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8716A -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 Google Patents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716A
KR20180038716A KR1020160129687A KR20160129687A KR20180038716A KR 20180038716 A KR20180038716 A KR 20180038716A KR 1020160129687 A KR1020160129687 A KR 1020160129687A KR 20160129687 A KR20160129687 A KR 20160129687A KR 20180038716 A KR20180038716 A KR 20180038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terminal
network
pdu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중제
김성훈
백영교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8716A/ko
Priority to EP17858701.0A priority patent/EP3476106B1/en
Priority to PCT/KR2017/010890 priority patent/WO2018066907A1/en
Priority to US15/722,410 priority patent/US10735941B2/en
Publication of KR2018003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716A/ko
Priority to US16/983,457 priority patent/US11388580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능들 간에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METHOD FOR TRANSFERRING SINMALING MESSAGES OF THE TERMINAL BETWEEN THE NETWORK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능들 간에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을 제어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는 논리적인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네트워크 장치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이를 통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는 논리적인 장치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단말에서 전송된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네트워크 기능들을 지원하는 논리적인 장치들 간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사업자 망에서 이동통신 사업자가 구성한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들 간에 단말의 시그널링을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장치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이를 통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M Network Function과 SM Network Function 간에 전달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의 생성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 Network Function의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의 처리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M Function과 SM Function 간에 전달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a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1a-01)과 기지국(1a-02)과 MM(Mobility Management) function(1a-03)과 SM(Session Management) function (1a-04)(1a-06) 과 Subscriber Data(1a-10) 및 NF Repository(1a-11)을 포함한 Control function(1a-12)과 UP(user plane) function(1a-05)(1a-07)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지기국을 제외한 상기 Control functions 및 User Plane function을 포함한 장치들의 집합을 코어망(CN, Core Network)으로 지칭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외부의 Application과의 연동을 위해서 DN(Data Network)(1a-08)(1a-09)를 통해서 외부의 서비스와 연관된 서비스 데이터 들을 전달받는다.
상기 기지국(1a-02)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1a-02)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무선자원을 스케쥴링하고 할당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상기 MM(1a-03)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과 연결하여 이동성 관리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단말에게 전달한다.
상기 SM(1a-04)(1a-06)는 상기 단말이 상기 Data NW을 통해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session을 관리하며 상기 UP function(1a-05)(1a-07)과 연락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들을 전송을 관리한다.
상기 UP function(1a-05)(1a-07)은 상기 기지국(1a-02)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1a-02)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상기 Control Functions(1a-12)이 상기 단말(1a-01)과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서 설정된 연결을 NG1 연결이라 칭한다.
상기 Control Functions(1a-12)이 상기 기지국(1a-02)과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서 설정된 연결을 NG2 연결이라 칭한다. 상기 NG1 연결을 통해서 상기 단말(1a-01)이 상기 Control Functions(1a-12)과 주고 받는 패킷들은 무선접속을 통해서 상기 단말(1a-01)과 상기 기지국(1a-02) 사이에 전달되며, 상기 NG2 연결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Control Functions 사이에 전달된다.
상기 UP function(1a-05)(1a-07)이 단말과 패킷을 주고 받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1a-02)와 패킷을 주고 받는 연결을 NG3 연결이라 칭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1a-01)이 여러 종류의 외부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상기 Data Network(1a-09)(1a-08)과 복수개의 상기 UP function(1a-05)(1a-07)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Data Network(1a-08)과 상기 Data Network(1a-09)들은 각각 상기 UP function (1a-05)와 상기 UP function(1a-07)을 통해서 각각 상기 단말(1a-01)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UP function(1a-05)와 상기 단말(1a-01) 및 상기 기지국(1a-02)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UP function(1a-05)의 제어는 상기 SM function(1a-04)를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P function(1a-07)와 상기 단말(1a-01) 및 상기 기지국(1a-02)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UP function(1a-07)의 제어는 또 다른 상기 SM function(1a-06)를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1a-01)과 상기 SM(1a-04)와 SM(1a-06)간의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연결은 상기 MM(1a-03)과 상기 단말(1a-01)간의 NG1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기지국(1a-02)과 상기 SM(1a-04)와 SM(1a-06)간의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연결은 상기 MM(1a-03)과 상기 기지국(1a-02)간의 NG2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MM은 상기 단말(1a-01)에서 수신한 상기 SM(1a-04)(1a-06)과의 PDU 연결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상기 SM(1a-04) 또는 상기 SM(1a-06)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MM은 상기 단말(1a-01)에서 수신한 PDU 연결 설정을 처리할 적당한 SM function을 상기 SM(1a-04) 또는 상기 SM(1a-06)에서 선택하여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M Function과 SM Function 간에 전달하는 절차 예시이다.
상기 단말(1b-01)은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09)를 상기 기지국(1b-02)를 통해서 상기 MM(1b-03)으로 전달한다. 상기 단말(1b-01)은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09)를 구성 시, 상기 MM(1b-03)이 상기 SM(1b-04) 또는 상기 SM(1b-06)에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09)를 전달할 SM function 을 선택할 수 있도록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을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에 포함한다. 이때,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은 상기 단말이 연결할 Data network의 이름(Data Network Name) 또는 PDU 연결의 특성 (예를 들어 IP 기반 PDU 연결, nonIP 기반 PDU 연결, IoT용 PDU 연결, Broadband Service를 위한 PDU 연결), 또는 상기 단말(1b-01)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요청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network Slice type 또는 Network Slice ID), 또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PDU 연결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PDU session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M(1b-03)은 상기 단말(1b-01)에게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0)를 수신한 경우,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0)에서 상기 SM(1b-04)(1b-06)을 선택하기 위해서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을 확인한다(1b-11).
상기 MM(1b-03)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에서 확인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1b-01)에서 수신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달할 SM function을 선택한다. 상기 MM(1b-03)에게 상기 SM function과 상기 Data Network의 구성 정보가 미리 전달되어 있는 경우, 상기 MM은 저장되어 있던 SM function들 중에서 SM function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MM(1b-03)이 추가적인 SM function들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MM(1b-03)은 상기 NF Repository(1b-08)에게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에 포함된 정보에 부합하는 SM function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1b-12).
상기 MM(1b-03)이 상기 SM function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MM(1b-03)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들에 부합하는 SM function들을 선택한다(1b-13). 가령, Requested DNN이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에 포함된 경우, Requested DNN과 연결되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UP function을 제어하는 SM function 또는, Requested Slice type 이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에 포함된 경우, 해당되는 Slice type을 지원하는 SM function을 선택한다. 이때, 복수개의 SM function들이 선택 가능한 경우에, 상기 MM(1b-03)은 상기 단말(1b-01)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SM function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MM(1b-03)은 상기 선택된 SM function에게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달한다(1b-14).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의 생성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단말은 단말 내 Application Software의 활성화 또는 특정 서비스 접속, 또는 서비스 종료 등으로 새로운 PDU 연결 설정이 필요한 경우, 또는 기존에 연결된 PDU 연결 설정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구성한다(1c-01).
상기 단말은 만들어야 할 PDU 연결 설정 메시지가 신규 PDU 연결 요구 메시지인 경우를 확인한다(1c-02).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가 신규 PDU 연결 요구 메시지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의 Assistance Information for NAS routing에 상기 신규 PDU 연결을 통해서 접속하고자 하는 Data Network의 이름(Requested DNN)을 포함한다(1c-03).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가 기존 PDU 연결의 변경 요구 메시지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의 Assistance Information for NAS routing에 기존 PDU 연결 임을 알려 줄 수 있는 지시자 (가령, Session ID) 등을 포함한다(1c-04).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 Network Function의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의 처리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단말에게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 등의 SM function에게 전달 해야 하는 시그널링 메시지인지 확인한다(1d-01).
상기 수신한 시그널링 메시지가 SM function에게 전달해야 하는 시그널링 메시지인 경우,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수신된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Assistance information 을 확인한다(1d-02).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에 포함된 정보가 requested DNN의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한다(1d-03).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에 포함된 정보가 requested DNN의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에 포함된 정보가 기존 PDU 연결을 알려주는 정보 (가령, session ID)등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1d-04).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에 포함된 정보가 기존 PDU 연결을 알려주는 정보인 경우, 해당 PDU 연결을 관리하는 SM function을 target SM function으로 설정한다(1d-05).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이 requested DNN의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requested DNN에 해당되는 SM function들의 정보를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1d-06).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requested DNN에 해당되는 SM function들의 정보가 없는 경우, network function repository에게 상기 requested DNN에 해당되는 SM function의 정보를 요청한다(1d-08).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requested DNN에 해당되는 SM function들의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상기 requested DNN에 해당되는 SM function 들 중에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단말의 위치, 상기 SM function들과 상기 SM function 들에 의해서 관리되는 상기 UP function들의 의 Load 상태 등을 확인하여 최적의 SM function 을 target SM function으로 선택 한다(1d-07).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network function repository에게 상기 requested DNN에 해당되는 SM function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SM function 들 중에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단말의 위치, 상기 SM function들과 상기 SM function 들에 의해서 관리되는 상기 UP function들의 의 Load 상태 등을 확인하여 최적의 SM function 을 target SM function으로 선택 한다. (1d-09)(1d-10)
상기 MM function 은 target SM function이 결정된 경우, 상기 target SM function에게 상기 단말에게서 수신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한다(1d-11).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는 NAS 메시지 헤더(1e-01), Assistance information for NAS routing(1e-02), NAS payload(1e-0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NAS 메시지 헤더(1e-01)은 상기 단말이 상기 MM function에게 요청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달하고, 전달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 for NAS routing(1e-02)는 상기 MM function이 상기 수신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다른 Network Function에게 전달해야 하는 경우, 해당 Network Function을 선택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 for Routing은 상기 단말이 연결할 Data network의 이름(Data Network Name) 또는 PDU 연결의 특성 (예를 들어 IP 기반 PDU 연결, nonIP 기반 PDU 연결, IoT용 PDU 연결, Broadband Service를 위한 PDU 연결), 또는 상기 단말(1b-01)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요청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network Slice type 또는 Network Slice ID), 또는 이미 다른 Network Function과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연결을 지시할 수 있는 정보 (가령, PDU session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AS 메시지 헤더(1e-10)와 상기 Assistance information for NAS routing(1e-02)에 수신된 정보에서 상기 MM function은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할 Network Function을 고를 수 있다.
상기 NAS payload(1e-03)은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이 요청하고자 하는 행위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도 1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PDU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M Function과 SM Function 간에 전달하는 절차 예시이다.
상기 단말(1f-01)은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f-09)를 상기 기지국(1f-02)를 통해서 상기 MM(1f-03)으로 전달한다.
상기 MM(1f-03)은 상기 단말(1f-01)에게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f-10)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1f-01)을 서빙할 상기 SM function(1f-04)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SM function(1f-04)은 상기 단말(1f-01)의 위치 등을 참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1)을 수신한 상기 SM function(1f-04)는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1)을 해독하여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1)에서 요청하는 PDU 연결을 지원 할 수 있는 경우,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1)을 처리하고, PDU 연결 설정 메시지(1b-11)의 응답을 상기 MM NF_1(1f-03)을 통해서 상기 단말(1f-01)에게 전달한다.
만일 상기 SM function(1f-04)가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에서 요청되는 PDU 연결을 지원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SM function(1f-04)는 상기 NF Repository(1f-08)과 통신을 하여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에서 요청하는 requested DNN 등을 서빙하는 SM function의 정보를 획득한다(1f-12).
상기 SM function(1f-04)는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처리할 수 없음과 상기 NF Repository(1f-08)과의 연결 또는 다른 방법으로 취득한 해당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SM function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MM function(1f-03)에게 회신한다(1f-13).
상기 MM function(1f-03)은 상기 SM function (1f-04)에게서 상기 PDU 연결 설정을 처리할 다른 SM function 들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1f-01)의 위치 등을 기반으로 상기 PDU 연결 설정을 처리할 SM function을 다시 선택한다(1f-14).
상기 MM function(1f-03)은 상기 선택된 SM function(1f-06)에게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달한다(1f-1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MM function(1f-03)은 상기 단말(1f-01)에게서 PDU 연결 설정 메시지(1f-10)을 수신한 경우, 상기 NF Repository(1f-08)과의 연결을 통해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SM function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1f-01)에게서 수신한 PDU 연결 설정 메시지(1f-10)을 처리할 SM function을 선택하고, 선택된 SM function에게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1f-10)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160129687A 2016-10-07 2016-10-07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Ceased KR20180038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87A KR20180038716A (ko) 2016-10-07 2016-10-07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EP17858701.0A EP3476106B1 (en) 2016-10-07 2017-09-28 Method for transferring signaling messages of terminal between network functions
PCT/KR2017/010890 WO2018066907A1 (en) 2016-10-07 2017-09-28 Method for transferring signaling messages of terminal between network functions
US15/722,410 US10735941B2 (en) 2016-10-07 2017-10-02 Method for transferring signaling messages of terminal between network functions
US16/983,457 US11388580B2 (en) 2016-10-07 2020-08-03 Method for transferring signaling messages of terminal between network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87A KR20180038716A (ko) 2016-10-07 2016-10-07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16A true KR20180038716A (ko) 2018-04-17

Family

ID=6183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87A Ceased KR20180038716A (ko) 2016-10-07 2016-10-07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35941B2 (ko)
EP (1) EP3476106B1 (ko)
KR (1) KR20180038716A (ko)
WO (1) WO20180669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400A (ko) * 2017-03-20 201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망에서 세션의 다양한 ssc 모드 지원을 위한 upf 변경 방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6017A1 (en) 2016-07-01 2018-01-04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supporting session continuity on per-session basis
KR102449475B1 (ko) 2016-10-21 2022-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ES2903002T3 (es) * 2016-10-31 2022-03-30 Huawei Tech Co Ltd Procedimiento de gestión de segmento de red, conjunto de gestión y sistema
WO2018094667A1 (zh) 2016-11-24 2018-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管理方法、管理单元及系统
CN109379206B (zh) * 2017-08-07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功能信息的管理方法及相关设备
CN110392422B (zh) * 2018-04-23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时钟源的方法及装置
EP3761703B1 (en) * 2018-05-21 2023-06-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US10999447B2 (en) * 2018-11-02 2021-05-04 Ofinno, Llc Charging control in roaming scenario
KR102636658B1 (ko) 2019-01-14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nssai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EP3949356A1 (en) * 2019-04-05 2022-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network name (dnn) manip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777A (ko) * 2004-06-29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패킷 호 서비스에관련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032164B2 (en) * 2008-09-22 2011-10-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upplementary services messages
US20110235505A1 (en) * 2010-03-29 2011-09-29 Hitachi, Ltd. Efficient deployment of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with stateful geo-redundancy
WO2012148210A2 (en) * 2011-04-29 2012-1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US9521526B2 (en) * 2012-09-28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the transfer of telematics data using session related signaling
EP3108679B1 (en) * 2014-02-21 2017-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s for protection of control plane functionality
US10425830B2 (en) * 2015-09-07 2019-09-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ng network component configurations
US10536893B2 (en) * 2015-09-29 2020-01-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ccess agnostic control plane
US10277515B2 (en) * 2016-04-04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10028128B2 (en) * 2016-04-29 2018-07-17 Motorola Mobility Llc Procedures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62511B2 (en) * 2016-05-17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DU session id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400A (ko) * 2017-03-20 201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망에서 세션의 다양한 ssc 모드 지원을 위한 upf 변경 방안
US11297543B2 (en) 2017-03-20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to change a user plane fun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6106A1 (en) 2019-05-01
US20180103368A1 (en) 2018-04-12
US11388580B2 (en) 2022-07-12
WO2018066907A1 (en) 2018-04-12
EP3476106B1 (en) 2020-11-04
US20200367046A1 (en) 2020-11-19
US10735941B2 (en) 2020-08-04
EP3476106A4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52775B2 (en)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KR102577006B1 (ko) 4g 및 5g 네트워크 이동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559755B1 (ko)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CN109863789B (zh) 在移动通信系统中基于可适用网络信息将终端连接到网络的方法及设备
KR20180038716A (ko)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KR20180123364A (ko) 5g 셀룰러망의 세션 연속성 지원 방안
KR1026861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또는 서비스 지역에 따른 단말의 세션 설정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351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송신
KR20180040290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능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1547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bs 설정과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18277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KR202300658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208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u 세션에 대해 사용자 보안 평면 정책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6667B1 (ko)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
US2022011008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naging pdu session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230073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능 체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73736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체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및 장치
EP39722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quests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terminals concurr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41888A (ko) 5g 단말과 네트워크 접속 및 데이터 전송 방안
KR102792951B1 (ko) NAS 프로토콜을 이용한 QoS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771885B1 (ko) 5G 네트워크에서 non-IP 데이터 전송 방법
KR202300674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300600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1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23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2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06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