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206A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8206A KR20180038206A KR1020160129006A KR20160129006A KR20180038206A KR 20180038206 A KR20180038206 A KR 20180038206A KR 1020160129006 A KR1020160129006 A KR 1020160129006A KR 20160129006 A KR20160129006 A KR 20160129006A KR 20180038206 A KR20180038206 A KR 201800382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change
- dielectric constant
- permittivity
- capacitance val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641 drought str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49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ac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26—Dielectric impedance spectroscop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17—Measuring dielectric properties, e.g. const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중채널 정전용량 타입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신호로부터 평균 면 정전용량을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식물체 내부의 수분량, 건조상태 및 가뭄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capacitiv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multi- By acquiring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it is possible to monitor water content, dryness and drought stress inside the plant in real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을 포함한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로부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식물체의 수분량을 모니터링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capacitiv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 method thereof,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capacitive dielectric permittivity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water content of a plant in real time by measuring surface capacitance values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농업에서 물은 필수불가결한 자원이며, 농업에서 이용되어지는 물을 농업용수라 부른다. In agriculture, water is an indispensable resource, and the water used in agriculture is called agricultural water.
최근에는 기후 온난화 그리고 강수량과 폭풍 등의 기상 이변이 발생하면서 세계 총 식량 생산량이 떨어지는 가운데 식량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식량 수요의 증가는 식량 공급의 증가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많은 농업용수가 필요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global warming and rising weather conditions, such as precipitation and storms, have led to a declining global food production and growing food demand. Such an increase in food demand leads to an increase in food supply, and consequently,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is needed.
그러나, 현재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지역에서 물이 부족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자원관리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 또한 이를 도입하려 한다.However, water is scarce in almost all parts of the world at present. To solve this problem,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a global trend and Korea is trying to introduce it.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농촌용수 및 수리시설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야 한다.To manage water resources, a new paradigm for rural water supply and repair facilities should be presented.
체계적인 농업용수 관리를 위해서는 어느 지점에서 급수해야 최소한으로 급수가 가능한 지 알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식물체가 느끼는 가뭄 스트레스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가능해질 것이다.For systematic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t must be possible to know where watering is possible at least to watering, and this will be possible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the drought stress felt by the plant.
종래의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은 식물체 표면에 센서를 직접적으로 접착하는 방식이 아닌, 외부적인 요인의 토양 또는 내부 공기 내 수분 함유량을 판단하여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간접적으로 가늠하는 기술에 불과하였으므로, 이를 통해서는 최적의 가뭄 모니터링이 불가능하였다.The technology for monitoring the drought stress of conventional plants is not a method of directly bonding the sensor to the surface of the plant but a technique of indirectly measuring the drought stress of the plant by judg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oil or the inside air of the external factor It was impossible to monitor the optimum drought through this.
또한, 종래의 식물체의 표면에 부착하는 화초용 습도 센서(한국등록특허 제10-0934369호)는 실과 도전체의 세사를 조합한 직물이거나 종이 패드에 그물형태의 도전체 세사를 결합하여 투수성, 전도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2개의 전극패드와, 전극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수분의 흡수성을 가지는 흡수층 및 2개의 전극 패드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humidity sensor for a plant (Korean Patent No. 10-0934369)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conventional plant is a fabric combining a yarn of a yarn and a conductor, or a paper pad and a net- Two electrode pads having conductivity and flexibility, an absorbing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pads and absorbing moisture, and a sensing unit sensing humidity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 pads.
상기 종래 기술은 전극패드를 제작할 때 여러 겹의 전도성 세사와 투수성이 가능한 패드, 또는 모직 혹은 종이를 기판으로 사용한다.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when fabricating an electrode pad, a plurality of layers of conductive fleece and a pad that is permeable to water or wool or paper are used as a substrate.
이러한 구조는 무겁고 크기 때문에 식물체에 중량을 가하게 되어 식물체가 스트레스를 받고, 전도성 세사가 그물 모양으로 엉켜져 있어 정전용량 조성 시 균일한 장이 생성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평균적인 경향성을 획득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Such a structure is heavy and heavy, so that the plant is subjected to stress, and the conductive cedar is entangled in a net shap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a uniform field is not generated when the capacitance is formed.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 to obtaining the average tendency of plants.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채널 정전용량 타입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로부터 식물체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평균 면 정전용량을 획득하여 식물체 내부의 건조상태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수분량을 산출할 수 있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ry state of a plant by obtain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permittivity of a plant from a multi-channel capacitive-type permittivity change sensor,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투명한 유연 전자소자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식물체 표면에 부착하므로, 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성장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hannel capacitive-type dielectric-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which does not affect the photosynthesis of a plant and does not interfere with growth, since a ligh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식물체 표면의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확인하여 식물의 수분량 및 가뭄 스트레스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of a plant surface in real time and a user can check a water content state of a plant to detect multi-channel power failure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는 신호 감지 센서부로부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의 서로 다른 신호 값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permittivity of a plant from a signal detection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ermittivity variation sensors, And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 여기서,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함 ― 을 포함하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multi-channel capacitive-type dielectric-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electric-constant-change sensors attached to a surface of a plant, wherein the dielectric-constant-change-sensing sensor measures the change in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the plant A signal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substrate to detect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and a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from the sensed signal, A data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to calculate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surface of the plan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패터닝된 상기 다중채널을 상기 기판에 전사시켜 형성되며, 상기 다중채널은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solution)으로 형성된 필름(film) 상에 금(Au)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hange detecting sensors is formed by transferring the multiple channels pattern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the substrate, and the multiple channels are formed on a film formed of a polyimide solution Gold (Au) thin film.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은 미엔더(meander) 패턴의 상기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상기 다중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may include the multiple channels formed by the electrode patterns of a meander pattern.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가장 높은 수분량 또는 가장 낮은 수분량을 나타내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 차이로부터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excludes a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that indicates a highest moisture amount or a lowest water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based on the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can be calculated from the capacitance difference measured from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급격한 수분량 변화를 감지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may calculate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by excluding a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 that detects a sudden change in moisture amount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Terephthalate Film, PET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The substrate may be a flexible substrate of at least one of a polyimide film and a poly-ethylene-terephthalate film (PET fil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 여기서,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함 ― 로부터 상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기설정된 수분량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에 따른 상기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외부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plant, wherein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detects a change in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the pla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including a channel, and obtaining a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permittivity change sensors to calculate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plant surface And an external terminal for monitoring a water content state of the plant according to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based on a predetermined moisture content range.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상기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로부터 상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ermittivity change sensing device comprises: a signal sensing sensor unit for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from the plurality of permittivity change sensor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an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to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data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surface of the plant by obtaining the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IC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may be formed in a patch-like structure by being connected to an IC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 외부 단말기는 사용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The external terminal can be controll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to which usage rights are gran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체 표면의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 여기서,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함 ― 로부터 상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operating a multi-channel capacitive-type dielectric-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of a plan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from the permittivity change sensor including multiple channels formed in an electrode pattern for measuring a change in permittivity according to a water content of the plant; Obtaining a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change detection sensors, calculating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plant surface based on the obtained capacitance difference, and calculating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And transmitting the capacity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채널 정전용량 타입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로부터 식물체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평균 면 정전용량을 획득하여 식물체 내부의 건조상태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수분량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can be obtained from the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type change sensing sensor to measure the dry state inside the plant and to calculate the water content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볍고 투명한 유연 전자소자의 센서를 식물체 표면에 부착하므로 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성장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식물체 표면의 접촉 면적에 대한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light and transparent flexible electronic element sensor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plant, it does not affect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rowth. Can be measu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식물체 표면의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확인하여 식물의 수분량 및 가뭄 스트레스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of the plant surface is provided to the user in real time, and the user can monito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and the degree of drought stress in real time by check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는 신호 감지 센서부로부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의 서로 다른 신호 값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a plant is detected from a signal detection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ermittivity variation sensors, thereby reducing errors in different signal values of the permittivity variation sensors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다른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을 포함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로 구성된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식물을 모니터링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시간에 따른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분석하여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ermittivity variation sensor including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ng sensors including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show examples of monitoring plants.
FIGS. 8A and 8B illustrate an example of determining a drought stress of a plant by analyz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with tim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s "embodiment," "example," "side," "example," and the like should be construed as advantageous or advantageous over any other aspect or design It does not.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Also, the term 'or' implies an inclusive or 'inclusive' rather than an exclusive or 'exclusive'. That is, unless expressly stated otherwise or clear from the context, the expression 'x uses a or b' means any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phrase "a" or "an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or to the singular form, .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Furthermo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for appropriately expres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 타입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부터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여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 a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a permittivity of a plant using a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plant surface is calculated from the signal and transmit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100)는 신호 감지 센서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신호 감지 센서부(110)는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식물체의 유전율 변화는 식물체가 수분을 내뿜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유전율의 변화일 수 있고, 식물체가 가뭄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아 나타내는 유전율의 변화일 수 있다. The signal
신호 감지 센서부(110)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한다.The sensor for detecting the change in permittivity of the signal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패터닝된 다중채널을 기판에 전사시켜 형성되며, 다중채널은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solution)으로 형성된 필름(film) 상에 금(Au)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s is formed by transferring a plurality of channels pattern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onto a substrate, and the multiple channels are formed by depositing gold (Au) on a film formed of a polyimide solution, ) Thin film.
예를 들면, 다중채널은 접착층(Adhesion layer) 상에 형성된 티타늄(Ti) 상에 금(Au)이 올려져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multiple channels can be formed by depositing gold (Au) on titanium (Ti) formed on an adhesive layer.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 감지 센서부(110)는 기판에 형성된 IC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ignal detecting
IC 회로는 집적화 기술을 구사함으로써, 신호의 필터, 증폭, 디지털화 및 처리 기능을 처리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IC 회로는 기판 내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집적화 및 다기능화 IC센서(integrated circuit sensor)일 수 있다. The IC circuit can process the filtering, amplifying, digitizing and processing functions of the signal by using the integr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C circuit is an integrated and multi-functional integrated circuit sensor that processes signals in the substrate. Lt; / RTI >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Terephthalate Film, PET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The substrate may be a flexible substrate of at least one of a polyimide film and a poly-ethylene-terephthalate film (PET film).
실시예에 따라서, 기판은 페이퍼, 폴리머, 직물(woven fabric) 및 절연된 금속 포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plycarbonat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htersulf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f at least one of paper, polymer, woven fabric and insulated metal foil,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polyacylate, polyetherimid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100)의 신호 감지 센서부(110)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이 배치된 위치에서의 식물체 표면의 여러 지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 처리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ignal
예를 들면, 신호 감지 센서부(110)는 패치 형태로 구현되어 식물체 표면의 접촉면에 대한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감지 센서부(110)는 식물체 표면에 밀착 접촉되기 위하여 패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신호 감지 센서부(110)의 형상은 식물체 표면의 면적 또는 식물체의 특성에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식물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신호 감지 센서부(110)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식물체 표면의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한 복수의 지점에서의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gnal
데이터 처리부(120)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한다.The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신호 감지 센서부(110)로부터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로부터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정전용량의 차이로부터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일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특정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로부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예를 들면, 식물체 표면이 넓은 면적을 가지거나 또는 식물체 표면의 특성 상 그 일부에서 수분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lant surface has a large area or a large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occurs in a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surface, the
이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는 서로 다른 신호에 따른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의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기준으로 특정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추출하여 제외함으로써, 식물체 표면에서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에 따른 식물체의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가장 높은 수분량 또는 가장 낮은 수분량을 나타내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 차이로부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기준으로 감지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의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 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차이를 가지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평균 면 정전용량 값과 가장 큰 차이를 가지는 정전용량 값은 감지된 신호들 중 가장 높은 수분량 또는 가장 낮은 수분량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해당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 다른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의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 값을 상호 비교할 수 있으며, 가장 큰 차이 값을 나타내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급격한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은 식물체 표면의 상태 변화, 날씨 변화 및 계절 변화에 따라 수시로 미세한 수분 변화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수분량(습도) 변화에 해당하는 기준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permittivity change sensors can detect minute moisture changes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surface of a plant, a weather change, and a seasonal change, so that a criterion corresponding to a sudden change in moisture (humidity) can be preset.
즉,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은 식물체 표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 변동 이외의 외부 상황에 따른 수분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기설정된 짧은 시간 내의 급격한 정전용량 차이 값을 나타내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s can detect a change in moisture amount according to an external situation other than a signal change due to a change i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urface of the plant, the
통신부(130)는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30)는 무선 전송 집적 회로(Wireless data transport device) 또는 무선 전송 장치일 수 있다. The
또한, 통신부(130)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100)와 외부 단말기(미도시) 사이에 정보가 교환될 수 있도록 임의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부(130)는 서로 다른 전송대역폭으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coverage)에 따라 지그비, 블루투스, 지웨이브, Wi-Fi, Wi-Max, IEEE 802.11 및 공유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SW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전원공급부(140)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100)에 포함된 신호 감지 센서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및 통신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140)는 초소형 충/방전 배터리 또는 초소형 수퍼커패시터(super-capacitor)를 사용하는 액티브(Active)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실시예에 따라서, 전원공급부(140)는 코인 전지와 같은 1차 전지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일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40)가 2차 전지일 경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코인 전지와 같은 1차 전지일 경우 교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240)는 식물체 표면(2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자(220)를 포함하며, 소자(220)는 투명하고, 유연하며 절연성을 지닌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필름으로 형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절연성을 지닌 고분자 중합체(polymer)로도 사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또한, 전극(210)은 소자(220) 하단에 투명한 산화인듐(ITO(In2O3), 211)으로 구성되며, 식물체 표면(20)과 접촉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극(210)은 이그조 패널(Indium Gallium Zinc Oxide panel, IGZO)을 포함한 투명 비결정 산화물 반도체로도 사용이 가능하다.The
실시예에 따라서, 전극(210)은 공기 중에 안정적인 금속인 금(Au), 백금(Pt), 티타늄(Ti), 크롬(Cr)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소자(220) 상단에는 무선 전송 집적 회로(또는 통신부, 230)를 접속시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식물체 표면에서의 수분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식물체 표면에 대한 수분량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분의 공급 여부, 필요 수분량 및 수분의 필요성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Further, a wireless transmission integrated circuit (or a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다른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300)는 식물체의 잎 뒷면(310)에 조성된 기공(311)의 상태 및 위치에 기초하여 기판(320) 상에 막대 형의 무선 전송 장치(또는 통신부, 330)를 형성할 수 있다.3,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300)는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식물체 근처에 막대 형의 무선 전송 장치(330)를 포함하고,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담쟁이, 포도나무 등의 덩굴 식물의 경우 식물 줄기가 지지할 지지대가 필요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300)는 막대 형의 무선 전송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240, 300)는 식물 잎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식물이 가뭄 스트레스에 의해 반응하는 특정한 형태의 유전율 변화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경향성을 분석하여 해당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2 and 3, the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240, 300)는 식물체의 특성 및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투명하여 유연한 소자를 사용하므로,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지 않고,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을 포함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ermittivity variation sensor including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sensor attached to a surface of a plant to sense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a dielectric constant of the plant.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 is formed to include multiple channels formed in an electrode pattern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of the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the plant.
도 4를 참조하면,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다중채널(401)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 is formed of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패터닝된 다중채널(401)을 기판에 전사시켜 형성되며, 다중채널(401)은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solution)으로 형성된 필름(film) 상에 금(Au)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is formed by transferring
도 4a를 참조하면, 다중채널(401)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구불구불한 형태인 미엔더(meander) 패턴의 전극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실시예에 따라서, 다중채널은 나선형, 직사각형 형태의 루프를 갖는 미엔더 패턴, 한 쌍의 서로 맞물린 미엔더 패턴, 내부의 나선이 외부의 나선 내에 형성된 한 쌍의 독립된 동신원 형태의 패턴, 한 쌍의 서로 맞물린 원형 패턴, 큰 루프 내에 형성된 작은 직사각형 루프를 갖는 미엔더 패턴, 큰 루프 내에 형성된 작은 원형 또는 타 원형의 루프를 갖는 미엔더 패턴 및 공통 중심축을 갖는 일렬의 나선 형태의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형태의 패턴들이 직렬 또는 병렬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패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lti-channel may be a meander pattern with a helical, rectangular loop, a pair of intermeshed meander patterns, a pair of separate discrete, sinusoidal patterns formed in the outer helix, , A meander pattern with a small rectangular loop formed in a large loop, a meander pattern with a small circular or oval loop formed in a large loop, and a line of spiral patterns with a common central axis And the patterns of the above-described typ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series or parallel,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ttern form.
또한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다중채널(401)은 식물체의 특성, 식물체의 적용 면적 및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전극 패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B and 4C,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다중채널(401)로 형성되며, 식물체에 접착할 때 전극과 잎 사이 공간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공간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감싸듯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s included in the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캡톤 필름(Capton film), 폴리이미드 필름(PI film)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Capton film, a polyimide film (PI film),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ET film).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로 구성된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5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ng sensors including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500)는 기판(511) 상에 형성되어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512)을 포함하고,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512)로부터 감지된 신호로부터 식물체 표면(501)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여 전송하는 처리 모듈(510)을 포함한다.5,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512)은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하며, 부착되는 식물체 표면(501)의 면적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형태(512a, 512b, 512c)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512 include multiple channels formed in an electrode pattern for measuring the change in permittivity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the plant and are formed in
또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512)은 식물체 표면(501)에 부착 가능한 플렉서블 기판(5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512 may be formed 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500)의 처리 모듈(510)은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512)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고, 식물체 표면(501)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처리 모듈(510)은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 및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500)는 식물 잎에 부담을 주지 않을 만큼의 매우 얇고, 가볍고, 유연한 기판(511) 상에 제작된 투명한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512)를 포함할 수 있다.5,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500)는 식물 체내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유전율의 변화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로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평균적인 정전용량 값의 변화 추이를 통해 식물이 받는 가뭄 스트레스의 반응을 전기적인 신호로 산출해내어 얼만큼의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로부터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수신하여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Referring to FIG. 6,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of the plant surface from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and monitor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 및 외부 단말기(62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또는 관리자 단말기, 620a) 및 외부 서버(620b)와 데이터 또는 제어 커맨드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예를 들면,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는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620a) 또는 외부 서버(620b)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620a) 또는 외부 서버(620b)는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저장, 분석 및 처리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량과, 수분량에 따른 식물체의 가뭄 스트레스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은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620a) 또는 외부 서버(620b)의 요청 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database and provided upon request of the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62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로부터 실시간으로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 및 가뭄 스트레스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6, the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620a)는 기설정된 수분량 범위를 기준으로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로부터 수신된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 정보를 비교하여 수치, 값, 퍼센트, 영상, 그림, 그래프, 메시지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고메시지, 알람, 음성, 불빛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620a)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커맨드(command)에 기초하여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620a)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로부터 수신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에 따른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의 동작(On/Off), 신호 감지 주기 변경, 평균 면 정전용량 값 산출 주기 변경, 및 통신 주기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620a)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단말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또한, 사용자 단말기(620a) 및 외부 서버(620b)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620)는 데이터 송수신, 제어 커맨드 생성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terminal 620 including the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서버(620b)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610) 또는 사용자 단말기(610a)로부터 수신된 식물체에 대한 수분량 정보를 종합 관리하고,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610a)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6, the
또한, 외부 서버(620b)는 식물을 관리하는 전문가 또는 관리자에게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620a)로 식물의 관리 및 예방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다만, 외부 서버(620b)는 전술한 서비스 외에 보다 다양한 식물의 수분량 및 가뭄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또 다른 외부 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도 7a 및 도 7b는 식물을 모니터링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7A and 7B show examples of monitoring plants.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push)되는 정보로부터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a user can monitor a moisture content state of a plant from information that is push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that the user has.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에 기초하여 식물 체내의 수분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monito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body based on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plant surface received from the multi-channel capacitive dielectric change sensing device over the network.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로부터 급수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7B, the user can receive a message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request from the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through the terminal having the user.
예를 들면,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긴급 급수를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a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change sensing device may request an emergency water supply to a user terminal if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plant surface is outside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실시예에 따라서, 긴급 급수 요청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으나, 알람, 진동 및 불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rgent watering request may be transmitted as a message as shown in FIG. 7B, bu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output signal of at least one of alarm, vibration, and light.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는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일컫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nd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or a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refore, the user terminal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may refer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식물을 모니터링하는 예는 사용자의 기설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A and 7B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However, since various examples can be appli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water content state of the plant in real time in real time, no.
도 8a 및 도 8b는 시간에 따른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분석하여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S. 8A and 8B illustrate an example of determining a drought stress of a plant by analyz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with time.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는 식물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지 않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FIG. 8A shows a result of analysis of drought stress of a plant using a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is not monitored, and FIG. 8B shows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drought stress of plants by using
도 8a를 참조하면, 급수는 1일(day), 5일 및 8일에 이루어졌으며, 급수에 의해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Capacitance)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급수를 하지 않은 2일 내지 5일 급수 전, 및 6일 내지 8일 급수 전에는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the water supply was performed on
식물이 받는 가뭄 스트레스는 계절, 날씨, 시간(hour) 및 외부 요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다만, 도 8a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이러한 외부 요인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하지 못하므로 식물이 받는 가뭄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Drought stresses received by plants can be affected by season, weather, hours and external factors. However, the conventional art as shown in FIG. 8A can not cope with such external factors in real time, so that the drought stress of plants is high.
도 8b을 참조하면, 급수는 1일, 5일 및 8일에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급수 이후에도 실시간으로 식물체 표면의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체크하여 수분량을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식물 가뭄 스트레스 시기를 판단하여 가뭄 스트레스가 발생하기 전에 급수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the water supply was performed on
도 8a 및 도 8b를 비교한 결과, 도 8a는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평균 면 정전용량의 최소값이 2(pF) 이하를 나타내나, 도 8b는 최소값이 3(pF)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식물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가뭄 스트레스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급수를 요청함으로써, 식물의 가뭄 스트레스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8A and 8B show that FIG. 8A shows that the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lant is 2 (pF) or less, while FIG. 8B shows the minimum value of 3 (pF). That is, th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in real time and requests the user or the manager to supply the water before the drought stress occurs, so that the drought stress of the plant is remarkably reduced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식물체 표면의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의 분석하여 식물의 수분량 및 가뭄 스트레스 정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급수가 필요한 지점에서 사용자(또는 관리자)에게 급수를 요청하여 효율적으로 농업용수를 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of the plant surface in real time to monitor the moisture amount of the plant and the degree of the drought stress so that the user (or manager) So that the agricultural water can be efficiently managed.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chang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로부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in
단계 920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고, 단계 930에서 획득된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한다.From the signal sensed at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930은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가장 높은 수분량 또는 가장 낮은 수분량을 나타내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tep 930 may be performed by measuring the remaining dielectric constant change from the remaining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except for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which indicates the highest moisture amount or the lowest water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based on the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multiple channels And calculating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in capacitance.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930은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급격한 수분량 변화를 감지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tep 930 may be a step of calculat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by excluding a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sudden change in moisture amount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단계 940에서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한다.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calculated in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20, 501: 식물체 표면
210: 전극
211: 산화인듐(ITO)
220: 소자
230: 무선 전송 직접 회로(또는 통신부)
240, 300, 500, 610: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310: 잎 뒷면
311: 기공
320, 511: 기판
330: 무선 전송 장치(또는 통신부)
401: 다중채널
510: 처리 모듈
512: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620: 외부 단말기20, 501: Plant surface
210: electrode
211: indium oxide (ITO)
220: Element
230: radio transmission integrated circuit (or communication section)
240, 300, 500, 610: Multi-channel capacitiv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310: Leaf back
311: Groundwork
320, 511: substrate
330: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or communication unit)
401: Multiple channels
510: Processing module
512: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620: External terminal
Claims (11)
상기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attached to a surface of a plant, wherein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 includes multiple channels formed in an electrode pattern for measuring a change in permittivity according to a water content of a plant, A signal detection sensor unit for sens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A data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n electrostatic capacity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sensors for detecting the permittivity change from the sensed signal and calculat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surface of the plan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Channel capacitive change sensing device.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패터닝된 상기 다중채널을 상기 기판에 전사시켜 형성되며,
상기 다중채널은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solution)으로 형성된 필름(film) 상에 금(Au) 박막으로 형성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permittivity change sensors
And transferring the multi-channel pattern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the substrate,
The multi-
A multi-channel capacitiv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formed of a gold (Au) thin film on a film formed of a polyimide solution.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각각은
미엔더(meander) 패턴의 상기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상기 다중채널을 포함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permittivity change sensors
Wherein the multi-channel capacitance typ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includes the multi-channel formed by the electrode pattern of a meander pattern.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가장 높은 수분량 또는 가장 낮은 수분량을 나타내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 차이로부터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processing unit
A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ng sensor that indicates a highest moisture amount or a lowest water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ng sensors based on the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ng sensors, And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capacitance difference measured from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중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급격한 수분량 변화를 감지하는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를 제외하여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processing unit
Wherein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is calculated by excluding a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 that detects a sudden change in moisture amount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s.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Terephthalate Film, PET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Wherein the flexible substrate is a flexible substrate of at least one of a polyimide film and a poly-ethylene-terephthalate film (PET film).
기설정된 수분량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에 따른 상기 식물체의 수분 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외부 단말기
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s attached to a surface of a plant, wherein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 includes multiple channels formed in an electrode pattern for measuring a change in permittivity according to a water content of the plant,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change sensor, and obtaining a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detection sensors to calculate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plant surface; And
An external terminal for monitoring a water content state of the plant according to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based on a predetermined moisture content rang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상기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상기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로부터 상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A signal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ermittivity of the plant from the plurality of permittivity change sensor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ant;
A data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in accordance with each of the sensors for detecting the permittivity change from the sensed signal and calculating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surface of the plan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IC 회로와 연결되어 패치형 구조로 형성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device
And is connected to an IC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to form a patch-like structure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상기 외부 단말기는
사용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rnal terminal
A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controll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to which usage rights are granted.
상기 식물체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들 ― 여기서,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는 식물체의 수분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다중채널을 포함함 ― 로부터 상기 식물체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전율 변화 감지 센서 각각에 따른 상기 다중채널 사이의 정전용량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전용량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체 표면에 대한 상기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평균 면 정전용량 값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채널 정전용량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channel capacitiv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ing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of a plant surface,
A plurality of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ant, wherein the dielectric constant change sensor includes multiple channels formed in an electrode pattern for measuring a change in permittivity according to a water content of a plant,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Acquiring a capaci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each of the sensors for detecting the permittivity change from the sensed signal;
Calculating the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for the plant surface based on the obtained capacitance difference;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verage surface capacitance valu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006A KR20180038206A (en) | 2016-10-06 | 2016-10-06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006A KR20180038206A (en) | 2016-10-06 | 2016-10-06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5935A Division KR20180109806A (en) | 2018-09-28 | 2018-09-28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8206A true KR20180038206A (en) | 2018-04-16 |
Family
ID=6208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006A Ceased KR20180038206A (en) | 2016-10-06 | 2016-10-06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38206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5675A (en) | 2018-08-31 | 2020-03-1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ealth status of plants with measuring inductance |
KR20210085119A (en) | 2019-12-30 | 2021-07-08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Analyzing the State of Plants and Potted Soil |
KR102357238B1 (en) * | 2021-10-22 | 2022-02-08 |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 Probe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
WO2022039007A1 (en) * | 2020-08-18 | 2022-02-24 | 国立大学法人香川大学 | Plant water content sensor and plant water content measurement method |
US12023139B1 (en) | 2008-07-03 | 2024-07-02 | Masimo Corporation | User-worn device for noninvasively measu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of a user |
US12114974B2 (en) | 2020-01-13 | 2024-10-15 | Masimo Corporation | Wearable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
-
2016
- 2016-10-06 KR KR1020160129006A patent/KR2018003820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23139B1 (en) | 2008-07-03 | 2024-07-02 | Masimo Corporation | User-worn device for noninvasively measu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of a user |
US12036009B1 (en) | 2008-07-03 | 2024-07-16 | Masimo Corporation | User-worn device for noninvasively measu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of a user |
KR20200025675A (en) | 2018-08-31 | 2020-03-1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ealth status of plants with measuring inductance |
KR20210085119A (en) | 2019-12-30 | 2021-07-08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Analyzing the State of Plants and Potted Soil |
US12114974B2 (en) | 2020-01-13 | 2024-10-15 | Masimo Corporation | Wearable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
WO2022039007A1 (en) * | 2020-08-18 | 2022-02-24 | 国立大学法人香川大学 | Plant water content sensor and plant water content measurement method |
KR102357238B1 (en) * | 2021-10-22 | 2022-02-08 |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 Probe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38206A (en)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
US9317795B2 (en) | Array of RFID tags with sensing capability | |
US10502676B2 (en) | Disposable witness corrosion sensor | |
US7126471B2 (en) | Two dimension RF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CA2834547C (en) | Autonomous wireless antenna sensor system | |
US20110320142A1 (en) | Temperature independent pressure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thereof | |
US20150070188A1 (en) |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10952050B2 (en) | Intelligent multi-channel wireless data acquisition gateway | |
WO2019238198A1 (en) | Accessory device of a wound dress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communicating operating state | |
WO2017021006A1 (en) | Body parameter monitoring device | |
KR20190133615A (en) | Multipolymer sensor array utilizing nfc | |
CN109690256A (en) | object sensing | |
US20150065920A1 (en) | Foot orthotic service system | |
CN209764001U (en) | passive wireless RFID displacement sensor adopting circular patch antenna | |
KR20180109806A (en) | Plant drought monitoring system include multi-channel capacitive permittiv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1831066B1 (en) | Temperature monitoring box using sensing array and method thereof | |
CN107357250A (en) | Rainfall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Geological Disaster Warning System | |
CN113138201B (en) | Metamaterial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assive environment state detection | |
Sutar | Low cost wireless weather monitoring system | |
CN102750572B (en) | RFID label tag, rfid system and the humidity detection method of a kind of band wet sensitive device | |
US20210226640A1 (en) | Local oscillator frequency-based proximity sensor | |
CN204374030U (en) | Oil quality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 |
EP2793018A1 (en) | Thermal conductivity based gas sensor | |
CN102737268B (en) | The rfid system of a kind of measuring moisture and the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thereof | |
US11940297B2 (en) | Very low power contaminant detection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8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0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