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4888A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888A
KR20180014888A KR1020160097765A KR20160097765A KR20180014888A KR 20180014888 A KR20180014888 A KR 20180014888A KR 1020160097765 A KR1020160097765 A KR 1020160097765A KR 20160097765 A KR20160097765 A KR 20160097765A KR 20180014888 A KR20180014888 A KR 2018001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 invoice
template
electronic tax
issuance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중근
김태용
조영환
서태진
조우희
김새미나
김성빈
김태욱
이재웅
최선영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888A/ko
Publication of KR2018001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88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템플릿 등록 요청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입력 정보로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관련된 공급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TAX INVOICE}
아래의 설명은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세금계산서의 발급이 의무화되면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웹사이트 및 프로그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세금계산서 발급 시스템에 따르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려는 사용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세금계산서 발급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세금계산서 작성 기능을 활성화한 후,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주소, 업태 등 공급받는자 및 공급자의 정보와 작성일자, 공급가액, 품목 등 거래 관련 정보를 입력한 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게 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346566호(등록일 2002년 07월 16일)에는 기업간 상거래 시 온라인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수취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세금계산서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자주 사용되는 전자세금계산서의 발행 양식에 대한 템플릿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과거에 발행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복사 및 수정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자주 사용하는 템플릿이나 발행내역을 불러오기 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전 정보 등록을 통해 전자세금계산서를 정기적으로 자동 발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템플릿 등록 요청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입력 정보로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관련된 공급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 목록에 포함된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템플릿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으로 상기 선택된 템플릿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발행이 완료된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에 포함된 전자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에는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불러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신규 템플릿을 포함하는 신규발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러오기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목록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신규발행 화면에 자동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세금계산서의 정기발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거래처 정보와 거래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정기발행 정보를 이용하여 발행주기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전자세금계산서를 정기발행하기 위한 발행주기와 발행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를 즉시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주 사용되는 전자세금계산서의 발행 양식에 대한 템플릿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과거에 발행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복사 및 수정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주 사용하는 템플릿이나 발행내역을 불러오기 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전 정보 등록을 통해 전자세금계산서를 정기적으로 자동 발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템플릿 관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템플릿 관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세금계산서 간편발행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전자세금계산서 간편발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정기발행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전자세금계산서 정기발행을 위한 관리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의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전자세금계산서의 발행을 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성,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이하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구성요소들로서 템플릿 관리부(310), 간편발행 제어부(320), 및 정기발행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가 상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양식에 대한 템플릿을 관리하는 것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템플릿 관리부(310)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템플릿 관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410)에서 템플릿 관리부(310)는 클라이언트 단말(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 등)로부터 템플릿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템플릿 등록 요청에 따라 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공급자 측의 단말로, 서버(150)와의 접속을 위해 공급자 측에서 이용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템플릿 관리부(31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정보는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로 이루어지며, 거래처 정보(공급받는 자에 대한 정보), 거래 내역 정보(품목, 수량, 단가, 공급가액, 세액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템플릿 관리부(310)는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클라이언트 단말과 관련된 공급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템플릿 관리부(310)는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공급자 측에서 자주 사용하는 발행 양식으로 등록할 수 있다.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공급자 측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에 대한 템플릿을 사전에 등록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템플릿 관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을 도시한 것으로,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은 템플릿에 대한 확인, 등록, 복사, 삭제, 검색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에는 공급자 측에서 사전 등록한 템플릿 목록(501)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은 검색 조건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메뉴(50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검색 메뉴(502)는 템플릿 종류, 템플릿 코드, 템플릿 명, 거래처 등의 검색 조건을 선택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은 템플릿을 추가 등록하기 위한 '템플릿 등록' 메뉴(503), 템플릿 목록(501)에서 선택된 템플릿을 삭제하기 위한 '템플릿 삭제' 메뉴(504), 템플릿 목록(501) 상의 템플릿에 즐겨찾기를 설정하기 위한 '즐겨찾기' 메뉴(505), 템플릿 목록(501)에 즐겨찾기가 설정된 템플릿만을 노출하기 위한 '즐겨찾기만 보기' 메뉴(506), 템플릿 목록(501)에서 선택된 템플릿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템플릿을 추가하기 위한 '템플릿 복사' 메뉴(50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에서 '템플릿 등록' 메뉴(503)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템플릿 등록 화면(600)이 노출될 수 있다. 템플릿 등록 화면(600)에는 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610)이 노출될 수 있다.
템플릿 등록 화면(600)은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템플릿의 종류(601)나, 코드(602), 이름(603), 세금 구분(604) 등을 선택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템플릿 등록 화면(600)은 템플릿(610) 상에 거래처 정보(공급받는 자에 대한 정보), 거래 내역 정보(품목, 수량, 단가, 공급가액, 세액 등) 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금계산서 발행 시 공급자 정보가 자동 기입되는 경우 템플릿(610) 상에 공급자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거래처 정보나 거래 내역 정보 중 자주 사용되는 일부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에서 '템플릿 등록' 메뉴(503)를 이용하여 템플릿 등록 화면(600)을 호출하고 거래처나 품목 등을 기입하여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으로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템플릿의 종류(601)는 개인과 공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개인으로 등록된 템플릿은 해당 템플릿을 직접 등록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공용으로 등록된 템플릿의 경우는 공급자 측의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정 권한은 해당 템플릿을 직접 등록한 사용자에게 있을 수 있다. 즉, 로그인 정보에 따라 개인으로 등록된 템플릿은 해당 템플릿을 작성한 사용자에게만 노출되고 공용으로 등록된 템플릿은 공급자 측 모든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템플릿으로 등록 가능하다.
도 5의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의 템플릿 목록(501)에서 기존에 작성된 템플릿을 선택하고 '템플릿 복사' 메뉴(507)를 선택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템플릿 등록 화면(700)이 노출될 수 있다. 템플릿 등록 화면(700)에는 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710)이 노출되되 도 5의 템플릿 목록(501)에서 선택된 템플릿의 데이터, 즉 사전에 작성 및 등록된 입력 정보가 그대로 복사되어 해당 템플릿(710) 상의 데이터로 노출될 수 있다.
템플릿 등록 화면(700)에서는 템플릿 목록(501)에서 선택된 기존 템플릿의 데이터가 템플릿(710)에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으며, 이때 템플릿(710) 상에 자동으로 복사되어 기입된 정보들은 수정 가능하며 템플릿 구분을 위해 템플릿 코드와 템플릿 명 등은 새로 입력해야 한다.
템플릿 관리 초기 화면(500)에서 '템플릿 등록' 메뉴(503)나 '템플릿 복사' 메뉴(507) 등을 이용하여 공급자 측에서 자주 사용하는 템플릿에 대해 개인 혹은 공용으로 구분하여 사전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템플릿 관리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 불러오기 등을 통해 사전 등록된 템플릿 혹은 즐겨찾기 설정된 템플릿 등을 불러와서 쉽게 작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한 예시 화면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화면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화면이 더 포함될 수 있고 화면의 구성과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세금계산서 간편발행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810)에서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클라이언트 단말(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 등)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은 기존에 발행 완료된 세금계산서를 복사하여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기 위한 복사발행, 및 세금계산서를 새로 작성하여 발행하기 위한 신규발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계(S820)에서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복사발행을 위한 작성 요청인지 또는 신규발행을 위한 작성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행하고자 하는 세금계산서 작성을 위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830)에서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복사발행을 위한 작성 요청인 경우 기존에 발행 완료된 세금계산서 목록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선택된 세금계산서의 거래처 정보, 거래 내역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자동 복사 및 입력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840)에서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신규발행을 위한 작성 요청인 경우 세금계산서 신규 템플릿을 포함한 신규발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850)에서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신규발행 화면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불러오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러오기 요청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으로서 사전에 등록된 템플릿 목록 및/또는 발행 내역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행 내역 목록은 템플릿으로 저장된 것과는 별개로 공급자에 의해 자주 발행되는 내역, 최근 일정 기간 동안 발행된 최근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860)에서 간편발행 제어부(320)는 템플릿 목록 및/또는 발행 내역 목록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거래처 정보, 거래 내역 정보 등)를 신규발행 화면에 자동 복사 및 입력할 수 있다.
기존에 발행 완료된 세금계산서의 데이터를 복사하는 복사발행과, 신규발행 시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에 대한 불러오기 기능은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 사용자가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빠르고 간편하게 전자세금계산서를 작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전자세금계산서 간편발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전자세금계산서를 관리하는 권한 관리 화면(900)을 도시한 것으로, 권한 관리 화면(900)은 전자세금계산서의 발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권한 관리 화면(900)에는 기존에 발행이 완료된 전자세금계산서와 미 발행된 전자세금계산서 등을 포함하는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권한 관리 화면(900)은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에서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복사발행하기 위한 '복사발행' 메뉴(902), 전자세금계산서를 신규발행하기 위한 '신규발행' 메뉴(90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권한 관리 화면(900)의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세금계산서를 선택하고 '복사발행' 메뉴(902)를 선택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1000)이 노출될 수 있다.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1000)에는 도 9의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에서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데이터(거래처 정보, 거래 내역 정보 등)가 그대로 복사되어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1000) 상에 자동으로 복사되어 기입된 정보들은 수정 가능하며, 작성 일자는 '복사발행' 메뉴(902)를 선택한 일자로 세팅될 수 있다.
도 9의 권한 관리 화면(900)의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에서 특정 전자세금계산서가 선택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세금계산서 상세 화면(1100)이 노출될 수 있다. 세금계산서 상세 화면(1100)에는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에서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발행 내역에 해당되는 상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금계산서 상세 화면(1100)에는 화면 상의 발행 내역과 동일한 내용으로 신규 전자세금계산서의 발행이 가능하도록 '복사발행' 메뉴(1102)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에 발행이 완료되거나 사전 등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간편하게 발행할 수 있다.
도 9의 권한 관리 화면(900)의 전자세금계산서 목록(901)에서 '신규발행' 메뉴(903)가 선택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세금계산서 신규 템플릿을 포함한 신규발행 화면(1200)이 노출될 수 있다. 신규발행 화면(1200)에는 거래처 정보, 거래 내역 정보 등이 모두 공란으로 제공되며, 작성 일자의 경우 '신규발행' 메뉴(903)를 선택한 일자로 세팅될 수 있다. 신규발행 화면(1200)에는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으로서 사전에 등록된 템플릿 목록 및/또는 발행 내역 목록을 불러오기 위한 '불러오기' 메뉴(12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신규발행 화면(1200)에서 '불러오기' 메뉴(1204)가 선택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사전에 등록된 템플릿 목록 및/또는 발행 내역 목록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제공 화면(1310)이 노출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 화면(1310)에는 자주 사용되는 발행 양식으로서 사전에 등록된 템플릿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템플릿' 탭이 포함되고, '템플릿' 탭에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개인으로 등록된 템플릿과, 공용으로 등록된 템플릿이 노출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 화면(1310)의 '템플릿' 탭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발행 양식으로 사전 등록한 템플릿 중 즐겨찾기가 설정된 템플릿이 상위에 노출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 화면(1310)에는 템플릿과는 별개로 최근 일정 기간 동안 발행된 최근 발행 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최근발행내역' 탭이 포함될 수 있으며, '최근발행내역' 탭이 선택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제공 화면(1410)에는 사용자가 발행한 최근 발행내역을 불러와 노출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 화면(1310)의 '템플릿' 탭 또는 '최근발행내역' 탭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가 도 12의 신규발행 화면(1200)에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다. 신규발행 화면(1200) 상에 자동으로 복사되어 기입된 정보들은 수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규발행 화면(1200)에서 사전에 등록된 템플릿 목록 및/또는 발행 내역 목록 등을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간편하게 발행할 수 있다.
상기한 예시 화면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화면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화면이 더 포함될 수 있고 화면의 구성과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정기발행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1510)에서 정기발행 제어부(330)는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할 수 있다. 정기발행 정보는 전자세금계산서를 정기적으로 발행하기 위해 공급자 측에서 직접 설정한 정보로서, 거래처 정보(상호, 사업자 등록번호 등), 거래 내역 정보, 과세 구분, 발행 기간, 발행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전자세금계산서 정기발행을 위한 관리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정기발행 관리화면(1600)을 도시한 것으로, 정기발행 관리화면(1600)은 정기발행 정보에 대한 확인, 등록, 삭제, 검색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정기발행 관리화면(1600)에는 공급자 측에서 등록한 정기발행 거래처 목록(1601)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정기발행 관리화면(1600)은 검색 조건에 해당되는 거래처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메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검색 메뉴는 상호명, 사업자 등록번호, 유효기간(발행 기간) 등의 검색 조건을 선택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정기발행 관리화면(1600)에는 정기발행 건을 추가 등록하기 위한 '등록' 메뉴(160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기발행 관리화면(1600)에서 '등록' 메뉴(1602)가 선택되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정기발행 등록 화면(1700)이 노출될 수 있다. 정기발행 등록 화면(1700)에는 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1710)이 노출될 수 있으며, 해당 템플릿(1710)을 통해 정기발행하고자 하는 거래처 정보와 거래 내역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정기발행 등록 화면(1700)은 발행주기(1701), 발행기간(1702) 등을 선택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발행주기(1701)의 경우 일간 선택 시 매일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주간 선택 시 매주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요일과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월간 선택 시 매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일자와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연간 선택 시 매년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특정 월의 일자와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기발행 등록 화면(1700)은 정기발행 되는 전자세금계산서를 확인 요청하기 위한 공유 매체(예컨대, 메일, 메신저, 문자메시지 등)를 선택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5에서, 단계(S1520)에서 정기발행 제어부(330)는 정기발행 정보를 바탕으로 발행 주기에 전자세금계산서를 자동 작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기발행 제어부(330)는 거래처 정보, 거래 내역 정보, 발행 기간, 발행 주기 등이 사전 등록된 상태에서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발행기간 동안 발행주기 마다 거래처 정보와 거래내역 정보 등을 자동으로 기입한 전자세금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세금계산서의 작성 날짜는 발행주기에 해당되는 일자로 세팅될 수 있다.
단계(S1530)에서 정기발행 제어부(330)는 정기발행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을, 사전에 정해진 공유 매체(예컨대, 메일, 메신저, 문자메시지 등)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기발행 제어부(330)는 발행 주기 도래 시 정기발행 정보로 사전 등록된 세금계산서항목이 자동으로 전자세금계산서발행목록에 저장되고 해당 내역이 공급자 측의 담당자에게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으로 발송될 수 있다.
단계(S1540)에서 정기발행 제어부(330)는 발행 주기에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발행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다. 공급자 측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도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을 통해 정기적으로 발행하고자 하는 전자세금계산서를 확인할 수 있고 간단한 피드백(예를 들어, 메일로 전달된 발행 확인 요청 페이지 상의 발행 버튼을 클릭하는 등)을 통해 전자 서명 후 해당 전자세금계산서를 즉시 발행할 수 있다.
정기 발행은 주기적으로 발행되면서 거래처나 거래내역이 변하지 않는 세금계산서에 대해 공급자 측에서 별도의 작성 절차 없이 사전에 등록된 발행 주기에 자동으로 작성되어 해당 내역이 공유 매체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고 발행 내역에 대한 전자서명만으로 전자세금계산서가 발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기발행을 통해 공급자 측의 별도의 작성 절차 없이 발행 주기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자동으로 발행할 수 있다.
상기한 예시 화면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화면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화면이 더 포함될 수 있고 화면의 구성과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템플릿 등록 요청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입력 정보로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관련된 공급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 목록에 포함된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템플릿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으로 상기 선택된 템플릿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발행이 완료된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에 포함된 전자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에는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불러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신규 템플릿을 포함하는 신규발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러오기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목록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신규발행 화면에 자동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세금계산서의 정기발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거래처 정보와 거래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정기발행 정보를 이용하여 발행주기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전자세금계산서를 정기발행하기 위한 발행주기와 발행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를 즉시 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템플릿 등록 요청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입력 정보로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관련된 공급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발행이 완료된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에 포함된 전자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신규 템플릿을 포함하는 신규발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러오기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템플릿 목록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신규발행 화면에 자동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은,
    전자세금계산서의 정기발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거래처 정보와 거래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정기발행 정보를 이용하여 발행주기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템플릿 등록 요청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입력 정보로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 정보를 포함한 템플릿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관련된 공급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템플릿 목록에 포함된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템플릿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템플릿으로 상기 선택된 템플릿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템플릿을 제공하는 과정
    을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
    을 더 처리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은,
    발행이 완료된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에 포함된 전자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전자세금계산서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자동 입력된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양식에 해당되는 신규 템플릿을 포함하는 신규발행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러오기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급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템플릿 목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템플릿 목록 및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신규발행 화면에 자동 입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전자세금계산서의 정기발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거래처 정보와 거래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기발행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과정;
    상기 정기발행 정보를 이용하여 발행주기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과정;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발행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동 작성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0097765A 2016-08-01 2016-08-01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eased KR20180014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65A KR20180014888A (ko) 2016-08-01 2016-08-01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65A KR20180014888A (ko) 2016-08-01 2016-08-01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888A true KR20180014888A (ko) 2018-02-12

Family

ID=6122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765A Ceased KR20180014888A (ko) 2016-08-01 2016-08-01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8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0740A (zh) * 2021-01-27 2021-05-14 北京明略软件系统有限公司 使用rpa机器人实现自动开票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469759A (zh) * 2021-06-29 2021-10-01 平安养老保险股份有限公司 智能生成发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0740A (zh) * 2021-01-27 2021-05-14 北京明略软件系统有限公司 使用rpa机器人实现自动开票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469759A (zh) * 2021-06-29 2021-10-01 平安养老保险股份有限公司 智能生成发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0790B2 (en) Collaborative and non-collaborative workspace application container with application persistence
CN107820701B (zh) 开发者交换系统
JP577886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機能性を追加するためのサービス
JP5837614B2 (ja) 電子書籍のレンタル
US11687661B2 (en) Compartments
CN102549560A (zh) 共享服务器侧宏
CN118761090A (zh) 用于建立数据隐私管线和合约协议以共享数据的用户接口
CN102498483A (zh) 事件触发的服务器端宏
US10516667B1 (en) Hidden compartments
CN112567408A (zh) 用于访问控制的分布式账本平台
CN102129642B (zh) 在基于网络的交易机构处安排交易列表项的方法和系统
KR102745464B1 (ko) 메신저 기반 계좌 거래 이력과 관련된 사용자 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14888A (ko)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93669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generating contained, usable objects that are dynamically configurable
US11727358B1 (en) Linking functionality between distinct document and workflow management systems
US11799864B2 (en) Computer systems for regulating access to electronic content using usage telemetry data
KR102777497B1 (ko) 메신저를 이용하여 결제 수단의 연동 계좌를 변경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02536B1 (ko) 통합 예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571909B1 (ja) オンデマンド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オンデマンド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74954B1 (ja) オンデマンド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オンデマンド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39712A (ko) 사용자 명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2204883B2 (en) Techniques for deploying application extensions for a client system
US20240320283A1 (en) Mobile device to retrieve results to pre-programmed search queries
JP715381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Rajendran et al. QR Code Based Even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