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43890A -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890A
KR20180043890A KR1020160136653A KR20160136653A KR20180043890A KR 20180043890 A KR20180043890 A KR 20180043890A KR 1020160136653 A KR1020160136653 A KR 1020160136653A KR 20160136653 A KR20160136653 A KR 20160136653A KR 20180043890 A KR20180043890 A KR 2018004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buoy
sound wave
reference point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일
서경석
박기현
김소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890A/ko
Publication of KR2018004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89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01Acoustic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01V1/186Hydro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20Arrangements of receiving elements, e.g. geophone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3S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7Sea b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cean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저공간의 관측을 통하여 지진해일 등 지각변동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저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10); 및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해수면 상에 부유하고,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10)에 장착되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표(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SYSTEM FOR MONITORING SEAFLOOR TRANSFORM BY SETTING SEAFLOOR REFERENCE POINT}
본 발명은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저공간의 관측을 통하여 지진해일 등 지각변동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진해일의 예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이 필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Okada(1992)에 제시된 지진해일 초기조건을 매우 단순화한 것으로 지진해일 예보를 위해 최소한의 필요조건에 해당한다. 즉, “지진이 발생한 장소의 위치”, “단층의 폭”, "단층의 길이”, “단층의 깊이” 와 더불어 “단층을 따르는 3축 변이(Strike, Dip, Tensile)”를 알면 지진해일의 초기조건을 얻을 수 있다.
해외에서는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지진파 P, S파를,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지상에서 관측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미국의 경우, 해저에 케이블을 설치하여 한 지점을 관측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적용되는 지진해일 예보를 위한 초기 조건은 “발생위치”, “진도”의 정보를 가지고 나머지 지진의 형상을 가정할 뿐이다.
따라서, 지진 등의 해저 지형 변화에 따른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지진해일 예보 등에 있어서 초기에 매우 많은 가정이 포함된다. 대표적으로 2011년 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의 지진해일 예측 시스템에서는 사후 평가 시 수많은 예보 오류를 보였으며, 그 원인으로 정확한 해저 지형의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 부족을 꼽았다.
지진의 형상에 따라 수배 차이 나는 지진해일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가정을 사용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해저 위치는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육상에서는 기준점 망이라는 특정 위치의 정확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반면, 일부 유명한 해저 지형의 특정 위치를 지정해서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어도 해상과학기지와 같은 해저부터 해수면 위까지 인공 구조물을 통한 알려진 기준점을 설정하는 경우는 있지만 해저에는 현재까지 알려진 해저 기준점은 없다. 해저에도 기준점이 존재하게 되면 해저 지형의 변화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어 지진과 같은 해저 지각의 변동이 발생시 과학적 예보 및 피해저감을 위해 많은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 공간 관측을 하여 지진해일의 예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획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미국특허공보 US 7,289,907 B2 (등록일자: 2007.10.30)
Okada, Y. (1992). Internal deformation due to shear and tensile faults in a half-spac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2(2), 1018-104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 공간 관측을 하여 지진해일의 예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획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저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해수면 상에 부유하고,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에 장착되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표는 GPS 위성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저기준체는 음파의 송신을 위한 음파발신기 및 음파 수신을 위한 음파수신기와, 해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압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표는 음파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수신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파수신체는 본체 및 본체에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신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두 개의 음파수신체가 T자 형태 또는 L자 형태를 이루도록 부표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표는 미리 설정된 원격의 위치로 수집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전파 발신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수단에는 해수깊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밀도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해저의 지형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해저 항해 안전, 위험물 사전 인지, 지각 변위 등에 대해 고가의 해양물리조사가 아닌 센서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연계해 지진해일과 같은 대규모 해양 자연재해를 실시간 예측 할 수 있는 매우 신뢰도 높은 시스템 구축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해양의 대부분 지역에 배치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사전에 알고 있는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 주로 설치함으로써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Okada에서 발췌된 단순화된 지진해일의 초기조건을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7 내지 도 8은 부표에 설치되는 음파수신체를 도시하며,
도 9는 부표로부터 해저기준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저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해수면 상에 부유하고,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에 장착되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10)를 포함한다. 해저기준체(10)는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해저기준체(10)는 해수면상에 부유하는 부표(30)와 케이블 등의 연결수단, 예를 들어, 케이블(20)에 의해 연결된다. 각 해저기준체(10)마다 해수면상의 부표(30)와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해저기준체(10)만이 부표(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해저기준체(10)에는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센서가 장착된다. 센서는 가속도계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가속도계 및 자이로센서 양자가 모두 장착될 수 있다. 센서가 해저기준체(10)의 움직임이 감지하면 부표(30)에 데이터가 전달된다.
해저기준체(10)에는 부표(30)와의 통신을 위하여 음파의 송신을 위한 음파발신기 및 음파의 수신을 위한 음파수신기가 설치된다. 또한, 해저기준체(10)에는 해수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압계가 구비된다. 부표(30)는, 이와 같이, 해저기준체(1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표(30)는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수신체(120)를 포함한다. 음파수신체(12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2)와 본체(122)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신센서(124)를 포함한다.
또한, 부표(30)에는 부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가속도계가 더 구비되고, 배터리 및 태양 전지가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부표(30)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GPS위성과 통신할 수 있다. GPS 위치를 수신하여 부표(3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부표(30)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원격 위치(50)로 수집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전파 발신기를 더 포함하여, 원격 위치(50)에서는 실시간으로 해저 지형 변화 정보를 전달받는다.
부표(30)와 해저기준체(10)를 연결하는 케이블(20)에는 하나 이상의 밀도계(60)가 해수 깊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해수 밀도는 해수층별로 온도, 염분, 햇빛의 투과량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굴절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굴절에 의해 음파가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층별 밀도를 관측할 필요가 있으므로 밀도계(60)를 케이블(20)에 배치하여 상시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 및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해저기준점을 해저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해저면에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10)를 설치한다. 해저기준체(10)는 케이블(20)에 의해 각각 부표(3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시에는, 해저면에서 세 개의 해저기준체(10)와 세 개의 해저기준체(10) 각각에 연결되는 부표(30) 세 개가 해수면상에 부유하게 될 것이다.
GPS 수신기를 장착한 부표(30)는 GPS 위성(40)으로부터 자기의 GPS 위치를 수신하여 정확한 위치가 계산된다.
해저기준점 내지는 해저기준체(10)의 위치는 해저기준체(10)에서 발신하는 음파의 변형 각도를 기준으로 부표(30)에서 기준점 내지는 해저기준체(10)간의 상대위치를 결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30)의 수신센서(124)에 기록되는 음압은 음파발신기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도달시간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 시간 차이를 이용하면 수신센서(124)의 배열 방향에 따른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수신 센서(124)별 도달한 음압을 분석하면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상대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만일, 이 값의 차이가 발생하면(지진계 발생시), 이 원인은 지각의 변동으로 인함으로 발생된 지각 변동 성분으로 파악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수신센서(124)간의 거리(d)는 알려진 값이며, 온도, 밀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해수 중에서 음파의 전달 속도는 대략 1,500m/sec로서, 수신센서(124)간 음파 수신차에 따른 거리(dl)는 수학식 1로부터 구할 수 있다(단, dt는 수신센서(124)별 음파 도달시간의 차이를 의미함).
Figure pat00001
그 다음, 부표(30)와의 상대각도(θ)를 수학식 2로부터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대각도와 거리는 한 방향으로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음파수신체(120)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게 배치하면 평면상으로 완벽한 상대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음파수신체(120)가 T자 형태 또는 L자 형태를 이루도록 부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표(30)로부터 해저기준체(10)까지의 수평각도, 수직각도 및 해저기준체(10)에 장착된 수압계에 의해 측정된 해수 깊이 내지는 부표(30)와의 수직 거리를 통하여 각 해저기준체(10)의 절대적 위치를 구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각각의 해저기준체(10)가 각각 부표(3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해저기준체(10)의 초기의 위치 설정 후에 하나의 부표(30)만 사용하고 나머지 부표들은 철거할 수 있다. 철거된 뒤에도 모든 해저기준체(10)들은 해상에 움직임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음파 등으로 전송하여 해저 지형 변화를 알린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해저기준체의 개수를 3개로 설명하였으나, 이보다 더 많은 수의 기준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해저기준체 20: 케이블
30: 부표 40: GPS 위성
50: 원격위치 60: 밀도계
120: 음파수신체 122: 본체
124: 수신센서

Claims (9)

  1. 해저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해수면 상에 부유하고,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해저기준체에 장착되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표;
    를 포함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GPS 위성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저기준체는 음파의 송신을 위한 음파발신기 및 음파 수신을 위한 음파수신기와, 해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압계를 포함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상기 음파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수신체를 포함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파수신체는 본체 및 본체에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신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음파수신체가 T자 형태 또는 L자 형태를 이루도록 부표에 배치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미리 설정된 원격의 위치로 수집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전파 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에는 해수깊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밀도계가 배치되는 것인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136653A 2016-10-20 2016-10-20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Ceased KR20180043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53A KR20180043890A (ko) 2016-10-20 2016-10-20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53A KR20180043890A (ko) 2016-10-20 2016-10-20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890A true KR20180043890A (ko) 2018-05-02

Family

ID=6218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653A Ceased KR20180043890A (ko) 2016-10-20 2016-10-20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8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0560A (zh) * 2019-07-09 2019-10-11 浙江大学 一种海洋地震和海啸实时监测系统
CN113218443A (zh) * 2021-03-26 2021-08-06 江苏恒信交通工程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安全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3218372A (zh) * 2021-05-25 2021-08-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底基准点位置标校系统及方法
CN117388468A (zh) * 2023-12-13 2024-01-12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海洋地质工程勘察测绘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766A (ja) * 1997-04-09 1998-10-23 Kaijo Corp 直記式超音波海象計
JP3211179B2 (ja) * 1995-08-17 2001-09-25 株式会社レイディック 地盤変位測定方式
KR20120096690A (ko) * 2011-02-23 2012-08-31 박원철 수중로봇의 위치 측정장치
KR20150126464A (ko) * 2014-05-02 2015-1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179B2 (ja) * 1995-08-17 2001-09-25 株式会社レイディック 地盤変位測定方式
JPH10281766A (ja) * 1997-04-09 1998-10-23 Kaijo Corp 直記式超音波海象計
KR20120096690A (ko) * 2011-02-23 2012-08-31 박원철 수중로봇의 위치 측정장치
KR20150126464A (ko) * 2014-05-02 2015-1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모니터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ristian Meinig, Scott E. Stalin, Alex I. Nakamura, Frank Gonzalez, Hugh G. Milburn. Technology Developments in Real-Time Tsunami Measuring, Monitoring and Forecasting. Oceans 2005 Proceedings of MTS/IEEE. 17-23 September 2005. pp. 1-7 1부.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0560A (zh) * 2019-07-09 2019-10-11 浙江大学 一种海洋地震和海啸实时监测系统
CN113218443A (zh) * 2021-03-26 2021-08-06 江苏恒信交通工程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安全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3218443B (zh) * 2021-03-26 2023-06-02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安全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3218372A (zh) * 2021-05-25 2021-08-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底基准点位置标校系统及方法
CN113218372B (zh) * 2021-05-25 2021-10-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底基准点位置标校系统及方法
CN117388468A (zh) * 2023-12-13 2024-01-12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海洋地质工程勘察测绘设备
CN117388468B (zh) * 2023-12-13 2024-03-12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海洋地质工程勘察测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189B2 (en) Integrity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integrity of a stationary structure
US8195395B2 (en) System for monitoring, determining, and reporting directional spectra of ocean surface waves in near real-time from a moored buoy
EP1381878B1 (en) Positioning system
RU2617525C1 (ru) Заякоренная профилирующая подводная обсерватория
KR20180043890A (ko) 해저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각변이 모니터링 시스템
CN111232131A (zh) 一种海洋渔业养殖水域实时立体观测系统
JP3803177B2 (ja) 津波検知システム
US201601956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Control Devices on a Seismic Instrumented Towed Cable
CN206057595U (zh) 一种基于水下机器人的水下管线探测仪
Takahashi et al. New buoy observation system for tsunami and crustal deformation
CN105651264A (zh) 一种海底电缆探测系统
KR101798497B1 (ko) 수중 탐사체 및 수상 부력체를 이용한 해저 모니터링 시스템
CN202093655U (zh) 水下地质灾害监测系统
RU2348950C1 (ru) Подводная обсерватория
Yokoyama et al. Monitoring system of seafloor subsidence for methane hydrate production test
Yokoyama et al. Monitoring system for seafloor deformation during methane hydrate production test
CN114966711B (zh) 一种面向载人潜水器的海水深度确定方法及系统
CN211810090U (zh) 一种海洋渔业养殖水域实时立体观测成套设备
RU228221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мплексных данных о состоянии океана
JP4830269B2 (ja) 係留センサ測位方法および装置
KR100649620B1 (ko) 유인잠수정에 의한 해저케이블 점검시스템
US20170248723A1 (en) Positioning along a streamer using surface references
JP2736724B2 (ja) 海中長期観測システム
Patterson et al. Evaluation of underwater noise from vessels and marine activities
CN202362451U (zh) 一种基于短基线水声定位的系泊系统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