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101A -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9101A KR20180009101A KR1020160090571A KR20160090571A KR20180009101A KR 20180009101 A KR20180009101 A KR 20180009101A KR 1020160090571 A KR1020160090571 A KR 1020160090571A KR 20160090571 A KR20160090571 A KR 20160090571A KR 20180009101 A KR20180009101 A KR 20180009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artificial
- root
- artificial root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3—Details of the shape having more than one ro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가 포함된 인공 치근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111: 공간부
120: 지대주
130: 결합 부재
140: 보철물
15A, 150B: 지지 부재
Claims (15)
- 치조골에 결합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하부 내주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인공 치근;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인공 치근과 상대적 수직 변위에 따라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외경을 조절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인공 치근은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결합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상기 홈 형태는 상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형 및 필라(pillar)형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단면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또는 곡선형 테이퍼 처리된 단면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된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인공 치근이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제 1 요철 패턴이 형성된 로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제 1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 패턴이 형성된 홀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상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다각형 너트, 원형 너트 및 윙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너트 구조인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렌치 패턴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패턴은 상기 하부 내주면에서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패턴은 상기 하부 내주면에 복수 개가 계층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상에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치조골과 결합되는 외주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 패턴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내주면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유격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0571A KR20180009101A (ko) | 2016-07-18 | 2016-07-18 | 임플란트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0571A KR20180009101A (ko) | 2016-07-18 | 2016-07-18 | 임플란트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9101A true KR20180009101A (ko) | 2018-01-26 |
Family
ID=6102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0571A Abandoned KR20180009101A (ko) | 2016-07-18 | 2016-07-18 | 임플란트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910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3475A1 (ko) * | 2018-07-13 | 2020-01-1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
KR20200113728A (ko) | 2019-03-26 | 2020-10-07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유기프레임워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
-
2016
- 2016-07-18 KR KR1020160090571A patent/KR20180009101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3475A1 (ko) * | 2018-07-13 | 2020-01-1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
KR20200113728A (ko) | 2019-03-26 | 2020-10-07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유기프레임워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2353B1 (ko) | 치아 임플란트 | |
RU2612487C2 (ru) |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 |
EP4108208B1 (en) | Asymmetric zygomatic dental implant | |
JP5469341B2 (ja) | 生体適合性セラミックから作られた二部品型歯科インプラント | |
EP2152190B1 (en) |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 |
US20220104921A1 (en) |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 |
US7341454B2 (en) | Attachment mechanism for dental implants | |
US20140004481A1 (en) | Crestal Implant And Method For Processing Same | |
CA2207950A1 (en) | Design process for skeletal implants to optimize cellular response | |
JPS618043A (ja) | 義歯保持体を取付けるための顎骨内植込み子 | |
KR101608176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660183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126525B1 (ko) |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86621Y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US10743966B2 (en) | Implant unit | |
KR20180009101A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608170B1 (ko) | 임플란트 유닛 | |
US7556500B2 (en) | Bone-adaptive surface structure | |
KR100473141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CN105101906B (zh) | 具有带一个或多个外圈的安装元件的单件式或多件式种植系统 | |
KR101608167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740181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856365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0540447B1 (ko) |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 |
Pandey et al. | Macrodesign of dental implant–A revi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5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