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473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735A
KR20180034735A KR1020160123169A KR20160123169A KR20180034735A KR 20180034735 A KR20180034735 A KR 20180034735A KR 1020160123169 A KR1020160123169 A KR 1020160123169A KR 20160123169 A KR20160123169 A KR 20160123169A KR 20180034735 A KR20180034735 A KR 2018003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tress relieving
layer
display device
cover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295B1 (ko
Inventor
김민성
구현우
김선호
김태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2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2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comprising a transparent member, e.g. window, protective p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며 액체 또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 상기 응력 완화층을 둘러싸고 상기 표시 패널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점착층, 그리고 상기 응력 완화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덮는 투명한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는 외부 충격 및 사용 중 가해지는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변형이 용이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그 용도나 형태에 따라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스트레처블(stretchable) 표시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하여 커버 윈도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도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응력 완화층을 포함함으로써 뛰어난 내충격성을 가지면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며 액체 또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 상기 응력 완화층을 둘러싸고 상기 표시 패널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점착층, 그리고 상기 응력 완화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증류수 및 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시트는 페닐렌(phen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박막 유리(thin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응력 완화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응력 완화층 및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영률(Young's modulus)이 40GPa 내지 60GPa인 박막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력 완화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응력 완화층과 상기 점착층,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에 감겨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내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응력 완화층 사이 및 상기 응력 완화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시트형 또는 코팅형 편광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일면 중에서 상기 응력 완화층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 PES)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응력 완화층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가 롤러에 감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표시 장치의 응력 분포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표시 장치의 펜-드랍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표시 장치의 볼-드랍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개시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응력 완화층(200), 점착층(300), 그리고 커버 윈도우(4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며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예로는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발광 표시 패널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표시 패널(100)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예를 들면, 기판(11), 기판(11) 상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층(12), 표시 소자층(12) 상부에 위치하는 박막 봉지층(1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은 투명한 기판으로,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소자층(12)은 기판(11) 상에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능동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소자 영역과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발광 영역을 포함한다. 소자 영역 및 발광 영역은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중첩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표시 소자층(12) 상에는 기판(11)과 표시 소자층(12)을 덮어 보호하는 박막 봉지층(14)이 위치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4)은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소자층(12)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상에는 응력 완화층(200) 및 점착층(300)이 위치한다.
응력 완화층(200)은 표시 패널(100)의 일 면에 위치하며, 점착층(300)은 응력 완화층(200)을 둘러싸고 표시 패널(100)의 테두리에 위치한다.
이때, 응력 완화층(200)은 액체 또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한다.
액체는, 예를 들면, 증류수 및 액정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응력 완화층(200)이 증류수 및 액정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 장치(1000)의 내충격성 및 유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응력 완화층(200)이 액정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 패널(100)에서 방출되는 빛의 투과율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요성 시트는, 예를 들면, 페닐렌(phen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박막 유리(thin glass)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요성 시트를 이용하여 응력 완화층(200)을 구성하면,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간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흡수함으로써 응력 분산을 통해 표시 장치(1000)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가요성 시트의 표면에는 오일 등을 코팅하여 마찰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응력 분산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응력 완화층(200)의 두께는 대략 1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응력 완화층(200)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 간에 가해지는 응력 분산이 쉽게 이루어져 표시 장치(1000)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력 완화층(200)의 두께가 50㎛ 이하인 경우, 점착층(300)에 과도한 전단 응력(shear strain)이 가해져서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300)은 표시 패널(100)과 후술할 커버 윈도우(400)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점착층(300)의 두께는 대략 1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점착층(30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본 개시에 따른 표시 장치(1000)를 이용하여 롤러블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감았다가 푸는 과정을 반복하여도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350)은, 예를 들면, 감압 점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응력 완화층(200) 및 점착층(300)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응력 완화층(200) 및 점착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40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윈도우(400)는 영률(Young's modulus)이 40GPa 내지 60GPa인 박막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률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커버 윈도우(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매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응력 완화층(200)은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와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응력 완화층(200)은 점착층(300)으로 둘러싸인 내부 영역, 즉,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가 중첩하는 영역에 이들과 직접 접촉하여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응력 완화층(200)이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과 직접 접촉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본 개시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감았다가 푸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 상호간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 표시 패널의 일 면 전체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을 매개로 표시 패널 및 커버 윈도우를 부착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롤러블 표시 장치를 구현하면, 점착 면적이 넓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감았다가 푸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 및 커버 윈도우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커져 커버 윈도우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유연한 재료를 사용하여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방안도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외부 충격에 쉽게 표시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개시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점착층(300)의 안쪽 공간, 즉,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가 중첩하는 영역에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400)와 직접 접촉하도록 액체 또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200)을 위치시킨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롤러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감고 펼치는 경우에도 내구성이 우수한 롤러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가 롤러에 감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450)에 표시 패널(100), 응력 완화층(200), 점착층(미도시) 및 커버 윈도우(400)가 감길 수 있다.
롤러(450)는 원통 형상으로서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롤러(450)의 곡률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롤러(450)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롤러(4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롤러(450)에 감길 수 있다. 롤러(4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롤러(450)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시야각을 확보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사 방지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막은 표시 패널(100)의 내부, 표시 패널(100)과 응력 완화층(200) 사이, 응력 완화층(200)과 커버 윈도우(40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반사 방지막이 표시 패널(100)의 내부, 예를 들면, 표시 소자층과 박막 봉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는 코팅형일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막이 표시 패널(100)과 응력 완화층(200) 사이, 응력 완화층(200)과 커버 윈도우(400) 사이 중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시트형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의 일 면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5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 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100)에서 응력 완화층(200)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 필름(500)은 점착층(350)을 매개로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다. 점착층(350)은 예를 들면, 감압 점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500)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 PES)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점착층을 매개로 보호 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발광 표시 패널의 일 면에 두께 25㎛의 페닐렌 시트를 위치시키고, 페닐렌 시트를 둘러싸도록 발광 표시 패널의 테두리에 두께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페닐렌 시트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두께 50㎛의 박막 유리로 이루어진 커버 윈도우를 위치시키고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를 발광 표시 패널에 부착시켜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발광 표시 패널(10)의 일 면에 두께 25㎛의 점착층(30)을 형성한 후 두께 50㎛의 박막 유리(40)로 이루어진 커버 윈도우를 부착시켜 도 4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롤링(rolling)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를 곡률이 10mm인 롤러를 구비한 장치에 감았다 푸는 것을 1회로 하여 롤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커버 윈도우에 크랙 발생 여부
실시예 1 200,000회 롤링 후에도 크랙 발생하지 않음
비교예 1 1000회 롤링 후 크랙 발생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는 200,000회 롤링 후에도 커버 윈도우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는 1000회 롤링 후에 크랙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의 롤링 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스트레인 분포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를 곡률이 15mm인 롤러에 2회 권취한 후 표시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표시 패널이 받는 스트레인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 어느 위치에서 측정하여도 스트레인(strain) 값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표시 장치를 롤러에 감아도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분산되므로 유연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의 중앙 영역의 스트레인 값이 가장자리 영역 보다 현저하게 높아 표시 장치를 롤러에 감는 경우 내부에 말린 표시 패널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실시예 1에 비해 유연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볼- 드랍 (ball-drop)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부에 충격력 측정 센서를 위치시킨 후 무게 5.5g인 볼(ball)을 낙하시켰다. 높이를 달리하여 최대 충격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펜- 드랍 (pen-drop)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부에 충격력 측정 센서를 위치시킨 후 무게 5.8g인 펜(pen)을 낙하시켰다. 높이를 달리하여 최대 충격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페닐렌 시트로 구성된 응력 완화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가 점착층을 이용하여 부착된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할 때 측정된 최대 충격력이 낮은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응력 완화층에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즉, 응력 완화층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응력 완화층
300: 점착층
400: 커버 윈도우
500: 보호 필름

Claims (13)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며 액체 또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는 응력 완화층;
    상기 응력 완화층을 둘러싸고 상기 표시 패널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점착층; 그리고
    상기 응력 완화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증류수 및 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는 페닐렌(phen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박막 유리(thin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범위인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범위인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층 및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동일한 것인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영률(Young's modulus)이 40GPa 내지 60GPa인 박막 유리로 구성된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인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응력 완화층, 상기 점착층,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에 감겨 있는 것인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내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응력 완화층 사이 및 상기 응력 완화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반사 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시트형 또는 코팅형 반사 방지막인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일면 중에서 상기 응력 완화층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 PES)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것인 표시 장치.
KR1020160123169A 2016-09-26 2016-09-26 표시 장치 Active KR10260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69A KR102603295B1 (ko) 2016-09-26 2016-09-26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69A KR102603295B1 (ko) 2016-09-26 2016-09-2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35A true KR20180034735A (ko) 2018-04-05
KR102603295B1 KR102603295B1 (ko) 2023-11-16

Family

ID=6197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169A Active KR102603295B1 (ko) 2016-09-26 2016-09-2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2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8748A1 (zh) * 2019-02-20 2020-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892443B2 (en) 2018-12-12 2021-0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film glass layer
US11700741B2 (en) 2019-08-16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546A (ko) * 2012-08-28 2014-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21000A (ko) * 2013-08-19 2015-02-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20150049303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81931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546A (ko) * 2012-08-28 2014-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21000A (ko) * 2013-08-19 2015-02-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20150049303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81931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2443B2 (en) 2018-12-12 2021-0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film glass layer
US11600802B2 (en) 2018-12-12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film glass layer
US12127427B2 (en) 2018-12-12 2024-10-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film glass layer
WO2020168748A1 (zh) * 2019-02-20 2020-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599268A (zh) * 2019-02-20 2020-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888968A (zh) * 2019-02-20 202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947205B2 (en) 2019-02-20 2024-04-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cover pl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700741B2 (en) 2019-08-16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295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4568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33411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966329B2 (en) Display device
KR10254145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80002114A (ko) 표시 장치
KR102342869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1041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180011516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and rollable device
US20180034001A1 (en)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48628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10211424B2 (en)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KR20160047100A (ko)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82034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8003632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703397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20150033461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34735A (ko) 표시 장치
TWI644130B (zh) 偏光板、圖像顯示裝置及偏光板的製造方法
US20210028390A1 (en) Display apparatus
US11703738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350858B1 (ko)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2026285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moudle
US10671123B2 (en)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90179194A1 (en) Display device
US20230400887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