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6235A -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235A
KR20180036235A KR1020160126571A KR20160126571A KR20180036235A KR 20180036235 A KR20180036235 A KR 20180036235A KR 1020160126571 A KR1020160126571 A KR 1020160126571A KR 20160126571 A KR20160126571 A KR 20160126571A KR 20180036235 A KR20180036235 A KR 2018003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pace
switch
bathroom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정다훈
이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2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235A/ko
Publication of KR2018003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3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활공간, 욕실공간, 주방공간, 그리고 발코니공간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장치는, 상기 생활공간에 배치된 제1 흡기구를 가지는 생활배관; 상기 욕실공간에 배치된 제2 흡기구를 가지는 욕실배관; 상기 주방공간에 배치된 제3 흡기구를 가지는 주방배관; 그리고 상기 생활배관 ?? 상기 욕실배관, 그리고 상기 주방배관에 연결되어 실외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주방배관과 연결되는 제3 유입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1 배출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1 배출구를 가지는 제1 배기팬;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2 배출포트;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2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배기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TOTAL EXHAUST APPARATUS AND TOTAL EXHAUST UNIT, TOTAL EXHAUST METHOD}
본 발명은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공간과 욕실공간, 그리고 주방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편과 소음 등의 문제로 점차 인간의 주거공간은 기밀화 및 단열화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로 변함과 동시에 오염되어 생명체의 호흡을 저해하게 한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은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하며, 주택법 제55조는 공동주택의 환기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관련규정에 따르면,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시간당 0.5회 이상 환기될 수 있도록 자연환기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0564445호 2006.03.29.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통해 배기설비의 점유면적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 또는 환기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활공간, 욕실공간, 주방공간, 그리고 발코니공간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장치는, 상기 생활공간에 배치된 제1 흡기구를 가지는 생활배관; 상기 욕실공간에 배치된 제2 흡기구를 가지는 욕실배관; 상기 주방공간에 배치된 제3 흡기구를 가지는 주방배관; 그리고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 그리고 상기 주방배관에 연결되어 실외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배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3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주방배관과 연결되는 제3 유입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1 배출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1 배출구를 가지는 제1 배기팬;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2 배출포트; 그리고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2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배기팬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밸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배기팬과 상기 제1 및 제2 밸브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그리고 상기 생활공간 및 상기 욕실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욕실공간 배기모드;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생활공간 배기모드;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해제상태로 유지하는 해제모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욕실공간은 제1 및 제2 욕실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욕실공간에 각각 설치된 제2-1 스위치 및 제2-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 이상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욕실공간 배기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가 모두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에 비해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밸브유닛은, 원판 형상의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축;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2 배출포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출포트를 개폐가능한 배출밸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유닛은, 상기 제2 배출포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출포트를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배출판; 그리고 상기 배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페쇄상태로 전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유닛은, 상기 제2 배출포트의 중앙에 배치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여 상기 제2 배출포트를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하며, 반원 형상인 한 쌍의 배출판; 그리고 상기 배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페쇄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기팬은 원심팬(centrifugal fan)일 수 있다.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의 반대면인 내벽면을 덮는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3 유입구 및 상기 제3 유입포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주방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코니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합 배기 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배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3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3 유입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1 배출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1 배출구를 가지는 제1 배기팬;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2 배출포트; 그리고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2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활공간, 욕실공간, 주방공간, 그리고 발코니공간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방법은,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생활공간에 배치된 제1 흡기구를 가지는 생활배관과, 상기 욕실공간에 배치된 제2 흡기구를 가지는 욕실배관을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연결하고, 상기 주방공간에 배치된 제3 흡기구를 가지는 주방배관을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연결하며,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된 제1 배기팬을 작동하여 상기 제1 배기공간을 통해 상기 생활공간 및 상기 욕실공간 중 어느 하나를 배기하고,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된 제2 배기팬을 작동하여 상기 제2 배기공간을 통해 상기 주방공간을 배기한다.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에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밸브유닛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제2 유입포트가 개방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유입포트를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제2-1 스위치 및 제2-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가 모두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에 비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합 배기 유닛을 통해 생활공간 및 욕실공간, 그리고 주방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할 수 있다. 특히, 생활공간과 욕실공간을 위한 제1 배기공간을 공유함과 동시에 주방공간을 위한 제2 배기공간을 제1 배기공간과 격리함으로써, 배기설비의 점유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공간의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가 생활공간 등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생활공간은 욕실공간에 비해 긴 시간 동안 환기를 요구하는 점을 감안하여, 욕실공간의 배기시 생활공간의 환기를 중단함으로써, 욕실공간의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가 생활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활공간/욕실공간/주방공간에 비해 접근빈도가 낮은 발코니공간에 배기팬을 설치함으로써 배기팬의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통합 배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밸브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메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출밸브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제1 및 제2 배기팬, 제1 내지 제3 스위치가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욕실공간을 배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생활공간을 배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주방공간을 배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공동주택의 외벽면에 설치된 공조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은 생활공간과, 욕실공간, 그리고 주방공간 및 발코니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생활공간은 일상적인 생활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공간이며, 침실과 거실, 서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욕실공간은 세면이나 목욕 등을 통해 많은 양의 습기가 발생하고 좌변기 등이 설치되어 용변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공간이며, 욕실이나 화장실, 세면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주방공간은 요리나 음식 등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공간이다. 발코니공간은 접근이 빈번하지 않거나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 소음 등에서 다소 자유로운 공간이며, 일반적으로 세탁실이나 다용도실, 베란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종래의 환기방식은 전열교환기를 통해 외부공기를 생활공간에 공급하고 생활공간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였으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서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는 열교환하여 외부공기는 데워진 상태로 생활공간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욕실의 경우, 해당 공간의 천정덕트에 배기팬을 설치하고, 배기팬의 작동시 천정덕트를 통해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 등을 외부로 배출하였으며, 배출된 오염공기 등은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각 층의 천정덕트를 연결하는 통합 배기 공간을 통해 공동주택의 옥상까지 이동한 후 건물 밖으로 배출되었다. 또한, 주방의 경우, 렌지후드를 통해 오염된 공기나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였으며, 배출된 오염공기 등은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각 층의 렌지후드를 연결하는 통합 배기 공간을 통해 공동주택의 옥상까지 이동한 후 건물 밖으로 배출되었다. 무동력 팬은 통합 배기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등의 배출을 돕는다. 즉, 공동주택은 욕실을 위한 통합 배기 공간과 주방을 위한 통합 배기 공간을 별도로 갖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환기방식은,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배기팬이나 렌지후드의 팬의 소음에 직접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통합 배기 공간을 통해 오염공기 등이 배출되므로, 배기팬이나 렌지후드의 팬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통합 배기 공간을 통해 아래층의 오염공기 또는 위층의 오염공기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이 2개 이상의 통합 배기 공간을 갖고 있어야 하므로, 공간 상의 손실이 발생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닛(50)을 통한 개별 배기가 이루어지며, 배기에 따른 자연환기방식을 채택한다. 따라서, 오염공기 등이 통합 배기 공간 등을 통해 위층 또는 아래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 배기 공간을 생략하여 공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생활공간 및 욕실공간, 그리고 주방공간에 대한 배기가 배기유닛(50)으로 집중되어, 배기구(후술하는 배출배관(64,62)의 배기구)가 공동주택의 외벽면에 설치되므로써 미려한 외관을 디자인할 수 있다. 도 11은 공동주택의 외벽면에 설치된 공조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패널(P)은 하부에 에어컨 실외기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가 방출되는 루버(R)가 설치되며, 상부에 복수의 포트들(P1,P2,P3)이 설치된다. 배출배관(64,62)의 배기구는 포트들(P1,P3)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보일러의 연도(B)가 포트(P2)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배출배관(64,62) 및 연도(B), 그리고 루버(R)가 하나의 공조패널(P)을 통해 집중되어 마치 눈/코/입을 가진 동물의 형상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팬(66,68)을 포함하는 배기유닛(50)이 접근빈도가 낮고 머무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발코니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주방이나 욕실에 있을 때 소음에 노출될 우려가 전혀 없다.
생활배관은 주배관(16) 및 보조배관(17), 그리고 흡기배관(14a,14b,14c,14d)을 구비한다. 주배관(16)은 후술하는 제1 유입포트(51)에 연결되며, 보조배관(17)은 주배관(16)으로부터 분기된다. 흡기배관(14a,14b,14c,14d)은 보조배관(17)으로부터 분기되며, 흡기구(12a,12b,12c,12d)를 각각 가진다. 흡기구(12a,12b,12c,12d)는 침실이나 거실에 위치하며, 오염공기 등은 흡기구(12a,12b,12c,12d)를 통해 흡입된다.
욕실배관은 주배관(26) 및 보조배관(27), 그리고 흡기배관(24a,24b)을 구비한다. 주배관(26)은 후술하는 제2 유입포트(52)에 연결되며, 보조배관(27)은 주배관(26)으로부터 분기된다. 흡기배관(24a,24b)은 보조배관(27)으로부터 분기되며, 흡기구(22a,22b)를 각각 가진다. 흡기구(22a,22b)는 욕실에 위치하며, 오염공기 등은 흡기구(22a,22b)를 통해 흡입된다.
주방배관은 주배관(36) 및 그리고 흡기배관(32)을 구비한다. 주배관(36)은 후술하는 제3 유입포트(53)에 연결되며, 흡기배관(32)은 주배관(36)에 연결된 상태로 렌지후드에 연결된다. 렌지후드는 주방에 설치되며, 오염공기 등은 렌지후드 및 흡기배관(32)을 통해 흡입된다.
한편, 제1 및 제2 배출배관(64,62)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 배출포트(58,56)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및 제2 배출포트(58,56)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한다. 제1 및 제2 배출배관(64,62)은 공동주택의 외벽(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공조패널(P)) 등에 고정되어 오염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실내의 오염공기 등이 외부로 배출될 경우, 실내외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창문이나 도어 등의 틈으로 유입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통합 배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통합 배기 유닛(50)은 직사각형의 하우징(50a)을 구비하며, 격벽(67a)이 하우징(50a)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배기공간(67,69)으로 구획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배기공간(67,69) 내의 공기는 서로 혼합될 수 없다. 제1 배기공간(67)은 생활공간 및 욕실공간의 배기를 위한 공간이며, 제2 배기공간(69)은 주방공간의 배기를 위한 공간이다. 결론적으로, 제2 배기공간(69) 내부에 있는 주방의 오염된 공기나 악취 등이 제1 배기공간(67)을 통해 침실이나 거실 또는 욕실로 역류할 우려가 전혀 없다.
하우징(50a)은 제1 내지 제3 유입구(51a,52a,53a)와 제1 및 제2 유출구(58a,56a)를 가진다. 제1 및 제2 유입구(51a,52a)와 제1 유출구(58a)는 제1 배기공간(67)과 연통되며, 제3 유입구(53a) 및 제2 유출구(56a)는 제2 배기공간(69)과 연통된다. 제1 내지 제3 유입포트(51,52,53)는 제1 내지 제3 유입구(51a,52a,53a)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배기공간 또는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며, 제1 및 제2 배출포트(58,56)는 제1 및 제2 유출구(58a,56a)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배기공간 또는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된다.
제1 및 제2 밸브유닛은 제1 및 제2 유입포트(51,52)에 각각 설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밸브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밸브유닛은 제2 밸브유닛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밸브유닛은 차단판(72)과 회전축(72a)을 각각 구비하며, 차단판(72)은 원판 형상으로 회전축(72a)에 고정되어 회전축(72a)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구동모터(75)는 회전축(72a)에 연결되어 회전축(72a)을 회전시키며, 차단판(72)은 구동모터(75)에 의해 회전하여 유입포트(52)를 개폐할 수 있다. 도 4에서, 좌측은 유입포트(52)가 폐쇄된 상태이며, 우측은 유입포트(52)가 개방된 상태이다.
제3 유입포트(52)는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 후술하는 배출밸브유닛이 제2 배출포트(56)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 등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메쉬(52b)는 제3 유입구(53a)에 설치되어 오염물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주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 등은 오염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염물이 제2 배기팬(68)으로 유입되어 제2 배기팬(68)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메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메쉬(52b) 및 제3 유입구(53a)의 형상은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출밸브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출밸브유닛은 지지축(65a)과 배출판(65)을 구비하며, 배출판(65)은 한 쌍의 반원 형상으로 지지축(65a)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배출판(65)은 제2 배출포트(56)에 설치되며, 지지축(65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배출포트(56)를 개폐할 수 있다. 도 6에서, 좌측은 배출포트(56)가 폐쇄된 상태이며, 우측은 배출판(65)이 'V'자로 배치되어 배출포트(56)가 개방된 상태이다.
한편, 탄성체(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가 지지축(65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판(65)은 제2 배기팬(68)의 작동시 하우징(50a)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배출포트(56)를 개방하며, 탄성체가 변형에 의해 탄성력을 축적한다. 이후, 제2 배기팬(68)이 정지할 경우, 탄성체는 배출판(65)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배출포트(56)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배기팬(66,68)은 원심팬(centrifugal fan)일 수 있으며, 배기팬(66,68)을 통해 제1 및 제2 배기공간(67,69)을 배기함으로써, 생활공간 및 욕실공간, 그리고 주방공간은 배기될 수 있다.
도 7은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제1 및 제2 배기팬, 제1 내지 제3 스위치가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및 제2 구동모터(73,75)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회전축(74a,72a)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유입포트(51,52)를 개폐한다. 제1 스위치(73a)는 침실이나 거실과 같은 생활공간에 설치되고, 제2 스위치(75a)는 욕실공간에 설치된다. 제3 스위치(68a)는 주방에 설치된다. 제어기(80)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73,75), 제1 내지 제3 스위치(73a,75a,68a), 그리고 제1 및 제2 배기팬(66,6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제어기(80)를 통한 배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욕실공간을 배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욕실공간에 설치된 제2 스위치(75a)를 작동하면, 제어기(80)는 제2 구동모터(75)를 통해 제2 유입포트(52)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1 배기팬(66)을 작동시킨다. 그 결과, 욕실공간 내의 오염공기 등은 제2 유입포트(52)를 통해 제1 배기공간(67)으로 유입된 후 제1 배출포트(58)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어기(80)는 제1 구동모터(73)를 통해 제1 유입포트(51)를 폐쇄상태로 유지하여, 욕실공간 내의 오염공기 등이 제1 유입포트(51)를 통해 생활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 스위치(75a)는 욕실1에 설치된 제2-1 스위치와 욕실2에 설치된 제2-2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75a)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욕실1 및 욕실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어기(80)는 제2-1 스위치와 제2-2 스위치 중 하나 이상 작동상태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욕실공간을 배기할 수 있다. 이때, 제2-1 스위치와 제2-2 스위치가 모두 작동상태인 경우, 제어기(80)는 제1 배기팬(66)의 회전속도를 제2-1 스위치와 제2-2 스위치 중 하나가 작동상태인 경우에 비해 크게(예를 들어, 2배 정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욕실의 배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제어기(80)는 2개의 욕실에서 모두 배기가 필요한 경우, 제1 배기팬(66)의 회전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생활공간을 배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생활공간에 설치된 제1 스위치(73a)를 작동하면, 제어기(80)는 제2 스위치(75a)가 작동상태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며, 제2 스위치(75a)가 작동상태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욕실공간의 배기를 지속한다. 제2 스위치(75a)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제1 구동모터(73)를 통해 제1 유입포트(51)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1 배기팬(66)을 작동시킨다. 그 결과, 생활공간 내의 오염공기 등은 제1 유입포트(51)를 통해 제1 배기공간(67)으로 유입된 후 제1 배출포트(58)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어기(80)는 제2 구동모터(75)를 통해 제2 유입포트(52)를 폐쇄상태로 유지하여, 욕실공간 내의 오염공기 등이 제1 유입포트(51)를 통해 생활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E)가 하우징(50a)의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욕실공간 또는 생활공간 내의 오염된 공기 등이 난방 등으로 인해 실외온도보다 상당히 높은 경우, 온도 차이로 인해 하우징(50a) 내벽면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곰팡이 등이 서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50a)의 외벽면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에 단열재(E)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배기공간(67,69)의 온도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격벽(67a)의 양측면에는 별도의 단열재를 시공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스위치(73a,75a)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제1 및 제2 구동모터(73,75)를 통해 제1 및 제2 유입포트((51,52)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며, 제1 배기팬(66)을 작동해제시킨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주방공간을 배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주방공간에 설치된 스위치(68a)를 작동하면, 제어기(80)는 제2 배기팬(68)을 작동시킨다. 그 결과, 하우징(50a)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배출판(65)이 회동하여 제2 배출포트(56)가 개방되며, 주방공간 내의 오염공기 등은 제3 유입포트(53)를 통해 제2 배기공간(69)으로 유입된 후 제2 배출포트(56)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1 및 제2 배기공간(67,69)은 서로 구획되어 공기가 혼합될 수 없으므로, 주방공간의 악취 등이 생활공간 및 욕실공간으로 전파될 우려가 없으며, 주방공간의 배기는 생활공간 및 욕실공간의 배기 여부와 상관 없이 진행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8)

  1. 생활공간, 욕실공간, 주방공간, 그리고 발코니공간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활공간에 배치된 제1 흡기구를 가지는 생활배관;
    상기 욕실공간에 배치된 제2 흡기구를 가지는 욕실배관;
    상기 주방공간에 배치된 제3 흡기구를 가지는 주방배관; 및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 그리고 상기 주방배관에 연결되어 실외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배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3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주방배관과 연결되는 제3 유입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1 배출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1 배출구를 가지는 제1 배기팬;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2 배출포트; 및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2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배기팬을 포함하는, 통합 배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는, 통합 배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배기팬과 상기 제1 및 제2 밸브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및
    상기 생활공간 및 상기 욕실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욕실공간 배기모드;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생활공간 배기모드;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해제상태로 유지하는 해제모드를 가지는, 통합 배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공간은 제1 및 제2 욕실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욕실공간에 각각 설치된 제2-1 스위치 및 제2-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 이상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욕실공간 배기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가 모두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에 비해 큰, 통합 배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밸브유닛은,
    원판 형상의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통합 배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2 배출포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출포트를 개폐가능한 배출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는, 통합 배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유닛은,
    상기 제2 배출포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출포트를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배출판; 및
    상기 배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페쇄상태로 전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통합 배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유닛은,
    상기 제2 배출포트의 중앙에 배치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여 상기 제2 배출포트를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하며, 반원 형상인 한 쌍의 배출판; 및
    상기 배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페쇄상태로 전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통합 배기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기팬은 원심팬(centrifugal fan)인, 통합 배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의 반대면인 내벽면을 덮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통합 배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3 유입구 및 상기 제3 유입포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주방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메쉬를 더 포함하는, 통합 배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코니공간에 설치되는, 통합 배기 장치.
  13.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배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3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3 유입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1 배출포트;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1 배출구를 가지는 제1 배기팬;
    상기 제2 배기공간과 연통되는 제2 배출포트; 및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배출포트를 향해 배치된 제2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배기팬을 포함하는, 통합 배기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밸브유닛;
    상기 제1 배기팬과 상기 제1 및 제2 밸브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욕실공간 배기모드;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생활공간 배기모드;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작동해제상태이면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해제상태로 유지하는 해제모드를 가지는, 통합 배기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제2-1 스위치 및 제2-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 이상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욕실공간 배기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가 모두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에 비해 큰, 통합 배기 유닛.
  16. 생활공간, 욕실공간, 주방공간, 그리고 발코니공간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을 통합적으로 배기하는 통합 배기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생활공간에 배치된 제1 흡기구를 가지는 생활배관과, 상기 욕실공간에 배치된 제2 흡기구를 가지는 욕실배관을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연결하고,
    상기 주방공간에 배치된 제3 흡기구를 가지는 주방배관을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연결하며,
    상기 제1 배기공간에 설치된 제1 배기팬을 작동하여 상기 제1 배기공간을 통해 상기 생활공간 및 상기 욕실공간 중 어느 하나를 배기하고,
    상기 제2 배기공간에 설치된 제2 배기팬을 작동하여 상기 제2 배기공간을 통해 상기 주방공간을 배기하는, 통합 배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생활배관 및 상기 욕실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입포트에 상기 제1 및 제2 유입포트를 각각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가능한 제1 및 제2 밸브유닛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제2 유입포트가 개방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유입포트를 폐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배기팬을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통합 배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제2-1 스위치 및 제2-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가 모두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2-1 스위치 및 상기 제2-2 스위치 중 하나가 작동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배기팬의 회전속도에 비해 큰, 통합 배기 방법.
KR1020160126571A 2016-09-30 2016-09-30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Ceased KR20180036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71A KR20180036235A (ko) 2016-09-30 2016-09-30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71A KR20180036235A (ko) 2016-09-30 2016-09-30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35A true KR20180036235A (ko) 2018-04-09

Family

ID=6197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571A Ceased KR20180036235A (ko) 2016-09-30 2016-09-30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2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939A (zh) * 2021-08-17 2021-11-23 上海伯涵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排风模块形成负压功能区的全屋新风系统
IT202100003848A1 (it) * 2021-02-19 2022-08-19 Rbm Ibox S R L Dispositivo di aspirazione per l'aspirazione di odori da un ambiente contenente un vaso sanitario
JP2023159766A (ja) * 2022-04-20 2023-11-01 大東建託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用・24時間換気用給気複合給気口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3848A1 (it) * 2021-02-19 2022-08-19 Rbm Ibox S R L Dispositivo di aspirazione per l'aspirazione di odori da un ambiente contenente un vaso sanitario
EP4047278A1 (en) * 2021-02-19 2022-08-24 Rbm Ibox S.R.L.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odours from a room including a water closet
CN113685939A (zh) * 2021-08-17 2021-11-23 上海伯涵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排风模块形成负压功能区的全屋新风系统
CN113685939B (zh) * 2021-08-17 2025-02-18 广州万二二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排风模块形成负压功能区的全屋新风系统
JP2023159766A (ja) * 2022-04-20 2023-11-01 大東建託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用・24時間換気用給気複合給気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606B1 (ko)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CN105570972A (zh) 通过一个风门切换风向的具有新风功能的双风机取暖器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KR20180036235A (ko)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KR2018013743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0791919B1 (ko) 환기와 냉난방 및 제습기능을 갖는 욕실용 건조장치
JP2011179807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2012102918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902635B1 (ko)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를 이용한 다층 건물 통풍시스템
KR20090058314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KR100769300B1 (ko) 주택환기시스템
JP2002162083A (ja) 換気調湿システム
JP2005241160A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JP2002005487A (ja) 換気装置
KR100627402B1 (ko)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JP201111223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2018013810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KR102157679B1 (ko) 화장실 급기 배기 온열 시스템
JP4311036B2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KR100670668B1 (ko) 공기 공급장치
JP2020186874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家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0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