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265A - Decorative sheet - Google Patents
Decorative she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2265A KR20180042265A KR1020187005440A KR20187005440A KR20180042265A KR 20180042265 A KR20180042265 A KR 20180042265A KR 1020187005440 A KR1020187005440 A KR 1020187005440A KR 20187005440 A KR20187005440 A KR 20187005440A KR 20180042265 A KR20180042265 A KR 20180042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resin
- peak intensity
- decorative sheet
- sheet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66 IR spectroscop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LJVNTCWHIRURA-UHFFFAOYSA-N pime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O)=O WLJVNTCWHIRU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7 ultraviolet radiation absor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QRUDEWIWKLJBPS-UHFFFAOYSA-N benzo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N][N]C2=C1 QRUDEWIWKLJB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64 benzotriazo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038 crystall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TZCPCKNHXULUIY-RGULYWFUSA-N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ser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COP(O)(=O)OC[C@H](N)C(O)=O)OC(=O)CCCCCCCCCCCCCCCCC TZCPCKNHXULUIY-RGULYWFUSA-N 0.000 description 2
- JLPULHDHAOZNQI-ZTIMHPMXSA-N 1-hexadecanoyl-2-(9Z,12Z-octadecadi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JLPULHDHAOZNQI-ZTIMHPMXSA-N 0.000 description 2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644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SWGJHLUYNHPMX-UHFFFAOYSA-N Abiet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1 Benzo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DNKGFDKKRUKPY-JHOUSYSJSA-N C16 cer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O)N[C@@H](CO)[C@H](O)C=CCCCCCCCCCCCCC YDNKGFDKKRUKPY-JHOUSYSJ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WZWYGMENQVNFU-UHFFFAOYSA-N Glycerophosphorylserin Natural products OC(=O)C(N)COP(O)(=O)OCC(O)CO ZWZWYGMENQVNF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KJQQAXSVQMHS-UHFFFAOYSA-N Hydrazine Chemical compound NN OAKJQQAXSVQM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Chemical compound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RJGESKKUOMBCT-VQTJNVASSA-N N-acetylsphingan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H](O)[C@H](CO)NC(C)=O CRJGESKKUOMBCT-VQTJNVASSA-N 0.000 description 2
- SUHOOTKUPISOBE-UHFFFAOYSA-N O-phospho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NCCOP(O)(O)=O SUHOOTKUPISO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RCMAYZCPIVABH-UHFFFAOYSA-N Quinacridone Chemical compound N1C2=CC=CC=C2C(=O)C2=C1C=C1C(=O)C3=CC=CC=C3NC1=C2 NRCMAYZCPIVA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GYHLZZASRKEJE-UHFFFAOYSA-N [3-[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yloxy]-2,2-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yloxymethyl]prop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1=C(O)C(C(C)(C)C)=CC(CCC(=O)OCC(COC(=O)CCC=2C=C(C(O)=C(C=2)C(C)(C)C)C(C)(C)C)(COC(=O)CCC=2C=C(C(O)=C(C=2)C(C)(C)C)C(C)(C)C)COC(=O)CCC=2C=C(C(O)=C(C=2)C(C)(C)C)C(C)(C)C)=C1 BGYHLZZASRKE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33 benz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6189 ceram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ZVEQCJWYRWKARO-UHFFFAOYSA-N cer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O)C(=O)NC(CO)C(O)C=CCCC=C(C)CCCCCCCCC ZVEQCJWYRWKA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29 infrared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9 inorganic bas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VVGIYYKRAMHVLU-UHFFFAOYSA-N newbouldi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C(O)C(O)C(CO)NC(=O)CCCCCCCCCCCCCCCCC VVGIYYKRAMHVL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TJKGGKOPKCXLL-RRHRGVEJSA-N phosphatidyl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WTJKGGKOPKCXLL-RRHRGVEJ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14 phosphor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33 polypropylene homopolym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UHFFFAOYSA-N trans-cinnamyl beta-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C1=CC=CC=C1 KHPCPRHQVVSZ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ZVFRKSYUGFFEJ-YVECIDJPSA-N (2r,3r,4s,5r)-7-phenylhept-6-ene-1,2,3,4,5,6-hex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CC1=CC=CC=C1 HZVFRKSYUGFFEJ-YVECIDJPSA-N 0.000 description 1
- JYEUMXHLPRZUAT-UHFFFAOYSA-N 1,2,3-triazine Chemical compound C1=CN=NN=C1 JYEUMXHLPRZU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MWRRFHBXARRRT-UHFFFAOYSA-N 2-(benzotriazol-2-yl)-4,6-bis(2-methylbutan-2-yl)phenol Chemical compound CCC(C)(C)C1=CC(C(C)(C)CC)=CC(N2N=C3C=CC=CC3=N2)=C1O ZMWRRFHBXARR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DQYFELRKRKAGA-UHFFFAOYSA-N 2-methylbuta-1,3-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C)=C.C=CC1=CC=CC=C1.C=CC1=CC=CC=C1 WDQYFELRKRKAG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AAMSDWKXXPUJR-UHFFFAOYSA-N 3,5-dihydro-4H-imidazol-4-one Chemical compound O=C1CNC=N1 CAAMSDWKXXPUJ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ZNWSCPGTDBMEW-UHFFFAOYSA-N Glycerophosphorylethanolamin Natural products NCCOP(O)(=O)OCC(O)CO JZNWSCPGTDBM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33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TBOMIWRCZXYSZ-XZBBILGWSA-N [1-[2,3-dihydroxypropoxy(hydroxy)phosphoryl]oxy-3-hexadecanoyloxypropan-2-yl] (9e,12e)-octadeca-9,12-die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COP(O)(=O)OCC(O)CO)OC(=O)CCCCCCC\C=C\C\C=C\CCCCC ATBOMIWRCZXYSZ-XZBBILGW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6 acid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WUCVROLDVIAJX-UHFFFAOYSA-N alpha-glycerophosphate Natural products OCC(O)COP(O)(O)=O AWUCVROLDVIA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YKYMHQGRFAEBM-UHFFFAOYSA-N anthraquinone Natural products CCC(=O)c1c(O)c2C(=O)C3C(C=CC=C3O)C(=O)c2cc1CC(=O)OC PYKYMHQGRFAE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056 anthraquin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751 azo group Chemical group [*]N=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5 background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MMUKUYEPRGBFB-UHFFFAOYSA-L dichromic acid Chemical compound O[Cr](=O)(=O)O[Cr](O)(=O)=O CMMUKUYEPRGBF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6 gravure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578 hydrogenated soybean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33 infrared transmiss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WVMLCQWXVFZCN-UHFFFAOYSA-N isoindoline Chemical compound C1=CC=C2CNCC2=C1 GWVMLCQWXVFZ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7 magnes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2 magn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5 me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69 nucleophi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04 phosphatidylethanol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05 phosphatidylinosit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FGREXWGYUGZLY-UHFFFAOYSA-N phosphoryl Chemical group [P]=O LFGREXWGYUGZ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EQIEDJGQAUEQZ-UHFFFAOYSA-N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N1C(N=C2C3=CC=CC=C3C(N=C3C4=CC=CC=C4C(=N4)N3)=N2)=C(C=CC=C2)C2=C1N=C1C2=CC=CC=C2C4=N1 IEQIEDJGQAUE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8 polybu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46 polystyrene-polyisoprene block-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3466 soybean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4—Crystallisation a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우수한 내 후속 가공성과,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층(4)을 갖고, 투명 수지층(4)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피크 강도비 x의 값이 x≤0.65이다. 여기서, 하기 식 (1)에 있어서의 I997, I938 및 I973은, 상기 투명 수지층의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서 얻어지는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한 피크 강도값이며, I997은 파수 997cm-1의 피크 강도값, I938은 파수 938cm-1의 피크 강도값, I973은 파수 973cm-1의 피크 강도값을 나타낸다.
Provided is a decorative sheet compris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having excellent subsequent processability and high transparency. The decorative shee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parent resin layer 4 mainly composed of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transparent resin layer 4 has a peak strength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he value of the ratio x is x? 0.65. I997, I938 and I973 in the following formula (1) are the peak intensity values calculated from the absorption spectra obtained by the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997 is the peak intensity value at a wavenumber of 997 cm -1 , I938 i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38cm -1, I973 denote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73cm -1.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sheet.
폴리염화비닐제의 화장 시트를 대신할 화장 시트로서 주목받고 있는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화장 시트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6에 기재된 것이 있다.As a technique relating to a decorative sheet using an olefin resin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decorative sheet for a polyvinyl chloride decorative sheet, there is, for example, one disclosed in
그러나, 이들 화장 시트에는, 우수한 내 후속 가공성과,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것이 적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However, these decorative sheets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transparent 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fter-workability and high transparency.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며, 우수한 내 후속 가공성과,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provide a decorative sheet hav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fter-processing property and high transpar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층을 갖고, 상기 투명 수지층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피크 강도비 x의 값이 x≤0.65이다. 여기서, 하기 식 (1)에 있어서의 I997, I938 및 I973은, 상기 투명 수지층의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서 얻어지는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한 피크 강도값이며, I997은 파수 997cm-1의 피크 강도값, I938은 파수 938cm-1의 피크 강도값, I973은 파수 973cm-1의 피크 강도값을 나타낸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corative she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parent resin layer containing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the transparent resin layer has a peak intensity ratio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he value of x is x? 0.65. I997, I938 and I973 in the following formula (1) are the peak intensity values calculated from the absorption spectra obtained by the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997 is the peak intensity value at a wavenumber of 997 cm -1 , I938 i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38cm -1, I973 denote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73cm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우수한 내 후속 가공성과,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de possible to provide a decorative sheet hav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fter-workability and high transpar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corative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corative she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층(이하, 「투명 수지 시트」라고도 함)을 갖고, 상기 투명 수지층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피크 강도비 x의 값이 x≤0.65이다. 여기서, 하기 식 (2)에 있어서의 I997, I938 및 I973은, 상기 투명 수지층의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서 얻어지는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한 피크 강도값이며, I997은 파수 997cm-1의 피크 강도값, I938은 파수 938cm-1의 피크 강도값, I973은 파수 973cm-1의 피크 강도값을 나타낸다.The decorative sheet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parent resin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resin sheet") containing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The value of the peak intensity ratio x is x? 0.65. I997, I938 and I973 in the following formula (2) are the peak intensity values calculated from the absorption spectra obtained by the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997 is the peak intensity value at a wave number of 997 cm -1 , I938 i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38cm -1, I973 denote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73cm -1.
또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이란, 예를 들어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중, 8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임을 가리킨다.The phrase " comprising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component " means that 80% by mass or more and 100% by mass or less, preferably 90% by mass or more and 100% by mass or l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resin layer, Polypropylene resin.
또한, 특히, 당해 투명 수지 시트의 피크 강도비 x가 0.55≤x≤0.65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크 강도비 x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극히 내 후속 가공성이 우수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peak intensity ratio x of the transparent resin sheet is 0.55? X? 0.65. By setting the peak intensity ratio x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corative sheet hav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having extremely excellent subsequent workability.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공정 인자로서의 제막 조건을 컨트롤함으로써, 투명 수지 시트의 피크 강도값 x를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이때, 당해 투명 수지 시트는, 20㎛ 이상 20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범위의 두께보다 얇으면 내찰상성의 확보가 곤란하고, 상기 범위의 두께보다 두꺼우면 당해 수지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의 냉각이 균일하게 행해지지 않아, 그 결과, 수지를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투명 수지층은, 30㎛ 이상 15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decorative sheet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ak intensity value x of the transparent resin sheet is set within the above range by controlling film forming conditions as process parameter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resin shee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20 mu m or more and 200 mu m or les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scratch resistance if it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bove range, and if the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above range, the resin sheet is not uniformly cool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a result, It can not be don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30 占 퐉 or more and 150 占 퐉 or less.
[피크 강도비 x의 제어에 대하여][Regarding Control of Peak Intensity Ratio x]
피크 강도비 x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한 제막 조건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온도, 냉각 온도, 냉각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결정화도를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컨트롤함으로써, 피크 강도비 x를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다.The film forming conditions for adjusting the peak intensity ratio x within the above range may be those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In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resin temperature, the cooling temperature, . By controlling one or a plurality of these conditions, the peak intensity ratio x can be set within the above range.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온도란, 제막 시에 있어서 용융된 수지가 토출될 때의 온도이며, 당해 수지 온도를 높일수록(고온으로 할수록) 피크 강도비 x는 커진다. 또한, 냉각 온도란, 토출된 수지를 냉각하는 온도를 말하며, 당해 냉각 온도를 높일수록(고온으로 할수록) 피크 강도비 x는 커진다. 또한, 냉각 시간에 대해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 온도 부근(100 내지 130℃)의 통과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피크 강도비 x는 커진다. 상술한 조건을 조합함으로써, 수지 중의 결정화 및 결정 사이즈를 컨트롤하여, 피크 강도비 x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sin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olten resin is discharged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and the peak intensity ratio x increases as the resin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cooling temperature refers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discharged resin is cooled, and the peak intensity ratio x increases as the cooling temperature (the higher the temperature) is. With respect to the cooling time, the peak intensity ratio x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assage time of the vicinity of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100 to 130 ° C) of the polypropylene resin. B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th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size in the resin can be controlled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eak intensity ratio x.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대하여][About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이하,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ic measure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적외 분광 측정이란, 0.7㎛ 내지 1000㎛의 파장의 광인 적외광이, 물질의 분자의 진동이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당해 물질에 흡수되는 양에 변화가 발생한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당해 물질에 흡수된 적외광을 측정함으로써, 물질의 화학 구조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는 측정 방법이다.First, the infrared spectroscopic measurement is a method of measuring infrared light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which is a light with a wavelength of 0.7 to 1000 탆, changes in the amount of the infrared light absorbed by the substance, It is a measurement method that obtains information on the chemical structure or state of a substance by measuring the infrared light absorbed by the substance.
특히, 물질 고유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파장이 2.5 내지 4㎛인 중적외선이라고 불리는 파장 범위가 주로 사용된다.In particular, a wavelength range called mid-infrared, which has a wavelength of 2.5 to 4 탆, in which a material-specific spectrum appears, is mainly used.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적외광)은, 간섭계에, 반투경을 통하여 사입사되고, 투과광과 반사광으로 분할된다. 투과광과 반사광은 고정경과 이동경에서 반사되어 반투경으로 복귀되고, 다시 합성되어, 간섭파로 된다. 이동경이 이동한 위치에 따라, 광로차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이한 간섭파가 얻어진다.In a specific measuring method of the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light (infrared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incident on an interferometer through a semi-transparent mirror, and is divided into transmitted light and reflected light. The transmitted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are reflected by the fixed-diameter moving lens and returned to the half-diameter, and are synthesized again to be an interference wave. Since the optical path differe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moving mirror is moved, different interference waves are obtained.
이 상이한 간섭파를 물질에 대하여 조사하고, 물질로부터의 투과광 혹은 반사광의 신호 강도로부터 각 파수 성분의 광의 강도를 산출함으로써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간섭파의 산출을 푸리에 변환법을 사용하여 행하고,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방식인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파수를 횡축, 측정된 흡광도(또는 투과율)를 종축에 플롯한 그래프를 적외 흡광 스펙트럼(또는 적외 투과 스펙트럼)이라고 하며, 물질마다 고유의 패턴이 보인다. 이때, 종축의 흡광도는, 물질의 농도나 두께, 결정성 수지의 경우에는 결정질부 또는 비정질부의 양에 비례하여 소정의 파수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의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당해 피크의 높이나 면적으로부터 정량 분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different interference waves are irradiated to the material, and the infrared spectra ar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of each wave number component from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or reflected light from the material. Particularly, in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of the interference wave was performed by using the Fourier transform method, an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by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which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infrared spectrum. The graph obtained by plotting the wavenumber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measured absorbance (or transmittance) on the vertical axis is called an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or infrared transmission spectrum), and a unique pattern is shown for each substance. At this time, since the value of the peak intensity at a predetermined wave number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r thickness of the substance or the amount of the crystalline or amorphous portion in the case of the crystalline resin, the absorbance at the vertical axis changes from the height or area of the peak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nalysis.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적외 흡광 스펙트럼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상술한 측정에 의해 얻어진 흡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투명 수지 시트의 결정질부의 흡광도에 해당하는 파수 997cm-1의 피크 강도와, 투명 수지 시트의 비정질부의 흡광도에 해당하는 파수 973cm-1의 피크 강도의 비, 즉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를 나타내는 피크 강도비 x를 상기 식 (2)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피크 강도비 x와 투명 수지 시트의 내찰상성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상기 범위 내의 피크 강도비 x로 되는 투명 수지 시트에 대응하는 투명 수지층을 채용함으로써, 내찰상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파수 997cm-1의 피크 강도와 파수 973cm-1의 피크 강도는, 각각 파수 938cm-1의 피크 강도를 사용하여 백그라운드 보정을 행하고 있다.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as above described in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hich corresponds to the absorbance of poly crystalline portion of the transparent resin sheet of polypropylene in the absorption spectrum obtained by the above measurement frequency 997cm -1 Is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formula (2), that is, the ratio of the peak intensity at a wave number of 973 cm -1 corresponding to the absorbance of the amorphous portion of the transparent resin sheet, that is, the peak intensity ratio x indicating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polypropylene. By making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intensity ratio x thus calculated and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resin sheet and employing the transparent resin layer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resin sheet having the peak intensity ratio x within the above range, Sheet. Further, the wave number of 997cm -1 peak intensity of peak intensity and frequency 973cm -1 are respectively subjected to background correction using the peak intensity of the wave number 938cm -1.
[조핵제][Crude nucleating agent]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에,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당해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조핵제가 내포되어 있는 조핵제 베시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당해 조핵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도를 향상시켜, 극히 높은 투명성을 갖는 투명 수지 시트를 얻을 수 있다.Further, in the decorative sheet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nano-sized nucleating agent is added to the transparent resin sheet as the transparent resin layer.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nano-sized nucleating agent is a nucleating agent vesicle containing a nucleating agent in a vesicle having an outer film of a single-layer film. By adding the crude nucleating agent vesicle to the polypropylene resin,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can be improved and a transparent resin sheet having extremely high transparency can be obtained.
[조핵제 베시클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Production method of crude nucleating agent vesicle]
상기 조핵제 베시클은,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이 초임계 역상 증발법이란, 초임계 상태 또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혹은 임계점 이상의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대상 물질을 내포한 나노 사이즈의 베시클(캡슐)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란, 임계 온도(30.98℃) 및 임계 압력(7.3773±0.0030MPa) 이상의 초임계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또한,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혹은 임계점 이상의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란, 임계 온도만큼, 혹은 임계 압력만큼이 임계 조건을 초과한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The crude nucleating agent vesicle may be prepared by supercritical reverse phase evaporation. This supercritical reversed-phase evaporation method is a method of producing a nano-sized vesicle (capsule) containing a target substance by using carbon dioxide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supercritical state or above a critical point or under a pressure condition exceeding a critical point.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eans carbon dioxide in a supercritical state at a critical temperature (30.98 ° C) and a critical pressure (7.3773 ± 0.0030 MPa) or more. Further, carbon dioxide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equal to or higher than a critical point or under a pressure condition equal to or higher than a critical point means carbon dioxide under a condition that the critical temperature or the critical pressure exceeds the critical condition.
구체적으로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와 인지질과 내포 물질로서의 조핵제를 포함한 혼합 유체 중에 수상을 주입하고, 교반함으로써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와 수상의 에멀전이 생성된다. 그 후, 감압하면 이산화탄소가 팽창ㆍ증발하여 전상이 발생하고, 인지질이 조핵제 나노 입자의 표면을 단층막으로 덮은 나노 베시클이 생성된다. 이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따르면, 단층막의 베시클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극히 작은 사이즈의 베시클을 얻을 수 있다.Specifically, water is injected into a mixed fluid containing carbon dioxide and phospholipid in supercritical state and a nucleating agent as an encapsulating material, and stirred to produce carbon dioxide and an aqueous emulsion of supercritical state. Thereafter, when the pressure is reduced, carbon dioxide expands and evaporates to generate a phase, and a nanobesecle is produced in which the phospholipid covers the surface of the nucleating agent nanoparticles with a single layer film. According to this supercritical reverse-phase evaporation method, a vesicle of a monolayer film can be produced, so that a vesicle of an extremely small size can be obtained.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를 내포한 조핵제 베시클의 평균 입경은, 가시광 파장(400nm 내지 750nm)의 1/2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200nm 내지 375n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조핵제 베시클은,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는 베시클의 외막이 깨져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조핵제의 입경을 상기 범위 내와 같이 극소 사이즈로 함으로써, 광의 산란을 작게 하여 높은 투명성을 갖는 투명 수지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agulating agent vesicle containing a nano-sized coagulating agent is preferably 1/2 or less of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400 nm to 750 nm), more specifically 200 nm to 375 nm or less. Further, in the resin composition, the outer shell of the vesicle is broken, and the nucleating agent vesicle is present in a state where the nuclide-sized nucleus agent is exposed. By making the grain size of the nucleating agent to be a very small size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ransparent resin sheet having high transparency by reducing light scattering.
조핵제로서는, 수지가 결정화할 때 결정화의 기점이 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벤조산 금속염, 피멜산 금속염, 로진 금속염, 벤질리덴소르비톨, 퀴나크리돈, 시아닌 블루 및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명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벤조산 금속염, 피멜산 금속염, 로진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ude nucleat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bstance that is a starting point of crystallization when the resin is crystallized. Examples of the nucleating agent include phosphoric acid ester metal salt, benzoic acid metal salt, pimelic acid metal salt, rosin metal salt, benzylidene sorbitol, quinacridone, Talc, and the like. Particularly,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phosphate ester metal salts, benzoic acid metal salts, pimelic acid metal salts and rosin metal salts which can be expected to have transparency.
인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타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카르디오핀, 황란 레시틴, 수소 첨가 황란 레시틴, 대두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등의 글리세로인지질,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포스포릴에탄올아민, 세라마이드포스포릴글리세롤 등의 스핑고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hospholipid include glycerol phospholipids such as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inositol, cardiopine, yellow lecithin, hydrogenated yellow lecithin, soybean lecithin, hydrogenated soybean lecithin , Sphingomyelin, ceramide phosphoryl ethanolamine, ceramide phosphoryl glycerol, and the like.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펜타드 분율(mmmm 분율)이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이상의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즉 호모중합체인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homopolymer of propylene having a pentad fraction (mmmm fraction) of 95% or more, more preferably 96% or more, that is, a homopolymer of highly crystalline homopolypropylene resin is used .
또한, 상기 펜타드 분율(mmmm 분율)이란, 질량수 13의 탄소 C(핵종)를 사용한 13C-NMR 측정법(핵자기 공명 측정법)에 의해, 상기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공명 주파수로 공명시켜 얻어지는 수치(전자파 흡수율)로부터 산출되는 것이며, 수지 조성물 중의 원자 배치, 전자 구조, 분자의 미세 구조를 규정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펜타드 분율이란, 13C-NMR에 의해 구한 프로필렌 단위가 5개 배열된 비율을 말하며, 결정화도 혹은 입체 규칙성의 척도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펜타드 분율은, 주로 표면의 내찰상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기본적으로는 펜타드 분율이 높을수록 시트의 결정화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향상된다.The pentad fraction (mmmm fraction) refers to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resin layer by 13 C-NMR measurement (nuclear magnetic resonance measurement) using a carbon C (radionuclide) having a mass number of 13 at a predetermined resonance 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vity) obtained by resonance with the resin, and defines the atomic arrangement, the electronic structure,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molecule in the resin composition. The pentad frac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refers to the ratio of five propylene units obtained by 13 C-NMR and is used as a measure of crystallinity or stereoregularity. Such a pentad fra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surface. Basically, the higher the pentad frac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sheet, and hence the scratch resistance is improved.
<화장 시트의 구성><Composition of Facial Sheet>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constitution of the decorative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여기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다. 그 밖에도,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주지의 구조가 약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및 구조 등이 하기의 것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Here, the drawing is schemat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and the planar dimensio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each layer, and the like are different from reality. In addition, for the sake of brevity, well-known structures are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f the structure for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shape and structure of the constituent parts. Furth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cope defined by the claims in the claim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전체 구성> <Overall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 (1)(1a)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화장 시트(1a)는, 화장 시트(1a)를 첩부하는 기재(B)측으로부터 프라이머층(6), 은폐층(2), 무늬 인쇄층(3), 투명 수지층(4) 및 톱 코팅층(5)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B)로서는, 예를 들어 목질 보드류, 무기계 보드류,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decorative sheet 1 (1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프라이머층(6)][Primer layer (6)]
프라이머층(6)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바인더로서의 질화면, 셀룰로오스,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단독 혹은 각 변성물 중에서 적절하게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수성, 용제계, 에멀전 타입 등 특별히 그 형태를 불문한다. 또한, 경화 방법에 대해서도, 단독으로 경화하는 1액 타입, 주제와 합하여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 타입,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타입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화 방법으로서는, 우레탄계 주제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합함으로써 경화시키는 2액 타입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작업성, 가격, 수지 자체의 응집력의 관점에서 적합하다. 상기 바인더 이외에는, 예를 들어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 안료, 용제, 각종 첨가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특히, 프라이머층(6)에 있어서는, 화장 시트(1a)의 최배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화장 시트(1a)를 연속적인 플라스틱 필름(웹형)으로서 권취를 행할 것을 고려하면, 필름끼리 밀착되어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거나, 박리되지 않게 되는 등의 블로킹이 발생하는 것을 피함과 함께, 접착제와의 밀착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라이머층(6)에,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등의 무기 충전제를 첨가해도 된다. 프라이머층(6)의 층 두께는, 기재(B)와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0.1㎛ 내지 3㎛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은폐층(2)][Concealment layer (2)]
은폐층(2)의 재료로서는, 기본적으로는 프라이머층(6)에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은폐성을 중시하면, 예를 들어 안료로서는 불투명 안료인 산화티타늄, 산화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첨가하는 것도 적합하다. 일반적으로는, 플레이크형의 알루미늄을 첨가시키는 경우가 많다. 은폐층(2)은,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콤마 코터, 나이프 코터, 립 코터, 금속 증착 또는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은폐층(2)의 층 두께는, 2㎛ 미만이면 은폐성이 불충분하고, 10㎛를 초과하면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재료의 응집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2㎛ 내지 10㎛ 정도의 두께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As the material of the cover layer 2, basically, a material used for the
[무늬 인쇄층(3)][Printed layer (3)]
무늬 인쇄층(3)의 재료에 대해서도, 프라이머층(6)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범용성이 높은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축합 아조, 불용성 아조,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린, 안트라퀴논, 이미다졸론,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카본, 산화티타늄, 산화철, 운모 등의 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재료를 사용하여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정전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을 실시하여 무늬 인쇄층(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와 안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잉크를 도포하여 무늬 인쇄층(3)을 형성하는 방법과는 별도로, 각종 금속의 증착이나 스퍼터링으로 무늬를 입히는 것도 가능하다.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투명 수지층(4)][Transparent resin layer (4)]
투명 수지층(4)에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90 내지 100중량%)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기존의 열안정화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블로킹 방지제, 촉매 포착제, 착색제, 광산란제 및 광택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을 시트형으로 성형한 투명 수지 시트(4)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a)에 있어서는, 성형 가공 조건을 컨트롤하여,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적외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상기 식 (2)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피크 강도비 x가 x≤0.65로 된 투명 수지 시트(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명 수지 시트(4)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내지 200㎛로 한다. 성형 가공 조건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 온도, 제막에 관한 압출 온도나 롤 온도 등의 온도 조건, 시트의 권취 속도 등의 반송 조건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온도 조건 및 반송 조건을 컨트롤함으로써, 제막 시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여 얻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4)의 결정화도를 조정하고, 상기 피크 강도비 x를 x≤0.65, 바람직하게는 0.55≤x≤0.65로 하고 있다.The
또한, 투명 수지 시트(4)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조핵제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도를 용이하게 향상시켜, 극히 투명성이 우수한 투명 수지 시트(4)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resin sheet (4) contains a nucleating agent vesicle. Thereby,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easily improved, and a transparent resin sheet (4) excellent in transparency can be obtained.
또한, 열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계, 황계, 인계, 히드라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 아민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heat stabilizer, for example, phenol-based, sulfur-based, phosphorus-based, hydrazine-based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flame retardant, for exampl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ultraviolet absorber, for example, benzotriazole-based, benzoate-based, benzophenone-based, triazine-based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photostabilizer, for example, a hindered amine type or the like can be used.
[톱 코팅층(5)][Top coating layer (5)]
톱 코팅층(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아크릴실리콘계, 불소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요소계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재료의 형태도, 수성, 에멀전, 용제계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 방법에 대해서도, 단독으로 경화하는 1액 타입, 주제와 합하여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 타입,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타입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우레탄계 주제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혼합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작업성, 가격, 수지 자체의 응집력 등의 관점에서 적합하다.The material of the
[투명 수지 시트(4)의 제막 방법][Film forming method of transparent resin sheet (4)
이하, 투명 수지 시트(4)의 상세한 제막 플로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주성분으로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용융 압출기에 투입한다. 그 후, 가열하면서 혼련하여 당해 펠릿을 액상으로 용융하고, 압출구에 설치된 T 다이로부터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하류측에 설치된 냉각 롤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압출한다. 이때,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은, 냉각 롤에 이르기까지 결정화를 진행시키고, 당해 냉각 롤에 접촉시킴으로써 결정화가 완료되도록 되어 있다. 당해 냉각 롤은, 롤의 중심축 둘레로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냉각 롤에 접촉한 수지 조성물은 시트형의 투명 수지 시트(4)로 되고, 소정의 반송 속도로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최종적으로는 권취 롤에 권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4)의 피크 강도비 x를 소정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 제막 조건으로서의 용융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수지 조성물의 온도, 냉각 롤의 온도 및 시트의 반송 속도를 조정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film forming flow of the
[화장 시트(1a)의 제조 방법][Method of producing the decorative sheet (1a)] [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a)는, 상기 제막 플로우에 의해 형성된 투명 수지 시트(4)의 한쪽 면에 대하여, 상기 재료를 상기 방법에 의해 무늬 인쇄층(3), 은폐층(2) 및 프라이머층(6)의 순으로 각각 적층시켜 형성한다. 투명 수지층(4)에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엠보싱용 금형 롤을 사용하여 투명 수지 시트(4)를 프레스하여, 투명 수지 시트(4)의 다른 쪽 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입힌다. 또한, 엠보싱 모양(4a)의 면 상에 톱 코팅층(5)을 형성하여 화장 시트(1a)를 얻는다.The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a)에 있어서는, 프라이머층(6)은 0.1㎛ 내지 3.0㎛, 은폐층(2)은 2㎛ 내지 10㎛, 무늬 인쇄층(3)은 3㎛ 내지 20㎛,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4)는 20㎛ 내지 200㎛, 톱 코팅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a)의 총 두께는 30㎛ 내지 25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In the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 (1(1b))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화장 시트(1b)의 구성은, 화장 시트(1b)를 첩부하는 기재(B)측으로부터 프라이머층(6), 원단층(7), 무늬 인쇄층(3), 접착제층(8), 투명 수지층(4) 및 톱 코팅층(5)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B)로서는, 예를 들어 목질 보드류, 무기계 보드류,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decorative sheet 1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프라이머층(6), 무늬 인쇄층(3), 투명 수지층(4) 및 톱 코팅층(5)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각 층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The
[원단층(7)][Monogram (7)]
원단층(7)은 시트형의 부재이며, 그 원단층(7)으로서는, 예를 들어 박엽지, 티타늄지, 수지 함침지 등의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등의 합성 수지, 혹은 이들 합성 수지의 발포체, 에틸렌-프로필렌 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고무, 유기계 혹은 무기계 부직포, 합성지, 알루미늄, 철, 금, 은 등의 금속박 등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원단층(7)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단 수지 시트(7)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표면이 불활성이다. 이 때문에, 원단 수지 시트(7)의 양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 전자선 처리, 자외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에 의해 표면의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원단 수지 시트(7)와 무늬 인쇄층(3)의 사이에 있어서도,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라이머층(6)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화장 시트(1b)에 은폐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은폐층(2)을 형성하거나, 원단 수지 시트(7) 자체에 불투명 안료 등을 첨가함으로써 은폐성을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The
[접착제층(8)][Adhesive Layer (8)]
접착제층(8)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작업성, 가격, 높은 응집력으로부터, 주제를 우레탄계 폴리올, 경화제를 이소시아네이트로 한 2액 타입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As the adhesive layer 8, for example, acrylic type, polyester type, polyurethane type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and used. Generally, a two-liquid type material having a urethane-based polyol as a base and an isocyanate as a hardener is used from workability, price and high cohesion.
[화장 시트(1b)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the decorative sheet (1b)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b)는, 우선, 원단층(7)으로서의 원단 수지 시트(7)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원단 수지 시트(7)의 한쪽 면 상에 대하여 프라이머층(6)을, 다른 한쪽 면 상에 무늬 인쇄층(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막 플로우에 의해 형성된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4)와, 무늬 인쇄층(3) 및 프라이머층(6)이 형성된 원단 수지 시트(7)의 무늬 인쇄층(3)측의 면을, 접착제층(8)을 사이에 개재시켜, 열압을 응용한 방법, 예를 들어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하여 적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한다. 이때,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적층 필름에 대하여, 열압에 의한 방법, 혹은 요철이 형성된 냉각 롤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당해 적층 필름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대하여, 톱 코팅층(5)을 적층하여 화장 시트(1b)를 얻는다.The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b)에 있어서는, 원단층(7)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 100㎛ 내지 250㎛, 접착제층(8)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팅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b)의 총 두께는 130㎛ 내지 5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In the
(각 실시 형태의 효과)(Effects of each embodiment)
(1)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4)에 대하여,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있어서 얻어진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상기 식 (2)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피크 강도비 x의 값을 x≤0.6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x≤0.65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1) The decorative sheet (1)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resin sheet (4) as the transparent resin layer (4) comprises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in the Fourier type infrared spectroscopy From the obtained absorption spectrum, the value of the peak intensity ratio x calculated based on the formula (2) is set in the range of x? 0.65,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5? X? 0.65.
이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화장 시트와 비교하여, 내 후속 가공성이 우수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stit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2)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 시트(4)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조핵제가 내포되어 있는 조핵제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다.(2) Further, the
이 구성에 따르면,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조핵제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고, 당해 조핵제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화장 시트와 비교하여, 극히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stitution, the high dispersibility of the nucleating agent in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realized, and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by the nucleating agent. Therefore, th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4>≪ Examples 1 to 4, Comparative Examples 1 to 4 >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제) 500PPM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티누빈 328, BASF사제) 2000PPM과,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화제(치마소브 944, BASF사제) 2000PPM과, 인산에스테르 금속염계 조핵제(아데카스탭 NA-21, ADEKA사제) 1000PPM을 첨가한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막 플로우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 사용할 두께 100㎛의 투명 수지 시트(4)를 각각 제막하였다.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500PPM of a hindered phenol-based antioxidant (Irganox 1010, manufactured by BASF) and 100PM of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Tinuvin 328 , 2000PPM of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Chimassob 944, manufactured by BASF) and 1000PPM of a phosphate ester metal salt nucleating agent (Adekastab NA-21, manufactured by ADEKA) were added to a melt extruder Was used to perform the film-forming flow. Thus, a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 투명 수지 시트(4)에 대하여 측정한 각 투명 수지 시트(4)의 피크 강도비 x를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제막 시의 압출 온도, 롤 온도 및 시트 반송 속도를 컨트롤함으로써, 피크 강도비 x를 조정하였다.Table 1 shows the peak intensity ratios of the respective transparent resin sheets (4) measured for the respective transparent resin sheets (4) obtain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us obtain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peak intensity ratio x wa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extrusion temperature, the roll temperature and the sheet conveying speed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실시예 5, 6>≪ Examples 5 and 6 >
실시예 5, 6에 있어서는,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제) 500PPM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티누빈 328, BASF사제) 2000PPM과,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화제(치마소브 944, BASF사제) 2000PPM과, 조핵제 베시클 1000PPM을 첨가한 수지를 용융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막 플로우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 사용할 두께 100㎛의 투명 수지 시트(4)를 각각 제막하였다.In Examples 5 and 6, 500PPM of a hindered phenol-based antioxidant (Irganox 1010, manufactured by BASF), 2000PPM of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TINUVIN 328, manufactured by BASF) were added to the highly crystalline homopolypropylene resin , 2000PPM of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Chima Sov 944, manufactured by BASF), and 1000PPM of a nucleating agent vesicle 1000PM were added to the above-mentioned film-forming flow using a melt extruder. Thus, a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5, 6에 관한 각 투명 수지 시트(4)에 대하여 측정한 각 투명 수지 시트(4)의 피크 강도비 x를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 5, 6에서는, 제막 시의 압출 온도, 롤 온도 및 시트 반송 속도를 컨트롤함으로써, 피크 강도비 x를 조정하였다.Table 1 shows the peak intensity ratio x of each transparent resin sheet (4) measured for each transparent resin sheet (4) obtained in Examples 5 and 6 thus obtained. In Examples 5 and 6, the peak intensity ratio x wa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extrusion temperature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the roll temperature, and the sheet conveying speed.
또한, 첨가한 조핵제 베시클은, 메탄올 100중량부, 인산에스테르 금속염계 조핵제(아데카스탭 NA-21, ADEKA사제) 82중량부,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어 밀폐하고, 압력이 20MPa로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초임계 상태로 한 후,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이온 교환수를 100중량부 주입하고, 용기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인산에스테르 금속염계 조핵제가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을 얻었다. 얻어진 조핵제 베시클의 입경은, 0.05㎛ 내지 0.8㎛의 사이즈였다.Further, 100 parts by weight of methanol, 82 parts by weight of phosphate ester metal salt type nucleating agent (Adekastab NA-21, manufactured by ADEKA) and 5 parts by weight of phosphatidylcholine were placed in a high-pressure stainless steel container maintained at 60 캜 The mixture was stirred and mixed vigorously while 100 parts by weight of ion exchange water was injecte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15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vessel, Carbon dioxide was discharged and return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to obtain a crude nucleating agent vesicle containing a phosphoric acid ester metal salt-based nucleating agent in vesicles having an outer membrane of the single-layer membran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rude nucleating agent vesicle obtained was in the range of 0.05 탆 to 0.8 탆.
이어서,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 투명 수지 시트(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의 습윤을 40dyn/㎝ 이상으로 하였다. 또한, 투명 수지 시트(4)의 한쪽 표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 세조 가부시키가이샤제)로 무늬 인쇄를 실시하여 무늬 인쇄층(3)을 형성함과 함께, 무늬 인쇄층(3)에 겹쳐 은폐성이 있는 2액 경화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 세조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량 6g/㎡로 도포하여 은폐층(2)을 형성하였다. 또한, 은폐층(2)에 겹쳐 2액 경화형 우레탄 잉크(PET-E, 레쥬서, 다이니치 세카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량 1g/㎡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투명 수지 시트(4)의 다른 쪽 표면에 대하여, 엠보싱용 금형 롤을 사용하여 프레스하여 엠보싱 모양(4a)을 입혔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한 엠보싱 모양(4a)의 표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스사제)를 도포량 3g/㎡로 도포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총 두께 110㎛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Corona treatment was then applied to both surfaces of each
<평가><Evaluation>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 시트(1)에 대하여, V홈 굽힘 가공 적성 시험 및 헤이즈값 측정 시험을 행하여 내 후속 가공성의 평가를 행하였다.The V-groove bending workability test and the haze value measurement test were carried out on the decorative sheet (1)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o evaluate the post-processability thereof.
이하, 각 시험의 상세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method of each test will be described.
<V홈 굽힘 가공 적성 시험>≪ V-groove bending workability test >
우선, 기재(B)로서의 중질 섬유판(MDF)의 한쪽 면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 화장 시트(1)를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부하고, 기재(B)의 다른 쪽 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화장 시트(1)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V형의 홈을 기재(B)와 화장 시트(1)를 접합하고 있는 경계까지 넣는다. 이어서, 화장 시트(1)의 면이 산접기로 되도록 기재(B)를 당해 V형의 홈을 따라 90도까지 구부리고, 화장 시트(1)의 표면의 절곡된 부분에 백화나 균열 등이 발생하지 않았는지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내 후속 가공성의 우열의 평가를 행한다. 평가는 하기의 2단계로 행하였다.First, each of the decorative sheets (1) of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was affixed to one side of a heavy fiber board (MDF) as the substrate (B) using a urethane adhesive, The V-shaped groove is inserted to the boundary where the base material B and the
○: 백화ㆍ균열 등이 보이지 않음○: No whitening or cracks are observed
×: 화장 시트로서 용인할 수 없는 백화ㆍ균열이 보임X: white sheet which can not be tolerated as a decorative sheet, cracks are visible
<헤이즈값 측정 시험><Haze value measurement test>
여기서, 헤이즈값이란, 물체의 한쪽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다른 쪽 면으로 출사하는 경우에, 다른 쪽 면으로부터 출사한 광선의 모든 적분값(전체 광선 투과율)으로부터 다른 쪽 면으로부터 출사한 광선 중 직선 성분만의 적분값(직선 투과율)을 차감한 값(확산 투과율)을, 전체 광선 투과율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그리고, 그 값이 작을수록 투명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이 헤이즈값은, 결정부에 있어서의 결정화도나 구정 사이즈 등의 물체의 내부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내부 헤이즈와, 입사면 및 출사면의 요철의 유무 등의 물체의 표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외부 헤이즈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는, 단순히 헤이즈값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는, 내부 헤이즈 및 외부 헤이즈에 의해 결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본 시험은, 헤이즈값 측정 시험기(닛폰 덴쇼쿠사제; NDH2000)를 사용하여, 각 투명 수지 시트(4)에 대하여 행하였다. 미리, 샘플 홀더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블랭크 측정을 행해 둔다. 각 투명 수지 시트(4)의 측정에 있어서는, 샘플 홀더에 샘플을 설치하여 블랭크 측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샘플 투과 측정을 행하여, 샘플 투과 측정과 블랭크 측정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헤이즈값으로서 산출하였다. 그리고, 본 시험에 있어서는, 헤이즈값이 15% 미만인 것을 합격이라고 판단하였다.Here, the haze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from all the integrated values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 beams e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light incident from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light e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Diffusion transmitta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ntegral value (linear transmittance) of only the component (diffusion transmittance) by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s a percentage. The smaller the value, the higher the transparency. The haze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ternal haze determined by the internal state of the object such as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and the moon size in the crystal portion and the external haze determined by 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irregularities on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emitting surface It is determined by Hayes. In this test, when simply referred to as a haze value, it means a value determined by an internal haze and an external haze. This test was carried out for each
상기 V홈 굽힘 가공 적성 시험 및 헤이즈값 측정 시험의 각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the V-groove bending workability test and the haze value measurement test.
각 화장 시트(1)의 각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 시트(4)의 피크 강도비 x가 0.55≤x≤0.65인 실시예 1 내지 6의 각 화장 시트(1) 및 x=0.53인 비교예 2의 화장 시트(1)는, V홈 굽힘 가공 적성 시험에 있어서 백화ㆍ균열 등이 보이지 않고, 우수한 내 후속 가공성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피크 강도비 x가 x<0.53인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제막할 수 없었다. 피크 강도비 x가 x>0.65인 비교예 3, 4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화장 시트로서 용인할 수 없는 백화ㆍ균열이 보였다.The results of each test of each
또한, 헤이즈값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2 내지 4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15% 이하로 되고, 화장 시트(1)에 적합한 투명성을 갖고 있었다. 특히, 조핵제 베시클을 첨가한 실시예 5, 6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마찬가지의 피크 강도비 x로 되어 있는 비교예 1, 2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하여 헤이즈값이 작은 값으로 되어 있고, 보다 우수한 투명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지 조성물에 첨가한 조핵제의 분산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광의 산란이 적어지고, 투명성이 향상되었다고 생각된다.The haze value was 15% or less in any of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4, and had transparency suitable for the
이상의 결과로부터,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4)의 피크 강도비 x를 x≤0.65, 바람직하게는 0.55≤x≤0.65로 함으로써, 내 후속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n the peak intensity ratio x of the
또한, 표 1의 「판정」란에서는, 내 후속 가공성 및 투명성이 특히 우수한 것을 「◎」, 내 후속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 내 후속 가공성 및 투명성이 떨어지는 것을 「×」로 표기하고 있다.In the "judgment" column of Table 1, "excellent" shows excellent after-workability and transparency, "∘" indicates excellent after-workability and transparency, "◯" indicates excellent after-workability and transparency, have.
또한, 투명 수지 시트(4)에 대하여, 조핵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투명 수지 시트(4)에 있어서의 조핵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극히 투명성이 높고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Further, by adding the coarse nucleating agent vesicle to the
본 발명의 화장 시트(1)는,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The
[참고예][Reference Example]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ecorative sheet other than the decorative sheet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a referenc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근년,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제의 화장 시트를 대신할 화장 시트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화장 시트가 수없이 제안되어 있다.In recent years, as described in
그러나, 이들 화장 시트는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소각 시에 있어서의 유독 가스 등의 발생은 억제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폴리프로필렌 시트 혹은 연질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의 내찰상성이 나쁘고,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화장 시트의 내찰상성보다 훨씬 떨어지는 것이었다.However, since these decorative sheets do not use a vinyl chloride resin, the generation of toxic gas or the like at the time of incineration is suppressed. However, since a general polypropylene sheet or a flexible polypropylene sheet is used,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surface is poor and much lower than the scratch resistance of a conventional polyvinyl chloride toilet sheet.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특허문헌 6에 기재된 표면의 내찰상성 및 후속 가공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고 있음과 함께, 소비자의 품질에 대한 의식도 점점 고도화되고 있다.To solve these drawbacks,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decorative sheet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subsequent workability of the surface described in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결정성 수지는, 수지 중의 결정질 성분과 비정질 성분의 비인 결정화도를 컨트롤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정화도를 컨트롤하기 위한 인자는, 수지 자체의 분자 구조나 조핵제의 첨가 등에 의한 재료 인자와, 결정성 수지를 가공할 때의 성형 가공 조건 등의 공정 인자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 공정 인자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여, 당해 공정 인자를 컨트롤함으로써 내 후속 가공성이 우수한 결정화도의 범위를 특정한 수지 시트를 구비한 화장 시트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In general, a crystalline resin such as a polypropylene resin can change the mechanical propertie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which is not a ratio between the crystalline component and the amorphous component in the resin. Factor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nclude process parameters such as a material factor by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resin itself, the addition of a nucleating agent, and molding processing conditions when the crystalline resin is processe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cused on this process factor and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have completed the production of a decorative sheet having a resin sheet having a specified degree of crystallinity with excellent post-processability by controlling the process parameters.
또한, 통상,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부에 있어서의 구정 사이즈는, 가시광의 파장(400 내지 750nm)보다 크기 때문에 광의 산란이 많아져 유백색을 나타내고 있지만,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대체가 기대되고 있는 투명 수지층은, 그의 하층에 형성된 무늬나 모양 등이 당해 투명 수지층을 통하여 클리어하게 보이는 것이 필요하며, 의장성의 관점에서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the crystal size of the crystalline por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is larger than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400 to 750 nm), so that scattering of light is increased and milky white is exhibited. However,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t is necessary that the pattern or shape formed on the lower layer thereof should be seen to be clear through the transparent resin layer, and high transparency is demanded from the viewpoint of designability.
1: 화장 시트
1a: 화장 시트
1b: 화장 시트
2: 은폐층
3: 무늬 인쇄층
4: 투명 수지층(투명 수지 시트)
4a: 엠보싱 모양
5: 톱 코팅층
6: 프라이머층
7: 원단층(원단 수지 시트)
8: 접착제층1: Facial sheet
1a: Facial sheet
1b: Facial sheet
2:
3: Printed layer
4: Transparent resin layer (transparent resin sheet)
4a: embossed shape
5: top coating layer
6: Primer layer
7: Single layer (fabric resin sheet)
8: Adhesive layer
Claims (4)
상기 투명 수지층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피크 강도비 x의 값이 x≤0.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여기서, 하기 식 (1)에 있어서의 I997, I938 및 I973은, 상기 투명 수지층의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서 얻어지는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한 피크 강도값이며, I997은 파수 997cm-1의 피크 강도값, I938은 파수 938cm-1의 피크 강도값, I973은 파수 973cm-1의 피크 강도값을 나타낸다.
And a transparent resin layer containing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component,
Wherei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has a peak intensity ratio x of x? 0.65 a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997, I938 and I973 in the following formula (1) are the peak intensity values calculated from the absorption spectra obtained by the Fourier-type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transparent resin layer, I997 is the peak intensity value at a wavenumber of 997 cm -1 , I938 i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38cm -1, I973 denotes a peak intensity value of the wave number 973cm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64382 | 2015-08-24 | ||
JP2015164382A JP6787642B2 (en) | 2015-08-24 | 2015-08-24 | Cosmetic sheet |
PCT/JP2016/074668 WO2017033972A1 (en) | 2015-08-24 | 2016-08-24 | Decorative she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2265A true KR20180042265A (en) | 2018-04-25 |
KR102518157B1 KR102518157B1 (en) | 2023-04-06 |
Family
ID=5810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5440A Active KR102518157B1 (en) | 2015-08-24 | 2016-08-24 | makeup sheet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906280B2 (en) |
EP (1) | EP3342589B1 (en) |
JP (1) | JP6787642B2 (en) |
KR (1) | KR102518157B1 (en) |
CN (1) | CN107921765B (en) |
AU (1) | AU2016311950B2 (en) |
ES (1) | ES2907484T3 (en) |
PL (1) | PL3342589T3 (en) |
TW (1) | TWI783913B (en) |
WO (1) | WO201703397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87642B2 (en) | 2015-08-24 | 2020-11-18 | 凸版印刷株式会社 | Cosmetic sheet |
ES2817405T3 (en) | 2015-08-24 | 2021-04-07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foil and transparent resin foil |
JP6787641B2 (en) * | 2015-08-24 | 2020-11-18 | 凸版印刷株式会社 | Cosmetic sheet |
CN108570294A (en) * | 2017-03-14 | 2018-09-25 |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 Decorative film configuration and its production method |
JP2019070063A (en) * | 2017-10-06 | 2019-05-09 | 三井化学株式会社 | Filling material dispersion |
JP2019164214A (en) * | 2018-03-19 | 2019-09-26 | 三井化学株式会社 | Coating material |
JP7255187B2 (en) * | 2019-01-10 | 2023-04-11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and board |
WO2024147319A1 (en) * | 2023-01-04 | 2024-07-11 |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WO2024147318A1 (en) * | 2023-01-04 | 2024-07-11 |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JP7582560B1 (en) * | 2023-01-25 | 2024-11-13 |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CN120152849A (en) * | 2023-03-24 | 2025-06-13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s and panels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843A (en) | 1988-11-10 | 1990-05-17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material |
JPH0483664A (en) | 1990-07-26 | 1992-03-17 | Canon Inc | Printer device |
JPH061881A (en) | 1992-01-09 | 1994-01-11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Biodegradable composite material |
JPH06198831A (en) | 1993-01-06 | 1994-07-1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
JPH09328562A (en) | 1996-06-07 | 1997-12-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prepared therefrom |
JP2001162744A (en) * | 1999-12-07 | 2001-06-19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
JP2003039613A (en) * | 2001-08-01 | 2003-02-13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
JP3772634B2 (en) | 2000-03-23 | 2006-05-10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JP2007077345A (en) * | 2005-09-16 | 2007-03-29 | Masamitsu Nagahama | Resin material, production method of resin material, use of liposome |
JP2017042916A (en) * | 2015-08-24 | 2017-03-02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303270C (en) * | 1986-08-01 | 1992-06-09 | Hirokazu Nakazima | High stiffness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
DE69132933D1 (en) | 1990-03-30 | 2002-03-21 | Canon Kk | Image processing device |
JPH1058596A (en) | 1996-08-21 | 1998-03-03 | Tokuyama Corp | Laminate |
JPH11179800A (en) * | 1997-12-25 | 1999-07-06 | Tokuyama Corp | Polypropylene film |
JP4949545B2 (en) | 1999-10-19 | 2012-06-13 | 三菱樹脂株式会社 | Film for decorative sheet |
JP2001181411A (en) * | 1999-12-24 | 2001-07-03 | Sumitomo Chem Co Ltd | Propylene-based resin sheet for ptp packaging |
GB0307615D0 (en) * | 2003-04-02 | 2003-05-07 | Ucb Sa | Authentication means |
JP2007100045A (en) | 2005-10-07 | 2007-04-19 | Masamitsu Nagahama | Polyolefin resin products, production methods of polyolefin resin products, use of granules |
EP2075127B1 (en) | 2006-09-28 | 2012-03-28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JP5003086B2 (en) * | 2006-09-29 | 2012-08-15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JP2008296962A (en) * | 2007-05-31 | 2008-12-11 | Toyo Seikan Kaisha Ltd | Polyolefin-based packaging material excellent in microwave oven suitability and flavor maintenance |
JP5390078B2 (en) | 2007-07-06 | 2014-01-15 |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 Polypropylene molded product, sheet-like polypropylene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propylene thermoformed product |
JP5067118B2 (en) | 2007-10-26 | 2012-11-07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JP5386899B2 (en) | 2008-09-18 | 2014-01-15 |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 Decorative sheet |
JP5557135B2 (en) * | 2009-12-18 | 2014-07-23 | 住友化学株式会社 | Polypropylene film, and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JP6060451B2 (en) * | 2011-12-12 | 2017-01-18 | アクテイブ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reducing resin composition |
JP2016011401A (en) * | 2014-06-30 | 2016-01-21 |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Stretch film |
JP6636776B2 (en) | 2014-11-11 | 2020-01-29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sheet |
ES2817405T3 (en) | 2015-08-24 | 2021-04-07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foil and transparent resin foil |
JP6787642B2 (en) | 2015-08-24 | 2020-11-18 | 凸版印刷株式会社 | Cosmetic sheet |
-
2015
- 2015-08-24 JP JP2015164382A patent/JP6787642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8-24 KR KR1020187005440A patent/KR102518157B1/en active Active
- 2016-08-24 AU AU2016311950A patent/AU2016311950B2/en active Active
- 2016-08-24 TW TW105127059A patent/TWI783913B/en active
- 2016-08-24 CN CN201680048557.XA patent/CN107921765B/en active Active
- 2016-08-24 ES ES16839319T patent/ES2907484T3/en active Active
- 2016-08-24 EP EP16839319.7A patent/EP3342589B1/en active Active
- 2016-08-24 PL PL16839319T patent/PL3342589T3/en unknown
- 2016-08-24 US US15/754,272 patent/US10906280B2/en active Active
- 2016-08-24 WO PCT/JP2016/074668 patent/WO201703397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843A (en) | 1988-11-10 | 1990-05-17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material |
JPH0483664A (en) | 1990-07-26 | 1992-03-17 | Canon Inc | Printer device |
JPH061881A (en) | 1992-01-09 | 1994-01-11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Biodegradable composite material |
JPH06198831A (en) | 1993-01-06 | 1994-07-1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
JPH09328562A (en) | 1996-06-07 | 1997-12-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prepared therefrom |
JP2001162744A (en) * | 1999-12-07 | 2001-06-19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
JP3772634B2 (en) | 2000-03-23 | 2006-05-10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JP2003039613A (en) * | 2001-08-01 | 2003-02-13 | Toppan Printing Co Ltd | Decorative sheet |
JP2007077345A (en) * | 2005-09-16 | 2007-03-29 | Masamitsu Nagahama | Resin material, production method of resin material, use of liposome |
JP2017042916A (en) * | 2015-08-24 | 2017-03-02 | 凸版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she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907484T3 (en) | 2022-04-25 |
JP6787642B2 (en) | 2020-11-18 |
US10906280B2 (en) | 2021-02-02 |
US20180264791A1 (en) | 2018-09-20 |
AU2016311950A1 (en) | 2018-03-15 |
CN107921765B (en) | 2020-11-27 |
TW201713506A (en) | 2017-04-16 |
EP3342589A4 (en) | 2019-05-01 |
JP2017042917A (en) | 2017-03-02 |
EP3342589B1 (en) | 2022-01-19 |
TWI783913B (en) | 2022-11-21 |
KR102518157B1 (en) | 2023-04-06 |
PL3342589T3 (en) | 2022-03-28 |
AU2016311950B2 (en) | 2020-05-14 |
EP3342589A1 (en) | 2018-07-04 |
CN107921765A (en) | 2018-04-17 |
WO2017033972A1 (en) | 201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42265A (en) | Decorative sheet | |
TWI777101B (en) | decorative sheet | |
WO2017038843A1 (en)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sheet | |
JP6787641B2 (en) | Cosmetic sheet | |
JP7276564B2 (en)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sheet | |
JP6994633B2 (en) | Decora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sheet | |
JP2022120093A (en)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sheet | |
JP7007546B2 (en) | Decorative sheets and transparent resin shee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 |
JP7088248B2 (en) | Decora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sheet | |
JP6629602B2 (en) | Decorative sheet and transparent resi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sheet and transparent resin sheet | |
JP6994632B2 (en) | Decora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sheet | |
JP7088247B2 (en) | Decora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sheet | |
JP2025028921A (en)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