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21U - Cosmetic vessel - Google Patents
Cosmetic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321U KR20180003321U KR2020170002434U KR20170002434U KR20180003321U KR 20180003321 U KR20180003321 U KR 20180003321U KR 2020170002434 U KR2020170002434 U KR 2020170002434U KR 20170002434 U KR20170002434 U KR 20170002434U KR 20180003321 U KR20180003321 U KR 201800033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cover
- cover portion
- container
- periph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대면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가 구비되는 외뚜껑; 및 상기 외뚜껑의 내측에 부착되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측면부는 억지끼움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울은 상기 커버부 내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 outer lid having a cover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faces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 side portion that extend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and extends downward; And a mirr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lid, wherein the cover part and the side par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and the mirro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part.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로부터 거울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mirror is detachably coupled from a cosmetic container.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파우더나 크림 등 각종 화장품들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포장 사용하는 용도에서부터 리필 용도까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cosmetic containers are used for packaging various cosmetics such as powder and cream used in make-up, and they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depending on the use of cosmetics. Such cosmetic containers have been variously changed from use for packaging cosmetics to use for refilling.
이와 같이, 시대의 흐름이나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고체나, 반고체, 겔상, 액상 형태의 화장품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수분이나 오일이 혼합된 화장품을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형태를 화장품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In this way, cosmetics in the form of solid, semi-solid, gel or liquid are used as they are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trend and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form in which the impregnated member is impregnated with the cosmetics mixed with water or oil is stored in the cosmetics container It is also said.
화장품 용기 중, 콤팩트는 화장품이 수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일측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본체는 화장품을 수납하며, 뚜껑의 내측면에 거울이 부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가꾸거나 또는 얼굴에 묻은 이물질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Among the cosmetic containers, the compact comprises a container main body in which cosmetics are stored, and a lid which is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round a hinge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t this time, the container main body contains cosmetics and most of the mirrors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Accordingly, the user can often use his / her mirror to browse his / her face or to check the foreign matter stuck to the face at any time.
이러한 화장품 용기를 이용하여 거울을 보는 경우, 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용기본체를 잡고 이용해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화장품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화장품 용기 전체가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mirror is viewed using such a cosmetic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container body with the lid being opened and used, and after the use of the cosmetic product is completed, the entire cosmetic container is discard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의 커버부 및 거울이 측면부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됨에 의해 화장품 용기로부터 커버부 및 거울이 탈착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cover portion and a mirror can be detached from a cosmetic container when the cover portion and the mirror of the cover are forcedly coupled to the side portion,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대면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가 구비되는 외뚜껑; 및 상기 외뚜껑의 내측에 부착되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측면부는 억지끼움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울은 상기 커버부 내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 outer lid having a cover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faces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 side portion that extend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and extends downward; And a mirr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lid, wherein the cover part and the side par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and the mirro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거울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base portion to which the mirror is attached, and an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부는, 상단의 일 영역에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portion in one region of the upper end.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의 일 영역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거울의 사이에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coupl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irror, and the coupling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ortion by interference fit.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거울의 사이를 따라 구비된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거울의 둘레를 감싸는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flat plat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mirror, and an edge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lat plat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cover por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mirror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부는, 상단의 일 영역에 상기 에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in one region of the upper end.
구체적으로, 상기 에지부의 일 영역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edge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뚜껑의 커버부 및 거울이 측면부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됨에 의해 화장품 용기로부터 커버부 및 거울이 탈착 가능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이 완료된 후 손거울로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이며, 거울을 보는 경우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used as a hand mirror after the use of cosmetics is completed since the cover portion and the mirror can be detached from the cosmetic container by tightly fitting the cover portion and the mirror of the lid into the side portion , The ease of use can be improved when viewing a mirro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커버부 및 거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으로부터 거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으로부터 거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and a mirr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lid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irror is separated from the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d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rror is separated from the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커버부 및 거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ver and a mirr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0), 외뚜껑(20) 및 외뚜껑(20) 내측에 부착된 거울(3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용기본체(10)는 화장품 용기(100)에서 외형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도록 오목한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0)는 원형 타입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그리고, 외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부 측에서 용기본체(10)에 결합됨에 의해 화장품 용기(1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외뚜껑(20)의 일측은 용기본체(10)와 힌지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부재(미도시)를 축으로 용기본체(10)에 대하여 타측이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때, 외뚜껑(20)은 커버부(21) 및 측면부(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21)는 용기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며, 용기본체(10)와 대면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부(22)는 커버부(21)의 둘레를 감싸며 일정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0)의 상단 둘레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외뚜껑(20)에서 커버부(21)는 베이스부(21a)와 연장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1a)는 용기본체(10)와 대면하는 영역이며, 연장부(21b)는 베이스부(21a)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외뚜껑(20)의 커버부(21) 중에서 베이스부(21a)의 내측에는 거울(30)이 부착될 수 있다.In the
이와 같이 거울(30)이 부착된 화장품 용기(100)에서 외뚜껑(20)의 외측에는 캐릭터와의 콜라보 등을 통한 차별화된 디자인의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화려하고 차별화된 외뚜껑(20)의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높은 것에 비하여 화장품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화장품 용기(100) 전체가 버려지게 되어 비용적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커버부(21)와 측면부(22)가 억지끼움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을 다 사용한 뒤에 거울(30)이 부착된 커버부(21)를 측면부(22)로부터 분리하여 손거울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보다 상세하게, 측면부(22)는 상단의 일 영역에 연장부(2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부가 제거된 삽입홈(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1b)의 외주연은 삽입홈(23)의 내주연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부(21)가 측면부(22)의 삽입홈(23)에 억지끼움되며 결합되어,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측면부(22)의 삽입홈(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거울(30)은 커버부(21)의 베이스부(21a)와 연장부(21b)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거울(30) 역시 억지끼움에 의해 베이스부(21a)와 연장부(21b)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베이스부(21a)와 연장부(21b)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보다 견고하게 거울(30)을 부착시킬 수 있다.Here, the
이와 같이, 캐릭터 등의 디자인이 있는 외뚜껑(20)의 커버부(21)를 측면부(22)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품을 다 사용한 뒤에 커버부(21)를 분리하여 이에 부착된 거울(30)을 손거울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릭터 콜라보된 다른 화장품 용기와 차별화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도 화장품 용기(100)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용기본체(10)의 둘레 일 영역에는, 힌지부재(미도시)를 축으로 외뚜껑(20)을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힌지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에 누름부재(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11)를 누름에 의해 누름부재(11)와 연결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뚜껑(20)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며 외뚜껑(20)이 개방될 수 있다.A pressing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중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체는 용기본체(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측면과, 측면으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10)와 중체는 그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 body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또한, 중체의 내측에는 내용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에는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으며, 리필용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기가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용물 소진 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Further, a content contain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At this time,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period, and may be a refill period. As a result, the contents container can be detached from the
이러한 내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기의 공간에 수납되는 내용물이 함침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 다양한 재질의 내용물이 수납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may be provided with an impregnation member (not shown) impregnated with a cosmetic material. Here, the content stored in the space of the content container is not limited to the impregnated member,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contents of various materials can be stored therein.
더욱이, 내용기의 상부에는 내뚜껑(40)이 구비되어, 내용기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다. 내뚜껑(40)은 내용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부재(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뚜껑(40)이 개폐되는 방향은 외뚜껑(20)과 용기본체(10)가 개폐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뚜껑(40)의 개폐 시 외뚜껑(2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장 시에도 내뚜껑(40)이 거울(30)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Furthermore, an
그리고, 내뚜껑(40)은 힌지부재(50)와 대향하는 측의 외주면에 손잡이부(미도시)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기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뚜껑(40)을 보다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The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으로부터 거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irror is separated from a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외뚜껑(20)은 용기본체(10)와 대응하는 면에 구비되는 커버부(21)와, 커버부(21)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3A and 3B, the
이때, 커버부(21)는 내측에 거울(30)이 부착되는 베이스부(21a)와, 베이스부(21a)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울(30)은 베이스부(21a)와 연장부(21b)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에 위치되어 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측면부(22)는 상단의 일 영역에 연장부(21b)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홈(23)에 연장부(21b)가 삽입됨에 의해 커버부(21)와 측면부(22)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1b)의 외주연은 삽입홈(23)의 내주연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되어, 별도의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한 커버부(21)가 측면부(2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커버부(21)와 측면부(22)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장부(21b)의 외주연 일 영역에는 돌출부(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부(24)와 대응되는 삽입홈(23)의 내주연에는 수용홈(25)이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ding
이에 의해 커버부(21)가 측면부(22)의 삽입홈(23)에 끼워질 때 돌출부(24)가 수용홈(25)에 체결되면서 커버부(21)와 측면부(22)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커버부(21)와 측면부(22)는 화장품 사용이 완료되는 경우, 용기본체(10)로부터 외뚜껑(20)이 개방된 상태에서 거울(30)이 구비된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커버부(21)를 누름에 의해 측면부(22)로부터 커버부(21)가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4)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삽입홈(23)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ruding
이처럼 거울(30)이 부착된 커버부(21)가 측면부(2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화장품 용기(100)에서 필요에 따라 거울(30)을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버부(21)에 돌출부(24)가 구비되고, 측면부(22)에 수용홈(25)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커버부(21)에 수용홈(25)이 구비되고, 측면부(22)에 돌출부(24)가 구비되어도 됨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으로부터 거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d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rror is separated from a lid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본체(10, 도 2 참조)의 상부를 개폐하는 외뚜껑(60)은 커버부(61), 결합부재(62) 및 측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4A and 4B, an
여기서, 커버부(61)는 외뚜껑(60)의 가장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62)는 커버부(6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62)의 하부에는 거울(70)이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이때, 결합부재(62)는 평판부(62a)와, 평판부(62a)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에지부(62b)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62a)는 커버부(61) 및 거울(70)의 사이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에지부(62b)는 평판부(62a)의 둘레를 따라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부(62b)는 커버부(61) 및 거울(7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즉, 커버부(61) 및 거울(70)은 각각 평판부(62a)와 에지부(62b)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부 및 하부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각 억지끼움에 의해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평판부(62a)와 에지부(62b)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부 및 하부의 공간에 각각 커버부(61) 및 거울(70)을 보다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외뚜껑(60)의 측면부(63)는 결합부재(62)의 에지부(62b) 둘레를 감싸며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측면부(63)의 상단 일 영역에는 에지부(62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부가 제거된 삽입홈(64)이 구비될 수 있다. 에지부(62b)의 외주연은 삽입홈(64)의 내주연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되어, 결합부재(62)가 측면부(63)에 대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측면부(63)의 삽입홈(64)과 맞닿으며 억지끼움되는 결합부재(62)의 에지부(62b)가 커버부(61) 및 거울(70)을 감싸고 있다. 이에 의해 결합부재(62)의 에지부(62b)는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21)의 연장부(21b)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63)에 더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다. 즉,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다가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거울(70)이 포함된 부분이 측면부(63)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결합부재(62)와 측면부(63)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에지부(62b)의 외주연 일 영역에는 돌출부(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부(65)와 대응되는 삽입홈(64)의 내주연에는 수용홈(66)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firmly engage the engaging
이에 의해 결합부재(62)가 측면부(63)의 삽입홈(64)에 끼워질 때 돌출부(65)가 수용홈(66)에 체결되면서 결합부재(62)와 측면부(63)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결합부재(62)와 측면부(63)는 화장품 사용이 완료되는 경우, 용기본체(10)로부터 외뚜껑(60)이 개방된 상태에서 거울(70)이 구비된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커버부(61) 및 결합부재(62)를 누름에 의해 측면부(63)로부터 커버부(61) 및 결합부재(62)가 분리될 수 있다.The projecting
이처럼 거울(70)이 부착된 결합부재(62)가 측면부(63)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화장품 용기에서 필요에 따라 거울(70)을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a combin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 known techniques can be included as another embodiment.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such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sofar as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용기본체
20 : 외뚜껑
21, 61 : 커버부
21a : 베이스부
21b : 연장부
22, 63 : 측면부
23, 64 : 삽입홈
24, 65 : 돌출부
25, 66 : 수용홈
30, 70 : 거울
62 : 결합부재
62a : 평판부
62b : 에지부
100 : 화장품 용기10: container body 20: outer lid
21, 61:
21b:
23, 64:
25, 66: receiving
62: engaging
62b: edge portion 100: cosmetic container
Claims (8)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대면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가 구비되는 외뚜껑; 및
상기 외뚜껑의 내측에 부착되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측면부는 억지끼움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울은 상기 커버부 내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 outer lid having a cover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faces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 side portion that extend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and extends downward; And
And a mirr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lid,
Wherein the cov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and the mirro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portion.
상기 거울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base portion to which the mirror is attache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상단의 일 영역에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nd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top.
상기 연장부의 일 영역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in one area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커버부와 상기 거울의 사이에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upl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irror, and the coupl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ortion by interference fit.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거울의 사이를 따라 구비된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둘레를 따라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거울의 둘레를 감싸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A flat plat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mirror, and an edge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lat plate portion to surround the cover por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mirror.
상단의 일 영역에 상기 에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And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top.
상기 에지부의 일 영역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rotrusion is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edge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434U KR200488068Y1 (en) | 2017-05-17 | 2017-05-17 | Cosmetic vessel |
CN201820735408.7U CN208274323U (en) | 2017-05-17 | 2018-05-17 | Cosmetics contai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434U KR200488068Y1 (en) | 2017-05-17 | 2017-05-17 | Cosmetic vess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321U true KR20180003321U (en) | 2018-11-27 |
KR200488068Y1 KR200488068Y1 (en) | 2018-12-10 |
Family
ID=6455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2434U Active KR200488068Y1 (en) | 2017-05-17 | 2017-05-17 | Cosmetic vesse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8068Y1 (en) |
CN (1) | CN208274323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159316A (en) * | 2020-03-31 | 2021-10-1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Compact container with mirror body |
WO2022215788A1 (en) * | 2021-04-09 | 2022-10-13 |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 Recyclable cosmetic ca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8426B1 (en) * | 2019-09-09 | 2019-10-30 | 주식회사 신우 | Cosmetic container with rotable dual cap structure |
KR102343149B1 (en) | 2020-04-23 | 2021-12-28 | 펌텍코리아(주) |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detachable mirrors |
KR102281743B1 (en) | 2020-06-01 | 2021-07-26 | 펌텍코리아(주) | mirror-separated cosmetic container |
KR102434433B1 (en) * | 2021-04-01 | 2022-08-22 | 주식회사 삼화 | Cosmetic container |
KR20240159321A (en) | 2023-04-28 | 2024-11-05 | 김의래 | Cosmetic container with easy-to-separate mirr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7634A (en) * | 1999-01-29 | 2000-08-08 | Yoshino Kogyosho Co Ltd | Lid body having mirror for compact container |
KR200358737Y1 (en) * | 2004-05-20 | 2004-08-12 | 유강식 | Cosmetics Case |
-
2017
- 2017-05-17 KR KR2020170002434U patent/KR200488068Y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5-17 CN CN201820735408.7U patent/CN208274323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7634A (en) * | 1999-01-29 | 2000-08-08 | Yoshino Kogyosho Co Ltd | Lid body having mirror for compact container |
KR200358737Y1 (en) * | 2004-05-20 | 2004-08-12 | 유강식 | Cosmetics Cas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159316A (en) * | 2020-03-31 | 2021-10-1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Compact container with mirror body |
WO2022215788A1 (en) * | 2021-04-09 | 2022-10-13 |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 Recyclable cosmetic c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8068Y1 (en) | 2018-12-10 |
CN208274323U (en) | 2018-1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8068Y1 (en) | Cosmetic vessel | |
US6712076B2 (en) | Shade-evident airtight container | |
KR101499134B1 (en) | Vessel of cosmetics with multistage refill case | |
KR200494153Y1 (en) | Cosmetic vessel | |
KR200490927Y1 (en) | Cosmetic vessel | |
KR101666012B1 (en) |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 |
KR200460285Y1 (en) | Compact case for cosmetic | |
KR101564981B1 (en) | Cosmetic case | |
KR101877139B1 (en) | Cosmetic vessel | |
KR20160028553A (en) | Cosmetic case | |
KR20180003320U (en) | Cosmetic vessel | |
KR200488300Y1 (en) | Cosmetic vessel | |
US8215320B2 (en) | Cosmetic compact incorporating an applicator holder | |
KR200492537Y1 (en) | Cosmetic vessel | |
KR101922710B1 (en) | liquid vessel | |
KR20200022420A (en) | liquid vessel | |
CN107280210B (en) | Cosmetic container filled with gel cosmetic and solid cosmetic | |
JP5296625B2 (en) | Cosmetic container | |
CN109475220A (en) | Cosmetic package | |
CN203913814U (en) | sealed cosmetic box | |
KR102029097B1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a hinge coupling part formed inside thereof | |
KR102532676B1 (en) | A compact metal case | |
KR200488462Y1 (en) | Cosmetic vessel | |
CN113473882A (en) | Sliding type cosmetic powder compact box | |
KR200490823Y1 (en) | Cosmetic vess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51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52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2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