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6210A - 회전형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210A
KR20180006210A KR1020160087057A KR20160087057A KR20180006210A KR 20180006210 A KR20180006210 A KR 20180006210A KR 1020160087057 A KR1020160087057 A KR 1020160087057A KR 20160087057 A KR20160087057 A KR 20160087057A KR 20180006210 A KR20180006210 A KR 2018000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protrusion
emitting device
mov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업
Original Assignee
손대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대업 filed Critical 손대업
Priority to KR102016008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210A/ko
Publication of KR2018000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21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21V14/02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발광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광부의 조명 각도를 다단계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회전형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클립 부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발광 부재, 상기 발광 부재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발광 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와 맞닿으며,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시에만 상하로 이동 가능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나사 산의 간격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발광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발광장치{Rotatable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회전형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광부의 조명 각도를 다단계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회전형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운동, 여행이나 하이킹, 조깅 등과 같은 레저 및 스포츠 활동시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고, 햇빛을 차광하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자챙이 전면으로 돌출된 모자를 착용하게 되고, 야간작업장에서도 상기와 같은 모자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자를 착용하고 등산, 낚시, 여행 등 주간에 활동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야간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별도의 발광 장치, 즉 플래시나 전구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등산이나 여행 중 야간에 플래시나 전구 등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고 이동해야 하므로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빛이 비추어지는 곳을 따라 시야를 이동해야 하므로 주의가 산만해서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작업장 등과 같이 손은 자유롭고 밝은 빛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한 손에 플래시나 전구 등을 들고 한 손으로만 작업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작업자가 플래시나 전구 등을 옆에서 들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도 1 및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하향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내부에 건전지와 초음파 발생기가 내장된 본체(110), 본체(110) 전면에 다수의 전구(12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탄성에 의해 끝단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클립(130)으로 이루어진 클립형 발광기에서, 상기 클립(130)은 본체(110)의 전면 양측에 일단부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원호 형상으로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31a, 132a)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31a, 132a)는 본체(110)의 상부 후면으로 연장되어 중앙에 모자챙의 테두리가 본체(1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걸리도록 걸림홈(131b, 132b)이 각각 형성되며, 끝단부는 본체(110)의 후면 상부로 상향 곡선지게 각각 형성된 제1클립(131)과 제2클립(13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된 다수의 전구(120)와 본체(110)에 내장된 초음파 발생기를 작동하는 스위치 및 연결잭(160)를 구비한 클립형 발광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다수의 전구(120)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구를 이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본체 내에 다수의 전구(120)가 고정 장착되고, 모자챙의 부분에 제1클립(131)과 제2클립(132)을 끼워 사용하는 경우, 모자챙의 방향과 발광 방향이 일치되어 발광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모자챙의 방향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2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광 하우징이 3차원적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패널과 착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형 부재를 포함하고, 회전형 부재가 장착 패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착탈형 베이스와 상기 착탈형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형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광 하우징이 3차원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상기 광 하우징이 상기 장착 패널에 대해 축 회전하고, 회전형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회전형 헤드램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조정형 헤드의 후측에 형성된 제1 바이어스 표면과 상기 조정형 헤드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바이어스 표면을 포함하여, 상기 조정형 헤드가 상향으로 회전축을 따라 제1 조사 위치에 접히면 상기 제1 바이어스 표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앞쪽에 대해 바이어스되고, 상기 조정형 헤드가 하향으로 회전축을 따라 상기 제2 조사 위치에 접히면, 상기 바이어스 표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앞쪽에 대해 바이어스되는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클립 광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4에는 광 하우징이 하우징 본체, LED 광원을 지지하는 조정형 헤드 및 상기 하우징 본체와 조정형 헤드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정형 헤드가 상향으로 회전축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접히는 제1 조사 위치 및 상기 조정형 헤드가 하향으로 회전축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접히는 제2 조사 위치 사이로 상기 조정형 헤드가 회적축을 따라 이동되는 클립 광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703호(2006.03.23 등록) 미국 특허 US 8,201,961(2012.06.19 등록) 미국 특허 US 8,444,285(2013.05.21 등록) 미국 특허 US 8,474,995(2013.07.02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장착 패널과 회전형 부재에 의해 발광 방향을 변경하는 구조로서, 광헤드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번잡하고, 일정 방향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클립핑부에 대해 광 하우징이 좌우 회전되는 구조로서 광 헤드의 방향을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클립핑부의 회전에 따라 광 하우징이 상하로 회전되는 구조로서 광 헤드의 방향을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클립핑부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없고 회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체에 마련된 클립 부재와 관계없이 발광 부재의 회전을 다단계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회전형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 부재의 회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전형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는 클립 부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발광 부재, 상기 발광 부재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발광 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와 맞닿으며,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시에만 상하로 이동 가능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의 일 측과 일체로 마련된 축, 상기 축과 일체로 마련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는 소정의 각도로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15도 내지 55도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기어의 나사 골에 맞물리는 돌기부를 구비한 회전 규제부와 상기 회전 규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발광 부재는 다수의 발광부, 상기 다수의 발광부를 내장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를 향해 양단이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가동 부재의 축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의 다른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유지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본체의 평탄부에 대해 각각 0도, 25도, 50도, 75도, 90도의 상태로 상하 이동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커버의 내측 중앙 부분에는 홈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본체의 평탄부와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회전 규제부의 돌기부는 상기 기어의 나사 산에 맞물리며 하강하고 상기 나사 골과 맞물리면서 상승하여 나사 골 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클립 부재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상기 클립 부재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본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서 본체의 후면으로 연장된 볼록부, 상기 볼록부에서 연장되어 후면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개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 의하면, 가동 부재와 유지 부재가 나사 골과 돌기부의 결합에 의해 유지되므로, 발광 부재의 회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에 의하면, 가동 부재에 마련된 나사의 나사 산의 회전에 따라 발광 부재가 회전하므로, 나사 산의 간격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연속하여 발광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클립형 발광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를 모자챙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커버의 평면도,
도 6은 기어의 나사 산의 길이와 돌기부의 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회전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를 모자챙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는 클립 부재(10)가 마련된 본체(20), 상기 본체(20) 상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발광 부재(30), 상기 발광 부재(30)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발광 부재(3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동 부재(40), 상기 가동 부재(40)와 맞닿으며, 상기 가동 부재(40)의 회전시에만 상하로 이동 가능한 유지 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 부재(10)는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챙에 끼워지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3의 예에서는 클립 부재(10)가 모자 챙에 사용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 사용자의 상의, 가방, 벨트 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0)는 본체(20)의 하부(도 2에서 아래쪽 부분) 양측에서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본체(2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1), 상기 돌출부(11)에서 본체(20)의 후면(도 2에서 오른쪽 부분)으로 연장되고 모자챙의 테두리에 걸리게 하는 볼록부(12), 상기 볼록부(12)에서 연장되어 후면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개방부(13)로 이루어지며, 이 클립 부재(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는 클립 부재(10)가 본체(20)의 양단에 마련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20)의 중앙 부분에 하나의 클립 부재(10)를 마련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20)는 클립 부재(10)와 일체로 마련된 지지 부재(21)와 이 지지 부재(21)에 끼워 맞추어 결합하는 캡 부재(22)를 구비한다. 상기 캡 부재(22)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부재(30)를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23)가 장착된다. 또 상기 캡 부재(21)의 전단(도 4에서 왼쪽 부분)의 하부 양측에는 발광 부재(30)와 결합하기 위한 반원형의 제1 오목부(221)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 부재(21)의 전단(도 4에서 왼쪽 부분)은 발광 부재(30)가 탑재되도록 평탄하게 이루어진 평탄부(215)가 마련되고, 중앙 상부(도 4에서 중앙 부분)의 측벽에는 상기 발광 부재(30)와 결합하기 위한 반원형의 제2 오목부(211)가 마련되고, 후단(도 4에서 오른쪽 부분)에는 PCB 기판(24)과 배터리(25)를 내장하기 위한 원통형의 구멍(212)이 형성되고, 이 원통형의 구멍(212)의 하부는 배터리 케이스(26)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PCB 기판(24)에는 스위치(23)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25)에서 발광 부재(30)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마련되고, 원통형의 구멍(212) 내에 마련된 단차 부분에 끼워 맞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구멍(212)에 인접해서 측벽 내에는 유지 부재(50)를 내장하기 관통 홀(213)이 형성되고, 측벽의 중앙 부분에는 발광 부재(40)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돌기(214)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214)는 전후 방향(도 4에서 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부재(30)는 다수의 발광부(31), 상기 다수의 발광부(31)를 내장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31)는 도 2 및 도 4에서 3개의 LED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 예를 들어 4 내지 7개를 마련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발광부(31)에는 LED를 유지하고 LED와 전원선(34)의 연결을 위한 기판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2)와 발광부(31)를 내장하도록 상부 커버(32)와 끼워 맞추어지는 하부 커버(33)로 이루어지고, 상부 커버(32)와 하부 커버(33)의 끼워 맞춤은 상부 커버(32)의 내면에 다수의 끼워 맞춤용 돌기(321)를 마련하고, 하부 커버(33)의 내면에 상기 끼워 맞춤용 돌기에 대응하는 홈(331)을 마련하고, 발광부(31)를 내장한 후, 돌기(321)를 홈(331)에 억지 끼워 맞춤하는 것에 의해 커버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 커버(32)와 하부 커버(33)의 각각의 양단에는 본체(20)를 향한 방향(도 4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322, 332)를 구비하고, 이 연장 부(322, 332)의 내측에는 가동 부재(40)가 마련된다.
이 가동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커버(32)의 평면도이고, 도 6은 기어의 나사 산의 길이와 돌기부의 길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상부 커버(32)의 연장부(322)의 일 측(도 5에서 우측)의 내측에는 가동 부재(40)로서, 상부 커버(32)와 일체로 마련된 축(41)과 상기 축(41)과 일체로 마련된 기어(42)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42)의 나사 산의 간격은 발광 부재(30)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15도, 25도, 30도의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기어(42)는 가동 부재(40)와 유지 부재(50)에 의해 발광 부재(30)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 회전하여 본체(20)의 평탄부(215)에 대해 각각 0도, 25도, 50도, 75도, 90도의 상태로 이동하여 유지되도록 나사 산이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어(42)의 나사 산의 간격은 통상의 나사와 같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간격으로 발광 부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원주에 대해 1번째에서 4번째의 나사 산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25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4번째의 나사 산과 5번째의 나사 산의 간격은 15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 연장부(322)의 다른 측(도 5에서 좌측)의 내측에는 발광부(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34)을 내장하는 유지부(3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지부(324)에는 관통 홀이 마련되고, 이 관통 홀을 통과하는 전원선(34)에 의해 PCB 기판(24)과 발광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322)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발광 부재(30)의 회전을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해 커버를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324)가 마련된다. 또 상기 상부 커버(32)의 중앙 부분에는 돌기(214)를 수용하도록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홈(325)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홈(325)에 돌기(214)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발광 부재(30)는 본체(20)의 평탄부(215)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322)의 일 측에는 가동 부재(40)의 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반원형의 제3 오목부(333)가 마련되고, 다른 측에는 유지부(323)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반원형의 제4 오목부(334)가 마련되며, 제4 오목부(334)의 외 측에는 제2 오목부(211)에 끼워 맞추어지는 반원형의 홈(335)이 형성된다.
상기 유지 부재(50)는 지지 부재(2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된 관통 홀(213)에 내장되며, 지지 부재(21)에 끼워 맞추어지는 유지판(51), 상기 기어(42)의 나사 골에 맞물리는 돌기부(531)를 구비한 회전 규제부(53)와 상기 회전 규제부(53)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유지판(51)의 중앙에 마련된 돌기(511)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판(51)의 양측에는 걸림턱(512)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512)이 지지 부재(21)의 관통 홀(213)에 마련된 단턱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50)가 지지 부재(21)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부재(52)는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코일스프링의 하부가 돌기(511)에 삽입되며, 코일스프링의 상부는 회전 규제부(53)의 하부에 마련된 원형 홈(532) 내에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규제부(53)의 상부에 마련된 돌기부(531)의 길이(L')는 기어(42)에 마련된 나사 산의 길이(L)보다 작게 형성되고, 기어(42)의 나사 골에 대응하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회전 규제부(53)는 관통 홀(213)에 마련된 단턱 부분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조립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단자와 (-)단자를 결합하고 전원선(34)을 PCB 기판(24)과 발광부(31)에 납땜하고, 하부 커버(33) 내에 발광부(31)를 내장하고, 상부 커버(32)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끼워 맞춤용 돌기(321)를 하부 커버(33)의 내면에 형성된 홈(331)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40)와 일체로 이루어진 발광 부재(30)가 조립된다.
한편, 지지 부재(2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된 관통 홀(213)을 통해 유지판(51)을 끼워 맞추고, 이 유지판(51)에 탄성 부재(52)와 회전 규제부(53)를 장착한다. 이 과정을 통해 본체(20) 내에 유지 부재(50)가 장착된다.
이어서, 납땜이 완료된 PCB 기판(24)을 클립 부재(10)와 일체로 마련된 지지 부재(21)의 원통형의 구멍(212)에 내장하고, 하부 커버(33)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335)을 지지 부재(21)에 형성된 반원형의 제2 오목부(211)에 끼워 맞춘다. 이 과정을 통해 기어(40)가 회전 규제부(53)에 맞물리게 된다.
계속하여 캡 부재(22)를 지지 부재(21)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가 완성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0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회전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좌측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형 발광장치에서 발광 부재(3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발광장치가 모자챙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광 부재(30)가 하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발광 부재(30)가 25도 이동한 상태, 도 7의 (b)는 발광 부재(30)가 50도 이동한 상태, 도 7의 (c)는 발광 부재(30)가 75도 이동한 상태, 도 7의 (d)는 발광 부재(30)가 90도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단계에서 발광 부재(30)의 회전은 지지 부재(21)에 마련된 측벽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어 90도의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부재(30)가 지지 부재(21)의 평탄부(215)에 장착된 상태로서, 유지판(51)의 중앙에 마련된 돌기(511)에 삽입된 탄성 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규제부(53)의 돌기부(531)가 나사(42)의 나사 골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발광 부재(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53)의 돌기부(531)가 나사(42)의 나사 산과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돌기부(531)가 하강하여 탄성 부재(52)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계속해서 발광 부재(30)가 회전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판(51)의 중앙에 마련된 돌기(511)에 삽입된 탄성 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규제부(53)의 돌기부(531)가 나사(42)의 나사 골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발광 부재(30)는 지지 부재(21)의 평탄부(215)에서 25도 상승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 진행하여 발광 부재(30)를 평탄부(215)에서 50도, 75도, 90도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발광 부재(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순서와 반대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나사(42)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나사 산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부재(30)의 회전이 0도 내지 90도의 간격에서 실행되므로 나사 산과 나사 골의 형성을 나사(42)의 1/4의 범위에만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42)의 나사 골에 맞물리는 돌기부(531)의 길이(L')가 나사 산의 길이(L)보다 작은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기부(531)의 길이를 나사 산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발광 부재(30)의 회전 후 유지 상태를 더울 확실하게 보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발광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나사 산의 간격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발광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10 : 클립 부재
20 : 본체
30 : 발광 부재
40 : 가동 부재
50 : 유지 부재

Claims (10)

  1. 클립 부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발광 부재,
    상기 발광 부재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발광 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와 맞닿으며,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시에만 상하로 이동 가능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의 일 측과 일체로 마련된 축, 상기 축과 일체로 마련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는 소정의 각도로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15도 내지 55도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기어의 나사 골에 맞물리는 돌기부를 구비한 회전 규제부와 상기 회전 규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발광 부재는 다수의 발광부, 상기 다수의 발광부를 내장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를 향해 양단이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가동 부재의 축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의 다른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유지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본체의 평탄부에 대해 각각 0도, 25도, 50도, 75도, 90도의 상태로 상하 이동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커버의 내측 중앙 부분에는 홈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본체의 평탄부와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회전 규제부의 돌기부는 상기 기어의 나사 산에 맞물리며 하강하고 상기 나사 골과 맞물리면서 상승하여 나사 골 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클립 부재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클립 부재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본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서 본체의 후면으로 연장된 볼록부, 상기 볼록부에서 연장되어 후면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개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발광장치.
KR1020160087057A 2016-07-08 2016-07-08 회전형 발광장치 Ceased KR2018000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57A KR20180006210A (ko) 2016-07-08 2016-07-08 회전형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57A KR20180006210A (ko) 2016-07-08 2016-07-08 회전형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210A true KR20180006210A (ko) 2018-01-17

Family

ID=6102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057A Ceased KR20180006210A (ko) 2016-07-08 2016-07-08 회전형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2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11B1 (ko) * 2020-02-19 2020-04-16 문헌균 절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
KR20220009002A (ko) * 2020-07-15 2022-01-24 용 목 박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11B1 (ko) * 2020-02-19 2020-04-16 문헌균 절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
KR20220009002A (ko) * 2020-07-15 2022-01-24 용 목 박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366B2 (ja) 帽子取付型発光具
US8157403B2 (en) Light device with detachable clip member
US8201961B2 (en) Rotatable headlamp
US8474995B2 (en) Clip light
US11805836B2 (en) Headlamp having a detachable flashlight
US7175295B2 (en) Adjustable flashlight supportable about a user's neck
US8157401B2 (en) LED rechargeable headlamp
US20120057331A1 (en) Light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lip Mount
KR101719271B1 (ko)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US20240027058A1 (en) Headlamp with detachable light assembly
US7125139B2 (en) Flashlight
JP2021523533A (ja) ヘッドランプ
US8444285B2 (en) Clip light
KR102121312B1 (ko) 휴대용 조명장치
KR20180006210A (ko) 회전형 발광장치
KR20180046589A (ko) 헤드랜턴 모듈
EP3477183A1 (en) Tiltable work light
KR101969069B1 (ko)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KR101433185B1 (ko) 헤드 램프
KR200412315Y1 (ko) 탈착 가능한 후레쉬
KR200232788Y1 (ko) 헤드랜턴의 구조
JP2003272402A (ja) 携帯式照明装置
JP4402155B1 (ja) リング状照明器具
CN218721222U (zh) 头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