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1616A - 휴지통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지통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16A
KR20180011616A KR1020160094222A KR20160094222A KR20180011616A KR 20180011616 A KR20180011616 A KR 20180011616A KR 1020160094222 A KR1020160094222 A KR 1020160094222A KR 20160094222 A KR20160094222 A KR 20160094222A KR 20180011616 A KR20180011616 A KR 2018001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art
closing
frame
rot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276B1 (ko
Inventor
장광옥
Original Assignee
장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옥 filed Critical 장광옥
Priority to KR102016009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2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69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fixing or latching the lid or cover in a certain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복되도록 회동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를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1 개폐부의 회동과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지통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a garbage box}
본 발명은 휴지통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지통의 개구를 이중으로 폐쇄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세면장 기타 공공장소 등과 같은 장소에는 청결과 위생상의 목적으로 휴지통을 비취 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비취 된 휴지통은 대부분 뚜껑과 통으로 구성되거나 뚜껑이 없는 단순한 휴지통으로 구성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즉, 뚜껑과 통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휴지통 공개실용신안(20-2010-0012512)은 뚜껑에 회전방식을 이용하여 휴지를 버릴 때 뚜껑 일측 면을 누르면서 휴지를 버릴 수 있도록 형성된 것과, 뚜껑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휴지를 버릴 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으며, 때로는 뚜껑이 없는 휴지통은 단순히 휴지를 버릴 수 있도록 한 것이 일반적인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과 통으로 형성된 휴지통 뚜껑은 화장실이나 세면장 등과 같은 곳에서 대변 등과 같은 오물이나 침과 가래 등과 같은 오물이 묻은 휴지를 버리고 난 후, 오물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가 뚜껑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각종 해충에 노출되어 미관을 흐리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휴지통의 수용공간과 외부가 단일의 뚜껑으로 형성되어 뚜껑이 휴지통의 프레임에 제대로 조립되지 않거나 뚜껑이 프레임에 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제대로 조립되거나 위치하였다고 하더라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각종 오물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는 단일의 뚜껑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일쑤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지통의 개구가 외부로부터 2중으로 차단되어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하는 휴지통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복되도록 회동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를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1 개폐부의 회동과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개폐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폐부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경로부 및 상기 경로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경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개폐부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채 상기 경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로부와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2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지통의 개구가 외부로부터 2중으로 차단되어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휴지통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오물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가 뚜껑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오물 등에 의한 해충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지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지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1)(이하, 개폐장치(1))는, 프레임(P)에 의해 소정공간(Q)이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소정공간(Q)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프레임(P)을 기준으로 기립되거나 소정공간(Q)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프레임(P)을 기준으로 도복되는 휴지통 개폐장치(1)이다.
여기서, 개폐장치(1)는 일종의 뚜껑으로 프레임(P)과 개폐장치(1)에 의해 소정공간(Q)은 외부로 노출 또는 외부와 단절된다.
프레임(P)은 외측프레임(P1)과 내측프레임(P2)으로 구성되며, 외측프레임(P1)은 휴지통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프레임(P2)은 외측프레임(P1)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Q)을 제공하며 소정공간(Q)에는 사용자가 수용하고자 하는 특정 물건 일례로, 휴지 또는 쓰레기 등이 수용된다.
개폐장치(1)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폐되며 별도의 개폐보조장치에 의해 개폐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개폐장치(1)를 회동시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개폐장치(1)의 회동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소정공간(Q)은 1차적으로 제2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되고, 2차적으로 제2 개폐부(20)를 폐쇄하는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은닉된다. 이로 인해, 소정공간(Q)에 수용된 쓰레기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되어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개폐장치(1)는 소정공간(Q)에 수용된 물질과 외부와의 단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중 뚜껑인 셈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폐장치(1)는 제1 개폐부(10), 제2 개폐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10)는 외측프레임(P1)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외측프레임(P1)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H1)를 개폐한다. 외측프레임(P1)은 원기둥, 각기둥 또는 원과 각이 혼합된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맞닿는 면은 밀폐되어 있고, 상측면은 개방되어 제1 개구(H1)를 형성한 입체구조물이다. 제1 개폐부(10)는 제1 고정회동축(S1)에 연결된 상태로 회동되어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거나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개폐부(20)는 내측프레임(P2)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내측프레임(P2)에 의해 형성된 제2 개구(H2)를 개폐한다. 여기서, 제2 개구(H2)는 제1 개구(H1)보다 작다. 내측프레임(P2)은 원기둥, 각기둥 또는 원과 각이 혼합된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프레임(P1)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Q)을 형성한다 내측프레임(P2)의 형상은 외측프레임(P1)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부(20)는 제2 고정회동축(S2)에 연결된 상태로 회동되어 제2 개구(H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거나 제2 개구(H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다.
연결부(30)는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를 연결하며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연동되어 제2 개폐부(20)를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2 개폐부(20)의 회동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1 개폐부(10)의 회동과 동시에 구현된다.
즉, 제1 개폐부(10)에 의해 제1 개구(H1)가 폐쇄되는 경우 제2 개폐부(20)의 제2 개구(H2)의 폐쇄는 동시에 구현되며, 제1 개폐부(10)에 의한 제1 개구(H1)의 개방은 제2 개폐부(20)의 제2 개구(H2)의 개방과 동시에 구현된다.
여기서, 제1 개구(H1)를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한 외력은 제1 개폐부(10)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인가된 외력에 회동되는 제1 개폐부(10)에 의해 제2 개폐부(20)는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회동축(S1)과 제2 고정회동축(S2)은 이격되어 배치되되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양자의 회동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부(30)는, 제1 개폐부(1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32) 및 제2 개폐부(20)에 장착되어 가이드부(3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4)를 구비한다.
가이드부(32)는 장착부(321), 경로부(323) 및 이탈방지부(325)를 구비한다.
장착부(321)는 제1 개폐부(10)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제1 개폐부(10)의 일측면은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패쇄하는 경우 제1 개구(H1)와 대향하는 면이다.
경로부(323)는, 장착부(321)로부터 연장되고 슬라이딩부(34)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슬라이딩부(34)가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한다. 즉, 슬라이딩부(34)는 경로부(323)에 의해 규정된 한정된 경로를 슬라이딩하여 위치 이동된다. 경로부(323)는, 제1 개폐부(10)의 일측단으로부터 제1 개폐부(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선형의 구조물이다.
이탈방지부(325)는 경로부(32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경로부(323)에 수용된 슬라이딩부(34)가 경로부(3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딩부(34)는 장착부(321), 경로부(323) 및 이탈방지부(325)에 의해 규정된 공간에 수용된 채, 경로부(323)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부(34)는 제2 개폐부(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341) 및 고정부(341)로부터 연결되며 경로부(323)에 수용된 채 경로부(32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343)를 구비한다.
고정부(341)는, 제2 개폐부(20)의 일측면에 연결되며, 제2 개폐부(20)의 일측면이란 제2 개폐부(20)가 제2 개구(H2)를 패쇄하는 경우 제2 개구(H2)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즉, 제1 개폐부(10)와 대향하는 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상술한 각 구성요소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a)는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2 개폐부(20)는 제1 개폐부(10)와 프레임(P)에 의해 은닉된 상태가 된다. 물론, 제2 개구(H2) 또한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은닉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2 개폐부(20)는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의 내측 공간에서 제2 개구(H2)를 폐쇄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제1 개폐부(10)는 외측프레임(P1)과 접촉된 상태가 되며, 제2 개폐부(20)는 내측프레임(P2)과 접촉된 상태가 된다.
즉, 개폐장치(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소정공간(Q)은 1차적으로 제2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되고, 2차적으로 제2 개폐부(20)를 폐쇄하는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은닉된다. 이로 인해, 소정공간(Q)에 수용된 쓰레기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쓰레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 등은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되어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는 외력에 의해 제1 개폐부(10)가 외측프레임(P1)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도 6 (a)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외측프레임(P1)과 이격되기 시작하면, 제1 개구(H1)가 외부로 노출되기 시작하며, 이 때, 경로부(323)에 수용된 제2 개폐부(20)의 접촉부(343)는 경로부(323)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제2 개폐부(20)는 제1 개폐부(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만약 제2 개폐부(20)가 제1 개폐부(10)의 특정위치에 고정된다면,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동시에 회동되는 중에 일정 각도에서 제2 개폐부(20)가 제1 개폐부(10)의 회동을 간섭 또는 제한하여 제1 개폐부(10)의 회동이 구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폐장치(1)는 제2 개폐부(20)와 제1 개폐부(10)의 연결부(30)분이 이동되도록 하여 제2 개폐부(20)가 제1 개폐부(1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제2 개폐부(20)의 접촉부(343)는 경로부(323)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여기서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이란 경로부(323)의 경로 중, 제1 개폐부(10)의 중심을 향한 방향이다. 이로 인해,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의 연결부(30)분은 제1 개폐부(1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제1 개폐부(10)의 회동은 제2 개폐부(20)에 의해 간섭 또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제2 개폐부(20)는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내측프레임(P2)과 이격되며 제2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되었던 소정공간(Q)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도 7의 (a)는 제1 개폐부(10)의 프레임(P)에 대한 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도 7 (a)의 측면도이다.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외측프레임(P1)에 대한 기립이 완료되면, 제2 개폐부(20)의 내측프레임(P2)에 대한 기립도 완료된다.
이 때, 제2 개폐부(20)의 접촉부(343)는 경로부(323)에 의해 규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이다. 즉, 접촉부(343)가 경로부(323)의 타측단까지 슬라이딩되어 더 이상 위치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제2 개폐부(20) 및 제1 개폐부(10)의 회동은 완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개폐부(10)의 외측프레임(P1)에 대한 기립되는 과정을 도 5, 도 6, 도 7을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제1 개폐부(10)의 외측프레임(P1)에 대한 도복되는 과정은 도 7, 도 6, 도 5의 순서로 진행되어 상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2 개폐부(20)의 회동과 가이드부(32) 즉, 경로부(32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4) 접촉부(343)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된다.
또한,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이 형성하는 제1 각도(A1, A2, A3)와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제2 각도(B1, B2, B3)는 상이하다. 여기서, 제1 각도(A1, A2, A3)는 제2 각도(B1, B2, B3)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개폐부(10)가 제1 고정회동축(S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외측프레임(P1)과 형성하는 각도, 제1 각도(A1, A2, A3)는 제2 개폐부(20)가 제2 고정회동축(S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내측프레임(P2)과 형성하는 각도, 제2 각도(B1, B2, B3)와 상이하며, 제1 각도(A1, A2, A3)는 제2 각도(B1, B2, B3)보다 작을 수 있다. 외측프레임(P1)과 내측프레임(P2)은 대략 평행하다.
또한, 제1 개폐부(10)와 제2 개폐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은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과 상이하다. 여기서,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이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폐쇄한 상태와 제2 개폐부(20)가 제2 개구(H2)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제1 개폐부(10)와 외측프레임(P1) 및 제2 개폐부(20)와 내측프레임(P2)이 형성하는 각은 대략 0°이며, 제1 개폐부(10)가 제1 개구(H1)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외측프레임(P1)과 형성하는 제1 각도(A3)와 제2 개폐부(20)가 제2 개구(H2)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내측프레임(P2)과 형성하는 제2 각도(B3) 중, 제1 각도(A3)는 제2 각도(B3)보다 작으므로 제1 개폐부(10)의 외측프레임(P1)에 대한 각의 변화율은 제2 개폐부(20)의 내측프레임(P2)에 대한 각의 변화율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 개폐장치는 슬라이딩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1)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슬라이딩부 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슬라이딩부(134)는 제2 개폐부(1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1341) 및 고정부(1341)로부터 연결되며 경로부(1323)에 수용된 채 경로부(132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1343)를 구비하며, 접촉부(1343)는 고정부(1341)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경로부(1323)와 구름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1343)는 고정부(1341)에 수용된 채 고정부(1341) 내에서 회전되는 일종의 볼/구슬일 수 있으며, 경로부(1323)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경로부(1323)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있지는 않지만, 고정부에 고정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볼/구슬형태로 구현되어 경로부와 구름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T: 휴지통
P: 프레임
P1: 외측프레임
P2: 내측프레임
H1: 제1 개구
H2: 제2 개구
1: 휴지통 개폐장치
S1: 제1 고정회동축
S2: 제2 고정회동축
10: 제1 개폐부
20: 제2 개폐부
30: 연결부

Claims (9)

  1.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 채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휴지통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소정공간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복되도록 회동되는 휴지통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에 고정된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된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를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은, 상기 제1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1 개폐부의 회동과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개폐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폐부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경로부 및 상기 경로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경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개폐부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경로부에 수용된 채 상기 경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로부와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2 각도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각의 변화율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의해 은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개폐장치.
KR1020160094222A 2016-07-25 2016-07-25 휴지통 개폐장치 Active KR10187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22A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6-07-25 휴지통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22A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6-07-25 휴지통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6A true KR20180011616A (ko) 2018-02-02
KR101875276B1 KR101875276B1 (ko) 2018-07-05

Family

ID=6122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22A Active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6-07-25 휴지통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06B1 (ko) * 2018-09-17 2019-02-26 김호동 압축 가능한 이중 밀폐식 쓰레기통
KR20190089380A (ko) * 2018-01-22 2019-07-31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72B1 (ko) 2023-06-21 2023-11-15 이관희 제습 밀폐형 휴지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4807B (en) 1995-08-18 1998-12-02 Archibald Morrison Lid support for wheeled refuse bins
US7878358B2 (en) 2005-09-26 2011-02-01 Covidien Ag Multiple container cart with individual foot pedal/lid actuation
KR101036602B1 (ko) 2009-11-25 2011-05-24 오병주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076462B1 (ko) 2011-05-25 2011-10-25 박윤근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KR101422997B1 (ko) 2013-04-10 2014-08-13 김은주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380A (ko) * 2018-01-22 2019-07-31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KR101952206B1 (ko) * 2018-09-17 2019-02-26 김호동 압축 가능한 이중 밀폐식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276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276B1 (ko) 휴지통 개폐장치
JP2020203788A (ja) 異臭の拡散を防止できる環境に優しい生ゴミ処理箱
US20060186121A1 (en) Trash can assembly with motion damper for lid
US20090045198A1 (en) Waste Container with Electrostatically Controlled Cover
KR102018508B1 (ko) 휴지통 개폐장치
US20060283929A1 (en) Pedal actuated waste disposal bin
KR20160061800A (ko) 폐 생리대 수거함
KR101076462B1 (ko)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CN210654710U (zh) 一种可存放垃圾袋的垃圾桶
CN104709641A (zh) 踩踏开闭式密闭垃圾箱
CA2762645A1 (en) Step trash can
US7832587B2 (en) Bin having a reversible flap
GB2471914A (en) Chewing gum dispenser and disposal container
KR200333697Y1 (ko) 발로 개/폐 동작되는 쓰레기통
JP3049256B2 (ja) 分別用押し出し投入口扉による連動開閉ゴミ箱の蓋
JP6851071B2 (ja) ペダル開閉式ごみ箱
AU3821302A (en) Gravity operated odourless dust bin
GB2520702A (en) Easy empty cat litter tray
JP2896981B2 (ja) 足踏みペダル付きゴミ箱
KR200354082Y1 (ko) 오물수납실이 분리 형성된 휴지통
KR20150002898U (ko) 회전식 개폐문을 구비하는 쓰레기통
CN210853817U (zh) 集成式多功能生活垃圾分类房
JPH068083Y2 (ja) ごみ収納庫
KR920002700Y1 (ko) 아파트용 벽면 쓰레기통
KR100868305B1 (ko) 납부필증 보관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걸림망체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