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769A -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 Google Patents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3769A KR20180033769A KR1020160123131A KR20160123131A KR20180033769A KR 20180033769 A KR20180033769 A KR 20180033769A KR 1020160123131 A KR1020160123131 A KR 1020160123131A KR 20160123131 A KR20160123131 A KR 20160123131A KR 20180033769 A KR20180033769 A KR 201800337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interlock
- connector
- female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38 discontinuous diafiltration by volum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암단자가 삽입된 암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삽입되어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상기 암단자에 연결 시 인터락회로에 연결되게 하는 수단자로 구성되어, 인터락이 미적용된 구조와 대비하여 동일한 사이즈로 인터락 구조 적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넥터 사이즈 소형화를 통한 체적 감소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차량 패키지 설계 시 공간적 여유를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에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양방향 통전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커넥터 내부에서 단방향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커넥터 내부 인터락 단자 접촉 구조로 대전류 및 외부 요인으로부터의 인터락 회로 보호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내부에 인터락 단자가 미적용되도록 하여 커넥터 접촉 불안정에 의한 고전압 차단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A mal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 circuit when the fema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 circuit when the fema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and reduce the weight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nnector, and thus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spatial margin in the design of the vehicle package. In addition,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bi-directionally energiz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directional energization can be performed inside the male connecto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tect the interlock circuit from a large current and external factors with the interlock terminal contact structure inside the male connector, , So that the interlock terminal is not By W to the connector contact unstable, so the effect in improving the marketability by preventing a high voltage blocking phenomen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결합 시 사이즈를 축소하고, 인터락 접촉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는 각각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각각 단자가 구비되어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Generally, the connector assembly has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joined to each other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That is, each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in a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and th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한편, 최근에 엔진 외에 모터를 구동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들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때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즉 고전압 커넥터의 경우, 특히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순간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험이 많이 발생한다.[0003] In recent years, as automobiles using a motor as a driving source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to engines, connectors used in automobiles are often used at high voltage. In the case of a connector used at a high voltage, that is, a high voltage connector, Sparking occurs at the moment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disconnected, resulting in a great risk of fi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구비된 단자의 물리적 결합의 해제 전에 통전이 끊어지도록 하고, 회로적으로 연결된 것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인터락이라고 하며 커넥터 장치에 인터락 구조가 적용된다. 이때, 인터락은 커넥터 체결 시 인터락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전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it is necessary to interrupt the energization before releasing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male connector,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onnection of the circuit connector. An interlock structure is applied to the connector device. At this time, the interlocks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connector fastening, so current can be transmitted.
한편, 인터락 구조는 전기식 인터락과 기계식 인터락이 있는데, 먼저 전기식 인터락은 커넥터 분리 시 단자의 삽입깊이의 차이를 활용해서 인터락 회로를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 structure includes an electric interlock and a mechanical interlock. First, the electric interlock constitutes an interlock circuit by utilizing the difference in the insertion depth of the terminal when the connector is detached.
그러나, 전기식 인터락은 커넥터 분리 시에 고전압 회로를 먼저 차단해야 하는데, 단자의 삽입깊이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아 순식간에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회로를 먼저 차단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될 수 없어 대부분 기계식 인터락을 사용한다. However, the electric interlock must disconnect the high voltage circuit first when disconnecting the connector. Since the difference in insertion depth of the terminal is not so large, the circuit interrupting function can not be operated properly since the interlocking is performed in an instant. use.
또한, 기계식 인터락은 커넥터 조립체에서 메인커넥터 외에 별도로 인터락 기능을 위한 보조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되면 전체 커넥터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부품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echanical interlock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nnector for interlock function in addition to the main connector in the connector assembly, which increases the size of the entire connector device and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1167호Pat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5116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결합 시 사이즈를 축소하고, 인터락 접촉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reduce the size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and to improve interlock contact safety.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암단자가 삽입된 암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삽입되어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상기 암단자에 연결 시 인터락회로에 연결되게 하는 수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omprising: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terminal inserted therein; A mal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emale connector; And a male terminal inserted through the male connector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of the female connector and connectable to the interlock circuit whe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상기 수단자는,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인터락스위치와; 상기 인터락스위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회로에 접촉 가능하게 하는 인터락단자;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ody having one end inserted through the male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A bar-shaped interlocking position inserted into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female terminal and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terlock termin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to make contact with the interlock circuit.
상기 수단자의 바디 내부에는 상기 인터락스위치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disposer so that the interlocking position is inserted therethrough.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latching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a second latch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n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상기 수단자 일단에는 감전을 방지하는 프로텍터가 구비되며, 상기 인터락스위치 일단은 상기 프로텍터를 관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prote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le terminal, and one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may pass through the protector.
상기 수단자의 타단에는 상기 인터락단자를 보호하는 인터락하우징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of the means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 housing for protecting the interlock terminal.
상기 인터락단자는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제1걸림부에 고정되게 하여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lock terminal is preferably formed at one end so as to be fixed to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to prevent the interlocking position from being released.
상기 인터락단자의 타단은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회로가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terminal may have a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terlock circuit can be inserted.
또한, 본 발명은 암단자가 삽입된 암커넥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되, 내부에는 바 형상의 인터락스위치가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일단이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눌려지게 되어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타단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락회로에 연결되게 하는 수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male connector that is connectable to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terminal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interlocking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is inserted in the male connector, and the interlocking position of the bar interlocking position is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of the female connector and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terlock circuit.
상기 수단자는,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인터락스위치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인터락스위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회로에 접촉 가능하게 하는 인터락단자와;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스위치에 위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수단자 일단에 구비되어 감전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includes a body inserted through the mal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position and movable left and 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An interlock termin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to make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circuit; A first latch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rtion, a second latch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lastom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to provide a position restoring force at the interlocking position; And a protec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le terminal to prevent electric shock.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인터락이 미적용된 구조와 대비하여 동일한 사이즈로 인터락 구조 적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넥터 사이즈 소형화를 통한 체적 감소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차량 패키지 설계 시 공간적 여유를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structure can be applied in the same size as compared with the interlock structure, thereby enabling volume reduction and weight reduction through miniaturization of the connector size. Thus, It is effective to make.
또한, 종래에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양방향 통전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커넥터 내부에서 단방향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커넥터 내부 인터락 단자 접촉 구조로 대전류 및 외부 요인으로부터의 인터락 회로 보호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내부에 인터락 단자가 미적용되도록 하여 커넥터 접촉 불안정에 의한 고전압 차단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bi-directionally energiz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directional energization is performed inside the male connector, so that the interlock terminal contact structure of the male connector can protect the interlock circuit from a large current and external factors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and preventing the high-voltage interruption due to unstable contact of the connector by preventing the interlock terminal from being used inside th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 이전 상태와 결합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 이전 상태와 결합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수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수단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에 따른 인터락단자와 인터락회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 이전 상태와 결합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 이전 상태와 결합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에서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에 따른 대전류와 인터락 온/오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a state of engagement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in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engagement of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eans fork in the interlock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male connector in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means in the interlock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n interlock terminal and an interlock circui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in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engagement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n the interlock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engagement of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ale member in the interlock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rge current and an interlocking on / off state due to coupling between a female terminal and a male terminal in an interlock structure of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10)와, 수커넥터(100)와, 수커넥터(100)에 삽입되어 인터락회로(1)에 연결되는 수단자(110)을 포함한다.1 to 4, the interlock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암커넥터(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수커넥터(100) 일단이 삽입 가능하게 하며, 중앙에는 암단자(11)가 삽입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The
수커넥터(100)은 일단이 암커넥터(10) 타단에 삽입되어 수커넥터(100)과 암커넥터(10)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커넥터 장치를 형성하도록 한다.One end of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110)은 수커넥터(100)에 관통 삽입되어 수커넥터(100) 내부에 삽입되는 수단자(110)이 암커넥터(10)의 암단자(11)에 접촉되게 하여 통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2 and 3, the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110) 일단(도면상 우측)은 암커넥터(10)의 암단자(11)에 삽입되어 암단자(11)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도면상 좌측)은 일단이 암단자(11)에 연결되는 경우 인터락회로(1)에 연결되게 한다.7 and 8, one end (right side in the figure) of the
한편, 수단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00)에 삽입되는 바디(111)와, 바디(11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터락스위치(112)와, 인터락스위치(112)에 구비되어 인터락회로(1)에 연결되게 하는 인터락단자(113)로 이루어진다.5, the
바디(111)는 구리 계열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수커넥터(100)에 관통 삽입되고, 관통된 바디(111)의 일단이 암단자(11)에 삽입되도록 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인터락스위치(112)는 플라스틱 계열의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디(1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바디(111) 외측으로 돌출된 인터락스위치(112) 일단이 수단자(110)과 암단자(11) 결합 시 암단자(11)에 접촉되도록 한다.The interlocking
인터락단자(113)는 구리 계열의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인터락스위치(112) 타단에 형성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인터락회로(1)에 접촉 가능하게 한다.The
즉, 본 발명의 수단자(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00)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바 형상의 인터락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수단자(110) 일단이 암커넥터(10)의 암단자(11)에 삽입되어 수단자(110)과 암단자(11)가 연결되면 인터락스위치(112)의 일단이 암단자(11)에 눌려지게 되어 인터락스위치(112)의 타단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락스위치(112) 타단에 구비된 인터락단자(113)가 인터락회로(1)에 연결되게 한다.That is, the
이때, 수단자(110)의 바디(111) 내부에는 인터락스위치(112)가 관통 삽입되어 좌우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가이드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penetrating guid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또한, 인터락스위치(112)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114a)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2걸림부(114b)가 각각 형성되고, 제1걸림부(114a)와 제2걸림부(114b) 사이에는 탄성체(115)가 구비되도록 하여 수단자(110)과 암단자(11)가 결합 해제 시 탄성체(115)에 대한 탄성력에 의해 인터락스위치(112)가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을 암커넥터(10)에 삽입시키면 수단자(110)과 암단자(11)가 결합되는데 이때 수단자(110) 일단에 돌출된 인터락스위치(112) 일단이 암단자(11)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인터락스위치(112)가 타단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인터락스위치(112) 타단에 구비된 인터락단자(113)가 인터락회로(1)에 결합되면서 인터락 구조가 형성되고, 수커넥터(100)을 암커넥터(10)로부터 분리시키면 수단자(110)과 암단자(11)도 분리되면서 암단자(11)에 눌려진 인터락스위치(112) 일단이 탄성체(11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인터락스위치(112) 타단의 인터락단자(113)와 인터락회로(1) 결합도 분리된다.7 and 8, when the
또한, 수단자(110) 일단에는 플라스틱 계열의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프로텍터(116)가 구비되며, 인터락스위치(112) 일단은 프로텍터(116)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수단자(110)과 암단자(11) 결합 시 감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A
또한, 수단자(110)의 타단에는 플라스틱 계열의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인터락하우징(117)이 구비되도록 하여 수단자(110)과 암단자(11) 결합 또는 결합 해제 시 인터락스위치(112) 이동에 따른 인터락단자(113) 파손을 방지하고, 인터락 단자를 보호하도록 한다.An
또한, 인터락단자(113)는 일단에 걸림돌기(113P)가 형성되어 인터락스위치(112)의 제1걸림부(114a)에 고정되게 하여 인터락스위치(1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인터락단자(113)의 타단은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인터락회로(1)가 삽입 또는 삽입 해제가 용이하게 한다.Further, the other end of the
한편, 본 발명인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의 작동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9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110)과 암단자(11)를 결합시키기 이전에는 인터락과 대전류가 모두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9A and 9B, both the interlock and the large current are kept off before the
그 후,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단자(11)에 수단자(110)이 삽입시켜 암단자(11)와 수단자(110)을 결합시키기 되면 대전류는 온 상태가 된다. 다만, 수단자(110)을 암단자(11)에 완전히 삽입시키지 않은 상태이므로 수단자(110)의 인터락스위치(112)가 암단자(11)에 눌려지지 않아 인터락스위치(112)가 이동하지 않아 인터락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9 (c), when the
여기서, 도 9의 (d)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110)을 암단자(11)에 끝까지 삽입시키면 수단자(110)의 인터락스위치(112)가 암단자(11)에 눌려지게 되어 인터락스위치(112)가 타단으로 이동하여 인터락단자(113)와 인터락회로(1)가 결합되어 인터락이 온 상태가 되고, 대전류도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9 (d) and 9 (e), when the
이 후, 도 9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110)과 암단자(11)의 결합을 일부 해제시키더라도 암단자(11)와 수단자(110)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대전류는 온 상태가 되고, 수단자(110)이 암단자(11)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수단자(110)의 인터락스위치(112)가 암단자(11)에 눌려지지 않아 인터락스위치(112)가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인터락은 오프 상태가 된다.9 (f), the
마지막으로, 도 9의 (g)와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110)과 암단자(11)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면 인터락과 대전류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S. 9 (g) and 9 (h),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암단자(11)가 삽입된 암커넥터(10)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커넥터(100)와, 수커넥터(100)에 관통 삽입되되, 내부에는 바 형상의 인터락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일단이 암커넥터(10)의 암단자(11)에 삽입되어 암단자(11)와 연결되면 인터락스위치(112)의 일단이 암단자(11)에 눌려지게 되어 인터락스위치(112)의 타단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락회로(1)에 연결되게 하는 수단자(110)로 이루어져, 인터락이 미적용된 구조와 대비하여 동일한 사이즈로 인터락 구조 적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넥터 사이즈 소형화를 통한 체적 감소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차량 패키지 설계 시 공간적 여유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또한, 종래에는 수커넥터(100)과 암커넥터(10)가 양방향 통전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커넥터(100) 내부에서 단방향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커넥터(100) 내부 인터락 단자 접촉 구조로 대전류 및 외부 요인으로부터의 인터락 회로 보호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내부에 인터락 단자가 미적용되도록 하여 커넥터 접촉 불안정에 의한 고전압 차단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lthough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인터락회로 10 : 암커넥터
11 : 암단자 100 : 수커넥터
110 : 수단자 111 : 바디
112 : 인터락스위치 113 : 인터락단자
114 : 걸림부 115 : 탄성체
116 : 프로텍터 117 : 인터락하우징1: interlock circuit 10: female connector
11: female terminal 100: male connector
110: male terminal 111: body
112: Interlock position 113: Interlock terminal
114: fastening part 115: elastic body
116: Protector 117: Interlock housing
Claims (10)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삽입되어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상기 암단자에 연결 시 인터락회로에 연결되게 하는 수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terminal inserted therein;
A mal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emale connector;
And a male terminal inserted through the male connector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of the female connector and connectable to the interlock circuit when the fema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상기 수단자는,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인터락스위치와;
상기 인터락스위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회로에 접촉 가능하게 하는 인터락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ns
A body inserted through the male connector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A bar-shaped interlocking position inserted into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female terminal and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terlocking termin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interlocking circuit.
상기 수단자의 바디 내부에는 상기 인터락스위치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spacer so that the interlocking position is inserted through the interlocking hole.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irst latching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rtion, a second latch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상기 수단자 일단에는 감전을 방지하는 프로텍터가 구비되며, 상기 인터락스위치 일단은 상기 프로텍터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rote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le terminal, and one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passes through the protector.
상기 수단자의 타단에는 상기 인터락단자를 보호하는 인터락하우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interlock housing for protecting the interlock terminal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poser.
상기 인터락단자는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제1걸림부에 고정되게 하여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lock terminal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be fix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at the interlock position to prevent the interlock position from being released.
상기 인터락단자의 타단은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회로가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terminal h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terlock circuit can be inserted.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되, 내부에는 바 형상의 인터락스위치가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일단이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눌려지게 되어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타단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락회로에 연결되게 하는 수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A male connector provided to be engageable with a female connector into which female terminals are inserted;
Wherein the interlocking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is inserted in the male connector, and the interlocking position of the bar interlocking position is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of the female connector and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terlock circuit.
상기 수단자는,
상기 수커넥터에 관통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인터락스위치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일단이 상기 암단자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인터락스위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회로에 접촉 가능하게 하는 인터락단자와;
상기 인터락스위치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락스위치에 위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수단자 일단에 구비되어 감전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The method of claim 9,
The means
A body inserted through the mal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position to enable later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An interlock termin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sition to make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circuit;
A first latch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portion, a second latch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lastom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to provide a position restoring force at the interlocking position;
And a protec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le terminal to prevent electric shoc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3131A KR102463690B1 (en) | 2016-09-26 | 2016-09-26 |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3131A KR102463690B1 (en) | 2016-09-26 | 2016-09-26 |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3769A true KR20180033769A (en) | 2018-04-04 |
KR102463690B1 KR102463690B1 (en) | 2022-11-07 |
Family
ID=6197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3131A Active KR102463690B1 (en) | 2016-09-26 | 2016-09-26 |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369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8603A (en) | 2020-06-24 | 2021-12-3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r for interlock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KR20220115181A (en) | 2021-02-10 | 2022-08-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olt Interlock Switching Type High Voltage Connector |
KR20220140099A (en) * | 2021-04-08 | 2022-10-18 | 주식회사 경신 | Interlock commo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o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1167A (en) | 2010-11-12 | 2012-05-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
KR101201561B1 (en) * | 2011-03-28 | 2012-11-14 | 주식회사 케피코 | Connector having interlock function |
KR20130033102A (en) * | 2011-09-26 | 2013-04-0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JP2013098056A (en) * | 2011-11-01 | 2013-05-20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Electric connector |
JP5791084B2 (en) * | 2010-02-11 | 2015-10-07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Interlock circuit connector assembly |
JP5839738B2 (en) * | 2010-11-03 | 2016-01-0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eries (in-line) fuse connector |
-
2016
- 2016-09-26 KR KR1020160123131A patent/KR10246369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91084B2 (en) * | 2010-02-11 | 2015-10-07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Interlock circuit connector assembly |
JP5839738B2 (en) * | 2010-11-03 | 2016-01-0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eries (in-line) fuse connector |
KR20120051167A (en) | 2010-11-12 | 2012-05-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
KR101201561B1 (en) * | 2011-03-28 | 2012-11-14 | 주식회사 케피코 | Connector having interlock function |
KR20130033102A (en) * | 2011-09-26 | 2013-04-0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JP2013098056A (en) * | 2011-11-01 | 2013-05-20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Electric connect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8603A (en) | 2020-06-24 | 2021-12-3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r for interlock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KR20220115181A (en) | 2021-02-10 | 2022-08-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olt Interlock Switching Type High Voltage Connector |
KR20220140099A (en) * | 2021-04-08 | 2022-10-18 | 주식회사 경신 | Interlock commo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3690B1 (en) | 2022-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77105B2 (en) |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JP5119113B2 (en) |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 |
CN102484332B (en) | There is the electric connector of shorting bar operation device | |
US9774125B2 (en) | Connector having a moving plate | |
KR101734670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 |
US6746258B2 (en) | Arc-resistant structure of connector | |
CN105703165B (en) | Connection system for a power supply circuit and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ereof | |
CN104205516A (en) | Safety system for high current applications | |
US10033126B2 (en) | Connector | |
US12057658B2 (en) | Electrical contact device with interlock | |
CN102468577A (en) | Embedding detecting connector | |
CN105914509A (en) | High-voltage electronic connector | |
KR20180033769A (en) | Interlock structure of connector | |
CN103688421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745130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for eco-friendly vehicles for inter-lock connector removing | |
CN107809027B (en) | Connectors with short-circuit terminals | |
TWI539686B (en) | Contacting inserter for directly contacting a circuit board | |
CN113826287B (en) | Plug-in connector part capable of being separated safely | |
US11881652B2 (en) | Electric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contacting means for controlling an auxiliary circuit | |
DE102013004709A1 (en) | plug-in device | |
US1044698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5281093A (en) | plug | |
JP5918426B2 (en) | connector | |
US10049844B2 (en) | Electrical disconnect device for a battery | |
EP4485708A1 (en) | Electrical power connector with locking cpa and method for using it in a conn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