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3204A -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204A
KR20180013204A KR1020160096568A KR20160096568A KR20180013204A KR 20180013204 A KR20180013204 A KR 20180013204A KR 1020160096568 A KR1020160096568 A KR 1020160096568A KR 20160096568 A KR20160096568 A KR 20160096568A KR 20180013204 A KR20180013204 A KR 2018001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ethyl acetate
liver
composition
acetate f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혁
정주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앤이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앤이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앤이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09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204A/ko
Publication of KR2018001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OD 효소 및 Catalase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고, 손상된 간 조직 기능을 직접적으로 회복시키는 작용을 수행하여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ethyl acetate fraction of grasshopper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as in gradient compounds}
본 발명은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간의 주요 기능은 체외에서 유입되거나 체내에서 생성된 각종 물질들을 가공처리하고 중요한 물질들을 합성 공급하는 기관이다. 또한 혈액에는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있는데 이중 약 90%는 간에서 만들어진다. 이 밖에도 간은 해독작용 그리고 면역 기관의 역할 등을 하는데, 우리 몸에 들어온 각종 약물과 해로운 물질은 간에서 해가 적은 물질로 바꾸어 소변 또는 쓸개즙을 통해 배설된다. 특히, 간에는 쿠퍼세포라는 면역세포가 있어서 몸 밖에서 들어오는 세균과 독소 또는 이물질을 포식한 후, 분해시켜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렇듯 간은 다양하고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때문에 간 기능이 저하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간질환은 병이 생기는 근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로 인한 간질환,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약물로 인한 독성 간질환, 인체 면역계통의 이상으로 인한 자가면역성 간질환,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지방간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면역자극제, 항바이러스제, 실리마린, 운지다당체, 비타민 B군, 메티오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제들 중 어느 것도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평상시 용이하게 섭취하여 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 손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천연식물에서 추출되어 실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간 기능 보호제로는 식물에서 추출된 실리마린(silymarin) 제제가 있고, 공개특허 제10-2014-0070734호나 등록특허 제10-1317551호, 등록특허 제10-0499877호나 등록특허 제10-0403722호 등과 같이, 천연물로부터 간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수많은 노력에도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간 기능 개선과 관련하여 실제 임상에서 사용 중인천연 유래 물질들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간 기능 개선과 관련하여, 간세포를 보호할 수 있으며, 내성이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천연 유래의 간 보호 및 간 손상 예방에 유효한 성분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메뚜기는 곤충류 메뚜기목 메뚜기과에 속하는 곤충의 한 중류로, 전 세계적으로 서식하는 곤충이며, 열대 지방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2만여 종이 분포해 있고, 한국의 경우 200여 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뚜기는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사용하여 왔고, 메뚜기 분말(수분함량 5%)은 100g 당 378Kcal의 열량을 갖으며, 지방 10.7%, 및 단백질 70.4%로 구성되어 단백질 함량이 월등하게 높은 영양학적 구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품 원료로의 메뚜기의 이용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메뚜기의 간 기능 개선과 관련된 연구 내용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간 보호 및 간 손상 예방에 유효한 천연유래 소재를 찾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간 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14-0070734A, (특허문헌 0002) KR 10-10-1317551B, KR 10-0499877B, (특허문헌 0004) KR 10-0403722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간 기능을 개선하는데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메뚜기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헥산 분획물을 얻고, 이들을 흰쥐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여타 다른 분획물에 비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및 Catalase 효소 활성의 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간 손상 마커로 사용되는 AST 및 ALT 효소의 혈중 유리가 감소하는 현상을 발견한 바,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메뚜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메뚜기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뚜기는 벼메뚜기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메뚜기 추출물은 메뚜기 건조분말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및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또는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 용매는 에탄올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용매 분획법, 한외여과 분획법,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분획한 결과물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메뚜기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와 물성이 유사한 용매로 분획한 분획물,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분획물과 등가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메뚜기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메뚜기 분획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메뚜기 분획물은 식용이 가능한 식용곤충인 메뚜기에서 분리된 분획물인바,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메뚜기 분획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및 Catalase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PS 처리로 인해 간 기능이 손상된 대조군과 대비하여 44.5% 증가된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활성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에서 catalase 활성 정도는 LPS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무처리 정상군 대비 약 89.9% 수준의 활성을 보였으나,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138.9% 수준의 활성을 보였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간 세포가 손상되었을 때 분비되는 AST 및 ALT 효소의 유리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에 의해서 혈청 AST 수치는 LPS 처리군 대비 63.5% 수준으로, 혈청 ALT 수치는 33.5%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손상된 간 조직 기능을 직접적으로 회복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명세서의 용어 간 기능 개선은 간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자들에 의한 간 조직에서 발생하는 손상의 해로움을 개선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인자들은 알코올성 간 질환, 만성 바이러스 간염(B형 및 C형), 만성담관 차단, 윌슨병, 혈색소침착증, 약물 및 독소에의 노출, 자가면역성 간염, 낭포성 섬유증, 알파 항-트립신 결핍증, 비만 및 주혈흡충증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생리활성물질인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1-100㎎/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콩 발효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등과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콩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개별인정을 통하여 약리 효과가 인정되는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식품에 있어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첨가량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상기 기능성식품이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인 경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01-100 중량%, 0.01-100 중량% 또는 0.1-10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및 Catalase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고, 손상된 간 조직 기능을 직접적으로 회복시키는 작용을 수행하여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 실시예 1> 메뚜기 분획물의 제조
농장에서 식용으로 기른 벼메뚜기를 각각 채취한 후 3 일간 절식으로 배변 유도시키고, UV를 조사하여 살균한 후, 분말화된 메뚜기 분말 500g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벼메뚜기 분말을 70% 에탄올 1.5L에 침지 후 저온 초음파추출 3번 반복하고, 0.7기압에서 감압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약 250g을 얻었다. 수득한 에탄올 추출20% 핵산 용액 250ml에 녹인 후, 헥산 250ml, 클로르포름 250ml, 에틸아세테이트 250ml, 및 부탄올 250ml로 구성된 분액깔때기(Separatory funnel)에 넣고 분리하였다. 상기 분액깔때기 내에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 정제하여 대략 0.6g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간 기능 개선 효과 검증
2-1 실험동물
체중 170~180g 내외의 7주령 암컷 흰쥐(Sprauge-Dawley)를 나라바이토텍 (강남,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온도 22-24℃, 습도 55-66%,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자동조절)에서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착수하였다.
2-2 실험군
실험군은 평균체중이 유사하도록 난괴법에 의해 그룹당 3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정상대조군(무처리군), LPS 처리군, 실시예 1의 분획물을 3주간 투여 후 투여 종료일의 다음 날에 LPS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군(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간염과 유사한 간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LPS(Lipopolysaccharide)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국소 염증, 항체 생산, 폐혈증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7주령 암컷 흰쥐(Sprague-Dawley)에서 실시예 1의 분획물을 체중(kg)당 3mg으로 3주간 투여한 후, 투여 종료일 다음 날 LPS를 생리식염수로 용해시켜 1.5ml/kg의 용량을 복강 내로 투여하여 간 손상을 유발 후 4시간 후에 ether로 마취하고 희생시켜 후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층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였다. 간은 무게 측정 후 액체 질소로 급랭하여 실험 전까지 -7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2-3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활성 측정
SOD 효소활성 측정은 Cyman사의 SOD assay kit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희석한 Radical buffer를 20㎕를 웰(well)에 분주한 후, Standard와 Sample을 각각 10㎕를 추가로 분주하고 여기에 xanthine oxidase 20ul를 분주한다. 그 후 shaker에서 20분간 반응시켜 준 뒤, 440~46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uperoxide 이온은 호기적 대사과정에서 여러 가지 생화학적 반응으로 생성되며, 이것으로부터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은 조직 및 거대분자를 파괴하여 기능을 상실케 한다. 미토콘드리아에서의 MnSOD를 포함하여 세포질의 Cu/Zn SOD는 O2 - 불균화 반응을 촉매하여 과산화수소로 빠르게 전환시키고 산소 자유기를 방어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SOD는 활성산소(O2-)를 보다 반응성이 약한 H2O2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생체 내 해독 체계중 하나이다.
하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 조직의 SOD 활성은 LPS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교해 60.2%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LPS 투여로 인해 간 염증이 유발됨에 따라 SOD 활성 정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SOD 활성이 다시 상승하여 간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LPS 처리군 대비 44.5% 증가된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OD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손상된 간 조직 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1]
Figure pat00001
2-4 혈청 중의 AST와 ALT 측정
상기 2-3 SOD 효소 활성 실험 사육이 끝난 실험쥐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70℃에 보관 후 혈청 ATS 및 ATL 수준을 측정하였다. AST(sGOT)와 ALT(sGPT)의 수준은 IDToxTM Aspartate Transaminase(AST) Color Endopoint Assay Kit와 IDToxTM Alanine Transaminase(ALT) Color Endopoint Assay kit (ID LABS, Inc) 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ST 및 ALT 효소는 세포가 손상되었을 때 유리되어 혈중으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장에 존재하는 이들 효소의 양은 조직 세포 특히, 간 손상의 척도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기 표 2와 같이, 혈청 ALT 수치는 LPS 처리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220%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상승된 수치는 LPS와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다시 낮아졌는데, 실험군은 정상군 대비 40% 증가하였으나, LPS 처리군 대비 63.5% 수준으로 본 발명의 분획물 처리에 의해서 혈청 ALT 수치가 3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청 AST 수치는 LPS 처리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2.5배 높게 나타났고, 이렇게 상승된 수치는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다시 낮아졌는데, 실험군은 정상군 대비 52.6% 증가하였으나, LPS 처리군 대비 76.1% 수준으로 본 발명의 분획물 처리에 의해서 혈청 AST 수치가 2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손상된 간 조직 기능을 직접적으로 회복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간 조직 중 catalase (CAT)의 활성 측정
간조직에서의 catalase의 활성은 catalase assay kit(cyman사, NO 70700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간 조직 20㎕에 30㎕ methanol, 100㎕ assay buffer, 20㎕ Hydrogen peroxide를 분주 한 후, 호일 처리하여 2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30㎕ potassium hydroxide, 30㎕ catalasepurpald를 혼합하여 준 뒤, 호일 처리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여기에 추가로 10㎕ catalase potassium periodate를 분주한 후, 상온에서 5분간 반응 시켜 준 뒤 54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talase는 과산화수소를 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로서 SOD와 함께 체내 항산화효소 system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의해 각종대사가 증진되어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SOD의 활성이 증가될 경우 catalase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talase는 세포 내 peroxidesomes에 주로 분포 되어있고 H2O2 농도가 높을 때 주로 작용 한다.
하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간 조직에서 catalase 활성 정도는 LPS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정상군의 약 89.9% 수준의 활성을 보였고, 실험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138.9% 수준의 활성을 보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의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생체 내 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과산화물로부터 생체의 조직을 보호하여 간조직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및 Catalase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 및 Catalase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60096568A 2016-07-29 2016-07-29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eased KR20180013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68A KR20180013204A (ko) 2016-07-29 2016-07-29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68A KR20180013204A (ko) 2016-07-29 2016-07-29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04A true KR20180013204A (ko) 2018-02-07

Family

ID=6120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568A Ceased KR20180013204A (ko) 2016-07-29 2016-07-29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2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34A3 (ko) * 2017-06-30 2019-03-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8057A (ko) * 2018-10-29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34A3 (ko) * 2017-06-30 2019-03-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8057A (ko) * 2018-10-29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403721B1 (ko)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JP2019520319A (ja) 小豆を含む筋機能改善又は運動遂行能力向上用組成物
KR20190142058A (ko)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EP3978005B1 (en)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ccompanied by obesity and/or diabete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complex (ib complex) of indian gooseberry extract and sprout barley extract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180013204A (ko)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85191B1 (ko) 치커리 추출물의 근육 손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
US20070003685A1 (en) Prostacyclin production-increasing agent and blood flow enhancer
US2007016069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CN116726140A (zh) 解酒护肝的鲨肝肽复配产品及其应用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Skenderidis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Goji Berry (Lycium barbarum) Fruit Extracts
KR101699152B1 (ko) 호로파 및 흑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5763A (ko) 마치현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손상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0489A (ko)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및 간 기능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8554B1 (ko) 진피발효생성방법 및 이에 의한 진피발효생성물
KR102815968B1 (ko) 지충이 효소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233B1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을 이용한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20200016610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200000174A (ko)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526736A (zh) 肠道屏障功能改善用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4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