 실내 구조를 완벽하게 획득하지 못한 경우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영상으로 실내 구조를 파악하는 단계(S120)에서 획득된 영상 대응하는 영상에 대응하는 실내 구조가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서 메모리(170)에 저장된 실내 구조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서버(200)부터 실내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는 획득된 영상으로 실내 구조를 파악하는 단계(S120)에서 완벽한 실내 구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However, the step of acquiring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from the data server 200 (S130)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in the case where the indoor structure is not completely acquired in step S120 of grasping the indoor structure with the acquired image.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indoo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obtained in step S120 of grasping the indoor structure with the obtained image is stored i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을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AAA아파트 101동 1001호"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된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실내 구조에 대응하는 실내공간 정보를 데이터 서버(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실내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에 대한 사시도일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얻을 수 있어 실내 공간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The indoor space information may be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sp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thereby obtaining the information on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and the information on the height of the indoor space can be obtained, .
디스플레이부에 공기의 유동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40)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공기의 유동 정보를 표시한다.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공간 정보 및 공기 조화기(300)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flow of air in an indoor spa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공간 정보와 공기 조화기(300)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의 공기 조화기(410)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410)에 대한 정보는 공기 조화기(410)의 명칭, 공기 조화기(300)의 모델명, 공기 조화기(300)의 내부에 마련된 부품 정보, 공기 조화기(300)의 가동 범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 조화기(410)의 가동 범위에 대한 정보와 실내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401)을 계산할 수 있다. The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401)은 디스플레이부에 증강 현실로 표현 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401)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공기 조화기(300)(410)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가 원할 하게 유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에 공기의 유동이 미약하거나 없는 공간이 있다면, 보다 가동 범위가 넓은 공기 조화기(300)를 설치하거나, 추가적인 전자기기를 실내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배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60)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의 유동 정보를 고려하여 공기 조화기(3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이용해서 실내 공간의 실내 구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기를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flow of air in an indoor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에 복수의 공기 조화기(510, 530)가 배치되면, 복수의 공기 조화기 각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520, 530, 540)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미도시)를 생성할 수 있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기 또는 공기 청정기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flow of air in an indoor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or air purifiers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에 공기 청정기(610)가 배치되면, 배치된 공기 청정기(6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공기 조화기(620) 및 공기 청정기(610)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640, 650)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 청정기(610) 및 공기 조화기(620)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 내에 공기 조화기가 최적의 상태로 배치되었다는 알림을 표시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that an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n optimal state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이용해서 실내 공간의 실내에 공기 조화기(300)가 위치하는 경우 실내 공간 내의 공기를 처리기 최적의 위치에 공기 청정기 또는 공기 조화기가 배치되었다는 알림(701)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 내에 최적의 상태로 공기 조화기를 배치하기 위해 공기 조화기를 추가하라는 알림을 표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notification to add an air conditioner in order to arrange an air conditioner in an optimal state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의 구조 정보를 이용해서 실내 공간의 실내에 공기 조화기(300)가 위치하는 경우 실내 공간 내의 공기를 처리하는 필요한 추가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정보(801)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따라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을 최적화된 공기 조화기(300)의 수와 공기 조화기(300)의 위치를 추천할 수 있으면, 추천된 상태에서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200: 데이터 서버
300: 공기 조화기100: mobile terminal
151:
180:
200: data server
300: air conditioner
Claims (14)
실내 공간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공기 조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을 통해 데이터 서버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성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 및 상기 성능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 상기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현실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In the mobile terminal,
A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n indoor spa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ir conditioner;
Acquiring indoor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pace using the image,
Receiv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rom the data server or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ing the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and the performance information,
Generates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the air flow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s an augmented reality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acquires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from the data data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실내 공간에 복수의 공기 조화기가 배치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기 각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are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the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 및 실내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a flow of air in the indoor space, and an area of the indoor space.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청정기가 배치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배치된 공기 청정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cleaner is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eployed air cleaner,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the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purifier.
상기 공기 청정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each of the air cleaner and the air conditioner is at least one,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the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purifier.
상기 제어부는.
공기 조화기가 추가되면 상기 추가된 공기 조화기의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cludes: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added air conditioner in the indoor spac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added.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 서버 또는 공기 조화기로부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간 정보 및 상기 성능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 상기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n indoor space;
Displaying the acquired image;
Acquiring indoor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pace using the image;
Receiv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rom a data server or an air conditioner;
Generating air conditioner layo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and the performance information;
Generating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n the basis of the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the air flow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s an augmented reality.
데이터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And acquiring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from the data data server.
상기 실내 공간에 복수의 공기 조화기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기 각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are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And
And generating the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n the basis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arrangement information.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의 공기의 유동 및 실내 공간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door spa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a flow of air in the indoor space, and an area of the indoor space.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청정기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공기 청정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An air cleaner is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eployed air cleaner; An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n the basis of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leaner.
상기 공기 청정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배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유동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each of the air cleaner and the air conditioner is at least one,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ir flow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n the basis of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leaner.
공기 조화기가 추가되면 상기 추가된 공기 조화기의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air conditioner is added,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added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192A KR102529106B1 (en) | 2016-10-24 | 2016-10-24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192A KR102529106B1 (en) | 2016-10-24 | 2016-10-24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4552A true KR20180044552A (en) | 2018-05-03 |
KR102529106B1 KR102529106B1 (en) | 2023-05-08 |
Family
ID=6224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192A Active KR102529106B1 (en) | 2016-10-24 | 2016-10-24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91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74384A (en) * | 2018-10-24 | 2020-05-19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ir conditioner cluster, air conditioner cluster and intelligent home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6329A (en) * | 2013-09-02 | 2015-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JP2016130600A (en) * | 2015-01-13 | 2016-07-21 |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 Air conditioner, external terminal device of the sam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192A patent/KR1025291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6329A (en) * | 2013-09-02 | 2015-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JP2016130600A (en) * | 2015-01-13 | 2016-07-21 |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 Air conditioner, external terminal device of the sam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74384A (en) * | 2018-10-24 | 2020-05-19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ir conditioner cluster, air conditioner cluster and intelligent hom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9106B1 (en) | 202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65658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80024429A (en) | Robot cleaner and a system inlduing the same | |
KR20180040865A (en) | Method for arranging electronic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 and server performing the method | |
KR102538396B1 (en)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
KR20180024576A (en) | Airport robot,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method of providing service thereof, and mobile terminal connecting same | |
KR102494566B1 (en)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lighting of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
US1103099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70124890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40977A (en)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filter status of air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
KR102552108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044553A (en)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dishwashers condition of home appliance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
KR20180024263A (en)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filter status of air conditiono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
KR20180049662A (en)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water purifier condition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
KR20180044550A (en) | Head mounted display device | |
KR2016001639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0122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107096A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042008A (en)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ice condition of home appliance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
KR20180028210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24264A (en)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ir conditionor and recom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
KR20180039497A (en)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filter status of water purifie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
KR101677392B1 (en) | Mobile terminal with payment | |
KR102529106B1 (en) |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 |
KR2017010871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4892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