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1523U - 치약 용기 - Google Patents

치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23U
KR20180001523U KR2020160006643U KR20160006643U KR20180001523U KR 20180001523 U KR20180001523 U KR 20180001523U KR 2020160006643 U KR2020160006643 U KR 2020160006643U KR 20160006643 U KR20160006643 U KR 20160006643U KR 20180001523 U KR20180001523 U KR 201800015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toothpaste
toothbrush
hous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984Y1 (ko
Inventor
문교태
이지혜
유아람
하원호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6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84Y1/ko
Priority to CN201720625748.XU priority patent/CN207492709U/zh
Publication of KR20180001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84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05B11/3001
    • B05B11/303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이 수용되며, 펌핑에 의해 치약이 토출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립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가변성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약 용기{Toothpaste container}
본 고안은 치약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펌핑 작용을 통해 치약을 배출시키는 구조를 가지면서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할 수 있는 치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여야 청결하고 튼튼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항상 입안을 청결히 하여 개운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하여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수시로 양치질을 한다.
여기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아울러, 치약이 고점도를 이루는 경우, 튜브형 치약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튜브형 치약 용기를 직접 가압해 내부의 치약을 외부로 밀어내어 사용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튜브형 용기본체를 직접 짤 필요없이, 펌프를 이용하여 치약을 칫솔에 공급할 수 있도록 치약을 저점도로 형성하고 펌프가 구비되는 통 형태의 용기본체에 치약을 수용시키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핑 작용을 위한 구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중심부로부터 상부에 형성되어 위치가 불안정하거나, 용기본체가 가변성 용기로 이루어져도 직립 보관이 용이하고, 용기본체가 쓰러질 우려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치약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이 수용되며, 펌핑에 의해 치약이 토출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립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가변성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어느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직립 보관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그 내부에 상기 용기본체가 커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실린더 및 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치약을 빨아올리는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배출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용기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면에 상기 배출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구는, 상기 배출부의 최대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결합구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배출부와 상기 결합구의 하측에 놓이는 상기 용기본체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이격되어 칫솔이 보관되도록 홈 또는 홀로 이루어지는 보관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관구는, 상기 용기본체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이 노출되도록 저면이 개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상면을 바닥으로부터 떠받드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접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측면의 밀도 또는 무게가 상기 상면의 밀도 또는 무게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은, 부분적으로 접히는 구조 또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치약 용기는, 펌핑 작용을 위한 펌핑부가 마련되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펌핑부의 구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중심부로부터 상부에 형성되어 위치가 불안정하더라도, 거치대 또는 하우징부에 의해 용기본체의 직립 보관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치약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함께 칫솔을 인접하게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칫솔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칫솔을 보관하여야 하는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에 칫솔이 복수개로 보관시, 칫솔이 보관되는 보관구가 칫솔의 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2개 이상의 칫솔 헤드가 각각 분리 보관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수 있고, 외부 공기에 의해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용기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용기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용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하우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하우징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하우징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하우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하우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배출부(120), 거치대(130), 하우징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핑 작용에 의해 치약이 토출될 수 있도록 튜브형의 용기에 수용되는 치약이 고점도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저점도로 이루어져, 치약 용기(100) 내의 치약은 유동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치약 용기(100)는 다양한 변형예를 이룰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치약 용기(100)는 용기본체(110)의 하방이 지지되도록 거치대(130)가 마련되는 구조(도 1 참조, 제1 실시예)를 이루거나, 용기본체(110)가 커버되어 지지되도록 하우징부(140)가 마련되는 구조(도 5 내지 도 9 참조, 제2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를 이룰 수 있는데, 거치대(130)와 하우징부(140)는 개별로 용기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고, 이와 달리, 거치대(130)가 용기본체(110)의 하방을 지지하면서 용기본체(110)의 상부 및 측면을 하우징부(140)가 지지하는 바와 같이 이들이 조합될 수 있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110)는 치약을 수용하며, 도자기 등의 재질에 대비하여 자체 하중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본체(110)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이에 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용기본체(110)는 튜브 형의 용기에 대비하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세면대 등에 세워져 보관되되 후술되는 거치대(130)에 보관된 형태로 놓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10)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한 폭을 이룰 수 있어, 폭이 감소되는 형태에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에 대하여 치약의 용량이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110)는 거치대(130)에 의해 용기본체(110)가 지지되어 배출부(120)에 마련되는 후술되는 펌핑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무게중심이 상부에 마련되더라도 상방에 위치되는 무게중심에 의한 직립 불안정에 관계없이 거치대(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10)는, 육각면체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직립 보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 길이 방향 또는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달리, 용기본체(110)는 배출부(120)가 마련되는 일측(상부)에 대비하여 타측(하부)의 단면적이 큰 상협하광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10)는 배출부(120)가 마련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대되는 형태, 일례로 밑면의 단면적이 상부 대비 크게 형성되는 원뿔대, 각뿔대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의 수평 절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10)는, 거치대(130)에 직립 보관되는 칫솔의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하는 함몰부(111)가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1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일정한 폭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111)는, 상부의 공간이 크게 이루어지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부(111)가 용기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마련되는 것을 일례로 들었으나, 배출부(120)의 배출 방향과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홈(131)이 도 1을 중심으로 앞뒤 방향의 폭에서 중심에 마련되는 경우, 칫솔이 보관홈(131)으로부터 함몰부(111)측으로 경사지게 보관될 수 있으므로, 칫솔의 보관시 함몰부(111)의 공간이 칫솔의 보관방향과 동일하도록, 함몰부(111)는 용기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예각을 이루어 방향이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게다가, 함몰부(111)는 배출부(120)의 배출 방향과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120)가 용기본체(110)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고, 함몰부(111)는 중심부로부터 비껴서 도 2를 기준으로 후방 측면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우측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부(111)가 배출관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됨으로써, 함몰부(111)에 칫솔이 걸쳐져 보관시, 칫솔의 헤드와 배출부(120)가 서로 맞닿지 않게 비껴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칫솔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칫솔이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으며,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부(111)를 하나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칫솔이 복수개로 보관되는 경우, 칫솔의 헤드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부(111)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칫솔을 2개 보관하는 경우, 함몰부(111)는 후면에 인접한 하나의 함몰부(111)와 전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함몰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2개의 칫솔의 헤드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아울러, 용기본체(110)에는 함몰부(111)외에 거치대(130)의 보관홈(131)과 유사하게 보관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10)의 보관홈은 용기본체(110)의 측면에 치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이격되게 홈이 마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칫솔의 손잡이(핸들부)가 끼움되도록 용기본체(110)에 돌출구조가 마련되어 이루어져 칫솔이 보관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는 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공지된 가변성 용기(1100)(파우치 형태 일 수 있고, 일례로 리필용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가변성 용기(1100)는, 튜브형의 용기에 대비하여 강성을 가질 필요 없이, 일례로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에틸렌/알루미늄 적층 혹은 폴리에스테르류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상기와 같이 가변할 수 있는 두께가 얇은 재질로 이루어져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변성 용기(1100)는 형상이 변형되어 자립이 어려울 수 있으나, 후술되는 하우징부(140)에 보관되어 직립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배출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치약을 배출하는데, 펌핑 작용을 통해 저점도의 치약을 소량씩 배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부(120)는 펌핑부(도시하지 않음), 흡입관(도시하지 않음) 및 토출관(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펌핑부는 용기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및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치약을 빨아올린다. 여기서, 가변성 용기(1100)가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펌핑부는 흡입관을 따라 치약을 빨아올릴 수 있으며, 흡입관과 같은 흡입 유도관은 생략될 수도 있다.
흡입관은 치약이 경유하는 배출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펌핑부에 연결되어 용기본체(110) 내에 마련될 수 있고, 토출관은 펌핑부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치약을 토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토출관은 하단부가 용기본체(1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절곡되어 사용자를 향하도록 마련되게 '┌' 또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일례로, 토출관은 주둥이를 이루어 배출구를 형성하고, 토출관과 통하도록 실린더가 토출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 안에서 피스톤이 상하 이동될 수 있어, 실린더의 하부에 끼워진 피스톤의 상승에 따른 압력 변화로 인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용기본체(110) 내부의 치약이 흡상될 수 있다. 여기서, 펌핑부에는 실린더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고, 스프링과 별도로 볼 밸브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펌핑 작용이 수행되도록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핑부는 사용자가 토출관을 누르거나 놓아주는 동작을 통해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치약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아울러, 배출부(120)의 배출구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치약의 배출방향과 치약의 낙하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측면으로부터 진입된 칫솔의 헤드가 상부를 향하게 한 상태로, 칫솔의 헤드와 배출구가 마주하도록 할 수 있다.
거치대(130)는 용기본체(110)를 보관 및 지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용기본체(110)와 구획된 보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보관홈(131)은 칫솔을 보관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거치대(130)는 용기본체(110)의 하단부에 가로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박스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일측(도 1에서 좌측)에는 용기본체(110)가 보관되고 타측(도 1에서 우측)에는 칫솔이 보관되도록 보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대(130)는 높이에 대비하여 가로길이방향의 너비가 길게 이루어지는 상자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거치대(130) 상부의 일측에서 용기본체(110)가 탈부착되게 마련될 수 있고, 상부의 타측에서 칫솔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130)는, 펌핑부의 밀도 또는 무게보다 큰 밀도 또는 무게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거치대(130) 내부에 무게추(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용기본체(1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용기본체(110)는, 하면의 단면적이 펌핑부의 최대단면적 대비 3배 이상일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의 최대단면적보다 거치대(130)의 단면적이 크게 이루어져 거치대(130) 상의 용기본체(110)에 관계없이, 거치대(130)의 보관홈(131) 내에 칫솔이 보관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함몰부(111)가 칫솔의 헤드를 지지할 수 있어, 보관홈(131)의 깊이에 관계없이 칫솔이 세워져 보관될 수 있으므로, 거치대(130)의 높이는 칫솔의 직립을 위해 불필요하게 연장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거치대(130)는 용기본체(110)가 탈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거치대(130)와 용기본체(110)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40)는 용기본체(110)가 연결되고, 용기본체(11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10)가 가변성 용기(1100)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변성 용기(110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립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40)는 그 내부에 용기본체(110)가 세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직립 보관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는 하우징부(1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40)는, 용기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배출부(120)를 노출시키며 용기본체(110)가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부(140)는 상면에 배출부(12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구는 하우징부(140)가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10)의 주둥이 또는 배출부(120)의 둘레면과 억지끼움되거나,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구는 배출부(120)의 최대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어, 용기본체(110)는 결합구의 상측에 놓이는 배출부(120)와 결합구의 하측에 놓이는 용기본체(110)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부(140)는 용기본체(110)가 수용되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하우징부(140)의 일면(전면, 후면,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일 수 있음)이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 확인이 가능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창이 마련되어 내부를 확인하거나 용기본체(110)를 하우징부(140)에 체결시 입출구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부(140)는 용기본체(110)의 바닥이 노출되도록 저면이 개구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40)는 상면(141) 및 측면(1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하우징부(140)의 측면은 상면(141)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면(141)을 바닥으로부터 떠받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40)는 측면(142)의 밀도 또는 무게가 상면(141)의 밀도 또는 무게보다 크게 마련되어 무게 중심이 상부로 치우치는 것을 감소시켜 하우징부(140)가 임의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부(140)는 상면(141) 및 측면(142)이 접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면(141)을 중심으로 양 측면(142)이 상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면에 대향하여 모이도록 접힘으로써,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는 측면(142)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일례로, 하우징부(140)는 측면(142)이 부분적으로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가변성 용기(1100)에 남은 치약의 용량이 점차 줄어들면, 하우징부(140)의 높이를 이에 대응시켜 높이를 줄임으로써, 하우징부(140)의 높이 자체를 줄여 치약 용기(100)가 놓이는 면에 가변성 용기(1100)가 눌리면서 잔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40)가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경우, 다단의 실린더(1421) 구조를 이루고, 실린더(1421)가 서로 겹쳐져 길이가 감소되거나, 서로 겹쳐지는 실린더(1421)의 영역이 감소함에 따라 하우징부(140)의 전체 높이가 증가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다단의 실린더(1421)가 자체 하중에 의해 임의로 겹쳐져 길이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이웃한 실린더(1421)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1421A)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홈(1421B)이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후 돌기(1421A)가 돌기홈(1421B)에 끼움되어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40)의 측면(142)이 부분적으로 접히는 구조를 이루는 경우, 측면(142)은 복수의 판(1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판(1423)은 상면(14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상하 일렬로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고, 상하 한 쌍의 판(1423)은 경첩 등으로 연결되어, 하단의 판(1423)이 상단의 판(1423)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상단과 하단의 한 쌍의 판(1423)을 가로 질러 고정편(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상하 한 쌍의 판(142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판(1423)을 접을 때는 고정편이 상단의 판(1423) 또는 하단의 판(1423)으로 이동하여 하단의 판(1423)이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하의 한 쌍의 판(1423)은 일정한 두께를 이루고, 경첩의 결합력에 의해 하단의 판(1423)의 회전이 뻑뻑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야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하우징부(140)는 용기본체(110)와 이격되어 칫솔이 보관되도록 홈 또는 홀로 이루어지는 보관구(1410)가 형성될 수 있다. 보관구(1410)는 용기본체(110)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어 용기본체(110)와 칫솔이 좌우 나란히 하우징부(140)에 보관될 수 있으며, 보관구(1410)의 직경은 칫솔의 손잡이보다 크게 이루어지되 칫솔의 헤드보다 작게 이루어져, 칫솔의 헤드가 보관구(1410)로부터 노출되고, 헤드가 보관구에 걸린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칫솔이 복수개로 보관시, 칫솔이 보관되는 보관구(1410)가 칫솔의 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2개 이상의 칫솔 헤드가 각각 분리 보관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수 있고, 외부 공기에 의해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관구(1410)가 형성되는 영역의 하우징부(140)에는 단턱(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고, 단턱의 높이는 칫솔 헤드보다 하부에 마련되어 칫솔이 하우징부(14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부(140) 내에 칫솔의 전체 길이 중 칫솔 헤드를 제외한 길이의 칫솔이 수용되는 높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칫솔을 지지함으로써 칫솔의 헤드가 노출될 수도 있다.
또는 하우징부(140) 내에 칫솔 헤드가 수용되도록 마련되고, 칫솔 헤드가 수용되는 영역에 자외선 조사부가 마련되어 칫솔의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펌핑 작용을 위한 펌핑부가 마련되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펌핑부의 구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중심부로부터 상부에 형성되어 위치가 불안정하더라도, 거치대(130) 또는 하우징부(140)에 의해 용기본체(110)의 직립 보관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치약 용기 110: 용기본체
111: 함몰무 1100: 가변성 용기
120: 배출부 121: 펌핑부
122: 흡입관 123: 토출관
130: 거치대 131: 보관홈
140: 하우징부 141: 상면
1410: 보관구 142: 측면
1421: 실린더 1421A: 돌기
1421B: 돌기홈

Claims (15)

  1. 치약이 수용되며, 펌핑에 의해 치약이 토출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립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가변성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어느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직립 보관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그 내부에 상기 용기본체가 커버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실린더 및 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치약을 빨아올리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배출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용기본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면에 상기 배출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배출부의 최대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결합구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배출부와 상기 결합구의 하측에 놓이는 상기 용기본체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이격되어 칫솔이 보관되도록 홈 또는 홀로 이루어지는 보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는,
    상기 용기본체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이 노출되도록 저면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상면을 바닥으로부터 떠받드는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이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측면의 밀도 또는 무게가 상기 상면의 밀도 또는 무게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부분적으로 접히는 구조 또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KR2020160006643U 2016-10-05 2016-11-15 치약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93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43U KR200493984Y1 (ko) 2016-11-15 2016-11-15 치약 용기
CN201720625748.XU CN207492709U (zh) 2016-10-05 2017-06-01 牙膏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43U KR200493984Y1 (ko) 2016-11-15 2016-11-15 치약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23U true KR20180001523U (ko) 2018-05-24
KR200493984Y1 KR200493984Y1 (ko) 2021-07-09

Family

ID=6229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93984Y1 (ko) 2016-10-05 2016-11-15 치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8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543U (ja) * 1993-01-05 1994-07-26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フィル容器
JPH1147024A (ja) * 1997-07-30 1999-02-23 Asuberu Kk ハンドソープホルダー
KR20120105287A (ko) *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하이웰 칫솔살균기
KR200470650Y1 (ko) * 2012-04-27 2014-01-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543U (ja) * 1993-01-05 1994-07-26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フィル容器
JPH1147024A (ja) * 1997-07-30 1999-02-23 Asuberu Kk ハンドソープホルダー
KR20120105287A (ko) *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하이웰 칫솔살균기
KR200470650Y1 (ko) * 2012-04-27 2014-01-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84Y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294A (en) Travel soap dish assembly
KR101504464B1 (ko) 구강관리유체 배출 시스템
JP7328715B2 (ja) 皮膚管理器具
JP6634509B2 (ja) パウチ容器を備えた垂直加圧コンパクト容器
US4940349A (en) Golf club cleaner
ES2321943T3 (es) Dispositivo para alojar y dispensar un producto fluyente.
US7086568B1 (en) Toothpaste dispenser
KR20180001523U (ko) 치약 용기
WO2004089154A1 (ja) 歯ブラシ
KR20180001023U (ko) 치약 용기
CN205306851U (zh) 压泵式挤牙膏器及包含该挤牙膏器的牙膏供给装置
KR20180002309U (ko) 치약 용기
JP2010275003A (ja) 液体パック容器及び液体注出器
CN207492709U (zh) 牙膏容器
US6719169B1 (en) Toothpaste dispenser and tube holder
US11497589B2 (en) Manual and electric pump toothbrushes with toothpaste tube
KR20180000434U (ko)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JP2021095196A (ja) 吐出容器
US20030165351A1 (en) Easy clean gel brush
CN218044194U (zh) 液体输出装置及清洁用品
JP2004049620A (ja) 歯磨き粉押出装置
KR102183129B1 (ko) 칫솔
KR200492609Y1 (ko) 치약 용기
KR20180002308U (ko) 치약 용기
KR200498474Y1 (ko) 가루 치약용 칫솔과 가루 치약용 용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양치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11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0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413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8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0413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7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504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