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20595A -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 Google Patents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595A
KR20180020595A KR1020160105187A KR20160105187A KR20180020595A KR 20180020595 A KR20180020595 A KR 20180020595A KR 1020160105187 A KR1020160105187 A KR 1020160105187A KR 20160105187 A KR20160105187 A KR 20160105187A KR 20180020595 A KR20180020595 A KR 2018002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xed
unit
fixing
bu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국
Original Assignee
고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국 filed Critical 고영국
Priority to KR102016010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595A/ko
Publication of KR2018002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9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G03B15/07Arrangements of lamps in studio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에 관한 것으로, 링 구조의 본체앞·뒷판부와, 이 본체앞·뒷판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를 포함하는데, 연결대부는, 외피살대가 선두측으로 끼움되는 원통 구조로, 선두측이 앞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되며, 고정뭉치부는, 본체뒷판부의 수납공간 내에서 연결대부의 뒤쪽에서 전·후진되는 구조로,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의 후미측과 밀착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뭉치부를 전진시키는 탄성수단과, 본체뒷판부의 조작유동홈을 관통하되 조작에 의해 고정뭉치부를 후진시켜 연결대에서 이탈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접힌 연길대부를 펼칠 시, 탄성수단에 의해 고정뭉치부가 전진되어 밀착됨으로써, 펼친 상태로 고정되며,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고정뭉치부가 이탈됨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folding-speed ring for soft box}
본 발명은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에 관한 것으로, 링 구조의 본체앞·뒷판부와, 이 본체앞·뒷판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를 포함하는데, 연결대부는, 외피살대가 선두측으로 끼움되는 원통 구조로, 선두측이 앞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되며, 고정뭉치부는, 본체뒷판부의 수납공간 내에서 연결대부의 뒤쪽에서 전·후진되는 구조로,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의 후미측과 밀착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뭉치부를 전진시키는 탄성수단과, 본체뒷판부의 조작유동홈을 관통하되 조작에 의해 고정뭉치부를 후진시켜 연결대에서 이탈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접힌 연길대부를 펼칠 시, 탄성수단에 의해 고정뭉치부가 전진되어 밀착됨으로써, 펼친 상태로 고정되며,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고정뭉치부가 이탈됨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드링은, 사진촬영 시, 조명장치의 빛을 확산시켜 빛을 부드럽게 하고, 넓은 영역으로 빛을 고르게 도달하게 하는 소프트박스의 구성으로, 중심으로 조명장치가 삽입 및 결합되는 링 형태이며, 테두리를 따라 외피살대가 결합되어 스피드링과 외피살대 그리고 이 외피살대에 결합되는 외피에 의해 소프트박스의 전체적 측면형상이 출구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소프트박스에 사용되는 스피드링은 사용의 편의성 및 소프트박스의 구조에 따라 그 형태 및 구조가 변화되는 데 그 예로 본 발명자의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95871호에서는, 사진촬영시 조명용 소프트박스의 스피드링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평판으로서 둘레에 텐션바를 끼울 수 있는 수개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결합구멍의 활용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소프트박스의 형상을 색인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소프트박스의 다용도 스피드링"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소프트박스의 구조에 따라 스피드링이 변화된 예로 본 발명자의 국내특허등록 제1215717호에서는, 중앙이 관통된 메인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외피살대가 힌지 결합된 프레임부를 구성하고, 내부의 반사부와, 외부의 암막부를 가지는 외피부가, 상기 메인지지부 및 외피살대의 외부에 조립되어 구성하는 통상의 소프트 박스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키를 가지는 중앙슬라이더를, 메인지지부와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메인지지부 앞쪽 중앙에 구성하고; 중앙이 관통되어, 적어도 두 개의 키홈을 형성하는 고정구를, 상기 중앙슬라이더 앞쪽 중앙에 구성하며; 각 외피살대의 중간 부분과 고정구는, 이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살대에 의하여 각각 힌지결합된 구조의 소프트박스가 구성되어, 중앙슬라이더에 고정구를 끼워, 중앙슬라이더의 키와 고정구의 키홈을 서로 결합하면서, 중앙살대가 외피살대를 펼치거나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소프트박를 설치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와 설치가 용이한 접이형 소프트 박스"가 게시되어 있다.
1. 등록번호/일자 2003958710000 (2005.09.07) 2. 등록번호/일자 1012157170000 (2012.12.18)
그러나 "사진촬영용 소프트박스의 다용도 스피드링" 및 종래의 스피드링의 경우, 소프트박스의 외피를 지지하는 외피살대를 스피드링의 해당 구멍에 하나하나 꽂아 고정 후, 외피살대를 굽혀서 외피를 결합하여 소프트박스를 이루며, 분리 시 외피를 해제 하고 외피살대를 스피드링에서 하나하나 뽑아 분리하는데, 이 경우 스피드링에 외피살대를 결합하는 과정과 분리하는 과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휴대와 설치가 용이한 접이형 소프트 박스"의 경우, 종래 소프트박스의 스피드링에 해당하는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된 외피살대의 펼침과 접힘이 용이하나, 외피살대를 분리할 수 없어 수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보관 시 결합된 큰 부피로 보관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피살대의 개수 및 위치에 따른 소프트박스의 외형, 즉, 사각, 육각, 팔각, 십육각 등의 다양한 형태를 변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외피살대의 분리결합이 용이하거나, 외피살대가 결합된 부분을 쉽게 접을 수 있으면서, 사용이 용이한 스피드링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링 구조의 본체앞·뒷판부와, 이 본체앞·뒷판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를 포함하는데, 연결대부는, 외피살대가 선두측으로 끼움되는 원통 구조로, 선두측이 앞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되며, 고정뭉치부는, 본체뒷판부의 수납공간 내에서 연결대부의 뒤쪽에서 전·후진되는 구조로,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의 후미측과 밀착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뭉치부를 전진시키는 탄성수단과, 본체뒷판부의 조작유동홈을 관통하되 조작에 의해 고정뭉치부를 후진시켜 연결대에서 이탈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접힌 연길대부를 펼칠 시, 탄성수단에 의해 고정뭉치부가 전진되어 밀착됨으로써, 펼친 상태로 고정되며,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고정뭉치부가 이탈됨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의 밀착되는 두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연결대부의 후미 앞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접힌 연결대부를 펼칠 시, 연결대부의 경사면에 접한 고정뭉치부의 고정부분을 링의 중심으로 부드럽게 밀어줌으로써,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뒷판부는, 조작유동홈의 링 중심 측 끝에서 뒷면으로 받침버튼이 돌출되어,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조작버튼과 받침버튼을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잡고 닫음으로써, 조작버튼의 조작이 용이 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피살대가 끼움되는 연결대부가 힌지결합되어 전방으로 접혀지되, 연결대부 뒤쪽에 구성되는 고정뭉치부가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의 후미측에 밀착되어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며, 조작버튼을 조작 시, 밀착된 고정뭉치부가 이탈하여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이로 인해 연결대부를 전방으로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외피살대가 끼워진 각각의 연결대부를 간편하게 펼쳐 고정하였다가 접었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의 밀착되는 두 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뭉치부의 전·후진이 매끄러워지며, 연결대부의 후미 앞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접힌 연결대부를 펼칠 시, 연결대부의 경사면에 접한 고정뭉치부를 링의 중심으로 부드럽게 밀어주어,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의 이동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뒷판부는, 조작유동홈의 링 중심 측 끝에서 뒷면으로 받침버튼이 돌출되어,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조작버튼과 받침버튼을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잡고 닫음으로써, 조작버튼의 조작이 용이 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국내특허등록 제1215717호의 소프트박스 사시도.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외피살대가 연결된 스피드링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스피드링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연결대부의 접힘에서 펼침에 따른 스피드링의 부분측단면도.
도 8과 9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연결대부의 펼침과 접힘에 따른 스피드링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스피드링의 측단면도.
도 11과 1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방열판과 조명소켓을 결합한 스피드링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에 관한 것으로, 링 구조의 본체앞·뒷판부와, 이 본체앞·뒷판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를 포함하는데, 연결대부는, 외피살대가 선두측으로 끼움되는 원통 구조로, 선두측이 앞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되며, 고정뭉치부는, 본체뒷판부의 수납공간 내에서 연결대부의 뒤쪽에서 전·후진되는 구조로,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의 후미측과 밀착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뭉치부를 전진시키는 탄성수단과, 본체뒷판부의 조작유동홈을 관통하되 조작에 의해 고정뭉치부를 후진시켜 연결대에서 이탈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접힌 연길대부를 펼칠 시, 탄성수단에 의해 고정뭉치부가 전진되어 밀착됨으로써, 펼친 상태로 고정되며,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고정뭉치부가 이탈됨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은, 중심으로 조명장치가 삽입되는 링 구조이되, 이 링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소프트박스의 외피살대가 다수개 끼워 고정되는 스피드링으로, 링 구조의 본체앞판부와 본체뒷판부, 그리고 두 본체앞·뒷판부 테두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로 구성되며, 조명소켓과 방열판이 추가로 더 구성되어 결합되는데, 이를 순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앞판부(110)와 본체뒷판부(120)는, 도 2 내지 4에서 도시한 한 바와 같이 링 구조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스피드링(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그 중, 본체앞판부(110)는, 링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대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접힘골(111)이 일정 각도마다 링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접힘골(111) 마다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연결대부(130)가 접힘골(111) 앞으로 회전 또는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체앞판부(110)에 형성되는 접힘골(111)은, 네개, 여섯개, 여덟개, 열두개, 열여섯개, 등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힘골(111)의 양측 뒤쪽에 힌지구멍(112) 반원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결대부(130)의 힌지돌기(132)와 힌지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뒷판부(1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수납공간(121)이 일정 각도마다 형성되는데, 이 수납공간(121)은 앞쪽으론 펼쳐진 연결대부(130), 뒤쪽으론 전진(링 중심측 이동) 후진(링 외측 이동)되는 고정뭉치부(140)가 삽입되는 공간이며, 본체앞판부(110)의 접힘골(111)위치와 대응된다.
또, 이 수납공간(121)은, 힌지구멍(122)이 형성되고, 조작유동홈(123)이 천공되고, 스프링받침턱(125)을 형성하는데, 힌지구멍(122)는, 본체앞판부(110)의 힌지구멍(112)과 같이, 수납공간(121)의 양측 앞쪽에 반원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조작유동홈(123)은, 후술되는 고정뭉치부(140)의 조작버튼(143)이 뒷면으로 돌출되도록 관통되어 전·후진 되는 홈이며, 스프링받침턱(125)은, 수납공간(121)의 링 중심측에 후술되는 고정뭉치부(140)의 코일스프링(142)을 받쳐주도록 형성된다.
이때, 조작유동홈(123)은, 링의 중심 측 또는 링의 외측 중, 어느 끝 부분을 조작버튼(143)이 삽입되는 크기로 천공되고, 그 외의 부분은 조작버튼(143) 보다 좁게 하여 조작버튼(143)의 조작유동홈(123) 끼움을 용이하게 하면서, 조작유동홈(123)에 끼움된 조작버튼(143)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 중심측의 조작유동홈(123)을 조작버튼(143)이 삽입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뒷판부(120)는, 도 3과 5 내지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유동홈(123)의 링 중심 측 끝에서 뒷면으로 받침버튼(124)이 돌출되는데, 이 받침버튼(124)은, 조작유동홈(123)을 관통하여 뒷쪽으로 노출된 조작버튼(14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엄지와 검지로 파지가 용이한 크기와 두께 및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 본체앞·뒷판부(110)(120)를 결합고정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나사구멍(126)이 형성되어 볼트결합할 수 있다.
다음, 연결대부(130)와 고정뭉치부(140)는, 본체앞·뒷판부(110)(120)의 테두리에 위치한 접힘골(111)과 수납공간(121)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그 중, 연결대부(1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살대(200)가 선두측에서 끼움되는 원통 구조에서 후미 끝이 아닌 후미 측 또는 중간 부위의 양측에 본체앞·뒷판부(110)(120)의 힌지구멍(112)(122)에 대응되는 힌지돌기(132)가 돌출되어, 본체앞·뒷판부(110)(120)에 힌지결합되며, 이에 연결대부(130)는 도 5 내지 7에서도시한 바와 같이, 선두측이 접힘골(111) 앞으로 접혔다가 링 밖 방향으로 펼쳐지는 90°반복회전가능한 구성이다.
여기서 연결대부(130)는, 힌지돌기(132)가 돌출된 후미 측이 연결대부(130)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분(131)으로 후술되는 고정뭉치부(140)의 고정부분(141)과 밀착되는 뒷면은 평면, 앞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연결대부(130)는, 외피살대(20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고정뭉치부(140)는, 도 5 내지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1) 내에서 연결대부(130)의 뒤쪽에 배치되어 전·후진되는 구성으로,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에 밀착되어 연결대부(130)의 접힘골(111) 앞으로 접힘을 방지하는 고정부분(141)과, 이 고정부분(141)을 전진시키는 탄성수단과, 고정뭉치부(140)에서 뒤쪽으로 돌출되어 본체뒷판부(120)의 조작유동홈(123)을 관통하되 링 중심 측으로의 조작에 의해 고정뭉치부(140)의 고정부분(141)을 후진시켜 연결대(130)의 고정부분(131)에서 이탈시키는 조작버튼(143)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뭉치부(140)의 고정부분(141)은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에 대응되는 평면이 바람직하나, 사용자 및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연결대부(130)와 고정뭉치부(140)의 두 고정부분(131)(141)은 서로 밀착되는 곡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수단은, 본체뒷판부(120)의 수납공간(121) 내에서 스프링받침턱(125)에 받쳐져 링 밖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해 고정뭉치부(140)를 전진시키는 코일스프링(142)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뭉치부(140)를 전진시키는 판스프링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 조작버튼(143)은, 조작유동홈(123)을 관통하여 뒤쪽으로 노출되는데, 엄지와 검지로 파지가 용이한 형태로 본체뒷판부(120)의 받침버튼(124)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조명수단이 결합되는 조명소켓(151)과 조명수단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152)이 구성될 수 있는데, 조명소켓(151)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수단이 중심으로 삽입고정되는 소켓구조로 본체앞판부(110)의 앞면에서부터 밀착되어 스피드링(100)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방열판(152)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소켓(151) 뒷면 에 부착될 수도 있는데, 이와 달리 조명소켓(151)이 스피드링(100)의 뒷면에 부착되면서, 그 조명소켓(151)의 뒷면에 방열판(152)이 부착되거나, 스피드링(100)의 뒷면에 방열판(152)이 부착되면서, 그 방열판(152) 뒷면에 조명소켓(151)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100)은, 연결대부(130)에 사용자가 사용할 소프트박스(1)의 형태에 따라 정사각, 직사각, 육각, 정팔각, 정십육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외피살대(200)를 꽂아 연결할 수 있으며, 외피살대(200)가 연결되고 아직 외피살대(200)가 펼쳐지지 않은 스피드링(100)은, 외피살대(200) 하나 하나를 들고 펼치면 도 5 내지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 경사면에 밀착된 고정뭉치부(140)의 고정부분(141)을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 경사면이 부드럽게 링 구조의 중심측으로 밀어내었다가, 연결대부(130)가 완전히 펼쳐지면, 고정뭉치부(140)는 탄성복원되는 탄성수단에의해 다시 링 구조의 밖으로 이동하여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 평면과 고정뭉치부(140)의 고정부분(141)이 밀착 고정된다.
이로 인해 연결대부(130)는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소프트박스(1)의 외피(300) 결합에 의해 외피살대(200)가 전방으로 굽힘이 있더라도 고정상태가 변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소프트박스(1)의 사용이 끝난 후, 다시 연결대부(200)를 접을 때, 고정뭉치부(140)의 조작버튼(143)을 링 구조의 중심측으로 조작하면 되는데, 도 8과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뒷판부(120)의 받침버튼(124)과 조작버튼(143)을 엄지와 검지로 파지하여 힘을 주어 닫으면, 밀착되었던 연결대부(130)와 고정뭉치부(140)의 두 고정부분(131)이 이탈되어 연결대부(130)가 펼쳐 고정되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스피드링(1)의 접힘 방향을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조작버튼(143)을 작동하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대부(130)가 접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피살대(200)가 끼움되는 연결대부(130)가 힌지결합되어 전방으로 접혀지되, 연결대부(130) 뒤쪽에 구성되는 고정뭉치부(140)가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에 밀착되어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며, 조작버튼(143)을 조작 시, 밀착된 고정뭉치부(140)가 이탈하여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이로 인해 연결대부(130)를 전방으로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외피살대(200)가 끼워진 각각의 연결대부(130)를 간편하게 펼쳐 고정하였다가 접었다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연결대부(130)와 고정뭉치부(140)의 밀착되는 두 고정부분(131)(141)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뭉치부(140)의 전·후진이 매끄러워지며,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 앞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접힌 연결대부(130)를 펼칠 시, 연결대부(130)의 고정부분(131) 경사면에 접한 고정뭉치부(140)의 고정부분(141)을 링의 중심으로 부드럽게 밀어주어, 연결대부(130)와 고정뭉치부(140)의 이동이 원활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체뒷판부(120)는, 조작유동홈(123)의 링 중심 측 끝에서 뒷면으로 받침버튼(124)이 돌출되어, 조작버튼(143)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조작버튼(143)과 받침버튼(124)을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잡고 닫음으로써, 조작버튼(143)의 조작이 용이 해지는 특징이 있다.
1: 소프트박스 100: 스피드링 110: 본체앞판부
111: 접힘골 112,122: 힌지구멍 120: 본체뒷판부
121: 수납공간 123: 조작유동홈 124: 받침버튼
125: 스프링받침턱 126: 나사구멍 130: 연결대부
131,141: 고정부분 132: 힌지돌기 140: 고정뭉치부
142: 코일스프링 143: 조작버튼 151: 조명소켓
152: 방열판 200: 외피살대 300: 외피

Claims (5)

  1. 중심으로 조명장치가 삽입되는 링 구조이되, 이 링 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소프트박스의 외피살대가 다수개 끼워 고정되는 스피드링에 있어서,
    스피드링은, 링 구조의 본체앞판부와 본체뒷판부, 그리고 두 본체앞·뒷판부의 테두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를 포함하는데,
    본체앞판부는, 연결대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접힘골이 형성되며,
    본체뒷판부는,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각 수납공간마다 조작유동홈이 천공되며,
    연결대부는, 외피살대가 선두측에서 끼움되는 원통 구조로, 선두측이 접힘골 앞으로 접히도록 본체앞·뒷판부에 힌지결합되되, 힌지결합되는 후미측에 고정뭉치부와 밀착되는 고정부분이 형성되며,
    고정뭉치부는, 수납공간 내에서 연결대부의 뒤쪽에 배치되어 전·후진되는 구조로, 전진 시, 펼쳐진 연결대부의 고정부분과 밀착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뭉치부의 고정부분을 전진시키는 탄성수단과, 조작유동홈을 관통하되 조작에 의해 고정뭉치부의 고정부분을 후진시켜 연결대의 고정부분에서 이탈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접힌 연길대부를 펼칠 시, 탄성수단에 의해 고정뭉치부가 전진되어 두 고정부분이 밀착됨으로써, 펼친 상태로 고정되며,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밀착된 두 고정부분이 이탈됨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의 밀착되는 두 고정부분의 두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연결대부의 고정부분 앞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접힌 연결대부를 펼칠 시, 연결대부의 고정부분 앞면에 접한 고정뭉치부의 고정부분을 링의 중심으로 부드럽게 밀어줌으로써,
    연결대부와 고정뭉치부의 이동이 원활한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뒷판부는, 조작유동홈의 링 중심 측 끝에서 뒷면으로 받침버튼이 돌출되어,
    조작버튼을 링 중심으로 작동 시, 조작버튼과 받침버튼을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잡고 닫음으로써,
    조작버튼의 조작이 용이 해지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은, 고정뭉치부의 링 중심측에 구성되어 링 밖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수단과 결합되는 조명소켓과 방열판 중, 적어도 하나 구성되어,
    본체앞·뒷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KR1020160105187A 2016-08-19 2016-08-19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Ceased KR20180020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87A KR20180020595A (ko) 2016-08-19 2016-08-19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87A KR20180020595A (ko) 2016-08-19 2016-08-19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95A true KR20180020595A (ko) 2018-02-28

Family

ID=6140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187A Ceased KR20180020595A (ko) 2016-08-19 2016-08-19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05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37A (ko) * 2016-11-30 2018-06-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박스와 조명등 자동연결 스피드 링
KR101981896B1 (ko) 2018-08-29 2019-05-23 고영국 소프트박스용 접이식 스피드링
KR102116207B1 (ko) * 2019-12-10 2020-05-27 고영국 소프트박스용 스피드링 조립체
KR102464307B1 (ko) * 2022-04-21 2022-11-04 고영국 비틀림이 저감되어 폴딩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용 스피드링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37A (ko) * 2016-11-30 2018-06-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박스와 조명등 자동연결 스피드 링
KR101981896B1 (ko) 2018-08-29 2019-05-23 고영국 소프트박스용 접이식 스피드링
WO2020045725A1 (ko) * 2018-08-29 2020-03-05 고영국 소프트박스용 접이식 스피드링
KR102116207B1 (ko) * 2019-12-10 2020-05-27 고영국 소프트박스용 스피드링 조립체
KR102464307B1 (ko) * 2022-04-21 2022-11-04 고영국 비틀림이 저감되어 폴딩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용 스피드링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1937A (ko) 소프트박스와 조명등 자동연결 스피드 링
KR20180020595A (ko) 소프트박스용 폴딩 스피드링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KR101794448B1 (ko) 소프트박스용 원터치 폴딩 스피드링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CN217206935U (zh) 底盘、支撑杆组件、支撑锁紧组件、支撑座、翻转锁定机构、风扇以及电器设备
CN111565599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可互换的托座配件
JPH04505816A (ja) 取外し可能な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のためのロッキング機構および支持脚部
US20090009953A1 (en) Portable hard disk drive with pivotable support legs
KR101797938B1 (ko) 전기 플러그
KR200481747Y1 (ko) 셀카봉용 삼각대
US20150263547A1 (en) Apparatus for Charging Mobile Devices
WO2016138720A1 (zh) 一种多功能支架组件及显示设备套件
WO2018113483A1 (zh) 摇杆结构及遥控器
CN105831811A (zh) 雾化装置及带有该雾化装置的电子烟
US20130308300A1 (en) Retractable key storage apparatus with original key adaptor
US5555489A (en) Portable PC combination
TWM394496U (en) Handle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KR20120068296A (ko) 카메라 삼각대
JP3080777U (ja) 化粧箱
TW201513978A (zh) 能連動開閤的工具收納裝置
US8382049B2 (en) Support device
TWI428516B (zh) 固定結構
CN2906661Y (zh) 一种新型便携式放大镜
TWM457620U (zh) 工具儲放架及具有該儲放架的工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