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3164U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64U
KR20180003164U KR2020180004587U KR20180004587U KR20180003164U KR 20180003164 U KR20180003164 U KR 20180003164U KR 2020180004587 U KR2020180004587 U KR 2020180004587U KR 20180004587 U KR20180004587 U KR 20180004587U KR 20180003164 U KR20180003164 U KR 201800031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user
filter sheet
filter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왕종문
Original Assignee
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종문 filed Critical 왕종문
Priority to KR2020180004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64U/en
Publication of KR20180003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64U/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배치되는 여과 시트; 여과 시트의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여과 시트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가 대응되는 부분이 여과 시트 측과 소통되도록 개구된 밀착 시트; 및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이격공간을 확장 형성시키고, 이격공간을 독립적으로 분리된 코 수용부와 입 수용부로 분리시키는 분리판을 포함한다.A mask is initiated.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sheet disposed on a user's face; A contact sheet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and the filter sheet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a portion of the user's mouth and nose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sheet side; And a separation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ltration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to form a spacing space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and to separate the spacing space into separate nose receiving portions and mouth receiving portions.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건위생상 병균이나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for masking nose and mouth to prevent inhalation and scattering of germs and dusts such as hygienic hygiene.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일상생활 또는 산업 현장에서 개인의 위생, 보건, 오염물의 흡입방지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사용범위가 라이딩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레져활동으로도 확대되고 있다.Generally, masks are widely used for personal hygiene, health, prevention of inhalation of pollutants in daily life or industrial fields, and recently, their use ranges have been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leisure activities such as riding.

이러한 마스크는 얼굴에 착용 시, 코와 입을 가리는 여과부와, 여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귀걸이 밴드로 이루어진다.Such a mask is composed of a filtering part for covering the nose and mouth when worn on the face, and an earring b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ing part and hooked to the user's ea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에 의하면, 코와 입을 가리는 여과부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됨에 따라서, 사용 시, 입김과 콧김에 의해 빠르게 젖어드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ask,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ilter portion covering the nose and the mout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so that it is quickly wetted by the breathing and snorting in use.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는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입김과 콧김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되어 마스크의 사용을 기피하는 단점도 내재되어 있다.Particularly, the mas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n the case of a wearer wearing glasses, fogging occurs in glasses due to burning and snorting, thereby avoiding use of the mask.

이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단점을 해소시키고자 하는 연구개발이 현재에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although various types of anti-fogging masks have been developed, they are still failing to satisfy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o solve such disadvantages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3452호(2005.12.05)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03452 (2005.12.05)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얼굴에 착용 시, 전면에 배치되는 여과부가 얼굴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in which a filter portion disposed on the front face is prevented from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face when worn on a face.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얼굴에 착용 시, 입과 코를 각각 분리시키면서 수용하도록 된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ask which is adapted to be received while separating the mouth and the nose when worn on the fac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배치되는 여과 시트; 상기 여과 시트의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여과 시트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여과 시트 측과 소통되도록 개구된 밀착 시트; 및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이격공간을 확장 형성시키고, 상기 이격공간을 독립적으로 분리된 코 수용부와 입 수용부로 분리시키는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sheet disposed on a user's face; A contact she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filter shee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portion of the user's mouth and nose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sheet; And a separation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to expand a spacing space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and separate the separated space from the nose receiving part and the mouth receiving part independently .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밀착 시트는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제1 개구부와, 코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상기 여과 시트의 외곽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Further,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sheet has a first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nose formed respectively up and down, As shown in FIG.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밀착 시트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시트는 상기 여과 시트에서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하부 시트는 상기 여과 시트에서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sheet is divided into an upper sheet and a lower sheet, and the upper sheet is provided alo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nose in the filter sheet,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in the filter sheet.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을 유지시키고, 상기 여과 시트의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plate can maintain the spacing space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and mainta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filter sheet.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 또는 밀착 시트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heet or the adhesive shee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heet and may include a band that is caught by the user's ear.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 또는 밀착 시트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얼굴에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nd that connects both sides of the filter sheet or the adhesive sheet and closely contacts the user's head when worn on the face.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의 외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입 수용부 측으로 배출되는 사용자의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sheet for discharging the breathed user discharged to the mouth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얼굴에 착용 시, 전면에 배치되는 여과 시트가 밀착 시트를 통해 얼굴로부터 이격되어 입김과 콧김에 의해 여과 시트가 빠르게 젖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lter sheet disposed on the front fa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ace through the adhesive sheet when the filter sheet is worn on the face, and to prevent the filter sheet from being wetted quickly by blowing and snorting.

그리고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여과 시트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 시트를 통해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pac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the utilization of the filter sheet can be improved and the unfiltered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adhesive sheet adhering to the face sheet.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얼굴에 착용 시, 입과 코를 각각 분리시키면서 수용함에 따라, 비교적 강하게 배출되는 입김과 콧김이 서로 혼합된 후, 안경 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경에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wears his / her face, the mouth and nose are separat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relatively strong discharge and snorting are mixed with each other, .

그 외에 본 고안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to be predi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with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된 밴드의 변형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된 제1 실링 패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된 제2 실링 패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되는 체크밸브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is a modified perspective view of a band applied to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sealing pad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sealing pad applied to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heck valve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imensions and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arbitrarily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단,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first, second, etc.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because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in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는 여과 시트(2), 밀착 시트(3), 및 분리판(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as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sheet 2, a contact sheet 3, and a separator plate 4.

상기 여과 시트(2)는 착용 시, 사용자의 안면에 배치되어 코와 입을 커버하면서 먼지나 병균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 등이 흡입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며, 안면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lter sheet 2 is disposed on the user's face to cover the nose and mouth while wearing the filter sheet 2, and directly blocks the intake of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dust and germs, and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to match the shape of the face .

이러한 여과 시트(2)는 오염물질의 흡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필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상에는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ter sheet 2 serves as a filter for effectively blocking the suction of contaminants. The filter sheet 2 is shown as a single lay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여과 시트(2)는 동일한 재질의 여과 시트(2)가 반복적으로 적층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여과 시트(2)가 반복적으로 적층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ter sheet 2 may be formed by repeatedly laminating the filter sheets 2 of the same material or by repeatedly stacking the filter sheets 2 of different materials.

이러한 여과 시트(2)는 자체적으로 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필터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lter sheet 2 itself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filter, and a separate filter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filter.

상기 필터층은 부직포, 활성탄소 필터 재료, 정전기 합성 섬유 필터 재료 등과 같이 오염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lter layer may include any type of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contaminants, such as a nonwoven fabric, an activated carbon filter material, an electrostatic synthetic fiber filter material, and the like.

즉, 상기 여과 시트(2)는 사용목적에 따라 단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터층이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 시트 자체가 필터기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sheet 2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ay be composed of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hell, and a filter layer made of various materials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 / RTI >

상기 밀착 시트(3)는 여과 시트(2)의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여과 시트(2)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와 대응되는 부분이 여과 시트(2) 측과 소통되도록 개구되어 있다.The adhesive sheet 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2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while separating the user's face and the filter sheet 2 from each other, 2) side.

이러한 밀착 시트(3)는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제1 개구부(3a)와, 코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3b)가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여과 시트(2)의 외곽을 따라 연결된다.The adhesive sheet 3 has a first opening 3a corresponding to the mouth of the user and a second opening 3b corresponding to the nose both up and down and the outer perimeter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filter sheet 2 .

이때, 밀착 시트(3)는 여과 시트(2)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열에 의한 접찹 또는 재봉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sheet 3 can be connected to the filter sheet 2 through various methods. For example, by interlacing or stitching.

그리고 상기 밀착 시트(3)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부 시트는 여과 시트(2)에서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구비되고, 하부 시트는 여과 시트(2)에서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The adhesive sheet 3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heet and a lower sheet. According to this, the upper sheet may be provided alo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se of the user on the filter sheet 2, and the lower sheet may be provided alo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of the user on the filter sheet 2.

즉, 상기 밀착 시트(3)는 전체가 1개의 시트로 이루어지거나, 상하로 구분되는 2개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며, 그 이상으로도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미도시)That is, the adhesive sheet 3 may be composed of one sheet or two sheets vert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adhesive sheet 3 may be formed more than once. (Not shown)

상기 밀착 시트(3)는 인체에 무해한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술한 여과 시트(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밀착력의 향상을 위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3 may be made of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adhesive sheet 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 sheet 2 described above, and may be made of silicon or the like to improve adhesion.

또한, 상기 밀착 시트(3)는 크기가 여과 시트(2)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시트(2)의 크기가 밀착 시트(3)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과 시트(2)는 넓은 면적을 통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의 흡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Further, the adhesive sheet 3 may be form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filter sheet 2 or may be made the same. Preferably, the size of the filter sheet 2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adhesive sheet 3, thereby allowing the filter sheet 2 to more effectively block the suction of contaminants from the outside through a large area have.

상기 분리판(4)은 여과 시트(2)와 밀착 시트(3) 사이에 구비되어 여과 시트(2)와 밀착 시트(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을 확장 형성시키고, 이격공간(S)을 독립적으로 분리된 코 수용부(5)와 입 수용부(6)로 분리시킨다.The separating plate 4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sheet 2 and the adhesive sheet 3 to expand and form a spacing space S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2 and the adhesive sheet 3, S are separated into the nose receiving portion 5 and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분리판(4)은 이격공간(S) 내에서 밀착 시트(3)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3a)와 제2 개구부(3b) 사이에 일측이 연결되고, 여과 시트(2)의 후면에 타측이 연결된다.The separating plate 4 is connected at one side between the first opening 3a and the second opening 3b formed in the adhesive sheet 3 in the spacing space S an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2 The other side is connected.

이때, 상기 분리판(4)은 매부리코 등과 같이 사용자마다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밀착 시트(3)와 여과 시트(2)를 경사지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재질이 연질의 금속, 합성수지, 및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ng plate 4 can be inclinedly connected to the adhesive sheet 3 and the filter sheet 2 so as to correspond to a nose having various shapes and shapes for each user, such as a mechiko, , A synthetic resin, and a fiber, or a mixture thereof.

특히, 상기 분리판(4)은 연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 코의 형태에 따라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separation plate 4 is made of a soft metal, it can be used while deforming th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nose.

또한, 분리판(4)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여과 시트(2)와 밀착 시트(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을 외력으로부터 유지시킬 수 있고, 여과시트(2)의 전체적인 입체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When the separator 4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spacing space S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2 and the adhesive sheet 3 can be held from external force, and the entirety of the filter sheet 2 The three-dimensional shape can be maintained.

이러한 분리판(4)은 이격공간(S)을 독립적인 코 수용부(5)와 입 수용부(6)로 각각 분리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입김과 콧김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The separating plate 4 separates the spacing space S from the independent nose receiving portion 5 and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 respectively, so that mixing of the user's nose and snort can be prevented.

또한, 분리판(4)은 얼굴의 중앙 즉, 코가 위치한 부분의 길이가 가장 길고, 양측으로 가면서 그 길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도 2 및 도 4참조)The separating plate 4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er of the fac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nose is located is the longest, and the length thereof gradually decreases on both sides (see Figs. 2 and 4).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는 다양한 형태의 밴드(7)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s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bands 7.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된 밴드의 변형된 사시도이다.3 is a modified perspective view of a band applied to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밴드(7)는 여과 시트(2) 또는 밀착 시트(3)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여과 시트(2) 또는 밀착 시트(3)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얼굴에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and 7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heet 2 or the adhesive sheet 3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which is caught on the user's ear. The filter sheet 2 or the adhesive sheet 3, And may be in the form of being closely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head when worn on the face.

이때, 상기 밴드(7)는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가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을 커버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band 7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groove for hanging on a user's ear may be formed, and a lower portion may be extended to cover the user's neck.

상기에서는 밴드(7)가 여과 시트(2) 또는 밀착 시트(3)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과 시트(2) 또는 밀착 시트(3)가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and 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heet 2 or the adhesive sheet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lter sheet 2 or the adhesive sheet 3 may be integrally extend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작동도이다.4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 시, 밀착 시트(3)의 제1 개구부(3a) 및 제2 개구부(3b)가 중점적으로 변형되면서 얼굴에 밀착된다.4, when the mas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worn on the user's face, the first opening 3a and the second opening 3b of the adhesive sheet 3 are mainly deforme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이때, 사용자의 코는 제1 개구부(3a)를 통해 코 수용부(5)에 수용되고, 입은 제2 개구부(3b)를 통해 입 수용부(6)에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nose of the user is received in the nose receiving portion 5 through the first opening 3a, and the mouth is received in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 through the second opening 3b.

*이후, 코 수용부(5)와 입 수용부(6)에 수용되는 입과 코는 밀착 시트(3)와 분리판(4)에 의해 이격공간(S) 상에 위치되어 여과 시트(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mouths and noses received in the nose receiving portion 5 and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 are positioned on the spacing space S by the adhesive sheet 3 and the separating plate 4 to form the filter sheet 2, Is prevented.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배출되는 입김과 콧김에 의해 여과 시트(2)가 빠르게 젖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상태로 마스크(1)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sheet 2 from being wetted quickly by the blowing and snorting discharged by the user, so that the mask 1 can be used in a more comfortable state for a long time.

또한, 상대적으로 강하고 많은 양이 배출되는 입김이 분리판(4)에 의해 콧김과 혼합되어 안경 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안경에 김서림을 방지시킴에 따라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도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relatively strong and large amount of exhaust gas is mixed with the snot by the separating plate 4 to prevent the escape to the eyeglasses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gging of the eyeglasses.

아울러, 입 수용부(6)와 코 수용부(6)가 독립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본인의 입냄새가 코를 통해 유입되는 상황을 차단하여 보다 쾌적하게 마스크(1)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 and the nose receiving portion 6 are formed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situation where the user's mouth odor enters through the nose so that the mask 1 can be used more comfortably.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P"는 코의 입체적인 형상에 따라 전체적인 마스크(1)의 상단부 형상을 변형시켜 사용자의 코에 여과 시트(2) 또는 밀착 시트(3)를 밀착시키는 패드(P)이다. 이때, 패드(P)는 여과 시트(2) 또는 밀착 시트(3)에 구비되거나, 여과 시트(2)와 밀착 시트(3)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4, the reference character "P" denotes a pad P which deforms the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mask 1 as a whole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nose so as to adhere the filter sheet 2 or the adhesive sheet 3 to the user's nose . At this time, the pad P may be provided on the filter sheet 2 or the adhesive sheet 3, or between the filter sheet 2 and the adhesive sheet 3.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는 전체적인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제1 실링 패드(8)와 제2 실링 패드(8a)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s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ad 8 and a second sealing pad 8a for improving overall performance.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된 제1 실링 패드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된 제2 실링 패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ealing pad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ealing pad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링 패드(8)는 밀착 시트(3)의 제1 개구부(3a)와 제2 개구부(3b)를 형성하는 면의 외측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5, the first sealing pad 8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urface forming the first opening 3a and the second opening 3b of the adhesive sheet 3. [

이러한 제1 실링 패드(8)는 여과 시트(2)를 거치지 않은 외부 공기가 코 수용부(5) 및 입 수용부(6)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입김 및 콧김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시킨다.The first sealing pad 8 can prevent the outside air not passing through the filter sheet 2 from flowing into the nose receiving part 5 and the mouth receiving part 6 and preventing the breathing and snorting from leaking to the outside .

이와 같은 제1 실링 패드(8)는 피부와 접촉 시,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질의 재료로 이루질 수 있으며, 밀착 시트(3)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ad 8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tactile feeling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may be formed separately or integrally with the adhesive sheet 3.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링 패드(8a)는 전술한 제1 실링 패드(8)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며, 제1 개구부(3a) 및 제2 개구부(3b)를 이루는 면이 롤의 형태로 말려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롤로 이루어질 수 있다.6, the second sealing pad 8a has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first sealing pad 8 described above, and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first opening 3a and the second opening 3b is a surface And may be formed of a separate roll.

이와 같은 롤 형태의 제2 실링 패드(8a)는 롤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고, 쿠션감을 통해 보다 향상된 촉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roll-shaped second sealing pad 8a can more reliably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by the roll, and can provide the user with a more improved feel through the sense of cushioning.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되는 체크밸브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적용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heck valve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applied to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는 전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7,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mask 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단,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는 여과 시트(20)의 외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입 수용부(60) 측으로 배출되는 사용자의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90)를 더 포함한다.However,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check valve 90 disposed at the outer side of the filter sheet 20 for discharging the breathed user discharged to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0 to the outside .

이러한 체크밸브(90)는 설치 바디(91), 플랩(92), 및 커버(93)를 포함한다.The check valve 90 includes an installation body 91, a flap 92, and a cover 93.

상기 설치 바디(91)는 입 수용부(60)와 소통되는 제1 배출홀(91a)이 복수로 형성되어 여과 시트(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플랩(92)은 설치 바디(91)에 일측이 연결되어 제1 배출홀(91a)들을 개폐시킨다.The mounting body 91 has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91a communicating with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0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sheet 20. The flap 92 is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91, So that the first discharge holes 91a are opened and closed.

이때, 상기 플랩(92)은 일측에 구비되는 돌기(92a)가 설치 바디(91)에 형성되는 끼움홈(91b)에 끼워지는 형태로 일측이 연결될 수 있고, 입김에 의해 일측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 바디(91)에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lap 92 can be connected in a form that the protrusion 92a provided at one side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91b formed in the mounting body 91, and one side is easily rotated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mounting body 91 to the other side.

상기 커버(93)는 외부와 소통되는 제2 배출홀(93a)이 복수로 형성되고, 내부에 플랩(92)을 수용하면서 설치 바디(91)에 결합된다.The cover 93 has a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93a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91 while receiving the flaps 92 therein.

이러한 체크밸브(90)에 의하면, 입 수용부(60) 측으로 입김의 방출 시, 먼저, 방출되는 입김에 의해 플랩(92)의 일측이 커버(93) 측으로 회전되면서 설치 바디(91)의 제1 배출홀(91a)들을 개방시킨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90, when one of the flaps 92 is rotated toward the cover 93 due to the blowing of the blowing air to the mouth portion 60, Thereby opening the discharge holes 91a.

이후, 입김은 개방된 제1 배출홀(91a)을 통해 커버(93)의 제2 배출홀(93a)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입 수용부(60) 내의 입김이 사라지면 플랩(92)의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 배출홀(91a)들을 외부와 차단시킨다.Then, the blow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first discharge hole 91a of the cover 93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93a of the cover 93. When the blowing in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0 disappears, And the first discharge holes 91a are cut off from the outside while being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elasticity.

즉, 상기 체크밸브(90)는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라 플랩(92)의 일측이 회전되면서 입수용부(60)와 소통되는 제1 배출홀(91a)들을 개폐시켜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 공기의 유입은 차단시킨다.That is, the check valve (90) opens and closes the first discharge holes (91a)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intake part (60) while one side of the flap (92)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t blocks the inflow of outside air.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체크밸브(90)를 통해 호흡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tably maintain respiration through the check valve 90, thereby maximizing ease of use.

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체크밸브(9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 the above-described check valves 90 are shown as a pai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체크밸브(9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모든 형태를 갖는 단일의 체크밸브(9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과 시트(20)에 단일의 체크밸브(90)가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heck valve 9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heck valve 90 having all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polygon, and a plurality of check valves 90 may be provided on the filter sheet 20 It is possible.

이하,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0)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전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9,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mas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단,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0)에서는 제1실시 예에서의 코 수용부(5)가 삭제되고, 입 수용부(600)만 형성되는 차이점이 있다.However, in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nose receiving portion 5 in the first embodiment is eliminated, and only the mouth receiving portion 600 is formed.

이러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0)에 있어서, 분리판(400)은 여과 시트(200)와 밀착 시트(300)의 상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이격공간(S)을 얼굴의 안면윤곽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확장시키고, 여과 시트(200)와 밀착 시트(300) 사이에 외부와 차단되는 입 수용부(600)를 형성시킨다.In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eparation plate 400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sheet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300 to correspond to the face contour of the face. And a mouth receiving portion 600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200 and the adhesive sheet 300 to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도면상에는 상기 분리판(400)이 독립적인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분리판(400)은 여과 시트(20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밀착 시트(3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hough the separating plate 400 is shown as an independent member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parator plate 4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lter sheet 20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dhesive sheet 300.

또한, 상기에서는 분리판(400)이 여과 시트(200)와 밀착 시트(300)의 상측면을 연결하면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paration plate 400 is provided while connecting the filter sheet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3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분리판(400)은 여과 시트(200)와 밀착 시트(3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 시,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수축과 이완이 용이하도록 주름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ing plate 40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sheet 200 and the adhesive sheet 300,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eparator plate 400 is provided at the upper or lower end, A corrugated surface may be formed to facilitate contraction and relaxation.

이러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100)에 의하면, 눈과 함께 코를 수용하는 고글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외부로 드러나는 입을 커버시키기 위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er wearing the goggles for holding the nose with the eyes can easily use it to cover the mouth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위생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코는 외부로 노출시키고, 외부로 침 등이 배출되는 것은 예방시키면서 하고자 할 때에도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can be easily used at the place where hygiene is required, when the nos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needles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상으로 본 고안의 3가지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includes all changes to the scope of equivalency.

1: 마스크 2: 여과 시트
3: 밀착 시트 3a: 제1 개구부
3b: 제2 개구부 4: 분리판
S: 이격공간 5: 코 수용부
6: 입 수용부 7: 밴드
8: 제1 실링 패드 8a: 제2 실링 패드
90: 체크밸브 91: 설치 바디
91a: 제1 배출홀 91b: 끼움홈
92: 플랩 92a: 돌기
93: 커버 93a: 제2 배출홀
1: mask 2: filter sheet
3: Adhesive sheet 3a: First opening
3b: second opening 4: separation plate
S: separation space 5:
6: mouthpiece 7: band
8: first sealing pad 8a: second sealing pad
90: Check valve 91: Installation body
91a: first discharge hole 91b: fitting groove
92: flap 92a: projection
93: cover 93a: second discharge hole

Claims (10)

사용자의 안면부에 배치되는 여과 시트;
상기 여과 시트의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여과 시트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여과 시트 측과 소통되도록 개구된 밀착 시트; 및
사이를 이격시키면서 얼굴과 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이격공간을 확장 형성시키고, 상기 이격공간을 독립적으로 분리된 코 수용부와 입 수용부로 분리시키는 분리판;
을 포함하는 마스크.
A filter sheet disposed on the user's face;
A contact she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filter shee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portion of the user's mouth and nose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sheet; And
And a part where the user's mouth and nose correspond to each other
A separat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to expand a space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to separate the separated space into separate nose receiving portions and mouth receiving portions;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시트는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제1 개구부와, 코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상기 여과 시트의 외곽을 따라 연결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sheet
Wherein a first opening corresponding to a mouth of the user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nose are formed respectively up and down, and an outer periphery is connec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lter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시트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시트는 상기 여과 시트에서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하부 시트는 상기 여과 시트에서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구비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sheet
An upper sheet and a lower sheet,
Wherein the upper sheet is provided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se of the user on the filter sheet and the lower sheet is provided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of the user on the filter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을 유지시키고, 상기 여과 시트의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키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plate
Wherein the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is maintained and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filter sheet is main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 또는 밀착 시트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밴드; 를 포함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nd tha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sheet or the adhesive sheet to hook the user's ear;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 또는 밀착 시트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얼굴에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밴드; 를 포함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nd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ilter sheet or the adhesive sheet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 s head when worn on the face;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의 외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입 수용부 측으로 배출되는 사용자의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 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heck valv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sheet to discharge the user's breathing to the mouth portion side to the outside; . ≪ / RTI >
사용자의 입주위에 배치되는 여과 시트;
상기 여과 시트의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 입주변과 상기 여과 시트 사이를 이격시키고, 사용자의 입과 소통되도록 개구된 부분을 제외한 면이 얼굴에 밀착되는 밀착 시트; 및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의 상측면을 연결하면서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경사지게 확장시키고, 상기 여과 시트와 밀착 시트 사이에 외부와 차단되는 입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분리판;
을 포함하는 마스크.
A filtration sheet disposed above the user ' s inlet;
An adhesive shee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to separate a space between a front surface of the user's face and the filter sheet and a surface other than a portion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mouth, And
A separating plate connecting the filter shee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to extend a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in an inclined manner to form an inlet receiv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filter sheet and the adhesive sheet;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 또는 밀착 시트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얼굴에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밴드; 를 포함하는 마스크.
9. The method of claim 8,
A band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ilter sheet or the adhesive sheet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 s head when worn on the face;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의 외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입 수용부 측으로 배출되는 사용자의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 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9. The method of claim 8,
A check valv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sheet to discharge the user's breathing to the mouth portion side to the outside; . ≪ / RTI >

KR2020180004587U 2018-10-08 2018-10-08 Mask Ceased KR2018000316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87U KR20180003164U (en) 2018-10-08 2018-10-08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87U KR20180003164U (en) 2018-10-08 2018-10-08 Mas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492 Division 2017-04-27 2017-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64U true KR20180003164U (en) 2018-11-06

Family

ID=6432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87U Ceased KR20180003164U (en) 2018-10-08 2018-10-08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64U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50B1 (en) * 2019-02-27 2019-08-27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e mask for healthy respiratory
KR102078959B1 (en) 2019-03-26 2020-02-26 배영진 A Face mask
KR102149675B1 (en) * 2019-06-17 2020-08-3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mask
KR20200105006A (en) * 2019-02-28 2020-09-07 정원욱 A Mask dispenser
KR102154505B1 (en) * 2019-09-06 2020-09-10 강윤식 Mask device
KR20210013789A (en) * 2019-07-29 2021-02-08 박진수 Mask for fine dust elimination
KR102231415B1 (en) * 2020-07-08 2021-03-23 김태준 Nose/mouth separative mask
JP2021085136A (en) * 2019-11-29 2021-06-03 榮堂 ▲クン▼ Sport mask
KR20210142991A (en) * 2020-05-19 2021-11-26 이상국 Mask that separates expiratory and inspiratory
KR102331656B1 (en) * 2021-06-22 2021-12-01 강진석 System of mask for preventing air from being mixed by selectively blocking inner space
DE102020131730A1 (en) 2020-11-30 2022-06-02 Joile GmbH mask and mask insert
KR102453910B1 (en) * 2021-11-22 2022-10-17 송우영 Solar mask with improved ease of use
CN115361885A (en) * 2020-04-06 2022-11-18 弗洛面罩有限责任公司 Partitioned PPE masks or respira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52A (en) 2002-07-03 2004-01-13 김상식 Prestressed long span precast concrete frame structura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52A (en) 2002-07-03 2004-01-13 김상식 Prestressed long span precast concrete frame structural system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50B1 (en) * 2019-02-27 2019-08-27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e mask for healthy respiratory
KR20200105006A (en) * 2019-02-28 2020-09-07 정원욱 A Mask dispenser
KR102078959B1 (en) 2019-03-26 2020-02-26 배영진 A Face mask
KR102149675B1 (en) * 2019-06-17 2020-08-3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mask
WO2020256363A1 (en) * 2019-06-17 2020-12-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mask
KR20210013789A (en) * 2019-07-29 2021-02-08 박진수 Mask for fine dust elimination
KR102154505B1 (en) * 2019-09-06 2020-09-10 강윤식 Mask device
JP2021085136A (en) * 2019-11-29 2021-06-03 榮堂 ▲クン▼ Sport mask
CN115361885A (en) * 2020-04-06 2022-11-18 弗洛面罩有限责任公司 Partitioned PPE masks or respirators
EP4132310A4 (en) * 2020-04-06 2024-05-15 Floe Mask, LLC Partitioned ppe mask or respirator
KR20210142991A (en) * 2020-05-19 2021-11-26 이상국 Mask that separates expiratory and inspiratory
KR102231415B1 (en) * 2020-07-08 2021-03-23 김태준 Nose/mouth separative mask
DE102020131730A1 (en) 2020-11-30 2022-06-02 Joile GmbH mask and mask insert
WO2022112122A1 (en) 2020-11-30 2022-06-02 Joile GmbH Mask and mask insert
KR102331656B1 (en) * 2021-06-22 2021-12-01 강진석 System of mask for preventing air from being mixed by selectively blocking inner space
WO2022270665A1 (en) * 2021-06-22 2022-12-29 강진석 Mask system for preventing air mixing by selectively blocking internal space of mask
KR102453910B1 (en) * 2021-11-22 2022-10-17 송우영 Solar mask with improved ease of use
WO2023090775A1 (en) * 2021-11-22 2023-05-25 송우영 Mask with improved us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164U (en) Mask
KR102092218B1 (en) Mask
KR100514662B1 (en) Face mask
KR101840108B1 (en) Mask for fine dust removal
KR102159200B1 (en) Mask with adjustable earring strap
KR102057059B1 (en) Mask firmly attached to a face
WO1997035492A1 (en) Breathing mask
KR20060083536A (en) Frame mask
KR102179117B1 (en) Respiration mask
KR102401356B1 (en) mask
KR200494166Y1 (en) Mask
KR102388276B1 (en) Mask
KR102390122B1 (en) Fuctional mask improving air purification function, antibiotic function and smooth breathing function
JP3124550U (en) Mask sanitary mask
KR20210060062A (en) Nose mask for fine dust
KR200322833Y1 (en) Face mask
JP2011030884A (en) Mask with transparent part
KR200358411Y1 (en) Air cleaning mask
KR200395267Y1 (en) A health mask for leisure
TWM619251U (en) Folding type protection masks
KR20210000416U (en) Face shield mask
CN207136308U (en) Air inlet and outlet valve and cover body integrated environment-friendly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element
KR20220081792A (en) Mask with anti-fog pad
KR102421391B1 (en) Anti-fog mask
CN213096274U (en) Anti-fogging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8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54492

Filing date: 2017042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8

Patent event code: UA02011R05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63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