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2713A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펩티드 모방 화합물 - Google Patent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펩티드 모방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13A
KR20180002713A KR1020177034097A KR20177034097A KR20180002713A KR 20180002713 A KR20180002713 A KR 20180002713A KR 1020177034097 A KR1020177034097 A KR 1020177034097A KR 20177034097 A KR20177034097 A KR 20177034097A KR 20180002713 A KR20180002713 A KR 2018000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compound
acid
ornithine
influenz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아 반 돈겐
크리스토프 프란시스 로버트 네스터 바이크
윔 버트 그리에트 스케이펜스
자로스로 주라스젝
바트 루돌프 로마니에 케스텔레인
피에레 진-마리에 버나드 라보이스손
보에리에스 브란덴부르크
Original Assignee
얀센 백신스 앤드 프리벤션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백신스 앤드 프리벤션 비.브이. filed Critical 얀센 백신스 앤드 프리벤션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0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1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50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7/54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 C07K7/56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the cyclisation not occurring through 2,4-diamino-butanoic ac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111Influenzavirus A, i.e. influenza A vi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1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히 계통발생군 1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결합하고/하거나 상기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펩티드 모방 화합물(peptidomimetic compound), 및 그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의 펩티드 모방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펩티드 모방 화합물
본 발명은 의학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히 계통발생군 1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결합하고/하거나 상기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펩티드 모방 화합물(peptidomimetic compound), 및 그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의 펩티드 모방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계절형 A형 인플루엔자는 주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서, 이는 수백만명의 경제적 부담을 주면서 매해 전세계적으로 250,000명보다 많은 이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와서 전세계적으로 면역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사람을 감염시킬 때 발생하는 유행성 인플루엔자는 인간 건강에 대하여 훨씬 더 큰 위협이 되며; 예를 들어, 1918년에 유행한 “스페인 독감”은 5000만명으로 추산되는 사망을 야기하였다. 계속된 관심사 중에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가 있으며, 이는 감염된 인간에 있어서 50% 초과의 사망률을 보여주었다. H5 및 H7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세계의 특정 지역의 가금류에서 풍토성이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현재 사람에서 사람으로 쉽게 전염될 수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조류 H5에 대한 최근의 데이터는 생체 내 모델 시스템에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이러한 바이러스가 에어로졸 전파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게 하는 데 단지 몇 개의 아미노산 변화가 충분함을 나타낸다.
A형 및/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광범위하게 중화시킬 수 있는 항체, 예컨대 CR9114 (국제 공개 제2013/007770호에 개시됨), CR6261 (국제 공개 제2008/028946호에 개시됨), FI6 (문헌[Corti et al., Science 333, 850-856 (2011)]에 기술됨)가 최근에 기술되었다. 이러한 항체는 매우 다양한 헤마글루티닌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넓은 스펙트럼의 인플루엔자 주(strain)를 중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한 항체는, 그의 효력 및 관용(breadth)의 결과로서, 현재 중병 환자의 치료적 치료용 및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을 위한 예방적 응용용으로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의 상품 및 그의 비경구 투여는 더 큰 집단에서의 단클론 항체의 사용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인플루엔자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이용가능한 다른 에이전트(agent)가 또한 심각한 제한과 연관되어 있다. 항바이러스약, 예컨대 뉴라미니다아제 저해제 오셀타미비르 및 자나미비르와 M2 저해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은 감염 후기에 투여될 경우 제한된 효능을 가지며, 광범위한 사용은 내성 바이러스 주의 출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성인에서의 오셀타미비르의 사용은 부작용, 예컨대 오심, 구토, 정신의학적 효과(psychiatric effect) 및 신장 이벤트(renal event)와 연관되어 있다.
더욱이,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능은 고위험 환자 (중장년층)에 있어서 차선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순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영구적인 항원 변화는 인플루엔자 백신 주와 순환 인플루엔자 주 사이의 가장 가까운 가능한 매치(match)를 보장하기 위하여 인플루엔자 백신 제형의 매해 적응(annual adaptation)을 요구한다.
인플루엔자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대안적인 전략으로서 헤마글루티닌(HA)에 작용하는 신규한 인플루엔자 항바이러스제를 발견하는 것이 또한 이 단백질의 큰 서열 가변성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지금까지 개시된 헤마글루티닌 리간드는 단지 제한된 수의 근연 인플루엔자 주들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낸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며, 또한 계절형 유행병의 높은 경제적 영향, 및 범유행병(pandemics)에 대한 계속되는 위험을 갖는 호흡기 질환의 중증도를 고려하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광범위한 활성을 갖고 인플루엔자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롭고 효과적인 저해제에 대한 지속적인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상이한 아형들의 헤마글루티닌(HA)을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의 HA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펩티드 모방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및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화합물 중 적어도 일부는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상이한 아형들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및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특이적으로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하기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Cap1은 N-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이고;
X2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인 지방족 L-아미노산이고;
X4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8은 Trp 또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며;
X9는 부재하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Cap2는 C-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환화 펩티드 모방 화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Cap1은 N-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이고;
X2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인 지방족 L-아미노산이고;
X4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8은 Trp 또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며;
X9는 부재하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Cap2는 C-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량체형, 특히 이량체형 펩티드 모방 화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하기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Cap1은 N-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이고;
X2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인 지방족 L-아미노산이고;
X4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8은 Trp 또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며;
X9는 부재하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Cap2는 C-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1가지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1: 3가지 인플루엔자 주 (A/캘리포니아(California)/07/09 (좌측), A/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20/99 (중앙), A/베트남(Vietnam)/1194/04 (우측))로부터 유래된 HA에 대한 CP141037, CP141019 및 CP141099의 결합 곡선이 제시되어 있다. 반응 단위(response unit; RU)가 증가하는 양의 화합물의 주사시의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되어 있다. 곡선은 SPR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기록(trace)이며, 오버레이된(overlaid) 얇은 흑색 선들은 데이터에 대한 1:1 랭뮤어 결합 모델(Langmuir binding model)의 최적 피트(best fit)이다.
본 발명으로 이어진 연구에서, HA와 특히 단클론 항체 CR6261, CR9114 및 FI6의 복합체의 구조 데이터에 의해 인도되어 신규한 펩티드 모방 화합물이 개발되었다. 펩티드 모방 화합물 (‘펩티드 모방체’로도 칭해짐)은 전형적으로 천연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단백질-유사 소분자이다.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모방체는 천연 펩티드가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의 천연 표적에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며 따라서 동일한 생물학적 효과를 가질 것이다. 천연 펩티드와 동일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지만 증강된 특성, 예컨대 더 높은 단백질 분해 안정성(proteolytic stability), 생체이용률, 선택성 및/또는 효력을 갖는 방식으로 이러한 분자를 설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 모방 화합물은 적어도 H1 아형,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A/캘리포니아/07/2009 및 A/뉴칼레도니아/20/1999의 HA, 및 H5 아형,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주 A/베트남/1203/2004의 HA에 대하여 경쟁적 결합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중 적어도 일부는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상이한 HA 아형의 HA를 각각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상이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에 대하여, 예컨대 H1 아형,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A/캘리포니아/07/2009 및 A/뉴칼레도니아/20/1999의 HA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및 H5 아형,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주 A/베트남/1203/2004의 HA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중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인플루엔자 항체와 관련하여 몇몇 장점을 제공하며, 이는 작은 크기 (1.5 kDa), 저비용의 화학물질 생산, 다량체 포맷(format)으로의 단순한 엔지니어링(engineering), 및 비-주사가능 투여 경로를 지원하는 잠재력을 갖는 높은 안정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서열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모방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Cap1은 N-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이고;
X2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인 지방족 L-아미노산이고;
X4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8은 Trp 또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며;
X9는 부재하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Cap2는 C-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상이한 아형들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의 헤마글루티닌(HA)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및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및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더 바람직하게는 4가지 이상의 상이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더 바람직하게는 4가지 이상의 상이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더 바람직하게는 4가지 이상의 상이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또 다른 아형, 예컨대 H2 및/또는 H9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1가지 이상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결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이라는 용어는 관심 대상의 단백질, 즉 HA의 에피토프에 결합하지만 생물학적 항원 분자 혼합물을 함유하는 샘플 중의 다른 분자는 실질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결합하지 않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군 1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에 1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1 μM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nM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nM 미만의 친화도 상수 (Kd 값)로 결합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바와 같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관련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이라는 용어는 헤마글루티닌(H) 및 뉴라미니다아제(N)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특징으로 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나타낸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들은 예를 들어 "H1 또는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이 이들의 H 수에 의하여, 또는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H1N1" 또는 "H5N1"과 같이, H 수 및 N 수의 조합에 의하여 지칭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이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그러한 아형 내의 모든 개별적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포함하는데, 상기 주는 일반적으로 헤마글루티닌 및/또는 뉴라미니다아제의 돌연변이의 결과로서 상이하며, 상이한 병원성 프로파일(pathogenic profile)을 나타내고, 천연 단리체와, 인공 돌연변이체 또는 재조합체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주는 또한 바이러스 아형의 다양한 "단리체"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 및 “단리체”라는 용어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은 그의 계통발생군을 참조하여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통발생 분석에 의하면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의 하기 2개의 주요 군으로의 세분이 입증되었다: 특히 계통발생군 1 (“군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H1, H2, H5 및 H9 아형 및 특히 계통발생군 2 (“군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H3, H4, H7 및 H10 아형.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은 임의의 20가지의 천연 발생 (또는 ‘표준’ 아미노산) 또는 이의 변이체, 예를 들어 D-아미노산 (키랄 중심을 갖는 아미노산의 D-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단백질에서 천연적으로는 발견되지 않는 임의의 변이체일 수 있다. 표 5는 표준 아미노산의 약어 및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이며 선형 또는 C-감마-분지형 측쇄를 갖는 지방족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타이로신의 히드록실 기를 대체하는 수소 결합 공여체 및/또는 수용체를 갖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며; X6은 Phe 또는 수소, 할로겐, 페닐 고리의 오르토 및/또는 메타 위치의 C1-C4 알킬, 페닐 고리의 파라 위치의 할로겐, L-3-나프탈렌-1-일-알라닌, 및 L-3-나프탈렌-2-일-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체를 갖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고; X8은 Trp 또는 C5, C6 및/또는 C7에서 할로겐 치환체를 갖고/갖거나 인돌 고리의 C2에서 작은 지방족 치환체를 갖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환형 화합물을 제공한다. 환화는 화합물의 유연성(flexibility)을 감소시키며, 더 높은 친화도 및 효력과, 증강된 특성, 예컨대 더 높은 단백질 분해 안정성, 생체이용률 및/또는 선택성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환화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2X10 사이 및/또는 잔기 X4X10 사이의 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환화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2X10을 포함하는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통하여 환화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4X10을 포함하는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통하여 환화된다.
따라서,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여기서, Cap1은 N-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이고;
X2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인 지방족 L-아미노산이고;
X4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8은 Trp 또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며;
X9는 부재하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Cap2는 C-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2 및/또는 X4는 환화에 이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임의의 L-아미노산으로서, 여기서 작용기는 L-아미노산의 C-알파 원자로부터 2 내지 5개의 원자만큼 떨어져 있고; X10은 환화에 이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임의의 L-아미노산으로서, 여기서 작용기는 L-아미노산의 C-알파 원자로부터 2 내지 5개의 원자만큼 떨어져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2는 Lys 또는 L-오르니틴이며, X10은 베타-알라닌, 3-아미노프로프리온산, 3-아미노-2,2-디메틸-프로프리온산, 4-아미노부탄산, 5-아미노펜탄산, 6-아미노헥산산, 또는 Pro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2는 Asp 또는 Glu이며, X10은 Lys 또는 L-오르니틴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4는 Lys 또는 L-오르니틴이며, X10은 베타-알라닌, 3-아미노프로프리온산, 3-아미노-2,2-디메틸-프로프리온산, 4-아미노부탄산, 5-아미노펜탄산, 6-아미노헥산산, 또는 Pro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4는 Asp 또는 Glu이며, X10은 Lys 또는 L-오르니틴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2X10 사이 및 잔기 X4X10 사이의 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환화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2X4X10에서 도입된 유리 아민 기와 트리스-숙신이미딜 아미노트리아세테이트 (TSAT)와의 분자내 가교결합에 의해 환화된다.
다른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량체형 펩티드 모방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다량체형 화합물은 본원에 개시된 2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이량체형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단량체들의 결합에 연루된 잔기는 X4 위치에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4에서 도입된 반응기의 분자간 가교결합에 의해 다량체화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모이량체(homodimer) (즉, 2가지의 유사한 단량체형 화합물을 포함함)일 수 있거나 헤테로이량체(heterodimer)일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Cap1, X1 내지 X10 및 Cap2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잔기 X4에서 도입된 반응기와 2 내지 20개의 반복 에틸렌 글리콜 단위로 구성된 링커(linker)와의 분자간 가교결합에 의해 이량체화된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 환화 및/또는 다량체형 화합물에서, Cap1 및/또는 Cap2는 0 내지 10개의 추가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Cap 1 및/또는 Cap 2는 부재할 수 있거나, 또는 10개 이하의 추가의 잔기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의 아미노산 서열이 N-말단 부위에 존재할 수 있고/있거나 10개 이하의 추가의 잔기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가 본원에 주어진 코어 서열의 C-말단 부위에 존재할 수 있다. C- 및/또는 N-말단 차단기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임의적 차단기일 수 있다. N-말단 차단기는 예를 들어 아세틸 또는 숙시닐이다. C-말단 차단기는 예를 들어 카르복스아미드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 또는 숙시닐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일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 (2S)-3,3-디메틸-2-아미노-5-페닐펜탄산 또는 Arg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2는 Lys, L-오르니틴, Cys, L-호모-시스테인, 또는 Ser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3은 Leu, L-노르류신, L-시클로펜틸알라닌, L-시클로부틸알라닌, L-시클로프로필알라닌, (2S,4S)-2-아미노-4-메틸헥산산, (2S,4R)-2-아미노-4-메틸헥산산, (2S,4S)-2-아미노-4-메틸헵탄산, (2S,4R)-2-아미노-4-메틸헵탄산, (S)-2-아미노-4-에틸헥산산, 또는 이들의 N-메틸화 유도체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4는 Asp, Glu, Arg, Lys, 오르니틴,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 N6-(4-카르복시부타노일)라이신, 또는 N5-(4-카르복시부타노일)오르니틴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5는 Tyr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6은 Phe, L-2-클로로페닐알라닌, L-3-클로로페닐알라닌, L-4-클로로페닐알라닌, 또는 L-3,4-디클로로페닐알라닌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일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7은 Glu, Gln, Asp, Asn, Arg 또는 Lys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8은 Trp 또는 L-2-메틸-트립토판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X9는 부재할 수 있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일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9는 Ser 또는 Gln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일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X10은 4-아미노부탄산, 베타-알라닌, ((2R)-3-아미노-2-(3-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 베타-알라닌, Lys, L-오르니틴, Cys 또는 호모시스테인이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2는 부재한다.
적어도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상이한 아형들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및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가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 예컨대 H5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특이적으로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1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더 바람직하게는 4가지 이상의 상이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H5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더 바람직하게는 4가지 이상의 상이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를 중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계통발생군 1로부터의 또 다른 아형, 예컨대 H2 및/또는 H9 아형의 HA를 포함하는 1가지 이상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교차-중화 화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중화시키는” 또는 “중화”라는 용어는 중화가 달성되는 기작과 상관없이, 대상체 내에서 생체 내에서 및/또는 시험관 내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복제되는 것을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적 세포에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부착 후 바이러스 및 세포 막의 융합의 저해를 통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중화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교차-중화시키는” 또는 “교차-중화”라는 용어는 A형 인플루엔자의 상이한 아형들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들을 중화시키는 능력을 나타낸다. 중화 활성은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중화 활성을 측정하는 대안적인 분석법은 예를 들어 문헌[WHO Manual on Animal Influenza Diagnosis and Surveillance, Geneva: World Health Organisation, 2005, version 2002.5]에 기술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험관 내 바이러스 중화 분석법(virus neutralization assay; VNA)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1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nM 이하의 중화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아르기닌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잔기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tail)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글루탐산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L-3,4-디클로로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L-시클로펜틸알라닌이며; X4는 글루탐산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L-N-메틸-류신이며; X4는 글루탐산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N6-(4-카르복시부타노일)라이신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글루탐산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글루타민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N6-(4-카르복시부타노일)라이신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에서 테일로 형성된 분자내 측쇄를 통하여 환화되며 13개의 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는 X4 아미드 결합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페이서 (PEG13)를 통하여 이량체화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글루탐산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2R)-3-아미노-2-(3-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 베타-알라닌이며; Cap2는 부재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X2X10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환화된다 (측쇄 X2에서 테일로의 락탐 형성).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 Cap1은 아세틸이며;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이며; X2는 L-오르니틴이며; X3은 류신이며; X4는 L-오르니틴이며; X5는 타이로신이며; X6은 페닐알라닌이며; X7은 글루탐산이며; X8은 트립토판이며; X9는 세린이며, X10은 L-오르니틴이며, Cap2는 카르복스아미드이며, 여기서, 화합물은 X2, X4 및 X10의 TSAT (트리스-숙신이미딜)아미노트리아세테이트) 매개된 결합에 의해 환화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본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본 발명의 펩티드 모방 화합물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절차에 의해, 특히 자동화된 고상 펩티드 합성기를 이용한 잘 확립된 화학적 합성 절차, 이어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1가지 이상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적합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같은 활성 분자와 조합되는 임의의 불활성 물질일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령체에게 비-독성이며, 제형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인 부형제이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치료제, 예방제 및/또는 진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는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가 또한 가능한 에이전트, 예를 들어 M2 저해제 (예를 들어, 아만티딘, 리만타딘) 및/또는 뉴라미니다아제 저해제 (예를 들어, 자나미비르, 오셀타미비르)일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조합되어”는 별개의 제형으로서 또는 하나의 단일 병용 제형으로서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별개의 제형으로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요법에 따름을 의미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인플루엔자”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이라는 용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 또는 대상체의 감염에서 생기는 병리학적 상태(pathological condition)를 나타낸다. 특정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용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호흡기 질환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라는 용어는 세포 또는 대상체에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multiplication) 및/또는 존재에 의한 침습을 의미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은 작은 집단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또한 계절형 유행병으로, 또는 더 나쁘게는 전 세계적 범유행병 (수백만명의 개인이 위험에 처함)으로 전세계에 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계절성 유행병과, 잠재적 범유행병을 야기하는 인플루엔자 주들의 감염을 중화시킬 수 있는 결합 분자들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인플루엔자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적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서 생기는 병태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본원에 정의된 화합물의 양을 나타낸다. 예방 및/또는 치료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되기 쉬운 환자군을 표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한 환자군은 예를 들어 중장년층 (예를 들어 50세 이상, 60세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65세 이상), 어린이 (예를 들어 5세 이하, 1세 이하), 입원 환자 및 항바이러스 화합물로 치료 받았지만 부적절한 항바이러스 반응을 보인 이미 감염된 환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예를 들어 정맥내 투여, 비강내 투여, 경구 흡입을 통한 투여, 폐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유리체내 투여, 경구 투여, 근육내 투여 등을 할 수 있다. 최적 투여 경로는 활성 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 임상 상황의 긴급성 및 활성 분자의 혈장중 농도와 요망되는 치료 효과의 관계를 비롯한 몇몇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샘플에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본 방법은 a) 상기 샘플을 진단적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화합물이 샘플 중 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샘플은 (잠재적으로) 감염된 대상체로부터의 혈액, 혈청, 조직 또는 기타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생물학적 샘플일 수 있다. (잠재적으로) 감염된 대상체는 인간 대상체일 수 있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매개체(carrier)로 의심되는 동물이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존재에 대하여 테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실시예 1: CP132070의 합성
Figure pct00010
베타 알라닌 사전로딩된(preloaded)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 (0.685 mmol/g)를 이용하여 0.5 mmol 규모로 수동 고상 Fmoc 펩티드 합성에 의해 선형 펩티드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아미노산 측쇄 작용체를 N-Boc (W), O-t-Bu (E,S,Y) 및 N-Pbf (R) 기로 보호하였다. N-Dde 기를 오르니틴 측쇄 아민 작용체의 직교 보호(orthogonal protection)에 이용하였다 (Boc: tert. 부톡시카르보닐, t-Bu: tert. 부틸, Dde: 1-(4,4-디메틸-2,6-디옥사시클로헥실리덴)에틸, Fmoc: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Pbf: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 제1 아미노산의 부착 전에, 상기 수지를 DMF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1시간 동안 팽윤시켰다. 3 당량의 각각의 Fmoc-아미노산 (DMF (4 mL) 중), 및 DMF (4 mL) 중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 당량) 및 HBTU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85 당량)를 함유하는 활성화 혼합물을 사용한 커플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 내지 2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Fmoc-기 제거를 DMF 중 20% 피페리딘 용액 (2 x 15분)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펩티드-수지를 아세트산 무수물과 4-메틸모르폴린 (DMF 중)의 혼합물 (2:1:17, v/v/v, 20 mL)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펩티드 어셈블리(assembly)의 마지막에 N-말단 아세틸화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펩티드-수지를 DMF 중 3% 히드라진 수화물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3 x 10분) N-Dde 보호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펩티드-수지를 65% (v) DCM (디클로로메탄), 20% (v)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10% (v)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및 5% (v) 트리에틸실란 (10 mL/g의 펩티드-수지)의 혼합물에서 60분 동안 선회시킴으로써 오르니틴 측쇄 탈보호 펩티드를 수지로부터 절단하였다. 수지를 여과 제거하고, DCM으로 세척하였다. 펩티드를 냉 이소프로필 에테르의 첨가에 의해 여과액으로부터 침전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조 펩티드를 후속 락탐 환화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오르니틴 측쇄 탈보호 C-말단 카르복실산 펩티드를 150 mL의 DMF에 용해시킴으로써 (여기에 DMF (90 mL) 중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 당량) 및 N-메틸모르폴린 (6 당량)의 용액을 적가함) 고 희석도에서 락탐 환화를 수행하였다. 완전한 전환이 관찰될 때까지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환화 펩티드를 수득하고, 이를 90% (v)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v) 티오아니솔, 2.5% (v) H2O 및 2.5% (v) EDT (에탄디티올)의 혼합물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완전히 탈보호시켰다. 침전, 이어서 빙냉 디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세척에 의해 조 펩티드를 수득하고, 이를 20 mL/분의 이동상 유량 (이동상 A: 물 중 0.05% TFA, 이동상 B: CH3CN, 선형 구배를 적용함)을 이용하여 제미니(Gemini) C18 예비 HPLC 컬럼 (30 x 150 mm, 50 μm, 100Å)과 일렬 상태로 있는 루나(Luna) C18 예비 HPLC 컬럼 (25 x 200 mm, 10 μm, 100Å)에서의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물의 동결건조에 의해 328 mg (수율: 53%, 순도: 97%)의 락탐 환화 펩티드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하기 화합물을 CP132070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실시예 2: CP141032의 합성
Figure pct00013
지베르(Sieber) 수지 (0.69 mmol/g)를 이용하여 0.25 mmol 규모로 수동 고상 Fmoc 펩티드 합성에 의해 선형 펩티드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아미노산 측쇄 작용체를 N-Boc (W), O-t-Bu (E,S,Y) 및 N-Pbf (R) 기로 보호하였다. N-Dde 기를 오르니틴 측쇄 아민 작용체의 직교 보호에 이용하였다 (Boc: tert. 부톡시카르보닐, t-Bu: tert. 부틸, Dde: 1-(4,4-디메틸-2,6-디옥사시클로헥실리덴)에틸, Fmoc: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Pbf: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 제1 아미노산의 부착 전에, 상기 수지를 DMF에서 1시간 동안 팽윤시켰다. 3 당량의 Fmoc-아미노산 (DMF (4 mL) 중), 및 DMF (4 mL) 중 2.85 당량의 HBTU 및 6 당량의 DIPEA를 함유하는 활성화 혼합물을 사용한 커플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였으며; 반응 혼합물을 각각의 커플링 단계 동안 1.5 내지 2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Fmoc-기 제거를 DMF 중 20% 피페리딘 용액 (2 x 15분)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펩티드-수지를 아세트산 무수물과 4-메틸모르폴린 (DMF 중)의 혼합물 (2:1:17, v/v/v, 20 mL)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펩티드 어셈블리의 마지막에 N-말단 아세틸화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펩티드-수지를 DMF 중 3% 히드라진 수화물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3 x 10분) N-Dde 보호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그 후 펩티드-수지를 DMF 및 DCM으로 세척하였다.
1%의 TFA를 함유하는 DCM의 용액에서 상기 펩티드-수지를 60분 동안 선회시킴으로써 수지로부터의 펩티드의 후속 절단을 행하였다. 수지를 여과 제거하고,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냉 이소프로필 에테르에 부어서 펩티드를 침전시켰다. 원심분리에 의한 단리, 냉 이소프로필 에테르를 이용한 세척 및 진공 하에서의 건조에 의해 348 mg (수율: 55%, 순도: 80%)의 조 선형 펩티드를 생성하고, 이를 TSAT (트리스-(숙신이미딜)아미노트리아세테이트) 매개된 환화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오르니틴 측쇄 탈보호 펩티드 (150 mg, 80%의 순도, 0.0595 mmol)를 DMF (300 mL)에 용해시키고, pH=8 내지 9가 될 때까지 DIPEA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DMF (50 mL) 중 TSAT 가교결합 시약 (1.0 당량)의 용액을 적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완전한 전환이 관찰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이환식 펩티드를 수득하고, 이를 90% (v) TFA, 5% (v) 티오아니솔, 2.5% (v) H2O 및 2.5% (v) EDT의 혼합물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완전히 탈보호시켰다. 침전 및 빙냉 tert-부틸 메틸 에테르를 이용한 세척에 의해 조 환형 펩티드를 수득하고, 이를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물의 동결건조에 의해 40 mg (수율: 34%, 순도: 94%)의 이환식 펩티드 CP141032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실시예 3: 호모이량체형 펩티드 CP141100의 합성.
Figure pct00014
베타 알라닌 사전로딩된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 (0.29 mmol/g)에서 0.5 mmol 규모로 자동화 고상 Fmoc 펩티드 합성에 의해 선형 단량체형 펩티드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아미노산 측쇄 작용체를 N-Boc (W) 및 O-t-Bu (E,S,Y) 기로 보호하였다. N-Mtt 기를 오르니틴 측쇄 아민 작용체의 직교 보호에 이용하였다 (Boc: tert. 부톡시카르보닐, t-Bu: tert. 부틸, Fmoc: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Mtt: 메틸트리틸). 제1 아미노산의 부착 전에, 상기 수지를 NMP에서 팽윤시켰다 (2 x 15분). 10 당량의 Fmoc-아미노산, 9 당량의 HATU (N,N,N ',N'-테트라메틸-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DMF 중 0.45 M) 및 10 당량의 DIPEA (NMP 중 2 M)를 이용한 커플링 프로토콜을 바로 그 아미노산 커플링 단계에 이용하였다 (커플링의 지속 시간: 30분). 상기 두 N-말단 아미노산의 경우에 이중 커플링 전략을 적용하였다. Fmoc 제거를 NMP 중 20% 피페리딘 용액을 이용하여 행하고, UV 검출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DIPEA (NMP 중 2 M 용액 10 당량)의 존재 하에 과량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30분 동안 처리함으로써 펩티드 어셈블리의 마지막에 N-말단 아세틸화를 수행하였다.
펩티드-수지를 65% (v) DCM (디클로로메탄), 20% (v)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10% (v)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및 5% (v) 트리에틸실란 (10 mL/g의 펩티드-수지)의 혼합물에서 60분 동안 선회시킴으로써 수지로부터의 펩티드 절단 및 선택적 Mtt 측쇄 탈보호를 성취하였다. 수지를 여과 제거하고, DCM으로 세척하였다. 냉 디에틸 에테르의 첨가에 의해 펩티드를 여과액으로부터 침전시키고, 조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오르니틴 측쇄 탈보호 조 펩티드를 200 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DMF (60 mL) 중 PyBOP (2 당량) 및 N-메틸모르폴린 (6 당량)의 용액을 적가함으로써 고 희석도에서 락탐 환화를 수행하였다. 완전한 전환이 관찰될 때까지 (2시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켰다. 유기 상을 5%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환화 펩티드를 87.5% (v) TFA, 5% (v) 티오아니솔, 5% (v) H2O 및 2.5% (v) EDT의 혼합물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완전히 탈보호시켰다. 침전, 이어서 빙냉 디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세척에 의해 조 펩티드를 수득하고, 이를 30 mL/분의 이동상 유량 (용매 A: 물 중 0.1% TFA + CH3CN, 용매 B: CH3CN, 선형 구배를 적용함)을 이용하여 엑스브리지(XBridge) C18 OBD 예비 HPLC 컬럼 (30 x 250 mm, 5 μm, 140Å)에서의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물의 동결건조에 의해 250 mg (수율 31%, 순도: 83%)의 측쇄 완전 탈보호 락탐 환화 펩티드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구매가능한 비스-PEG13-NHS 에스테르 (비스-숙신이미딜 활성화 비스-PEG13-산)를 결합 시약으로 사용하여 이량체화를 수행하였다. 결합 시약 (0.4 당량)을 건조 DMF 중 락탐 환화 펩티드 (75 mg, 0.048 mmol) 및 Et3N (5 당량)의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이를 행하고, 전환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사를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의해 직접적으로 정제하였으며, 이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았다. 순수 분획물의 동결건조에 의해 19 mg (수율: 11%, 순도: 96%)의 이량체형 펩티드 CP141100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4: CP141066의 합성
Figure pct00015
실시예 3으로부터의 측쇄 완전 탈보호 락탐 환화 펩티드 중간체 (50 mg, 0.032 mmol)를 DMF (2 mL)에 용해시켰다. Et3N (5 당량) 및 디숙신이미딜 글루타레이트 (1.0 당량)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사를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으며, 이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았다. 순수 분획물의 동결건조에 의해 28 mg (수율: 56%, 순도: 99%)의 펩티드 CP141066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5: 락탐 환화 펩티드 CP141099의 합성
Figure pct00016
L-Dap(Fmoc) (Dap: 2,3-디아미노프로피온산) 사전로딩된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 (0.15 mmol/g)에서의 자동화 Fmoc 고상 펩티드 합성에 의해 선형 펩티드를 0.3 mmol 규모로 합성하였다. DIPEA (2.6 당량)의 존재 하에 Dde-L-Dap(Fmoc)-OH (0.66 당량)의 DMF 용액으로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 (5 g, 1.4 mmol/g, 7 mmol)를 처리함으로써 L-Dap(Fmoc) 사전로딩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를 수동으로 제조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90분 동안 진탕시키고, 메탄올 (2.5 ml)을 첨가하고, 진탕을 추가 5분 동안 계속하였다. 용매를 여과로 제거하고, 수지를 DMF (5x)로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N-Dde 보호기를 DMF 중 2% 히드라진 수화물 용액과의 반응 (5 x 2분)에 의해 제거하여 치환율이 0.15 mmol/g인 L-Dap(Fmoc) 로딩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를 수득하였다 (치환율은 DMF 중 피페리딘 용액을 이용한 수지의 처리시에 유리되는 Fmoc 발색단의 양으로부터 광도 측정으로(photometrically) 결정하였다.). 후속적인 아미노산 커플링 및 N-말단 아세틸화를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화 합성에 의해 행하였다. L-Dap(Fmoc) 사전로딩된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의 Fmoc 탈보호 전에 Boc-베타-알라닌을 커플링시켰다는 것을 주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펩티드-수지를 65% (v) DCM, 20% (v)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10% (v)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및 5% (v) 트리에틸실란 (10 mL/g의 펩티드-수지)의 혼합물에서 60분 동안 선회시킴으로써 수지로부터의 펩티드 절단 및 선택적 Mtt 측쇄 탈보호를 성취하였다. 수지를 여과 제거하고, DCM으로 세척하였다. 냉 디에틸 에테르의 첨가에 의해 펩티드를 여과액으로부터 침전시키고, 조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오르니틴 측쇄 탈보호 조 펩티드를 120 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DMF (36 mL) 중 PyBOP (2 당량) 및 N-메틸모르폴린 (6 당량)의 용액을 적가함으로써 고 희석도에서 락탐 환화를 수행하였다. 완전히 전환될 때까지 (2시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켰다. 유기 상을 5% NaHCO3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87.5% (v) TFA, 5% (v) 티오아니솔, 5% (v) H2O 및 2.5% (v) EDT의 혼합물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완전한 측쇄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침전, 이어서 빙냉 디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세척에 의해 조 펩티드를 수득하고, 이를 20 mL/분의 이동상 유량 (용매 A: 물 중 0.1% TFA + CH3CN, 용매 B: MeOH, 선형 구배를 적용함)을 이용하여 엑스브리지 C18 OBD 예비 HPLC 컬럼 (30 x 250 mm, 5 μm, 140 Å)에서의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물의 동결건조에 의해 36 mg (수율 7%, 순도: 95%)의 락탐 환화 펩티드 CP141099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6: 펩티드 분석
UPLC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측정을 LC 펌프, 다이오드-어레이(diode-array) (DAD) 또는 UV 검출기 및 컬럼 (각각의 방법에서 특정된 바와 같음)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필요할 경우, 추가의 검출기를 포함시켰다 (하기의 방법에 대한 표를 참조). 컬럼으로부터의 유동물을 대기압 이온 공급원으로 구성된 질량 분석계(MS)로 가져왔다. 화합물의 분자량(MW)의 확인을 허용하는 이온을 얻기 위하여 조정 파라미터 (예를 들어, 스캐닝 범위, 드웰(dwell)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당업자의 지식 이내이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획득을 수행하였다.
펩티드를 그의 실험적 체류 시간 (Rt) 및 그의 분자량 (MW)으로 설명한다. 모든 결과는 일반적으로 사용된 방법과 연관된 실험적 불확실성을 가지고서 얻어졌다. 본원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MSD” : 질량 선택 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 “DAD” :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SQD” : 단일 사중극자 검출기(Single Quad Detector).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실시예 7: 화합물의 인플루엔자 HA에의 결합 및 화합물과 기타 HA 결합제의 경쟁
HA 상의 공지된 에피토프를 갖는 다른 잘 특성화된 HA 결합 단백질 (예를 들어 CR9114를 포함함)과의 경쟁에 대하여 화합물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결합 경쟁 연구를 설계하였다. 에피토프는 HA의 스템(stem) (바이러스 막 근위부의 HA)에 위치하거나, 또는 대조 목적의 경우, HA의 헤드(head) (바이러스 막 원위부의 HA)에 위치하였다. 경쟁이 관찰될 경우, 둘 다의 분자가 HA의 표면의 유사 에피토프 또는 적어도 중첩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HA 헤드- 및 스템-결합제와의 경쟁을 비특이적 결합으로 해석하였다.
여기에 알파LISA(AlphaLISA) 경쟁 분석 (퍼킨 엘머(Perkin Elmer))을 확립하였는데, 이는 바이오티닐화 전장 및 삼량체형 HA 단백질 (프로테인 사이언시즈(Protein Sciences), 10 μL, 0.5 nM의 최종 농도 (50 μL에서))이 HA-특이적 결합제와 결합된 것에 의존하였다. HA와 상기 결합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하기 2가지 비드와 함께 실온(RT)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탐지하였다: 스트렙타비딘 공여 비드 인식 HA (10 μL의 10 μg/mL) 및 사용한 IgG를 인식하는 항 Fc 비드 (10 μg/mL). 실온에서 추가 1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여기된 공여 비드 (680 nm) 및 수용 비드가 매우 근접한 상태로 있는 경우, 에너지 전달 (일중항 산소)은 수용 비드의 발광 신호로서 측정될 수 있다 (퍼킨 엘머 엔비전(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 이러한 균질 분석 포맷에서의 신호 강도는 두 결합 파트너 사이의 결합 강도 (친화도/친화력)에 정비례한다. 경쟁자 (화합물)는, 그의 친화도 및 농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100 nM 내지 0.5 pM의 범위에서 테스트함) 알파LISA 신호를 방해하여 S자형의 저해제 곡선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곡선은 SPSS에서 표준 4개 파라미터 로지스틱 비선형 회귀 모델(standard four parameter logistic nonlinear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피팅된다(fitted). 계산된 pIC50 값들의 평균이 표 3에 예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19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군 1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광범위하게 결합하며, 특이적으로 HA 스템-결합 분자와는 경쟁하지만 대조 HA 헤드-결합 분자와는 경쟁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실시예 8: 화합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화합물을 포유동물 세포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능력에 대하여 바이러스 중화 분석법 (VNA)에서 분석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인간 폐 상피 유래된 Calu-3 세포 (ATCC, 카탈로그 번호HTB-55)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4E+04개의 세포/웰), 37℃ 및 10% CO2에서 완전 DMEM (1x MEM 비-필수 아미노산, 2 mM L-글루타민, 및 10% FBSHI (기원: 오스트레일리아; 깁코(Gibco))를 함유함)에서 적어도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약 90% 융합도의 그리고 밀착 연접(tight junction)이 확립된 분극화된(polarized) Calu-3 세포는 VNA에 대하여 준비가 된 것이다. 분석일에, 불완전 DMEM (2 mM L-글루타민, 1 x pen/strep을 함유함)에서 2배 희석시킨 화합물 스톡 (PBS 0.1% BSA, 0.1% 트윈(Tween) 5% DMSO에 용해시킴, 500 nM의 시작 농도)으로부터 샘플 희석물 플레이트를 준비한다. 샘플 희석물 플레이트를 원심분리하여 (1000 g, 15분) 잠재적인 응집물을 제거한다. 그 후, 불완전 DMEM 중 5 TCID50/50 μL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alu-3 세포에서 사전 적정함)를 샘플 희석물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및 10% CO2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배지를 세포로부터 제거하고, 3% FBS가 보충된 50 μL 불완전 DMEM으로 교체한다. 그 후 100 μL의 바이러스/화합물 믹스를 세포에 첨가하여 1% FBS의 최종 농도를 갖는 150 μL의 전체 분석 부피를 생성한다. 37℃ 및 10% CO2에서 4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200 μL/웰의 80% 아세톤으로 실온(RT)에서 15분 동안 고정하였다. 인플루엔자 감염 수준을 인플루엔자 핵단백질(nucleoprotein; NP) ELISA로 결정한다. 일차 항체 항-Flu-A-NP (애비오텍(Abbiotec), 클론(Clone) 5D8)를 PBS 중 1% BSA에서 1:1000으로 희석시켜 사용하고, 실온에서 300 rpm에서 진탕시키면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세척 완충제 (PBS, 0.05% 트윈)로 3회 세척한 후, 이차 항체 (항-마우스 HRP, 1:2000)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0 rpm에서 진탕시키면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3회 세척한 후, 50 μL/웰의 POD 화학발광 기질을 첨가하고, 2 내지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바이오텍 시너지 네오 플레이트(Biotek Synergy Neo Plate) 판독기에서 발광을 판독한다. 화합물의 pIC50을 SPS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다수의 인플루엔자 주들을 반복하여 테스트하여 중화의 관용을 평가하였다 (표 4 참조).
세포 독성 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VNA를 또한 바이러스의 부재 하에 수행하였다. 세포 병변 효과(Cytopathic effect; CPE)를 ATP 라이트(Lite) 시약을 통하여, 그리고 제조업자의 프로토콜 (퍼킨 엘머)에 따라 측정하고,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표 4 참조).
Figure pct00020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검출가능한 세포 독성의 부재 하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군 1 주들을 광범위하게 중화시킨다.
Figure pct00021
실시예 9: 표면 플라스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을 이용한 직접적 HA 결합 실험
모든 SPR 실험을 25℃에서 작동시킨 비아코어(Biacore) T200 기기 (지이 헬스케어(GE Healthcar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삼량체형 HA 단백질 (프로테인 사이언시즈)을 무작위로 바이오티닐화하고, 스트렙타비딘 코팅된 카르복시메틸화 덱스트란 센서 표면 (SA 칩, 지이 헬스케어)에 공유 결합에 의해 고정시켰다. 테스트 화합물을 러닝(running) 완충제 (20 mM PBS, 137 mM NaCl, 0.05% P-20 계면활성제, pH 7.4 (지이 헬스케어), 2% DMSO를 보충함)에 재현탁시키고, 30 μl/분의 유량을 이용하여 0.1 nM 내지 10 μM의 농도 범위의 화합물의 일련의 주입으로부터 결합 상수를 얻었다. 단일-사이클 동역학(single-cycle kinetics)으로부터의 데이터를 BIA이밸류에이션(BIAevaluatio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곡선에 있어서 기저선을 0으로 조정하고, 주입 시작 시간들을 정렬시켰다. 기준 센서그램(sensorgram)을 실험적 센서그램으로부터 차감하여 특이적 결합을 대표하는 곡선을 생성하고, 이어서 배경을 차감하였다 (즉, 이중 기준화). 결합의 동역학적 특성을 1:1 결합 모델 (랭뮤어)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결합 (ka) 및 해리 속도 (kd) 상수를 얻었다. 결합 친화도 (KD)를 관찰된 정상 상태 반응(steady-state response)의 농도 의존성으로부터 개산하였다. 실험을 3회 수행하여 재현성을 보장하였다.
3가지 인플루엔자 주 (A/캘리포니아/07/09 (H1), A/뉴칼레도니아/20/99 (H1), 및 A/베트남/1194/04 (H5))로부터의 HA에 결합하는 3가지 화합물에 대한 대표적인 실험에 있어서의 결합 곡선이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HA 주에 따라 해리 속도를 5 s-1 내지 20 s-1로 하여 10 내지 100 nM의 결합 친화도가 모든 3가지 화합물에 대하여 탐지되었으며, 이는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22
SEQUENCE LISTING <110> Crucell Holland B.V. <120> Influenza virus neutralizing peptidomimetic compounds <130> 0256 WO 00 ORD <160> 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32070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n amide bi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beta-alanine bound via an amide bind to X2 <400> 1 Xaa Xaa Xaa Leu Arg Tyr Phe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2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19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7)..(7) <223> X6 is L-3,4-dichlorophe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aa can be any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 <400> 2 Xaa Xaa Xaa Leu Glu Tyr Xaa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36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n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X3 is L-cyclopent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beta-alanine bound via an amide bond to X2 <400> 3 Xaa Xaa Xaa Xaa Glu Tyr Phe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37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n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X3 is L-N-methyl-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beta-alanine bound via an amide bond to X2 <400> 4 Xaa Xaa Xaa Xaa Glu Tyr Phe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66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X4 is N6-(4-carboxybutanoyl)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beta-alanine bound via amide bond to X2 <400> 5 Xaa Xaa Xaa Leu Xaa Tyr Phe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77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n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beta-alanine bound via an amide bond to X2 <400> 6 Xaa Xaa Xaa Leu Glu Tyr Phe Glu Trp Leu Gln Xaa 1 5 10 <210> 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100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X4 is N6-(4-carboxybutanoyl)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X4 is N6-(4-carboxybutanoyl)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beta-alanine bound via amide bond to X2 <400> 7 Xaa Xaa Xaa Leu Xaa Tyr Phe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99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bound via amide bond to X10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2R)-3-amino-2-(3-aminopropanoylamino) beta-alanine bound via amide bond to X2 <400> 8 Xaa Xaa Xaa Leu Glu Tyr Phe Glu Trp Leu Ser Xaa 1 5 10 <210> 9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141032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Cap1 is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1 is (S)-2-Amino-5-phenylpentano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2 is L-ornithine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X4 is L-ornith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L-ornith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10 is L-ornithine which is linked via TSAT linkage to X2 and X4 <220> <221> MISC_FEATURE <222> (13)..(13) <223> Cap2 is carboxamide <400> 9 Xaa Xaa Xaa Leu Xaa Tyr Phe Glu Trp Leu Ser Xaa Xaa 1 5 10

Claims (32)

  1. 하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모방(Peptidomimetic) 화합물:
    Figure pct00023

    (여기서,
    Cap1은 N-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X1은 임의의 L 또는 D-아미노산이고;
    X2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인 지방족 L-아미노산이고;
    X4는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7은 임의의 하전 또는 중성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8은 Trp 또는 L-트립토판 유사체이며;
    X9는 부재하거나 임의의 친수성 L-아미노산이고;
    X10은 임의의 L-아미노산이며;
    Cap2는 C-말단 차단기를 갖는 0 내지 10개의 잔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고,
    상기 화합물은 계통발생군(phylogenetic group) 1로부터의 2가지 상이한 아형(subtype)의 HA를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주의 헤마글루티닌(HA)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
  2. 제1항에 있어서,
    X3은 분자량이 200 Da 미만이며 선형 또는 C-감마-분지형 측쇄를 갖는 지방족 L-아미노산이며;
    X5는 Tyr 또는 타이로신의 히드록실 기를 대체하는 수소 결합 공여체 및/또는 수용체를 갖는 L-타이로신 유사체이고;
    X6은 Phe 또는 수소, 할로겐, 페닐 고리의 오르토 및/또는 메타 위치의 C1-C4 알킬, 페닐 고리의 파라 위치의 할로겐, L-3-나프탈렌-1-일-알라닌, 및 L-3-나프탈렌-2-일-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체를 갖는 L-페닐알라닌 유사체이며;
    X8은 Trp 또는 C5, C6 및/또는 C7에서 할로겐 치환체를 갖고/갖거나 인돌 고리의 C2에서 작은 지방족 치환체를 갖는 L-트립토판 유사체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화된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2 및/또는 X4는 환화에 이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임의의 L-아미노산으로서, 여기서 작용기는 L-아미노산의 C-알파 원자로부터 2 내지 5개의 원자만큼 떨어져 있고;
    X10은 환화에 이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임의의 L-아미노산으로서, 여기서 작용기는 L-아미노산의 C-알파 원자로부터 2 내지 5개의 원자만큼 떨어져 있는 화합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잔기 X2X10 사이의 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환화된 화합물.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잔기 X2X10을 포함하는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통하여 환화된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X2는 Lys 또는 L-오르니틴이며, X10은 베타-알라닌, 3-아미노프로프리온산, 3-아미노-2,2-디메틸-프로프리온산, 4-아미노부탄산, 5-아미노펜탄산, 6-아미노헥산산, 또는 Pro인 화합물.
  8. 제6항에 있어서, X2는 Asp 또는 Glu이며, X10은 Lys 또는 L-오르니틴인 화합물.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잔기 X4X10 사이의 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환화된 화합물.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잔기 X4X10을 포함하는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통하여 환화된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X4는 Lys 또는 L-오르니틴이며, X10은 베타-알라닌, 3-아미노프로프리온산, 3-아미노-2,2-디메틸-프로프리온산, 4-아미노부탄산, 5-아미노펜탄산, 6-아미노헥산산, 또는 Pro인 화합물.
  12. 제10항에 있어서, X4는 Asp 또는 Glu이며, X10은 Lys 또는 L-오르니틴인 화합물.
  13. 제3항에 있어서, 잔기 X2X10X4X10 사이의 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환화된 화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잔기 X2X4X10에서 도입된 유리 아민 기와 트리스-숙신이미딜 아미노트리아세테이트 (TSAT)와의 분자내 가교결합에 의해 환화된 화합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량체형 펩티드 모방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량체형인 다량체형 화합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잔기 X4에서 도입된 반응기들의 분자간 가교결합에 의해 이량체화된 다량체형 화합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p1은 아세틸 또는 숙시닐인 화합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1은 (S)-2-아미노-5-페닐펜탄산, (2S)-3,3-디메틸-2-아미노-5-페닐펜탄산 또는 Arg인 화합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2는 Lys, L-오르니틴, Cys, L-호모-시스테인, 또는 Ser인 화합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3은 Leu, L-노르류신, L-시클로펜틸알라닌, L-시클로부틸알라닌, L-시클로프로필알라닌, (2S,4S)-2-아미노-4-메틸헥산산, (2S,4R)-2-아미노-4-메틸헥산산, (2S,4S)-2-아미노-4-메틸헵탄산, (2S,4R)-2-아미노-4-메틸헵탄산, (S)-2-아미노-4-에틸헥산산, 및 이들의 모든 N-메틸화 유도체인 화합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4는 Asp, Glu, Arg, Lys, 오르니틴,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 N6-(4-카르복시부타노일)라이신, 또는 N5-(4-카르복시부타노일)오르니틴인 화합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5는 Tyr인 화합물.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6은 Phe, L-2-클로로페닐알라닌, L-3-클로로페닐알라닌, L-4-클로로페닐알라닌, 또는 L-3,4-디클로로페닐알라닌인 화합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7은 Glu, Gln, Asp, Asn, Arg 또는 Lys인 화합물.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8은 Trp 또는 L-2-메틸-트립토판인 화합물.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9는 Ser 또는 Gln인 화합물.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10은 4-아미노부탄산, 베타-알라닌, ((2R)-3-아미노-2-(3-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 베타-알라닌, Lys, L-오르니틴, Cys 또는 호모시스테인인 화합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p2는 부재하거나 카르복스아미드인 화합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1. 인플루엔자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32. 인플루엔자의 진단,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KR1020177034097A 2015-05-11 2016-05-10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펩티드 모방 화합물 Ceased KR20180002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9833P 2015-05-11 2015-05-11
US62/159,833 2015-05-11
EP15173078 2015-06-22
EP15173078.5 2015-06-22
PCT/EP2016/060438 WO2016180826A1 (en) 2015-05-11 2016-05-10 Influenza virus neutralizing peptidomimetic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13A true KR20180002713A (ko) 2018-01-08

Family

ID=5347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097A Ceased KR20180002713A (ko) 2015-05-11 2016-05-10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펩티드 모방 화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738083B2 (ko)
EP (1) EP3294753A1 (ko)
JP (1) JP6921002B2 (ko)
KR (1) KR20180002713A (ko)
CN (1) CN107592865B (ko)
AU (1) AU2016261299B2 (ko)
BR (1) BR112017024206A2 (ko)
CA (1) CA2985402A1 (ko)
EA (1) EA201792482A1 (ko)
IL (1) IL255542B (ko)
MX (1) MX386783B (ko)
PH (1) PH12017501943B1 (ko)
WO (1) WO2016180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9048A (zh) * 2021-12-31 2023-09-19 康码(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聚合分子、包括其的单一结构和多聚结构
WO2023198815A1 (en) 2022-04-14 2023-10-19 Janssen Vaccines & Prevention B.V. Sequential administration of adenovirus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7078A1 (en) * 1990-07-19 1992-01-20 Steven S. Bondy Cyclic hiv principal neutralizing determinant peptides
CA2058876A1 (en) * 1991-12-19 1993-06-20 Maria A. Bednarek Cyclic hiv principal neutralizing determinant peptides
BRPI0414890A (pt) * 2003-09-30 2006-12-12 Novo Nordisk As composto, métodos de retardar a progressão de igt para diabete tipo 2, e de diabete tipo 2 para diabete que requer insulina, de tratar a obesidade ou prevenir o excesso de peso, de regular o apetite, de induzir saciedade, de impedir o ganho de peso, de aumentar o gasto de energia, e de tratar uma doença ou estad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e um composto
EP1781689A4 (en) * 2004-06-24 2010-11-10 Inst Medical W & E Hall CONJUGATES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AU2007293662B2 (en) 2006-09-07 2012-10-04 Crucell Holland B.V. Human binding molecules capable of neutralizing influenza virus H5N1 and uses thereof
US8871207B2 (en) * 2008-07-25 2014-10-28 Humabs, LLC Neutralizing anti-influenza A virus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9161988B2 (en) * 2009-07-02 2015-10-20 Angiochem Inc. Multimeric peptide conjugates and uses thereof
EP2731967B1 (en) 2011-07-14 2016-10-12 Janssen Vaccines & Prevention B.V. Human binding molecules capable of neutralizing influenza a viruses of phylogenetic group 1 and phylogenetic group 2 and influenza b viruses
CA2854432A1 (en) * 2011-11-02 2013-05-10 Ushio Denki Kabushiki Kaisha Fluorescence immunoassay using polypeptide complex containing fluoro-labeled antibody variable region
EA033386B1 (ru) * 2011-11-28 2019-10-31 Janssen Vaccines & Prevention Bv Рекомбинантные иммуногенные полипептиды стеблевого домена гемагглютинина вируса гриппа 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NZ628382A (en) * 2012-03-08 2017-03-31 Janssen Vaccines & Prevention Bv Human binding molecules capable of binding to and neutralizing influenza b viruses and uses thereof
US9969794B2 (en) * 2012-05-10 2018-05-15 Visterra, Inc. HA binding agents
US9683030B2 (en) * 2012-05-10 2017-06-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gents for influenza neutralization
CN104151403B (zh) * 2013-04-08 2020-11-03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一类多肽或其衍生物、及其在流感病毒感染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8788A1 (en) 2018-05-03
BR112017024206A2 (pt) 2018-07-17
WO2016180826A1 (en) 2016-11-17
MX2017014343A (es) 2018-03-23
JP6921002B2 (ja) 2021-08-18
IL255542A (en) 2018-01-31
CN107592865A (zh) 2018-01-16
CA2985402A1 (en) 2016-11-17
WO2016180826A8 (en) 2018-02-01
AU2016261299A9 (en) 2019-07-25
EA201792482A1 (ru) 2018-02-28
PH12017501943A1 (en) 2018-03-19
CN107592865B (zh) 2022-01-25
MX386783B (es) 2025-03-19
AU2016261299A1 (en) 2017-11-23
US10738083B2 (en) 2020-08-11
PH12017501943B1 (en) 2018-03-19
EP3294753A1 (en) 2018-03-21
IL255542B (en) 2022-06-01
JP2018522819A (ja) 2018-08-16
AU2016261299B2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555626B (zh) 异串联双环肽复合物
CA2760839A1 (en) Modified compstatin with peptide backbone and c-terminal modifications
JP2002530430A (ja) C型肝炎ウイルスns3プロテアーゼ阻害用の医薬組成物
CA2862391A1 (en) Stabilized antiviral fusion helices
US10632187B2 (en) Hemagglutinin-binding peptide
US10738083B2 (en) Influenza virus neutralizing peptidomimetic compounds
AU2017350304B2 (en) Influenza virus neutralizing compounds
CN108822190B (zh) 多肽及其药物组合物和用途
EA039991B1 (ru) Соединения-пептидомиметики, нейтрализующие вирус гриппа
CN114521197B (zh) 异串联双环肽复合物
EP4410816A1 (en) Peptide
WO2021260176A1 (en) Synthetic epitopes of betacoronaviruses
Scala Design and synthesis of peptide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WO2020171028A1 (ja) ヘマグルチニン結合ペプチド
CN117043176A (zh) 抗感染双环肽配体
CN116023439A (zh) 一种抑制新型冠状病毒SARS-CoV-2感染的多肽及其应用
Parlak Peptide-based drug systems
CA3004805A1 (en) Labyrinthopeptins as anti-viral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C0501 Invalid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