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08A - Multipurpose sorting device for wast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sorting device for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1608A KR20180021608A KR1020160106394A KR20160106394A KR20180021608A KR 20180021608 A KR20180021608 A KR 20180021608A KR 1020160106394 A KR1020160106394 A KR 1020160106394A KR 20160106394 A KR20160106394 A KR 20160106394A KR 20180021608 A KR20180021608 A KR 201800216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foreign
- separating means
- foreign matter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4—Cleaning with be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5—Cleaning with fluid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공사장,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목재, 플라스틱류, 토사, 생활 쓰레기 등의 다양하게 섞여져 있는 산업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는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되며 끝단부에는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자석부재가 설치된 금속처리수단과 상기 금속처리수단으로부터 처리된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선단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타격날개부가 설치된 이물질 분리수단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회전축 일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내부 상단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페기물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모터부가 구비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sorting and sorting apparatus and a waste sorting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reusing industrial waste, Th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is a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wastes containing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transporting the wastes. The metal processing means having a magnet member and the wastes processed from the metal processing means are introduced into the end portions of the wast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and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ing hole, A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provided with a striking wing portion to which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a su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foreign object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with a motor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공사장,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목재, 플라스틱류, 토사, 생활 쓰레기 등의 다양하게 섞여 있는 산업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for waste multifunctional sorting apparatuses capable of reusing various mixed industrial wastes such as wood, plastics, To a sorting apparatus.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각종의 폐기물이나 농촌에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폐기물, 각종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매립하거나 태워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처리수단이었다. Landfilling or disposal of wastes generated in daily life, wastes used in agriculture in rural areas, and wastes generated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were common means of disposal.
그러나 폐기물 중 비닐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흡수되는데 적어도 1000년이라는 세월이 소요되며 또한, 생분해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비닐의 경우에도 매립 후 30년 정도가 지나야 분해되는 것으로 심각한 환경오염이 주범이 되고 있다. However, when vinyl is buried in waste, it takes at least 1000 years to be decomposed and absorbed naturally. Also, in the case of vinyl made of biodegradable plastic, it is decomposed only about 30 years after landfilling. .
더욱이, 폐기물을 태워서 처리하는 경우, 태울 때 발생하는 열원을 이용하여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폐기물을 태울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대기를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는 처리방법이다.Furthermore, when burning wast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it can be utilized in industry by using the heat source generated in the burning, but the harmful gas generated when burning the waste is a treatment method which seriously pollutes the atmospher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비닐 재생처리장치용 이물질 분리장치는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원통체(1)를 구비하고, 이 원통체(1)의 하측 개구단에 다공홀(3)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2)을 역 원추형 모양으로 결합하여 폐비닐회전공급부(10)를 통해 원통체(1) 내부로 유입된 폐비닐이 원통체(1)와 안내판(2) 내부를 선회 하강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며, 상기 안내판(2)의 하부 중앙에 부피가 큰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출구(4)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판(2)의 외곽을 감싸도록 하부케이스(5)를 원통체(1)의 하단 외주연에 결합하며, 폐비닐이 이송되는 컨베이어(7)의 끝단 직상방에 수직관(11)을 설치하고, 이 수직관(11)의 상부에 수평관(12)을 연결하되, 상기 수평관(12)의 출구측을 원통체(1)의 측면에 편심되게 결합하고, 상기수직관(11)의 직상방에 제1모터(14)의 제1축(15)에 결합된 제1팬(13)을 설치하여 제1팬(13)의 회전시 강한 흡입력에 의해 수직관(11)을 통해 폐비닐이 흡입되어 제1팬(13)을 통과한 후 원통체(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폐비닐 회전공급부(10)를 원통체(1)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원통체(1)의 중심을 관통하여 흡입관(21)을 결합하되, 이 흡입관(21)의 하부 끝단이 안내판(2)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흡입관(21)의 상부에 배출관(22)을 수평상으로 연결하며, 흡입관(21)의 상부 끝단부에 제2모터(24)의 제2축(25)에 결합된 제2팬(23)을 설치하여 제2팬(23)의 구동시 흡입관(21)으로 강한 흡입력이 인가되어 안내판(2) 내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폐비닐이 강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관(21) 내부로 흡입되어 배출관(22)을 통해 재생처리장치로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폐비닐흡입배출부(20)를 원통체(1)의 상부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 foreign matter separating apparatus for a waste plastic recycling apparatus includes a
이러한 종래의 폐비닐 재생처리장치용 이물질 분리장치는 강력한 흡입과 배출에 의해 폐비닐이 선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폐비닐을 통 안에서 선회만으로 폐비닐에 섞여진 흙과 돌 등이 분리되지 않고 배출되므로써 연료로 사용할 때 흙속에 토사와 함께 있는 중금속이 함께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가스가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고 연료가 완전연소가 되지 않아 미세먼지가 발생하여 대기로 나가는 등 중금속을 처리하는데 그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고, 폐기물 속에 존재하는 토사를 제거하고자 물을 사용할 경우 이 또한 수질오염의 온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foreign matter separating device for a waste vinyl regenerating apparatus is design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turning the waste vinyl by strong suction and discharge, but the soil and the stone mixed with the waste vinyl are separated When the fuel is used as a fuel, the heavy metal that is in the soil burns together with the soil, and the gas generated is the main cause of the air pollution. The fuel is not completely burned and the fine dust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when water is used to remove the gravel present in the waste, it also becomes a hotbed of water pollution.
또한, 폐비닐에 섞여진 돌이 내부의 통 안으로 유입되어 선회시 그에 따른 통 안 내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ne mixed with the waste vinyl flows into the inner can, which causes the inside of the can to break when turning.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에 섞여진 흙 및 돌, 콘크리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붙여진 폐기물을 가격하여 이물질을 파쇄하거나 이물질을 튕겨 외부로 배출하므로써 폐기물에 섞여있는 흙, 못 등과 같은 이물질을 완전히 분리제거된 고형연료상태로 배출하도록 하여 생산비용 및 소요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물질을 파쇄하거나 이물질을 외부로 튕겨 배출하여 이물질이 통 내부에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 내부 및 고형연료를 보호할 수 있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dispose of foreign matter such as soi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solid fue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rotating in the cylinder by crushing the foreign matter 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And a waste multi-purpose sorting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internal and solid fue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되며 끝단부에는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자석부재가 설치된 금속처리수단과 상기 금속처리수단으로부터 처리된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선단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타격날개부가 설치된 이물질 분리수단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회전축 일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내부 상단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페기물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모터부가 구비된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metal impuriti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metal processing means having a magnet member for removing wastes contain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A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 power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 separato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By inhalation is achieved by a multi-purpose waste separating device comprises a motor provided with the additional suction to the discharge outlet means.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타격날개부는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격날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홈부의 힌지공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riking wing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s formed with a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rotation axis, a hinge hole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and a hinge shaft is connected to the hinge hole of the groove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wing portion .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타격날개부는 이물질 분리수단의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힌지공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홈부가 형성되는 회전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의 홈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타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riking blade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may have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a hinge hole may be formed in the groove, a hinge shaft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hinge hole of the groove, And a strik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tation hole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of the rotation hole to be rotated.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하부배출공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림망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lower discharge hole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is formed with a catching ne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유입구와 대응되는 배출공 하부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송벨트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배출공 하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고형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벨트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nveying belt means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and a conveying belt means for conveying the solid fuel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 is removed is disposed under the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Is provided.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물이 원통체 내부로 흙 및 돌, 콘크리트 등이 섞여있는 폐기물이 이물질 분리수단의 타격날개부에 의해 타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파쇄하므로써 폐기물에 섞여있는 흙, 금속 등과 같은 이물질을 완전히 분리제거된 상태로 배출하도록 하여 생산비용 및 소요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물질을 외부로 튕겨 배출할 하거나 타격날개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선회하여 이물질을 파쇄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oil, stone, concrete, and the like are mixed, is blown into the cylindrical body by the impact wing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to discharge or crush the foreign substanc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time required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erials such as metal and the like in a completely separated and removed state, and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to the outside or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by crushing by the blowing blade, It is effective.
도 1은 종래의 폐비닐 재생처리장치용 이물질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분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도3에 대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타격날개부의 나타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타격날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 7b는 본 발명의 타격날개부와 타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separating apparatus for a conventional waste vinyl regeneration processing apparatus.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llustrate the embodiment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act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act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lan views showing the impact wing portion and the impac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1)는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페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되며 끝단부에는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자석부재(12)가 형성된 금속처리수단(10)과 상기 금속처리수단(10)으로부터 처리된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선단에 투입구(22)가 형성되고, 후단에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24,25)이 형성되고, 내부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6)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6)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타격날개부(27)가 설치된 이물질 분리수단(20)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 일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26)을 회동시키는 동력부(30)와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내부 상단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0)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배출구(23)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폐기물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모터부(52)가 구비된 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2, the waste
상기 금속처리수단(10)은 양측단에 회동하는 롤러부에 팬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 일측단에는 롤러부를 회동시키는 모터부가 설치된다. The metal processing means 10 is provided with a motor portion connected to a roller portion that rotates at both ends thereof by a fan belt, and a motor portion that rotates the roller portion at one end of the roller portion.
이와 같은 팬벨트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이물질이 함유된 폐기물을 안착시켜 이동시키면 일측끝단에 설치된 자석부재(12)에 의해 폐기물에 섞여진 금속재를 제거되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투입구(22)에 공급한다. When the waste containing foreign matter cut to a predetermined size is placed on the fan belt and moved, the metal material mixed in the waste is removed by the
상기와 같이 금속처리수단(10)으로부터 금속재가 제거된 폐기물은 상기 이물질 수단(20)의 투입 구(22)으로 공급시 상기 폐기물에 붙여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은 상기 동력부(30)에 연결되어 회동하여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 외주연 결합된 타격날개부(27)가 폐기물을 가격하여 이물질을 털어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waste material from which the metal material has been removed from the metal processing means 10 is discharged to the
이와 같은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타격날개부(2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26-2)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6-2)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격날개부(27)의 하단에는 상기 홈부(26-2)의 힌지공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27-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즉, 상기 타격날개부(27)는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이 회동에 의해 좌, 우로 회동할 수 있어 폐기물의 뭉침, 걸림현상에 의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선별장치가 정지하는 폐단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폐기물에 붙여진 이물질이 큰 경우 상기 타격날개부(27)가 회동하므로써 타격날개부(27) 및 회전축(2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A and 4B, the
또한, 상기 타격날개부(27)가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에 회동할 수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투입구(22)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가격하여 이물질이 폐기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는 역할함과 상기 타격날개부(27)에 의해 이물질을 가격하여 파쇄 및 이물질을 튕겨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상단 배출구(24)로 배출할 수 있어 폐기물이 유입되는 내부의 통을 보호 및 이물질이 제거된 고형연료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5, the
이와 같이 상기 이물질 수단(20)의 회전축(26)에 형성된 홈부(26-2)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타격날개부(27)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내지 둘 이상의 다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grooves 26-2 formed in the
상기와 같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 외주연에 설치된 타격날개부(27)는 보다 다양한 각도로 이물질을 가격 및 이물질 분리수단(20)의 배출구(23)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26-2)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6-2)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홈부(26-2)의 힌지공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27-2)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홈부(27-4)가 형성되는 회전구(27-5)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27-5)의 홈부(27-4)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타격부(27-6)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즉,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회전축(26)에 좌, 우로 이동하는 회전구(27-5)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27-5)의 홈부(27-4)에는 수직 중심부로 회동하는 타격부(27-6)를 설치하므로써 다양한 각도로 폐기물을 타격 및 이물질이 제거된 고형연료를 이물질 분리수단(20)의 배출구(23)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a rotary shaft 27-5 that moves left and right is provided on the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날개부(27)와 타격부(27-6)는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또는 삼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 내부 상단에는 타격날개부(27)에 의해 파쇄되는 이물질이 날림을 방지함과 폐기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is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20 to prevent foreign matter crushed by the
이와 같은 상기 분사노즐(40)은 지속적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파쇄되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하부 배출공(2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림망(6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즉, 폐기물에 섞여진 이물질의 돌 및 뭉쳐진 흙, 콘크리트 등이 걸림망(60)에 걸려 상기 이물질분리수단(20)의 타격날개부(27)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격하여 파쇄되어 걸림망(60)을 투과되어 배출함과 소량의 폐기물을 선별시 상기 배출수단(50)은 가동하지 않고 걸림망(60)에 의해 고형연료를 선별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waste, the clay soil, the concrete, etc. are caught by the catching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유입구(22)와 대응되는 배출공(25) 하부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송벨트수단(70)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배출구(23)와 대응되는 배출공(25) 하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고형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벨트수단(7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8, a conveyor belt means 70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is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즉,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유입구(22)로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폐기물을 용이하게 이물질과 이물질이 제거된 고형연료를 분리하여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유입구(22)와 대응되는 배출공(25) 하부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송벨트수단(70)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20)의 배출구(23)와 대응되는 배출공(25) 하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벨트수단(7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That is, a large amount of waste flowing through the
상기 이송벨트수단(70)은 양측단에 회동하는 롤러부에 팬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 일측단에는 롤러부를 회동시키는 모터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The conveyance belt means 70 is provided with a motor portion connected to a roller portion that rotates at both ends thereof by a fan belt and has a motor portion for rotating the roller portion at one end of the roller portion.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는 폐기물이 원통체 내부로 흙 및 돌, 콘크리트 등이 섞여있는 폐기물이 이물질 분리수단의 타격날개부에 의해 타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파쇄하므로써 폐기물에 섞여 있는 흙, 금속 등과 같은 이물질을 완전히 분리제거된 상태로 배출하도록 하여 생산비용 및 소요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물질을 외부로 튕겨 배출할 하거나 타격날개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선회하여 이물질을 파쇄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having the soil, the stone, and the concrete mixed wit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is struck by the striking wing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to discharge or crush the foreign substanc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time required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soil and metal mixed with the foreign matter to be completely separated and removed and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to the outside or continuously rotate by the blowing blade to crush the foreign matter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1 : 폐비닐 재활용 처리장치
10 : 금속처리수단
12 : 자석부재
20 : 이물질 분리수단
22 : 유입구
23 : 배출구
24,25 : 배출공
26 : 회전축
26-2 : 홈부
27 : 타격날개부
30 : 동력부
40 : 분사노즐
50 : 배출수단
60 : 걸림망
70 : 이송벨트수단 1: waste vinyl recycling processing device
10: metal processing means 12: magnet member
20: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22: inlet
23: exhaust
26: rotating shaft 26-2:
27:
30:
40: injection nozzle
50:
60:
70: conveying belt means
Claims (5)
상기 금속처리수단으로부터 처리된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선단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타격날개부가 설치된 이물질 분리수단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회전축 일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내부 상단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페기물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모터부가 구비된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A metal processing means provided with a magnet member for cutting the waste contain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transporting the metal waste to remove metal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waste treated from the metal treatment means can be introduce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otary shaft and provided with a striking wing portion that rotates;
A power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uni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on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a discharging means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and having a suction motor unit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waste material from which foreign matter has been separated.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타격날개부는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격날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홈부의 힌지공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king wing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rotating shaft, a hinge hole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and a hinge shaf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wing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inge hole of the groove portion, Waste multifunctional sorting device.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타격날개부는 이물질 분리수단의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힌지공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홈부가 형성되는 회전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의 홈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타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king wing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at a constant interval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a hinge hole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a hinge shaft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inge hole of the groove portion, And a strik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tation hole for receiving the strik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of the rotation hole to rotate.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하부배출공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림망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discharge hole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s formed with a catching ne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유입구와 대응되는 배출공 하부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송벨트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배출공 하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고형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벨트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다목적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veyance belt means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a conveyance belt means for conveying the solid fuel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 is removed is installed under the discharge por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the waste multi-purpose sorting appar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394A KR20180021608A (en) | 2016-08-22 | 2016-08-22 | Multipurpose sorting device for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394A KR20180021608A (en) | 2016-08-22 | 2016-08-22 | Multipurpose sorting device for 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608A true KR20180021608A (en) | 2018-03-05 |
Family
ID=6172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394A Ceased KR20180021608A (en) | 2016-08-22 | 2016-08-22 | Multipurpose sorting device for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160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4087A1 (en) | 2018-02-23 | 2019-08-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gh-speed treatment gas-chromatography system for additive analysis, and analysis method using same |
-
2016
- 2016-08-22 KR KR1020160106394A patent/KR2018002160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4087A1 (en) | 2018-02-23 | 2019-08-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gh-speed treatment gas-chromatography system for additive analysis, and analysis method u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6568B1 (en) | Combustible foreign matter dry blow screening device | |
KR102048699B1 (en) | Recycle apparatus for waste plastic | |
KR100981949B1 (en) | Waste Earth Reclaimer | |
KR101742163B1 (en) | Garbage crushing and sort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
KR100544233B1 (en) | Method for producing high-quality circulating aggregate includ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matter and fine dust removing means and apparatus | |
KR100952903B1 (en) | Foreign material removal apparatus for waste-vinyl and waste-vinyl reproduction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136047B1 (en) | Separating device for soil debris | |
KR100789054B1 (en) | Eco-friendly Blast Device | |
KR101346354B1 (en)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
KR100479527B1 (en) | Recycling apparatus for crashing and separating the worn-out wire-p.e. rope | |
KR101546356B1 (en) | Hit wind type sorting apparatus for waste | |
KR100501454B1 (en) |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516002B1 (en) | Refuse sorting structures of intermediate handling for disposal of construction | |
KR101501452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by dual crushing-type | |
KR20180021608A (en) | Multipurpose sorting device for waste | |
KR102293348B1 (en) | Recycled soil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to reduce dust and odour, waste removal during the intermediate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 | |
KR101339932B1 (en) | Foreign element separate apparatus | |
KR101659409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complex waste and separation method of complex waste | |
KR100931211B1 (en) | Foreign Material Separator for Waste Vinyl | |
RU2160166C1 (en) | Plant for separation and processing of solid materials | |
KR200351067Y1 (en) | Sorting Device Of Building Waste | |
KR2004001393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eration of light-weight waste from construction waste using cyclone dust collectorCyclone dust collector | |
KR20050084718A (en) | Sorting device of building waste | |
KR100751838B1 (en) | Separation device of construction waste | |
KR20200099770A (en) | Aggregate sor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