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8546A -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및 모서리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및 모서리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546A
KR20180018546A KR1020177035564A KR20177035564A KR20180018546A KR 20180018546 A KR20180018546 A KR 20180018546A KR 1020177035564 A KR1020177035564 A KR 1020177035564A KR 20177035564 A KR20177035564 A KR 20177035564A KR 20180018546 A KR20180018546 A KR 2018001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ner
edge
transport direction
lacqu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우센 웁페 뇌르스코프
톰 달
Original Assignee
울마단-알.디.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마단-알.디.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울마단-알.디. 에이피에스
Publication of KR2018001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5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8Rou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edges of essentially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플레이트(2)가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플레이트의 적어도 제1 모서리(15)가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다.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코너(16)가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밀링 도구(12a, 12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딩된다.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라운딩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되고, 이후에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이송 방향(D)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판의 연속 연부 가공 방법 및 연부 가공 장치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플레이트는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플레이트의 적어도 제1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다.
DE 10 2013 202 007 A1호는 목재 파티클 보드의 미처리된 좁은 측면에 표면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부유식 롤러 및 이송 벨트가 보드를 흐름 경로 내에서 선형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연삭 및 세척 유닛이 보드의 미처리된 좁은 모서리의 연삭 및 세척을 수행한다. 도포 유닛이 역전 롤이 적합한 속력으로 회전되는 동안, 보드의 좁은 측면 상에 페인트를 코팅한다. 제거 유닛이 종방향 모서리 및 페인팅된 좁은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여분의 코팅을 제거하고, 건조 유닛이 코팅 필름을 건조 및 경화시킨다. 롤은 보드의 좁은 측면에서의 롤의 최적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페인트 스크레이퍼에 의해 세척된다.
EP 1 154 891 A1호는 작업편의 다공성 좁은 측면에 코팅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연속 공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작업편은 코팅 기계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이때 충전 및 결합 화합물이 다공성 좁은 모서리에 도포된다. 장식 코팅 스트립이 그 다음 화합물 상으로 가압되어 그에 결합한다. 독립항은 a) 작업편 이송기, 작업편의 좁은 모서리에 충전 및 결합 화합물을 도포하기 위한 코팅 유닛, 장식 코팅 스트립을 위한 연속 공급 유닛, 및 좁은 모서리 상으로 코팅 스트립을 가압하기 위한 활주면을 구비한 압력 인가기를 갖는 처리 플랜트; b) 다공성 좁은 모서리가 충전 화합물 및 이후의 코팅 스트립에 의해 덮이고 평탄화되는 작업편에 대해 이루어진다.
WO 99/51361 A1호(울만단 에이피에스(Ulmadan APS))는 특히 가구 산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유형의, 플레이트 및 세장판 상의 모서리로의 래커의 도포를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여기서 모서리 프로파일 래커 주입 유닛의 CAD 기준 치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미리 결정된 영역들에 상이한 양의 래커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헌은 또한 특히 가구 산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유형의, 플레이트 및 세장판 상의 모서리로의 래커의 도포를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무엇보다도, 시스템은 가능하게는 래커가 도포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할 수 있는 개별 롤러의 표면 내의 홈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포 롤러를 포함한다. CAD 기준은 또한 도포 롤러의 프로파일 홈 내에서, 또는 롤러 및 주입 유닛 양자 모두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여러 유닛 또는 도포 롤러를 연속하여 사용함으로써, 특히 섬세한 표면이 작업편이 공급되는 방향에서 마지막에 위치되는 도포 롤러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얻어지고, 이때 여분의 래커가 제거되고 동시에 래커의 매우 잘 한정된 두께가 달성된다. 방법 및 시스템은 특히 칩보드 및 균질이 아닌 유사한 다공성 플레이트의 래커링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공지된 연속 처리 방법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모서리가 라운딩된 프로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지만, 플레이트의 코너에서, 이러한 라운딩된 프로파일들은 예리한 선으로 만난다. 이는 플레이트들이 2개의 대향된 모서리들이 고정 위치된 밀링 도구에 의해 형성되면서 이송기 상에서 이송 방향으로 이송되고, 플레이트들이 이후에 이송 방향에 관련하여 90° 회전되고 그 다음 2개의 잔여 대향 모서리들이 고정 위치된 밀링 도구에 의해 형성되면서 이송기 상에서 이송되는 처리 방법에 기인한다. 지금까지, 코너는 연속 공정으로 매끄럽게 라운딩될 수 없었다. 코너가 다수의 처리 도구에 의해 고정 공정에서 라운딩될 수 있지만, 그러한 공정은 시간당 처리되는 품목의 개수의 측면에서 연속 공정과 어떠한 방식으로도 경쟁할 수 없다. 연속 공정에서, 플레이트는 매우 빠르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는 분당 대략 25미터의 일정한 속력으로 이송기 상에서의 이송 중에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의 코너가 라운딩될 수 있는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비추어,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코너가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딩되고,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라운딩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되고,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는 이후에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레이트의 코너는 플레이트가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될 때,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매끄럽게 라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이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의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변위를 제어하고,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위치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한다. 이에 의해,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궤적을 따를 때 궤적이 점진적으로 계산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빨리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플레이트를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기에 결합된 제1 속도계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의 실제 이송 속도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매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는 제1 레이저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의 위치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인접하여 매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를 라운딩한 이후에, 제1 모서리는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래커 도포 롤러에 의해 래커의 층을 제공받고, 래커 도포 롤러는 제1 모서리의 적어도 대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속력으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고,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된다. 이에 의해, 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래커 도포 롤러가 코너의 라운딩을 따를 필요가 없이 래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래커 도포 롤러가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관련하여 매우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므로, 래커 도포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이송 방향의 횡단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지만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제로는 횡단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횡단 방향에서 매우 작은 치수를 갖는 플레이트도 처리될 수 있다. 플레이트가 이송기 상에 보유될 수 있으므로, 횡단 방향으로 매우 작은 치수를 갖는 플레이트는 그의 모서리가 이송기에 매우 가까이에서 처리되도록 이송기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2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바람직하게는 3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4퍼센트와 16퍼센트 사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6퍼센트와 12퍼센트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퍼센트와 10퍼센트 사이만큼 상이하게 변화된다. 이에 의해, 적합한 양의 래커가 코너에 적층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감소되고,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후연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증가된다. 이에 의해, 적합한 양의 래커가 코너에 적층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래커의 도포 이후에, 그리고 상기 래커의 적어도 부분적인 경화 이후에, 상기 코너는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연삭되고,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상기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되고,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이후에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너에 적층된 여분의 양의 래커는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을 따르도록 정확하게 연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이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의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변위를 제어하고, 추가의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위치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한다. 이에 의해,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궤적을 따를 때 궤적이 점진적으로 계산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빨리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이송 방향에서 제1 속도계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이송기에 결합된 제2 속도계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의 실제 이송 속도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매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는 이송 방향에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 위치된 제2 레이저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의 위치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근접하여 매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상기 코너를 연삭한 이후에,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퍼센트는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다. 이에 의해, 포일링된 매끄러운 라운딩된 모서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포일 스트립은 탄성 표면을 갖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일부 상으로 가압된다. 롤러의 탄성은 롤러를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시키지 않고서도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에 포일 스트립을 가압할 수 있다. 코너의 라운딩의 가능한 잔여 부분은 플레이트가 90° 회전되어 다시 롤러를 따라 이송될 때, 포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에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한 이후에, 플레이트의 제2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는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포일 스트립 및 제2 포일 스트립은 그들이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퍼센트,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퍼센트만큼 서로 중첩하도록 코너 상으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포일이 코너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도포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코너 둘레에서의 매끄러운 마무리가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일 스트립은 소위 열간 포일링 공정으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음의 단계들이 연속하여 수행된다:
a) 플레이트의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b)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가 4개의 각각의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의해 라운딩되는 단계,
c)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에 의해 래커의 층을 제공받고, 래커 도포 롤러들 각각이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어, 4개의 코너들 각각이 여분의 양의 래커를 받는 단계,
d) 상기 래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단계,
e)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가 4개의 각각의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삭되는 단계,
f) 플레이트의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들 각각의 라운딩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 단계,
g) 플레이트가 이제 그의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들이 각각 선단 모서리 및 후연 모서리인 채로 이송되도록, 플레이트가 이송 방향에 관련하여 90° 회전되는 단계,
h) 플레이트의 2개의 제2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i) 2개의 제2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에 의해 래커의 층을 제공받고, 래커 도포 롤러들 각각이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어, 4개의 코너들 각각이 여분의 양의 래커를 받는 단계,
j) 상기 래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단계,
k)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가 4개의 각각의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삭되는 단계,
l) 플레이트의 2개의 제2 대향된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들 각각의 라운딩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포일 스트립이 코너에서 제1 포일 스트립과 중첩하도록,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 단계.
단계 c), d) 및 e)는 바람직하게는, 먼저, 기부 래커가 코너에 도포되고, 경화되고, 연삭되고, 이후에 상부 래커가 코너에 도포되고, 경화되고, 연삭되도록, 연속하여 한번 반복된다. 가능하게는, 기부 래커를 도포한 직후의 코너에서의 연삭은 코너에서의 연삭이 상부 래커 이후에만 수행되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모서리는 단계 a) 이후에 그리고 래커의 층을 제공하는 각각의 단계 이후에 벨트 샌딩됨을 알아야 한다. 또한, 래커가 제공될 때, 플레이트의 상부 및 바닥 면은 여분의 래커를 제거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모서리 프로파일로의 전이부에서 스크레이핑된다. 경화 단계 d)는 바람직하게는 UV 광에 의해 수행된다. 포일 스트립의 도포 이전에, 모서리는 예를 들어 스카치-브라이트(Scotch-Brite, 등록 상표)에 의해 연마될 수 있다. 열간 포일링의 경우에, 모서리는 포일 스트립의 도포 이전에 IR 광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울러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한 이송기, 및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적어도 제1 모서리에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의 모서리 처리를 위한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는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코너를 라운딩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는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이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라운딩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에 결합된 제1 속도계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수행되는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에서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이어서 배열되어,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래커 도포 롤러가 제1 모서리의 적어도 대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속력으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도록 그리고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2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바람직하게는 3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4퍼센트와 16퍼센트 사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6퍼센트와 12퍼센트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퍼센트와 10퍼센트 사이만큼 상이하게 변화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감소되고,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후연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증가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에서 래커 도포 롤러에 이어서 배열되어,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코너를 연삭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추가의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이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연삭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속도계가 이송 방향에서 제1 속도계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이송기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수행되는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에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 위치된 제2 레이저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에서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이어서,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이 배열되고,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에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은 탄성 표면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일부 상으로 제1 포일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통한 플레이트의 제2 통과 시에, 제2 포일 스트립이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퍼센트,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퍼센트만큼 제1 포일 스트립과 중첩하도록, 코너 상으로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은 소위 열간 포일링 도포 유닛이다.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매우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예시에 의해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밀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확대된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대향된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들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대향된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커 도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래커 도포 유닛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래커 도포 유닛의 래커 도포 롤러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면의 상부에서 실제 플레이트 배향을 도시하는, 완전한 연속 모서리 처리 라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의 모서리 처리를 위한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완전한 연속 모서리 처리 라인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는 임의의 종류의 플레이트 또는 세장판을, 그러한 물품에 물품의 종방향 모서리를 따른 그리고 물품의 코너 둘레에의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모서리 프로파일이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그리고 코너 둘레에 제공되지만, 프로파일들은 상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완전한 연속 모서리 처리 라인은 모서리 처리 플레이트에 모든 측면 및 코너를 따라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모서리 처리 플레이트에 대해 적합하다.
임의의 종류의 플레이트가 도 8에 도시된 완전한 연속 모서리 처리 라인 내에서 처리될 수 있지만; 라인은, 예컨대, MDF 플레이트(MDF = 중밀도 섬유판), HDF(고밀도 섬유판), 메이소나이트(masonite), 칩보드 등과 같은 다공성 재료를 처리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유형의 플레이트는 특히 정확한 모서리 래커링을 제공받기 어려울 수 있는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는 처리되는 플레이트(2)가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해 이송기(3) 상에 장입되는 장입 유닛(1), 플레이트들의 대향된 제1 측면들이 처리되는 제1 통과 유닛(4), 플레이트가 90° 회전되는 제1 회전 유닛(5), 플레이트들의 대향된 제2 측면들이 처리되는 제2 통과 유닛(6), 플레이트 내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링 유닛(10), 플레이트가 90° 회전되는 제2 회전 유닛(7), 플레이트들의 대향된 제1 모서리들이 다시 한번 처리되는 제3 통과 유닛(8), 및 처리된 플레이트(2)가 이송기(3)로부터 반출되는 반출 유닛(9)을 포함한다. 이송기(3)는 베어링 상에서 정밀하게 운행하며, 플레이트의 후연 모서리가 맞닿을 수 있는 직립 탭(tap: 36)을 갖는 체인(35)을 포함하는 유형일 수 있다.
제1 통과 유닛(4), 제2 통과 유닛(6), 및 제3 통과 유닛(8) 각각은 아래에서 열거되는 스테이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이션은 또한 열거되는 시퀀스 내에서 하나의 단일 처리 라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그 다음 단일 처리 라인을 3회 통과할 수 있다 (3회 통과).
스테이션들은 다음과 같다:
1. 모서리 밀링 유닛
2. 코너 밀링 유닛
3. 벨트 샌딩 유닛
4. 기부 래커 유닛
5. UV-경질화(경화)
6. 플레이트의 모서리와 상부/바닥 면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스크레이핑
7. 벨트 샌딩 유닛(가능하게는, 연속적인 더 많은 유닛들)
8. 상부 래커 유닛
9. UV-경질화(경화)
10. 플레이트의 모서리와 상부/바닥 면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스크레이핑
11. 코너 연삭 유닛
12. 벨트 샌딩 유닛(가능하게는, 연속적인 더 많은 유닛들)
13. 연마(가능하게는, 오실레이팅)
14. 모서리의 IR 가열
15.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탄성 실리콘 고무 롤러를 구비함)
16. 플레이트의 모서리와 상부/바닥 면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포일 스트립 스크레이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의 코너 밀링 유닛(11)을 도시한다. 코너 밀링 유닛(11)은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한 이송기(3)를 포함한다. 코너 밀링 유닛(11) 이전에, 도시되지 않은 모서리 밀링 유닛이 배열된다. 모서리 밀링 유닛은 플레이트(2)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13)을 가지며 플레이트(2)의 대향된 제1 모서리(15)들에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12a, 12b)를 포함한다.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12a, 12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12a, 12b)는 주연 프로파일(13) 및 밀링 치형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14)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13)을 갖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는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각각의 코너(16)를 라운딩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X 축을 따른 이송 방향(D)으로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Y 축을 따른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다. 단지 2개의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가 도면에서 대향된 제1 모서리(15)들 중 하나를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대향된 제1 모서리(15)들 중 다른 하나를 따라 2개의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또한 배열되고, 따라서 플레이트(2)의 모든 코너(16)들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라운딩될 수 있다.
제1 속도계(18)가 이송기(3)에 결합되고,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속도계(18)는 실제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이송기(3)의 플레이트 보유 표면 상에서 직접 구르도록 구성된 롤러(19)를 포함한다.
제1 레이저 검출 장치(20)가 이송 방향(D)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플레이트(2)의 선단 모서리(17a) 또는 후연 모서리(17b)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21)은 제1 레이저 검출 장치(20)에 의해 검출된 위치 및 제1 속도계(18)에 의해 결정된 플레이트(2)의 실제 속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16)의 원하는 라운딩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코너(16)의 원하는 라운딩은, 예를 들어, 1 내지 5밀리미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대략 3밀리미터일 수 있는 라운딩 반경(R)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1)은 플레이트(2)의 선단 모서리(17a) 또는 후연 모서리(17b)가 이송 방향(D)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20)에 의해 검출되는 순간에 제1 속도계(18)에 의해 수행되는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의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1)은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가 라운딩되는 각각의 코너(16)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가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를 이송 방향(D)(X) 및 이송 방향(D)에 대한 횡단 방향(Y)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1)은 제어 유닛(21)이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위치에서의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의 래커 도포 유닛(22)을 도시한다. 래커 도포 유닛(22)은 이송 방향(D)에서 도 1에 도시된 코너 밀링 유닛(11)을 따르도록 배열되고, 플레이트(2)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14)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2개의 대향된 래커 도포 롤러(23)를 포함한다.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는 대향된 래커 도포 롤러(23)들은 플레이트(2)의 대향된 제1 모서리(15)들 중 하나에 배열되고,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 상에서 구르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21)은 래커 도포 롤러들이 제1 모서리(15)의 적어도 대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속력으로 플레이트(2)의 각각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도록, 그리고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a, 17b)를 연결하는 코너(16)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23)의 주연 속력이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16)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2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2)의 선단 모서리(17a)이면,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코너(16)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23)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관련하여 감소되도록, 그리고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2)의 후연 모서리(17b)이면,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코너(16)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23)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관련하여 증가되도록, 제어 유닛(21)이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23)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코너(16)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23)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관련하여, 2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바람직하게는 3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4퍼센트와 16퍼센트 사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6퍼센트와 12퍼센트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퍼센트와 10퍼센트 사이만큼 상이하게 변화되도록,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23)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는 분당 25미터일 수 있고, 래커 도포 롤러(23)는 선단 모서리(17a)에서의 코너(16)에서 분당 23미터의 주연 속력을 갖고, 후연 모서리(17b)에서의 코너(16)에서 분당 27미터의 주연 속력을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별도의 제2 속도계(24)에 의해 수행되는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그리고 별도의 제2 레이저 검출 장치(25)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23)의 위치 및 속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속도 및/또는 다른 위치 검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래커 도포 유닛(2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유닛(26)은 주파수 제어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어되며, 그의 구동력을 전달 유닛에 의해 전달하는 모터일 수 있다. 래커 저장소(27)는 모서리(15, 17)에 도포되는 래커를 담고, 상기 래커는 하위 래커 마찰 챔버(30)의 내측 부분을 형성하며, 관련 물품에 대해 사용되는 래커의 점성에 의존하는, 운반 롤러(29)와 마찰 챔버 내의 외벽 사이의 거리에서, 실질적인 상향 나선식 공급 채널을 거쳐, 래커, 바람직하게는 고점성 아크릴 래커의 운반을 허용하며, 전처리에 의해 마찰 챔버(30)의 외벽 내에서 메인 래커 압력 챔버인 상위 압력 챔버(31)까지 형성된, 래커 마찰 운반 롤러(29)로 래커 공급 채널(28)을 통해 유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마찰 운반 롤러는 강철로 매끄러운 표면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메인 래커 압력 챔버(31) 내의 상위에서, 래커가 메인 압력 챔버 내에서 균일한 압력을 가지며, 여분의 래커가 래커 저장소(27)로 재순환되도록 보장하는 래커 과압 채널(32)이 있다. 래커 도포 롤러(23)는 운반 롤러(29)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래커 도포 롤러(23)의 원통형 표면은 롤러 내의 프로파일(33)이 물품의 처리되는 모서리(15, 17)의 CAD 기준 프로파일로 구성되도록, 래커가 도포되는 그러한 모서리(15, 17)에 대해 프로파일(33)에 있어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래커 도포 롤러(23)로의 래커의 전달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모서리 프로파일 래커 주입 유닛(34)이 구성되고, 이상적인 경우에, 이러한 주입 프로파일(34)의 CAD 기준은 래커 도포 롤러(23) 내의 모서리 프로파일 홈과 일치한다. 이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는 경우에, 보상이 롤러 상의, 주입 유닛 상의, 또는 이들 모두 상의 CAD 기준 프로파일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래커가 다공성 플레이트, 예컨대, 칩보드 모서리에 도포될 때이다. 래커의 일부가 코어 층 내에 흡수되므로, 표면은 균일하게 덮이지 않을 것이다.
이송 방향에서 래커 도포 유닛(22)에 이어서, 도시되지 않은 코너 연삭 유닛이 래커를 제공받은 코너를 연삭하도록 배열된다. 여분의 양의 래커가 래커 도포 유닛(22)의 래커 도포 롤러(23)에 의해 코너(16)에 적층되기 때문에, 래커가 도시되지 않은 경화 유닛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면, 코너 상의 래커의 층은 소정의 정도로 불균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되지 않은 코너 연삭 유닛 내에서, 코너에서의 래커의 층은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연삭될 수 있다.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다.
도시되지 않은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12a, 12b)와 같이 플레이트(2)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다. 그러나,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12a, 12b)가 밀링 치형부를 포함하지만,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치형부가 아닌, 적합한 연삭 특성을 구비한 주연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제3 속도계가 이송기(3)에 결합되고,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속도계는 실제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이송기(3)의 플레이트 보유 표면 상에서 직접 구르도록 구성된 롤러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제3 레이저 검출 장치는 이송 방향(D)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플레이트(2)의 선단 모서리(17a) 또는 후연 모서리(17b)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21)은 제3 레이저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위치 및 제3 속도계에 의해 결정된 플레이트(2)의 실제 속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16)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1)은 플레이트(2)의 선단 모서리(17a) 또는 후연 모서리(17b)가 이송 방향(D)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제3 레이저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순간에 제3 속도계에 의해 수행되는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1)은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라운딩되는 각각의 코너(16)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이송 방향(D) 및 이송 방향(D)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21)은 제어 유닛(21)이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코너(16)의 원하는 라운딩의 소정의 부분만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원하는 라운딩의 상기 소정의 부분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에 인접한다. 이에 의해, 제2 모서리(17)에 인접한 원하는 라운딩의 잔여 부분은 플레이트가 90° 회전되고, 제2 모서리(17)가 코너(16)의 원하는 라운딩의 상기 잔여 부분과 함께 래커를 제공받는 다음의 통과 시에 연삭될 수 있다.
이송 방향(D)에서 도시되지 않은 회전식 코너 연삭 유닛에 이어서, 도시되지 않은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이 배열되고, 제어 유닛(21)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 및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a, 17b)를 연결하는 코너(16)의 라운딩의 적어도 50퍼센트에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은 탄성 표면을 가지며,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 및 코너(16)의 라운딩의 일부 상으로 제1 포일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제2 포일 스트립이 코너(16)의 라운딩의 적어도 5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퍼센트,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퍼센트만큼 바람직하게는 제1 포일 스트립과 중첩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통한 플레이트(2)의 제2 통과 시에, 코너(16) 상으로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이른바 열간 포일링 도포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의 코너의 라운딩은 원하는 매끄러운 마무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편적으로 처리되는 예리한 모서리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포일 스트립이 중첩할 수 있는 점에서 코너에서의 포일 스트립 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40)

  1. 플레이트가 이송 방향(D)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플레이트(2)의 적어도 제1 모서리(15)가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플레이트(2)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적어도 코너(16)가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13)을 갖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딩되고,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가 라운딩되는 코너(16)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되고,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는 이후에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16)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이송 방향(D)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1)이 이송 방향(D)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의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의 변위를 제어하고,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위치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1)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2)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플레이트를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기에 결합된 제1 속도계(18)에 의해 결정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결정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는 제1 레이저 검출 장치(20)에 의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코너(16)를 라운딩한 이후에, 제1 모서리는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래커 도포 롤러(23)에 의해 래커의 층을 제공받고, 래커 도포 롤러는 제1 모서리의 적어도 대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속력으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고,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2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바람직하게는 3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4퍼센트와 16퍼센트 사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6퍼센트와 12퍼센트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퍼센트와 10퍼센트 사이만큼 상이하게 변화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16)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감소되고,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후연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증가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16)에서의 래커의 도포 이후에, 그리고 상기 래커의 적어도 부분적인 경화 이후에, 상기 코너는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연삭되고,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상기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되고,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이후에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이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의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변위를 제어하고, 추가의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위치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이송 방향에서 제1 속도계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이송기에 결합된 제2 속도계에 의해 결정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는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결정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는 이송 방향에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 위치된 제2 레이저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상기 코너를 연삭한 이후에,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퍼센트는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포일 스트립은 탄성 표면을 갖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일부 상으로 가압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에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한 이후에, 플레이트의 제2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는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포일 스트립 및 제2 포일 스트립은 그들이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퍼센트,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퍼센트만큼 서로 중첩하도록 코너 상으로 제공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일 스트립은 소위 열간 포일링 공정으로 제공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들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a) 플레이트의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b)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가 4개의 각각의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의해 라운딩되는 단계,
    c)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에 의해 래커의 층을 제공받고, 래커 도포 롤러들 각각이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어, 4개의 코너들 각각이 여분의 양의 래커를 받는 단계,
    d) 상기 래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단계,
    e)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가 4개의 각각의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삭되는 단계,
    f) 플레이트의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들 각각의 라운딩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 단계,
    g) 플레이트가 이제 그의 2개의 제1 대향된 모서리들이 각각 선단 모서리 및 후연 모서리인 채로 이송되도록, 플레이트가 이송 방향에 관련하여 90° 회전되는 단계,
    h) 플레이트의 2개의 제2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에 의해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i) 2개의 제2 대향된 모서리들이 2개의 각각의 래커 도포 롤러에 의해 래커의 층을 제공받고, 래커 도포 롤러들 각각이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은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어, 4개의 코너들 각각이 여분의 양의 래커를 받는 단계,
    j) 상기 래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단계,
    k)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가 4개의 각각의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삭되는 단계,
    l) 플레이트의 2개의 제2 대향된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들 각각의 라운딩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포일 스트립이 코너에서 제1 포일 스트립과 중첩하도록,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받는 단계.
  22. 이송 방향(D)으로의 플레이트(2)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한 이송기(3), 및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적어도 제1 모서리에 모서리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모서리 밀링 도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의 모서리 처리를 위한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가 플레이트(2)의 제1 모서리(15)와 제2 모서리(17)를 연결하는 적어도 코너(16)를 라운딩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12a, 12b)는 이송 방향(D)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이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라운딩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가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기에 결합된 제1 속도계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수행되는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의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에서 회전식 코너 밀링 도구에 이어서 배열되어, 플레이트의 원하는 모서리 프로파일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래커 도포 롤러(23)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21)은 래커 도포 롤러가 제1 모서리의 적어도 대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연 속력으로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상에서 구르도록 그리고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여분의 양의 래커가 상기 코너에 적층되도록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변화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2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바람직하게는 3퍼센트와 25퍼센트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4퍼센트와 16퍼센트 사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6퍼센트와 12퍼센트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퍼센트와 10퍼센트 사이만큼 상이하게 변화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감소되고, 제2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후연 모서리이면, 래커 도포 롤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에서의 위치에 있을 때, 래커 도포 롤러의 주연 속력이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관련하여 증가되도록, 래커 도포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에서 래커 도포 롤러에 이어서 배열되어, 플레이트의 원하는 코너 모서리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연 프로파일을 갖는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코너를 연삭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는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추가의 위치 및/또는 속도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이 플레이트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고정된 좌표계 내에서 코너의 원하는 라운딩의 적어도 일 부분을 기술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연삭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따라 변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가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이송 방향 및 이송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동시에 변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를 상기 궤적을 따르도록 제어하기 시작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궤적으로서 상기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속도계가 이송 방향에서 제1 속도계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이송기에 결합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가 이송 방향으로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될 때 수행되는 이송 방향으로의 플레이트의 속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의 궤적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에서 제1 레이저 검출 장치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 위치된 제2 레이저 검출 장치가 이송 방향으로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플레이트의 선단 모서리 또는 후연 모서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에서 회전식 코너 연삭 도구에 이어서,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이 배열되고, 제어 유닛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를 연결하는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0%에 제1 포일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은 탄성 표면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 및 코너의 라운딩의 일부 상으로 제1 포일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통한 플레이트의 제2 통과 시에, 제2 포일 스트립이 코너의 라운딩의 적어도 5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퍼센트,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퍼센트만큼 제1 포일 스트립과 중첩하도록, 코너 상으로 제2 포일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일 스트립 도포 유닛은 소위 열간 포일링 도포 유닛인, 연속 모서리 처리 장치.
KR1020177035564A 2015-05-11 2015-05-11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및 모서리 처리 장치 Ceased KR20180018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5/053450 WO2016181184A1 (en) 2015-05-11 2015-05-11 Method of continuous edge processing of plates and edge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546A true KR20180018546A (ko) 2018-02-21

Family

ID=5344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564A Ceased KR20180018546A (ko) 2015-05-11 2015-05-11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및 모서리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80154546A1 (ko)
EP (1) EP3294507B1 (ko)
JP (1) JP2018520904A (ko)
KR (1) KR20180018546A (ko)
CN (1) CN107735234B (ko)
DK (1) DK3294507T3 (ko)
ES (1) ES2749051T3 (ko)
HU (1) HUE047218T2 (ko)
LT (1) LT3294507T (ko)
PL (1) PL3294507T3 (ko)
PT (1) PT3294507T (ko)
SI (1) SI3294507T1 (ko)
WO (1) WO2016181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7083B1 (nl) 2019-02-26 2020-09-24 Flooring Ind Ltd Sarl Glij- of drukschoen voor een doorloopfreesmachine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panelen
IT201900007029A1 (it) * 2019-05-20 2020-11-20 Palm S P A Pallet arrotondato, metodo e impianto di realizzazione dello stesso, nonché sistema di imballaggio ecologico comprendente tale pallet
CN112140255A (zh) * 2020-08-22 2020-12-29 唐山格林安家具有限公司 一种自动封边机
CN112223484B (zh) * 2020-09-22 2022-08-26 广东尚高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的自动封边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5130A (en) * 1962-02-12 1965-05-25 M & T Chemicals Inc Multiple roller coating apparatus
US3333614A (en) * 1965-01-18 1967-08-01 Furtado Frame corner rounding apparatus
US3533457A (en) * 1969-02-05 1970-10-13 Anderson Machine & Tool Works Automatic box spring corner cutter
US4070987A (en) * 1976-11-18 1978-01-31 Armstrong Cork Company Edge coating apparatus
DE3913765A1 (de) * 1989-04-26 1990-10-31 Homag Maschinenbau Ag Verfahren zum bearbeiten der kanten von plattenfoermigen werkstueck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GB2249990B (en) * 1990-11-07 1994-01-19 Clifford John Roberts Radiussing corners
DE29619654U1 (de) * 1996-08-24 1997-02-13 Höb, Jörg, 89269 Vöhringen Hobelmaschine zum Fasen und Runden
DK173410B1 (da) * 1998-04-07 2000-09-25 Ulmadan Aps Fremgangsmåde, anlæg samt anvendelse af fremgangsmåde og anlæg til påføring af lak
JP2003527233A (ja) * 2000-03-16 2003-09-16 フォルクスワーゲン・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塗装欠陥の小面積除去方法
DE10142432C1 (de) * 2001-08-31 2003-05-28 Homag Holzbearbeitungssysteme Anlage zum maschinellen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aus Holz und/oder Holzersatzstoffen
JP2003285252A (ja) * 2002-03-27 2003-10-07 Fukuyama Tekkosho:Kk コーナカット装置
ITPD20050120A1 (it) * 2005-05-02 2006-11-03 Fravol Exp Srl Dispositivo per l'arrotondatura angolare di pannelli
CN100514506C (zh) * 2007-11-23 2009-07-1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铝漆包线及其制作方法
DK177227B1 (da) * 2008-07-10 2012-07-23 Si Holding Aulum Aps Proces til kantbehandling på emner fremstillet af MDF materiale
EP2925692A1 (en) * 2012-11-28 2015-10-0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ating glass ed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4507A1 (en) 2018-03-21
CN107735234A (zh) 2018-02-23
PT3294507T (pt) 2019-10-24
HUE047218T2 (hu) 2020-04-28
PL3294507T3 (pl) 2020-01-31
LT3294507T (lt) 2019-10-25
ES2749051T3 (es) 2020-03-18
JP2018520904A (ja) 2018-08-02
CN107735234B (zh) 2020-01-10
WO2016181184A1 (en) 2016-11-17
EP3294507B1 (en) 2019-07-03
SI3294507T1 (sl) 2019-11-29
US20180154546A1 (en) 2018-06-07
DK3294507T3 (da)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2728B2 (ja) ラッカーの塗布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方法またはシステムの使用
KR101390288B1 (ko) 목재판의 엣지시트 접착장치
KR20180018546A (ko) 플레이트의 연속 모서리 처리 방법 및 모서리 처리 장치
KR101699415B1 (ko) 기능성 패널 제조 자동화 장치
US4630407A (en) Method for finishing a thermoplastic coating
US8721396B1 (en) Method for preparing and buffing a powder coated wood substrate
CN113874125A (zh) 粘附剂涂覆装置
KR101581287B1 (ko) 플라스틱 부품 도장장치
CN110773375B (zh) 一种家具板材面漆涂布生产线及工艺
US202302860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US20060289087A1 (en) Process and system for factory production of pre-oiled wood planks
CN210207473U (zh) 一种氟碳保温装饰板辊涂生产线
US202300158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of a workpiece
KR101758062B1 (ko) 전사 보드판넬 제조장치
KR20100055648A (ko) 판재의 코팅방법
Cao et al. Architectural (decorative) natural fiber composites for construction
KR20170140853A (ko) Mdf 합판의 시트 합지시스템
CZ20003701A3 (cs) Způsob nanášení laku, zařízení pro tento způsob nanášení a použití tohoto způsobu
SU413030A1 (ko)
MXPA00009843A (en) Method, system and use of the method or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lacquer
JPH03146168A (ja) ロール塗装方法
JPH03146169A (ja) ロール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